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927A -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927A
KR20190134927A KR1020180056215A KR20180056215A KR20190134927A KR 20190134927 A KR20190134927 A KR 20190134927A KR 1020180056215 A KR1020180056215 A KR 1020180056215A KR 20180056215 A KR20180056215 A KR 20180056215A KR 20190134927 A KR20190134927 A KR 2019013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shift
dial
signa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038B1 (ko
Inventor
김용익
이창현
김범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038B1/ko
Priority to US16/169,832 priority patent/US20190353241A1/en
Priority to DE102018218689.8A priority patent/DE102018218689A1/de
Priority to CN201811365439.9A priority patent/CN110500398A/zh
Publication of KR2019013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927A/ko
Priority to US16/846,056 priority patent/US202002405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7/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B60K2370/12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1Actuators providing feel or simulating a shift gate, i.e. with active force generation for providing counter forces for feed 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다이얼(20)과 P단을 선택하는 변속버튼(50)이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변속다이얼(20)을 이용한 R단에서 D단으로의 변속조작 또는 D단에서 R단으로의 변속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함과 더불어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목표 변속단 레인지의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자동변속기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압회로, 유성기어 및 마찰요소들을 사용하여 기어비를 만들어내며, 이러한 구성부품들의 제어는 변속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서 담당한다.
차량용 전자식 변속시스템인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이하 SBW라 한다) 시스템은 기존의 기계식 변속시스템과는 달리 변속기와 변속레버간에 케이블과 같은 기계적인 연결구조가 없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으로, 전자식 변속레버 또는 버튼 또는 다이얼의 조작시 발생된 센서값이 변속제어기(TCU)에 전달되면, TCU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가 동작하고,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변속단별 유압회로에 유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됨으로써,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수행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BW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는 전자식 변속레버 또는 버튼 또는 다이얼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운전자의 변속의지를 TCU에 전기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전진(D) 및 후진(R), 중립(N) 및 파킹(P) 레인지 등으로의 변속조작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변속레버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자식 변속시스템에서 변속조작을 행하는 방법은 크게 레버를 이용하는 레버타입과 버튼을 이용하는 버튼타입 및 다이얼을 이용하는 다이얼타입이 있다.
종래의 다이얼타입 전자식 변속조작장치는 다이얼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P단,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이 선택되는 구조로, 즉 P단과 N단 사이에 R단이 위치하는 구조인 바, 따라서 D단에서 R단으로 변경시 조작미숙으로 다이얼을 P단까지 회전시킬 우려가 높고, 이럴 경우 차량의 급정거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P단과 N단 사이에 R단이 위치함에 따라 D단에서 R단으로 변경시 운전자는 P단까지 다이얼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항상 신경을 써야하기에 조작에 따른 피로감이 가중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24197호
본 발명은 다이얼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을 선택하고, 변속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로서, R단에서 D단 또는 D단에서 R단으로 변속 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는, 메인하우징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영구자석이 결합된 변속다이얼; 상기 메인하우징에서 영구자석과 대면하게 설치된 것으로 변속다이얼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속단을 인식하고 인식된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메인PCB; 상기 변속다이얼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버튼; 및 상기 변속다이얼에 결합된 것으로 변속버튼의 동작시 발생한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서브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PCB상에 위치하고 접점이 구비되며 접점의 위에 변속버튼이 안착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버튼의 동작으로 탄성패드에 구비된 접점이 서브PCB에 접촉시 서브PCB는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탄성패드에 구비된 접점이 서브PCB에 접촉할 때에 서브PCB는 P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PCB는 변속다이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라 R단, N단, D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버튼에 결합되고 서브PCB의 제어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것으로 P단으로 변속단 변경시 점등되고 P단에서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시 소등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다이얼은 메인하우징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PCB와 대면하도록 영구자석이 결합된 노브하우징; 및 상기 노브하우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다이얼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 및 변속다이얼에 결합되면서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변속다이얼의 회전 조작시 절도감을 부여하는 디텐트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텐트기구는 변속다이얼에 구비된 디텐트보스; 상기 변속다이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에 결합된 디텐트핀; 상기 메인하우징에 고정되고 디텐트핀의 선단과 접촉하며 디텐트핀과 접촉하는 면에 변속단 변경을 위한 그루브홈이 형성된 디텐트블록; 및 상기 디텐트핀의 선단이 항상 그루브홈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루브홈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모양으로 형성되되 중간에 위치한 중간산의 좌우측으로 동일 깊이의 좌측골과 우측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골과 우측골은 각각 좌측경사면과 우측경사면을 통해서 좌측산 및 우측산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경사면 및 우측경사면내에 중간산의 최고점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경사면상에 R단 포인트가 위치하고; 상기 우측경사면상에 D단 포인트가 위치하며; 상기 좌측골과 우측골에 각각 Nr단 포인트 및 Nd단 포인트가 위치하고; 상기 Nr단 포인트와 Nd단 포인트는 모두 Null단이면서 N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R단 포인트로 변경되거나 또는 R단 포인트를 경유한 다음 Nr단 포인트에 위치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에 변화가 없고 변속버튼이 누름 동작한 경우 PCB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D단 포인트로 변경되거나 또는 D단 포인트를 경유한 다음 Nd단 포인트에 위치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텐트기구는 메인하우징에 구비된 디텐트보스; 상기 변속다이얼을 향해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에 결합된 디텐트핀; 상기 변속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고 디텐트핀의 선단과 접촉하는 기어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플레이트; 및 상기 디텐트핀의 선단이 항상 기어치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의 회전이 없고 변속버튼이 누름 동작한 경우 PCB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는, 변속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의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다이얼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이 선택되며; 변속다이얼의 회전시 일방향 끝에 R단이 위치하고 타방향 끝에 D단이 위치하고 R단과 D단사이에 Null단이 위치하며; 변속다이얼을 Null단에서 R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ull단으로 셀프 리턴되고; 변속다이얼을 Null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ull단으로 셀프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ull단은 Nr단 및 Nd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변속다이얼을 R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 R단의 일측에 Nr단이 위치하고 Nr단의 일측에 Nd단이 위치하고 Nd단의 일측에 D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다이얼을 Nr단에서 R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r단으로 셀프 리턴되고; 상기 변속다이얼을 Nd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d단으로 셀프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변속다이얼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의 변속단이 선택되는 구성으로, 변속다이얼의 반 시계방향 끝에 R단이 위치하고 시계방향 끝에 D단이 위치함에 따라 변속다이얼을 이용한 R단에서 D단으로의 변속조작 또는 D단에서 R단으로의 변속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단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버튼이 다른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다이얼로부터 분리된 구성으로, 보다 안전하게 P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에 의해서 결정되는 변속패턴을 도표로서 정리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에 의해서 결정되는 변속패턴을 도표로서 정리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1)에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밑면에 영구자석(10)이 결합된 변속다이얼(20); 상기 메인하우징(1)에서 영구자석(10)과 대면하게 설치된 것으로 변속다이얼(20)의 회전시 영구자석(10)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속단(R,N,D단)을 인식하고 인식된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2,TCU)로 출력하는 메인PCB(60,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변속다이얼(20)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버튼(50); 및 상기 변속다이얼(20)에 결합된 것으로 변속버튼(50)의 동작시 발생한 변속단 신호(P단 신호)를 변속제어기(2)로 출력하는 서브PCB(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브PCB(30)상에 위치하고 접점(41)이 구비되며 접점(41)의 위에 변속버튼(50)이 안착되는 탄성패드(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버튼(50)의 동작으로 탄성패드(40)에 구비된 접점(41)이 서브PCB(30)에 접촉시 서브PCB(30)는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P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속다이얼(20)의 시계방향 회전은 일방향 회전과 동일한 의미이고, 변속다이얼(20)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타방향 회전과 동일한 의미이다.
메인하우징(1)은 콘솔에서 운전자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변속다이얼(20)과 변속버튼(50)은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1)의 상부면을 통해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변속다이얼(20)은 메인하우징(1)에 형성된 하우징축(1a)에 축회전(자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변속다이얼(20)의 윗면에 형성된 공간속에 노브브라켓(91)이 위치하되, 상기 노브브라켓(91)은 스크루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90)를 매개로 메인하우징(1)의 하우징축(1a)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노브브라켓(91)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공간이 구비되고, 노브브라켓(91)의 윗면에 형성된 공간속에 서브PCB(30)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서브PCB(30)의 위쪽으로 접점(41)을 구비한 고무재질의 탄성패드(40)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탄성패드(40)의 윗면에 변속버튼(50)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변속버튼(50)은 리테이너(51)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설치된다.
변속버튼(50)은 변속다이얼(2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바, 운전자가 변속버튼(50)을 눌러서 아래로 이동시키면 탄성패드(40)가 눌려지면서 접점(41)이 서브PCB(30)와 접촉하고, 눌러주고 있던 변속버튼(50)을 놓아주면 고무재질의 탄성패드(40)가 복원되면서 아래로 이동한 변속버튼(50)을 위로 이동시켜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되고, 변속버튼(50)이 위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접점(41)이 서브PCB(3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변속버튼(50)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41)이 서브PCB(30)와 접촉하게 되면 서브PCB(30)는 P단 신호를 변속제어기(2)로 출력하게 된다.
메인PCB(60)는 영구자석(10)과 대면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메인하우징(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메인PCB(60)는 변속다이얼(20)의 회전에 따라 영구자석(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화된 자속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통해서 선택된 변속단의 변경신호를 변속제어기(2)로 출력하게 되고, 변속제어기(2)는 메인PCB(50)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변속기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변속단별 유압회로에 유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됨으로써,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변속다이얼(20)의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의 회전시 R단, N단, D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변경되고, 변속버튼(50)의 누름 동작시 P단으로 변속단이 변경되는 것이 특징인 바, 이를 통해 변속다이얼(20)이 회전으로 R단에서 D단 또는 D단에서 R단으로 변속 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변속다이얼(20)을 이용한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변속버튼(50)에 결합되고 서브PCB(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서브PCB(30)의 제어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것으로 P단으로 변속단 변경시 점등되고 P단에서 다른 변속단(R,N,D단)으로 변경시 소등되는 조명기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명기구(70)는 반지와 같은 링모양으로 점등시의 불빛이 변속버튼(50)의 위쪽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변속버튼(50)은 버튼커버(80)에 의해 커버링되고, 버튼커버(80)는 변속다이얼(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따라서 변속버튼(50)은 버튼커버(80)에 의해서 위쪽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변속다이얼(20)은 다이얼노브(21) 및 노브하우징(2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 노브하우징(22)은 메인하우징(1)에 형성된 하우징축(1a)에 일방향(시계방향) 또는 타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노브하우징(22)에는 메인PCB(60)와 대면하는 영구자석(10)이 결합된다.
상기 다이얼노브(21)는 노브하우징(22)과 결합되어서 노브하우징(22)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다이얼노브(21)의 개방된 윗면 공간속에 노브브라켓(91)이 위치하고, 노브브라켓(91)은 결합부재(90)를 매개로 메인하우징(1)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노브브라켓(91)의 개방된 윗면 공간속에 서브PCB(30), 탄성패드(40)가, 변속버튼(50), 리테이너(51)가 안착되고, 변속버튼(50)의 위쪽으로 조명기구(70) 및 버튼커버(80)가 결합되고, 다이얼노브(21)가 결합된 노브하우징(22)은 메인하우징(1)에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노브하우징(22)에 영구자석(10)이 결합되고, 메인하우징(1)에 영구자석(10)과 대면하도록 메인PCB(60)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메인하우징(1) 및 변속다이얼(20)에 결합되고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운전자가 변속다이얼(20)의 회전 조작시 촉각으로 변속단 변경의 인지를 위해 절도감을 부여하는 디텐트기구(100,2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텐트기구(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100)가 구비된 경우 변속다이얼(20)의 동작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100)에 의해서 결정되는 변속패턴이 도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100)는 변속다이얼(20)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디텐트보스(110), 상기 변속다이얼(2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110)에 결합된 디텐트핀(120), 상기 메인하우징(1)에 고정되고 디텐트핀(120)의 선단과 접촉하며 디텐트핀(120)과 접촉하는 면에 변속단 변경을 위한 그루브홈(130)이 형성된 디텐트블록(140), 및 상기 디텐트핀(120)의 선단이 항상 그루브홈(130)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1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디텐트보스(110)는 변속다이얼(20)을 구성하는 노브하우징(22)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개수는 1개 또는 2개가 될 수 있고, 2개일 경우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디텐트블록(140)에 형성된 그루브홈(130)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모양으로 형성되되 중간에 위치한 중간산(131)의 좌우측으로 동일 깊이의 좌측골(132)과 우측골(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골(132)과 우측골(133)은 각각 좌측경사면(134)과 우측경사면(135)을 통해서 좌측산(136) 및 우측산(137)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경사면(134) 및 우측경사면(135)내에 중간산(131)의 최고점(T1)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100)는 좌측경사면(134)상에 R단 포인트(M1)가 위치하고, 상기 우측경사면(135)상에 D단 포인트(M2)가 위치하며, 상기 좌측골(132)과 우측골(133)에 각각 Nr단 포인트(M3) 및 Nd단 포인트(M4)가 위치하고, 상기 Nr단 포인트(M3)와 Nd단 포인트(M4)는 모두 Null단이면서 N단인 것이 특징이다.
변속다이얼(20)의 회전에 의해서 디텐트핀(120)의 선단은 R단 포인트(M1)와 D단 포인트(M2)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조(각도 A1)로, R단 포인트(M1)와 D단 포인트(M2)사이에 2개의 Null단 포인트(M3,M4)가 존재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디텐트기구(100)는 변속다이얼(20)의 회전 및 변속버튼(50)의 누름동작시 도 5와 같은 변속패턴을 갖는다.
Case 1 내지 Case 3은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변속다이얼(20)의 회전에 의해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Nd단 포인트(M4)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Nd단 포인트(M4)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r단 포인트(M3)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R단 포인트(M1)로 변경되거나 또는 R단 포인트(M1)를 경유한 다음 다시 Nr단 포인트(M3)에 위치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4 내지 Case 8은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Nr단 포인트(M3)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Nd단 포인트(M4)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R단 포인트(M1)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D단 포인트(M2)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에 변화가 없고 변속버튼(50)이 누름 동작한 경우 메인PCB(60)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9 내지 Case 11은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Nr단 포인트(M3)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Nr단 포인트(M3)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d단 포인트(M4)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D단 포인트(M2)로 변경되거나 또는 D단 포인트(M2)를 경유한 다음 다시 Nd단 포인트(M4)에 위치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12 내지 Case 13은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M3)에서 Nd단 포인트(M4)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디텐트핀(120)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M4)에서 Nr단 포인트(M3)로 변경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Case 3은 좌측경사면(134)과 디텐트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서 디텐트핀(120)이 R단 포인트(M1)를 경유한 다음 Nr단 포인트(M3)로 셀프 리턴되는 상황이고(도 4의 화살표 T1 참조), 상기 Case 11은 우측경사면(135)과 디텐트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서 디텐트핀(120)이 D단 포인트(M2)를 경유한 다음 Nd단 포인트(M4)로 셀프 리턴되는 상황이다(도 4의 화살표 T2 참조).
따라서, 변속다이얼(20)의 회전시 디텐트핀(120)이 R단 포인트(M1)를 경유한 다음 Nr단 포인트(M3)로 셀프 리턴되거나, 또는 D단 포인트(M2)를 경유한 다음 Nd단 포인트(M4)로 셀프 리턴되거나, 또는 Nr단 포인트(M3)와 Nd단 포인트(M4)를 이동할 때에 절도감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변속다이얼(20)의 회전에 따른 변속조작시 운전자는 촉각으로 변속단의 변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디텐트기구(2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200)가 구비된 경우 변속다이얼(20)의 동작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200)에 의해서 결정되는 변속패턴이 도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200)는 메인하우징(1)에 구비되고 변속다이얼(20)을 향해 돌출된 디텐트보스(210), 상기 변속다이얼(20)을 향해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210)에 결합된 디텐트핀(220), 상기 변속다이얼(20)의 밑면에 결합되게 구비된 것으로 변속다이얼(20)과 일체로 회전하고 디텐트핀(220)의 선단과 접촉하는 기어치(231)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플레이트(230), 및 상기 디텐트핀(220)의 선단이 항상 기어치(231)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200)는 변속다이얼(20)의 회전 및 변속버튼(50)의 누름동작시 도 9와 같은 변속패턴을 갖는다.
Case 21 내지 Case 23은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일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일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반 시계방향(타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24 내지 Case 26은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의 회전이 없고 변속버튼(50)이 누름 동작한 경우 메인PCB(60)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27 내지 Case 29는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변속다이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Case 30 내지 Case 33은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가 기준으로, 이 상태에서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시계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변속다이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메인PCB(60)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디텐트기구(200)를 구비한 경우 변속다이얼(20)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는 구성으로(도 8의 화살표 T11 참조), 특히 Case 22와 Case 24 및 Case 29와 Case 31은 변속다이얼(20)이 D단 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는 상황이고(도 8의 화살표 T12 참조), Case 23과 Case 25 및 Case 28과 Case 32는 변속다이얼(20)이 R단 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는 상황이다(도 8의 화살표 T13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변속다이얼(20)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의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버튼(50)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의 변속단이 선택되는 구성으로, 변속다이얼(20)의 반 시계방향 끝에 R단이 위치하고 시계방향 끝에 D단이 위치함에 따라 변속다이얼(20)을 이용한 R단에서 D단으로의 변속조작 또는 D단에서 R단으로의 변속조작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변속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단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버튼(50)이 다른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다이얼(20)로부터 분리된 구성으로, 보다 안전하게 P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메인하우징 2 - 변속제어기(TCU)
10 - 제1영구자석 20 - 변속다이얼
21 - 다이얼노브 22 - 노브하우징
30 - 서브PCB 40 - 탄성패드
41 - 접점 50 - 변속버튼
60 - 메인PCB 70 - 조명기구
80 - 버튼커버 90 - 결합부재
100,200 - 디텐트기구

Claims (20)

  1. 메인하우징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영구자석이 결합된 변속다이얼;
    상기 메인하우징에서 영구자석과 대면하게 설치된 것으로 변속다이얼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속단을 인식하고 인식된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메인PCB;
    상기 변속다이얼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변속버튼; 및
    상기 변속다이얼에 결합된 것으로 변속버튼의 동작시 발생한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서브PCB;를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PCB상에 위치하고 접점이 구비되며 접점의 위에 변속버튼이 안착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버튼의 동작으로 탄성패드에 구비된 접점이 서브PCB에 접촉시 서브PCB는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탄성패드에 구비된 접점이 서브PCB에 접촉할 때에 서브PCB는 P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PCB는 변속다이얼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라 R단, N단, D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속단 신호를 변속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다이얼은 메인하우징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PCB와 대면하도록 영구자석이 결합된 노브하우징; 및
    상기 노브하우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다이얼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및 변속다이얼에 결합되면서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변속다이얼의 회전 조작시 절도감을 부여하는 디텐트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기구는 변속다이얼에 구비된 디텐트보스;
    상기 변속다이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에 결합된 디텐트핀;
    상기 메인하우징에 고정되고 디텐트핀의 선단과 접촉하며 디텐트핀과 접촉하는 면에 변속단 변경을 위한 그루브홈이 형성된 디텐트블록; 및
    상기 디텐트핀의 선단이 항상 그루브홈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홈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모양으로 형성되되 중간에 위치한 중간산의 좌우측으로 동일 깊이의 좌측골과 우측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측골과 우측골은 각각 좌측경사면과 우측경사면을 통해서 좌측산 및 우측산과 연결되고;
    상기 좌측경사면 및 우측경사면내에 중간산의 최고점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좌측경사면상에 R단 포인트가 위치하고;
    상기 우측경사면상에 D단 포인트가 위치하며;
    상기 좌측골과 우측골에 각각 Nr단 포인트 및 Nd단 포인트가 위치하고;
    상기 Nr단 포인트와 Nd단 포인트는 모두 Null단이면서 N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R단 포인트로 변경되거나 또는 R단 포인트를 경유한 다음 Nr단 포인트에 위치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에 변화가 없고 변속버튼이 누름 동작한 경우 PCB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다음 계속해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D단 포인트로 변경되거나 또는 D단 포인트를 경유한 다음 Nd단 포인트에 위치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r단 포인트에서 Nd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디텐트핀의 포지션이 Nd단 포인트에서 Nr단 포인트로 변경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기구는 메인하우징에 구비된 디텐트보스;
    상기 변속다이얼을 향해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디텐트보스에 결합된 디텐트핀;
    상기 변속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고 디텐트핀의 선단과 접촉하는 기어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플레이트; 및
    상기 디텐트핀의 선단이 항상 기어치에 접촉하도록 디텐트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디텐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R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N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의 회전이 없고 변속버튼이 누름 동작한 경우 PCB는 P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D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1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1클릭 회전한 경우 PCB는 N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일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D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고;
    현재 변속단이 P단인 상태에서 변속다이얼이 타방향으로 2클릭 이상 회전한 경우 PCB는 R단 신호를 최종 변속단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8. 변속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서 P단의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다이얼의 회전조작을 통해서 R단, N단, D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이 선택되며;
    변속다이얼의 회전시 일방향 끝에 R단이 위치하고 타방향 끝에 D단이 위치하고 R단과 D단사이에 Null단이 위치하며;
    변속다이얼을 Null단에서 R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ull단으로 셀프 리턴되고;
    변속다이얼을 Null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ull단으로 셀프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Null단은 Nr단 및 Nd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변속다이얼을 R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 R단의 일측에 Nr단이 위치하고 Nr단의 일측에 Nd단이 위치하고 Nd단의 일측에 D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변속다이얼을 Nr단에서 R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r단으로 셀프 리턴되고;
    상기 변속다이얼을 Nd단에서 D단으로 회전시킨 후 놓아주면 변속다이얼은 스프링력에 의해서 Nd단으로 셀프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20180056215A 2018-05-16 2018-05-16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249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15A KR102497038B1 (ko) 2018-05-16 2018-05-16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US16/169,832 US20190353241A1 (en) 2018-05-16 2018-10-24 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DE102018218689.8A DE102018218689A1 (de) 2018-05-16 2018-10-31 Schaltsteuereinrichtung für elektronisches Schaltsystem
CN201811365439.9A CN110500398A (zh) 2018-05-16 2018-11-16 电子换挡系统的换挡控制装置
US16/846,056 US20200240515A1 (en) 2018-05-16 2020-04-10 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15A KR102497038B1 (ko) 2018-05-16 2018-05-16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927A true KR20190134927A (ko) 2019-12-05
KR102497038B1 KR102497038B1 (ko) 2023-02-08

Family

ID=6841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215A KR102497038B1 (ko) 2018-05-16 2018-05-16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90353241A1 (ko)
KR (1) KR102497038B1 (ko)
CN (1) CN110500398A (ko)
DE (1) DE10201821868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36A (ko) 2021-04-15 2022-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KR20220149985A (ko) 2021-05-03 2022-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US11739831B2 (en) 2020-08-28 2023-08-29 Hyundai Motor Company Dial-type shif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US11892076B2 (en) 2018-06-29 2024-02-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transmitting shift signal of electronic shif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6455B2 (ja) * 2018-11-09 2024-05-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0705616B2 (en) * 2018-11-14 2020-07-07 Ghsp, Inc. Selector dial for a vehicle that incorporates electric motor for defining reconfigurable magnetic detents
KR102200055B1 (ko) * 2019-08-20 2021-01-08 경창산업주식회사 다이얼 변속 레버 장치
CN114060502A (zh) * 2020-08-07 2022-02-18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子换档装置
KR20220039272A (ko) *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7323498B2 (ja) * 2020-09-23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ユニット
CN115303072A (zh) * 2022-08-09 2022-11-08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通用化副仪表板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97A (ja) 1999-10-29 2001-05-08 Kojima Press Co Ltd ダイヤル操作式の車両用変速機の操作制御装置
KR101438307B1 (ko) * 2013-02-27 2014-09-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US20160017983A1 (en) * 2014-07-18 2016-01-21 Dura Operating Llc Rotary gear shif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7707A1 (de) * 2007-08-09 2009-02-19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Gangwahlelement und zusätzlicher Parksperrenbetätigung
US10731750B2 (en) * 2017-03-09 2020-08-04 Kuster North America, Inc. Monostable rotary shifter
CN107023665A (zh) * 2017-04-14 2017-08-08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换挡方法
CN106907474A (zh) * 2017-04-14 2017-06-30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换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97A (ja) 1999-10-29 2001-05-08 Kojima Press Co Ltd ダイヤル操作式の車両用変速機の操作制御装置
KR101438307B1 (ko) * 2013-02-27 2014-09-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US20160017983A1 (en) * 2014-07-18 2016-01-21 Dura Operating Llc Rotary gear shif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2076B2 (en) 2018-06-29 2024-02-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transmitting shift signal of electronic shift system
US11739831B2 (en) 2020-08-28 2023-08-29 Hyundai Motor Company Dial-type shif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KR20220142636A (ko) 2021-04-15 2022-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US11746897B2 (en) 2021-04-15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control apparatus
KR20220149985A (ko) 2021-05-03 2022-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US11754177B2 (en) 2021-05-03 2023-09-12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18689A1 (de) 2019-11-21
CN110500398A (zh) 2019-11-26
US20190353241A1 (en) 2019-11-21
US20200240515A1 (en) 2020-07-30
KR102497038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927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US7421923B2 (en) Electronic gearshift structure for vehicle
KR102439105B1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EP1314916A2 (en) Shift lock device
KR10175585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1122333A (zh) 自动变速器的档位切换装置和方法
US20180172140A1 (en) Vehicle shift lever assembly
KR20170000718A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1704253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20100138521A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102166706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12797149B (zh) 电子换挡系统的旋钮式换挡控制设备
CN111664244B (zh) 旋钮式换挡杆设备
CN112793506A (zh) 旋钮式换挡设备的环境光装置
JP6641153B2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CN115289208A (zh) 电子换档控制装置
CN110259936B (zh) 旋钮式电子换挡器及汽车
KR20180045706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2478130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1704268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JP2009012624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20210041678A (ko) 차량용 변속버튼의 오조작 방지장치
KR2014013754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011681B1 (ko) 변속제어장치
KR20200106105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속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