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833A -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833A
KR20190132833A KR1020180057867A KR20180057867A KR20190132833A KR 20190132833 A KR20190132833 A KR 20190132833A KR 1020180057867 A KR1020180057867 A KR 1020180057867A KR 20180057867 A KR20180057867 A KR 20180057867A KR 20190132833 A KR20190132833 A KR 20190132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lass
curvature
radius
laminat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636B1 (ko
Inventor
윤재혁
오준학
강호성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5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636B1/ko
Priority to CN201980006489.4A priority patent/CN111479790B/zh
Priority to US16/954,675 priority patent/US11242285B2/en
Priority to JP2020533083A priority patent/JP7215662B2/ja
Priority to PCT/KR2019/005973 priority patent/WO2019225918A1/ko
Priority to EP19807227.4A priority patent/EP3712119A4/en
Publication of KR2019013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9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a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basic composition of soda-lime glass, e.g. boro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32B17/1083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 B32B17/1084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 B32B17/10853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the membrane being bag-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blowing without suction directly on the glass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후판 유리와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을 조절하여,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LAMINATED GLASS AND CURVED LAMINATED GLAS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특유의 투명함으로 인해 다양한 생활공간에 적용되어 온 소재이다. 특히, 2 장의 유리가 접합된 접합 유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형태의 곡면 접합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곡면 접합 유리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판 유리와 박판 유리를 사용하여, 곡면 접합 유리가 제조되고 있다.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자중성형, 압착성형 및 냉간성형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중성형은 유리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성형 틀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자중성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의 연화점 부근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유리의 자중에 의해 유리가 굽힘(sagging)되는 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압착성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를 충분히 가열시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모양으로 형성된 틀로 압착하여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냉간성형은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의 오목한 면에 다른 유리를 배치하고, 진공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유리를 탄성변형 시켜 곡면으로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냉간성형을 이용하여 박판 유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경우, 박판 유리는 면적 대비 두께가 얇으므로,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박판 유리에 좌굴(bucking) 현상 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박판 유리의 너비에 대한 두께의 비가 작아질수록, 곡면으로 성형된 박판 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보다 더 발생된다. 또한, 냉간성형을 이용하여 박판 유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경우, 곡면으로 성형된 박판 유리에 응력이 잔류하여, 일정 온도 이상에서 곡면 접합 유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곡면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곡면 박판 유리와 곡면 후판 유리 간의 곡면 밀착도를 향상시켜,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박판 유리를 냉간성형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판상의 박판 유리를 가열 성형하여,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사이에 접합필름 또는 점착제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정합되도록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5 ≥ 제2 곡률반경/제1 곡률반경 >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곡면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는 광학적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낮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경량화 및 박형화된 곡면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후판 유리와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wt%"는 부재의 총 중량에 대하여, 부재에 포함되는 성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유리의 “곡률반경”은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 표면의 미소지점에서 모든 방향을 따라 곡면에 가장 근사한 원호의 반경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곡률반경은 3D Scanner(Faro/Focus S) 등을 이용하여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 표면을 스캔, 모델링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곡면을 가지는 유리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유리의 곡률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판상의 박판 유리를 가열 성형하여,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사이에 접합필름 또는 점착제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정합되도록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5 ≥ 제2 곡률반경/제1 곡률반경 > 1.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이 전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곡면 밀착도가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20)의 볼록한 면과 곡면 후판 유리(10)의 오목한 면 사이에 접합필름(30)을 위치시키고, 곡면 박판 유리(20)를 탄성변형시켜,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20'), 접합필름(30) 및 곡면 후판 유리(10)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100)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유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중성형 방법 또는 압착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판상의 후판 유리로부터 제1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후판 유리로서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판 유리로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판 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65 wt% 이상 75 wt% 이하, Al2O3 0 wt% 이상 10 wt% 이하, NaO2 10 wt% 이상 15 wt% 이하, K2O 0 wt% 이상 5 wt% 이하, CaO 1 wt% 이상 12 wt% 이하 및 MgO 0 wt% 이상 8 wt% 이하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소다라임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배스(float bath)를 이용하는 플로트(float) 법에 의하여 제조된 소다라임 유리, 다운드로우(down draw)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소다라임 유리가 상기 후판 유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후판 유리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판상의 박판 유리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의 박판 유리로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박판 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46 wt% 이상 62 wt% 이하, Al2O3 15 wt% 이상 29 wt% 이하, MgO 3 wt% 이상 14 wt% 이하, CaO 5 wt% 이상 16 wt% 이하, 및 SrO 0.01 wt% 이상 5 wt% 이하를 포함하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리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다른 성분에 비해 그 함유량이 극히 미미하여 유리의 조성 성분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을 포함한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내화물이나 유리 원료 중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불가피하게 유리 중에 혼입되는 미량의 알칼리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박판 유리로 사용될 수 있는 무알칼리 유리로 산화물 환산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1% 미만의 알칼리 금속(Li, Na, K 등)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로, 무알칼리 붕규산 유리 또는 무알칼리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로, 플로트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다운드로우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유리를 곡면으로 가열 성형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판상의 박판 유리로부터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중성형 방법 또는 압착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제1 곡률반경보다 큰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되는 곡면 박판 유리에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에 존재하는 응력을 최소화함으로써, 곡면 박판 유리를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시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및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단곡면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및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는 1축으로 성형되어 1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는 단곡면 형태의 곡면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및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는 2축으로 성형되어 다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복곡면 형태의 곡면 유리일 수 있다. 일 예로, 복곡면 형태의 유리는 포물면(paraboloid), 구면, 또는 자유곡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판상의 박판 유리를 기존의 방법으로 탄성변형시켜 복곡면을 가지는 곡면 유리로 성형하는 경우, 성형된 곡면 유리에 좌굴 현상 및/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정도가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판상의 박판 유리를 1차적으로 가열 성형하여 복곡면을 가지는 유리로 성형하고 2차적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변형된 복곡면 박판 유리에 좌굴 및/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복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보다 향상된 광학적 품질을 보유하는 복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단곡면 형태 또는 복곡면 형태의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사이에,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를 구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상기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를 구비시키거나,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상기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합필름은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접합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각 층의 조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접합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비닐부티랄 공중합체 필름 등 당 분야에서 접합 유리를 접합할 때 사용되는 재질의 (공)중합체 필름을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상기 접합필름은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메타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산 비닐수지, 이오노머, 폴리메틸펜텐, 염화비닐리덴, 폴리술폰, 폴리불화비닐리덴, 메타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알릴술폰,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합필름의 두께는 0.5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접합필름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로부터 상기 곡면 후판 유리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합필름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박형화된 곡면 접합 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LOCA(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 또는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상기 접착제를 0.5 mm 이상 1.5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판상의 박판 유리를 가열 성형하여 상기 제1 곡률반경보다 큰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1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2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학적 품질이 우수하고, 유리 간의 밀착도가 향상된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키는 방법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온 롤러 또는 진공 링(ring)/진공 백(bag) 공정을 이용한 압착공정을 통하여 약 20℃ 이상 8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제2 곡률반경(R2)을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제1 곡률반경(R1)으로 나눈 “R2/R1”의 값은 1 초과 5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2/R1의 값은 1.1 이상 4.5 이하, 1.3 이상 4 이하, 2 이상 3.5 이하, 또는 1.1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R2/R1의 값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가 제조될 수 있고, 곡면 후판 유리와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접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2/R1의 값을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에 좌굴 현상 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R2/R1의 값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판상의 박판 유리를 가열 성형함으로써,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에 발생되는 잔류 응력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제1 곡률반경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제2 곡률반경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6,000 mm ≥ 제2 곡률반경-제1 곡률반경 ≥ 100 mm.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제2 곡률반경(R2)에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제1 곡률반경(R1)을 뺀 “R2-R1”의 값은 200 mm 이상 5,500 mm 이하, 350 mm 이상 4,700 mm 이하, 500 mm 이상 4,000 mm 이하, 750 mm 이상 3,000 mm 이하, 100 mm 이상 1,000 mm 이하, 1,200 mm 이상 2,500 mm 이하, 3,000 mm 이상 4,500 mm 이하, 또는 5,000 mm 이상 5,500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R2-R1의 값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를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2-R1의 값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변형되는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을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보다 밀착시켜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과 정합되어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유리의 곡률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유리의 곡률이 서로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제조하는 과정에서 유리의 곡률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되나, 품질 및 광학적 물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되어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은 700 mm 이상 7,000 mm 이하, 1,000 mm 이상 5,500 mm 이하, 1,200 mm 이상 4,500 mm 이하, 1,500 mm 이상 3,000 mm 이하, 750 mm 이상 1,500 mm 이하, 1,700 mm 이상 3,500 mm 이하, 또는 4,000 mm 이상 7,500 mm 이하일 수 있다. 종래의 냉간성형 방법으로 성형되는 곡면 박판 유리의 최소 곡률반경은 대략 2000 mm 수준이었으며, 2000 mm 수준의 곡률반경이 되도록 판상의 박판 유리를 냉간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곡면 박판 유리의 표면에 미소한 크랙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냉간성형 방법 대비, 곡률반경이 작은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되는 곡면 접합 유리의 광학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판상의 박판 유리로부터 가열 성형된 복곡면 형태의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되어, 곡률반경이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인 복곡면 박판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은, 복곡면 박판 유리의 중앙으로부터 동일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된 곡률반경의 최소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탄성변형된 곡면 박판 유리가 접합된 곡면 접합 유리를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곡면 후판 유리에 접합한 후, 상기 곡면 접합 유리를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곡면 접합 유리를 열처리함으로써, 곡면 박판 유리와 곡면 후판 유리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가 변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2회 이상의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곡면 접합 유리를 약 90 ℃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후, 약 120 ℃의 온도에서 다시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는 1:0.15 내지 1:0.45, 1:0.25 내지 1:0.3, 1:0.15 내지 1:0.25, 또는 1:0.3 내지 1:0.4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강성 하락에 의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가 파손되는 확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곡면 접합 유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후판 유리와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앙부에 일정한 하중을 인가하여 중앙부의 처짐량을 분석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x축은 총 유리 두께를 나타내고 y축은 유리 처짐량, 즉 유리의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인 AR(Asymmetry ratio)은 0.1 내지 0.5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AR이 작아질수록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는 얇아지고,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는 두꺼워짐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곡면 박판 유리와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여, 곡면 접합 유리의 휘어진 정도를 낮추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곡면 박판 유리 및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여, 곡면 접합 유리의 강성 증대 효과, 경량화 효과 및 박형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판상의 박판 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3 mm 이상 0.8 mm 이하, 0.4 mm 이상 0.6 mm 이하, 0.3 mm 이상 0.7 mm 이하, 또는 0.5 mm 이상 0.8 m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내충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박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0.3 mm 이상 1.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박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좌굴 현상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여,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는 2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는 2.5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곡면 접합 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 박형화시킬 수 있고, 곡면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곡면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낮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경량화 및 박형화된 곡면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 유리는 좌굴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우수한 광학적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되는 상기 곡면 후판 유리, 곡면 박판 유리, 접합필름 및 접착제 각각은 상기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의 곡면 후판 유리, 곡면 박판 유리, 접합필름 및 접착제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된 곡면 박판 유리와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그 곡률반경은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700 mm 이상 7,000 mm 이하, 1,000 mm 이상 5,500 mm 이하, 1,200 mm 이상 4,500 mm 이하, 1,500 mm 이상 3,000 mm 이하, 750 mm 이상 1,500 mm 이하, 1,700 mm 이상 3,500 mm 이하, 또는 4,000 mm 이상 7,500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 유리는 복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복곡면 접합 유리의 중앙으로부터 동일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측정된 곡률반경의 최소값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곡면 박판 유리(20')는 탄성변형된 것으로, 곡면 박판 유리(20')의 오목한 일면에 압축 응력이 형성될 수 있어, 곡면 접합 유리(100)는 내충격성 및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되는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잔류응력은 350 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잔류응력은 20 Mpa 이상 300 Mpa 이하, 20 Mpa 이상 200 Mpa 이하, 또는 20 Mpa 이상 100 Mpa 이하일 수 있다. 탄성변형 후 잔류응력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열에 대한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응력”은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을 포함하는 응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리에 존재하는 응력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Edge-master 장비(Stress Photonics 社)를 이용한 광학적 방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dge-master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응력에 따라 색상이 구별되어 나타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리에 존재하는 응력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Solidworks Simulation을 이용하여,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olidworks Simulation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 및 공정 조건 등을 설정한 후, 곡면 박판 유리의 탄성변형 과정 중에 각 유리에 발생되는 응력, 완성된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된 각 유리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되는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두께는 2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되는 곡면 박판 유리 및 곡면 후판 유리 두께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은 곡면 접합 유리에 인가되는 외력, 기계적인 충격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것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기존의 약 2.1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 2개가 접합된 기존의 곡면 접합 유리 대비, 50 % 이상 80 %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50 % 이상 80 % 이하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곡면 접합 유리 대비 경량화, 박형화된 곡면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 내지 1:1.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2 내지 1:1.27, 1:1.15 내지 1:1.25, 또는 1:1.2 내지 1:1.23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 유리보다 높은 경도를 보유하는 상기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비커스 경도는 5.5 GPa 이상 7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5.8 GPa 이상 6.9 GPa 이하, 6.0 GPa 이상 6.7 GPa 이하, 또는 6.2 GPa 이상 6.5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비커스 경도 값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 유리는 5.2 GPa 이상 5.8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비커스 경도는 비커스 압입자를 이용하여 유리를 누른 후 자국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ASTM C1327-08 규격에 의거하고 압입하중을 200gf, 압입유지 시간을 20초로 설정하여,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5 내지 1:1.49, 1:1.37 내지 1:1.45, 또는 1:1.39 내지 1:1.4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대비 전술한 범위의 파괴인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곡면 접합 유리의 외부충격에 대한 파괴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곡면 접합 유리의 파손강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1.0 MPa·m1/2 이상 1.3 MPa·m1/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1.1 MPa·m1/2 이상 1.25 MPa·m1/2 이하, 1.15 MPa·m1/2 이상 1.25 MPa·m1/2 이하, 또는 1.18 MPa·m1/2 이상 1.21 MPa·m1/2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파괴인성 값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는 내충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0.7 MPa·m1/2 이상 0.85 MPa·m1/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0.75 MPa·m1/2 이상 0.83 MPa·m1/2 이하, 또는 0.77 MPa·m1/2 이상 0.8 MPa·m1/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곡면 후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비커스 압입자로 유리에 균열이 생길 때까지 누른 후 균열 길이, 압입자 자국, 하중 등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인 indentation fracture toughness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KSL 1600:2010 규격에 의거하고 압입하중은 2Kgf로 설정하여,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파괴인성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1 내지 1:1.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4 내지 1:1.17, 1:1.06 내지 1:1.15, 1:1.08 내지 1:1.12, 또는 1:1.08 내지 1:1.1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대비 전술한 범위의 탄성계수를 보유하고 있어, 상기 곡면 접합 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보다 경량, 박형인 곡면 박판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강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탄성계수는 70 GPa 이상 90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73 GPa 이상 87 GPa 이하, 75 GPa 이상 85 GPa 이하, 78 GPa 이상 80 GPa 이하, 75 GPa 이상 80 GPa 이하, 또는 80 GPa 이상 90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 유리는 65 GPa 이상 75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탄성계수는 3점굽힘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장비를 사용한 3점 굽힘(3point bending) 시험을 통해 상기 곡면 박판 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샘플의 폭(width)은 20mm, 지지 간격(support span)을 50 mm로 설정하고, UTM 장비을 통하여 측정된 변위(displacement)와 하중(load)을 변형량(strain)과 응력(stress)으로 변환하여 S-S(strain-stress) 곡선(curve)를 도출한 후, S-S 곡선을 리니어 피팅(liner fitting)하여 산출한 기울기를 통해 탄성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유리 100 wt%당 Si02 61 wt%, Al2O3 16 wt%, MgO 3 wt%, CaO 8 wt% 이하, 및 SrO 0.05 wt%를 포함하며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무알칼리 유리를 박판 유리로 준비하였고, 유리 100 wt%당 Si02 72 wt%, Al2O3 0.15 wt%, Na2O 14 wt%, K2O 0.03 wt%, 및 CaO 9 wt% 및 MgO 4 wt%를 포함하며 2.0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를 후판 유리로 준비하였다. 또한, 접합필름으로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비닐부티랄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78 GPa, 비커스 경도는 6.3 GPa, 파괴 인성은 1.20 MPa·m1/2이었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는 72 GPa, 비커스 경도는 5.6 GPa, 파괴 인성은 0.85 MPa·m1/2이었다.
먼저, 후판 유리를 600 ℃에서 60초간 가열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곡면 후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곡면으로 성형된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R1)은 약 1,400 mm이었다. 또한, 박판 유리를 900 ℃에서 60 초간 가열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곡률반경(R2)이 약 3,000 mm인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이후,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접합필름을 위치시키고, 접합필름 상에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이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진공백 안에 놓고 진공백을 밀봉한 후, 진공백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조성하였다. 이 때, 진공백 내부를 약 80 ℃, 약 - 0.8 bar의 조건으로 30 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이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접합되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를 진공백에서 꺼낸 후, 약 130 ℃, 13 bar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약 1,400 mm이었다. 또한,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된 곡면 박판 유리의 최대잔류응력을 Solidworks Simulation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후판 유리를 하기 표 1과 같은 곡률반경(R1)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로 성형하고, 박판 유리를 하기 표 1과 같은 곡률반경(R2)를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로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의 곡률반경은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과 거의 동일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후판 유리를 하기 표 1과 같은 곡률반경(R1)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로 성형하고, 판상의 박판 유리 상에 접합필름, 곡면 후판 유리를 위치시키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상의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켰다.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7
후판 유리를 하기 표 1과 같은 곡률반경(R1)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로 성형하고, 박판 유리를 하기 표 1과 같은 곡률반경(R2)를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로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의 제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R1
(mm)
R2
(mm)
R2-R1
(mm)
R2/R1 접합가능
여부
잔류응력
(Mpa)
실시예 1 1,400 3,000 1,600 2.1 O 138
실시예 2 1,400 2,000 600 1.4 O 90
실시예 3 1,400 1,500 100 1.1 O 28
실시예 4 4,000 8,000 4,000 2 O 31
실시예 5 1,000 3,000 2,000 3.0 O 313
실시예 6 1,000 1,500 500 1.5 O 197
비교예 1 1,000 판상 - - X -
비교예 2 1,400 판상 - - X -
비교예 3 4,000 판상 - - O -
비교예 4 1,400 1,100 - 300 0.8 X -
비교예 5 4,000 1,000 - 3,000 0.3 X -
비교예 6 1,000 8,000 7,000 6.0 X -
비교예 7 1,000 800 - 200 0.8 X -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R1)과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R2)이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경우,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 곡면 박판 유리가 파손되지 않았고, 곡면 박판 유리의 표면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된 곡면 박판 유리와 곡면 후판 유리간의 표면 밀착도가 일정하여,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의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는 작은 곡률반경을 보유함과 동시에,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참고하면, "R2-R1" 및 "R2/R1"의 값을 조절하여,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된 곡면 박판 유리의 잔류응력이 제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종래의 냉간성형 방법과 동일하게 판상의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킨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경우, 판상의 박판 유리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없었다. 또한,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R1)이 약 4,000인 비교예 3의 경우, 판상의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었으나, 곡면 박판 유리의 표면에 좌굴 현상과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R1)과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R2)이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7의 경우,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곡면 후판 유리의 곡률반경(R1)과 가열 성형된 곡면 박판 유리의 곡률반경(R2)이 상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도록 조절함으로써, 광학적 품질이 우수한 곡면 접합 유리가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곡면 후판 유리
20, 20': 곡면 후판 유리
30: 접합필름
100: 곡면 접합 유리

Claims (10)

  1. 제1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후판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판상의 박판 유리를 가열 성형하여, 제2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박판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과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볼록한 면 사이에 접합필름 또는 점착제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곡면 박판 유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의 오목한 면에 정합되도록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수학식 1]
    5 ≥ 제2 곡률반경/제1 곡률반경 > 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은 하기 수학식 2을 만족하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수학식 2]
    6,000 mm ≥ 제2 곡률반경-제1 곡률반경 ≥ 100 mm.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가 접합된 곡면 접합 유리를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탄성변형되어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 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박판 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인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 유리 및 상기 곡면 박판 유리는 단곡면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곡면 접합 유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곡률반경이 500 mm 이상 8,000 mm 이하인 곡면 접합 유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 포함되는 상기 곡면 박판 유리의 잔류응력은 350 Mpa 이하인 곡면 접합 유리.
KR1020180057867A 2018-05-21 2018-05-21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10220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67A KR102200636B1 (ko) 2018-05-21 2018-05-21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CN201980006489.4A CN111479790B (zh) 2018-05-21 2019-05-20 曲面接合玻璃板的制造方法和由其制造的曲面接合玻璃板
US16/954,675 US11242285B2 (en) 2018-05-21 2019-05-20 Method of manufacturing curved joined glass sheet and curved joined glass sheet manufactured by the same
JP2020533083A JP7215662B2 (ja) 2018-05-21 2019-05-20 曲面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曲面合わせガラス
PCT/KR2019/005973 WO2019225918A1 (ko) 2018-05-21 2019-05-20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EP19807227.4A EP3712119A4 (en) 2018-05-21 2019-05-20 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LAMINATED GLASS AND CURVED LAMINATED GLASS PRODUCE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67A KR102200636B1 (ko) 2018-05-21 2018-05-21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33A true KR20190132833A (ko) 2019-11-29
KR102200636B1 KR102200636B1 (ko) 2021-01-11

Family

ID=6861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67A KR102200636B1 (ko) 2018-05-21 2018-05-21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42285B2 (ko)
EP (1) EP3712119A4 (ko)
JP (1) JP7215662B2 (ko)
KR (1) KR102200636B1 (ko)
CN (1) CN111479790B (ko)
WO (1) WO2019225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9231B1 (en)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1535551B2 (en) *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KR102252182B1 (ko) 2018-01-10 2021-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11460892B2 (en)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3453458B (zh) 2020-03-28 2023-01-3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CN116783152A (zh) 2020-12-23 2023-09-19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透明部件的基于激光的切割
CN112551872A (zh) * 2020-12-25 2021-03-26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面纹理的弧形玻璃的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293A (ja) * 1997-08-06 1999-03-02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自動車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337U (ko) * 1989-10-12 1991-06-11
JP2009035438A (ja) * 2007-07-31 2009-02-19 Central Glass Co Ltd 赤外線反射合せガラス
JP2011207645A (ja) 2010-03-29 2011-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US20120280368A1 (en) * 2011-05-06 2012-11-08 Sean Matthew Garner Laminated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BE1020051A3 (fr) * 2011-07-04 2013-04-02 Agc Glass Europe Vitrage automobile.
WO2013051717A1 (ja) 2011-10-07 2013-04-11 旭硝子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BE1020460A3 (fr) * 2012-01-16 2013-10-01 Agc Glass Europe Vitrage photovoltaique.
KR101430074B1 (ko) 2012-07-12 2014-08-14 (주)합동하이텍그라스 포장 밀봉 방식을 이용한 곡면 강화 유리 접합방법
BE1020862A3 (fr) * 2012-08-21 2014-06-03 Agc Glass Europe Vitrage automobile.
US20150224855A1 (en) * 2012-08-21 2015-08-13 Agc Glass Europe Motor vehicle glazing
KR101534971B1 (ko) 2013-12-19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곡면화 방법
CN107743443B (zh) * 2015-06-02 2020-11-20 康宁股份有限公司 光响应薄玻璃层压件
EP3328645A1 (en) * 2015-07-31 2018-06-06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asymmetric glass laminates
JP6540386B2 (ja) * 2015-08-31 2019-07-10 Agc株式会社 合わせ板、および合わせ板の製造方法
CN108367981B (zh) * 2015-12-21 2021-01-15 Agc株式会社 层叠板
JP2017190271A (ja) * 2016-04-15 2017-10-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658363B2 (ja) * 2016-07-06 2020-03-04 Agc株式会社 合せガラス及び車両窓
JP6852255B2 (ja) * 2016-10-07 2021-03-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曲面接合ガラスおよび曲面接合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80057867A (ko) 2016-11-23 2018-05-31 조예원 세제를 줄이는 광촉매와 자외선 소독 친환경 세탁 볼
WO2018117692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곡면 접합 유리
CN108032595B (zh) * 2017-12-04 2019-10-1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夹层玻璃的生产方法及超薄夹层玻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293A (ja) * 1997-08-06 1999-03-02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自動車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9472A1 (en) 2020-10-29
JP7215662B2 (ja) 2023-01-31
JP2021508309A (ja) 2021-03-04
EP3712119A4 (en) 2021-04-07
KR102200636B1 (ko) 2021-01-11
CN111479790A (zh) 2020-07-31
WO2019225918A1 (ko) 2019-11-28
CN111479790B (zh) 2022-07-05
US11242285B2 (en) 2022-02-08
EP3712119A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636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102252182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102088678B1 (ko)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80030097A (ko) 냉간 성형 적층물
KR20180072588A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곡면 접합 유리
JP2017508693A (ja) 積層ガラス
WO2014185383A1 (ja) 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強化ガラス
US10960648B2 (en) Automotive laminated gla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257831B1 (ko)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114850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EP3569580A1 (en) Automotive laminated gla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1034135B2 (en) Laminat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4217B1 (ko) 기능성층이 구비된 곡면 박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층이 구비된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235140B1 (ko)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JP2019151516A (ja) ガラス板及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樹脂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