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249A -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249A
KR20190139249A KR1020197033115A KR20197033115A KR20190139249A KR 20190139249 A KR20190139249 A KR 20190139249A KR 1020197033115 A KR1020197033115 A KR 1020197033115A KR 20197033115 A KR20197033115 A KR 20197033115A KR 20190139249 A KR20190139249 A KR 2019013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iological
microorganism
iii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483B1 (ko
Inventor
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쵸나이 후로라 이쇼쿠 린쇼 겐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쵸나이 후로라 이쇼쿠 린쇼 겐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쵸나이 후로라 이쇼쿠 린쇼 겐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1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752A/ko
Publication of KR2019013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과제] 투여 방법이나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신속·확실한 생착 효과가 얻어지는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하기 (I) 내지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Description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미소한 기포를 포함하는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근년, 생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주목이 집중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의 중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장내 플로라」란, 동일한 종류나 성질의 장내 미생물이, 어느 정도 집합하여 장벽에 서식하고 있는 모습이, 동일한 종류의 꽃이 엉겨붙어 피어 있는 화원과 같이 보이는 점에서 명명된 용어이다.
이 「장내 플로라」에 있어서의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은, 「장내 플로라 밸런스」라고 불리고 있으며, 생물의 종류나 개체별로 상이한 것이지만, 특히 「모든 병은 장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전해지는 바와 같이, 어떠한 질환으로 이환하고 있는 경우나, 몸 상태 불량의 경우에는, 건강한 동종의 생물(인간인 경우에는 인간)의 경향과 비교하여, 「장내 플로라 밸런스」가 상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개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유산균 음료 등의 섭취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극적인 개선이 어렵다.
그래서, 2013년경 네덜란드의 연구 그룹이 「건강한 개체 유래의 장내 플로라 자체를 환자의 장내에 직접 이식한다」는 획기적인 방법(장내 플로라 이식)을 사용하여(비특허문헌 1), 그 효과가 주목을 모은 결과, 현재는, 각종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한 프로젝트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수많이 진행 중이다(비특허문헌 2).
이 「장내 플로라 이식」이란, 구체적으로는 「분변(유래) 미생물 이식」을 의미하고 있으며, 분변을 생리 식염수 등의 용매로 용해시켜 얻어진 장내 미생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다른 개체에 이식한다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내 플로라 이식」 기술에는, 각종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첫째로, 종래법에서는, 이식한 생체 미생물이, 생체에 산 채로 정착(이하, 「생착」이라고 기재한다.)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일수를 요한다고 생각되는 점이다.
그 때문에, 이식한 「장내 플로라」가 그 수일간 사이에 대부분 배설되어버려, 결과적으로 환자의 체내에 머물지 못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로, 종래 사용되고 있는 투여 방법의 대부분이, 대장 내시경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이 큰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 가장 큰 과제로서, 각종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의 생체 미생물의 정착율(이하, 「생착율」이라고 기재한다.)이, 불과 2 내지 3할에 머무른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그 결과, 최종 목표인 질환 치료에 있어서도, 기대된 만큼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는 큰 문제를 안고 있는 점이다.
한편, 직경이 수십㎛ 이하인 미세한 기포, 소위 마이크로버블이나, 1㎛ 미만인 나노버블 등을 발생시키는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특허문헌 1 등), 그들 기포를 함유하는 용액이, 의료, 농업, 수산·양식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용액(소위 나노버블수)을 사용하여, 균을 산 채로 생체에 생착시키는 기술 사상은 지금까지 없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82호 공보
Duodenal Infusion of Donor Feces for Recurrent Clostridium difficile(Els van Nood,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January 31, 2013, vol.368, no.5, P.407-415) 염증성 장질환에 있어서의 분변 미생물 이식법의 과거·현재·미래(모던 미디어, 62권, 3호, 2016[장내 세균총], P.69-74)
본 발명자는, 생체 미생물을, 미세한 기포와 함께 용매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놀랍게도 무코다당류 등을 포함하는 장벽의 점막 등에 저지되지 않고 장내 세균이 생체에 용이하게 생착하고, 또한 그의 생착 속도나 생착율도,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생체에의 생착 효과, 그 중에서도 특히 장관 등의 점막을 통한 생체에의 생착 효과가 우수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 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은 하기 제1 발명 내지 제16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제1 발명>
하기 (I) 내지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제2 발명>
기포 중의 기체 성분이 하기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에 기재된 조성물.
(i) 대기
(ii) 수소
(iii) 질소
(iv) 오존
(v) 산소
(vi) 이산화탄소
(vii) 아르곤
<제3 발명>
(I)이 장내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기재된 조성물.
<제4 발명>
(I)이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제5 발명>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
<제6 발명>
생체 미생물 밸런스가 장내 플로라 밸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 발명에 기재된 조성물.
<제7 발명>
투여 경로가 구강, 눈, 귀, 코, 질, 요도, 피부 또는 항문으로부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제8 발명>
점막을 통해 생착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제9 발명>
적어도, 하기 (1) 및 (2)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II)의 용매 중에, (III)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공정.
(2) (I)을 (II)에 분산 및/또는 용해시키는 공정.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제10 발명>
추가로 하기 (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 발명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투여 대상자의 속성 및/또는 환경에 따라서, (I) 중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 및/또는 (I)을 채취하는 1 또는 2 이상의 개체를 결정하는 공정.
<제11 발명>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조성의 결정 방법.
(A) 투여해야 할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타입을 상정하는 공정.
(B) (A)에서 상정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 타입」을 달성할 수 있는,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을 선정하는 공정.
<제12 발명>
조성물을 항문으로부터 투여하기 위한 기구로서, 관상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
<제13 발명>
하기 (II) 및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도입 보조 용제.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제14 발명>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
<제15 발명>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생체에 도입하고,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또는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을 하는 방법.
<제16 발명>
제13 발명에 기재된 생체 도입 보조 용제를 사용하여, 목적물을 생체에 도입하는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법에 비해, 환자 부담이 적은 간편한 방법으로 시여할 수도 있고, 투여의 방법·경로에 관계없이, 보다 신속·확실한 생착 효과가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실시예 A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나노버블수 A)」(측정용의 250배 희석액) 중의, 기포의 크기, 수량 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폐선암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4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만성 췌장염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5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당뇨병 II형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6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당뇨 지질 이상증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7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8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9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우울증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레시피언트」(지아디아균 감염증 환자)에 투여한,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지아디아균 감염증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레시피언트」(만성 피로증 환자)에 투여한,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조성물(「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을 투여한 경우의, 「레시피언트」(만성 피로증 환자)의 장내 플로라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B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나노버블수 B)에, 생체 미생물을 함유시킨 경우의 보존에 의한 안정성을, 생리 식염수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하기 (I) 내지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의 생체 미생물》
(생체 미생물의 대분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의 생체 미생물이란, 인간 및 기타 생물의, 체내 또는 체표면 등을 포함한 모든 생체 부위에 늘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말하고, 예를 들어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이들 생체 미생물에는, 생체로부터 채취한 그대로의 미생물 이외에도, 그들을 배양하여 인위적으로 증식시킨 것, 그들이 돌연변이된 것, 또는 형질 전환 등의 방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개변한 미생물 등도 포함된다.
(생체 미생물 중의 중분류)
상기 생체 미생물의 각 대분류에는, 각각 하기 중분류가 포함된다.
(세균의 중분류)
세균의 중분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장내, 안내, 이비(耳鼻)내, 구강내, 질내, 기도내, 피부 등에 늘 존재하는 세균 등을 들 수 있다.
(진균의 중분류)
진균의 중분류로서는, 효모형 진균, 칸디다균, 이스트균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러스의 중분류)
바이러스의 중분류로서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두창 바이러스, EB 바이러스, 멈프스 바이러스 등의 DNA, RNA 양쪽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장내 플로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인 경우에는, (I)의 생체 미생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장내 미생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내 세균을 들 수 있다.
(장내 세균의 소분류)
장내 세균의 소분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락토바실랄레스(Lactobacillale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프레보텔라(Prevotella)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Clostridium cluster) IV
클로스트리디움 서브클러스터(Clostridium subcluster) XIVa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 IX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 XI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 XVIII
그 밖의 클로스트리디움
또한, 장내 세균으로서는, 동종(예를 들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인간) 유래의 장내 세균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중분류·소분류의 수)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로서는, 통상 상기 「중분류」 중 1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종류 이상의 「중분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각 중분류 중의 「소분류」로서는, 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후술하는 투여 대상자(이하, 「레시피언트」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후술하는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I)은 2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생체 미생물 (I)」이 「장내 미생물」인 경우에는, 건강한 인간 유래의 2종 이상 장내 미생물, 또는 「장내 플로라」의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한 장내 미생물의 부족이 어떠한 질환의 원인인 것이 명확하다면, 당해 미생물종만의 투여로 충분할 지도 모르지만, 질환과 특정한 장내 미생물의 인과 관계는, 현시점에서는 거기까지 명백하지 않은 경우도 많고, 그 경우에는, 당해 특정한 장내 미생물의 투여보다는, 건강한 인간의 장내 미생물을 복수 또는 「장내 플로라」를 통째로 이식하는 것이, 치료의 지름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생체 미생물의 유래)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은,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개체 유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여 대상자와 동일한 (개체)」란, 투여 대상자(레시피언트) 자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활성이나 생체 내 밸런스」를 갖는 「생체 미생물 (I)」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투여 대상자와는 다른 개체, 그 중에서도 (적어도 투여 대상자가 이환하고 있는 질환 등에 대하여) 건강한 동물(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미생물의 블렌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은,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것을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동일한 분류에 속하는 미생물이어도, 유래 개체에 의해, 미생물 자체의 생육 활성이나, 산생하는 효소량 등의 활성에 차가 있고,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투여 대상자에 생착하고, 그 치료 등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생체 미생물의 종류·종류별 비율)
(I)의 「생체 미생물」을, 복수 종류 사용하는 경우의 「종류」나 그 「종류별 비율」은,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인간을 포함하는 동물)(레시피언트)이, 원래 그 개체 내에서 갖고 있는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생체 미생물 밸런스)과, 「레시피언트」와는 다른 건강한 개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개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은, 상기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공정 (3) 등에 있어서 기재한,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및 「생체 미생물 이식」의 기술 분야에서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지견이나 경험 등도 가미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사용하는 (I)로서는, 「레시피언트」와는 다른, 예를 들어 1 또는 2 이상의 건강한 개체(바람직하게는 인간, 이하 「도너」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로부터 채취한 생체 미생물군 전체를, 균체의 선별 등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이미 건강한 것이 확인된 개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유지한 채, 「레시피언트」에 이식할 수 있고, 또한 건강한 개체의 생체 미생물 중에 포함되는, 치료 효과를 기대하여 의식적으로 선택한 주요한 생체 미생물 이외의, 각종 생체 미생물도 함께 투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타 다양한 생체 미생물도, 「도너」의 건강 유지의 한 요인이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조성물 중의 생체 미생물 (I)의 함유 비율)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중의, 「생체 미생물 (I)」의 농도(함유 비율)는, 후술하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이나, 투여 방법·투여 횟수·투여 기간 등에 의해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적절히 결정한다.
(생체 미생물의 취득 방법)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의 취득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건강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재현성의 확보」나 「취득의 간편성」 등의 점에서, 건강한 「도너」 유래의 「생체 시료」(생체 미생물이 장내 세균인 경우에는, 분변 등)를, 하기 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생체 미생물 (I)」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건강한 인간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시료의 처리 방법)
생체 시료로부터,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생체 시료를 여과·정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생체 시료를, 생체 시료 처리 용액에 침지시켜, 가벼운 교반으로 반자연 용해시키고, 그 후 멸균한 거즈 등으로 복수회 필터링하여 음식물 잔사 등의 불순물을 여과한다.
또한, 생체 시료 처리 용액으로서는,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하는 「생체 미생물 (I)」을 실활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순수(정제수)나 생리 식염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생체 시료 처리 용액으로 생체 시료를 처리한 후에, 재차 후술하는 「용매 (II)」로 치환해도 문제는 없지만, 원스텝 더 행하는 것에 의한 생체 미생물 실활 등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서, 또는 보다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생체 미생물 (I)」을 기포로 감싸기 위해서는, 이 단계에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 (I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용매 (II)」에는, 미리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을 발생시켜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생체 미생물 (I)」을 포함하는 「용매 (II)」를 취득하고 나서, 「나노 사이즈의 기포 (III)」을 발생시키는 방법이어도 되지만, 미리 (III)을 발생시킨 (II)를 사용하여, (I)을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는 쪽이, 「생체 미생물 (I)」의 실활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하는 용매 (II)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약 Ag의 「생체 시료」에 대하여 1.5 내지 4Aml(25 내지 67w/v%), 예를 들어 2Aml(50w/v%)의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II)의 양은, 「생체 시료」의 상태(포함되는 수분량)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과는 1 내지 복수회, 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 반복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너의 타입)
또한, (I)을 취득하기 위한 「생체 시료」의 제공자가 되는 「도너」로서는, 특히 「생체 시료」로서 「분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리적인 이미지 등으로부터, 「레시피언트」의 2촌 이내의 근친자가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치료 효과를 최우선으로 하면, 유전적 또는 생활 환경적으로 「생체 미생물 밸런스」도 가깝다고 생각되는 근친자가 아니라, 굳이 「생체 미생물 밸런스」가 완전히 다른 근친자 이외의 제3자 「도너」를 선택하는 것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도너수)
또한, 그 제3자 「도너」도 1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인 것이 장기적인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개선에는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I)의 용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I)의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제수, 생리 식염수, 미네랄 워터, 소프트 드링크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생체에의 친밀성이나 생착성을 상승시키는 관점이나, 방부 효과 등을 고려하면, (II)로서 생리 식염수 등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II)의 용매 중에 (III)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스테인리스제 등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기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정제수나 미네랄 워터가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관적으로 동일한 용매 (II)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제조의 각 단계에 의해, (II) 용매의 종류를 구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는, 제조 직후의 「원액」이나, 「레시피언트」에 투여하기 직전의 「희석액」 등, 각 단계의 조성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예를 들어 (I)의 생체 미생물을 사멸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II)의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II)의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중의 「기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포 중의 기체의 종류)
기포 중의 「기체 성분」은 하기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 대기
(ii) 수소
(iii) 질소
(iv) 오존
(v) 산소
(vi) 이산화탄소
(vii) 아르곤
(i)의 대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ii) 내지 (vii)과 같은 특별한 「기체 성분」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현실적이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기체」를 (II)의 용매에 도입한 경우의, 「용매 (II) 중에 발생한 기포 (III)」 중의 「각 기체 성분의 봉입 비율」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용매 (II) 중에 기포 (III)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용매 (II) 중에 용입할 수 있는 「양」이나 「스피드」가, 「기체 성분」마다 다르고, 또한 발생한 기포 (III) 중에 봉입된 「기체 성분」의 「종류」나 「비율」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 자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단독종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성분(가령 X라 한다.)」을 사용한 경우에는, 대기 등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용매 (II) 중에 발생한 기포 (III)」 중의, 「기체 성분 (X)」의 「봉입 비율」이 높아질 것이며, 그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체 성분 (X)」의 특성을 보다 살릴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장내 세균을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기포 중의 수소의 비율을 대기보다도 높이면, 하기 장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 수소를 사용한 본 발명의 나노버블수의 산화 환원 전위(타깃은 -150mV±15mV)가, 장관의 산화 환원 전위(-50mV 내지 -250mV)와 동일한 정도의 낮은 점에서, 여기에 피복된 세균이 장내에 정착하기 쉽다고 생각되는 것.
2, 장관 내에 염증이 있을 경우, 산화 환원 전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면역 반응이 항진되어 이식한 균이 레시피언트의 면역에 의해 거부되는 경향이 있지만, 수소의 산화 환원 전위의 낮음에 의한 항염증 작용으로, 그 반응을 온화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
3, 수소 분자를 포함한 본 발명의 「나노버블수」에 의해, 장내 세균의 주된 그룹인 통성 혐기성균과 편성 혐기성균 중 어느 쪽도 살리지 않고 죽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식 후에 장관 내라는 적절한 환경 하에서 균이 다시 활동을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균액의 세균끼리의 밸런스를 일그러뜨리지 않은 채, 비교적 장기간, 균을 휴면시킨 상태에서 균액의 보존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
기포 중의 수소의 비율을, 대기보다도 높이기 위해서는, 수소 단독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대기와 수소를 병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대기와 수소 단독의 기체를 동시에 봉입해도 되지만, 대기와 함께 봉입하는 수소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가거나, 또는 당초에는 대기 단독을 사용하고, 후반 단계에서, 수소를 봉입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용매 중에의 용해 등에 의한 수소의 손실이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보다 많은 수소를 기포 중에 봉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대기와 수소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봉입 조작에 사용하는 「(ii) 수소」의 양을, 사용하는 「(i) 대기」의 양의 10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i) 대기」의 양의 100배 이상이다.
(기포의 크기)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포의 크기는, 주로 나노 사이즈 이하일 필요가 있지만, 구체적인 크기는, 사용되는 「생체 미생물 (I)」에 의해 임기 응변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생체 미생물 (I)」이 바이러스인 경우에는, 바이러스를 피복하고, 특히 점막 등을 통해 생착율을 높이기 위해서, 기포의 크기는 바이러스 자체의 크기(일반적으로 10 내지 100nm)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미생물 (I)」이 세균인 경우에는, 세균을 피복하고, 특히 점막 등을 통한 생착율을 높이기 위해서, 기포의 크기는 세균 자체의 크기(일반적으로 1㎛(1000nm) 전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미생물 (I)」이 진균인 경우에는, 진균을 피복하고, 특히 점막 등을 통한 생착율을 높이기 위해서, 기포의 크기는 진균 자체의 크기(일반적으로 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기포 중의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의 비율)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중의 전체 기포 중,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이 반드시 100%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종래의 「기포를 갖지 않는 용매를 사용한 생체 미생물 이식용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체 미생물 (I)」이, 보다 확실하게 생체에 생착하는 이유는, 「생체 미생물 (I)」보다도 작은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이 「생체 미생물 (I)」을 피복하고, 생체에의 생착을 돕기 위함으로 생각되는 점에서, 개개의 「생체 미생물 (I)」을 피복할 수 있을 정도로 다수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노 사이즈보다도 큰 기포의 압괴에 의한 조성물 변성이 적은 점이나, 「생체 미생물 (I)」의 생착율이 보다 높아진다는 점에서는, 가능한 한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크기는, 반드시 균질하게 되지는 않고, 어느 정도의 기포 직경 분포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구체적인 목표로서는, 기포의 「평균 직경」이, 사용하는 「생체 미생물 (I)」보다도 작으면, 「생체 미생물 (I)」을 피복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기포도 다수 포함된다고 생각되고, 예를 들어 「생체 미생물 (I)」이 세균인 경우에는, 평균 기포 직경이 1000nm 미만인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기포 직경 900nm 이하이다.
(조성물 중의 기포의 수)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중의 기포의 수는,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는 (I)의 농도(생체 미생물 (I)의 수)에 따라서도 상이하고,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을 제조할 수 있는 공지된 제조 기기를 사용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수천개 내지 수억개/ml이면 충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체 미생물 (I)의 기포에 의한 피복)
또한,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은, 기포를 함유하는 용매 (II)와 「생체 미생물 (I)」을 가볍게 교반 또는 혼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생체 미생물 (I)」의 주위를 피복하도록 결합된다고 생각되고, 그 피복이 충분할수록, 무코다당류 등의 장벽의 점막 등에 저지되지 않고, 보다 신속·확실하게 생체에 생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기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III)의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1)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량)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량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생체 미생물 (I)」의 농도(함유 비율)나 양, 후술하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지만, 대략 1회당 50ml 내지 300ml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횟수)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횟수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생체 미생물 (I)」의 농도(함유 비율)나 양, 후술하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고, 1회라도 효과가 보이는 케이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나누어 복수회 투여하는 것이, 「레시피언트」에의 생체 미생물의 생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복수회 투여의 횟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환자의 부담 등을 고려하면, 10회 정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복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때에는, 후술하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을 감안하여, 투여 기간의 길이나 투여 횟수, 조성물 중의 「생체 미생물 (I)」의 양이나 농도(함유 비율) 등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각 투여 후의 경과를 보아, 당초의 계획을 적절히 유연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회 투여의 경우에는, 통상 「생체 미생물 (I)」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농도 구배를 부여하여 투여하는 것이, 생체에 친숙해지기 쉽고, 보다 확실하게 생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기간)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기간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생체 미생물 (I)」의 농도(함유 비율)나 양, 후술하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지만, 생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1회의 투여와 다음 투여 사이에는, 수시간 내지 수일간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체의 투여 기간으로서는, 예를 들어 10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경우에도, 1 내지 수개월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다지 투여와 투여의 간격을 과도하게 두지 않는 쪽이, 연속 투여의 효과가 발휘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투여 간격은 반드시 일정한 간격일 필요는 없고, 케이스마다 조금씩 간격을 길게 하는 경우나, 조금씩 간격을 짧게 하는 경우 이외에도, 「레시피언트」의 체질·몸 상태나 질환의 회복 정도 등을 보면서, 적절히 랜덤한 간격을 설정하는 등 각종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종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제조 당초부터 복수 「도너」 유래의 블렌드물로서 제조할 수도 있지만, 단일 「도너」 유래의 것을 복수 제조해두고, 「레시피언트」의 체질·몸 상태나 질환의 회복 정도 등을 보면서, 이식마다 적당한 「도너」 유래의 것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레시피언트」의 체질·몸 상태나 질환의 회복 정도 또는 몸 상태 불량 등의 만일의 사태의 유무에 따라서는, 도입해야 할 생체 미생물의 종류도 당연히 바뀌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경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구강, 눈, 귀, 코, 질, 요도, 피부 또는 항문 등으로부터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 등으로서, 각종 투여 방법에 의해 투여 대상 부위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중에서도, 「점막」을 통해 생착시키기 위한 조성물이, 생체 미생물의 생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이점을, 보다 살릴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막」이란, 소화기, 호흡기, 비뇨기, 생식기 등의, 주로 중공제의 체내 기관 내면에 있는 유연한 조직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장관 내측에 있어서의, 무코다당류 등을 포함하는 장점막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투여 기구)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용 기구」 이외에도, 생체 내에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공지된 기구로서, 예를 들어 대장 내시경, 십이지장 내시경 등의 내시경 검사 장치, 시판되고 있는 장 카테터 등을 들 수 있다.
투여 위치를 핀 포인트로 선택할 수 있는 점에서는, 내시경 검사 장치 등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용 기구」나, 시판되고 있는 장 카테터를 사용한 투여의 쪽이, 사전의 식사 제한이나 장관 세정, 사후의 하제의 복용 등도 불필요하고, 무엇보다 체내에 긴 관을 도입할 때의 투여 대상자의 부담도 적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장 카테터를 사용한 투여의 경우, 반드시 장관 내 전체를 망라하는 관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십수센티미터(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고무제 장 카테터)」의 관으로도, 충분히 「생체 미생물 (I)」을 생체에 생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생체 미생물은, 모두 그 종류마다 고유한 생물 활동 전위를 갖고 있어, 동일한 대전 상태인 동종의 생체 미생물끼리는 서로 끌어당기는 성질을 갖고 있는 점에서, 항문으로부터 투여한 생체 미생물은, 멀리 떨어진 생체 내의, 동일한 종류의 생체 미생물을 목표로 하여, 자연히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중에서는,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이 「생체 미생물 (I)」을 피복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점에서, 이 기포에 의해, 생물 활동 전위가 증폭되어, 보다 생체 미생물끼리가 접근하기 쉬워질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형태 등)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조성물 중의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III)」의 붕괴나 「생체 미생물 (I)」의 실활 등을 야기하지 않는 한, 공지된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액상물이나 겔상물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구강으로부터 투여하는 경우의 「구강용 조성물」의 대표적인 제품으로서는,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용의, 「의약품」, 「의약 부외품」 등의 치료용 조성물, 「음식품」, 「영양 보조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안과용 조성물」로서는, 「점안약」 등을 들 수 있다.
「이비과용 조성물」로서는, 「점비약」 등을 들 수 있다.
「경피 투여용 조성물」로서는, 「퍼프제」 등의 「첩부제」나 「연고」나 「스프레이」 등의 「바르는 약」을 들 수 있다.
또한, 항문으로부터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로서는, 「의약품」, 「의약 부외품」 등의 치료용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은, 질환 등에 의해 무너진 생체 내에서의 미생물의 밸런스(복수의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 등)를 조정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장내 플로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란, 어느 개체의 생체 중의 「모든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가리키는 경우와, 「특정한 생체 기관 중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은, 특정 기관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그 중에서 「장내에 서식하는 생체 미생물의 밸런스」, 즉 소위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조정에 특히 유용하다.
그의 구체적인 조성은, 상술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그 자체여도 되고, 추가로 그 밖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조정에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횟수」, 「투여 기간」, 「투여 경로」, 「투여용 기구」, 「형태」 등은,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부분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이하,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기 (1) 및 (2)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 (II)의 용매 중에, (III)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공정.
(2) (I)을 (II)에 분산 및/또는 용해시키는 공정.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이하, 「나노버블」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공정의 순서》
상기 공정은, (2), (1)의 순서로 행해도 되지만, 제조 공정에서의 생체 미생물의 실활 리스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1), (2)의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각 공정 전후에, 다른 공정을 더할 수도 있다.
《공정 (1)의 방법》
공정 (1)의 「(II)의 용매 중에, (III)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방법, 또는 이들의 병용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액 혼합 전단 방식:
기체를 액체와 함께 고속 선회시키는 방법이다.
초음파 방식:
액체에, 충격파나 캐비테이션을 가하여, 일단 생성된 기포를 더욱 압괴하는 방법이다.
가압 용해 방식:
기체와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단숨에 방출함으로써,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미세 구멍 방식:
오리피스 등을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기체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전기 분해 방식:
수용액 중에 침지한 세선으로부터, 기체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중에서도, 「기액 혼합 전단 방식」은, 마이크로버블의 더 한층의 전단 처리에 의해, 안정된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1) 및 2) 등의 시판되고 있는 장치를 병용하거나 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1) 교와 기세츠사제 마이크로나노버블 발생 장치 「바뷔타스(등록 상표) HYK-25」에 의한, 직경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기포 생성(회전 전단 방식)
2) 가부시키가이샤 아야와사제 「νG7(등록 상표)」에 의한 마이크로나노버블의, 나노버블화(스테인리스제 필터)
《공정 (2)의 방법》
공정 (2)의 「(I)을 (II)에 분산 및/또는 용해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생체 미생물 (I)」을, 상술한 공정 (1)에서 조제한 「기포 (III)을 함유하는 용매 (II)」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처리」란, 상술한(생체 시료의 처리 방법)에도 기재한 대로, 예를 들어 「도너」의 생체 내에서 취출한, 목적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I)」을 포함하는 「생체 시료」를, 「기포 (III)을 함유하는 용매 (II)」 중에서 가볍게 교반한 후, 여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I) 이외의 불필요한 물질 등을 제거하거나, 미리 정제한 「생체 미생물 (I)」을, 「기포 (III)을 함유하는 용매 (II)」 등의 용매로 희석하는 것 등을 말한다.
또한, 사용하는 용매 (II)의 양이나 여과의 횟수 등은, 상술한 (생체 시료의 처리 방법)에도 기재한 바와 같다.
또한, 「기포 (III)을 함유하는 용매 (II)」 대신에, 「용매 (II)」를 사용하여 상기 처리를 행한 후, 당해 용매 (II) 중에 기포 (III)을 발생시켜도 되지만, 「생체 미생물 (I)」의 실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포 (III)을 함유하는 용매 (II)」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3)의 추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는, (1)이나 (2)와 함께, 추가로 이하의 (3)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3)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에 의해, (I) 중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 및/또는 (I)을 채취하는 1 또는 2 이상의 개체를 결정하는 공정.
「속성」이란, 「레시피언트」에 구비되는 성질이나 특징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레시피언트」 자신의 몸 상태, 가지고 있는 질환의 종류와 중증도,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체형, 혈압, 기왕증, 음식 습관이나 흡연 습관 등을 포함하는 생활 습관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환경」이란, 「레시피언트」의 거주 또는 근무하는 생활 지역의 기후대, 온·습도, 담배의 연기나 배기 가스 등의 유무, 가족 구성, 직업, 애완 동물의 유무, 투여 시기에 있어서의 계절이나 기후 등을 포함하는, 생활 환경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건강한 「도너」 유래의 「생체 미생물 (I)」을, 어느 정도의 「덩어리」로 채취하고, 그대로(예를 들어 「장내 플로라」 일식 등과 같이 생체 시료 유래의 복수의 생체 미생물의 집합체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3)과 같은 공정은 반드시 필요는 없지만, 복수 「도너」로부터의 「덩어리」를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질환의 종류 등의 조건에 의해, 굳이 특정한 생체 미생물의 비율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3)과 같은 공정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3)의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2)의 공정 전후 중 어느 것에서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성 결정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성 결정 방법은,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투여해야 할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타입을 상정하는 공정.
(B) (A)에서 상정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 타입」을 달성할 수 있는,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을 선정하는 공정.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생체 미생물 (I) 중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이나 「생체 미생물 (I) 자체의 농도(함유 비율)」 이외에도,
「용매 (II)」의 종류나 함유 비율,
「나노 사이즈의 기포 (III)」의 「기포 직경」, 「기체 성분의 종류」, 「기포의 수」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것을 말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생체 미생물 (I) 중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
「나노 사이즈의 기포 (III)」의 「기포 직경」, 「기포의 수」
가 특히 중요하다.
(A)의 공정에 있어서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타입의 상정」이란, 「생체 미생물 (I)」이 복수종의 생체 미생물의 집합체인 경우에, 그 중의 특정한 종류의 미생물의 비율을 지표로 하여, 개개의 투여 대상자(환자)마다, 이환하고 있는 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이상적인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이미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검토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A)-i:
투여 대상자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생체 미생물 밸런스」란, 「개체 전체」 또는 「특정한 생체 기관 내」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수량비) 등을 말한다.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각종 공지된 것이 알려져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개개의 생체 미생물이 갖고 있는 「당해 생체 미생물에 특징적인 유전자」를, DNA 시퀀서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 「몸 상태나 질환」 등과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특징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알아내는 등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A)-iii의 「레시피언트」의 속성으로서, 몸 상태나 질환의 종류·정도를 검토하면, 이 (A)-i의 검토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A)-ii:
적어도 당해 질환에 대하여는 건강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개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경향.
예를 들어, (A)-i의 분석 등의 결과, 투여 대상자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중의, 특정한 「장내 세균 A」가, 건강한 개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중의 A의 비율의 경향과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부족하다고 판단한 경우, 「장내 세균 A」를 충분히 포함하는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투여해야 할 이상적인 「생체 미생물 밸런스」로 이미지한다.
(A)의 공정에서 상정하는, 투여해야 할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타입은,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추가로 하기 항목을 확인 또는 검토하는 것 등에 의해 수정을 가할 수 있다.
(A)-iii:
투여 대상자(「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또한, 여기서 말하는 「속성 및/또는 환경」이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재한 것을 의미한다.
(A)-iv: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생체 미생물 이식」에 의한 치료 결과의 지견.
(B)의 공정에서는, (A)에서 상정한 타입을 달성할 수 있도록, 「레시피언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건강한 1 또는 2 이상의 개체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와 비교하여, 많은(또는 적은) 생체 미생물을 끝까지 확인하고, 이들 밸런스가 양호한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을 선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는, 상술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나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 등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항문 등으로부터 투여하기 위한 기구의 일례로서, 「관상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관상 부위」로서는,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장 카테터 등의 튜브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관상 부위」의 길이는, 「레시피언트」의 연령이나 체형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5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c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cm 이상이다.
단, 반드시 장관 내 전체를 망라할 정도로 긴 것일 필요는 없고, 반대로 너무 긴 것에 의한 「조성물」의 물성 변화 등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50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상기 기구에는, 하기 부위도 구비할 수 있다.
「저장 부위」: 주사기 「본체」, 대장 내시경에 부속되는 「탱크」, 일리게이터나 점적팩에 있어서의 「약액 용기」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는 부위.
「압출 기구」: 펌프와 같은, 「저장 부위」 내의 「조성물」을 압출할 수 있는 기구.
또한, 예를 들어 무화과나무 관장 등과 같은 1회용 타입의 관장 용기과 같이, 「저장 부위」 자체가, 저장 부위 내부의 저장물을 밀어낼 수 있는 기구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는, 하기 (II) 및 (III)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나노버블수」라고 기재하기도 한다.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또한, 「생체 도입」이란, 생착, 부착 이외에도, 혈관의 내외나, 생체 내의 공동(장관 내) 등에 존재시키거나 하여, 도입물의 기능을 생체 내에서 발휘할 수 있는 상태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투여 경로로서, 구강, 눈, 귀, 코, 질, 요도, 피부 또는 항문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점막을 통한 도입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벽을 통한 도입이다.
이 「생체 도입 보조 용제」에 의해 생체 도입을 촉진시키는 대상물로서는, 주로 유기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생체 미생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내 세균이지만, 미네랄 등의 무기물이어도 된다.
또한, 생체 도입을 촉진시키는 대상물이, 「생체 미생물」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로 「생체 미생물」을, 점막 상의 「점액」 중에 도입함으로써, 생체 미생물이 산생하는 유기산 등을, 「점막」을 경유하여, 생체 내에 깊이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시험예 등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도입 목적으로 하는 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생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것을 포함한다.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의 도입에 의해, 후술하는 시험예 등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수많은 질환이나 몸 상태 불량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를 개선하고, 나아가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 방법]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생체에 도입하여,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또는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을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시험예 등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수많은 질환이나 몸 상태 불량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체질 및/또는 몸 상태를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물을 생체에 도입하는 방법]
본 발명의 「목적물을 생체에 도입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물을 생체에 도입하는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시험예 등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수많은 질환이나 몸 상태 불량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생체 내에, 목적물을 종래법보다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실시예의 기재에 앞서, 그들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즉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를 포함하는 「(II) 용매」(이하, 「나노버블수」라고 기재함) 및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A: 생체 도입 보조 용제]
《재료 및 방법: Material and method》
(「나노버블수 A」의 제조)
상술한 장치 등을 사용하여, 미네랄 워터 및 대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A(나노버블수 A)」를 제작하였다.
베크만·콜터 가부시키가이샤제의 「Multisizer 3」을 사용하여, 상기에서 제작한 「나노버블수 A」를 기포 직경 측정의 편의상, 250배로 희석하고, 당해 희석 용액 중의 기포의 크기, 수량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노버블수 A」의 분석 결과는, 「*」로 나타낸, 도면 중의 가장 상부의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1의 분석 결과:
평균 기포 직경: 830nm
기포 개수: 약 43.5만개/ml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노버블수 A」(250배 희석 전)의 기포 개수는, 대략 1억개/ml 정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B: 생체 도입 보조 용제]
기포를 발생시킬 때 봉입하는 기체로서, 대기와 함께 수소를 사용하고, 수소의 봉입의 타이밍을 봉입의 후반으로 하여, 기포 중의 수소 농도를 높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B(나노버블수 B)」를 제조하였다.
또한, 봉입에 사용한 수소는, 대기의 약 250배량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노버블수 B」(250배 희석 전)의 기포 개수도, 대략 1억개/ml 정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측정]
각 「도너」 또는 「레시피언트」로부터 채취한 분변을 여과·정제한 용액 중의 「장내 세균의 종류와 종류별 비율(수량비)」을, 장내 세균마다 특유의 공지된 유전자를 지표로 하여 측정하고, 각각의 개체 「장내 플로라 밸런스」로 하였다.
장내 세균마다 특유의 유전자는, 하기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NA 시퀀서: 일루미나 가부시키가이샤제, 「MiSeq」
[실시예 1: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원액)]
《장내 플로라 뱅크의 개설》
약 80명의 「도너」(건강한 인간) 유래의 분변 중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측정함과 함께, 당해 분변으로부터, 상술한 「나노버블수 A」(250배 희석 전의 것)를 사용하고,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원액)」을 제조하여, 「장내 플로라 뱅크」를 개설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너」마다 채취한 분변 「50 내지 150g」을, 각각 1.5 내지 4배, 즉 「75 내지 600ml」의 「나노버블수 A」(250배 희석하기 전의 것)에 침지시키고, 가볍게 교반하여 분변을 반자연 용해시켰다.
또한, 「나노버블수 A」의 양은, 「도너」의 분변의 상태(포함되는 수분량)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하였다.
이어서, 이 용해액을, 멸균한 거즈를 사용하여, 광학 현미경(저배율)에서 음식물 잔사 등의 불필요한 물질을 확인할 수 없게 될 때까지 복수회 여과하고, 「도너」별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원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멸균한 거즈는, 「생체 미생물 (I)」이나 「나노버블 (III)」을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공극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9: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희석액)]
(A) 투여하는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타입의 상정:
(A)-i: 투여 대상자의 「생체 미생물(장내 플로라) 밸런스」 측정 투여 대상자로서, 도 2 내지 9에 나타내는, 각종 질환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이들 환자(이하 「레시피언트」)의 분변을 채취하고, 장내 세균의 유전자 분석에 의해, 그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내지 9에 나타낸다(좌측의 막대 그래프).
(A)-ii: 「도너」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 경향의 확인
각 「레시피언트」마다, 적어도 각각이 이환하고 있는 질환에 대해서는 건강하다고 생각되는 「도너」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A)-i에서 측정한 「레시피언트」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와, (A)-ii에서 확인한 경향을 비교한 다음, 추가로 각 (A)-iii의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이외에도, (A)-iv의,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장내 플로라 이식」의 지견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각 「레시피언트」에 투여해야 할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타입을 상정하였다.
(C) 건강한 「도너」 유래의 「장내 플로라」의 선정:
상술한 「장내 플로라 뱅크」로부터, (B)에서 결정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 타입」을 달성할 수 있는 「장내 플로라」를 갖는 「도너」를, 「레시피언트」에 따라서 각각 4 내지 6명 선정하였다.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희석액)의 제조)
도 2 내지 9의 각종 질환을 이환하고 있는 「레시피언트」마다, 4 내지 6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원액)」을 블렌드하였다(원액 블렌드물).
그 후, 각 「레시피언트」마다 제조한 원액 블렌드물을, 각각 생리 식염수로 복수의 농도로 희석하고, 약 5 내지 50배의 농도 구배를 갖는 복수의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희석액)」을 제조하였다.
각종 질환마다 선정한, 복수 「도너」 유래의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희석액)」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도 2 내지 9에 나타낸다(우측의 막대 그래프).
[실시예 10: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
「관상 부위」로서 12fr(프렌치: 외경) 내지 15fr의 장 카테터(약 50cm 정도)를 사용하고, 조성물의 「저장 부위」로서, 장 카테터를 선단에 연결한 관장 용기 또는 일리게이터(Irrigator) 또는 점적팩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를 제조하였다.
「관상 부위」의 외경이나 「저장 부위」의 종류는, 「레시피언트」의 연령, 성별, 증상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레시피언트」가 소아인 경우 12fr, 성인인 경우에는 12 내지 15fr의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생체 미생물의 생착 확인 시험-a]
(「레시피언트」(환자)에의 투여)
실시예 2 내지 9에서 제조한 「생체 미생물(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희석액)」을, 각 「레시피언트」에 대하여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0의 기구의 장 카테터 부분을, 「레시피언트」의 항문으로부터 17 내지 20cm 정도 삽입하고, 50 내지 300ml씩 주장(注腸)법에 의해,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희석액)」을 이식하였다.
삽입의 길이는 「레시피언트」의 연령이나 체형 및 증상 등에 따라서, 이식량은 연령, 증상, 또는 투여 횟수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였다.
또한, 이식은, 「레시피언트」의 질환의 개선 정도나 몸 상태 등을 확인하면서, 상술한 약 5 내지 50배의 희석액을 사용하여, 생체 미생물의 함유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농도 구배를 두고, 1 내지 10회 정도로 나누어 1일 내지 수개월에 걸쳐 투여하였다.
(결과: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변화)
각 「레시피언트」로부터, 1 내지 10회의 이식을 실시한 후(이식 기간 종료 후)의 변을 채취하고, 장내 세균의 유전자 분석에 의해,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내지 9에 나타낸다(한가운데의 막대 그래프).
도 2 내지 9의 모든 경우에, 「레시피언트」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한가운데의 막대 그래프)」가 크게 개선되고, 「도너」(우측의 막대 그래프)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에, 상당히 근접해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이식 후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변화는, 이식한 조성물이 생착하지 않고 그대로 배설된 결과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을 지 모른다.
그러나, 이식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균의 절대량은, 「레시피언트」 자신의 장내 세균과 비교하여 훨씬 적고, 이식 기간 종료 후의 변 중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가 도면에 나타낸 정도로 극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장점막 아래에 살아 도착한 균이 대수 증식을 반복하고, 「레시피언트」 자신의 균으로서 변 중에 반영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도 2 내지 9(한가운데의 막대 그래프)에 나타낸, 이식 후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는, 이식된 생체 미생물이, 「레시피언트」의 생체 내에 확실히 생착한 결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종래의 (「나노버블수 A」를 사용하지 않는) 「장내 플로라 이식」에서는, 이식 후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변화는 적고, 또한 그 질환의 개선의 정도도 만족할만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시험 결과에 의하면, 투여 후, 분변 중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가 명백하게 개선되고, 건강한 「도너」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에 대폭 근접하여 있었다.
즉, 상기 시험 결과는, 종래의 「장내 플로라 이식」과 비교한 경우, 놀라운 것이다.
(고찰)
상기 결과는,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를 사용함으로써 「(I)의 생체 미생물」인 장내 세균이, 보다 확실하게 장내에 생착·증식하고, 새로운 생체 미생물 밸런스를 갖는 「장내 플로라」를 형성하여 얻은, 즉 실시예 2 내지 9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로서 기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아마도, 무코다당류 등을 포함하는 장관 점막 등에 의한, 체외 물질의 생체에의 침입 방지 작용을, 생체 미생물을 피복하고 있을 미세한 기포가, 경감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도, 점막을 통해 「레시피언트」의 생체 내에 생착시키기 위한 조성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이용 가치가 특히 높은 것이 된다.
[시험예 2: 생체 미생물의 생착 확인 시험-b]
(인간 장내 플로라의 마우스에의 투여)
나노버블수 A 대신에 나노버블수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간의 분변으로부터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원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 내지 9와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희석액)을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나노버블수 대신에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 종래법에 의해, 비교를 위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희석액)을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본 발명 및 종래법에 의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희석액)의 각각 2cc를, 각각 3마리의 마우스에 도입하였다.
마우스의 꼬리를 들고 거꾸로 매달아, 위로부터 장내로 주장에 의해 도입함으로써, 백 플로우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였다.
(마우스 분변의 채취)
이식 후 케이지에 넣고, 투여 전, 투여 직후, 다음날(9시 및 17시경), 2일 후(9시 및 17시경), 3일 후(9시 및 17시경), 7일 후(9시 및 17시경)에 각각 채변하여, 냉각 보존 후, 차세대 시퀀서(일루미나사 Miseq)로 장내 플로라 해석을 행하였다.
(결과: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변화)
7일째에, 이식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와는 무관계로, 「블라우티아(Blautia)속」이 격증하였다.
또한, 「블라우티아속」의 증가율은,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경우, 종래법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과 비교해도, 유의미하게 높았다.
(고찰)
「블라우티아속」은, 장기 이식 등을 행하였을 때, 숙주를 지키기 위해 급격하게 증식하고, 이식편대 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에 의한 치사율 저하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Volume 21, Issue 8, August 2015, Pages 1373-1383).
따라서, 상술한 결과는, 이식된 「인간 유래의 장내 플로라」의 적어도 일부가, 확실히 마우스의 장에 「생착한」 것, 게다가 그의 「생착량」이, 종래법보다도 유의미하게 많은 것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간으로부터 인간에의 이식인 경우에는, 어느 방법에서도 이러한 「블라우티아속」의 격증은 보이지 않지만, 이러한 「이종 동물간 이식」에 특유한 변화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우수한 생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1: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 효과 확인 시험-증례 1]
[증례 1]: 34세 남성
[진단명]: 지아디아균 감염증
[주요 소견]: 구역질
[현재 병력]: 2011년에 인도에 2개월간 체재. 그 때 과일(수돗물 사용)을 먹고 나서, 설사 증상이 계속되었다. 그 후 모국 귀국 후(미국)에도 설사, 구역질 등의 소화기 증상이 있고, 정밀하게 조사한 바 람블 편모충에 의한 지아디아균증으로 진단되어, 항생제를 단속적으로 6개월간 투여되었다. 그 후, 검사상 지아디아균증은 치유되었지만, 수개월 내지 1년 후부터 설탕을 섭취하면 기분이 나빠지게 되었다. 특히 디저트 등의 정제당을 사용한 식품이나 알코올, 우유(요구르트는 가능), 섭취 시의 증상이 현저하지만, 과일 등의 식이 섬유가 들어 있는 것은 문제 없었다. 또한 백미도 다량으로 먹으면 증상이 나타났지만 전립분에서는 증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기왕력]: 특기해야 할 것이 없음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 효과 확인 시험 방법]
이식에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조성, 및 시행한 장내 플로라 이식의 프로토콜을, 이하 및 도 10a에 나타내었다.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조성]
하기와 같이, 프로토콜 중의 UB1 내지 UB3 각각에서 이식에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UB1: 도 10b에 기재된 도너 B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5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UB2: 도 10b에 기재된 도너 B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8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UB3: 도 10b에 기재된 도너 A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10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프로토콜]
1. 이식 전에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 시행(1)
2. 이식 균액 조정에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고, 주장 방식으로 플로라 뱅크로부터의 분변 이식(S1)
3. 2주일 후,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2)
4. 그 후, 울트라파인 버블수(나노버블수 B)로 조정한 균액을 주장 방식으로 분변 이식(UB1)
5. 1주일마다 3회 울트라파인 버블수(나노버블수 B)에 의한 분변 이식(UB2, UB3)
6. 2주일 후,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3)
7. 각각의 증상 변화를 문진에 의해 파악
[경과]
≪S1 내지 (2)≫
S1 이식 후에, 복부 팽만감이 강하여, 식사를 하기 어려운 상태. 이식 3일 후에 3일간 설사가 있었다.
≪UB1 내지 UB2≫
UB1 종료 후에는 복부 팽만감이 없음. 설사도 없고, 상태가 양호하였다.
≪UB2 내지 UB3≫
상태는 양호해졌다. 변통은 정상(매일 1회 유형 변).
≪UB3 내지 (3)≫
상태는 양호하다. 조금씩 지금까지 증상이 나타났던 식품을 먹었지만,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1) (2) (3)에서 채취한 분변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조사한 결과를 도 10b에 나타낸다.
[결과]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나노버블수 B를 사용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이식(UB1 내지 UB3)의 시행 후에, S1 시행 후에는 확인할 수 없었던 클로스트리디움속 클러스터 XI이 출현하고, 또한 전체에서 차지하는 클로스트리디움속의 밸런스가 증가하고 있다.
면역 조정 및 정신 증상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 시사된다. 또한 전체적인 밸런스도 박테로이데스의 과잉 발현이 억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이식(UB1 내지 UB3)에 의해 개선 경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고찰]
최초의 종래법인 S1의 시행에 의해, 몸 상태가 오히려 악화된 것과 비교하여, UB1 시행 이후, 순조롭게 몸 상태가 회복되어 간 점에서, 본 발명의 나노버블수 B를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종래의 생리 식염수에만 생체 미생물을 용해시킨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과 비교하여 유용하고,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로서도 이용 가능한 것은 명확하다.
[시험예 3-2: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 효과 확인 시험-증례 2]
[증례 2]: 52세 남성
[주요 소견]: 만성 피로 증상
[기왕력]: 충수 절제(20대), 요추 추간반 헤르니아(30대)
[현재병력]: 일상 생활에는 지장이 없지만, 오후부터 피로 증상을 자각하고 있다. 금회 분변 이식의 생착율 평가 목적의 임상 시험에 피험자로서 참가하였다.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 효과 확인 시험 방법]
이식에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조성, 및 시행한 장내 플로라 이식의 프로토콜을, 이하 및 도 11a에 나타내었다.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의 조성]
하기와 같이, 프로토콜 중의 UB1 내지 UB3 각각에서 이식에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UB1: 도 11b에 기재된 도너 D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5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UB2: 도 11b에 기재된 도너 C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8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UB3: 도 11b에 기재된 도너 D 유래의 분변을 사용한, 나노버블수 B 처리 완료 원액 10ml/250ml 생리 식염수 희석물
[프로토콜]
1. 이식 전에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 시행(1)
2. 이식 균액 조정에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고, 내시경을 사용하여 플로라 뱅크로부터의 분변 이식(S1)
3. 2주일 후,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2)
4. 그 후, 울트라파인 버블수(나노버블수 B)로 조정한 균액을 주장 방식으로 분변 이식(UB1)
5. 1주일마다 3회 울트라파인 버블수(나노버블수 B)에 의한 분변 이식(UB2, UB3), 각각 이식 후에 장내 플로라 검사(분변)((3) (4) (5))
6. 각각의 증상 변화를 문진에 의해 파악
[경과]
≪S1 내지 UB1≫
S1 시행 다음날부터 피로감에 더하여, 복부의 연동 항진에 수반하는 복명, 복부 불쾌감이 단속적으로 계속되었다.
≪UB1 내지 UB3≫
UB-1 시행 직후부터 복부 불쾌감은 소실되고, 권태감 등의 자각 증상도 개선되었다.
≪UB-3 이후≫
배기 가스는 약간 많은 자각이 있기는 하지만 복부 불쾌나 권태감은 수반하지 않는다.
상기 (1) (2) (3) (4) (5)에서 채취한 분변의 장내 플로라 밸런스를 조사한 결과를 도 11b에 나타낸다.
[결과]
도 11b로 나타낸 바와 같이, S1 시행 후에 클로스트리디움속 클러스터 IX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밸런스가 크게 무너졌다. 이 무너진 균형을 잡아 복귀시키기 위해서, 계속되는 UB1 이후의 분변 이식으로 타깃 밸런스에 가까워지도록, 이식한 균과 피험자의 장내 세균의 경쟁을 엿볼 수 있다. 정신 상태에 대해서도, S1 시행 후에 일시적으로 악화된 가능성이 시사되지만, UB3 종료 후에는 대략 양호한 밸런스로 수렴하여 안정된 정신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고찰]
최초의 종래법인 S1의 시행에 의해, 몸 상태가 오히려 악화된 것과 비교하여, UB1 시행 이후, 순조롭게 몸 상태가 회복되어 간 점에서, 본 발명의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종래의 생리 식염수에만 생체 미생물을 용해시킨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과 비교하여 훨씬 유용하여,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로서도 이용 가능한 것은 명확하다.
[시험예 4: 각종 질환의 개선 효과 확인 시험]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생착 확인 시험을, 시험예 1(도 2 내지 9)에서 나타낸 것 이외의 질환도 포함하여, 약 300증례 이상의 환자에 대하여 행하였다.
그 결과, 그 상당수에 있어서, 도 2 내지 9와 동일한 정도(또는 그 이상)의,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개선이 보이고, 또한 각종 질환에도 개선이 보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생착 확인 시험을 수반하지 않는 것도 포함하면, 「장내 플로라 이식」을 800증례 이상 행하였고, 그들의 상당수에 있어서도, 질환 증상의 개선 등의 효과가 보였다.
특히 「궤양성 대장염」, 「과민성 장증후군」, 「크론병」, 「조울병」, 「우울증」, 「아토피성 피부염」, 「변비증」 등에 대하여는, 그 개선의 정도가 커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생체에의 이식이, 당해 질환의 유효한 치료 방법으로서, 대단히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생착 속도의 확인 시험]
시험예 4에서 설명한, 약 300증례 이상의 생착 확인 시험에 있어서는, 「레시피언트」의 「속성 및/또는 환경」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이식 후의 수분 정도에서, 온감 등에 의한 이식 효과의 실감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이식 기간 종료 후의 수시간부터 다음날 이내에 채취한 최초의 변에 있어서, 많은 케이스에서 「장내 플로라 밸런스」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장내 플로라 이식」은, 종래의 「장내 플로라 이식」과 비교하여, 경이적인 속도로 또한 보다 확실하게 장내 세균이 생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6: 생체 도입 보조 용제의 유용성 시험(미생물 보존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나노버블수)를 사용한 본 발명의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생체에 미생물 등의 유기물 등을 도입하기에 적합한 것은, 상기 시험예로부터 명확하지만, 이하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의 미생물의 보존 용액으로서의 적성에 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 Protocol)
하기 1) 및 2)의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교쿠토 세이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반유동 고층 생배지를 사용하여 일주일간 배양한 후, 장내 세균의 증식에 의한 배지의 변화와 세균이 갖는 운동성의 비교 관찰을 행하였다.
1) 본 발명 실시예 B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B」(나노버블수 B)를 사용하여, 인간 분변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본 발명의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균액: 원액)
2)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조제한 종래의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균액: 원액)
상기 각 균액 50μl를 사용하고, 파스퇴르 피펫에 의해 세균 배양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배지에 천자 주입하여, 일주일 후의 모습을 비교·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결과)
도 12의 우측의 튜브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의 종래의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에서는, 천자 직후에는, 균의 발육에 의해 「호기 부분(배지 상부)」과 「천자한 고층부의 혐기 부분(배지 중부 내지 저부)」에, 증식에 의한 백탁의 변화가 보이는 하였지만, 일주일간 경과 후에도, 그것들 이외의 시험관 내는 배지 자체의 색조 그대로 투명도가 높았다.
즉, 장내 세균총 전체가 계속적으로 배양·번식하여 생물학적인 활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는 볼 수 없었다.
한편, 동일하게 도 12의 좌측의 튜브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의 본 발명의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에서는, 천자 직후의 균의 발육에 의한, 「호기 부분(배지 상부)」과 「천자한 고층부의 혐기 부분(배지 중부 내지 저부)」의 증식에 의한 백탁의 변화 이외에도, 배지 전체가 백탁되어 있으며, 명백하게 배지 전체의 투명감이 없어졌다.
이것은 장내 세균총 전체의 생물 활성이 거의 유지되고 있는 것, 즉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나노버블수 B)에 의해 조제한 「장내 세균 함유 조성물」(균액: 원액)의 보존 안정성이, 일주일간 이상 지속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고찰)
상기 결과로부터, 이하의 2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우선은, 단순하게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가, 생체 미생물의 보존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어서, 다른 시험예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생체 도입 보조 용제」 및 그것을 사용한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이 모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훨씬 효율적으로 미생물 등의 유기물을 생체에 도입할 수 있었던 하나의 이유가, 생체 미생물의 높은 보존 안정성에 있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법에 비해, 환자 부담이 적은 간편한 방법으로 시여할 수도 있고, 투여의 방법·경로에 관계없이, 보다 신속·확실한 생착이 달성되는 점에서, 각종 질환의 치료 등에의 응용이 대단히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6)

  1. 하기 (I) 내지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2. 제1항에 있어서, 기포 중의 기체 성분이, 하기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i) 대기
    (ii) 수소
    (iii) 질소
    (iv) 오존
    (v) 산소
    (vi) 이산화탄소
    (vii) 아르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I)이 장내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이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미생물 밸런스 조정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생체 미생물 밸런스가 장내 플로라 밸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경로가 구강, 눈, 귀, 코, 질, 요도, 피부 또는 항문으로부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막을 통해 생착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적어도, 하기 (1) 및 (2)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 (II)의 용매 중에, (III)의 기포를 발생시키는 공정.
    (2) (I)을 (II)에 분산 및/또는 용해시키는 공정.
    (I)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체 미생물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10. 제9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투여 대상자의 속성 및/또는 환경에 따라서, (I) 중의 생체 미생물의 종류나 종류별 비율, 및/또는 (I)을 채취하는 1 또는 2 이상의 개체를 결정하는 공정.
  11.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조성의 결정 방법.
    (A) 투여해야 할 「생체 미생물 밸런스」의 타입을 상정하는 공정.
    (B) (A)에서 상정한 「생체 미생물 밸런스 타입」을 달성할 수 있는, 투여 대상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1 또는 2 이상의 개체 유래의 「생체 미생물」을 선정하는 공정.
  12. 조성물을 항문으로부터 투여하기 위한 기구로서, 관상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투여용 기구.
  13. 하기 (II) 및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도입 보조 용제.
    (II) 용매
    (III) 나노 사이즈 이하의 기포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 및/또는 몸 상태 개선제.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생체에 도입하여,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또는 체질 및/또는 몸 상태의 개선을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기재된 생체 도입 보조 용제를 사용하여, 목적물을 생체에 도입하는 방법.
KR1020197033115A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1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0602A KR20230049752A (ko)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6062 2018-02-28
JP2018036062 2018-02-28
PCT/JP2019/007574 WO2019168034A1 (ja) 2018-02-28 2019-02-27 生体微生物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602A Division KR20230049752A (ko)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249A true KR20190139249A (ko) 2019-12-17
KR102516483B1 KR102516483B1 (ko) 2023-04-03

Family

ID=678062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602A KR20230049752A (ko)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97033115A KR102516483B1 (ko)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602A KR20230049752A (ko) 2018-02-28 2019-02-27 생체 미생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71103A1 (ko)
EP (1) EP3760212A4 (ko)
JP (2) JP7104435B2 (ko)
KR (2) KR20230049752A (ko)
CN (1) CN110740740A (ko)
WO (1) WO2019168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7906A (zh) * 2019-08-26 2021-12-03 真共生株式会社 生物体导入辅助剂及其利用方法
WO2021085637A1 (ja) * 2019-10-31 2021-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細胞の培養方法、培養液の製造方法、培養液及び培養装置
WO2022270618A1 (ja) * 2021-06-25 2022-12-29 シンバイオシス株式会社 菌液製造システム、菌液製造システムにより製造された菌液パッケージ及び菌液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582A (ja) 2010-06-18 2012-01-05 Nano Science:Kk 安定化した気体のナノバブルを含有する生体用水の製造方法及び生体用水
JP2013119548A (ja) * 2011-12-07 2013-06-17 Yoichi Kadokami 腸内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7095A2 (en) * 2003-08-18 2005-02-24 The Bio Balance Corporation A stable liquid probiotic composition,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7001900A (ja) 2005-06-22 2007-01-11 Univ Nagoya トリプトファナーゼ阻害剤及び該阻害剤を含有する組成物
JP4899434B2 (ja) * 2005-11-16 2012-03-21 有限会社 健康百二十才 新規な物理化学融合型殺菌消毒液
JP5130593B2 (ja) 2006-09-05 2013-01-30 株式会社琉球バイオリソース開発 爆砕発酵処理食物繊維含有組成物
JP5037225B2 (ja) * 2007-05-29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有用物質含有ナノバブル発生方法、および有用物質含有ナノバブル発生装置
CN102187980A (zh) 2010-03-12 2011-09-21 大塚制药株式会社 降低了脲酶含量的加工大豆及其制造方法
JP2013537531A (ja) 2010-08-04 2013-10-03 トーマス・ジュリアス・ボロディ 糞便細菌叢移植のための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ならびにそれ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15127301A (ja) * 2013-12-27 2015-07-09 ライオン株式会社 水素ナノバブル水を含有する内臓脂肪低減剤及び脂肪合成抑制剤
JP6574785B2 (ja) 2014-11-24 2019-09-11 有限会社中島工業 患部浸透亢進性薬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6706827B2 (ja) * 2015-01-06 2020-06-10 山田 修 燃焼合成材料を利用した医薬組成物、血液処理装置、化粧料及び飲食品
SE1550189A1 (en) * 2015-02-19 2016-08-20 Achim Biotherapeutics Ab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composition produced by microbiota
CA2985827A1 (en) * 2015-05-14 2016-11-17 Crestovo Holdings Llc Compositions for fecal floral transplanta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and devices for delivering them
IL243707A0 (en) * 2016-01-20 2016-05-01 Galmed Res And Dev Ltd Treatment to regulate the microbiota in the intestine
JP2018177714A (ja) * 2017-04-17 2018-11-15 株式会社J−Labo ナノバブル含有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マッサージオイル及びボディーケア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582A (ja) 2010-06-18 2012-01-05 Nano Science:Kk 安定化した気体のナノバブルを含有する生体用水の製造方法及び生体用水
JP2013119548A (ja) * 2011-12-07 2013-06-17 Yoichi Kadokami 腸内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uodenal Infusion of Donor Feces for Recurrent Clostridium difficile(Els van Nood,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January 31, 2013, vol.368, no.5, P.407-415)
염증성 장질환에 있어서의 분변 미생물 이식법의 과거·현재·미래(모던 미디어, 62권, 3호, 2016[장내 세균총], P.69-7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0212A1 (en) 2021-01-06
US20200171103A1 (en) 2020-06-04
CN110740740A (zh) 2020-01-31
JP2022121673A (ja) 2022-08-19
WO2019168034A1 (ja) 2019-09-06
JP7104435B2 (ja) 2022-07-21
EP3760212A4 (en) 2021-12-01
JPWO2019168034A1 (ja) 2021-02-12
JP7231799B2 (ja) 2023-03-02
KR102516483B1 (ko) 2023-04-03
KR20230049752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1799B2 (ja) 生体導入補助溶剤及びその利用方法
CN101384700B (zh) 新的乳杆菌属菌株及其用于对抗幽门螺杆菌的用途
CN109789173A (zh) 源自芽孢杆菌细菌的纳米囊泡及其用途
CN103333847B (zh) 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发酵乳杆菌grx08及其应用
CN1931879A (zh) 银耳杂多糖或其提取物的新用途
WO2017042568A1 (en) Health supplements
JPH01310663A (ja) 米糠由来の組成物、該組成物を含有する動物用消臭剤及びその製法
CN109908186A (zh) 改善生殖功能的羊肚菌的活性物质、其用途及其组合物
CN109172612B (zh) 一种基于光合细菌的防治精神障碍的生物制剂及其应用
JP4540376B2 (ja) 乳酸菌生産物質
CN113897300A (zh) 一株具有改善皮肤屏障功能损伤与皮肤敏感的动物双歧杆菌
CN111035771A (zh) 纳米超声造影剂及其制备方法
CN105343132B (zh) 治疗结肠炎的组合物、药物及其制备方法
US6465218B1 (e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Suedmeyer Diagnosis and clinical progression of three cases of proventricular dilatation syndrome
Differding Biotechnology in India: An Analysis of ‘Biotechnology Industry Research Assistance Council’(BIRAC)‐Supported Projects
US6897046B2 (en) Process of preparing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CN106139241B (zh) 姜黄素在糖尿病条件下医用钛合金内植物中的应用
CN101444628B (zh) 一种治疗勃起功能障碍症的基因治疗药物及其药盒
CN100408098C (zh) 聚丙烯酰胺凝胶在哺乳动物的机体组织中形成胶囊的应用、培养细胞的方法和治疗肿瘤和糖尿病的方法
CN114540257B (zh) 一种卷曲乳杆菌iob901及其在降糖降脂方面的应用
CN107828705A (zh)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在防治孤独症上的应用
Dash HEALTH PROBLEMS OF ELDERLY PERSONS
JP2004155667A (ja) アガリクスを含む糖尿病治療剤
KR20170109751A (ko) 동물의 대변을 이용한 동물대변 미생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