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84A -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84A
KR20190132484A KR1020197032290A KR20197032290A KR20190132484A KR 20190132484 A KR20190132484 A KR 20190132484A KR 1020197032290 A KR1020197032290 A KR 1020197032290A KR 20197032290 A KR20197032290 A KR 20197032290A KR 20190132484 A KR20190132484 A KR 2019013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m
key
arm unit
op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307B1 (ko
Inventor
패트릭 스벤손
Original Assignee
퓨어 피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어 피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퓨어 피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드래그 조절 조립체는 레버 아암 유닛, 너트, 제1 키 구조, 제2 키 구조 및 스프링을 포함한다. 레버 아암 유닛은 하우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를 포함한다. 너트, 제1 키 구조 및 제2 키 구조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제1 키 구조 및 제2 키 구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한다. 너트의 내부 표면은 나사형이고, 제1 키 구조의 외부 표면은 대응하는 나사부를 갖는다. 스프링은 제1 및 제2 키 구조 사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낚시 릴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낚시 릴을 위한 드래그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스타 드래그 낚시 릴을 위한 드래그 조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낚시 릴을 위한 스타 드래그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다. 스타 드래그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범위 내에서 스타 드래그 메커니즘의 구조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 및 단위로 낚시줄의 드래그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제공된 범위 내에서 더 넓은 범위의 조절성 또는 더 세밀한 조절성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스타 드래그 메커니즘을 분해하고 구성요소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낚시 환경에 따라 다른 양과 범위의 드래그 조절이 선호된다. 어떤 상황에서는 넓은 범위의 조절성이 선호되는 반면 다른 상황에서는 작은 범위의 조절성만이 사용될 것이다. 드래그 조절 범위를 변경해야 할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낚시꾼은 여러 낚시 릴을 소유하고 낚시 환경에 따라 (원하는 드래그 조절량을 갖는) 원하는 릴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를 조절하기 위한 새로운 또는 개선된 드래그 조절 조립체가 개발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 조절 조립체가 본원에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조절 조립체는 하우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너트;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너트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나사형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키 구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2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제2 키 구조; 및 제1 및 제2 키 구조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조절 조립체는 (A)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형 베이스, (ⅱ) 원형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파지 부분, 및 (ⅲ) 개구와 동축인 원형 베이스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B) (ⅰ) 외부 표면,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로서, 개구는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드라이버 헤드를 포함하는, 너트, (C)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 (ⅱ)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 및 (ⅲ) 개구와 동축인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로서, 나사형 외부 표면을 가지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키 와셔, (D) (ⅰ)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하는, 제2 키 와셔, (E) 각각 관통 개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스프링; 및 (F) 슬리브를 포함하고; 너트는, 너트의 개구가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고, 드라이버 헤드가 레버 아암 유닛의 원형 베이스의 전방 표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외부 표면은 너트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고, 제1 키 와셔의 개구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며; 제2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고 제2 키 와셔의 개구가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는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의 개구가 제2 키 와셔,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교번 배향으로 제1 및 제2 키 와셔 사이의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및 슬리브는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를 둘러싼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 드래그 릴이 본원에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타 드래그 릴은 하우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너트;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너트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나사형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키 구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2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제2 키 구조; 및 제1 및 제2 키 구조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조절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된 스타 드래그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분해도이다.
도 3은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상이한 초기 스프링 압축에서 스타 휠의 회전당 드래그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 드래그 릴을 위한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는 레버 아암 유닛(10) 및 너트(20)만이 노출되도록 슬리브(80) 내에 수용된다. 특히, 너트(20)의 드라이버 헤드(22)만이 레버 아암 유닛(10)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2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의 더 상세한 분해도이다. 레버 아암 유닛(10)과 너트(20)가 다시 도시되어 있다.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는 또한 제1 키 와셔(30), 스프링(40)(도시된 실시예에서 벨빌 와셔(42, 44, 46)으로 구성됨), 제2 키 와셔(50), 로킹 링(60) 및 슬리브(80)를 포함한다.
레버 아암 유닛(10)은 전방 표면(11a) 및 후방 표면(11b)을 갖는 베이스(11)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대체로 원형이며, 개구가 본체(11)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본체(11)의 중심을 통해 전방 표면(11a)으로부터 후방 표면(11b)으로 연장되는 개구(13)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13)는 일반적으로 본체(11)에 대해 중앙에 위치된다.
아마도 도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은 개구(13)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개구(13)는 단차형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구(13)는 제1 내경의 제1 섹션(13a)과 제2 내경의 제2 섹션(13b)을 가지며, 제1 내경은 제2 내경보다 작다.
본체(11)는 레버 아암 유닛(10)의 본체(1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개구(13) 주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파지 부분(12)을 더 포함한다. 파지 부분(12)은 레버 아암이며, 사용자가 축(A)을 중심으로 레버 아암 유닛(10)을 회전시키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레버 아암 유닛(10)은 5개의 파지 부분(1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레버 아암 유닛(10)에 별 형상 외관을 제공한다면, 임의의 수의 파지 부분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파지 부분의 특정 형상 및 구성은 편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의 일부를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 플랜지(19)가 개구(13)와 동축이 되도록 본체(11)의 후방 표면(11b)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19)의 외부 및 내부 표면(14, 16) 각각은 일반적으로 매끄러워, 외부 벽(14) 및 내부 벽(16) 각각의 한 쌍의 홈(65, 85)을 제외하면 플랜지(19)의 길이를 따라 일반적으로 일정한 내경 및 외경을 초래한다. 플랜지(19)는 또한 축( A)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플랜지(19)의 길이의 대부분에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1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1) 주위에 균등하게 위치된 4개의 채널(18a, 18b, 18c, 18d)이 있지만,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채널(18)은 키 와셔(30, 50)의 특정 형상 및 구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사하게, 4개의 채널(18a, 18b, 18c, 18d) 각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채널의 특정 형상 및 기하형상은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바와 같이 키 와셔(30, 50)의 탭(38, 58)의 형상 및 구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채널(18a, 18b, 18c, 18d)은 플랜지(19)의 자유 단부(17)로부터 연장되고 본체(11)의 후방 표면(11b)과 접촉하기 전에 종료된다.
너트(20)를 참조하면, 너트(20)는 본체(21)의 제1 (전방) 측면(21a)의 드라이버 헤드(22) 및 대체로 평탄한 제2 (후방) 측면(21b)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주 본체(21)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너트(20)는 주 본체(21) 상에 대략 중앙에 위치한 원형 개구(23)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헤드(22)는 표준 크기의 육각 헤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헤드(22)의 특정 형상 및 구성은 예를 들어 특정 지리적 위치 또는 산업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도구에 기초하는 것 같이 편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헤드(22)는 평판, 타원, 팬, 트러스, 라운드, 육각, 육각, 버튼 또는 소켓 캡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헤드 형상/스타일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임의의 헤드 형상/스타일에 대해, 특정 구동 스타일이 마찬가지로 변할 수 있다. 구동 스타일의 예로는 필립스(Phillips), 피어슨(Frearson), 슬롯형, 소켓, 육각, 앨런, 정사각형 및 스타 스타일이 있다.
너트(20)의 외경이 너트 본체(21)의 길이를 따라 구성되지 않도록 본체(21)의 외부 표면(24)은 단차형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리고 아마도 도 3a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차부(25a)는 제1 외경을 갖고, 제2 단차부(25b)는 제2 외경을 가지며 제1 외경은 제2 외경보다 작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본체(21)의 제1 외경 및 제2 외경 모두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헤드(22)의 개구(23)가 레버 아암 유닛(10)의 개구(13)와 동축이도록 너트(20)가 원통형 플랜지(19)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너트 본체(21)의 제1 단차부(25a)의 외경은 개구(13)의 제1 섹션(13a)의 내경보다 단지 약간 작으며 너트 본체(12)의 제2 단차부(25b)의 외경은 개구(13)의 제2 섹션(13b)의 내경보다 단지 약간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트(20)는 드라이버 헤드(22)가 개구(13) 밖으로 연장되어 본체(11)의 전방 표면(11a)을 지나도록 레버 아암 유닛 본체(11)의 개구(13) 내로 활주될 수 있다. 본체(11)의 제1 및 제2 단차 섹션(11a, 11b)의 내부 표면은, 너트 본체(21)의 표면(25)과 본체(11)의 표면(11c) 사이의 계면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가 개구(13) 밖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너트 본체(21)의 제1 및 제2 부분(25a, 25b)의 대응하는 외부 표면과 각각 접촉한다.
너트 본체(21)의 내부 표면(26)은 나사형이다.
제1 키 와셔(30)는 매끄러운 외부 표면(36)을 갖는 본체(31)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구조이다. 외부 표면(3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38)이 있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본체(31)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고 각각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4개의 탭(38a, 38b, 38c, 38d)이 존재한다. 이들 4개의 탭(38a, 38b, 38c, 38d)은 레버 아암 유닛(10)의 채널(18a, 18b, 18c, 18d)에 대응한다. 레버 아암 유닛(10)의 채널(18)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면, 탭(38)의 수, 위치 및 형상은 변할 수 있다.
본체(31)의 외경(탭(38)을 포함하지 않음)은 단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작다. 본체(31)와 탭(38)을 합한 외경은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크지만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외경 이하이다.
대체로 원통형 플랜지(35)가 제1 키 와셔(30)의 개구(33)와 동축이 되도록 본체(31)의 전방 표면(31a)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35)의 외부 표면(32)은 나사형이다. 본체(31)의 내부 표면(34)과 플랜지(35)는 나사형이며, 나사가 이들 2개의 부분을 따라 연속된다. 개구(33)의 내경은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하다. 본체(31)의 내부 표면(34) 및 플랜지(35)의 나사부는 낚시 릴(도시되지 않음)의 주 구동 샤프트의 외부 표면 상의 나사부에 대응한다. 도시된 경우, 낚시 릴의 주 구동 샤프트는 너트(20)의 개구(23) 및 제1 키 와셔(30)의 개구(33)를 통해 연장되어 주 구동 샤프트의 외부의 나사부가 본체(31)의 내부 표면(34) 및 플랜지(35)의 나사부와 맞물릴 것이다.
제2 키 와셔(50)는 제1 키 와셔(30)와 유사한 형상 및 구성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키 와셔(50)는 매끄러운 외부 표면(56) 및 대체로 원형 개구(53)를 갖는 본체(51)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구조이다. 개구(53)는 매끄러운 표면 및 일정한 내경을 갖는다. 복수의 탭(58)이 외부 표면(5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본체(51)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되고 각각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4개의 탭(58a, 58b, 58c, 58d)이 존재한다. 이들 4개의 탭(58a, 58b, 58c, 58d)은 제1 키 와셔(30)의 4개의 탭(38a, 38b, 38c, 38d) 및 레버 아암 유닛(10)의 채널(18a, 18b, 18c, 18d)에 대응한다. 제1 키 구조(30)와 유사하게, 탭(58)이 레버 아암 유닛(10) 상의 대응 채널(18)과 맞물릴 수 있다면, 탭(58)의 수, 위치 및 형상은 변할 수 있다. 탭(58)이 제1 키 구조(30) 상의 탭(38)과 동일한 채널(들)(18)과 맞물릴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그렇게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체(51)의 외경(탭(58)을 포함하지 않음)은 단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작다. 본체(51)와 탭(58)을 합한 외경은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크지만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외경 이하이다.
스프링(40)은 제1 및 제2 키 와셔(30, 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프링(40)의 압축량을 변화시키도록 제1 및 제2 키 와셔(30, 50) 사이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40)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벨빌 와셔(42, 44, 46)로 구성된다. 벨빌 와셔는 와셔와 유사한 형상의 스프링 유형이다. 벨빌 와셔의 스프링-유사 특성은 원추대 형상에서 비롯된다. 벨빌 와셔는 디스크 스프링, 원추-디스크 스프링 및 벨빌 스프링으로도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스프링 또는 스프링-유사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4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벨빌 와셔,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2개 이상의 벨빌 와셔이다.
하나의 벨빌 와셔가 사용될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벨빌 와셔를 직렬로 적층하면 스프링 상수가 변경된다. 원추대 형상이 동일 배향이 되도록 벨빌 와셔를 적층하면 더 강성적인 스프링이 생성되는 반면 벨빌 와셔의 배향을 교번시키면 스프링 상수가 낮아진다(더 큰 편향). 본질적으로, 적층체에서 벨빌 와셔의 배향을 교번시키는 것은 기존의 코일 스프링을 직렬로 배치하는 것과 비슷하다. 전술한 바의 견지에서, 일련의 벨빌 와셔를 스프링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또는 원하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이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벨빌 와셔의 양 및 배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40)은 교번적 적층 배열의 3개의 벨빌 와셔(42, 44, 46)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와셔(42)는 제1 키 와셔(30)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고, 와셔(44)는 제1 키 와셔(30)를 향해 경사지고, 와셔(46)는 제1 키 와셔(30)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다. 유사하게, 벨빌 와셔 및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지지만,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에 사용된 벨빌 와셔의 외경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내경보다 작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스프링(40)(그리고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벨빌 와셔(42, 44, 46))은 중앙 개구(4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 제1 키 와셔(30), 스프링(40) 및 제2 키 와셔(50) 각각의 개구(23, 33, 43, 53)는 동축이며, 특히 축(A)에 대해 동축이어서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90)을 형성한다. 채널(90)은 낚시 릴(도시되지 않음)의 주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키 와셔(30)의 탭(38a, 38b, 38c, 38d) 및 제2 키 와셔(50)의 탭(58a, 58b, 58c, 58d) 각각은 레버 아암 유닛(10)의 채널(18a, 18b, 18c, 18d)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린다. 플랜지(35)의 외부 표면(32) 상의 나사부는 볼트(20)의 내부 표면(26) 상의 나사부에 대응하고 맞물린다. 탭(38a, 38b, 38c, 38d 및 58a, 58b, 58c, 58d)을 채널(18a, 18b, 18c, 18d)과 맞물리게 하고, 플랜지(35)의 외부 표면(32)의 나사부와 너트(20)의 내부 표면(26)의 나사부를 맞물리게 하면, 축(A)에 대한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은 축(A)을 중심으로 하는, 그리고 따라서, 낚시 릴(도시되지 않음)의 주 구동 샤프트를 따른, 너트(20), 제1 키 와셔(30) 및 제2 키 와셔(50)의 일괄적인 유닛으로서의 회전 이동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드라이버 헤드(22)의 구성에 의해 지정되거나 허용되는 렌치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축(A)을 중심으로 너트(20)만을 회전시키면 너트(20)에 대한 제1 키 와셔(30)의 선형 이동을 초래한다. 구체적으로, 너트(20)가 회전될 때, 제1 키 와셔(30)의 회전 이동은 탭(38a, 38b, 38c, 38d)과 채널(18a, 18b, 18c, 18d)의 맞물림에 의해 금지된다. 결과적으로, 제1 키 와셔(30)는 맞물림 나사부(36, 26)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축(A)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탭(38a, 38b, 38c, 38d) 및 탭(58a, 58b, 58c, 58d)은 키로서 기능하고 채널(18a, 18b, 18c, 18d)은 키웨이로서 기능하여 키 와셔(30, 50)와 레버 아암 유닛(10) 사이에 키 조인트를 형성한다.
로킹 링(60)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내부 표면(17)에서 홈(65)에 안착된다. 로킹 링(60)은 홈(65)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로킹 링(60)의 일부는 원통형 플랜지(19)의 내부 표면(17)을 넘어 노출된다. 로킹 링(60)은 제2 키 와셔(50)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고, 제2 키 와셔(50)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를 플랜지(19)의 자유 단부(17)를 통해 분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리브(8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매끄러운 내부 표면(86) 및 매끄러운 외부 표면(84)을 갖는다. 슬리브(80)의 내경은 단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외경보다 더 크다. 슬리브(80)는 원통형 플랜지(19)의 채널(18a, 18b, 18c, 18d)을 덮음으로써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의 다른 구성요소 주위에 폐쇄된 하우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80)는 그 내부 표면(86) 주위로 연장되는 립(82)을 포함한다. 립(82)은 레버 아암 유닛(10)의 원통형 플랜지(19)의 외부 표면(14) 상의 홈(85)과 맞물려 슬리브(80)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를 사용하여 낚시줄의 드래그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레버 아암 유닛(10)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레버 아암 유닛(1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20) 및 제1 키 와셔(30)가 제2 키 와셔(50)에 더 가깝게 이동하게 된다. 이는 스프링(40)을 압축하고 낚시줄의 드래그 양을 증가시킨다.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스프링(40)의 압축은 제1 키 와셔(30)가 낚시 릴 및/또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 낚시 릴(도시되지 않음)의 주 구동 샤프트를 따라 이동할 때까지 계속 증가한다. 유사하게, 레버 아암 유닛(10)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20) 및 제1 키 와셔(30)가 제2 키 와셔(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이 이동은 스프링(40)을 이완시키고 낚시줄의 드래그 양을 감소시킨다.
제1 키 와셔(30)가 너트(20)에 의해 허용된 만큼 제2 키 와셔(5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키 와셔(30)에는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에 의한 가장 큰 조절 범위가 허용된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40)이 그 가장 이완된 위치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스프링(40)을 완전히(또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 완전히) 압축하기 위해 레버 아암 유닛(10)의 특정 수의 회전이 필요할 것이다. 스프링(40)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회전의 수는 너트(20)의 제1 키 와셔(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키 와셔(30)가 너트(20)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 제2 키 와셔(5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필요한 회전의 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너트(20)만을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 없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키 와셔(30)가 제2 키 와셔(50)를 향해 선형으로 이동하게 하여, 제1 키 와셔(30)가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 동안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된다. 제1 키 와셔(30)가 제2 키 와셔(50)에 더 근접하여 시작함에 따라, 스프링(40)은 시작시에 보다 압축된 상태에 있고, 스프링(40)을 완전히 압축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서, 너트(20)의 회전은 드래그 조절 조립체(100)에서 제1 키 와셔(30)의 시작 위치를 변경시킨다.
더욱이, 스프링(40)을 완전히 압축하는 데 필요한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의 수가 더 적으면, 레버 아암 유닛(10)의 단일 회전에 의해 제공되는 드래그의 양은, 제1 키 와셔(30)가 제2 키 와셔(50)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시작될 때, 즉 스프링(40)이 보다 이완된 상태에서 시작될 때 레버 아암 유닛(10)의 1 회전에 의해 제공되는 드래그의 양보다 크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제1 키 와셔(30)가 너트(20)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 제2 키 와셔(5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시나리오(즉, 스프링(40)은 초기에 그 가장 이완된 상태에 있음) 및 제1 키 와셔(30)가 너트(20)에 의해 허용된 만큼 제2 키 와셔(50)에 근접한 제2 시나리오(즉, 스프링(40)은 초기에 다소 압축된 상태에 있음)에 대한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 당 제공된 드래그의 양을 도시한다. 도 4는 레버 아암 유닛(10)의 회전 당 드래그의 변화가 제2 시나리오에서 더 크다는 것을 도시한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하한값 및 상한값을 비롯하여 이로부터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명시적 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대하여(예를 들어, 1 또는 2, 또는 3 내지 5 또는 6 또는 7), 임의의 2개의 명시적 값 사이의 모든 하위 범위가 포함된다(예를 들어, 1 내지 2; 2 내지 6; 5 내지 7; 3 내지 7; 5 내지 6; 등).
무엇보다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구성요소의 수, 그 재료, 그 형상, 및 그 상대적인 배열 등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전술한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간단하게 제공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개선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에 관해 제공된 임의의 진술은 본원에 개시된 플랫폼 지지부 및 통합 조립체, 스캐폴드 시스템 또는 플랫폼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증, 보장 또는 나타내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 및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의 일부 및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상이한 실시예의 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들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의도한다.

Claims (20)

  1. 드래그 조절 조립체이며,
    하우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너트;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너트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나사형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키 구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2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제2 키 구조; 및
    제1 및 제2 키 구조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2개 이상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벨빌 와셔는 교번 배향으로 적층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3개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키 구조는 베이스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키 와셔이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나사형 표면을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레버 아암 유닛, 너트, 제1 키 구조, 제2 키 구조 및 스프링은 각각 중앙 개구를 포함하고, 중앙 개구들은 동축인, 드래그 조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레버 아암 유닛은 베이스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 형태인, 드래그 조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는 원통형 플랜지의 채널인, 드래그 조절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원형이고 중앙 원형 개구를 포함하고, 원통형 플랜지는 중앙 원형 개구와 동축이며, 레버 아암 유닛은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파지 부분을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중앙 원형 개구는 제1 내경을 갖는 제1 부분 및 제2 내경을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가지며, 제1 내경은 제2 내경보다 작은, 드래그 조절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너트는 제1 외경을 갖는 제1 부분 및 제2 외경을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원통형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드라이버 헤드를 포함하고, 제1 외경은 제2 외경보다 작고, 제1 외경은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의 중앙 원형 개구의 제1 부분의 제1 내경보다 작고, 제2 외경은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의 중앙 원형 개구의 제1 부분의 제1 내경보다 크고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의 중앙 원형 개구의 제2 부분의 제2 내경보다 작은, 드래그 조절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너트는, 원통형 베이스가 레버 아암 유닛의 중앙 원형 개구와 동축이고 너트 헤드가 하우징 외부에 있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 내에 위치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3. 드래그 조절 조립체이며,
    (A) 레버 아암 유닛으로서,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형 베이스,
    (ⅱ) 원형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파지 부분, 및
    (ⅲ) 개구와 동축이고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원형 베이스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B) 너트로서,
    (ⅰ) 원통형 본체로서, 외부 표면,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고, 개구는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드라이버 헤드를 포함하는, 너트;
    (C) 제1 키 와셔로서,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
    (ⅱ)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 및
    (ⅲ) 개구와 동축인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로서, 나사형 외부 표면을 가지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키 와셔;
    (D) 제2 키 와셔로서,
    (ⅰ)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을 갖는, 제2 키 와셔;
    (E) 관통 개구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스프링; 및
    (F) 슬리브를 포함하고,
    너트는, 너트의 개구가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고, 드라이버 헤드가 레버 아암 유닛의 원형 베이스의 전방 표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외부 표면은 너트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고, 제1 키 와셔의 개구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며,
    제2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고 제2 키 와셔의 개구가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는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의 개구가 제2 키 와셔,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교번 배향으로 제1 및 제2 키 와셔 사이의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고,
    슬리브는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를 둘러싸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레버 아암 유닛의 회전은 너트, 제1 키 와셔 및 제2 키 와셔의 회전을 야기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너트의 회전은 제1 키 와셔의 회전만을 야기하는, 드래그 조절 조립체.
  17. 스타 드래그 릴이며,
    하우징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를 포함하는 레버 아암 유닛;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된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너트;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너트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나사형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키 구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2 키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제2 키 구조; 및
    제1 및 제2 키 구조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타 드래그 릴.
  18. 제17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벨빌 와셔를 포함하는, 스타 드래그 릴.
  19. 제18항에 있어서,
    (A) 레버 아암 유닛은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형 베이스,
    (ⅱ) 원형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파지 부분, 및
    (ⅲ) 하우징을 형성하는 원통형 플랜지로서, 개구와 동축인 원형 베이스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웨이는 원통형 플랜지의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B) 너트는
    (ⅰ) 원통형 본체로서, 외부 표면,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고, 개구는 나사형 내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드라이버 헤드를 포함하고,
    (C) 제1 키 구조는
    (ⅰ)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 및
    (ⅱ) 외부 표면을 갖고 개구와 동축인 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는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이고,
    나사형 표면은 원통형 플랜지의 외부 표면이며,
    (D) 제2 키 구조는
    (ⅰ) 관통 개구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는 원통형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이며,
    (E) 벨빌 와셔는 각각 관통 개구를 갖는, 스타 드래그 릴.
  20. 제19항에 있어서, 주 구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너트는, 너트의 개구가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고, 드라이버 헤드가 레버 아암 유닛의 원형 베이스의 전방 표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제1 키 와셔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외부 표면은 너트의 원통형 플랜지의 나사형 내부 표면과 맞물리고, 제1 키 와셔의 개구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며,
    제2 키 와셔는 복수의 탭 각각이 레버 아암 유닛의 복수의 채널 중 하나와 맞물리고 제2 키 와셔의 개구가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고,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는 적어도 2개의 벨빌 와셔의 개구가 제2 키 와셔, 제1 키 와셔, 너트 및 레버 아암 유닛의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교번 배향으로 제1 및 제2 키 와셔 사이의 레버 아암 유닛의 원통형 플랜지에 위치되며,
    주 구동 샤프트는 너트, 제1 키 와셔, 벨빌 와셔 및 제2 키 와셔의 동축 개구들을 통해 연장되는, 스타 드래그 릴.
KR1020197032290A 2017-04-18 2018-04-17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KR102613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90,164 US10426151B2 (en) 2017-04-18 2017-04-18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US15/490,164 2017-04-18
PCT/US2018/028038 WO2018195126A1 (en) 2017-04-18 2018-04-17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84A true KR20190132484A (ko) 2019-11-27
KR102613307B1 KR102613307B1 (ko) 2023-12-14

Family

ID=6379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90A KR102613307B1 (ko) 2017-04-18 2018-04-17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26151B2 (ko)
EP (1) EP3612024B1 (ko)
JP (1) JP7164546B2 (ko)
KR (1) KR102613307B1 (ko)
CN (1) CN208581736U (ko)
AU (1) AU2018255303B2 (ko)
WO (1) WO2018195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22897B2 (ja) * 2018-07-19 2022-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CN111264484A (zh) * 2020-03-20 2020-06-12 天津光明顶渔具有限公司 一种钓鱼主线缠绕器
JP1705338S (ja) * 2021-10-29 2022-01-18 釣用リールのドラグ操作具
CN114766442B (zh) * 2022-04-19 2023-03-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基于智能调控的南极磷虾拖网深度快速调节动力桁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0945A1 (en) 2002-02-13 2003-08-14 Eugene Hong Fishing spool with one-way brake assembly
US20040200915A1 (en) 2003-02-05 2004-10-14 Tomohiro Nishikawa Handle attachment structure for fishing reel
KR200423033Y1 (ko) * 2006-03-29 2006-08-02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베이트 릴의 발음기구
US20080093492A1 (en) 2005-05-20 2008-04-24 Haiyan Zhang Modularized fishing reel spool
KR20100131905A (ko) *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US20130200194A1 (en) 2012-02-03 2013-08-08 Pure Fishing, Inc. Iar drag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964U (ko) * 1990-03-12 1991-11-27
JP2562921Y2 (ja) * 1993-09-08 1998-02-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制動調節装置
US5615840A (en) * 1994-04-28 1997-04-01 Astro Tool Corp. Fishing reel with drag system
JP3534574B2 (ja) * 1997-06-20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6286772B1 (en) * 1997-11-26 2001-09-11 Robert W. Koelewyn Fly fishing reel with adjustable drag system, removable spool and selectable anti-reverse
US5988547A (en) * 1997-11-26 1999-11-23 Koelewyn; Robert W. Adjustable drag system for fishing spool with clutch members between spool-supporting bearings
US6152390A (en) * 1999-09-22 2000-11-28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mpany Cartridge preset drag mechanism
US6578785B1 (en) * 2002-01-25 2003-06-17 Eugene Hong Fly fishing reel with a positioning unit
JP4015931B2 (ja) * 2002-11-21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SG117579A1 (en) * 2004-05-20 2005-12-29 Shimano Kk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4471294B2 (ja) * 2005-06-27 2010-06-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916696B2 (ja) * 2005-10-13 2012-04-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0945A1 (en) 2002-02-13 2003-08-14 Eugene Hong Fishing spool with one-way brake assembly
US20040200915A1 (en) 2003-02-05 2004-10-14 Tomohiro Nishikawa Handle attachment structure for fishing reel
US20080093492A1 (en) 2005-05-20 2008-04-24 Haiyan Zhang Modularized fishing reel spool
KR200423033Y1 (ko) * 2006-03-29 2006-08-02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베이트 릴의 발음기구
KR20100131905A (ko) *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US20110108651A1 (en) 2009-06-08 2011-05-12 Doyo Engineering Co., Ltd. Click sound generating device for bait reel
US20130200194A1 (en) 2012-02-03 2013-08-08 Pure Fishing, Inc. Iar drag release
JP2013158343A (ja) * 2012-02-03 2013-08-19 Pure Fishing Inc Iarドラグ解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2024C0 (en) 2023-06-07
JP7164546B2 (ja) 2022-11-01
CN208581736U (zh) 2019-03-08
JP2020517246A (ja) 2020-06-18
EP3612024A1 (en) 2020-02-26
US10426151B2 (en) 2019-10-01
AU2018255303B2 (en) 2024-01-04
WO2018195126A1 (en) 2018-10-25
KR102613307B1 (ko) 2023-12-14
EP3612024B1 (en) 2023-06-07
AU2018255303A1 (en) 2019-11-07
EP3612024A4 (en) 2021-04-21
US20180295824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484A (ko)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US6516821B1 (en) Stageless adjusting/locating device for sticks
US9925650B2 (en) Torque limiting filter wrench
US7034250B2 (en) Welding wire dispen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justment of rotational resistance in a spool
JP2008075870A (ja) 公差補正付き締結装置
JP2010529509A (ja) 光学機器もしくはビデオ/写真機器のための調節可能支持ヘッド
US4619437A (en) Adjustable torque limiting valve handle
US20060255085A1 (en) Switching device for driving nails of a nail gun
MX2015005218A (es) Ensamble de tuerca de trinquete.
JP2002122119A (ja) 構造部品連結装置
US20050254126A1 (en) Adjusting apparatus for a telescope system
CN105378558A (zh) 伸缩装置
JP6621972B1 (ja) ナット
TWM611625U (zh) 扭力工具
TW202130467A (zh) 扭力結構
JP2007500825A (ja) ボーデンケーブル装置の調節構造
US10589682B2 (en) View angle adjustment mechanism in view device
JP7192157B1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
EP0521267B1 (de) Leuchte mit zwischen Reflektor und Lampenfassung verstellbarem Abstand
US3973611A (en) Nut system for limiting tightening
CN105378557A (zh) 伸缩装置
EP3441631A1 (en) Knob
CN103851550B (zh) 灯具调节装置
EP0172886A4 (en) HANDLE WITH ADJUSTABLE TORQUE LIMIT.
CN106817636B (zh) 音响自锁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