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883A - 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883A
KR20210054883A KR1020190141109A KR20190141109A KR20210054883A KR 20210054883 A KR20210054883 A KR 20210054883A KR 1020190141109 A KR1020190141109 A KR 1020190141109A KR 20190141109 A KR20190141109 A KR 20190141109A KR 20210054883 A KR20210054883 A KR 2021005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barrier layer
transparent
edg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장열
백지웅
Original Assignee
한국유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리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883A/ko
Publication of KR2021005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7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 조립체는, 제1 투명 기판, 상기 제1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투명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엣지부 전극,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엣지부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1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 기판, 상기 엣지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및 상기 제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을 덮는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과 대면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제1 배리어층 및 제2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조립체{GLASS ASSEMBLY}
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창문은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과 외부의 공기를 차단 및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닫힘 상태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열 흐름을 차단시켜서 냉, 난방 효과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건물의 유리 창문으로 LED가 삽입된 LED 전광 유리 조립체로 된 창문이 이용되고 있다. LED 전광 유리 조립체로 된 창문은 유리 창문의 고유한 기능을 해치지 않으면서 조명 효과나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LED 전광 유리 조립체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LED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 때, 유리판에 형성된 투명 전극층에 LED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유리 조립체의 투명 전극층의 엣지부에는 전극층과 구동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이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는 LED의 구동을 제어하여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유리판 사이에 LED가 삽입되어 있는 유리 조립체의 경우, 유리 조립체 사이에 배치된 LED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극이 수분 등에 의해 부식되어 손상될 수 있는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유리 조립체의 투명 전극층과 구동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의 경우, 유리 조립체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 부분에서 외기의 침투 가능성이 높아 이에 의해 전극층 등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수분 등에 의해 내부 전극층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조립체를 제공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 조립체는 제1 투명 기판, 상기 제1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투명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엣지부 전극,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엣지부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1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 기판, 상기 엣지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및 상기 제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을 덮는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과 대면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제1 엣지 배리어층 및 제2 엣지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조립체는,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기재 필름, 및 상기 투명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밀봉 부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금속 박막 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과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의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인출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 및 상기 슬릿으로 인출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의 최외측 층의 일부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와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의 최외측 층을 모두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과 제2 투명 기판의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와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과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에 접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 부재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 부재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 조립체는 외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내부의 전극 등이 부식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1의 III-III'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FPCB 연결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도 1의 III-III'에 따라 자른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도 1의 II-II'에 따라 자른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부식 상태를 평가한 후 전극층을 촬영한 사진이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도 1의 III-III'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FPCB 연결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리 조립체(100)는 제1 투명 기판(11), 제1 투명 기판(11)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투명 기판(12),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층(23), 투명 전극층(23)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LED, 20), 발광 소자(20)를 덮는 제1 밀봉 부재(51)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층(23) 및 발광 소자(20)가 투명 기재 필름(10)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때 투명 기재 필름(10)과 제1 투명 기판(11) 사이에는 제2 밀봉 부재(52)이 위치한다.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는 배리어층(600)이 배치되어 유리 조립체(100)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층(600)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금속 박막(62)과, 금속 박막(62)을 제1 및 제2 투명 기판(11, 12)의 측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층(61)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내구성 및 심미적 효과 향상을 위해 장식층(63)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층(600)은 특히, 투명 전극층(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엣지부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40)이 제1 및 제2 투명 기판(11, 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제1 엣지 배리어층(610)과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의 측면에 배리어층(600)을 구비하고, 특히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40)이 제1 및 제2 투명 기판(11, 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면상 가장자리 부분의 측면에서 2중으로 배리어층(600)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여 투명 전극층(23) 및 엣지부 전극(3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유리 조립체(100)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0)에서 제1 투명 기판(11)는 유리(glas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투명 중합체를 함유하는 판 부재로, 무색 투명하거나, 또는 유색 투명할 수 있다. 이 때, 제1 투명 기판(11)는 가시광선에 대한 광 투과도가 85% 이상일 수 있다.
제1 투명 기판(11)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투명 기판(12) 역시 제1 투명 기판(11)과 마찬가지로, 유리(glas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투명 중합체를 함유하는 판 부재로, 무색 투명하거나, 또는 유색 투명할 수 있다. 이 때, 제2 투명 기판(12)는 가시광선에 대한 광 투과도가 8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투명 기판(12)는 제1 투명 기판(11)와 재질, 색상 및/또는 광 투과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은 그 사이에 배치되어 영상 및 문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들, 즉, 투명 전극층(23), 발광 소자(20), 엣지부 전극층(30) 등을 보호하면서도, 창문 등으로 사용되는 용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0.5mm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 사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기재 필름(10), 투명 기재 필름(10) 상에 배치된 투명 전극층(23), 투명 전극층(23)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20), 투명 기재 필름(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투명 전극층(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엣지부 전극(30), 엣지부 전극(30)과 외부의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 필름(10)은 1층 또는 복수층의 광 투과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투명 기재 필름(10)은 전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광에 의한 상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기재 필름(10)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투명 기재 필름(10)은 COP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며, 유리 조립체(1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투명 기재 필름(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투명 기재 필름(1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유리 조립체(100)의 접합 시, 발광 소자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투명 기재 필름(10)이 변형되거나 또는 전극층 부위에 크랙(crack)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응력(stress)으로 인해서 제1 및 제2 투명 기판(11, 12)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투명 기재 필름(10)의 두께는 약 200 내지 300㎛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 조립체(100)가 장시간 외부 광에 노출되더라도 투명 기재 필름(10)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 조립체(100)에서, 투명 전극층(23)은 투명 기재 필름(1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20)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투명 전극층(23)은 광투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 광을 입사시킬 뿐만 아니라, 투명 전극층(23)이 형성된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또한 외관 특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0)는 우수한 시각적 투명성을 갖는다.
투명 전극층(23)은 금속, 금속 나노 와이어(metallic nano wire), 투명 전도성 산화물, 메탈 메쉬(metal mesh),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및 그래핀(grapheme)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나노 와이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나노 와이어, 니켈 나노 와이어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AZO(Aluminium Zinc Oxide), In2O3(Indium Oxide)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메쉬의 비제한적인 사용 예로는 은(Ag) 메쉬, 구리(Cu) 메쉬, 알루미늄(Al) 메쉬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은 나노 와이어, 구리 메쉬(copper mesh)와 은 메쉬(silver mesh)는 전도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ITO 및 IZO는 비저항값이 낮고 저온에서 증착이 가능하며, 가시광선의 광 투과도가 높다.
일례에 따르면, 투명 전극층(23)은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구리 메쉬 및 은 메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극 재료로 형성된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로 패턴의 선폭(width) 및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회로 패턴이 약 5 내지 15㎛의 폭(width)및 약 0.2 내지 1㎛의 두께를 가질 경우, 투명 전극층(23)은 약 0.5 내지 3 Ω/sq의 면저항을 갖는다.
투명 전극층(23)은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전극층(23)은 투명 기재 필름(10) 상에 전술한 전극 재료를 코팅한 다음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또는 마스크 및 에칭 공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 재료로 된 회로 패턴은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 필름(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 조립체(100)에서,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20)는 투명 전극층(23) 상에 실장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점멸하는 발광체이다. 이러한 발광 소자(20)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메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 동영상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발광 소자(20)는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발광 소자(20)의 색상은 적색(R), 녹색(G), 청색(B) 등의 단색 발광 소자(20)일 수 있고, 또는 R, G의 2색 발광 소자(20)나, R, G, B의 3색 발광 소자(20)일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소자(20)가 R, G, B의 3색 발광 소자(20)일 경우, 다양한 색상을 가진 문자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소자(20)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실장 방법을 통해 투명 전극층(2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데, 투명 전극층(23) 중 적어도 일부에 은(Ag)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패드(pad, 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20)는 저온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정을 이용하여 패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발광 소자(20)는 솔더(solder)를 통해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엣지부 전극(30)은 연성 인쇄회로 기판(40) 상의 배선(42)과 연결되어 투명 전극층(23)에 신호를 전달한다. 엣지부 전극(30)은 불투명할 수 있고, 투명 전극층(23)에 비해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전극층(23)을 구성하는 메탈 메쉬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패터닝된 메탈층일 수 있다. 또는 투명 전극층(23)이 투명 전도성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별도의 메탈층을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엣지부 전극(30)과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은 이방 전도성 접착층(미도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이방 전도성 접착층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이방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을 제한 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방 전도성 접착층은 수지 및 수지에 분산된 전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이방 전도성 접착층은 접착층의 두께 방향으로는 전기를 통하는 도전성을 가지고, 필름의 면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엣지부 전극(30)과 연성 인쇄회로 기판(40)과의 접착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아크릴 또는 에폭시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입자는 2 내지 20㎛의 평균 입경을 갖는 폴리머 코어 및 Ni, Au, Cu 및 Ag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40)은 이방 전도성 접착층 상에 배치되어, 엣지부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은 엣지부 전극(30)과 구동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40)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은 수지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의 배선으로는 구리, 주석 도금 구리, 니켈 도금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체로서는 박 형상의 도전성 금속이 바람직하다.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의 수지층으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은 1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다만,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이 투명 기재 필름(10)의 많은 부분에 배치될 경우, 유리 조립체(100)의 접합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기재 필름(10)의 엣지부 전체 길이(L)에 대한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의 전체 폭(W)의 비율이 약 0.1 내지 0.5 범위가 되도록 각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의 전체 폭(W)은 n개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폭(W1)을 합한 것(n×W1)으로, 이 때, 각 연성 인쇄회로기판(40)의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0)에서 제1 밀봉 부재(51)는 제2 투명 기판(12)와 유리 조립체(1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유리 조립체(1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밀봉 부재(51)는 유리 조립체(100)의 전면(全面) 상에 배치되어 유리 조립체(100)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밀봉 부재(51)는 유리 조립체(100)의 발광 소자(20)를 보호하면서, 유리 조립체(100)와 제2 투명 기판(12)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밀봉시킨다.
제1 밀봉 부재(51)는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외부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한 고분자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밀봉 부재(51)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밀봉 부재(51)는 PVB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밀봉 부재(51)는 제2 투명 기판(12)에 유리 조립체(100)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외기를 차단하면서, 자외선(UV)을 약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제1 밀봉 부재(51)의 두께는 유리 조립체(100) 내 발광 소자(20)의 높이에 따라 조절한다. 다만, 유리 조립체(100)의 발광 소자(20)를 보호함과 동시에, 광투과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발광 소자(20)의 높이(H1)에 대한 제1 밀봉 부재(51) 두께(D1)의 비율(D1/H1)이 1.5 내지 5 범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0)에서 제2 밀봉 부재(52)는 제1 투명 기판(11)와 유리 조립체(1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1 투명 기판(11)와 유리 조립체(100)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 제2 밀봉 부재(52)는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유리 조립체(1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밀봉 부재(52)는 제1 투명 기판(11)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봉 부재(52)는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고, 외부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한 고분자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봉 부재(52)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밀봉 부재(52)는 PVB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밀봉 부재(52)는 제1 투명 기판(11)에 유리 조립체(100)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외기를 차단하면서, 자외선(UV)을 약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제2 밀봉 부재(5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제2 밀봉 부재(52)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제1 투명 기판(11)과 유리 조립체(100) 간의 접합 공정시 유리 조립체(100)에 압력이 가해져 전극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광 투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2 밀봉 부재(52)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밀봉 특성 및 외기 차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밀봉 부재(52)의 두께는 0.2 내지 0.8 mm이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 부재(51)와 제2 밀봉 부재(52)는 유리 조립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20)가 배치된 영역의 측면까지도 밀봉 부재에 의해 덮일 수 있기 때문에, 외기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100)에서, 배리어층(600)은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측면은, 발광 소자(20)들이 배치된 평면에 대해 수직이면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밀봉 부재(51, 52)가 연결된 부분도 배리어층(60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면에서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 사이를 통해 외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조립체(100)의 평면 상에서, 엣지부 전극(30)과 여기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 배리어층(600)이 배치된다. 배리어층(600)은 금속 박막(62) 및 금속 박막(62)을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61)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박막(62)은 배리어 특성을 갖는 금속 재료라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박막일 수 있다. 금속 박막(62)의 두께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금속 박막(62)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배리어 특성이 약화되고, 너무 두꺼우면 쉽게 떨어지거나,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 박막(62)은 접착층(61)에 의해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61)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61)의 두께는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접착층(61)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접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두꺼우면, 접착제가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 영역 외로 넘치거나 묻어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 박막(62)의 외측에는, 금속 박막(62)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식층(63)이 더욱 위치할 수 있다. 장식층(63)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심미적인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식층(63)의 표면에는 요철이나 패턴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장식층(62)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층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 소재로 이루어진 수지층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조립체(100)의 평면 상에서, 엣지부 전극(30)과 여기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서는, 배리어층(600)이 2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에 가깝게 배치된 제1 엣지 배리어층(610) 및 에1 엣지 배리어층(610) 상에 형성된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은 제1 투명 기판(11), 제2 투명 기판(12),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밀봉 부재(51, 52)의 측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나,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슬릿(611)을 더욱 포함한다. 즉, 수직 단면상에서, 엣지부 전극(30)과 결합하여 연장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611)을 구비한다. 슬릿(611)을 통해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은, 제1 엣지 배리어층(611)의 외면, 즉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면을 따라 제1 투명 기판(11)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은 제1 엣지 배리어층(610) 상면에 더욱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의 외면(상면)을 따라 연장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의 일부를 함께 덮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의 접착층이, 수직 단면상 슬릿(611)의 상부에서는 제1 엣지 배리어층(610)에 접착하고, 슬릿(611)의 하부에서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에 접착한다.
이와 같이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1 투명 기판(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 조립체(100)와 결합한다. 도 4에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제1 투명 기판(11)의 하부면이다.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인출된 부분에서 배리어층(600)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연결된 부분을 통해 외기가 유리 조립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고, 이에 의해 엣지부 전극(30) 및 투명 전극층(23)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엣지 배리어층(610, 620)은 앞서 설명한 배리어층(600)과 동일하게 접착층(61), 금속 박막(62) 및 장식층(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그 구성은 배리어층(6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이 엣지부 전극(30) 및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서 2중으로 배리어층(6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우선 엣지부 전극(30) 및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 슬릿(611)을 포함하는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을 부착하고, 슬릿(611)을 통해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을 외측으로 인출한 후,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을 포함한 배리어층(600)을 전체 가장자리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슬릿(611)을 포함하는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을 포함한 배리어층(600)을 전체 가장자리에 부착한 후, 엣지부 전극(30) 및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만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을 더욱 부착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 및 그 사이의 영역이 배리어 특성을 갖는 금속 박막(62)을 포함하는 배리어층(600)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1 투명 기판(11)과 제2 투명 기판(12) 사이로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외기가 침투하여 전극들을 부식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의 인출부에서는 2중으로 배리어층(60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외기를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도 1의 III-III'에 따라 자른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엣지부 전극(30) 및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서 2중의 배리어층(600)의 구성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은, 제1 투명 기판(11)의 측면을 덮으면서, 제1 및 제2 밀봉 부재(51, 52)의 측면은,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인출되는 지점까지만 덮도록 형성된다. 즉, 유리 조립체(100) 측면의 전체 폭이 아닌,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인출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단면상 그 하부만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인출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단면상 그 상부만 덮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2 엣지 배리어층(620')은 제1 엣지 배리어층(6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및 제2 밀봉 부재(51, 52)의 측면 및 제2 투명 기판(12)의 측면과, 제1 엣지 배리어층(6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엣지 배리어층(610')에 별도의 슬릿 형성 없이 단지 제1 엣지 배리어층(610')의 폭을 조절하는 것 만으로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을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엣지부 전극(30) 및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서 2중으로 배리어층(600)을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성 인쇄회로 기판(40)이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에서 외기가 침투할 수 있는 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중첩하여 배리어층(600)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서, 도 1의 II-II'에 따라 자른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층(23)이 제1 투명 기판(11) 상에 직접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투명 기재 필름의 구성을 생략하고, 투명 전극층(23)을 제1 투명 기판 상에 직접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발광 소자(20)를 배치하는 것으로도, 유리 조립체(100')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발광 소자(20)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밀봉 부재의 구성도 함께 생략이 가능하여,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유리 조립체(100')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
PET 필름 기재(크기: 500mm×600mm, 두께: 250㎛)의 일면에, 마스크 및 에칭 공정을 통해 구리 메쉬(copper mesh)로 회로 패턴(선폭: 15㎛)을 형성하여 전극층(면저항:약 1Ω/sq)을 형성하였다. 엣지부 전극층은 구리 라인으로 회로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후,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전극층 상에 은(Ag) 솔더를 형성한 후, 저온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법을 이용하여 각 은(Ag) 솔더에 복수의 LED(높이:약 1mm)를 실장하였다. LED가 실장되지 않은 전극층의 엣지부에 이방 전도성 접착층(TGP20520AG, H&S사 제조)을 형성하고, 이방 전도성 접착층 상에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을 적층하였다. 이후, 보호 접착층(실리콘 에폭시 접착층/PET 2층)을 적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였다.
1-2. 유리 조립체의 제조
제1 투명 기판 (한국유리공업사의 두께 5mm의 유리 기판) 위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투명 디스플레이, PVB 수지 필름(두께 1.52m, Kuraray Butatcite) 및 제2 투명 기판(제1 투명 기판과 동일)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130℃에서 11.5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접합시켰다.
얻어진 조립체의 측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층/알루미늄 포일층/폴리우레탄 수지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엣지 실 테이프(EdgeSealPLUS, 등록상표, SWM INTL사 제)를 부착하였다. 특히,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외측으로 인출된 부분에서는, 도 3의 구조와 동일하게, 슬릿을 형성한 엣지 실 테이프를 1차 부착하여 슬릿으로 연성 인쇄회로 기판을 통과시킨 후, 2차로 나머지 부분과 함께 엣지 실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유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마지막에 엣지 실 테이프를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부식상태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유리 조립체를 85℃의 상대 습도 85%의 환경에서 12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전극의 부식 상태를 관찰하였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부식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기 위해 엣지부 전극을 촬영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도 7a)에서는 전극에 부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2(도 7b)에서는 전극이 심하게 부식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투명 기재 필름
11: 제1 투명 기판
12: 제2 투명 기판
51: 제1 밀봉 부재
52: 제2 밀봉 부재
20: 발광 소자
23: 투명 전극층
30: 엣지부 전극
40: 연성 인쇄회로 기판
100: 유리 조립체
600: 배리어층
61: 접착층
62: 금속 박막
63: 장식층
610: 제1 엣지 배리어층
620: 제2 엣지 배리어층

Claims (12)

  1. 제1 투명 기판,
    상기 제1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투명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엣지부 전극,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1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 기판,
    상기 엣지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PCB), 및
    상기 제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을 덮는 배리어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과 대면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제1 엣지 배리어층 및 제2 엣지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기재 필름, 및
    상기 투명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투명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밀봉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금속 박막 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과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의 구성은 동일한, 유리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인출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 및 상기 슬릿으로 인출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덮는, 유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의 최외측 층의 일부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와 접착하는, 유리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의 최외측 층을 모두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투명 기판의 측면과 제2 투명 기판의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와 접착하는, 유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엣지 배리어층은 상기 제1 엣지 배리어층과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 기판에 접착하는, 유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부재는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이오노플라스트 폴리머(Ionoplast polymer),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COP) 및 폴리우레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KR1020190141109A 2019-11-06 2019-11-06 유리 조립체 KR20210054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09A KR20210054883A (ko) 2019-11-06 2019-11-06 유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09A KR20210054883A (ko) 2019-11-06 2019-11-06 유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83A true KR20210054883A (ko) 2021-05-14

Family

ID=7591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109A KR20210054883A (ko) 2019-11-06 2019-11-06 유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8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1314A1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luminescent light
KR100885894B1 (ko) Led 발광 장치의 플래인 구조체
JP705171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乗り物のウィンドシールド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乗り物並びに前記ウィンドシールドの製造
KR20190135272A (ko) 유리 조립체
KR100618943B1 (ko)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엘이디
US20190193376A1 (en) Vehicular luminous laminated glazed roof, vehicle incorporating same and manufacture
KR100899924B1 (ko) 투명한 표면 전극과 전자발광 조명 소자를 구비한 다층소자의 제조 방법
JP2010527506A (ja) 一体化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構造体を有するラミネート化ガラスエレメント、好ましくはラミネート化安全ガラスエレメント
TW200835386A (en)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10525504A (ja) 光出力装置
CN109585629A (zh) 一种透明薄膜组成的led显示屏及其制作方法
JPH0626765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パネルの製造方法
KR20200045913A (ko)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유리 조립체
CN111403570A (zh) 一种带保护层的柔性透明显示屏及安装方法
KR20180012679A (ko)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31191A1 (en) Transparent light emitting diode film
KR20200045912A (ko)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CN111047993A (zh) 一种可弯曲透明led显示屏及加工方法
TW202038199A (zh) 透明顯示裝置及移動體
JPH08171988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051643B1 (ko)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0779950B1 (ko)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KR20210054883A (ko) 유리 조립체
JP2008139606A (ja) 表示装置
KR102595339B1 (ko) 투명 디스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