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582A -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582A
KR20190134582A KR1020190154643A KR20190154643A KR20190134582A KR 20190134582 A KR20190134582 A KR 20190134582A KR 1020190154643 A KR1020190154643 A KR 1020190154643A KR 20190154643 A KR20190154643 A KR 20190154643A KR 20190134582 A KR20190134582 A KR 2019013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hydrophilic
complex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영
김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to KR102019015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582A/ko
Publication of KR2019013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親水性) 세라마이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가 포함된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 및 보습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기존의 리포좀 형태 또는 유화형태로 세라마이드를 가용화한 방법과 비교하여 녹일 수 있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수십배 내지 수백배까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Ceramides and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가 포함된 가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라마이드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계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팔미틸 스핑고신(N-palmityl sphingosine)이다. 세라마이드는 지방산 라디칼에 아미노그룹이 존재하는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세라마이드는 주로 세포막 구성 인지질의 일종인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SM)으로부터 스핑고마이엘리나제(sphingomyelinase: SMase)라는 효소의 가수분해 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피부 각질층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각질층의 주요 극성 지질 성분으로서, 수분과 함께 지질 2중막을 형성하여 항습 및 장벽기능을 갖게 하는 성분이다.
사람의 피부의 표면은 기저층으로부터 분화되어 성숙된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s) 가 퇴화된 각질세포(corneocytes)로 보호되어 있으며, 이들 각질 세포들은 각질층에 다량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의 이중 사슬 라멜라 구조에 의하여 피부표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세라마이드가 층상구조로 나란히 배열되고, 그 사이에 수분이 충진되어 유지됨으로써 이 층상 구조가 전체적인 장벽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피부의 노화가 진행될수록 각질층 내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 표면에 대한 각질세포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피부가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즉,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수분의 손실, 자외선이나 화학물질 등의 외부자극에의 노출, 각질세포 각리현상이 발생하면서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게 된다.
또한, 아토피성 습진, 피부염, 건선에서 공통적으로 비정상적인 세라마이드 수준(스핑고리피드 결핍)이 관찰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피부의 건강과 스핑고리피드의 관계는 매우 긴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전술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피부 중의 세라마이드 수준을 높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미 학계에서는 세라마이드를 외부에서 보충함으로써 피부의 라멜라 구조를 회복시켜 피부를 정상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고, 세라마이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보습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러한 효과가 알려짐에 따라 현재 세라마이드는 기능성 화장품, 피부 및 모발 보습제 등의 주요 성분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는 난용성 물질로 120 이상의 고온에서 유용성 물질에서만 용해가 되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화장품 원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정제수에는 그 용해도가 크게 떨어지므로 유화화장품, 화장수 등에는 전혀 이용할 수 없었고, 극성이 높은 유용성 물질에 용해가 되기는 하지만 유상 성분만으로는 화장료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세라마이드의 난용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레시틴을 고압의 유압장치(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리포좀화하는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이는 레시틴 막으로 형성된 아주 미세한 리포좀 안에 세라마이드를 캡슐레이션하여 함유시키는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 내 0.1-3.0중량% 정도밖에 함유되지 않아, 많은 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다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극성이 높은 용매를 사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통하여 유화하는 방법이 있으나, C12-14 알킬벤조에이트, 옥틸도데칸올과 같은 높은 극성 용매는 사용감이 좋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89886호(발명의 명칭 : 무복계면 스핑고리피드)에서는 난용성 물질로서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 100 중량부 및 친수성 부분에 붙어있는 알킬체인을 2개 이상 가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되, 상기 스핑고리피드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의 양은 10-200 중량부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스핑고리피드의 외곽을 무정형으로 둘러싸며 접착되어 있는 형태가 되어 유화타입으로 물에 녹아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가 붙어 있는 상기 스핑고리피드의 평균 직경이 0.5-30 ㎛이고, 그 크기의 평균범위가 직경기준 ±20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에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세라마이드의 수분산 문제를 거의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었으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사용감 측면에서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남아 있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인라인 믹서(in-line mixer)를 이용하여 제조한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구체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종류의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단일 종류의 세라마이드만 포함함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사용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인라인 믹서(in-line mixer)를 이용하여 제조한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구체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종류의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단일 종류의 세라마이드만 포함함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사용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親水性) 세라마이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가 포함된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친수성, 수용화, 녹인다 또는 녹여서’는 통상적인 용해, 유화, 리포좀 형태 및 KR 특허출원번호 10-2012-0027176(발명의 명칭 : 무복계면물질 및 무수무복계면물질의 제조방법), KR 특허출원번호 10-2012-0027177(발명의 명칭 : 리니어한 알킬체인을 가진 지방산을 포함하는 무수무목계면물질), KR 특허출원번호 10-2012-0027174(발명의 명칭 : 무복계면물질) 및 KR 특허출원번호 10-2012-0027175(발명의 명칭 : 무수무복계면물질) 에서 사용하는 무복계면물질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난용성’은 약리학적 활성 제제가 수성 용액 (예: 물, 생리식염수, 주사가능한 덱스트로스 용액 등) 중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USP/NF에서는 일반적으로 1 그램의 약물을 특정 온도에서(예: 1 g의 아스피린을 300 ml의 H2O, 5 ml의 에탄올 중에 25에서)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용적으로서 용해도를 표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 상기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EOP 0.0001-1 중량부, 세라마이드 NS 1-30 중량부, 세라마이드 AS 1-10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AP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종류의 세라마이드를 상술한 비율로 포함하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나하면, 다수의 실험 결과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AS 및 세라마이드 AS를 상술한 비율로 포함하고 있을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보습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부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비율로 콜레스테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나하면, 다수의 실험 결과 콜레스테롤을 0.1-30 중량부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감 및 보습력을 유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는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에 의해 외곽이 무정형으로 둘러싸여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의 친수성 부분에 의해 수용화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킬체인을 2개 이상 가진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지질 중 레시틴 또는 수첨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천연 계면활성제 또는 합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천연 계면활성제에는 대두 레시틴, 계란 레시틴, 수첨 레시틴(수첨 대두 레시틴 및 수첨 계란 레시틴), 스핑고신(sphingosine), 갱글리오사이드(ganglioside) 및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천연 레시틴은 인산의 콜린 에스테르에 연결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의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고, 통상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이라고 하며, 계란 및 대두와 같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대두 레시틴 및 계란 레시틴(수첨 레시틴 포함)은 생물 시스템에서 오랫동안 안전하였고, 유화성 및 가용화성을 겸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합성 계면활성제보다 더 빠르게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시판되는 대두 레시틴으로는 Centrophase 및 Centrolex 제품 [판매원: Central Soya], Phospholipon [판매원: Phospholipid GmbH, Germany], Lipoid [판매원: Lipoid GmbH, Germany] 및 EPIKURON [판매원: Degussa]이 있다.
수첨 레시틴은 레시틴의 제어된 수소화의 산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 약전(USP)에 따르면 레시틴은, 다양한 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탄수화물과 같은 다른 물질과 혼합된, 포스포티딜콜린, 포스포티딜에탄올아민, 포스포티딜세린 및 포스포티딜이노시톨로 구성된, 아세톤-불용성 인지질의 복합 혼합물을 기술하는 일반명이다.
약제학적으로, 레시틴은 분산제, 유화제 및 안정화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근육내 및 정맥내 주사제, 비경구 영양 제형 및 국소용 제품에 포함된다. 레시틴은 흡입제, IM 및 IV 주사제, 경구 캡슐제, 현탁액제 및 정제, 직장 제제, 국소 제제 및 질 제제 용으로 FDA 비활성 첨가제 지침(Inactive Ingredients Guide)에도 열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리포좀의 경우 1.0%의 세라마이드를 녹이기 위해 5-10%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나, 본 발명에 의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경우는 1% 세라마이드를 녹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0.2-1.0%만 사용하여도 물에 쉽게 녹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5-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크기는 난용성 물질을 녹이는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계면활성제의 소수성기가 품을 수 있는 난용성 물질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크기의 평균범위는 전체 직경 기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일 수 있다. 높은 균질도 확보는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재결정화를 현저하게 지연시키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균질도가 높으면 재결정화가 지연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다만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입자 상호간 반데르발스 인력이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입자 상호간 제타 포텐셜에 의한 척력에 의해 상쇄되어 재결정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균질도를 현저히 높이기 위해서는 배상혼합의 개념을 가진 혼합칼날 구조체를 포함하는 인라인믹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배상혼합’은 통과하는 액체를 계속하여 방향을 바꾸어가면서 2n, 3n, 4n 및 5n 등 또는 그 혼합의 형태로 절단하여 미세화 균질화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정해진 간격에 10개 이하의 칼날, 바람직하기는 4개 이하의 칼날이 반복적으로 방향을 바꾸어 기 고정된 형태로 내부에 배치된 관로부분을 통과함으로써 각 칼날의 단위를 지날 때마다 무수히 용액이 개념적으로 절단되는 것과 같은 혼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상기 계면활성제 및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사이에 존재하는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나, 상기 지방산은 혼합 세라마이드에 붙어있는 계면활성제의 알킬체인과 불규칙적으로 엉겨 계면활성제가 정형화 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혼합 세라마이드끼리 결합하여 재결정화 될 확률을 현저히 낮추게 된다. 또한, 지방산은 용융상태에서 세라마이드를 잘 녹이므로 이를 계면활성제와 섞은 상태에 세라마이드를 투입할 경우 세라마이드의 분산도와 균질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팔미틱산, 미리스틴산 및 라우릴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은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에 대하여 1-10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친수성 부분에 붙어있는 알킬체인을 2개 이상 가진 계면활성제 및 -OH기가 2개 이상인 극성 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승온(昇溫)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에 난용성 물질로서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 상기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EOP 0.0001-1 중량부, 세라마이드 NS 1-30 중량부, 세라마이드 AS 1-10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AP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세라마이드를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복합 세라마이드가 투입된 혼합물을 배상혼합의 개념을 가진 혼합칼날구조체를 포함하는 믹서를 사용하여 배상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배상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親水性) 세라마이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가 포함된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 및 보습력을 갖는다.
(c) 본 발명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기존의 리포좀 형태 또는 유화형태로 세라마이드를 가용화한 방법과 비교하여 녹일 수 있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수십배 내지 수백배까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믹서의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믹서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대조구로서 세라마이드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상기 사진에서 1000 및 7000은 SEM 배율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제조예 1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 1 오픈탱크에서 고온에 비교적 안정한 세라마이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산시키고, 제 2 오픈탱크에서 고온에 취약한 수첨레시틴, 수첨레시틴과의 사전혼합이 필요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린산을 교반 혼합한 후, 제 1 오픈탱크와 제 2 오픈탱크의 용액을 인라인믹서로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EOP 1 -
세라마이드 NS 3 -
세라마이드 NP 30 40
세라마이드 AS 1 -
세라마이드 AP 1 -
콜레스테롤 4 -
수첨레시틴(PC 75%) 20 20
스테아린산 10 10
디프로필렌글리콜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제조예 2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1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포함된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2
(중량%)
실시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0.5 -
비교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 0.5
1,3-부틸렌글리콜 5.2 5.2
올레일알코올 1.5 1.5
에탄올 3.2 3.2
폴리솔베이트 20 3.2 3.2
벤조페논-9 2.0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글리세린 3.5 3.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조예 2-2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포함된 밀크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3
(중량%)
비교예 3
(중량%)
실시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0.6 -
비교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 0.6
글리세린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유동파라핀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스쿠알란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폴리솔베이트 60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조예 2-3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포함된 영양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4
(중량%)
비교예 4
(중량%)
실시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1.0 -
비교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 1.0
글리세린 4.0 4.0
바셀린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유동파라핀 5.3 5.3
스쿠알란 3.0 3.0
밀납 2.6 2.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조예 2-2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포함된 마사지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5
(중량%)
비교예 5
(중량%)
실시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0.5 -
비교예 1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 0.5
글리세린 4.0 4.0
바셀린 3.5 3.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유동파라핀 24.0 24.0
스쿠알란 3.0 3.0
밀납 2.1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폴리솔베이트 60 2.4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2.3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실험예
실험예 1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물성 평가
[
실험예 1-1 : 무정형 상태의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수화한 후,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무정형 상태를 확인하였다. 배율을 7000배 및 1000배로 하여 촬영을 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4의 파란색 글씨로 표시한 사진이 세라마이드 자체인데, 보이는 것처럼 매우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 배열의 세라마이드 결정에 의해 물에 분산되지 않으며 일순간 물리적인 힘에 의해 분산된다 하더라도 바로 재결정이 일어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결과물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붉은색 글씨로 표시한 사진을 보면, 무정형 상태의 결정이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라마이드의 무정형 형태 및 결정의 불규칙한 배열에 의해 수분산이 매우 용이 해지며, 장시간(실온에서 3년이상) 수분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실험예 1-2 :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균질도 및 분산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수상에 대한 분산성, 균질도, 입자크기의 측정방법은 Zeta-Potential Analyzer를 이용하여 전위차를 측정하여 개략적으로 알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콜로이드계에서 재결정을 대한 유무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Microscope를 이용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유화입자의 사이즈, 균질성 등을 일일이 확인하여 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4를 참조할 경우 경시변화에 따른 입자사이즈가 2.6-3.8 ㎛의 일정한 분포를 보이는 것을 보면 재결정에 의한 응집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방법 기간에 따른 입자 크기(㎛)
1일 후 7일 후 1달 후 3달 후 1년 후 2년 후
실시예 1 2.65-3.61 2.73-3.51 2.64-3.21 2.7-3.24 3.24-3.76 3.32-3.67
실험예 2 :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지속시간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실험을 진행하였다.
1. 실험대상 및 기간
본 실험은 20세~40세 여자 2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은 5일로 하였다.
2. 실험방법
총 20명의 피시험자들에게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공하고, 사용감에 대하여 점수를 매기게 하였다. 또한, 동일한 피시험자들에게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각각 10㎖ 제공하여 1일씩 번갈아 사용하도록 하고, 4일 후에 각각의 수분 지속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3.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한 사용감 평가 결과를 표 7에, 수분 지속력 평가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감
(명) (%)
실시예 3 매우좋음(5) 10 50.0
좋음(4) 8 40.0
보통(3) 2 10.0
나쁨(2) 2 10.0
매우 나쁨(1) - -
비교예 3 매우좋음(5) 2 10.0
좋음(4) 4 20.0
보통(3) 10 50.0
나쁨(2) 2 10.0
매우 나쁨(1) 2 10.0
구분 사용감
(명) (%)
실시예 3 매우좋음(5) 12 60.0
좋음(4) 6 30.0
보통(3) 1 5.0
나쁨(2) 1 5.0
매우 나쁨(1) - -
비교예 3 매우좋음(5) 1 5.0
좋음(4) 10 50.0
보통(3) 5 25.0
나쁨(2) 2 10.0
매우 나쁨(1) 2 10.0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시험자들의 9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한 반면, 비교예 3에 대해서는 30%만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는바,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예 3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분 지속력에 있어서도, 실시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는 9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한 반면, 비교예 3에 대해서는 55%만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는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시 수분의 지속력 또한 비교예 3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라인 믹서의 구조 및 기능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화장치 및 인라인 믹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장치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장치(1)에는 인라인 믹서(10), 유화탱크(20), 유입관(30), 순환관(40, 50), 순환밸브(41), 펌프(60), 배출관(70), 배출밸브(71) 및 믹서(80)가 포함된다.
유화탱크(20)의 내부에는 유화를 하고자 하는 혼합물(C)이 수용된다. 유화탱크(20)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혼합물(C) 등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화탱크(20)의 상측에는 유입관(30)이 연결된다.
유화탱크(20)의 하측 및 상측에는 순환관(40, 50)이 연결되는데, 순환관(40, 50)에는 인라인 믹서(10), 순환밸브(41) 및 펌프(60)가 설치된다.
순환밸브(41)는 유화탱크(20)의 하측에 연결된 순환관(40)에 설치되어, 순환밸브(41)의 개폐에 따라 혼합물(C)이 순환관(40)을 통하여 유동되거나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믹서(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화탱크(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믹서(80)는 유입관(30)을 통하여 유화탱크(20) 내로 유입된 혼합물(C)의 균질화 정도가 매우 낮은 경우, 즉 혼합물(C)에 비교적 큰 고체 또는 액체 알갱이가 존재할 경우 이들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배출관(70)은 유화탱크(20)의 하측에 연결되며, 배출관(70)에는 배출밸브(71)가 설치된다. 혼합물(C)에 대한 유화가 완료된 후 배출밸브(71)를 개방하면, 유화가 완료된 혼합물(C)이 배출관(70)을 통하여 유화탱크(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순환밸브(41)가 개방되고 펌프(60)가 작동되면, 유화탱크(20)의 하측 및 인라인 믹서(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순환관(40)을 통하여 혼합물(C)이 인라인 믹서(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인라인 믹서(10)를 통과한 혼합물(C)은 유화탱크(20)의 상측 및 인라인 믹서(20)의 타측을 연결하는 순환관(50)을 통하여 다시 유화탱크(20) 내로 유입된다.
인라인 믹서(10)는 통과하는 혼합물(C) 내에 포함된 물질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감소된 입자의 크기가 균일화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인라인 믹서(10)는 혼합물(C)이 인라인 믹서(10)를 통과하는 동안 혼합물(C)의 유동에 면분할(flow division), 방향전환(rotational circulation) 및 뒤섞임(radial mixing) 등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관계를 갖는 유화장치(1)는 아래와 같이 작동된다.
우선, 유화를 하고자 하는 혼합물(C)이 유입관(30)을 통하여 유화탱크(20) 내로 유입되도록 한 다음, 필요에 따라 믹서(80)를 작동시켜 혼합물(C)의 혼합률을 높이고 혼합물(C) 내에 포함된 입자들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한다.
이후, 순환밸브(41)를 개방하고 펌프(60)를 작동시키면 혼합물(C)이 순환관(40)을 통하여 인라인 믹서(10)를 거친 후 순환관(50)을 통하여 유화탱크(20) 내로 순환 유동된다. 따라서, 혼합물(C)은 인라인 믹서(10)를 반복적으로 거치며 유화의 정도가 증가된다.
혼합물(C)이 충분히 유화되었다고 판단되면 펌프(6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순환밸브(41)를 차단시킨 다음, 배출밸브(71)를 개방하여 유화된 혼합물(C)이 배출관(7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혼합물(C)은 유화장치(1)에 의해 매우 높은 균질도를 갖도록 유화될 수 있다.
참고로, 인라인 믹서(10) 내에서 혼합물(C)의 유동에 면분할, 방향전환 및 뒤섞임이 충분히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라인 믹서(10)가 일정수준 이상의 관로저항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60)는 순환관(40)을 통하여 인라인 믹서(10)로 유입되는 혼합물(C)에 충분한 토출압력을 가할 수 있어야 하며,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펌프(60)로는 플런저 펌프 또는 기어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런저 펌프(plunger pump) 및 기어 펌프(gear pump)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믹서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인라인 믹서에는 블레이드(11) 및 내압관(12)이 포함된다.
내압관(12)은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 중공관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순환관에 결합된다. 이때, 인라인 믹서(10)의 노후 등의 이유로 인라인 믹서(10)를 교체해야 할 경우를 위하여, 인라인 믹서(10)는 순환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1)는 내압관(12) 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관(12) 내에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블레이드(11a)가 포함되며, 단위블레이드(11a)에는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가 포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엘리먼트(110)에는 제1 엘리먼트본체(111)가 포함되며, 제1 엘리먼트본체(111)에는 전방에지(112), 후방에지(113) 및 한 쌍의 측방에지(114)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인라인 믹서(도 1의 10)에 혼합물(C)이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혼합물(C)이 유동되어 오는 방향을 전방이라 칭하고, 혼합물(C)이 유동되어 가는 방향을 후방이라 칭한 것이다.
제1 엘리먼트본체(111)는 전방에지(112), 후방에지(113) 및 마주보는 한 쌍의 측방에지(114)를 네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부재가 한 쌍의 마주보는 변, 즉 전방에지(112) 및 후방에지(113)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제1 중심선(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방향(A)으로 뒤틀려 형성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달리 말하자면, 제1 엘리먼트본체(111)는 도면에 전방에지(112)로부터 후방에지(113) 방향을 향하여 감에 따라 도면에 A로 표시한 일방향으로 비틀린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측방에지(114)는 제1 엘리먼트본체(111)가 내압관(12) 내에 배치될 경우 내압관(1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엘리먼트본체(111)에 의하여 내압관(12) 내에는 혼합물(C)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A방향으로 나선형상을 갖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2 엘리먼트(120)에는 제2 엘리먼트본체(121)가 포함되며, 제2 엘리먼트본체(121)에는 전방에지(122), 후방에지(123) 및 한 쌍의 측방에지(124)가 포함된다.
제2 엘리먼트본체(121)는 전방에지(122), 후방에지(123) 및 한 쌍의 측방에지(124)를 네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부재가 한 쌍의 마주보는 변, 즉 전방에지(122) 및 후방에지(123)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제2 중심선(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축으로 하여 타방향(B)으로 뒤틀려 형성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달리 말하자면, 제2 엘리먼트본체(121)는 도면에 전방에지(122)로부터 후방에지(123) 방향을 향하여 감에 따라 도면에 B로 표시한 일방향으로 비틀린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측방에지(124)는 제2 엘리먼트본체(121)가 내압관(12) 내에 배치될 경우 내압관(1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엘리먼트본체(121)에 의하여 내압관(12) 내에는 혼합물(C)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B방향으로 나선형을 갖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는, 제1 엘리먼트(110)의 제1 중심선(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엘리먼트(120)의 제2 중심선(도시되지 않음)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어 공통중심선(CL)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며, 제1 엘리먼트본체(111)의 후방에지(113) 및 제2 엘리먼트본체(121)의 전방에지(122)가 접하는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후방에지(113) 및 전방에지(122)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후방에지(113) 및 전방에지(12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전방에지(112, 122) 및 후방에지(113, 123)가 형성하는 각도, 즉 전방에지(112, 122)에 대하여 후방에지(113, 123)가 각각 비틀린 정도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런데, 실험결과 전방에지(112, 122)에 대하여 후방에지(113, 123)가 90 내지 180도를 형성하는 경우가 혼합물(C)의 유화효율이 높았으며, 180도를 형성할 때 유화효율이 가장 높았으므로, 제1 엘리먼트본체(111)가 A방향으로 비틀린 각도 및 제2 엘리먼트본체(121)가 B방향으로 비틀린 각도는 각각 18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가 연결될 때 후방에지(113) 및 전방에지(122)가 형성하는 각도 또한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90도를 형성할 때에 혼합물(C)의 유화효율이 가장 높았으므로,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는 후방에지(113) 및 전방에지(122)가 90도, 즉 수직을 형성하며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 및 ‘수직’은 수학적인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 각종 오차를 감안한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함을 밝힌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에는 복수의 단위블레이드(11a)가 포함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1)는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가 번갈아서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엘리먼트(120)의 후방에지(123)에는 다시 제1 엘리먼트(110)의 전방에지(112)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실험결과, 이 경우에도 후방에지(123)에 연결되는 전방에지(112)가 수직을 형성하며 연결되도록 배치될 때에 혼합물(C)의 유화효율이 가장 높았으므로, 블레이드(11)는 제1 엘리먼트(110)의 후방에지(113)와 제2 엘리먼트(120)의 전방에지(122) 및 제1 엘리먼트(110) 전방에지(112)와 제2 엘리먼트(120)의 후방에지(123)가 모두 직교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점선으로 나타낸 F는 혼합물(C)의 유동 중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F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엘리먼트(110) 및 제2 엘리먼트(120)의 배치구조에 의해 유동 중 F1과 F2로 면분할이 일어나며, 이러한 면분할은 블레이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혼합물(C)이 직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혼합물(C)은 인라인 믹서(도 9의 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혼합과 분리를 반복하게 되므로 혼합물(C)의 유화, 즉 혼합상태의 균질화 정도가 높아진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방향과 B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혼합물(C) 은 블레이드(11)를 따라 유동(F)하는 과정에서 A방향의 회전 및 B방향의 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혼합물(C)은 인라인 믹서(도 9의 10)를 통과하는 동안 블레이드(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혼합물(C)은 여러 번 방향전환이 발생되는 동시에 관성에 의한 뒤섞임이 발생되므로, 혼합물(C)의 유화 정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혼합물(C)은 인라인 믹서(10)를 통과하면서 혼합물(C)을 구성하는 성분,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유기계 난용성물질, 난용성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및 계면활성제가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크기를 갖는 매우 작은 입자형상을 형성하게 되어 균질도 및 안정도가 높은 유화상태를 갖게 된다.
1: 유화장치 10: 인라인믹서
11: 블레이드 11a: 단위블레이드
110: 제1 엘리먼트 111: 제1 엘리먼트본체
112: 전방에지 113: 후방에지
114: 측방에지 120: 제2 엘리먼트
121: 제2 엘리먼트본체 122: 전방에지
123: 후방에지 124: 측방에지
12: 내압관 20: 유화탱크
30: 유입관 40, 50: 순환관
41: 순환밸브 60: 펌프
70: 배출관 71: 배출밸브
80: 믹서

Claims (14)

  1.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親水性) 세라마이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가 포함된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 상기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EOP 0.0001-1 중량부, 세라마이드 NS 1-30 중량부, 세라마이드 AS 1-10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AP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0.1-30 중량부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 및 친수성 부분에 붙어있는 알킬체인을 2개 이상 가진 계면활성제를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외곽을 무정형으로 둘러싸며 접착되어 있는 형태가 되어 유화타입으로 물에 녹아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가 붙어 있는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평균 직경이 0.5-30 ㎛이고, 그 크기의 평균범위가 직경기준 ±20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상기 계면활성제 및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의 사이에 존재하는 지방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상기 혼합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1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올레인산, 리놀레산, 베헤닉산, 아라키돈산,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및 라우릴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계열의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수첨레시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11.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a) 친수성 부분에 붙어있는 알킬체인을 2개 이상 가진 계면활성제 및 -OH기가 2개 이상인 극성 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승온(昇溫)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에 난용성 물질로서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 상기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EOP 0.0001-1 중량부, 세라마이드 NS 1-30 중량부, 세라마이드 AS 1-10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AP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세라마이드를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복합 세라마이드가 투입된 혼합물을 배상혼합의 개념을 가진 혼합칼날구조체를 포함하는 믹서를 사용하여 배상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배상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하는 단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칼날구조체를 이루는 단위칼날들의 각 칼날의 개수가 1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칼날구조체를 이루는 단위칼날의 개수가 5-30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90154643A 2019-11-27 2019-11-27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4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43A KR20190134582A (ko) 2019-11-27 2019-11-27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43A KR20190134582A (ko) 2019-11-27 2019-11-27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44A Division KR20190022247A (ko) 2017-08-25 2017-11-03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582A true KR20190134582A (ko) 2019-12-04

Family

ID=6900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43A KR20190134582A (ko) 2019-11-27 2019-11-27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26B1 (ko) * 2021-12-06 2022-06-07 주식회사 에이텍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26B1 (ko) * 2021-12-06 2022-06-07 주식회사 에이텍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41B1 (ko)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Patel et al. An overview on nanoemulsion: a novel approach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874877B1 (ko) 폴리올중유형 고밀집 나노 농축 에멀젼을 이용한유중수중유형 역상 다중 에멀젼 상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61980B1 (ko)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JPH07504848A (ja) 正電荷粒子の油/水エマルジョン
EP2167015A2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101780772B1 (ko)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US10561627B2 (en) Ibuprofen nanoparticle carriers encapsulated with hermetic surfactant films
JP4799907B2 (ja) 乳化型化粧料
KR20070074223A (ko)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JP7384518B2 (ja) 難溶性成分安定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90022247A (ko)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4582A (ko)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JP6778306B1 (ja) 脂質膜構造体形成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脂質膜構造体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脂質膜構造体含有組成物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皮膚外用剤
KR20140023669A (ko) 무복계면 스핑고리피드
KR20210071901A (ko)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US10596117B1 (en) Lipoleosomes as carriers for aromatic amide anesthetic compounds
KR20190022020A (ko) 친수성 세라마이드 복합체 및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JP4800246B2 (ja) 乳剤
JP2001522795A (ja) リポソームの調製法
KR100778903B1 (ko) 과량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 농축 캡슐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76271B1 (ko) 비엠-시뮬리피드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112A (ko) 프리에멀젼의 안정성 증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