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785A -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 Google Patents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785A
KR20140128785A KR20130047687A KR20130047687A KR20140128785A KR 20140128785 A KR20140128785 A KR 20140128785A KR 20130047687 A KR20130047687 A KR 20130047687A KR 20130047687 A KR20130047687 A KR 20130047687A KR 20140128785 A KR20140128785 A KR 2014012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echanism
hydraulic
lever
cabl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양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785A/ko
Publication of KR201401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5Canted-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은, 적재함 덤프조작을 위한 레버를 구비하고, 레버에 적재함 구속을 위한 로크기구와 적재함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유압장치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레버 조작으로 적재함을 수평상태로 구속하고 있는 기구적인 잠금 해제와 적재함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유압실린더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게 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Multi-purpose Utility vehicle with hydraulic cargo deck}
본 발명은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소형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쏟아 내리기에 유리한 각도로 적재함을 기울일 수 있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져, 산업용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소형의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UTV)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조적으로 험로주행에 유리하여,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 등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운반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위해 다목적 운반차량에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다. 적재함은 이에 탑재된 적재물의 빠른 하역을 위해 일반 덤프트럭 차량과 마찬가지로, 차체 후방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제한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적재함을 뒤쪽으로 기울이거나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유압 덤프식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과 관련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유압 덤프식 적재함은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6)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압펌프(6)에서 제공되는 유압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압밸브(3)를 포함한다. 유압펌프(6)는 엔진(7) 출력으로 구동되며, 유압밸브(3)는 레버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버 조작에 따른 유로제어에 따라 적재함(8) 승강을 위한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제공한다.
작동유체인 오일은 오일탱크(4)에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된 오일은 엔진 구동과 함께 유압펌프(6)의 펌핑 동작으로 압축되어 유압밸브(3)로 보내진다. 여기서 적재함(8)을 기울이기 위한 레버(1) 조작이 없는 경우, 유압밸브(3)에 보내진 유압은 리턴호스를 통해 다시 오일탱크(4) 보내지는 순환형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적재함을 들어 올리기 위해 레버(1)를 조작하면,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케이블(2)이 변위되고, 케이블(2) 변위로 유압실린더 측으로 유압의 흐름을 허용하는 유압밸브(3) 내 유로가 개방되어 유압실린더(5)로 유압이 공급된다. 유압의 공급으로 유압실린더(5)가 신장하고 적재함(8)을 들어 올려 하역에 유리한 형태로 기울이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유압실린더 내 압력만으로 적재함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유압밸브의 미세한 리크(leak)로 유압실린더가 압력을 형성하지 못했을 경우 주행 중 적재함이 위, 아래로 요동하여 들썩거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미세한 유압의 리크(leak)가 있는 상태에서 도 2의 (b)와 같이 적재화물이 적재함 뒤쪽으로 쏠려 적재함이 소정각 기울어지면, 적재된 화물(9)이 주행 중 도로 위로 떨어지거나 차량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뒤로 쏠려 차량이 전복하는 것과 같이 운전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위험천만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93653호(등록일자 200. 6. 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압실린더 유압을 이용한 적재함의 고정뿐아니라 로크기구를 통한 기구적인 구속을 통해 주행 중 적재함의 들썩임 또는 화물무게에 의한 적재함의 의도치 않은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적재물 하역을 위해 유압을 이용해 적재함을 뒤쪽으로 기울이는 덤프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레버 하나로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 해제와 유압장치의 동작을 모두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적재함 덤프조작을 위한 레버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적재함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유압실린더로 유압의 공급을 단속하는 유압밸브와,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해제를 위한 로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에는 작동간이 구비되고, 작동간은 중앙부 피봇점을 기준으로 유압밸브 작동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이 대향 배치된 구성을 이루되, 상기 유압밸브 작동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의 길이는 서로 다르며, 길이가 서로 다른 상기 유압밸브 조정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은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상기 유압밸브와 로크기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크기구는, 적재함측 로크부재와, 적재함이 수평의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와 계합되는 차체측 로크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는, 로크기구 작동간으로부터 뻗은 케이블이 연결되고 적재함 자유단 측 저부에 브래킷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의 고리모양의 레치와, 상기 레치를 적재함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고, 상기 차체측 로크부재는, 덤프기능 실행 후 적재함이 수평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고리모양 레치가 접촉 이동하게 되는 경사진 접촉면과 이 접촉면을 타고 내려온 상기 레치의 선단에 형성된 고리가 걸려지게 되는 계합단을 형성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레치의 자유단 일측에서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블 반대쪽에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당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을 유압밸브 작동간 보다 길게 구성하고 각 작동간 선단부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적재함을 경사지게 기울이기 위한 레버 조작 시 로크기구에 의한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 해제가 먼저 이행되고 유압밸브가 조작되어 유압실린더가 적재함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레버는 작동간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위, 아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고, 피봇점 아래쪽에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이 위치하여, 레버를 위로 당겼을 때 로크기구 작동간이 당김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기구에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져 로크기구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차량 주행 중 상기 적재함이 기울어짐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시켜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위험경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의 기울어짐 검출은 적재함 또는 적재함이 로딩되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광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출 결과를 운전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시키는 것은 운전석에 마련되는 경고등 또는 버져(buzz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이용한 적재함의 고정뿐이라 로크기구에 의한 기구적인 잠금으로, 주행 중 적재함의 유동 즉, 들썩거림 및 적재물이 뒤쪽으로 쏠렸을 때 그 무게로 인해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기울어지거나 그로 인해 적재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 하나로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 해제와 유압장치의 동작을 모두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을 바닥으로 쏟아 내리기 위하여 레버를 조작해 적재함을 뒤쪽으로 기울이는 덤프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조작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적재함의 기울어짐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위험경고장치를 탑재하게 되면, 적재물을 가득 실은 상태로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이나 부주의에 따른 오조작 등으로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들어 올려진 경우 그 상황을 바로 인식할 수 있어 차량을 곧바로 정지시키는 등의 빠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의 승강구현을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다목적 운반차량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다목적 운반차량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 잠금 및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레버 조작측과 로크기구, 유압기구의 전체적인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레버 조작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적재함이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도 6의 로크기구가 설치되는 적재함을 아래에서 바라본 요부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로크기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다목적 운반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난 다목적 운반차량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다목적 운반차량에는 전륜과 후륜을 갖춘 차체 중앙부에 운전자 및 동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 공간(110)이 마련된다. 운전석 공간(110)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120)가 마련되어 있고, 운전석 공간(110)의 전면에는 차륜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을 포함하여 주행 조작과 관련한 각종 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 주행을 위한 동력은 엔진을 통해 출력되고, 엔진은 시트(120) 아래 쪽으로 차체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상에 탑재되며, 상기 운전석 공간(110)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오픈형 적재함(cargo deck, 80)이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함(80)은 차체 프레임 구체적으로는 뒤차축 프레임(미도시) 상에 의해 안정되게 로딩되어 있다.
적재함(80)은 뒤차축 프레임 후미 단부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제한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뒤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다시 수평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함이 실린 화물이 토사나 곡물과 같이 작은 알갱이 형태인 경우 상기 적재함(80)을 뒤쪽으로 기울여서 한꺼번에 바닥으로 쏟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운반차량에 적용된 상기 적재함(80)은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80)이며, 로크기구(90)를 통해 기구적으로 차체에 구속됨으로써 주행 중 들썩이거나 화물무게에 의해 의도치 않는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유압 덤프식 적재함(8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차량의 유압 덤프식 적재함 잠금 및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레버 조작측과 로크기구, 유압기구의 전체적인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통해 도시한 유압 덤프식 적재함의 잠금 및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적재함(80)에 실린 화물을 쏟아내는 덤프조작을 위한 레버(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0) 조작에 연동하여 적재함(80)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유압실린더(50)로 유압의 공급을 단속하는 유압밸브(30)와 적재함(80)의 승강을 허용을 기구적으로 단속하는 로크기구(90)를 포함한다.
레버(10)는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예컨대, 운전석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 조작력이 입력되는 손잡이 반대쪽에 작동간(12)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간(12)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케이블(20a)(20b)을 통해 상기 로크기구(90)와 유압밸브(30)에 각각 연결되며, 유압밸브(30)는 엔진(70) 출력으로 구동하는 유압펌프(60)와 연결된다.
유압펌프(60)에서 송출된 유압은 상기 레버(10) 조작에 연동한 유압밸브(30) 내 스풀(Spool)의 변위로 적재함(80)을 승강을 위한 유압실린더(50)로 공급되거나 레버(10)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유압실린더(50)를 거치치 않고 그대로 오일탱크(40)로 리턴(return)되며, 레버(10) 조작으로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가 신축 동작하고 적재함(80)이 승강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레버 조작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레버(10)에 일체로 구비되는 작동간(12)은 차체와 연결되는 중앙부 피봇점(P)을 기준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유압밸브 작동간(12b)과 로크기구 작동간(12a)이 위, 아래로 대향 배치된 구성을 이루며, 유압밸브 작동간(12b)과 로크기구 작동간(12a)은 두 개의 다른 케이블(20a)(20b)을 통해 상기 유압밸브(30)와 로크기구(90)에 각각 연결된다.
레버(10)는 작동간(12) 중앙부의 상기 피봇점(P)을 기준으로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될 수 있으며, 두 작동간(12a)(12b) 중 피봇점(P) 아래쪽에 로크기구(90)와 연결되는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12a)이 위치한다. 따라서 레버(10)를 위로 당기면, 로크기구 작동간(12a)에 의해 로크기구(90)에 연결된 케이블(20a)이 당겨지게 되고, 유압밸브 작동간(12b)은 이에 연결된 케이블(20b)을 밀게 된다.
로크기구 작동간(12a)에 연결된 케이블(20a)의 당김으로 해당 로크기구(90)는 적재함(80)의 기구적인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며, 유압밸브 작동간(12b)에 연결된 케이블(20b)의 미는 동작으로 유압밸브(30)는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적재함(80)을 화물을 쏟아 내기에 유리한 형태로 기울인다.
두 작동간 중 로크기구 작동간(12a)이 유압밸브 작동간(12b) 보다 길며 각 작동간(12) 선단으로 상기 케이블(20a)(20b)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적재함(80)을 기울이는 덤프기능을 위해 위와 같이 레버(10)를 위로 당겼을 때 두 작동간(12a)(12b)의 길이 차로 인한 다른 회전반경으로, 로크기구(90)에 연결된 케이블(20a)의 당김량이 유압밸브(30)와 연결된 케이블(20b)을 미는양 보다 현저히 크게 된다.
즉, 로크기구 작동간(12a)이 유압밸브 작동간(12b) 보다 길기 때문에, 레버(10)를 위로 당겼을 때 로크기구(90)에 연결된 케이블(20a)의 변위가 유압밸브(30)에 연결된 케이블(20b)의 변위보다 현저히 크며, 따라서 로크기구(90)에 의한 적재함(80)의 기구적인 잠금이 먼저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레버(10)를 위로 더 당기면 유압밸브(30)가 작동하여 적재함(80)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유압실린더(50)가 신장된다.
적재함(80)을 기울이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상기 유압실린더(50, 도 6 참조)는 중앙 피스톤을 기준으로 두 실린더 공간의 압력차가 발생했을 때 실린더로드가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구성의 복동실린더 구조일 수 있으며,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은 각각 적재함(80) 밑면과 차체프레임 구체적으로는, 뒤차축 프레임(130, 도 8 참조) 적소에 연결된다.
도 8은 적재함이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도 6의 로크기구가 설치되는 적재함을 아래에서 바라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난 로크기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레버(10)의 로크기구 작동간(12a)에 케이블(20a)을 통해 연결되고 적재함(80)을 구속하는 상기 로크기구(90)는, 적재함(80)에 설치되는 적재함측 로크부재(9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적재함(80)이 차체 프레임에 대해 화물 탑재에 유리한 수평의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92)와 계합되는 차체측 로크부재(97)를 포함한다.
적재함측 로크부재(92)는 고리모양(훅 모양)의 레치(93)를 포함한다. 레치(93)는 적재함(80) 자유단 측 저부에 브래킷(96)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94)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축(94)은 적재함(80) 골조를 형성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 뻗은 적재함 프레임(82)을 관통하여 적재함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레치(93)에는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12a)으로부터 뻗은 케이블(20) 타단이 연결된다. 또한 레치(93)를 적재함(80)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95) 일단이 연결되며, 탄성부재(95)의 타단은 적재함 자유단 측 전단으로 설치되는 판상의 스프링 설치대(부호 생략)에 연결된다. 물론 구조에 따라 상기 스프링 설치대는 생략될 수 있다.
케이블(20a)은 상기 레치(93)의 자유단 일측 구체적으로 레치(93)의 고리부(93a) 뒤쪽(도면상 우측)에서 연결되어 고리부를 상기 차체측 로크부재(97)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탄성부재(95) 예컨대, 인장 스프링은 상기 케이블(20) 반대쪽(도면상 좌측)에서 레치(93)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20) 당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차체측 로크부재(97)는 적재함(80)이 수평상태로 놓였을 때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92)가 위치하는 뒤차축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덤프기능 실행 후 적재함(80)이 수평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고리모양 레치(93)가 접촉 이동하게 되는 경사진 접촉면(98)과, 접촉면(98)을 타고 내려온 상기 레치(93)의 선단에 형성된 고리가 걸려지게 되는 계합단(99)을 형성한 아래로 굽은 고리모양의 브래킷일 수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덤프식 적재함(80)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에는, 차량 주행 중 운전자가 부주의로 적재함(80)을 기울인 채 주행을 하는 때에 상기 적재함(80)이 기울어짐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시켜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위험경고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재함(80)의 기울어짐 검출은 적재함(80) 또는 적재함(80)이 로딩되는 뒤차축 프레임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광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출 결과를 운전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시키는 것은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그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 예컨대, 운전석에 설치되는 경고등 또는 버져(buzzer)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운반차량에서 적재함을 기울이기 위한 레버 조작 및 그에 따른 로크기구의 잠금해제, 그리고 유압밸브와 유압실린더 동작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크기구 작동간(12a)과 유압밸브 작동간(12b)에 연결된 케이블을 각각 제1, 제2 케이블(20a)(20b)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적재함(80)을 들어 올리기 위해 레버(10)를 일정각도 이상 위쪽으로 들어 올려 도 10과 같이 적재함(80)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면, 유압밸브 작동간(12b)은 제2 케이블(20b)을 밀게 되고, 로크기구 작동간(12a)은 반대로 제1 케이블(20a)을 당기게 된다. 이때 두 작동간 중 로크기구 작동간(12a)이 유압밸브 작동간(12b) 보다 길어 제1 케이블(20)의 당김량이 제2 케이블(20)을 미는양 보다 현저히 크다
따라서 레버(10)를 위로 당겨 위와 같이 적재함(80) 잠금 해제위치에 위치시키면, 레버(10)조작에 연동한 제1 케이블(20a)의 당김 변위로 적재함측 로크부재(92) 구체적으로는, 레치(93)가 탄성부재(95)의 힘을 극복하고 뒤차축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차체측 로크부재(97)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차체에 대한 적재함(80)의 기구적인 잠금이 먼저 해제된다.
이후 레버(10)를 위쪽으로 더 들어 올려 도 10의 적재함(80) 상승위치에 레버(10)를 위치시키면, 적재함(80)의 기구적인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레치(93)는 차체측 로크부재(97)의 계합단(99)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케이블(20)의 밀림 변위로 유압밸브(30) 내 스풀이 변위되고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이 공급되어 적재함(80)이 들어 올려진다.
적재함(80)이 들어 올려지고 나서 당기고 있던 레버(10)를 놓으면, 레치(93)에 연결된 탄성부재(95)의 복원력으로 레버(10)는 다시 중립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며, 그 상태에서 레버(10)를 반대로 아래로 밀어 도 11과 같이 하강위치에 위치시키면, 제2 케이블(20)의 당김 변위로 유압밸브(30) 내 스풀은 거꾸로 유압실린더(50)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이 공급될 수 있게 변위 된다.
그 결과 적재함(80)은 다시 화물 탑재에 유리한 수평상태로 내려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적재함(80)에 설치된 고리모양 레치(93)가 차체측 로크부재(97)의 경사진 접촉면(98)을 타고 내려오다가 최종적으로 상기 레치(93)의 선단에 형성된 고리부(93a) 상기 차체측 로크부재(97)의 계합단(99)에 도달하면 탄성부재(95)의 복원력으로 계합단(99)에 걸려지는 형태로 맞물려 적재함(80)은 차체에 구속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유압을 이용한 적재함의 고정뿐아니라 로크기구에 의한 기구적인 잠금으로, 주행 중 적재함의 유동 즉, 들썩거림 및 적재물이 뒤쪽으로 쏠렸을 때 그 무게로 인해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기울어지거나 그로 인해 적재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협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 하나로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 해제와 유압장치의 동작을 모두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을 바닥으로 쏟아 내리기 위하여 레버를 조작해 적재함을 뒤쪽으로 기울이는 덤프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조작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적재함의 기울어짐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위험경고장치를 탑재하게 되면, 적재물을 가득 실은 상태로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이나 부주의에 따른 오조작 등으로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들어 올려진 경우 그 상황을 바로 인식할 수 있어 차량을 곧바로 정지시키는 등의 빠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레버 12 : 작동간
12a : 로크기구 작동간 12b : 유압밸브 작동간
20a, 20b : 케이블 30 : 유압밸브
40 : 오일탱크 50 : 유압실린더
60 : 유압펌프 70 : 엔진
80 : 적재함 90 : 로크기구
92 : 적재함측 로크부재 93 : 레치
94 : 회전축 95 : 탄성부재
96 : 브래킷 97 : 차체측 로크부재
98 : 접촉면 99 : 계합단

Claims (6)

  1.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있어서,
    적재함 덤프조작을 위한 레버와,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적재함 덤프기능 구현을 위한 유압실린더로 유압의 공급을 단속하는 유압밸브와,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해제를 위한 로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에는 작동간이 구비되고, 작동간은 중앙부 피봇점을 기준으로 유압밸브 작동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이 대향 배치된 구성을 이루되, 상기 유압밸브 작동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의 길이는 서로 다르며,
    길이가 서로 다른 상기 유압밸브 조정간과 로크기구 작동간은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상기 유압밸브와 로크기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적재함측 로크부재와,
    적재함이 수평의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와 계합되는 차체측 로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측 로크부재는, 로크기구 작동간으로부터 뻗은 케이블이 연결되고 적재함 자유단 측 저부에 브래킷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의 고리모양의 레치와, 상기 레치를 적재함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체측 로크부재는, 덤프기능 실행 후 적재함이 수평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고리모양 레치가 접촉 이동하게 되는 경사진 접촉면과 이 접촉면을 타고 내려온 상기 레치의 선단에 형성된 고리가 걸려지게 되는 계합단을 형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레치의 자유단 일측에서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블 반대쪽에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당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이 유압밸브 작동간 보다 길고 각 작동간 선단부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적재함을 경사지게 기울이기 위한 레버 조작 시 로크기구에 의한 적재함의 기구적인 잠금 해제가 먼저 이행되고 유압밸브가 조작되어 유압실린더가 적재함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작동간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위, 아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고, 피봇점 아래쪽에 상기 로크기구 작동간이 위치하여, 레버를 위로 당겼을 때 로크기구 작동간이 당김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기구에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져 로크기구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KR20130047687A 2013-04-29 2013-04-29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KR20140128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87A KR20140128785A (ko) 2013-04-29 2013-04-29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87A KR20140128785A (ko) 2013-04-29 2013-04-29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85A true KR20140128785A (ko) 2014-11-06

Family

ID=5245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7687A KR20140128785A (ko) 2013-04-29 2013-04-29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7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39A (ko)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아이디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KR20220124330A (ko) * 2021-03-02 2022-09-14 주식회사 경신 화물차 적재함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220388387A1 (en) * 2021-06-07 2022-12-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Off-road vehicle
KR20230014592A (ko)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대불조선 농업용 4륜 전기운반차
KR20230022308A (ko) 2021-08-05 2023-02-15 주식회사 대불조선 농업용 4륜 전기운반차 동력전달 제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39A (ko)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아이디썸 탈착타입의 트렁크가 마련된 다목적 차량
KR20220124330A (ko) * 2021-03-02 2022-09-14 주식회사 경신 화물차 적재함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220388387A1 (en) * 2021-06-07 2022-12-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Off-road vehicle
US11904693B2 (en) * 2021-06-07 2024-02-20 Kawasaki Motors, Ltd. Off-road vehicle
KR20230014592A (ko)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대불조선 농업용 4륜 전기운반차
KR20230022308A (ko) 2021-08-05 2023-02-15 주식회사 대불조선 농업용 4륜 전기운반차 동력전달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1199B2 (en) Leveling system for lift device
JP5055439B2 (ja) 運搬車両
JP5119363B2 (ja) 運搬車両
US6688836B2 (en) Self-propelled dolly with power lift
KR20140128785A (ko) 유압 덤프식 적재함을 구비한 다목적 운반차량
AU2012337961B2 (en) Conveyance vehicle
US7278508B2 (en)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truck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5781453B2 (ja) ホイールローダ
WO2018051582A1 (ja) 運搬車両
JP3969950B2 (ja) 油圧走行車両の安全装置
JP6890891B2 (ja) 作業車両
JP2005089138A (ja) 自走式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