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272A - 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272A
KR20190135272A KR1020180060542A KR20180060542A KR20190135272A KR 20190135272 A KR20190135272 A KR 20190135272A KR 1020180060542 A KR1020180060542 A KR 1020180060542A KR 20180060542 A KR20180060542 A KR 20180060542A KR 20190135272 A KR20190135272 A KR 2019013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glass
glass sheet
display unit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장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to KR102018006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272A/ko
Priority to PCT/KR2019/006319 priority patent/WO2019231192A1/en
Publication of KR2019013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 H01L51/44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조립체{GLASS ASSEMBLY}
본 발명은 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창문은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과 외부의 공기를 차단 및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닫힘 상태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열 흐름을 차단시켜서 냉, 난방 효과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건물의 유리 창문으로 LED가 삽입된 LED 전광 유리 조립체로 된 창문이 이용되고 있다. LED 전광 유리 조립체로 된 창문은 유리 창문의 고유한 기능을 해치지 않으면서 조명 효과나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LED 전광 유리 조립체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LED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때 유리판에 형성된 투명 전극층에 LED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LED 전광 유리 조립체의 경우, 일부 LED가 고장났을 때 LED 전광 유리 조립체 자체를 교체하여야만 했다. 또한, LED 전광 유리 조립체는 설치될 건물의 창문 설계에 따라 별도로 설계 및 제작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제1 유리 시트; 상기 제1 유리 시트에 대향 배치된 제2 유리 시트; 상기 제1 유리 시트와 제2 유리 시트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 상기 제1 유리 시트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기재 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된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 상기 투명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상기 LED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및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의 타면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와 접촉하는 투명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에 제1 유리 시트,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제2 유리 시트가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제3 유리 시트; 및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제3 유리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제2 유리 시트와 제3 유리 시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유리 시트는 로이 유리(Low-E glass)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유리 시트 사이에 광투과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개재(介在)되어 있음으로써,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 창문이나 자동차의 전면 유리 등으로 적용되어 실내의 냉, 난방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조명, 광고 수단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접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장시간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투명성의 저하 없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유리 시트 간의 접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접착층 때문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뒤틀림(distortion)이나 박리 없이 유리 시트에 부착시킬 수 있고,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잘못 배열되더라도 쉽게 재배열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리 조립체에 대한 파장-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리 조립체에 대한 파장-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 기재 필름 상에 LED가 탑재된 별도의 투명 LED 필름을 유리 시트 사이에 삽입하여,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만, 유리 조립체의 제조시, 유리 시트들 사이에 투명 LED 필름을 배치한 다음, 밀봉 부재를 이용하여 유리 시트와 투명 LED 필름을 접합하였다. 그러나, 유리 시트와 투명 LED 필름의 접합시 투명 LED 필름이 밀봉 부재에 고정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투명 LED 필름이 뒤틀리는 등 변형되었다. 게다가, 대면적의 유리 시트들 사이에 복수의 투명 LED 필름이 이격 배열된 경우, 유리 시트와 투명 LED 필름의 접합시, LED 필름의 뒤틀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접합 후 투명 LED 필름의 배열 상태가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리 시트 및 밀봉 부재에 대한 접착성뿐만 아니라 광학적 투명성을 가진 투명 접착층을 이용하여 복수의 투명 LED 필름을 유리 시트들 사이에 배열시킬 경우, 투명 LED 필름의 변형 및 정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제1 유리 시트, 투명 접착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밀봉 부재 및 제2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외부 창문이나 자동차의 전면 유리 등으로 적용되어 창문 자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나 영상을 제공하거나 조명이나 광고 수단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장시간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투명성의 저하 없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유리 시트 간의 접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접착층 때문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뒤틀림(distortion)이나 박리는 물론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열 불량(misalignment) 없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유리 시트에 부착시킬 수 있고, 나아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잘못 배열되더라도 쉽게 재배열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리 시트(100), 제2 유리 시트(2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LED 구동부(400), 제1 밀봉 부재(500) 및 제2 밀봉 부재(6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제1 유리 시트(100)는 유리(glas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투명 중합체를 함유하는 판 부재로, 무색 투명하거나, 또는 유색 투명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리 시트(100)는 가시광선에 대한 광 투과도가 85 %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리 시트(100)의 형상은 평면 형상이거나 또는 활과 같이 만곡된 형상, 즉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리 시트가 곡면 형상일 경우, 곡률 반경(R)이 약 0.2 내지 0.3 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제2 유리 시트(200)는 제1 유리 시트(100)에 대향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유리 시트(200)도 제1 유리 시트(100)와 마찬가지로, 유리(glas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투명 중합체를 함유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무색 투명하거나, 또는 유색 투명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리 시트(200)는 광 투과도가 85 %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리 시트는 제1 유리시트와 재질, 색상 및/또는 광 투과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유리 시트(200)의 형상은 평면 형상이거나 곡면 형상으로, 제1 유리 시트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리 시트가 곡면 형상일 경우, 곡률 반경(R)이 약 0.2 내지 0.3 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유리 시트와 제2 유리 시트 사이에 개재(介在)된 부분으로, 영상 및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3.0 이하의 황색도 지수(YI)값을 갖기 때문에, 외부 광이 입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 조립체의 시각적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1개일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LED 구동부에 설정된 화면 분할 방식에 따라 영상 신호가 분할되면, 하나의 큰 영상이 복수개의 분할 영상으로 생성되고, 이후 각 분할 영상은 각각의 대응되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투명 기재 필름(310), 투명 전극층(320),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330), 연성 인쇄회로기판(340), 및 투명 접착층(3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투명 기재 필름(310)은 투명 접착층(350)을 통해 제1 밀봉 부재(500)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1층 또는 복수층의 광투과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이 광투과성 고분자 필름은 전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광에 의해 상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 기재 필름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에 따르면, 투명 기재 필름(310)은 COP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여, 유리 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유리 조립체의 접합시 LED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투명 기재 필름이 변형되거나 또는 투명 전극층 부위에 크랙(crack)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응력(stress)으로 인해서 유리 시트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는 약 200 내지 300 ㎛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당해 유리 조립체가 장시간 외부 광에 노출되더라도 투명 기재 필름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투명 전극층(320)은 투명 기재 필름(310)의 일면 상에 배치된 부분으로, 발광다이오드(LED)(330)를 구동시킨다. 또, 투명 전극층(320)은 광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우수한 시각적 투명성을 갖는다.
이러한 투명 전극층(320)은 금속 나노 와이어(metallic nano wire),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메탈 메쉬(metal mesh),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극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로 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금속 나노 와이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나노 와이어, 니켈 나노 와이어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n2O3(Indium Oxide)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메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은(Ag) 메쉬, 금(Au) 메쉬, 구리(Cu) 메쉬, 알루미늄(Al) 메쉬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은 나노 와이어, 구리 메쉬(copper mesh) 및 은 메쉬(silver mesh)는 전도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ITO 및 IZO는 비저항값이 낮고 저온에서 증착이 가능하며, 가시광선의 광 투과도가 높다.
일례에 따르면, 투명 전극층(320)은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메쉬 및 은 메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극 재료로 형성된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 패턴의 선폭(width) 및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회로 패턴이 약 5 내지 15 ㎛의 선폭(width) 및 약 0.2 내지 1㎛의 두께를 가질 경우, 투명 전극층(120)은 약 0.5 내지 3 Ω/sq.의 면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투명 전극층(320)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400 내지 700㎚의 파장)에서 약 70 내지 80 %의 광투과율 및 약 8 내지 15%의 광반사율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유리 조립체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광투과율이 70 % 이상이면서,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경우, 투명 전극층(320)에 의해 시야가 차단되지 않고, 내부나 외부로부터 투시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또한 외관 특성, 전기전도성 및 시각적 투명성도 더 향상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관계식 1에서,
T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당해 유리 조립체의 광투과율이고,
Rs는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임)
일례에 따르면, 유리 조립체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광투과율이 70 % 이상이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한다. 이 경우, 유리 조립체는 전기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낮고 발열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투명성도 확보되어 문자나 영상을 보다 더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관계식 2]
Figure pat00002
(상기 관계식 2에서,
T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당해 유리 조립체의 광투과율이고,
Rs는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임)
이와 같은 투명 전극층(320)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전극층(320)은 투명 기재 필름(310) 상에 전술한 전극 재료를 코팅한 다음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또는 마스크 및 에칭 공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 재료로 된 회로 패턴은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 필름(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330)는 투명 전극층(320) 상에 실장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점멸하는 발광체이다. 이러한 LED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동영상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LED(330)는 당 기술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LED(330)의 색상은 적색(R) LED, 녹색(G) LED, 청색(B) LED 등의 단색 LED일 수 있고, 또는 R, G의 2색 LED나 R, G, B의 3색 LED일 수 있다. 다만, 각각의 LED(330)가 R, G, B의 3색 LED일 경우, 다양한 색상을 가진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LED(330)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실장 방법을 통해 투명 전극층(3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전극층(320) 중 적어도 일부에 은(Ag)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패드(pad)(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는 저온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정을 이용하여 패드(미도시됨)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발광다이오드는 솔더(solder)를 통해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340)은 투명 전극층(320)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부 상에, 구체적으로 투명 전극층(320)의 엣지부에 위치한 패드(미도시됨) 상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투명 전극층(320)과 LED 구동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연성 인쇄회로기판(340)을 통해 LED 구동부(400)가 LED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 인쇄회로기판(340)은 일부가 투명 전극층(320) 상에 접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LED 구동부(400)와 접한다. 이 때문에,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일정 길이를 갖는 스트립(strip)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는 약 10 내지 150 ㎜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성 인쇄회로기판(340)은 1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다만, 연성 인쇄회로기판(340)이 투명 전극층(320) 엣지부의 많은 부분에 배치될 경우, 유리 조립체의 접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전극층의 엣지부 길이(L)에 대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폭(W)의 비율이 약 0.1 내지 0.5 범위가 되도록 각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폭(W)은 n개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폭(W1)을 합한 것(n×W1)으로, 이때 각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투명 접착층(350)은 투명 기재 필름(310)의 타면 상에 배치되어 제1 밀봉 부재(500)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투명 기재 필름(310)을 제1 밀봉 부재(500)에 부착시킨다. 이때, 투명 접착층(350)은 투명 기재 필름(310)의 전면(全面)이나 일부 표면(예, 투명 기재 필름의 테두리부나, 각각의 코너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접착층(35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투명 접착층(350)은 아크릴계 접착제 및 실리콘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투명 접착층(350)은 투명 기재 필름에 대해서는 접착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제1 밀봉 부재에 대해서는 점착(즉,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기재 필름에 대한 투명 접착층의 박리 강도는 상기 제1 밀봉 부재에 대한 투명 접착층의 박리 강도보다 크다. 예컨대, 투명 접착층(350)은 투명 기재 필름(예, PET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가 밀봉 부재(예, PVB 수지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보다 약 16 내지 60 배,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50 배 정도 클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투명 접착층은 ASTM D3330 시험법에 따른 투명 기재 필름(바람직하게, PET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가 1000±200 gf/25㎜이기 때문에, 투명 기재 필름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투명 접착층(350)은 ASTM D3330 시험법에 따른 밀봉 부재(바람직하게, PVB 수지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가 약 20 내지 50 gf/25㎜이기 때문에, 제1 밀봉 부재에 부착됨을 물론 물리적인 손상 없이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제1 밀봉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이때, 투명 접착층(350)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약 94 % 이상의 광투과율 및 약 1.4 내지 1.5의 굴절률을 갖는다.
투명 접착층(35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20 내지 250 ㎛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의 투명 접착층(350)은 약 1.4 내지 1.5의 굴절률을 갖는다. 이로써, 투명 접착층(350)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차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 광이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LED 구동부(400)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의 연성 인쇄회로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문자나 영상의 전기 신호가 LED 구동부(400)에 수신되면, LED 구동부(400)는 수신된 전기 신호에 따라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내 복수의 LED(330)로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LED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on-off된다. 이로써,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는 단색 또는 다색의 영상 또는 문자를 표시하고, 나아가 움직이는 동영상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LED 구동부(400)는 당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LED 구동부(400)는 전원부(예, 전압 레귤레이터 등), 신호 인가부(예, 게이트드라이버 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인가부는 외부의 제어부(예, 마이크로컨트롤러 등)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예,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전원부를 통해 각 LED(3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한다. 이로써,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내 복수의 LED(330)의 on-off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제어되어 영상 또는 문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내 각각의 LED(330)가 R, G, 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LED 구동부(400)는 각 LED의 R, G, B 조합을 각각 그룹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가진 영상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LED 구동부(400)의 구성 요소 및/또는 제어 방식은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제1 밀봉 부재(500)는 제1 유리 시트(100)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제1 유리 시트(100)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를 밀봉하면서, 제1 유리 시트(100)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 제1 밀봉 부재(500)는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밀봉 부재(500)는 제1 유리 시트(1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밀봉 부재(500)는 제1 유리 시트(100)의 테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밀봉 부재(500)는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외부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한 고분자로 형성된다. 제1 밀봉 부재의 재료로는 PVB 수지(polyvinyl butyral resins), EVA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1 밀봉 부재는 PVB 수지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밀봉 부재는 제1 유리 시트(100)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외기를 차단하면서, 자외선(UV)을 약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제1 밀봉 부재(50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제1 밀봉 부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유리 시트들과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간의 접합 공정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압력이 가해져 투명 전극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광투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밀봉 부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밀봉 특성 및 외기 차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는 약 0.2 내지 0.8 ㎜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제2 밀봉 부재(600)는 제2 유리 시트(200)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봉 부재(600)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의 전면(全面) 상에 배치되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를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밀봉 부재(600)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의 LED를 보호하면서,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와 제2 유리 시트(200)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밀봉시킨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밀봉 부재(600)는 제2 유리 시트(200)의 테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밀봉 부재(600) 때문에, 제2 유리 시트(200)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밀봉 부재(600)는 제1 밀봉 부재(5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외부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한 고분자로 형성된다. 제2 밀봉 부재의 재료는 제1 밀봉 부재의 재료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일례로, 제2 밀봉 부재는 PVB 수지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밀봉 부재(600)는 제2 유리 시트(200)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외기를 차단하면서, 자외선(UV)을 약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제2 밀봉 부재(600)의 두께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내 LED(330)의 높이에 따라 조절한다. 다만,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LED(330)를 보호함과 동시에, 광투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발광다이오드(LED)의 높이(H1)에 대한 제2 밀봉부재 두께(D1)의 비율(D1/H1)이 1.5 내지 2.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20)는 제1 유리 시트(100), 제2 유리 시트(2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LED 구동부(400), 제1 밀봉 부재(500), 제2 밀봉 부재(600) 및 프레임부(700)를 포함한다.
제1 유리 시트(100), 제2 유리 시트(2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LED 구동부(400), 제1 밀봉 부재(500) 및 제2 밀봉 부재(60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프레임부(700)는 제1 유리 시트(100)와 제2 유리 시트(200)의 테두리부에 배치되어 제1 유리 시트(100)와 제2 유리 시트(200)를 고정시켜준다. 이러한 프레임부(700)는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프레임부(700)의 개구부에 제1 유리 시트(1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및 제2 유리 시트(2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의 연성 인쇄회로기판(340) 일부와 LED 구동부(400)는 프레임부(700)의 내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프레임부(700)의 재료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 폴리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 나무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창틀을 형성하는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제1 유리 시트(100), 제2 유리 시트(2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LED 구동부(400), 제1 밀봉 부재(500), 제2 밀봉 부재(600), 제3 유리 시트(800) 및 스페이서(90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리 시트(100), 제2 유리 시트(2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00), LED 구동부(400), 제1 밀봉 부재(500) 및 제2 밀봉 부재(60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고, 프레임부(700)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유리 조립체에서, 제3 유리 시트(800)는 제2 유리 시트(200)와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3 유리 시트(800)도 제1 유리 시트(100)와 마찬가지로, 유리(glas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투명 중합체를 함유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무색 투명하거나, 또는 유색 투명할 수 있다. 제3 유리 시트는 제1 및 제2 유리시트와 재질, 색상 및/또는 광 투과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제3 유리 시트(800)는 로이 유리(Low-E glass)일 수 있다. 여기서, 로이 유리(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810),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금속막(바람직하게, 은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로이 유리를 제3 유리 시트(800)로 사용할 경우, 금속막으로 인해 건축물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열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제3 유리 시트(800)의 형상은 평면 형상이거나 곡면 형상으로, 제1 및 제2 유리 시트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유리 시트(800)가 곡면 형상일 경우, 곡률 반경(R)이 약 0.2 내지 0.3 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 조립체에서, 스페이서(900)는 제2 유리 시트(200)와 제3 유리 시트(8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제2 및 제3 유리 시트(200, 8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900)로 인해 제2 유리 시트(200)와 제3 유리 시트(800)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스페이서(900)는 제2 및 제3 유리 시트(200, 80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평면상으로 볼 때 매트릭스 배열(matrix arrangement)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가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경우, 제2 및 제3 유리 시트(200, 800)의 가장자리부와 중앙부 간의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의 제조
PET 필름 기재(크기: 500㎜×600㎜, 두께: 250 ㎛)의 일면에, 마스크 및 에칭 공정을 통해 구리 메쉬(copper mesh)로 회로 패턴(선폭: 15 ㎛)을 형성하여 투명 전극층(면저항: 약 1 Ω/sq.)을 형성하였다. 이후,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통해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은(Ag) 솔더를 형성한 후, 저온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정을 이용하여 각 은(Ag) 솔더에 복수의 LED(높이: 약 1 ㎜)를 실장하였다. 이후, ACF 본딩(anisotropic conductive film bonding) 공정을 통해 상기 투명 전극층의 일 엣지부에 FPCB를 접합한 다음, PET 필름 기재의 타면에 실리콘 점착제인 OCA 필름(성진글로벌社, 모델명: S_OAHM)을 라미네이팅하여 투명 접착층(두께: 100 ㎛)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1-2. 유리 조립체의 제조
제1 유리판 위에, 제1 PVB 수지 필름(두께: 0.76 ㎜),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 제2 PVB 수지 필름(두께: 1.52 ㎜) 및 제2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130 ℃에서 11.5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유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1 PVB 수지 필름에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의 투명 접착층이 접하였다.
[비교예 1]
1-1.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PET 필름 기재의 타면에 OCA 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1-2. 유리 조립체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사용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 대신 비교예 1-1에서 제조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유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리 조립체의 광학 특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리 조립체의 광학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295~2500 ㎚의 파장에서 유리 조립체의 광투과도(transmittance)와 광반사율(reflectance) 뿐만 아니라, 표 1, 2에 기재된 각 시험 항목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와 도 5~6에 나타내었다. 이때, 550nm에서의 황색도지수(YI)는 ASTM E313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TT(%) Vis T(%) Vis R(%) TE(%) RE(%)
실시예 1 69.34 69.24 16.32 54.34 14.61
비교예 1 69.42 69.3 16.09 54.49 14.33
* TT: total transmittance
* Vis T: visible transmittance
* Vis R: visible reflectance
* TE: solar energy transmittance
* RE: solar energy Reflectance
투과 L* 투과 a* 투과 b* 반사 L* 반사 a* 반사 b* Haze YI
실시예 1 86.62 - 1.67 2.96 47.4 4.36 6.13 2.14 5.82
비교예 1 86.65 - 1.79 2.94 47.09 4.4 5.97 2.75 5.75
표 1, 2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유리 조립체는 비교예 1의 유리 조립체와 광학적 특성이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투명 접착층 때문에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유리 조립체의 물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리 조립체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광투과도(transmittance):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550 ㎚)에서의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2) 면저항: 비접촉식 면저항 측정기(NAGY, 모델명: SRM-12)를 이용하여 유리 조립체 내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값을 측정하였다.
3) 소비 전력: 0.5 mA의 인가 전류 및 12 V의 인가 전압에서 LED 전체 Full white조건하에서 유리 조립체의 최대 소비 전력을 계산하였다.
4) 발열온도: 0.5 mA의 인가전류 및 5V의 인가 전압에서 LED 전체 Full white 조건하에서 적외선 온도 카메라(FLIR, 모델명: T640)를 이용하여 유리 조립체 내 유리 시트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광투과도(T)
(%)
면저항(Rs)
(Ω/sq.)
T/Rs 소비 전력(W/㎡) 발열온도(℃)
실시예 1 70.5 1 70.5 48.6 28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유리 조립체는 광투과도가 70 % 이상이었고, 면저항값은 1 Ω/sq.로, 관계식 1 뿐만 아니라, 관계식 2도 만족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립체는 면저항이 낮아 소비 전력 및 발열량도 낮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투명성도 확보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 내 투명 접착층의 물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 내 투명 접착층의 물성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박리 강도: ASTMD3330 시험법에 따라 투명 기재 필름(PET 필름)에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의 투명 접착층[OCA 필름(성진글로벌社, S_OAHM)]을 부착한 다음, 투명 기재 필름으로부터 투명 접착층이 박리되는 시점을 측정하였다. 또한, 투명 기재 필름 대신 밀봉부재(PVB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PVB 수지 필름 대한 투명 접착층의 박리 강도도 측정하였다.
2) 황색도(yellowness index, YI): 85℃/85RH% 시험 조건에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의 투명 접착층을 500 시간 동안 노출한 다음,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550 nm에서의 황색도를 ASTM E313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3) 광투과도: 85℃/85RH% 시험 조건에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의 투명 접착층을 500 시간 동안 노출한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550 ㎚)에서의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4) 헤이즈: 85℃/85RH% 시험 조건에서 투명 발광 다이오드 필름의 투명 접착층을 500 시간 동안 노출한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투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gf/25㎜) 황색도 광투과도(%) 헤이즈(%)
PET 필름 PVB 수지 필름
실시예 1 1,000 20 1.0 이하 94% 1.0 이하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유리 시트, 200: 제2 유리 시트,
300: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310: 투명 기재 필름,
320: 투명 전극층, 330: 발광다이오드(LED),
340: 연성 인쇄회로기판, 350: 투명 접착층,
400: LED 구동부, 500: 제1 밀봉 부재,
600: 제2 밀봉 부재, 700: 프레임부,
800: 제3 유리 시트, 900: 스페이서

Claims (24)

  1. 제1 유리 시트;
    상기 제1 유리 시트에 대향 배치된 제2 유리 시트;
    상기 제1 유리 시트와 제2 유리 시트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
    상기 제1 유리 시트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밀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기재 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된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
    상기 투명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전극층과 상기 LED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및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의 타면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을 제1 밀봉 부재에 부착시키는 투명 접착층
    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를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유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황색도지수(YI)값이 3.0 이하인, 유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필름은 20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 고분자 필름인, 유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금속 나노 와이어(metallic nano wire), 투명 전도성 산화물, 메탈 메쉬(metal mesh),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극 재료로 형성된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메쉬(cupper mesh), 및 은 메쉬(silver mes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극 재료로 형성된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0.5 내지 3 Ω/sq의 면저항을 갖는, 유리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70 내지 80%의 광투과율 및 8 내지 15%의 광반사율을 갖는 유리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70 %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면서,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유리 조립체:
    [관계식 1]
    Figure pat00003

    (상기 관계식 1에서,
    T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당해 유리 조립체의 광투과율이고,
    Rs는 상기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임)
  10. 제6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70 %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유리 조립체:
    [관계식 2]
    Figure pat00004

    (상기 관계식 2에서,
    T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당해 유리 조립체의 광투과율이고,
    Rs는 상기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는 10 내지 150 mm인, 유리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의 엣지부 길이(L)에 대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폭(W)의 비율(W/L)은 0.1 내지 0.5인, 유리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필름에 대한 투명 접착층의 박리 강도는 상기 제1 밀봉 부재에 대한 투명 접착층의 박리 강도보다 큰 것인, 유리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94 %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갖는, 유리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은 굴절률이 1.4 내지 1.5인, 유리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및 실리콘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20 내지 250 ㎛인, 유리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높이(H1)에 대한 상기 제2 밀봉부재 두께(D1)의 비율(D1/H1)은 1.5 내지 2.5인, 유리 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재의 두께는 0.2 내지 0.8 mm인, 유리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 시트 및 제2 유리 시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평면 형상 또는 곡면 형상인, 유리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은 곡률 반경(R)이 0.2 내지 0.3 m인, 유리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에 제1 유리 시트,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제2 유리 시트가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제3 유리 시트; 및
    상기 제2 유리 시트와 제3 유리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제2 유리 시트와 제3 유리 시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리 시트는 로이 유리(Low-E glass)인, 유리 조립체.
KR1020180060542A 2018-05-28 2018-05-28 유리 조립체 KR20190135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42A KR20190135272A (ko) 2018-05-28 2018-05-28 유리 조립체
PCT/KR2019/006319 WO2019231192A1 (en) 2018-05-28 2019-05-27 Glass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42A KR20190135272A (ko) 2018-05-28 2018-05-28 유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72A true KR20190135272A (ko) 2019-12-06

Family

ID=6869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42A KR20190135272A (ko) 2018-05-28 2018-05-28 유리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5272A (ko)
WO (1) WO20192311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432A (ko) 2020-02-10 2021-08-19 이영호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KR102626332B1 (ko) * 2023-05-22 2024-01-19 글람 주식회사 접합유리형의 투명 전광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9775A (zh) * 2021-04-23 2021-07-16 大连集思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夹胶法的led智能玻璃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14999337A (zh) * 2022-05-06 2022-09-02 莱特泰克(昆山)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透光率和高分辨率的led光电玻璃及其制作方法
WO2023249823A1 (en) * 2022-06-23 2023-12-28 Corning Incorporated Displays with reduced edge light leak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536B2 (en) * 2011-05-10 2015-06-0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TWM420555U (en) * 2011-08-26 2012-01-11 Polytron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display structure
US9535293B2 (en) * 2014-06-16 2017-0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eale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KR20180012679A (ko) * 2016-07-27 2018-02-06 현상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9145B1 (ko) * 2017-03-24 2017-10-23 주식회사 에스오엘 투명한 디스플레이용 led 전광 판넬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432A (ko) 2020-02-10 2021-08-19 이영호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KR102626332B1 (ko) * 2023-05-22 2024-01-19 글람 주식회사 접합유리형의 투명 전광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192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5272A (ko) 유리 조립체
US11407204B2 (en) Laminated glazing with an electrically controllable device and manufacture
US20190001870A1 (en) Laminated vehicle windshield with internal luminous sign(s)
US20190001629A1 (en) Laminated vehicle windshield with internal luminous sign(s)
US20190193376A1 (en) Vehicular luminous laminated glazed roof, vehicle incorporating same and manufacture
KR20180022932A (ko) 일체화된 광 센서를 가지는 차량 복합 스크린
KR100899924B1 (ko) 투명한 표면 전극과 전자발광 조명 소자를 구비한 다층소자의 제조 방법
US20230417404A1 (en) Electrical device including substrate with electrically operable light source
US20160202801A1 (en) Capacitive touch panel
US20220250359A1 (en) Laminated glass
KR20200045913A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유리 조립체
WO2019231191A1 (en) Transparent light emitting diode film
CN113228144B (zh) 透明显示装置及移动体
KR20200045912A (ko)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CN211264843U (zh) 一种led透明显示屏
CN107690387B (zh) 用于为层压嵌装玻璃单元的电子部件提供电力的方法以及用于实施所述方法的层压嵌装玻璃单元
WO2021065616A1 (ja) 合わせガラス
KR20200062702A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CN109765713B (zh) 一种加固显控终端的制作方法
KR20200062703A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KR20210054883A (ko) 유리 조립체
KR20210085720A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KR102428505B1 (ko)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커버레이용 필름 세트 및 광원 모듈의 제조 방법
KR20200105141A (ko) 투명 디스플레이
CN206844477U (zh) 发光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