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669A -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669A
KR20190136669A KR1020180062666A KR20180062666A KR20190136669A KR 20190136669 A KR20190136669 A KR 20190136669A KR 1020180062666 A KR1020180062666 A KR 1020180062666A KR 20180062666 A KR20180062666 A KR 20180062666A KR 20190136669 A KR20190136669 A KR 2019013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reventing
main body
rotation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섭
Original Assignee
이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섭 filed Critical 이일섭
Priority to KR102018006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669A/ko
Publication of KR2019013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는, 착석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석 본체; 좌석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에 접촉되어 연결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 베어링부재가 안착되며, 연결부재의 급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회전방지유닛; 급회전방지유닛에 결합되어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CHAIR CAPABLE OF PREVENTING QUICK TURN}
본 발명은,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석 본체가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에 베어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는 의자가 공개되어 있다. 일명, 무중력 의자로, 사용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몸의 균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마치 무중력 상태와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종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의자의 경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회전을 유도할 때 몸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면 좌석이 급격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몸에 긴장 상태를 유발하여 불안 내지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US2017/0112289(공개일자:2017년04월27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자의 좌석 본체가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좌석 본체의 급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긴장 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석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석 본체; 상기 좌석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회전방지유닛;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축이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스토퍼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어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축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타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형 형상이며, 상기 스토퍼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베어링부재가 지지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릴 수 있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톱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타격부측으로 돌출된 타격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급회전방지유닛에 의해 의자의 좌석 본체가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석 본체의 급회전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긴장 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연결부재와, 지지부재와 급회전방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방지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급회전방지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메인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회전하기 전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통상의 회전시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타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회전하기 전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통상의 회전시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타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연결부재와, 지지부재와 급회전방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방지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급회전방지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메인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회전하기 전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통상의 회전시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타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10)는, 좌석 본체(100)와, 연결부재(200)와, 베어링부재(300)와, 지지부재(400)와, 급회전방지유닛(500)을 포함한다.
좌석 본체(100)는 사용자가 착석가능하게 마련된다. 좌석 본체(100)는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 본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등받이(110)와, 착석부(120)와, 레그받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좌석 본체(1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좌석 본체(1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좌석 본체(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또는 후방을 향해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연결부재(200)는 좌석 본체(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후술하는 베어링부재(30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연결부재(200)가 회전하면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좌석 본체(100)도 연결부재(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연결부재(200)와 함께 회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0)는 후술하는 급회전방지유닛(500)의 메인 바디(520)에 결합되며, 연결부재(200)가 회전하면 연결부재(200)와 함께 메인 바디(52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연결부재(200)는 지지부재(4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200)와 지지부재(400)는 급회전방지유닛(5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300)는 연결부재(200)에 접촉되어 연결부재(200)의 회전을 지지한다. 베어링부재(300)는 다양한 베어링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외륜(310)과 내륜(320) 사이에 볼(330)이 구비된 볼 베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베어링부재(300)의 종류가 볼 베어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어링부재(300)가 외륜(310)과, 내륜(320)과, 볼(330)을 구비한 볼 베어링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어링부재(300)는 후술하는 급회전방지유닛(500)의 메인 바디(520)에 안착되며, 연결부재(200)가 메인 바디(520)에 결합되면 베어링부재(300)가 연결부재(200)에 접촉된다. 즉, 메인 바디(520)와 연결부재(200)는 상호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베어링부재(300)는 메인 바디(520)에 안착되고 연결부재(200)에 접촉되어 메인 바디(520)와 연결부재(2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베어링부재(300)는 스냅링(3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냅링(340)은 외륜(310)과 내륜(320) 사이에 결합되어 볼(33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400)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술하는 급회전방지유닛(500)에 결합되어 좌석 본체(100)를 지지한다. 지지부재(400)는 좌석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급회전방지유닛(500)의 베이스부재(510)에 결합되는 지지대(410)와, 지지대(410)에 결합되는 받침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연결부재(2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400)와 연결부재(200)는 급회전방지유닛(5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급회전방지유닛(500)은 베어링부재(300)가 안착되며 연결부재(200)의 급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좌석 본체(100)에 착석하여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좌석 본체(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소정의 위치 또는 소정의 시점에서 좌석 본체(100)가 급회전할 수 있고, 또한, 죄석 본체에 결합된 연결부재(200) 역시 급회전하게 된다. 이때, 급회전방지유닛(500)이 연결부재(200)가 급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좌석 본체(100)의 급회전 역시 방지할 수 있다.
급회전방지유닛(5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부재(400)와 연결부재(2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이때 급회전방지유닛(500)은 지지부재(400)와 연결부재(200) 각각에 결합되어 지지부재(400)와 연결부재(200)를 연결할 수 있다.
급회전방지유닛(500)은 베이스부재(510)와, 메인 바디(520)와, 걸림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재(51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부재(400), 예를 들어 지지부재(400)의 지지대(4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510)는 나사,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베이스부재(510)와 지지부재(40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재(510)에는 결합축(511)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510)의 결합축(511)은 베이스부재(510)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축(511)에 후술하는 메인 바디(520)와 베어링부재(300)가 함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510)가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므로, 결합축(511) 역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10)에는 둘레를 따라 스토퍼(5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512)는 다양힌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스토퍼(512)의 형상이 톱니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베이스부재(510)는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스토퍼(512)는 원형 형상의 베이스부재(510)의 원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520)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어링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524)이 형성되며, 베어링부재(300)가 중공(524)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부재(300)가 메인 바디(520)의 중공(524)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베어링부재(300)가 베이스부재(510)의 결합축(511)에 결합된다. 여기서, 베어링부재(300)의 내륜(320)은 결합축(511)에 고정 결합되고, 베어링부재(300)의 볼(330)과 외륜(310)이 함께 회전하며, 외륜(310)에 밀착되어 있는 메인 바디(520)역시 외륜(310)과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0)가 메인 바디(5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재(200)가 회전하면 메인 바디(520)와, 베어링부재(300)의 외륜(310) 및 볼(330)이 함께 회전한다. 연결부재(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메인 바디(5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사,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재(200)와 메인 바디(52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520)의 단부에 베어링부재(300)가 지지되는 돌출부(5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어링부재(300)가 메인 바디(520)의 중공(524)을 통해 삽입되고 메인 바디(520)의 돌출부(52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방식으로 메인 바디(520)에 안착될 수 있다.
메인 바디(520)는 몸체부(521)와, 연장부(522)와, 타격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521)에는 연결부재(200)와 결합되기 위해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521)가 연결부재(200)에 결합된다. 연장부(522)는 몸체부(521)로부터 연장되며, 후술하는 걸림부재(530)가 연장부(5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522)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연장부(522)가 하나인 경우 걸림부재(530)도 하나가 구비되어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만 급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연장부(522)에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530)가 결합되고, 다른 걸림부재(530)는 메인 바디(520)의 몸체부(521)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걸림부재(530)가 연장부(522)와 몸체부(521) 각각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며, 제1 실시예에서는 연장부(522)가 2개로 마련되어 2개의 걸림부재(530)가 2개의 연장부(522)에 각각 결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물론 연장부(522)와 걸림부재(530)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연장부(522)가 2개, 즉,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연장부(522)는 몸체부(52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장부(522) 각각에 하나씩의 걸림부재(530)가 결합될 수 있다. 타격부(523)는 걸림부재(530)로부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521)로부터 연장되며, 걸림부재(53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0)가 천천히 부드럽게 회전하면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몸체부(521)도 천천히 부드럽게 회전하므로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에 의해 타격되지 않는다. 즉, 연결부재(200)가 도 6을 기준으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몸체부(521)도 a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7에서와 같이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의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로부터 멀어지므로 타격부(523)에 의해 타격되지 않게 되고, 도 7을 기준으로 죄측의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에 가까워지지만 몸체부(521)가 천천히 회전하므로 걸림부재(530)가 타격부(523)에 의해 타격되지 않고 타격부(523)에 걸림부재(530)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격부(523)와 걸림부재(530)가 함께 a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타격부(523)와 걸림부재(530)가 함께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 걸림부재(530)는 베이스부재(510)에 형성된 스토퍼(512)에 걸리지 않으므로, 좌석 본체(100) 및 좌석 본체(100)에 결합된 연결부재(200)는 부드럽게 천천히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좌석 본체(100)와, 좌석 본체(100)에 결합된 연결부재(200)가 급회전하게 되면 타격부(523)가 걸림부재(530)를 타격하게 되며,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의 타격에 의해 연장부(522)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에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걸림부재(530)가 도 6을 기준으로 a 방향으로 급회전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몸체부(521)를 기준으로 좌측의 타격부(523)가 좌측의 걸림부재(530)를 타격하며, 도 9에서와 같이 좌측의 걸림부재(530)가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급회전을 방지하며,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좌석 본체(100)의 급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0)가 도 6을 기준으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전술한 연결부재(200)의 a 방향의 회전과 공통되는 원리에 의해 급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부재(530)는 메인 바디(520)의 연장부(522)에 결합되어 메인 바디(520)의 연장부(52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연결부재(200)의 급회전시 메인 바디(520)의 타격부(523)에 의해 타격되어 회전하면서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530)의 일측 단부는 메인 바디(520)의 연장부(5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부재(530)의 타측 단부에는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에 걸릴 수 있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530)의 단부에 형성된 요철 형상이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의 톱니 형상에 걸릴 수 있다. 여기서, 요철 형상은 톱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톱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란 스토퍼(512)의 톱니에 걸릴 수 있는 동일한 톱니 형상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톱니 형상이 아니더라도 스토퍼(512)의 톱니에 걸릴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530)는, 도 6을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 형상의 걸림부재(530)에는 타격부(523)측으로 돌출된 타격돌출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00)의 급회전시 타격부(523)가 보다 용이하게 걸림부재(530)를 타격할 수 있도록 걸림부재(530)의 일측에 돌출된 형상의 타격돌출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530)는 단순 직선 형상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530)의 적어도 일부분이 'V'자 형상을 가지도록 꺾여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걸림부재(530)는 필요에 따라 일측 단부로부터 반대되는 타측 단부까지 전체가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석 본체(100)와 연결부재(200)가 회전하기 전, 급회전방지유닛(500)의 걸림부재(530)가 메인 바디(520)의 연장부(522)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석 본체(100)와 연결부재(200)가 통상의 회전, 즉, 부드럽고 천천히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의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로부터 멀어지므로 타격부(523)에 의해 타격되지 않게 되고,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의 걸림부재(530)는 타격부(523)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격부(523)와 걸림부재(530)가 함께 a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0)가 도 6의 a 방향으로 급회전하게 되면 도 8의 좌측의 타격부(523)가 좌측의 걸림부재(530)를 타격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좌측의 걸림부재(530)가 베이스부재(510)의 스토퍼(512)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급회전을 방지하여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좌석 본체(100)의 급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회전하기 전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통상의 회전시의 급회전방지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타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에서 급회전시의 걸림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메인 바디(520)와 걸림부재(530)의 결합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520)는 몸체부(521)와, 연장부(522)와, 타격부(523)를 포함한다. 몸체부(521)와, 연장부(522)와, 타격부(523)의 기본적인 내용은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걸림부재(530)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걸림부재(530)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530)가 몸체부(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부재(530)가 연장부(5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걸림부재(530)가 2개 구비되지만,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530)는 메인 바디(520)의 하나의 연장부(522)에 결합되고, 다른 걸림부재(530)는 메인 바디(520)의 몸체부(521)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타격부(523)는 걸림부재(530)를 타격할 수 있도록 몸체부(5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00)가 통상시 천천히 부드럽게 회전하는 경우와 급회전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6 내지 도 9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100 : 좌석 본체
110 : 등받이 120 : 착석부
130 : 레그받침부 200 : 연결부재
300 : 베어링부재 310 : 외륜
320 : 내륜 330 : 볼
340 : 스냅링 400 : 지지부재
410 : 지지대 420 : 받침대
500 : 급회전방지유닛 510 : 베이스부재
511 : 결합축 512 : 스토퍼
520 : 메인 바디 521 : 몸체부
522 : 연장부 523 : 타격부
524 : 중공 525 : 돌출부
530 : 걸림부재 531 : 타격돌출부

Claims (12)

  1. 착석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석 본체;
    상기 좌석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회전방지유닛;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축이 마련되며, 둘레를 따라 스토퍼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어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축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타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스토퍼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형 형상이며, 상기 스토퍼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베어링부재가 지지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릴 수 있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톱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걸림부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급회전시 상기 걸림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타격부측으로 돌출된 타격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KR1020180062666A 2018-05-31 2018-05-31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KR20190136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66A KR20190136669A (ko) 2018-05-31 2018-05-31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66A KR20190136669A (ko) 2018-05-31 2018-05-31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69A true KR20190136669A (ko) 2019-12-10

Family

ID=6900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66A KR20190136669A (ko) 2018-05-31 2018-05-31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6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2289A1 (en) 2014-06-02 2017-04-27 Davidhugh Limited Seat recline mechanism, adjustable seating assembly,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2289A1 (en) 2014-06-02 2017-04-27 Davidhugh Limited Seat recline mechanism, adjustable seating assembly,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592U (ja) 腰部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構造
JP2015177979A (ja) 椅子
JP6505412B2 (ja) 椅子
US9820578B2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JP2009106422A (ja) 椅子
US2935119A (en) Tilting chair restraining mechanism
US20100279783A1 (en) Adjustable swing device
KR20190136669A (ko) 급회전 방지가 가능한 의자
US10130184B2 (en) Adjusting mechanism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KR20050046704A (ko) 흔들 벤치
JP5521729B2 (ja) 乗物用シート
JP5279773B2 (ja) 椅子の背もたれの支持機構
JPH0439722Y2 (ko)
JP2010194084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5378747B2 (ja) 椅子
KR100883570B1 (ko) 훌라후프 의자
JP2003235670A (ja) 折り畳み式椅子
JP4217507B2 (ja) 椅子の反力装置及び椅子
JP5452904B2 (ja) 椅子
JP2012090757A (ja) 椅子の座回動機構
JP5078311B2 (ja) 椅子
US20120038194A1 (en) Chair assembly
JP3135028U (ja) フィットネス椅子
JP7328819B2 (ja) 椅子型運動器具
US1212453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