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414A -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414A
KR20190138414A KR1020180064830A KR20180064830A KR20190138414A KR 20190138414 A KR20190138414 A KR 20190138414A KR 1020180064830 A KR1020180064830 A KR 1020180064830A KR 20180064830 A KR20180064830 A KR 20180064830A KR 20190138414 A KR20190138414 A KR 2019013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dy
beverage container
cold
inlet space
low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990B1 (ko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서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옥 filed Critical 서정옥
Priority to KR102018006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홀더몸체와 하부홀더몸체 및 상부홀더몸체와 하부홀더몸체를 연결하는 주름형 차단벽에 의해 구비되어 넣어지는 음료용기에 맞도록 주름형 차단벽을 펼치거나 접어주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넣어지는 음료용기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에어컨의 냉기와 히터의 온기를 이용하여 넣어진 음료용기의 냉온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캔음료는 물론 병음료 및 젖병과 같이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넣어진 음료용기에 대한 견고한 밀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운 여름철에 음료를 차갑게 보관할 수 있고 추운 겨울철에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holder type keeping tool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음료수용기나 젖병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보관 시 차량의 에어컨의 차가운 냉기를 이용하여 시원함을 유지하거나 히터의 더운 온기를 이용하여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편의 시설이 추가 설치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거리 운행시나 점차 심각해지는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승객이 자동차 실내에서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에 대비한 승객 편의를 위한 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편의시설중의 하나가 컵 홀더이며 종래 컵 홀더는 컵 홀더 내부에 음료수용기를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컵 홀더는 단지 음료수 용기가 넣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 컵 홀더가 유동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또한 컵 홀더 내부에 넣어진 음료수 용기 역시 유동되어 음료수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흘러넘치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 이에 따라 컵홀더가 거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자동차의 플로어 매트를 더럽히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구입시에 시원한 상태였던 음료수가 오래가지 못해 냉기를 잃게 되어 음료수의 맛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시음자에게는 보다 시원한 상태의 음료수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반대로 겨울철에는 따뜻한 상태의 음료를 필요로 하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마땅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차량내의 시음에는 많은 불편함을 갖고 있던 것이다.
종래 기술의 컵 홀더를 살펴보면, 공고실용 제20-1995-0004024호인 차량용 음료홀더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측에 개구된 유입부가 마련되는 홀더본체에 결합한 브라케트의 클립부를 통해 자동차의 냉, 온풍 토출그릴에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의 측벽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외주연에 형성된 신장부재를 홀더본체에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홀더본체의 유입부에 횡방향으로 지지대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의 중앙에 단차를 갖는 스프링보유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스프링보유부에 끼워 맞춤되는 돌출부를 브라케트에 형성하고 이 돌출부를 그의 외주연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스프링 보유부에 결합함으로써 브라케트에 홀더본체의 지지대를 탄성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홀더본체에 구비된 신장부재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홀더본체로 유입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컵 홀더 내부에 넣어지는 음료수용기가 단지 컵홀더 내부에 넣어진 상태만으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흔들거림과 유동에 의해 컵 홀더 내부에 넣어진 음료수용기가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홀더본체의 상부가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본체 내부에 음료수용기를 넣어 보관하더라도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그대로 개방된 홀더본체 상부측으로 모두 빠져나가게 되어 냉기와 온기에 대한 열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실질적인 냉온 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1693990호인 차량용 컵홀더의 냉온장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면에 열전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열전모듈과 통전 상태를 이루면서 제1통전부가 마련된 컵, 컵의 수용시 열전모듈과 대응되는 부분에 방열부재가 마련되고 제1통전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2통전부가 마련된 컵홀더 및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인 폐회로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컵에 담겨진 음료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해 요구되는 온도에 따라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열전모듈에 의해 냉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열전모듈과 제어수단 및 통전부를 각각 차량 내부에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비용에 큰 부담을 갖게 되고 좁은 차량 실내에 복잡한 구성들을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고실용 제20-1995-0004054호(1995.05.19. 공고)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93390호(2017.01.02. 등록)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송풍부에 끼워 거치되는 홀더형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내부측으로 송풍부를 통해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음료용기에 냉기와 온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료용기가 홀더몸체 내부에 인입된 후 상부가 차단되도록 하여 전달되는 냉기와 온기에 대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홀더몸체 내부에 인입된 음료용기의 외면을 견고하게 밀착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 도중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한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는, 내측 중앙에 음료용기가 넣어지는 인입공간부를 갖는 상부홀더몸체와; 상기 상부홀더몸체와 대응되도록 하부측에 위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냉온기 유입공간부를 갖는 하부홀더몸체와; 상기 상부홀더몸체와 상기 하부홀더몸체를 연결하되, 넣어지는 음료용기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몸체를 상기 하부홀더몸체측으로 가까워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홀더몸체를 상기 하부홀더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넣어지는 음료용기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체와; 상기 상부홀더몸체의 인입공간부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측으로 음료용기가 넣어질 때 하부홀더몸체측으로 하향 절곡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측으로 음료용기가 완전히 넣어져 음료용기가 하부홀더몸체에 안착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측으로 넣어진 음료용기의 외면을 견고하게 밀착하고 상기 인입공간부를 차단하여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측으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인입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밀착체와; 상기 하부홀더몸체에 구비되어 하부홀더몸체를 차량의 송풍부에 거치하는 거치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길이조절체는, 상기 상부홀더몸체 내측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상부밀폐부를 갖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하부홀더몸체 내측 상단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하부밀폐부를 갖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가 하부홀더몸체측으로 가까워질 때 수축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가 하부홀더몸체로부터 멀어질 때 신장되는 주름형 차단벽부로 구비되고, 상기 밀착체는, 상기 상부홀더몸체의 내측 상면과 상기 길이조절체의 상부연결부 사이에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 밀착부와; 상기 복수개 밀착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측으로 인입되는 음료용기가 상기 하부홀더몸체측으로 인입되어 넣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밀착공간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거치체는, 상기 하부홀더몸체의 외면에 관통되는 거치체연결구멍과; 상기 거치체 연결구멍에 끼워져 연결되고 송풍부에 거치되는 거치편과 상기 거치편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를 갖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편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구의 거치편이 송풍부에 거치된 후 상기 제2힌지부가 제1힌지부를 축으로 힌지회전되어 상기 하부홀더몸체를 송풍부에 밀착지지하는 밀착지지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부홀더몸체와 하부홀더몸체 및 상부홀더몸체와 하부홀더몸체를 연결하는 주름형 차단벽에 의해 구비되어 넣어지는 음료용기에 맞도록 길이조절체를 펼치거나 접어주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넣어지는 음료용기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에어컨의 냉기와 히터의 온기를 이용하여 넣어진 음료용기의 냉온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캔음료는 물론 병음료 및 젖병과 같이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넣어진 음료용기에 대한 견고한 밀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운 여름철에 음료를 차갑게 보관할 수 있고 추운 겨울철에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길이조절체가 접어져 수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길이조절체가 접어져 수축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길이조절체가 펼쳐져 신장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길이조절체가 펼쳐져 신장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에 음료용기가 넣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가 차량 송풍부에 걸어져 거치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의 밀착체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를 연결하는 길이조절체(30), 밀착체(40) 및 거치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홀더몸체(10)는, 내측 중앙에 음료용기(101)가 넣어지는 인입공간부(11)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공간부(11)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의 내측 상부가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인입공간부(11)를 통해 음료용기(101)가 인입되어 넣어진다.
본 발명의 하부홀더몸체(2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와 대응되도록 하부측에 위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냉온기 유입공간부(2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는 상기 하부홀더몸체(20) 외면에 관통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 개방되는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차량의 송풍부(102)에 위치되도록 하여 차량의 송풍부(102)를 통해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통해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길이조절체(3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와 상기 하부홀더몸체(20)를 연결하되, 넣어지는 음료용기(101)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가까워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넣어지는 음료용기(101)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강시켜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가 가까워지도록 하면 상기 길이조절체(30)가 자연스럽게 수축되어 접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멀어지도록 승강시켜주면 상기 길이조절체(30)가 자연스럽게 신장되어 펼쳐지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홀더몸체(10)로부터 하부홀더몸체(20) 까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 즉 캔음료용기나 병음료용기 또는 젖병과 같은 용기의 길이에 맞도록 상기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 까지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길이조절체(3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 내측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상부밀폐부(31)를 갖는 상부연결부(32)와,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측 상단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하부밀폐부(33)를 갖는 하부연결부(34)와, 상기 상부연결부(32)와 하부연결부(34)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가까워질 때 수축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멀어질 때 신장되는 주름형 차단벽부(3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주름형 차단벽부(35)가 접어지면서 수축되어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승강시키면 상기 주림형 차단벽부(35)가 펼쳐지면서 신장되어 상부홀더몸체(10)와 하부홀더몸체(20)의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상부연결부(32)에 상부밀폐부(31)가 구비되고 하부연결부(34)에 하부밀폐부(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강되어 길이가 짧아지거나 또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승강되어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빠져나감이 방지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착체(4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의 인입공간부(11)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음료용기(101)가 넣어질 때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향 절곡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음료용기(101)가 완전히 넣어져 음료용기(101)가 하부홀더몸체(20)에 안착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넣어진 음료용기(101)의 외면을 견고하게 밀착하고 상기 인입공간부(11)를 차단하여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측으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인입공간부(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감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체(4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의 내측 상면과 상기 길이조절체(30)의 상부연결부(32) 사이에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 밀착부(41)와, 상기 복수개 밀착부(41)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인입되는 음료용기(101)가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인입되어 넣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밀착공간부(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밀착체(40)는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인입되는 음료용기(101)가 하부홀더몸체(20) 내부로 넣어질 때 상기 복수개 밀착부(41)가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향 절곡되고, 또한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음료용기(101)가 완전히 넣어지면 음료용기(101)의 외면을 상기 복수개 밀착부(41)가 견고하게 밀착하기 때문에, 넣어진 음료용기에 대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되어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개 밀착부(41)에 의해 상기 인입공간부(11)가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측으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인입공간부(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체(50)는, 상기 하부홀더몸체(20)에 구비되어 하부홀더몸체(20)를 차량의 송풍부(102)에 거치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외면에 관통되는 거치체연결구멍(51)과, 상기 거치체연결구멍(51)에 끼워져 연결되고 송풍부(102)에 거치되는 거치편(52)과 상기 거치편(5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53)를 갖는 거치구(54)와, 상기 거치편(52)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53)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55)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구(54)의 거치편(52)이 송풍부(102)에 거치된 후 상기 제2힌지부(55)가 제1힌지부(53)를 축으로 힌지회전되어 상기 하부홀더몸체(20)를 송풍부(102)에 밀착지지하는 밀착지지구(5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거치체(50)는 상기 송풍부(102)에 거치편(52)이 거치되기 전 상기 제1힌지부(53)와 제2힌지부(55)를 이용하여 상기 거치구(54)와 밀착지지구(56)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구(54)의 거치편(52)을 송풍부(102)에 걸어 거치한 다음 상기 제2힌지부(55)를 제1힌지부(53)에 대해 힌지회전시켜 상기 밀착지지구(56)가 일직선상에서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외측방향으로 90도 각도로 꺾이도록 하면 90도 각도로 꺾어지는 상기 밀착지지구(56)에 의해 상기 하부홀더몸체(20)가 송풍부(102)측으로 밀리면서 송풍부(102)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송풍부(102)에 걸어져 거치되는 본 발명인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는, 캔음료나 젖병 또는 병음료, 팩음료를 보관할 때 에어컨의 냉기에 의해 여름철에 시원하게 보관할 수 있고 히터의 온기에 의해 겨울철에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차량의 뒷자석 송풍부에 거치하여 도시락이나 테이크아웃식품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기 냉기와 온기가 유입되는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 둘레부에는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의 재질을 실리콘이 아닌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구비하여도 되는 것으로, 상기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는 상기 하부홀더몸체(20)와 돌기와 홈의 끼움결합방식으로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가 냉온기 유입공간부(21)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부(102)에 밀착되는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냉온기 유입공간부(21)의 둘레부와 송풍부(102)가 서로 밀착되어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행 도중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가 흡수하기 때문에 보관되는 음료용기에 충격이 전달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내면에는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고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면에 대한 열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보냉보온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보냉보온부(70)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보냉 및 보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스티로폼 또는 열반사 알루미늄코팅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냉보온부(70)가 하부홀더몸체(20) 내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측으로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부에서 장시간 잔류할 수 있어 장시간동안 음료용기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홀더몸체 11 : 인입공간부
20 : 하부홀더몸체 21 : 유입공간부
30 : 길이조절체 31 : 상부밀폐부
32 : 상부연결부 33 : 하부밀폐부
34 : 하부연결부 35 : 차단벽부
40 : 밀착체 41 : 밀착부
42 : 밀착공간부 50 : 거치체
51 : 거치체연결구멍 52 : 거치편
53 : 제1힌지부 54 : 거치구
55 : 제2힌지부 56 : 밀착지지구
60 : 스크래치 방지부 70 : 보냉보온부

Claims (5)

  1. 내측 중앙에 음료용기(101)가 넣어지는 인입공간부(11)를 갖는 상부홀더몸체(10)와;
    상기 상부홀더몸체(10)와 대응되도록 하부측에 위치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갖는 하부홀더몸체(20)와;
    상기 상부홀더몸체(10)와 상기 하부홀더몸체(20)를 연결하되, 넣어지는 음료용기(101)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가까워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를 상기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넣어지는 음료용기(101)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체(30)와;
    상기 상부홀더몸체(10)의 인입공간부(11)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음료용기(101)가 넣어질 때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하향 절곡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음료용기(101)가 완전히 넣어져 음료용기(101)가 하부홀더몸체(20)에 안착된 후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넣어진 음료용기(101)의 외면을 견고하게 밀착하고 상기 인입공간부(11)를 차단하여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측으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인입공간부(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밀착체(40)와;
    상기 하부홀더몸체(20)에 구비되어 하부홀더몸체(20)를 차량의 송풍부(102)에 거치하는 거치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체(3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 내측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상부밀폐부(31)를 갖는 상부연결부(32)와;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측 상단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에 하부밀폐부(33)를 갖는 하부연결부(34)와;
    상기 상부연결부(32)와 하부연결부(34)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가까워질 때 수축되고 상기 상부홀더몸체(10)가 하부홀더몸체(20)로부터 멀어질 때 신장되는 주름형 차단벽부(35)로 구비되고,
    상기 밀착체(40)는,
    상기 상부홀더몸체(10)의 내측 상면과 상기 길이조절체(30)의 상부연결부(32) 사이에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 밀착부(41)와;
    상기 복수개 밀착부(41)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공간부(11)측으로 인입되는 음료용기(101)가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인입되어 넣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밀착공간부(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체(50)는,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외면에 관통되는 거치체연결구멍(51)과;
    상기 거치체연결구멍(51)에 끼워져 연결되고 송풍부(102)에 거치되는 거치편(52)과 상기 거치편(5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53)를 갖는 거치구(54)와;
    상기 거치편(52) 타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53)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55)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구(54)의 거치편(52)이 송풍부(102)에 거치된 후 상기 제2힌지부(55)가 제1힌지부(53)를 축으로 힌지회전되어 상기 하부홀더몸체(20)를 송풍부(102)에 밀착지지하는 밀착지지구(5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와 온기가 유입되는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 둘레부에는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스크래치 방지부(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몸체(20)의 내면에는 상기 냉온기 유입공간부(21)를 통해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하부홀더몸체(20)측으로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고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상기 하부홀더몸체(20) 내면에 대한 열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보냉보온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KR1020180064830A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KR10208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30A KR10208099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30A KR10208099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14A true KR20190138414A (ko) 2019-12-13
KR102080990B1 KR102080990B1 (ko) 2020-02-24

Family

ID=6884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30A KR102080990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054U (ko) 1993-07-30 1995-02-17 방열기
JPH0994113A (ja) * 1995-09-29 1997-04-08 Nippon Plast Co Ltd 物品収納装置
JP2002002354A (ja) * 2000-06-20 2002-01-09 Mitsuboshi Belting Ltd カップホルダー
KR101693390B1 (ko) 2008-09-05 2017-01-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중합체를 사용한 섬유 방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054U (ko) 1993-07-30 1995-02-17 방열기
JPH0994113A (ja) * 1995-09-29 1997-04-08 Nippon Plast Co Ltd 物品収納装置
JP2002002354A (ja) * 2000-06-20 2002-01-09 Mitsuboshi Belting Ltd カップホルダー
KR101693390B1 (ko) 2008-09-05 2017-01-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중합체를 사용한 섬유 방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990B1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114A (en)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US9163863B1 (en)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JP2008155910A (ja) 車両用容器ホルダー
KR101873857B1 (ko) 냉온 분리를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RU201312900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KR102080990B1 (ko) 차량용 홀더형 음료용기 보관용구
US20070241152A1 (en) Beverage cooler / heater
JPH0771890B2 (ja) 自動車のグラブコンパートメントを冷却する装置
JP2005246993A (ja) エアボックス付きグローブボックス
KR200490753Y1 (ko) 차량용 보냉온 컵 홀더
EP2535222A1 (en)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beverages in vehicles
US10974635B1 (en) Automobile beverage holder
KR200477340Y1 (ko)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WO2007066196A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20150075964A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컵 홀더
US9718663B2 (en) Product cool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heat transfer
KR100950863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120138894A (ko)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KR20040053913A (ko) 차량용 컵 홀더
KR930006862Y1 (ko) 자동차용 음료수용기 홀더
KR200404918Y1 (ko) 차량용 컵 거치대
JPH1016629A (ja) 飲料容器ホルダー
KR20200000140U (ko) 차량용 보냉온 컵 홀더
KR100410786B1 (ko) 냉온기능을 갖는 컵홀더
RU12505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огрева или охлаждения напитков 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