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227A -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227A
KR20190136227A KR1020180061625A KR20180061625A KR20190136227A KR 20190136227 A KR20190136227 A KR 20190136227A KR 1020180061625 A KR1020180061625 A KR 1020180061625A KR 20180061625 A KR20180061625 A KR 20180061625A KR 20190136227 A KR20190136227 A KR 20190136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ttery cell
frame
cell stack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947B1 (ko
Inventor
김경모
문정오
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6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947B1/ko
Priority to CN201980004818.1A priority patent/CN111183531B/zh
Priority to US16/766,572 priority patent/US11374251B2/en
Priority to JP2020512461A priority patent/JP7034421B2/ja
Priority to PCT/KR2019/002245 priority patent/WO2019231078A1/ko
Priority to EP19810028.1A priority patent/EP3671896B1/en
Publication of KR2019013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947B1/ko
Priority to US17/834,460 priority patent/US11626612B2/en
Priority to US18/178,224 priority patent/US118815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6Frames for plat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3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with bands or belts
    • H01M2/106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셀 장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는, 베이스 커버와, 베이스 커버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가 구비된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셀 적층체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고정된 필름이 감겨있는 롤러부재; 및 롤러부재에 감긴 필름을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필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필름가이드부재가 필름을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고, 지지부재와 프레임이 근접하게 접근하며, 배터리 셀 적층체가 필름을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변형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차 전지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1(a) 및 도 1(b)는 U자 형상의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U자 형상의 프레임(1)의 내측 길이(L1)와 배터리 셀 적층체(2)의 전체 길이(L2)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경우, 즉 공차가 거의 없는 경우로 U자 형상의 프레임(1)의 측면 커버(4)를 바깥쪽으로 외력을 가하여 프레임(1)의 측면 커버(4)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 적층체(2)를 U자 형상의 프레임(1)에 삽입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U자 형상의 프레임(1)에 영구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U자 형상의 프레임(1)에 뒤틀림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U자 형상의 프레임(1)의 내측 길이(L1)가 배터리 셀 적층체(2)의 전체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U자 형상의 프레임(1)과 배터리 셀 적층체(2) 사이에 소정 공간(5)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2)를 U자 형상의 프레임(1)에 장착하기는 용이하지만 U자 형상의 프레임(1)과 배터리 셀 적층체(2) 사이의 공간(5)으로 인해 배터리 셀 적층체(2)를 U자 형상의 프레임(1)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모듈의 전체 공간이 증가하므로 공간 활용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998-051794호(공개일자:1998년09월25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의 변형이나 뒤틀림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의 공간 활용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셀 적층체의 손상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가 구비된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상기 필름이 감겨있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에 감긴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필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근접하게 접근하며,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필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놓여지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이 고정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필름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필름이 위치하도록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필름가이드부재는 상기 필름에 접촉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에서 상기 필름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및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어 이동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롤러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필름손상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손상방지부재와 상기 필름이 접촉하는 상기 필름손상방지부재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에 결합되는 열전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가 구비된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가 지지되는 단계;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롤러부재에 감겨있는 필름을 필름가이드부재가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근접하게 접근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필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인입되는 단계;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이 상기 프레임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손상방지부재가 필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에 접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셀 적층체가 필름을 따라 프레임에 장착되므로 프레임의 변형이나 뒤틀림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배터리 셀 적층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터리의 공간 활용률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셀 적층체가 필름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프레임에 인입되므로 배터리 셀 적층체의 손상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U자 형상의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 셀 적층체가 분리되어 있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에서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프레임으로부터 배터리 셀 적층체가 분리되어 있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에서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셀 적층체(800)는 프레임(700)에 장착되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7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700)이 베이스 커버(710)와, 베이스 커버(7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720)가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700)은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략 "U"자 형상'은 반드시 "U"자 형상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U"자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1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프레임(7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00)와, 롤러부재(200)와, 필름가이드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지지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에는 후술하는 필름(900)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프레임(700)에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0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올려진채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임(700)이 지지부재(100)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부재(100)에 소정의 동력원이 결합되어 지지부재(100)가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또는 지지부재(100)는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700)이 지지부재(100)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지지부재(100)가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100)는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지지부(110)에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놓여진다. 여기서, 배터리 셀 적층체(800)는 복수의 배터리 셀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도 4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110)의 상측에 올려진다. 제2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지지부(110)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20)에는 고정바(13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13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2개의 제2 지지부(120)에 각각 결합되며 필름(900)이 고정바(1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배터리 셀 중 일부는 양측 단부가 제2 지지부(120)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다.
롤러부재(200)에는 지지부재(100)에 고정된 필름(900)이 감겨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름(900)의 일측은 지지부재(100)의 제2 지지부(120)에 결합된 고정바(130)에 고정되고, 필름(900)의 타측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롤러부재(200)에 감겨 있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필름(900)의 일측은 지지부재(1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고정부재(140)에 고정되고, 필름(900)의 타측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롤러부재(200)에 감겨 있을 수 있다. 롤러부재(200)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롤러부재(2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필름(900)이 롤러부재(200)에 감기거나 또는 롤러부재(200)로로부터 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름가이드부재(300)는 롤러부재(200)에 감긴 필름(900)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필름(900)을 프레임(700) 내부로 이동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필름가이드부재(300)는 프레임(700)과 필름가이드부재(300) 사이에 필름(900)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필름(900)의 하측에 필름가이드부재(300)가 배치되며, 필름가이드부재(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필름(900)에 접촉하여 필름(900)과 함께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필름가이드부재(300)가 필름(900)을 프레임(700)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필름(900)은 롤러부재(200)로부터 풀리면서 필름가이드부재(300)와 함께 프레임(7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900)이 프레임(700) 내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인입되면 지지부재(100)에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올려진채 지지부재(100)가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에 올려진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필름(900)을 따라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하여 프레임(700)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지지부재(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부재(100)측으로 이동하여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프레임(700)에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을 가압한다.
가압부재(400)는 이동로드(410)와, 회전롤러(420)와, 구동력전달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로드(41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에 접촉하여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가압한다(도 5 참조). 이를 위해 이동로드(41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지지부재(100)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동로드(41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동로드(41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배터리 셀 적층체(800)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회전롤러(420)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이동로드(410)에 결합된다. 그리고, 필름가이드부재(300)에 의해 필름(900)이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하여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에 필름(900)이 접촉되면 회전롤러(420)가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에서 필름(900)에 접촉된다. 그리고, 필름(900)과 함께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가압된 상태에서 필름(900)이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하면 회전롤러(420)가 필름(9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이에 의해 가압부재(400)와 필름(900)의 마찰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구동력전달원(430)은 이동로드(410)에 결합되어 이동로드(41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동로드(410)는 구동력전달원(430)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8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배터리 셀 적층체(8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력전달원(43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모터 또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손상방지부재(500)는 프레임(700)과 롤러부재(20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필름(900)측으로 이동하여 필름(900)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필름손상방지부재(500)는 필름(900)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데, 필름손상방지부재(500)의 이동 방식은 전술한 가압부재(400)의 이동로드(410)의 이동 방식과 공통되므로, 전술한 이동로드(410)의 이동 방식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즉, 필름손상방지부재(500) 역시 모터 또는 실린더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필름손상방지부재(500)의 이동 방식이 반드시 가압부재(400)의 이동로드(410)의 이동 방식과 공통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구동 방식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무방하다.
필름손상방지부재(500)는 모서리에 라운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필름손상방지부재(500)가 없다면 필름(900)이 프레임(700)의 뾰족한 모서리에 걸려 찢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름손상방지부재(500)는 모서리에 라운드부(510)가 형성되며, 필름손상방지부재(500)의 모서리의 라운드부(510)에 필름(900)이 접촉하므로 필름(900)이 프레임(700) 내부로 인입되더라도 찢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필름손상방지부재(5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복합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전도부재(60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상측에 열전도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열전도부재(600)가 배터리 셀 적층체(800)에 장착되는 것만으로 열전도부재(600)가 프레임(700)과 배터리 셀 적층체(8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열전도부재(600)를 별도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지고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열전도부재(600)는 배터리 셀 적층체(800)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종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장치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장착되는 프레임(700)은 베이스 커버(710)와, 베이스 커버(710)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720)가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00)의 제1 지지부(110)의 상측에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올려져 지지된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0)에는 제2 지지부(120)가 결합되어 있고 제2 지지부(120)에 결합된 고정바(130)에는 필름(900)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 필름가이드부재(300)가 필름(900)에 접촉되어 필름(900)을 프레임(700) 내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필름(900)은 일측이 지지부재(100)의 제2 지지부(120)에 결합된 고정바(13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롤러부재(20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감겨있다. 여기서, 도 4에서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필름(900)의 하측에서 필름가이드부재(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필름가이드부재(300)에 필름(900)이 접촉되어 필름가이드부재(300)와 필름(900)이 프레임(700)측으로 함께 이동하며, 롤러부재(200)는 필름(90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가압부재(400)의 구동력전달원(430)에 결합된 이동로드(410)가 지지부재(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부재(100)측으로 이동하여 가압부재(400)의 회전롤러(420)가 필름(900)과 함께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을 가압하고, 필름손상방지부재(500)가 필름(900)측으로 이동하여 필름손상방지부재(500)의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부(510)에 필름(900)이 접촉된다. 가압부재(400)가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프레임(700)에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고, 필름손상방지부재(500)의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부(510)에 의해 필름(900)의 인입시 필름(900)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필름가이드부재(300)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프레임(700) 내부에서 필름(900)을 계속 이동시킨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필름가이드부재(300)와 필름(900)이 프레임(70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부재(100)와 프레임(700)이 근접하게 접근한다. 즉, 지지부재(100)가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한다.
다음, 지지부재(100)가 프레임(700)측으로 이동하면 지지부재(100)에 올려진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필름(900)을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700) 내부로 인입된다. 여기서, 배터리 셀 적층체(800)는 마찰계수가 낮은 필름(90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부드럽게 프레임(700) 내부로 인입되므로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손상없이 프레임(700)에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장착이 가능하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프레임(700)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인입되면 필름가이드부재(300)가 필름(900)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700)은 베이스 커버(710)와 측면 커버(720)가 구비되어 있지만 전방과 후방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필름가이드부재(300)는 프레임(7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통해 필름(9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필름가이드부재(300)가 필름(900)으로부터 제거된 후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필름(900)을 따라 슬라이딩으로 이동하여 프레임(70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필름(900)이 롤러부재(200)에 감기는 방향으로 롤러부재(200)가 회전하며, 이에 의해 필름(900)이 프레임(700)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프레임(700)의 변형이나 뒤틀림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프레임(700)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700)과 배터리 셀 적층체(8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터리의 공간 활용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 셀 적층체(800)가 필름(90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프레임(700)에 인입되므로 배터리 셀 적층체(800)의 손상없이 배터리 셀 적층체(800)를 프레임(700)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셀 장착 장치 100 : 지지부재
110 : 제1 지지부 120 : 제2 지지부
130 : 고정바 200 : 롤러부재
300 : 필름가이드부재 400 : 가압부재
410 : 이동로드 420 : 회전롤러
430 : 구동력전달원 500 : 필름손상방지부재
510 : 라운드부 600 : 열전도부재
700 : 프레임 710 : 베이스 커버
720 : 측면 커버 800 : 배터리 셀 적층체
900 : 필름

Claims (11)

  1.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가 구비된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상기 필름이 감겨있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에 감긴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필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근접하게 접근하며,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필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놓여지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름이 고정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필름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필름이 위치하도록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필름가이드부재는 상기 필름에 접촉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에서 상기 필름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롤러; 및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어 이동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롤러부재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필름손상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손상방지부재와 상기 필름이 접촉하는 상기 필름손상방지부재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에 결합되는 열전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장치.
  9.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가 구비된 프레임에 배터리 셀 적층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의해 배터리 셀 적층체가 지지되는 단계;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롤러부재에 감겨있는 필름을 필름가이드부재가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근접하게 접근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상기 필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인입되는 단계;
    상기 필름가이드부재가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이 상기 프레임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가압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필름손상방지부재가 필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름에 접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장착 방법.
KR1020180061625A 2018-05-30 2018-05-30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25A KR102195947B1 (ko) 2018-05-30 2018-05-30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CN201980004818.1A CN111183531B (zh) 2018-05-30 2019-02-22 用于安装电池单元的设备和方法
US16/766,572 US11374251B2 (en) 2018-05-30 2019-02-22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JP2020512461A JP7034421B2 (ja) 2018-05-30 2019-02-22 バッテリーセル装着装置及びその方法
PCT/KR2019/002245 WO2019231078A1 (ko) 2018-05-30 2019-02-22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EP19810028.1A EP3671896B1 (en) 2018-05-30 2019-02-22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US17/834,460 US11626612B2 (en) 2018-05-30 2022-06-07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US18/178,224 US11881551B2 (en) 2018-05-30 2023-03-03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25A KR102195947B1 (ko) 2018-05-30 2018-05-30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27A true KR20190136227A (ko) 2019-12-10
KR102195947B1 KR102195947B1 (ko) 2020-12-28

Family

ID=6869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25A KR102195947B1 (ko) 2018-05-30 2018-05-30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374251B2 (ko)
EP (1) EP3671896B1 (ko)
JP (1) JP7034421B2 (ko)
KR (1) KR102195947B1 (ko)
CN (1) CN111183531B (ko)
WO (1) WO20192310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42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위치 이동 가능한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 리와인딩 장치
KR102434263B1 (ko) * 2021-09-24 2022-08-22 주식회사 신룡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
WO2024005325A1 (ko) * 2022-06-28 2024-01-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69B1 (ko) * 2018-01-17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KR102256103B1 (ko) * 2018-09-12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4586228A (zh) * 2020-08-05 2022-06-03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包括其的电池组和运送其的方法
KR20220023234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제조 장치 및 전지 모듈 제조 방법
KR102549034B1 (ko) * 2021-04-12 2023-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차전지 제조장비
DE102022211930B3 (de) 2022-11-10 2024-03-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für ein Kraftfahrzeug, Montage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zel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94A (ko) 1996-12-23 1998-09-25 박병재 배터리 장착장치
JP2012248484A (ja) * 2011-05-30 2012-12-13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組付け装置
JP2013098140A (ja) * 2011-11-04 2013-05-20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組立治具
KR20140087780A (ko) * 2012-12-31 2014-07-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팩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9-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US20080294283A1 (en) * 2007-05-25 2008-11-27 Ronald Ligrano Battery exchange station and a method of changing therein
KR100796621B1 (ko) 2007-08-01 2008-01-22 장동수 세라믹 히터용 로드의 접합구조
KR100932233B1 (ko) 2007-11-06 2009-12-16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히터 제조방법
JP5331490B2 (ja) 2008-01-08 2013-10-30 日本碍子株式会社 接合構造及び半導体製造装置
KR101048569B1 (ko) * 2010-03-04 2011-07-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롤형 금속극판 공급장치를 갖는 금속-공기전지
JP5542558B2 (ja) 2010-07-15 2014-07-09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KR20120106088A (ko) 2011-03-17 2012-09-26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배터리 교환용 지그
JP2013012441A (ja) 2011-06-30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1345693B1 (ko) 2011-11-29 2013-12-30 (주)티티에스 기판 지지 모듈
JP5737162B2 (ja) * 2011-12-06 2015-06-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装置及び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移載装置
US9129859B2 (en) 2013-03-06 2015-09-08 Inte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memory structure
KR101488806B1 (ko) 2013-06-04 2015-02-04 (주)티티에스 기판 지지 유닛
KR101772115B1 (ko) 2013-09-03 2017-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17848B1 (ko) 2013-11-13 2020-06-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JP2016096106A (ja)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組付け治具、及び、組付け方法
KR20160087584A (ko)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부 절연 테이프가 제거된 전지셀
KR101704496B1 (ko) 2015-06-04 2017-0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차량의 배터리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탈장착 방법
US9868421B2 (en) * 2015-06-17 2018-01-16 Ample, Inc. Robot assisted modular battery interchanging system
DE102016206848A1 (de) * 2016-04-22 2017-10-26 Audi Ag Montagevorrichtung zum Anordnen eines Batteriezellmoduls, Montage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atteriezellmoduls
KR200492666Y1 (ko) 2016-05-19 2020-11-19 주식회사 디에프코리아모터스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CN106299491B (zh) * 2016-08-26 2019-01-29 风帆有限责任公司 一种蓄电池自动入槽装置
CN106229539B (zh) * 2016-09-27 2018-10-23 东莞阿李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装配装置
KR101869223B1 (ko) 2016-11-30 2018-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ltBOC(15,10) 신호를 추적하는 방법 및 AltBOC(15,10) 신호 추적 장치
CN206650145U (zh) * 2017-03-24 2017-11-17 珠海银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隔膜的卷绕装置
KR102330869B1 (ko) * 2018-01-17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JP6770542B2 (ja) 2018-02-22 2020-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2200552B1 (ko) 2018-05-30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94A (ko) 1996-12-23 1998-09-25 박병재 배터리 장착장치
JP2012248484A (ja) * 2011-05-30 2012-12-13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組付け装置
JP2013098140A (ja) * 2011-11-04 2013-05-20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組立治具
KR20140087780A (ko) * 2012-12-31 2014-07-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팩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조립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42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위치 이동 가능한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 리와인딩 장치
KR102434263B1 (ko) * 2021-09-24 2022-08-22 주식회사 신룡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
WO2024005325A1 (ko) * 2022-06-28 2024-01-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3531B (zh) 2022-03-08
EP3671896B1 (en) 2023-07-19
WO2019231078A1 (ko) 2019-12-05
US20220320569A1 (en) 2022-10-06
US11374251B2 (en) 2022-06-28
JP2020532079A (ja) 2020-11-05
EP3671896A1 (en) 2020-06-24
KR102195947B1 (ko) 2020-12-28
US20200373608A1 (en) 2020-11-26
JP7034421B2 (ja) 2022-03-14
US11881551B2 (en) 2024-01-23
US20230207862A1 (en) 2023-06-29
EP3671896A4 (en) 2021-04-07
US11626612B2 (en) 2023-04-11
CN111183531A (zh)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947B1 (ko)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0552B1 (ko)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0442B1 (ko) 전지셀의 전극조립체 테이핑 장치 및 상기 테이핑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셀
CN102544411A (zh) 电存储装置
CN108370022B (zh) 电极干燥装置和包括根据电极干燥装置制造的电极的电池单元
KR20190016353A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142251A (ko) 접힌 내부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WO2021189380A1 (zh)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218769804U (zh) 一种t形软电池包
JP2013123006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10016308A (ja) 蓄電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0182609A (ja) シート状電極の加工装置
JP2023537834A (ja) 円筒型二次電池セルの生産装置及び円筒型二次電池セルの生産方法
KR20220133689A (ko) 가압 기능을 갖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KR20220122400A (ko) 원통형 전극 조립체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