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16B1 -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16B1
KR102414916B1 KR1020210025504A KR20210025504A KR102414916B1 KR 102414916 B1 KR102414916 B1 KR 102414916B1 KR 1020210025504 A KR1020210025504 A KR 1020210025504A KR 20210025504 A KR20210025504 A KR 20210025504A KR 102414916 B1 KR102414916 B1 KR 10241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nection
support
pedestals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선민호
김민석
유제형
윤형원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4Deep-drawing involving two drawing operations having effects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7Length adjustment of the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그리고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Multi-joint holders and support for sheet incremental forming}
본 발명은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진 성형 장치는 판형의 소재를 한 층씩 변형시켜 다양한 형상을 가공하는 성형기계로, 시제품 또는 잦은 수정을 요구하는 제품 설계 및 제작에 용이하며, 항공기 부품과 같이 다품종 소량생산이 필요한 산업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점진 성형 장치(20)는 성형 대상인 소재(10)를 지지하는 받침대(22), 소재(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소재(10)를 고정하는 볼트(23) 및 소재(10)를 성형하는 공구(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볼트(23)는 소재(10)를 관통하여 받침대(22)에 고정된다. 그러나 소재(10)는 볼트 이외에 집게 형태의 홀더(도시하지 않음)로 받침대(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진 성형 장치(20)는 공구(21)가 소재(10)를 누른 채 회전하고 이동하면서 성형한다. 이때 소재를 성형할 때 공구가 소재를 누르는 힘이 성형 부분뿐만 아니라 소재 전체에 전달되어 성형부분 이외 부분에 처짐이 발생하였다. 소재의 처짐으로 인해 재가공하여야 하므로 추가공정이 발생하여 제조비용 및 성형 시간이 더 소요되었다.
이러한 점진 성형 시 발생하는 처짐을 해결하기 위해 소재의 일면을 공구로 가공할 때 소재의 타면에서 공구를 실시간으로 따라가며 공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는 설계하고자 하는 형상에 맞추어 받침대 및 홀더를 제작하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받침대 및 홀더는 소재에 관통홀을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한 번의 점진 성형으로 설계하고자 했던 형상을 제작하기 어려워 소재의 후 가공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29(2012.01.17)
본 발명은 성형하려는 형상에 맞추어 소재를 고정하는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는 점진 성형으로 기설정된 형상이 성형되는 소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그리고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받침대와 결합되는 자력부, 상기 자력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재에 놓일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삽입되는 홀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에서 선행 메인 홀더의 제2 연결공간에 후행 메인 홀더의 제1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홀더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상기 형상을 따라 서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메인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홀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는 각각,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받침부 및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는 받침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서 선행 메인 받침대의 연결공간에 후행 메인 받침대의 결합받침부가 위치하고, 상기 받침 연결부는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는 상기 형상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메인 받침대를 연결하면서 점진 성형 장치의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는 연결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받침대는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받침부,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는 받침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의 받침대는 성형 형상에 맞추어 배열되어 소재를 지지하고 홀더는 소재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를 따라 배열되어 받침대와 결합되면서 소재의 성형 부분을 직접 지지한다. 이에 따라 소재 성형 부위의 인장을 방지하게 되어 소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의 인장을 방지하여 설계된 형상에 가까운 결과물을 성형할 수 있어 추가적인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성형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홀더의 관절형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자유로운 각도로 연결이 가능하여 메인 홀더를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 형성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행에 배치된 받침대의 돌출부와 후행에 배치된 받침대의 결합받침부가 자유로운 각도로 결합될 수 있어 소재의 형상에 맞추어 받침대를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 형성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받침대의 바닥고정부가 결합 수단을 통해 바닥에 고정되어 점진 성형 시에 받침대가 위치를 이탈해 설계로부터의 오차, 그리고 처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진 성형 장치 및 점진 성형 시의 인장을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3의 메인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메인 홀더와 연결 홀더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3의 메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연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메인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원형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b)는 삼각형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c)는 연속적인 형상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내부 받침대를 활용한 점진 성형 장치의 사시도.
도 12은 내부 받침대를 활용한 점진 성형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3의 메인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연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메인 홀더와 연결 홀더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3의 메인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연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메인 받침대와 연결 받침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원형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b)는 삼각형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c)는 연속적인 형상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100)는 홀더와 받침대를 포함하며, 점진 성형 장치에서 성형할 소재를 형상 따라 지지하여 성형 부분의 처짐을 방지한다.
홀더는 메인 홀더(110)와 연결 홀더(120)를 포함하고, 받침대는 메인 받침대(130)와 연결 받침대(14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메인 홀더(110)는 자력부(111), 몸체부(112),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를 포함한다.
자력부(111)는 자성의 힘으로 점진 성형 시 소재(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자력부(111)에 사용될 수 있는 자석은 코발트 자석, 네오디뮴 자석 또는 전자석이 될 수 있다. 자력부(111)의 자성은 4000 내지 5000 가우스일 수 있고, 이러한 자력부(111)를 포함하는 메인 홀더(110)를 연결하여 5kN~10kN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자성이 4000 가우스 미만인 자석을 사용하면 점진 성형 시 소재가 강하게 고정되지 않고 소재가 원위치를 이탈하여 설계와 다른 결과물이 나올 수 있고, 자성이 5000 가우스를 초과하는 자석을 사용하면 홀더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다.
일례로, 1,000kg 질량을 가지는 소재의 경우 점진 성형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1kN 내지 2kN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데에 필요한 힘은 2kN보다 커야 한다. 그러므로 100N의 자석을 40개 사용하여 4kN의 힘을 발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홀더(110)의 몸체부(112)는 자력부(111)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고, 자력부(1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끔 자력부(111)와 맞물려 있다.
제1 연결부(113)는 몸체부(112)의 일면에 위치해 있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부(113)는 복수의 메인 홀더(1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메인 홀더(110)가 연결될 때 관절 역할을 하여 하나의 메인 홀더(110)가 이웃한 메인 홀더(110)의 제2 연결부(114)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연결부(114)는 몸체부(112)의 타면에 위치해 있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114)에 형성된 홀은 제1 연결부(113)의 홀과 일치하고, 제1 연결부(113)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150)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제1 연결부(113)와 제2 연결부(114)는 결합된다(도 2 참조).
도 4를 참고하면, 연결 홀더(120)는 몸체부(121), 제1 연결부(122) 및 제2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연결 홀더(120)의 몸체부(1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몸체부(121)의 모양을 직육면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21)의 양단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홀더(120)의 제1 연결부(122)는 몸체부(121)의 일면에 위치해 있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부의 홀은 제2 연결부(123)의 홀과 일치하기에 메인 홀더(110)의 제2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홀더(110)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재(150)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해 제1 연결부(122)는 연결 홀더(120)의 제2 연결부(123) 또는 메인 홀더(110)의 제2 연결부(114)는 결합된다(도 5 참조).
연결 홀더(120)의 제2 연결부(123)는 몸체부(121)의 타면에 위치해 있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123)에 형성된 홀은 제1 연결부(122)의 홀과 일치하고, 연결 홀더(120) 또는 메인 홀더(110)의 제1 연결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메인 홀더(110)는 연결 홀더(120)와 연결되어 각도의 제한이 없는 연속적인 형상의 소재 고정 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인 홀더(110)가 조립될 때 메인 홀더(110)가 자리할 수 없는 간격이 생길 경우, 연결 홀더(120)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홀더(12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메인 받침대(130)는 몸체부(131), 돌출부(132) 및 결합받침부(133)를 포함한다.
메인 받침대(130)의 몸체부(131)는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몸체부(131)의 모양을 직육면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31)는 소재(10)를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한다.
메인 받침대(130)의 돌출부(132)는 몸체부(13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하나의 메인 받침대(130)가 다른 메인 받침대(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관절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132)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메인 받침대(130)가 선행의 메인 받침대(130) 또는 고정 받침대(14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받침대(130)의 결합받침부(133)는 몸체부(13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부(131)보다 높이가 낮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받침부(133)에 형성된 홀은 돌출부(132)에 형성된 홀과 일치한다. 복수의 메인 받침대(130)가 서로 연결될 때 결합받침부(133)는 결합 부재(160)에 의해 다른 메인 받침대(130)의 돌출부(132)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받침대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연결 받침대(140)는 몸체부(141), 돌출부(142), 결합받침부(143) 및 바닥 고정부(144)를 포함한다.
연결 받침대(140)의 몸체부(141)는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41)는 점진 성형 장치(100)의 테이블(30)과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소재(10)를 지지한다.
연결 받침대(140)의 돌출부(142)는 몸체부(14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하나의 연결 받침대(140)가 다른 연결 받침대(1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받침대(140)는 메인 받침대(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 받침대(140)의 결합받침부(143)는 몸체부(14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부(141)보다 높이가 낮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고정부(144)는 몸체부(14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돌출되어 있다. 바닥 고정부(144)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이 홀을 관통하여 점진 성형 장치의 테이블(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이 철 소재인 경우, 바닥 고정부(144)에 자석을 결합하여 연결 받침대(140)는 자력에 의해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받침대(140)에 사용되는 자석은 메인 홀더(110)보다 더 큰 하중을 견뎌야 하기에 자력부(111)의 자력보다 강한 자석을 사용한다.
도 8을 참고하면, 결합 부재(160)를 이용하여 메인 받침대(130)와 연결 받침대(140)가 결합되어 받침대를 제작할 수 있다. 연결 받침대(140)로만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100)를 제작할 때, 제작하고자 하는 형상의 일부분에서 일정 각도 이상으로는 연결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모서리를 이루려는 연결 받침대(140)의 바닥 고정부(144)가 이웃한 연결 받침대(140)의 바닥 고정부(144)와 중첩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바닥 고정부(144)가 없는 메인 받침대(130)로 대체되어 각도의 제한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받침대(140)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및 받침대로 다양한 형상의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를 소재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홀더와 받침대를 배열할 때에는 점진 성형 시 회전하는 공구가 홀더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므로, 점진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부터 공구 단면적의 반지름만큼의 거리를 갖는 홀더 및 받침대를 배열해야 한다.
복수의 메인 홀더(110)와 복수의 연결 받침대(140)를 도면 도 9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인 홀더(110)와 연결 받침대(140)를 도면 도 9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인 홀더(110), 복수의 연결 홀더(120) 및 복수의 연결 받침대(140)를 도면 도 9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과 곡선이 혼합된 복합 형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복합 형상으로 배열될 때 메인 홀더(110)가 자리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연결 홀더(120)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진 성형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100)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먼저 프로그래밍을 통해 소재 일면에 제작하고자 하는 형상의 g코드를 제작한다. g코드는 공구의 이동 방향을 명령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점진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과 동일한 크기의 형상을 종이에 인쇄하고, 인쇄된 종이를 테이블에 배치한다. 이후 종이에 인쇄된 형상을 따라 메인 받침대(130)를 배열한다. 이때 형상에 따라 연결 받침대(140)와 메인 받침대(130)가 함께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소재(10)가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100)에 결합되는 방식은 소재(10)의 자성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자성체가 아닌 소재는 먼저 메인 받침대(130)에 위치시킨다. 이후, 메인 받침대(130)를 따라 소재(10)의 일면에 메인 홀더(110)를 배열한다.
소재가 자성체인 경우, 메인 홀더(110)를 배열한 소재(10)에 배열한 후 소재(10)를 메인 받침대(130)의 일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메인 홀더(110)의 자력부(111)에 의해 소재(10)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130)와 복수의 메인 홀더(110)사이에 고정된다.
이후, 점진 성형기의 공구(21)를 소재(10)에 접촉시키고, 공구(21)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공구(21)는 g코드의 명령에 따라 이동하고, 소재(10)에 변형을 일으켜 형상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내부 받침대를 활용한 점진 성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내부 받침대를 활용한 점진 성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내부 받침부(200)는 베이스(210), 그리고 기둥부(22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테이블(30)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210)에는 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웃한 홀들의 간격은 등간격 또는 불규칙할 수 있다. 홀의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220)는 위치조절몸체(221), 그리고 받침몸체(222)를 포함하며 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소재(10)의 성형 부분과 그 이외 부분의 경계 지점을 지지한다.
위치조절몸체(221)의 외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베이스(210)의 홀에 결합되어 있다.
받침몸체(222)는 위치조절몸체(221)에 결합되어 소재(1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몸체(222)의 외부 둘레 지름은 위치조절몸체(221)의 지름보다 크다. 그러나 받침몸체(222)의 외부 둘레 지름은 위치조절몸체(221)의 지름과 같을 수도 있다.
받침몸체(222)는 베이스(210)와 나사 결합된 위치조절몸체(221)에 의해 베이스(210)의 표면을 기준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받침몸체(222)의 높이는 소재(10)의 성형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높이 조절 가능한 기둥부(220)에 의해 소재의 다양한 형성 형상을 지지할 수 있으며, 받침몸체(222)는 점진 성형 시 소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소재의 성형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소재 20: 점진 성형 장치
21: 공구 22: 받침대
23: 홀더 30: 테이블
100: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110: 메인 홀더
111: 자력부 112: 몸체부
113: 제1 연결부 114: 제2 연결부
120: 연결 홀더 121: 몸체부
122: 제1 연결부 123: 제2 연결부
130: 메인 받침대 131: 지지몸체
132: 돌출부 133: 결합받침부
140: 연결 받침대 141: 몸체부
142: 돌출부 143: 결합받침부
144: 바닥 고정부 150: 홀더 결합부재
160: 받침대 결합부재 200: 내부 받침부
210: 베이스 220: 기둥부
221: 위치조절몸체 222: 받침몸체

Claims (5)

  1. 점진 성형으로 기설정된 형상이 성형되는 소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그리고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받침대와 결합되는 자력부,
    상기 자력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재에 놓일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삽입되는 홀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에서 선행 메인 홀더의 제2 연결공간에 후행 메인 홀더의 제1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홀더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상기 형상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2. 삭제
  3. 점진 성형으로 기설정된 형상이 성형되는 소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 및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메인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 홀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공간이 형성된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4. 점진 성형으로 기설정된 형상이 성형되는 소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그리고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는 각각,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받침부 및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는 받침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서 선행 받침대의 연결공간에 후행 메인 받침대의 결합받침부가 위치하고,
    상기 받침 연결부는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는 상기 형상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5. 점진 성형으로 기설정된 형상이 성형되는 소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소재의 성형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메인 받침대,
    상기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에 고정하는 복수의 메인 홀더 및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메인 받침대를 연결하면서 점진 성형 장치의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는 연결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메인 받침대와 상기 복수의 메인 홀더는 각각 성형할 상기 형상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소재의 성형 부위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 받침대는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소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받침부,
    상기 결합받침부와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는 받침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KR1020210025504A 2021-02-25 2021-02-25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KR10241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4A KR102414916B1 (ko) 2021-02-25 2021-02-25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4A KR102414916B1 (ko) 2021-02-25 2021-02-25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916B1 true KR102414916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04A KR102414916B1 (ko) 2021-02-25 2021-02-25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9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07B1 (en) * 2003-03-07 2003-10-04 Bong Hee Go Built-up tree protection cover
CN110722066A (zh) * 2019-09-27 2020-01-24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板料单点渐进成形的柔性夹持装置和成形方法
KR20200083770A (ko) * 2018-12-28 2020-07-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진 성형 방법 및 점진 성형 장치
KR20200123901A (ko) * 2019-04-22 2020-11-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진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07B1 (en) * 2003-03-07 2003-10-04 Bong Hee Go Built-up tree protection cover
KR20200083770A (ko) * 2018-12-28 2020-07-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진 성형 방법 및 점진 성형 장치
KR20200123901A (ko) * 2019-04-22 2020-11-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진 성형 장치
CN110722066A (zh) * 2019-09-27 2020-01-24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板料单点渐进成形的柔性夹持装置和成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916B1 (ko) 점진 성형 소재 고정 장치
KR20200046673A (ko) 블록 조인트 노드의 용접변형 억제 지그
JP5485806B2 (ja) 金型位置決め固定装置
CN107914171A (zh) 工件固定装置
KR101288107B1 (ko) 철재 코일 포장용 내주링 제조 장치
CN202219386U (zh) 一种简单结构的焊接夹具定位座
CN110315450A (zh) 定位治具
CN108705466A (zh) 防止薄片零件夹紧受损的方法
JP2011088182A (ja) 粉末成形用金型とその金型の組み付け方法
KR102005151B1 (ko) 반지의 내경 확장 장치
JP2006205357A (ja) 電磁鋼板積層部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磁気軸受装置
KR100669939B1 (ko) 레이저 용접용 강판 클램핑 장치 및 방법
CN109108175B (zh) 一种排气扩压器旋压夹具及其工作方法
CN113172441A (zh) 一种带扰度的薄片零件车工夹具结构及其使用方法
KR101685483B1 (ko) 가변형 콘 성형용 금형
KR102398760B1 (ko) 회전 가능한 펀치를 구비하는 금형어셈블리
KR20210035448A (ko)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2029200B1 (ko) 트리밍 공정의 성형 부품 고정장치
US5993718A (en) Molded plastic mounting part
JP2000183552A5 (ko)
KR20200024029A (ko) 이중 마루용 패널의 하부 지지 구조물
JP3111896U (ja) 組立棚
KR20210153825A (ko) 호환형 고정치구
JP2019516871A (ja) 繊維工具モジュール及び繊維工具モジュールを有する繊維加工機
CN213470432U (zh) 一种可快速翻转部件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