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369A -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369A
KR20190132369A KR1020197026482A KR20197026482A KR20190132369A KR 20190132369 A KR20190132369 A KR 20190132369A KR 1020197026482 A KR1020197026482 A KR 1020197026482A KR 20197026482 A KR20197026482 A KR 20197026482A KR 20190132369 A KR20190132369 A KR 2019013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ox
drive
delivery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181B1 (ko
Inventor
뎅핑 탄
쉬에런 쳉
메이 웨이
샹둥 첸
Original Assignee
광둥 이방 파마슈티컬스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745740.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2578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482214.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341094B/zh
Application filed by 광둥 이방 파마슈티컬스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광둥 이방 파마슈티컬스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3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18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플랫폼, 상자 전달 장치, 배출 구동 장치, 필름 밀봉 장치, 전체 시스템의 작동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자형 스탠드와 작업대 상판으로 구성된다. 작업대 상판에는 분배 홀들의 양측에 각각 상자 수용 홀 위치들이 제공된다. 배출 구동 장치들 중 하나는 각각의 배출 홀 위치들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박스 전달 장치 및 필름 밀봉 장치는 박스형 스탠드 내에 장착된다. 박스 전달 장치는 시프팅 기구 및 2세트의 회전 기구를 포함한다. 회전 기구는 시프팅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박스 수용 홀 위치 또는 분배 홀 위치 아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작업대 상판 아래의 좌, 우측에 각각 2세트의 필름 밀봉 장치들이 존재하며, 박스 전달 장치는 약상자를 해당 필름 가압 스테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콤팩트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작은 점유 공간을 갖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본 발명은 제약 생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국 내외에서 한약의 과립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두 가지 측면들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한약 가루를 탕약하는 것, 즉 탕약용 한약 조각들을 특정 입도의 과립으로 분쇄하여 탕약 효율을 향상시키고, 치료 효과를 높이며, 한약재들을 절약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단일 종의(single-flavor) 과립 또는 복합 농축 추출물 과립, 즉 가공, 의약, 식물 화학 및 기타 현대 과학 연구 성과들와 결합된 현대 과학 기술을 사용하여, 단일 종의 한약 또는 전통 클래식의 화합물이 직접 추출되고, 추출물로 농축된 다음, 환자들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과립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약의 기존 생산 공정은 정규화되고 표준화되어왔다. 현재, 한약의 최종 판매를 위하여, 분배 장비에 의해서도 자동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특허출원 제 201610500966.0호에는, 상자 배출 장치, 약상자 전달 측정 장치, 기계식 핸드 정밀 약물 배출 장치, 필름 밀봉 장치,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 장치, 약상자의 코너 회전 장치, 및 약상자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처방을 위한 완전 자동 배출 시스템이 개시되어있다. 이 장치는 한약 처방약들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분배하고 포장할 수 있어서, 분배 관리 직원 노동 강도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약물 복용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약 처방을 위한 자동 분배 시스템은 자동화의 수준이 높으며, 분배 과정에 수작업을 필요로하지 않고, 분배 속도가 빠르므로, 분배량이 많은 병원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고비용, 큰 점유 공간, 복잡한 시스템을 가지며 유지 보수가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와 낮은 제조 비용을 가지며 유지 보수가 편리한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채택된 기술적 해결책은, 작업 플랫폼, 상자 전달 장치, 배출 구동 장치, 필름 밀봉 장치, 전체 시스템의 작동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이다.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자형 스탠드와 작업대 상판으로 구성된다. 작업대 상판의 중앙에는 한 세트의 분배 홀 위치들이 구비된다. 작업대 상판에는 분배 홀 위치들의 양측에 각각 상자 수용 홀 위치들이 구비된다. 배출 구동 장치들 중 하나는 각각의 분배 홀 위치들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상자 전달 장치 및 필름 밀봉 장치는 상자형 스탠드 내에 장착된다. 상자 전달 장치는 시프팅 기구 및 회전 기구를 포함한다. 시프팅 기구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전동 시프팅 상자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제한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전동 시프팅 상자에는 빔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한 세트의 회전 기구각 빔 프레임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회전 기구는 약상자 운반 트레이 및 모터를 포함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에는 약상자 고정 홀들이 균일하게 구비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는 베어링을 통해 빔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모터는 빔 프레임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약상자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회전 기구는 시프팅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상자 수용 홀 위치 또는 분배 홀 위치 아래에서 정지될 수 있다. 필름 밀봉 장치는 기저부, 필름 가압 헤드, 헤드 구동 조립체, 및 필름 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기저부는 상자형 스탠드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기저부에는 그 위에 필름 가압 스테이션이 구비된다. 필름 가압 헤드는 헤드 구동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필름 가압 스테이션 바로 위에 위치된다. 헤드 구동 조립체는 기저부 상에 장착되고, 필름 가압 헤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필름 밀봉 장치들은 작업대 상판 아래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자 전달 장치는 대응하는 필름 가압 스테이션으로 약상자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약상자 운반 트레이의 바닥면에는 풀리(pulley)가 구비된다.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에는 구동 휠이 구비된다. 구동 휠은 동기식(synchronous) 벨트에 의해 풀리에 연결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에는 복수 개의 위치설정 자석 블록들이 구비되고, 빔 프레임에는 자기극(magnetic pole)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스위치가 구비된다. 각각의 약상자 고정 홀들 내에는 약상자의 배치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스위치가 또한 구비된다.
또한, 작업 플랫폼에는 약병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계량 포트가 더 구비되며, 컴퓨터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계량 장치가 계량 포트 아래에 구비된다.
또한, 컴퓨터 제어 장치가 열 프린터 및 바코드 스캐너와 더 연결 구비되고, 열 프린터 및 바코드 스캐너는 작업 플랫폼의 전면 표면 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배출 구동 장치는 베어링 장착 기저부, 베어링, 배출 구동 링, 서보(servo) 모터, 약병 위치설정 링,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RFID) 식별 판독기, 및 약병 위치설정 링에 고정된 환형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배출 구동 링은 베어링에 의해 베어링 장착 기저부 상에 장착된다. 배출 구동 링은 톱니 벨트에 의해 서보 모터에 연결된다. 환형 상부 커버와 약병 위치설정 링은 그 사이에 챔버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RFID 식별 판독기는 챔버 내에 고정되고, RFID 식별 판독기와 약병 위치설정 링 사이에는 절연 링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링은 링 바디 및 링 바디 내에 배치된 장착 기둥으로 구성된다. 링 바디와 장착 기둥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링 바디는 약병 위치설정 링에 고정되고, RFID 식별 판독기는 장착 기둥 상에 고정된다.
또한, 필름 전달 조립체는 필름 전달 지지체, 포장 필름 홀더, 필름 전달 롤러, 및 필름 전달 롤러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필름 전달 모터를 포함한다. 필름 전달 지지체는 기저부에 고정되어 있다. 포장 필름 홀더의 바닥은 안내 로드(rod) 및 지지 스프링에 의해, 필름 지지체 상에 장착된다. 필름 전달 롤러는 필름 전달 지지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필름 전달 롤러와 포장 필름 홀더의 표면 사이에는 필름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감지 스위치는 기저부 상에 더 장착되어 포장 필름이 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포장 필름 홀더의 전단에는 필름 전달 안내 홈이 더 장착되고, 상자형 스탠드의 하부에는 필름 롤링 지지체 및 복수 개의 필름 안내 로드들이 더 장착된다.
필름 공급 통로의 출구 및 입구에 각각 제 2 감지 스위치 및 제 3 감지 스위치가 구비되어 포장 필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헤드 구동 조립체는 리프팅 프레임, 리프팅 구동 모터, 및 리프팅 프레임 상에 고정된 헤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리프팅 프레임은 기저부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리프팅 구동 모터는 기저부에 장착된다. 리프팅 구동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에는 캠이 장착되고, 캠은 크랭크에 의해 리프팅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된다. 리프팅 프레임의 제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기저부 상에는 상한 스위치 및 하한 스위치가 장착된다. 필름 가압 헤드는 헤드 장착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헤드 장착 플레이트에는 커터가 더 구비된다.
또한, 컴퓨터 제어 장치의 호스트는 상자형 스탠드 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입력 장치가 작업대 상판 상에 배치되고, 작업대 상판의 그 전면 표면 상에는 분배 버튼 스위치 및 2개의 상자 수용 버튼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작은 점유 공간 및 편리한 유지 보수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다:
1. 회전 상자 전달 기구로 인해 약상자 운반 트레이의 이동 궤적이 원형이며, 배출 구동 장치 및 필름 밀봉 장치는 약상자 운반 트레이와 협동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더욱 소형화하고, 적용 시 전체 기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2세트의 회전 기구들을 구비함으로써, 한 세트의 회전 기구가 배출을 달성하고, 다른 세트는 상자 수용을 수행할 수 있어서, 배출 및 밀봉과 같은 공정들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2. 배출 구동 장치에 RFID 식별 판독기를 구비함으로써, 약병에 내장된 RFID 태그가 판독될 수 있고, 배출 중에, 삽입된 약병이 처방에 필요한 약병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분배될 약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또한, 병의 삽입을 위해 마킹 노치를 구비하여, 분배 중에 분배 직원이 약병을 신속, 정확하게 삽입하기 쉽게 한다.
3. 필름 밀봉 장치에서, 필름 전달 롤러가 포장 필름 홀더와 맞물림으로써, 필름 전달 롤러는 포장 필름의 회전 시 마찰에 의해 포장 필름을 전방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 1 감지 스위치가 포장 필름이 제 위치에 있음을 감지할 때, 필름 가압 헤드는 필름 가압을 실현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가압 구동된다. 필름 가압 헤드의 하강 및 상승 위치들은, 그 위치가 정확하며 포장 필름과 약상자의 가장자리가 함께 정확하게 녹을 수 있도록, 하강 및 상승 스위치들에 의해 모니터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전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전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전달 장치에서의 회전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한약 과립의 약병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압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전달 장치가 필름 가압 스테이션으로 약품 상자를 전달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부 상에 장착된 필름 가압 기구의 구동 조립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측면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는 작업 플랫폼(1), 상자 전달 장치(2), 배출 구동 장치(3), 필름 밀봉 장치(4) 및 전체 시스템의 작동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일칩 컴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작업 플랫폼(1)은 상자형 스탠드(11) 및 작업대 상판(12)을 포함한다. 상자형 스탠드(11)의 안에는 장착 파티션(13)이 구비된다. 작업대 상판(12)의 후면은 힌지를 통해 상자형 스탠드(11)의 일 측에 연결되고, 작업대 상판(12)의 좌, 우측 중간부들은 각각 유압식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14)에 의해 상자형 스탠드(11)에 연결된다. 파티션(13)은 상자형 스탠드(11)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자 전달 장치 및 필름 밀봉 장치는 파티션(13)에 각각 장착된다.
작업대 상판(12)의 중앙에는 한 세트의 분배 홀 위치(121)들이 구비되고, 분배 홀 위치(121)들의 양측에 각각 상자 수용 홀 위치들(122, 123)이 구비된다. 작업대 상판(12)에는 계량 홀 위치(124)가 더 구비된다. 컴퓨터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계량 장치(50)는 계량 포트(124) 아래에 구비된다. 전자 계량 장치(50)를 구비함으로써, 배출 전, 후의 약병 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 약의 양이 적절한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무게는 처방에 필요한 약의 양과 비교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약의 양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7개의 분배 홀 위치(121)들이 원형으로 배열되어있다. 배출 구동 장치(3)들 중 하나가 분배 홀 위치(121)들 각각에 대응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분배 포트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배출 중에, 7개의 분배 홀들에는 7개의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들(RFIDs)이 놓여진다. 병이 홀들에 삽입되면 RFID들이 약의 이름을 감지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면, 호스트 컴퓨터는 데이터를 메인 제어 칩으로 보내고, 약의 필요한 무게에 따라 명령을 내린다. 메인 제어 칩은 해당 드라이버로 명령을 전송하고, 모터는 분배 홀을 지정된 횟수만큼 회전 구동하여 단일 분배를 완료한다.
컴퓨터 제어 장치의 호스트 및 스피커가 상자형 스탠드(11)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51) 및 그 입력 장치(52)가 작업대 상판(12) 상에 배치된다. 컴퓨터 제어 장치의 호스트는 열 프린터(53) 및 바코드 스캐너(54)에 추가로 연결 구비되고, 열 프린터(53) 및 바코드 스캐너(54)는 작업 플랫폼의 전면에 장착된다. 바코드 스캐너(54)를 구비함으로써, 한약 과립의 큰 포장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약병의 복용량이 불충분한 경우, 약을 추가할 때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약이 잘못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열 프린터(53)에 의해 처방 정보 및/또는 약 복용 등에 대한 주의 사항들이 인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자 전달 장치(2)는 시프팅 기구(201) 및 회전 기구(202)를 포함한다. 시프팅 기구(201)는 가이드 레일(2011) 및 가이드 레일(2011)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전동 시프팅 상자(2012)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2011)의 양단에는 각각 좌측 제한 스위치(2013) 및 우측 제한 스위치(2014)가 구비된다. 전동 시프팅 상자(2012)에는 빔 프레임(203)이 장착된다. 한 세트의 회전 기구(202)가 빔 프레임(203)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실제 적용에서, 시프팅 기구(1)는 특허출원 제 201620673394.1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송 안내 장치의 특정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회전 기구(202)는 약상자 운반 트레이(21) 및 모터(22)를 포함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21)에는 약상자 고정 홀(23)들이 링 형태로 균일하게 구비되고, 약상자 고정 홀(23)들은 약상자 운반 트레이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23)는 베어링을 통해 브래킷(29) 상에 장착되고, 브래킷(29)은 작업 플랫폼(1)의 장착 파티션(13)에 고정된다. 모터(22)는 스테퍼(stepper) 모터이며 브래킷(29) 상에 고정된다. 상자 운반 트레이(21)의 바닥면에는 풀리(24)가 구비되고, 모터(22)의 출력 샤프트에는 구동 휠(25)이 구비된다. 구동 휠(25)은 동기식 벨트(26)에 의해 풀리(24)에 연결된다. 작동 중에는 모터(22)가 약상자 운반 트레이(23)를 회전 구동하도록 작동된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21)에는 복수 개의 위치설정 자석 블록(27)들이 구비되고, 브래킷(29)에는 자기극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스위치(28)가 구비된다. 모터가 회전할 때, 위치설정 자석 블록(27)의 위치가 위치설정 스위치(28)에 의해 감지되어, 모터가 제 위치에서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약상자의 배치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스위치가 또한 각각의 약상자 고정 홀(23)들에 구비된다. 모니터링 스위치에 의해 약상자가 약상자 고정 홀(23)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배출 중에 약상자가 약상자 고정 홀(23)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장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경보가 울릴 것이다.
또한, 약상자 고정 홀(23)들 각각에는 약상자의 배치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스위치도 구비된다. 모니터링 스위치는 광전(photoelectric) 센서일 수 있다. 약상자가 배치될 때, 약상자 누락을 피하기 위해 약상자가 배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작업대 상판의 전면 상에는 분배 버튼 스위치(1211) 및 2개의 상자 수용 버튼 스위치들(1221, 1231)이 구비된다. 작업대 상판(12)의 우측 상부 코너에는 전원 표시기(2015) 및 작동 상태 표시기(2016)가 구비된다. 작동 상태 표시기(2016)는 상이한 색들을 표시함으로써 상이한 상태들을 표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배출 구동 장치(3)는 베어링 장착 기저부(31), 베어링, 톱니 벨트(32), 배출 구동 링(33), 서보 모터(34), 약병 위치설정 링(35), RFID 식별 판독기(36), 및 약병 위치설정 링 상에 고정된 환형 상부 커버(37)를 포함한다. 약병 위치설정 링(35)에는 제 1 래칭 홈(351)이 구비된다. 배출 구동 링(33)은 링 바디, 제 2 래칭 홈(331), 및 링 바디의 외벽에 배치된 돌출 톱니를 포함한다. 제 2 래칭 홈(331)은 링 바디의 내벽에 배치된다. 배출 구동 링(33)은 베어링에 의해 베어링 장착 기저부(31)에 장착된다. 서보 모터(34)의 출력 샤프트에는 구동 기어(38)가 장착되어있다. 배출 구동 링(33)의 돌출 톱니는 톱니 벨트(32)에 의해 구동 기어(38)에 연결된다.
약병 위치설정 링(35)은 베어링 장착 기저부(31)에 고정되고, 환형 상부 커버(37)와 약병 위치설정 링(35) 사이에는 챔버가 형성되어 있다. RFID 식별 판독기(36)는 챔버 내에 고정된다. 구체적인 설치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절연 링(39)이 챔버 내에 구비되고, 절연 링(39)은 링 바디(391) 및 링 바디에 배치된 장착 기둥(392)으로 구성된다. 링 바디(391) 및 장착 기둥(392)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링 바디(391)는 약병 위치설정 링(35) 상에 고정되고, RFID 식별 판독기(36)는 장착 기둥(392)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기둥(392)의 지지에 의해 RFID 식별 판독기(36)는 챔버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어서, RFID 식별 판독기(36)의 회로 부분이 절연될 수 있고, 회로 구성요소들의 열 소실이 촉진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의 사용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환형 상부 커버(37)에는 병 삽입을 위한 마킹 노치(371)가 구비된다. 약병 위치설정 링(35)에는 챔버와 연통하고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352)이 구비된다. 사용 중에, 분배 직원은 병 삽입을 위한 마킹 노치(371)로 약병(6)을 신속하게 삽입하여, 배출 장치의 고정 커버 부분이 제 1 래칭 홈(351)에 래치되고, 배출 구동 커버는 제 2 래칭 홈(331)에 래치되도록 한다. 서보 모터(34)는 배출을 위해 배출 구동 커버를 회전 구동한다. 약병(6)은 한약 정보가 저장되고 RFID 식별 판독기(6)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RFID 태그를 가지므로, 배출 중에 배치되는 약병이 정확한지 여부를 보장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교체를 요청하는 경보가 발령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필름 밀봉 장치(4)는 기저부(41), 필름 가압 헤드(42), 헤드 구동 조립체(43) 및 필름 전달 조립체(44)를 포함하고, 기저부(41)의 상부 표면에는 필름 가압 스테이션(411)이 구비된다.
헤드 구동 조립체(43)는 리프팅 프레임(431), 리프팅 구동 모터(432) 및 리프팅 프레임 상에 고정된 헤드 장착 플레이트(433)를 포함한다. 리프팅 프레임(431)은 기저부(41)의 일 측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리프팅 구동 모터(432)는 기저부(41)에 장착된다. 리프팅 구동 모터(432)의 출력 샤프트에는 캠(434)이 장착되고, 크랭크(435)에 의해 리프팅 프레임(431)의 하단에 캠(434)이 연결된다. 기저부(41)에는 상한 제한 스위치(436) 및 하한 제한 스위치(437)가 장착되어, 리프팅 프레임의 제한 위치를 감지한다. 필름 가압 헤드(42)는 헤드 장착 플레이트(433) 상에 고정되고 필름 가압 스테이션(411) 바로 위에 위치된다. 헤드 장착 플레이트(433)의 위에는 커터(438)가 더 구비된다. 작동 중에, 리프팅 구동 모터(432)는 리프팅 프레임(431)을 구동하여 상하로, 즉 필름 가압 헤드(42)를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 프레임(431)의 양측에는 장착 제한 홈(4311)이 구비된다. 제한 로드(4312)는 기저부(41)의 각 측면에 고정되고, 제한 로드(4312)의 단부에는 장착 제한 홈(4311) 내에 삽입되는 제한 포스트(4313)가 구비된다. 2개의 리프팅 안내 로드(4314)들이 기저부(41)에 고정되고, 2개의 리프팅 안내 로드(4314)들은 크랭크(435)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리프팅 프레임(431)에는 장착 제한 홈에 장착 제한 이어(ear)(4315)가 더 구비된다. 리프팅 안내 로드(4314)와 협동하는 부싱(bushing)(439)은 리프팅 프레임(431)의 하단 상에 장착되고, 장착된 부싱(439)은 안내 로드(4314) 상에 끼워진다.
필름 전달 조립체(44)는 필름 전달 지지체(441), 포장 필름 홀더(442), 필름 전달 롤러(443), 및 필름 전달 롤러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필름 전달 모터(444)를 포함한다. 필름 전달 지지체(441)는 기저부(41) 상에 고정되고, 포장 필름 홀더(442)의 바닥은 안내 로드 및 지지 스프링(445)에 의해 필름 전달 지지체(441) 상에 장착된다. 필름 전달 롤러(443)는 필름 전달 지지체(441)의 상부에 장착되고, 장착된 필름 전달 롤러(443)와 포장 필름 홀더(442)의 표면 사이에는 필름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필름 전달 모터(444)는 필름 전달 지지체(441) 상에 장착되고, 출력 샤프트는 기어 조립체(446)를 통해 필름 전달 롤러(443)에 연결된다. 필름 전달 안내 홈(445)은 포장 필름 홀더(442)의 전단에 더 장착된다. 제 1 감지 스위치(447)가 기저부(41) 상에 더 장착되어 포장 필름이 제자리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 2 감지 스위치(448)가 필름 공급 통로의 출구에 더 구비되어 포장 필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 3 감지 스위치(449)가 또한 필름 공급 통로의 입구에 구비되어 포장 필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 3 감지 스위치(7)를 구비함으로써, 상자형 스탠드의 하부에는 필름 롤링 지지체(45) 및 복수 개의 필름 안내 로드(451)들이 더 장착된다. 장착 중에, 포장 필름의 전체 롤은 필름 롤링 지지체(45) 상에 끼워지고, 포장 필름(8)의 자유단은, 필름 안내 로드(451)와 필름 전달 안내 홈(445)을 통해 안내된 다음, 필름 공급 통로를 관통하여 포장 필름의 초기 장착을 완료한다. 필름 가압이 수행될 때, 약상자가 필름 가압 스테이션으로 보내지고, 시스템이 제 3 감지 스위치(449) 및 제 2 감지 스위치(448)가 동시에 신호들을 갖는 것을 감지하면, 필름 전달 모터(444)는 제 1 감지 스위치(447)가 필름 신호를 감지할 때까지 포장 필름을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제 3 감지 스위치(449) 및 제 2 감지 스위치(448) 중 적어도 하나가 신호를 갖지 않으면, 필름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고, 포장 필름을 교체하라는 경보가 발령된다.
본 발명의 작업 공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1. 처방전은 컴퓨터 장치를 통해 입력된다. 약상자(7)는 상자 수용 홀 위치(122)를 통해 배치된다(한 번에 최대 5개의 약상자들이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상자 수용 버튼 스위치(1221)가 눌려지고 약상자 운반 트레이(21)가 상자 5개 위치들만큼 회전한다. 약상자를 다시 넣고, 3번 반복하여 약상자의 배치를 완료한다. 상자들이 완전히 배치된 후, 시스템은 전동 시프팅 상자(2012)를 제어하여 빔 프레임(203)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상자의 배치를 막 완료한 약상자 운반 트레이가 분배 홀 위치 아래로 이동되어 분배 및 배출을 시작하도록 한다. 다른 약상자 운반 트레이는 상자 수용 홀 위치(123) 아래로 이동됨으로써, 약상자의 배치가 수행될 수 있다.
2. 약상자(7)가 배치된 후, 약병(7)이 외부 약 캐비닛에서 꺼내져, 먼저 계량 홀 위치(124)에 배치되고, 전자 계량 장치(50)에 의해 계량된 다음, 분배 홀 위치에 삽입되고, 음성이 자동으로 약 이름을 방송한다. 약명이 정확한 경우, 분배 버튼 스위치(1211)를 눌러 분배가 시작되도록 한다. 약 이름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 약병을 교체하라는 프롬프트가 표시된다. 하나의 약병이 삽입될 때마다, 분배 버튼 스위치(1211)가 음성 프롬프트에 따라 눌려져, 분배 포트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각각의 분배 포트들에서의 분배가 완료된 후, 음성 프롬프트가 나타나고, 약병을 제거하고 그 제거된 약병을 중량 측정을 위해 전자 계량 장치(5) 상에 배치하라는 프롬프트가 표시된다. 약들이 모두 분배되면, 약상자 운반 트레이(21)는 자동적으로 그 원래 위치로 회전할 것이다.
3. 배출이 완료된 후, 시스템은 전동 시프팅 상자(2012)를 제어하여 빔 프레임(203)을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상자의 배치를 막 완료한 약상자 운반 트레이가 분배 홀 위치 아래로 이동되어 필름 가압을 시작한다. 다른 약상자 운반 트레이는 분배 홀 위치 아래로 이동하고, 제 2 단계가 반복되어 배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필름 가압의 특정 공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필름 밀봉 장치들은 약상자 운반 트레이(21)를 순차적으로 밀봉한다. 하나의 약상자가 밀봉될 때마다, 약상자 운반 트레이(21)는 상자 위치만큼 회전한다. 약상자가 모두 밀봉된 후, 약상자(7)는 상자 수용 홀 위치(122)로부터 순차적으로 꺼내져 분배가 완료된다. 추가적인 분배가 필요한 경우, 빈 약상자를 더 넣고, 처방약이 완전히 분배될 때까지 제 1 단계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열 프린터(53)에 의해 처방 정보 약 복용에 대한 주의 사항들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의 본질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한 간단한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작업 플랫폼, 상자 전달 장치, 배출 구동 장치, 필름 밀봉 장치, 전체 시스템의 작동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로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자형 스탠드와 작업대 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 상판에는 그 중앙에 한 세트의 분배 홀 위치들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 홀 위치들의 양측에는 각각 상자 수용 홀 위치들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 구동 장치들 중 하나가 각각의 상기 분배 홀 위치들에 대응하여 장착되고, 상기 상자 전달 장치 및 상기 필름 밀봉 장치는 상기 상자형 스탠드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자 전달 장치는 시프팅 기구 및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팅 기구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전동 시프팅 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제한 스위치들이 제공되고,
    상기 전동 시프팅 상자 상에 빔 프레임이 장착되고, 한 세트의 상기 회전 기구가 상기 빔 프레임의 각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기구는 약상자 운반 트레이 및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약상자 운반 트레이에는 약상자 고정 홀들이 링 형태로 균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약상자 운반 트레이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빔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빔 프레임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약상자를 회전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기구는 시프팅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상자 수용 홀 위치들 또는 상기 분배 홀 위치들 아래에서 정지될 수 있고,
    상기 필름 밀봉 장치는 기저부, 필름 가압 헤드, 헤드 구동 조립체 및 필름 전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자형 스탠드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기저부 상에는 필름 가압 스테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필름 가압 헤드는 상기 헤드 구동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 가압 스테이션 바로 위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 구동 조립체는 상기 기저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필름 가압 헤드가 상, 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 상판 아래의 좌, 우측에 각각 2세트의 상기 필름 밀봉 장치들이 장착되며, 상기 상자 전달 장치는 상응하는 상기 필름 가압 스테이션으로 약상자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 운반 트레이의 바닥면에는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는 구동 휠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휠은 동기식 벨트에 의해 상기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약상자 운반 트레이에는 복수 개의 위치설정 자석 블록들이 구비되며, 상기 빔 프레임에는 자기극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상판에는 약병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계량 포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계량 포트 아래에는 상기 컴퓨터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계량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제어 장치에 열 프린터 및 바코드 스캐너가 더 연결 구비되고, 상기 열 프린터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는 작업 플랫폼의 전방 표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동 장치는 베어링 장착 기저부, 베어링, 배출 구동 링, 서보 모터, 약병 위치설정 링,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RFID) 식별 판독기, 및 상기 약병 위치설정 링 상에 고정된 환형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구동 링은 베어링에 의해 상기 베어링 장착 기저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 구동 링은 톱니 벨트에 의해 서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상부 커버와 상기 약병 위치설정 링은 그 사이에 챔버를 공동으로 형성하고, 상기 RFID 식별 판독기는 상기 챔버 내에 고정되며, 상기 RFID 식별 판독기와 상기 약병 위치설정 링의 사이에는 절연 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전달 조립체는 필름 전달 지지체, 포장 필름 홀더, 필름 전달 롤러, 및 필름 전달 롤러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필름 전달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 전달 지지체는 상기 기저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포장 필름 홀더의 바닥은 안내 로드 및 지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필름 전달 지지체 상에 장착되며, 상기 필름 전달 롤러는 상기 필름 전달 지지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 전달 롤러와 상기 포장 필름 홀더의 표면 사이에는 필름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저부에는 제 1 감지 스위치가 더 장착되어 상기 포장 필름이 제자리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필름 홀더의 전단에는 필름 전달 안내 홈이 더 장착되고, 상기 상자형 스탠드의 하부에는 필름 롤링 지지체 및 복수 개의 필름 안내 로드들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 통로의 출구 및 입구에 각각 제 2 감지 스위치 및 제 3 감지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포장 필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구동 조립체는 리프팅 프레임, 리프팅 구동 모터, 및 상기 리프팅 프레임 상에 고정된 헤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기저부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리프팅 구동 모터는 상기 기저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리프팅 구동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에 캠이 장착되고, 상기 캠은 크랭크에 의해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제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기저부 상에는 상한 스위치 및 하한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필름 가압 헤드는 상기 헤드 장착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 장착 플레이트에는 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제어 장치의 호스트는 상기 상자형 스탠드 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입력 장치가 상기 작업대 상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 상판의 전면 표면 상에는 분배 버튼 스위치 및 2개의 상자 수용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KR1020197026482A 2018-05-18 2019-02-19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KR102280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745740.1 2018-05-18
CN201820745740.1U CN208325788U (zh) 2018-05-18 2018-05-18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CN201810482214.5 2018-05-18
CN201810482214.5A CN108341094B (zh) 2018-05-18 2018-05-18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PCT/CN2019/075414 WO2019218734A1 (zh) 2018-05-18 2019-02-19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69A true KR20190132369A (ko) 2019-11-27
KR102280181B1 KR102280181B1 (ko) 2021-07-23

Family

ID=6853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482A KR102280181B1 (ko) 2018-05-18 2019-02-19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0181B1 (ko)
WO (1) WO2019218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1457A (zh) * 2021-04-15 2021-08-06 五邑大学 一种送药机器人
CN114435683B (zh) * 2022-01-10 2023-09-19 大连德元升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生物用粉末药品的装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6273A (zh) * 2016-12-28 2017-03-22 成都宇亨工业制造有限公司 一种发药机的药盒操控机构
CN107757990A (zh) * 2017-11-16 2018-03-06 成都新毅合科技有限公司 中药颗粒调剂包装设备及药剂包装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72446A1 (en) * 2016-09-13 2018-03-15 Vanrx Pharma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epticaly filling pharmaceutical containers with a pharmaceutical fluid using rotary stage
US20180105294A1 (en) * 2016-10-13 2018-04-19 Bourjois Abboud Methods and systems for prefilling syringes
CN106494686B (zh) * 2016-12-28 2019-05-03 成都宇亨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药盒操控机构
CN108341094B (zh) * 2018-05-18 2023-07-14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CN208325788U (zh) * 2018-05-18 2019-01-04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6273A (zh) * 2016-12-28 2017-03-22 成都宇亨工业制造有限公司 一种发药机的药盒操控机构
CN107757990A (zh) * 2017-11-16 2018-03-06 成都新毅合科技有限公司 中药颗粒调剂包装设备及药剂包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8734A1 (zh) 2019-11-21
KR102280181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1094B (zh)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US6792736B1 (en) Solid drug filling device
US5667096A (en) Drug storing apparatus for automatic drug dispensing machines
KR102280181B1 (ko) 한약 과립의 이중밀봉 분배 장치
CA2609055C (en) Device for individual packaging of tablets according to a multi-dose system
CN107954092B (zh) 一种智能药箱及其运行方法
KR102464180B1 (ko) 약제 감사 지원 장치
CN208325788U (zh) 一种双封口中药颗粒调配机
CN103083750B (zh) 一种自动配药机
CN105966652A (zh) 一种中药处方全自动配药系统
CN104290934A (zh) 中药颗粒调剂系统
CN106136702A (zh) 一种中药处方全自动配药方法
CN113753837A (zh) 一种小批量放射性药液自动分装系统和方法
CA3156852A1 (en) Automatic medicine dispenser
TWI740243B (zh) 散裝藥劑之多工智慧調劑裝置
EP1145799A2 (en) Assembly line of automotive assembly products
US11027865B2 (en) Pill packaging device
CN108275292B (zh) 一种一体式中药调配机
CN203692932U (zh) 中药柜的自动控制管理系统
CN204193055U (zh) 中药颗粒调剂系统
CN209684111U (zh) 一种配方机
CN208931691U (zh) 一种药品分包机用的转盘旋转进料系统
CN109682450A (zh) 一种配方机
CN110169913A (zh) 一种智能药盒
CN109250162A (zh) 一种药品分包机用的转盘旋转进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