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739A -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 Google Patents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739A
KR20190135739A KR1020180061124A KR20180061124A KR20190135739A KR 20190135739 A KR20190135739 A KR 20190135739A KR 1020180061124 A KR1020180061124 A KR 1020180061124A KR 20180061124 A KR20180061124 A KR 20180061124A KR 20190135739 A KR20190135739 A KR 2019013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vehicle
frame
uni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썸
Priority to PCT/KR2018/0060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31003A1/ko
Priority to KR1020180061124A priority patent/KR20190135739A/ko
Publication of KR2019013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traffic conditions, e.g. fog, heav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9Piez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륜 및 후륜과, 상기 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마련된 차량부와, 탈착유닛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트렁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가 탈착가능하게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 목적에 따라 트렁크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Multi-purpose utility vehicle with removable type trunk}
본 발명은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가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저, 농업용, 산업용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다목적 차량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다목적 차량으로는 ATV(All-Terrain Vehicle, 사륜차량), UTV(Utility Terrain Vehicle, 다목적운반차량) 등이 있는데, ATV는 어떤 지형에서나 주행이 가능한 차량으로서 오프로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사륜차를 가리키는 것으로, 주로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이며, UTV는 다양한 지형의 건설, 농업 등 산업현장에서 흑, 작물, 산업용 장비 들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차량을 가리킨다
이러한 ATV, UTV 등은 크게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동력전달장치 등으로 구성된 샤시(Chassis)와, 프레임, 판넬, 범퍼 등으로 구성된 바디(Body)로 구분된다.
다목적 차량의 바디는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존 일반차량과는 다르게, 사용자에게 운행환경을 그대로 노출하여 스릴과 재미를 주는 목적을 가지고 제조하게 되고, 군사 목적 등의 특수목적 등을 고려하여, 도어 등이 생략될 수 있고, 운전석은 간결하고 경량화된 구조로서 시트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다목적 차량의 경우, 탑승자의 소집품과 같은 운송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트렁크를 차량에 설치한 경우, 차량의 사용목적에 따라 트렁크를 분리하기가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8785호: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가 차량의 프레임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륜 및 후륜과, 상기 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마련된 차량부와, 탈착유닛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트렁크를 구비한다.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트렁크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구로 상기 프레임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절개홈이 상기 관통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트렁크로 전달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유닛에서 발생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트렁크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트렁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가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발전유닛은 상부에 상기 운송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 내의 상기 트렁크 바닥면에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트렁크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이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상기 트렁크의 후방에 설치되어 소정 색상의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램프와,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생성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부가 험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차량부의 후방에 인접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고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부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모듈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지피에스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부의 위치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부의 위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인접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험로 진입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은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가 탈착가능하게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 목적에 따라 트렁크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10)은 탑승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차량부(20)와, 탈착유닛(40)에 의해 차량부(20)의 프레임(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트렁크(3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부(20)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24)이 마련된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륜(22) 및 후륜(23)과, 상기 프레임(21)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륜(22) 또는 후륜(23)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1)은 다목적 차량(10)의 바디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파이프형 부재들이 결합되어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탑승공간에 대응되는 프레임(21)에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24)이 마련되어 있다.
전륜(22) 및 후륜(23)은 복수개가 각각 프레임(21)의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전륜(22)은 구동유닛의 조향장치에 의해 회동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프레임(21)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륜(22) 또는 후륜(23)에 전달하는 파워 트레인과, 전륜(22)에 설치되어 다목적 차량(10)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전륜(22)을 회동시키는 조향장치를 구비한다. 이때, 구동유닛의 엔진, 파워 트레인, 조향장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인 엔진, 파워 트레인, 조향장치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구동유닛은 상술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부(20)의 프레임(21)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트렁크(3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3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31)는 프레임(21)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31)는 탑승자가 수납공간으로 용이하게 운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2)는 본체(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커버(32)의 가장자리에는 본체(31)에 대해 커버(32)를 잠글 수 있도록 잠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탈착유닛(40)은 본체(31)의 전면에 설치되어 프레임(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파지부재(41)를 구비한다.
상기 파지부재(4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복수개가 트렁크(30)의 외측면 즉, 전면 좌우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파지부재(41)는 관형으로 형성된 프레임(21)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42)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4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파지부재(4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지부재(41)는 관통구(42)가 프레임(21)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절개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43)은 파지부재(4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관통구(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있다. 절개홈(43)을 통해 프레임(21)에 탈착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10)은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30)가 탈착가능하게 차량의 프레임(2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 목적에 따라 트렁크(30)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방식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1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방식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100)은 상기 프레임(21)으로부터 상기 트렁크(30)로 전달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110)과,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유닛(110)에서 발생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발전유닛(110)은 상기 트렁크(30)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11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11) 및 트렁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11)에 대해 상기 트렁크(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11) 및 트렁크(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11) 및 트렁크(30)가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압전소자(113)를 구비한다.
지지플레이트(1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트렁크(30)의 하부에 대향되는 프레임(21)의 후방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11)는 트렁크(30)의 본체(3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112)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의 지지플레이트(111)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부재(112)는 상단이 본체(31)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수단이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소자(113)는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전소자(113)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전소자(113)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압전소자(113)가 지지플레이트(111)에 고정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압전소자(11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트렁크(30)의 본체(31)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부(20)가 오프로드나 포장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은 험로를 주행시 차량부(20)에 진동이 발생하는데, 상기 진동에 의해 트렁크(30)의 본체(31) 및 지지플레이트(111)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된다. 트렁크(30)의 본체(31) 및 지지플레이트(111)가 상호 인접시 트렁크(30)의 본체(31)가 압전소자(113)에 접촉하여 가압하고, 압전소자(113)는 입력된 압력에 대응되는 전기를 생성하여 배터리로 공급한다.
배터리는 압전소자(113)에 연결되어 압전소자(113)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부(20)의 차량용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는 전자기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자기기의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충전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탈착타입의 트렁크(30)가 마련된 다목적 차랴은 압전소자(113)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차량부(20)로부터 별도로 전기를 공급받지 않더라도 외부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유닛(1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유닛(120)은 상부에 상기 운송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 내의 상기 트렁크(30) 바닥면에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121)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121) 및 트렁크(3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30)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1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22)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121) 및 트렁크(3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1)으로부터 상기 트렁크(30)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121) 및 트렁크(30)의 바닥면이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압전소자(123)를 구비한다.
안착 플레이트(1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본체(31)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121)는 본체(31)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고, 본체(31)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때, 안착 플레이트(121)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22)에 대해 본체(31)의 바닥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31) 내부로 투입된 운송물은 안착 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안착된다.
탄성부재(122)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의 본체(3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부재(122)는 상단이 안착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본체(31)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2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수단이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소자(123)는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전소자(123)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전소자(123)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본체(3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본체(31)에 고정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압전소자(12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안착 플레이트(121)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123)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한다.
차량부(20)가 오프로드나 포장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은 험로를 주행시 차량부(20)에 진동이 발생하는데, 트렁크(30) 내부에 수납된 운송물에도 진동이 전달된다. 운송물의 진동에 의해 안착 플레이트(121) 및 본체(31)의 바닥면은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된다. 본체(31)의 바닥면 및 안착 플레이트(121)가 상호 인접시 안착 플레이트(121)가 압전소자(123)에 접촉하여 가압하고, 압전소자(123)는 입력된 압력에 대응되는 전기를 생성하여 배터리로 공급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방식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방식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10)은 상기 트렁크(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소정 색상의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램프(211)와, 상기 압전소자(123)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123)에서 생성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센서부(212)와, 상기 센서부(212)에서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압전소자(123)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부(20)가 험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차량부(20)의 후방에 인접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고램프(21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경고램프(211)는 트렁크(30)의 본체(31) 후방부에 설치되며, 적색 또는 황색의 광을 경고광으로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경고램프(211)는 다수의 엘이디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212)는 차량부(20)의 프레임(21)에 설치되며, 발전유닛(120)의 압전소자(123)들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212)는 시간에 따른 압전소자(123)에서 생성된 전력량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13)는 센서부(21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단위시간동안 압전소자(123)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험로로 판별한다. 이때, 상기 단위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오프로드를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진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빈번한 진동에 의해 압전소자(123)로부터 생성되는 전력량이 증가하고, 압전소자(123)로부터 발생된 전력량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3)는 차량의 주행도로가 험로로 판별될 경우, 차량부(20)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도록 경고램프(211)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213)는 경고램프(211)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10)은 압전소자(123)에서 발생된 전력량을 토대로 주행도로를 판별하여 후행하는 차량에게 경고를 줄 수 있으므로 다른 차량들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20)은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부(2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모듈(221)과,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피에스 모듈(221)은 3개 이상의 지피에스 위성들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방법에 따라서 현재 차량부(20)의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된 위치정보를 제어부(213)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222)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좌석(24)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21)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2)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213)는 압전소자(123)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지피에스 모듈(22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부(2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2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13)는 지피에스 모듈(221)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부(20)의 위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223)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인접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22)를 통해 험로 진입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22)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13)는 차량부(20)의 주행 도로가 험로로 판별될 경우, 험로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2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13)는 데이터 베이스(223)에 험로로 저장된 위치 정보에 차량부(20)가 인접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22)를 통해 해당 험로 진입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13)는 데이터 베이스(223)에 저장된 위치 정보로부터 반경 500m 내에 차량부(20)가 진입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223)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차량부(20)가 인접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220)은 험로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험로에 차량부(20)가 인접시 탑승자에게 험로에 접근 유무를 표시하므로 탑승자가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20: 차량부
21: 프레임
22: 전륜
23: 후륜
24: 좌석
30: 트렁크
31: 본체
32: 커버
40: 탈착유닛
41: 파지부재
42: 관통구
43: 절개홈

Claims (7)

  1.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륜 및 후륜과, 상기 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마련된 차량부; 및
    탈착유닛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운송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트렁크;를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트렁크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구로 상기 프레임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절개홈이 상기 관통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트렁크로 전달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유닛에서 발생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트렁크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트렁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트렁크가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부에 상기 운송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 내의 상기 트렁크 바닥면에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트렁크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 및 트렁크의 바닥면이 상호 인접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후방에 설치되어 소정 색상의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램프;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에서 생성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부가 험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차량부의 후방에 인접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고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부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 모듈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지피에스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부의 위치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부의 위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인접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험로 진입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KR1020180061124A 2018-05-29 2018-05-29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KR20190135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098 WO2019231003A1 (ko) 2018-05-29 2018-05-29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KR1020180061124A KR20190135739A (ko) 2018-05-29 2018-05-29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24A KR20190135739A (ko) 2018-05-29 2018-05-29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39A true KR20190135739A (ko) 2019-12-09

Family

ID=6869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124A KR20190135739A (ko) 2018-05-29 2018-05-29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5739A (ko)
WO (1) WO20192310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785A (ko) 2013-04-29 2014-1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3605A (ja) * 2002-03-22 2003-10-03 Nec Corp 通信問い合わせ方法及びこの方法に適用される携帯電話機
US20060186156A1 (en) * 2005-02-23 2006-08-24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All terrain vehicle cargo rack
JP5777493B2 (ja) * 2011-11-02 2015-09-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トランク装置
JP2014169054A (ja) * 2013-03-05 2014-09-18 Toyota Auto Body Co Ltd 車載電機装置
KR101637809B1 (ko) * 2015-02-0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너지 발전소자 탑재 구조물을 갖는 차량용 리어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785A (ko) 2013-04-29 2014-1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003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645B2 (en) Side-by-side utility vehicle
JP5728019B2 (ja) 四輪自動車
US7795602B2 (en) Vehicle
US20160288686A1 (en) Side-by-side vehicle
US20130319784A1 (en) Vehicle configuration
US11639122B2 (en) Position-variable seat back hinge stiffness for belt-integration seats
US20200324817A1 (en) Lightweight vehicle
US11760249B2 (en) Vehicle assist handle assembly having a display
CN107972553A (zh) 具有集成电动摩托车的车辆
JP3577356B2 (ja) 四輪車両における燃料タンク構造
JP2005096546A (ja) 車両の工具収納構造
US20140292036A1 (en) Cabin space structure for all terrain vehicle
KR20190135739A (ko)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RU158683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гусенич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гтс)
CN109789894B (zh) 用于车辆的燃料箱组件
US7775538B1 (en) Pedal car
US20190039526A1 (en) Vehicle seating assembly
US11603023B2 (en) Lockout assembly for folding vehicle seats
DE602006001799D1 (de) Seitenteil für ein Dach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nd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Seitenteil
KR10233564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3771616A (en) Snow vehicle
KR101933179B1 (ko)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
US20210078449A1 (en) Multipurpose Work Vehicle
JPS6343847A (ja) リヤバンパ−構造
KR20160002805U (ko) 자동차용 투명 안전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