KR20190139391A -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391A
KR20190139391A KR1020180065778A KR20180065778A KR20190139391A KR 20190139391 A KR20190139391 A KR 20190139391A KR 1020180065778 A KR1020180065778 A KR 1020180065778A KR 20180065778 A KR20180065778 A KR 20180065778A KR 20190139391 A KR20190139391 A KR 2019013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rved glass
support
self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798B1 (ko
Inventor
황보우
채해원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8006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7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8Gravit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는: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와, 몸체지지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유리몸체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 및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와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MOLDING DEVICE FOR CURV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GLASS}
본 발명은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는 곡면유리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면유리는 곡면을 갖도록 굴곡지게 성형된 유리로서, 핸드폰을 포함한 전자기기와, 건물의 외벽이나 실내 디자인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유리는 성형틀로 제공되는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성형하고 있으며, 이러한 곡면유리의 성형용 지그장치는 통상 오목형 및 볼록형으로 구분된다.
종래에는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는 곡면유리를 성형할 때, 곡면유리가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지 않으므로 제품 불량률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6036호(2000.11.15 공개, 발명의 명칭: 곡유리제조용 성형몰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는 곡면유리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는: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와, 몸체지지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유리몸체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 및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와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몸체를 사이에 두고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유리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지지부는, 유리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지지부는, 몸체지지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몸체지지부와 경사지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유리몸체와 자중변형부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부는, 경사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방지부는, 몸체지지부와 평행을 이루는 판 형상이며, 유리몸체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는: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와, 몸체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리몸체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와 마주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변지지부와, 가변지지부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가변지지부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가변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와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몸체를 사이에 두고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유리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지지부는, 유리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지지부는, 몸체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구동부의 동작으로 몸체지지부와 가변지지부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부는, 가변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방지부는, 몸체지지부와 평행을 이루는 판 형상이며 유리몸체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은: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가열부를 동작시켜 유리원자재를 가열시키는 가열단계 및 유리몸체의 하측으로 자중변형부가 굽혀지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단계 이후에 자중변형부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단계에서 자중변형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변지지부는, 자중변화부가 굽혀지는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단계 이전에 구동부의 동작으로 가변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단계 이전에 유리원자재를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은,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와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부에 의해 가열하여 자중변형부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굽혀짐을 유도하여 곡면유리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가 동작되어 자중변형부가 하측으로 굽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중변형부의 단부가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몸체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자중변형부의 굽힘 각도에 따라 설치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가 동작되어 자중변형부가 하측으로 굽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중변형부의 단부가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1)는,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30)와, 몸체지지부(30)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유리몸체(12)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14)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40)와,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40)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20)를 성형하는 가열부(50)와, 유리몸체(12)를 사이에 두고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유리몸체(12)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60)를 포함한다.
유리원자재(10)는 곡면유리(20)로 성형되기 위한 판 형상의 유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자재(10)는, 굽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평판 형상의 유리몸체(12)와, 유리몸체(12)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14)를 포함한다.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는 가열부(50)의 가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자중변형부(14)의 자중에 의해 굽어진 형상을 갖는다.
자중변형부(14)의 길이는 자중 성형을 하기 위해 설정된 중량 이상을 갖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며, 성형으로 굽히려 하는 방향의 곡면유리(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평면 형상의 유리원자재(10)가 곡면유리용 성형장치(1)에서 가공된 후 설정된 각도로 굽혀진 곡면유리(20)가 형성된다.
몸체지지부(30)는 유리몸체(12)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지지부(30)는, 유리몸체(12)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다.
경사지지부(40)는 몸체지지부(30)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유리몸체(12)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14)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지지부(40)는, 몸체지지부(30)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몸체지지부(30)와 경사지지부(40)가 이루는 각도는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성형이 완료된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 사이의 각도가 20도로 설정된 경우, 몸체지지부(30)와 경사지지부(40)가 이루는 각도도 20도 내외로 설정된다.
가열부(50)는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40)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20)를 성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50)는, 경사지지부(4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가열되어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한다. 가열부(50)는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경사지지부(40)의 상측에 위치한 유리원자재(10)를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부(50)는 유리의 성형이 가능한 온도까지 점차적으로 가열된다.
유동방지부(60)는 유리몸체(12)를 사이에 두고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유리몸체(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60)는, 몸체지지부(30)와 평행을 이루는 판 형상이며, 유리몸체(12)의 상하 이동을 구속한다.
몸체지지부(30)의 상측에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가 놓여지며, 유리몸체(12)의 상측에는 유동방지부(60)가 설치된다. 유동방지부(60)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몸체지지부(30)에 유리몸체(12)가 놓여진 상태에서 유리몸체(1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유리몸체(12)의 상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유동방지부(60)는 로봇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지지부(30)와 유동방지부(60)의 사이에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열부(50)가 동작되어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변형부(14)의 자중에 의해 자중변형부(14)가 하측으로 굽어져서 경사지지부(40)에 접한 상태에서 경화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변형부(14)의 단부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곡면유리(20)를 성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몸체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자중변형부의 굽힘 각도에 따라 설치각도가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용 성형장치(3)는,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30)와, 몸체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리몸체(12)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14)와 마주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변지지부(70)와, 가변지지부(70)에 연결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가변지지부(7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90)와,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가변지지부(70)의 일측에 위치하며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20)를 성형하는 가열부(50) 및 유리몸체(12)를 사이에 두고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유리몸체(12)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60) 포함한다.
가변지지부(70)와 마주하는 단부에서 돌출된 회전지지부재(32)는 양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이다. 몸체지지부(30)와 마주하는 가변지지부(70)에서 돌출된 연결부재(72)는 회전지지부재(32)의 양측에 위치하며, 회전지지부재(32)와 연통되는 구멍이 내측에 구비된다. 가열부(50)는 연결부재(72)와 회전지지부재(32)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열된다.
회전지지부재(32)와 연결부재(72)가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가열부(50)가 연결부재(72)와 회전지지부재(32)를 관통하며 설치되므로, 가변지지부(70)는 가열부(5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열부(50)는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에는 전기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전열선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지지부(70)는, 몸체지지부(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구동부(90)의 동작으로 몸체지지부(30)와 가변지지부(70)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부(90)는 가변지지부(7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90)는 고정브라켓(92)과 모터부재(94)와 구동축(96)과 연결브라켓(98)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92)의 일측은 몸체지지부(30) 또는 별도의 고정 구조물에 연결되며, 고정브라켓(92)의 타측은 모터부재(94)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92)과 모터부재(9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모터부재(94)에서 연장된 구동축(96)은 연결브라켓(98)에 연결되어 구동축(96)과 함께 연결브라켓(98)이 회전될 수 있다. 또는 구동축(96)이 가변지지부(70)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축(96)과 함께 가변지지부(70)가 회전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98)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연결브라켓(98)의 돌기가 가변지지부(70)의 연결부재(72)에 연결되어 연결브라켓(98)과 연결부재(72)가 함께 회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지지부(30)와 유동방지부(60)의 사이에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열부(50)가 동작되어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변형부(14)의 자중에 의해 자중변형부(14)가 하측으로 굽어져서 가변지지부(70)에 접한 상태에서 경화된다. 그리고 자중변형부(14)의 단부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곡면유리(20)를 성형한다. 이때 가변지지부(70)가 몸체지지부(30)와 이루는 각도는 구동부(90)의 동작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2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20)의 제조방법은, 유리원자재(10)를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단계(S10)를 갖는다.
그리고 도 1,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20)를 갖는다. 유리몸체(12)가 몸체지지부(30)와 유동방지부(60)의 틈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몸체지지부(30)의 상측에 유리몸체(12)가 놓여진 상태에서 유동방지부(60)가 유리몸체(1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유리몸체(12)의 상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50)를 동작시켜 유리원자재(10)를 가열시키는 가열단계(S40)를 갖는다. 가열부(50)는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한다.
그리고 도 2,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몸체(12)의 하측으로 자중변형부(14)가 굽혀지는 성형단계(S50)를 갖는다.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는 가열부(50)의 가열에 의해 연성을 갖게 되며, 자중변형부(14)의 자중에 의해 유리원자재(10)의 단부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굽어진다. 자중변형부(14)는 경사지지부(40)나 가변지지부(70)의 상측에 접하며 굽혀지는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성형단계(S50) 이후에 자중변형부(14)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가공단계(S60)를 갖는다.
또한 성형단계(S50)에서 자중변형부(14)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변지지부(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변형부(14)가 굽혀지는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곡면유리(20)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유리(20)의 제조방법은, 가열단계(S40) 이전에 구동부(90)의 동작으로 가변지지부(7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구동부(90)가 동작되어 가변지지부(70)의 설치각도로 변경한다. 제어부(80)의 제어신호가 서보모터인 모터부재(94)로 전달되면, 모터부재(94)의 구동축(96)이 회전된다. 구동축(96)은 연결브라켓(98)을 회전시키며, 연결브라켓(98)은 가변지지부(70)의 연결부재(72)를 회전시키므로, 가변지지부(70)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휘어지는 자중변형부(14)에 대응하여 가변지지부(70)의 설치각도를 미리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원자재(10)의 유리몸체(12)와 자중변형부(14)의 연결부위를 가열부(50)에 의해 가열하여 자중변형부(14)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굽혀짐을 유도하여 곡면유리(20)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성형 후에 절단 가공작업을 진행하므로 제품의 치수를 보다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금형으로 다양한 굽힘각도를 갖는 곡면유리(20)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3: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10: 유리원자재 12: 유리몸체
14: 자중변형부 20: 곡면유리
30: 몸체지지부 32: 회전지지부재
40: 경사지지부 50: 가열부
60: 유동방지부 70: 가변지지부
72: 연결부재 80: 제어부
90: 구동부 92: 고정브라켓
94: 모터부재 96: 구동축
98: 연결브라켓
S10: 절단단계 S20: 고정단계 S30: 조정단계
S40: 가열단계 S50: 성형단계 S60: 가공단계

Claims (17)

  1.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
    상기 몸체지지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유리몸체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와 마주하는 경사지지부; 및
    상기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경사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몸체와 상기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리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지지부는,
    상기 유리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상기 몸체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유리몸체와 상기 자중변형부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경사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와 평행을 이루는 판 형상이며, 상기 유리몸체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7.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
    상기 몸체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리몸체에서 연장된 자중변형부와 마주하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변지지부;
    상기 가변지지부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가변지지부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가변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리몸체와 상기 자중변형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여 곡면유리를 성형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리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지지부는,
    상기 유리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이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으로 상기 몸체지지부와 상기 가변지지부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변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와 평행을 이루는 판 형상이며, 상기 유리몸체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13. 유리원자재의 유리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가열부를 동작시켜 상기 유리원자재를 가열시키는 가열단계; 및
    상기 유리몸체의 하측으로 상기 자중변형부가 굽혀지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자중변형부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자중변형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가변지지부는, 상기 자중변화부가 굽혀지는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전에 구동부의 동작으로 상기 가변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전에 유리원자재를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80065778A 2018-06-08 2018-06-08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KR10211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78A KR102116798B1 (ko) 2018-06-08 2018-06-08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78A KR102116798B1 (ko) 2018-06-08 2018-06-08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91A true KR20190139391A (ko) 2019-12-18
KR102116798B1 KR102116798B1 (ko) 2020-06-02

Family

ID=6905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778A KR102116798B1 (ko) 2018-06-08 2018-06-08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089A (ko) * 2020-03-11 2021-09-27 (주)하나기술 유리 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58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한밭하이테크 곡면유리 절단장치
KR101206328B1 (ko) * 2010-02-22 2012-12-04 (주)대호테크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KR20150005098A (ko) * 2013-07-04 2015-01-14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WO2017218652A1 (en) * 2016-06-15 2017-12-2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thin glass sheets
KR101837797B1 (ko) * 2010-11-30 2018-04-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재료 시트를 형성된 물품으로 구부리기 위한 방법 및 그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328B1 (ko) * 2010-02-22 2012-12-04 (주)대호테크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KR20120056658A (ko) * 2010-11-25 2012-06-04 주식회사 한밭하이테크 곡면유리 절단장치
KR101837797B1 (ko) * 2010-11-30 2018-04-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재료 시트를 형성된 물품으로 구부리기 위한 방법 및 그 기기
KR20150005098A (ko) * 2013-07-04 2015-01-14 주식회사 비케이창호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WO2017218652A1 (en) * 2016-06-15 2017-12-2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thin glass she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089A (ko) * 2020-03-11 2021-09-27 (주)하나기술 유리 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798B1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96062B (zh) 切断加工方法、切断加工装置及用于该切断加工装置的工件支撑结构
KR101327703B1 (ko) 광전송매체 성형방법, 광전송매체 성형장치 및 광전송매체 제조방법
KR20190139391A (ko) 곡면유리용 성형장치 및 곡면유리의 제조방법
KR20160086172A (ko) 파이프 절단 장치
JP4457438B2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および曲げ成形方法
KR20110082209A (ko) 벤딩 머신 및 벤딩 머신을 이용한 금속판 가공 방법
CN113087369B (zh) 一种多曲率弧形玻璃的成型方法
KR101567639B1 (ko) 곡면유리 제조용 로
KR20100120384A (ko) 공용성을 갖는 차량 도어힌지용 프레스 금형
JP7020084B2 (ja) 導線成形装置および方法
JP6479598B2 (ja)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JP6124152B2 (ja) ロール成形機およびロール成形する方法
KR200400706Y1 (ko) 발포 폴리스티렌용 3차원 형상가공장치
CN108000855A (zh) 折弯机及其使用方法
JP6962182B2 (ja) 導線成形装置
CN101811368B (zh) 一种热板机
KR100696217B1 (ko) 조각 판유리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200007186A (ko) 유리의 곡면 성형 장치 및 방법
JP2021044192A (ja) 加熱装置
KR102243075B1 (ko) 스프링백 보정이 가능한 프레스장치
CN109968643B (zh) 塑料片材数控三d热成形方法
KR102414916B1 (ko)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KR102015415B1 (ko) 클램프
JP2861821B2 (ja) モールドプレス装置
JPH0976319A (ja) 樹脂モール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