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836A - 화분 일체형 수족관 - Google Patents

화분 일체형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836A
KR20190131836A KR1020180056733A KR20180056733A KR20190131836A KR 20190131836 A KR20190131836 A KR 20190131836A KR 1020180056733 A KR1020180056733 A KR 1020180056733A KR 20180056733 A KR20180056733 A KR 20180056733A KR 20190131836 A KR20190131836 A KR 2019013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tank
air
pipe
safet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706B1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18005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706B1/ko
Priority to PCT/KR2019/003024 priority patent/WO2019221378A1/ko
Publication of KR2019013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항 내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어항 내부의 물 상태 및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을 정화하고, 어항에서 필터를 거쳐 정화된 물을 화분에 공급하여 식물에 단백질 성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에 유량조절밸브와 공기분사구를 구비하고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항 뚜껑을 포함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 뚜껑은 먹이투입구멍과 순환토출관고정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에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구비하고, 평판 형태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순환토출구가 형성된 순환토출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토출구멍 전체를 덮는 필터와, 상기 필터 위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모래를 적층하여, 어항 내부에 있는 물이 모래와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순환토출관은 순환토출관고정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어항의 일측에는 수밀구조를 가지며 구비되는 조명장치와; 상기 어항의 아래에서 어항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배관 및 물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어항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방향에는 지지대받침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대와; 상기 공기배관과 결합된 공기분사구를 통해 어항 내부에 순환토출구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어항의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안전지지대와 결합되는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관의 일단은 안전지지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공기배관의 타단은 공기분사구에 결합되고, 공기배관 또는 공기분사구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및 필터를 통해 걸러져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오는 물이 공기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순환토출관을 통해 순환토출구로 빠져나가고,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물배관을 통해 화분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분 일체형 수족관{A flowerpot-integrated aquarium}
본 발명은 화분 일체형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어항의 물을 필터링하여 화분에 배출하는 것으로 화분의 식물에 단백질 성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어항에는 공기 및 물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어항을 지지하는 안전지지대를 모듈형으로 하여, 사용자의 심미적인 의도에 따라서 화분 위 어항의 위치 및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인 어항은 물을 공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환수작업이 필요하다. 물고기에게 공급한 먹이의 잔유물 및 물고기가 배출한 유기물 등에 의해 물이 지속적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사람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물을 환수하는 경우, 환경변화에 민감한 물고기들은 물의 성분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런 변화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물고기가 죽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어항 내에 수초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수초는 정화능력에 한계가 있다.
또한, 어항의 물을 환수하게 되면 기존에 어항에 있던 물은 유기물이 포함된 폐수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어항이 구비된 화분은 현재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보편적인 어항이 구비된 화분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82618호 및 제10-1176434호와 같이 어항과 화분을 결합하여, 어항의 물을 화분에 공급하는 기술이 발명되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어항을 구비한 화분들은,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으며 식물이 흡수하고 남는 여분의 물을 화분으로부터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구조에서 화분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된 물이 어항 내부로 유입되어 어항의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화분에서는, 식물은 필요한 만큼의 물을 흡수하고 남는 물은 화분 내부의 흙을 거쳐 화분 아래의 물받이로 배출되며, 물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화분 내부의 식물이 썩어서 식물이 죽게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어항을 구비한 화분들은 그 결합관계(구조)상 어항의 결합 위치 및 개수 등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어서, 사용자의 심미적인 측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항 내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어항 내부의 물 상태 및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을 정화하고, 어항에서 필터를 거쳐 정화된 물을 화분에 공급하여 식물에 단백질 성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에 유량조절밸브와 공기분사구를 구비하고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항 뚜껑을 포함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 뚜껑은 먹이투입구멍과 순환토출관고정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에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구비하고, 평판 형태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순환토출구가 형성된 순환토출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토출구멍 전체를 덮는 필터와, 상기 필터 위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모래를 적층하여, 어항 내부에 있는 물이 모래와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순환토출관은 순환토출관고정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어항의 일측에는 수밀구조를 가지며 구비되는 조명장치와; 상기 어항의 아래에서 어항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배관 및 물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어항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방향에는 지지대받침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대와; 상기 공기배관과 결합된 공기분사구를 통해 어항 내부에 순환토출구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어항의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안전지지대와 결합되는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관의 일단은 안전지지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공기배관의 타단은 공기분사구에 결합되고, 공기배관 또는 공기분사구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및 필터를 통해 걸러져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오는 물이 공기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순환토출관을 통해 순환토출구로 빠져나가고,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물배관을 통해 화분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을 제공한다.
또한, 배수펌프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분은 하단에 물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물구멍 하단에 물받이, 필터 및 물받이수위센서를 구비하여,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의 물공급수단 또는 배수관으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배관은 일측에 안전지지대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다공성 노즐을 구비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지지대는 탈부착 가능한 둘 이상의 안전지지대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의 종류는 직선형, 분지형 및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지지대는 상기 직선형 및 분지형 안전지지대모듈의 종류가 중복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최상단에는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은 결합돌기(A')를 구비한 일단(A)의 외경이 그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안전지지대모듈의 결합홈(B')을 구비한 타단(B)의 내경과 결합되는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을 둘 이상 결합 시 일단(A)은 지면방향을 향하고 타단(B)은 상측을 향하며, 그 결합부위에 실링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물펌프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어항은 어항수위센서 및 물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지지대는 내부에 물공급배관 및 물공급배관 일측에 물역류방지밸브를 더 구비하여, 외부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공급배관을 통해 물분사구로 어항에 물을 공급하여 어항의 수위를 소정의 높이만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어항 내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어항 내부의 물 상태 및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을 정화하고, 어항에서 필터를 거쳐 정화된 물을 화분에 공급하여 식물에 단백질 성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어항으로부터 화분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화분 아래에 물받이 및 필터, 배수장치를 구비하여 화분으로부터 배출된 여분의 물을 필터링하여 다시 물탱크로 공급하거나 정화된 상태로 배수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지지대를 모듈형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어항의 위치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심미적 측면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 물 공급장치와 배수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어항 및 화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어항 및 안전지지대 어항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화분 물받이 및 배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물 및 공기 공급과 물의 분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안전지지대모듈의 예시 및 결합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안전지지대모듈의 상호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의 개략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9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일체형 수족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에 유량조절밸브(221)와 공기분사구(212)를 구비하고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항 뚜껑(15)을 포함하는 어항(1)과; 상기 어항 뚜껑(15)은 먹이투입구멍(151)과 순환토출관고정구멍(152)을 구비하고,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에 복수개의 토출구멍(103)을 구비하고, 평판 형태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순환토출구(102)가 형성된 순환토출관(101)을 구비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토출구멍(103) 전체를 덮는 필터와, 상기 필터 위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모래(12)를 적층하여, 어항(1) 내부에 있는 물(13)이 모래(12)와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토출구멍(103)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순환토출관(101)은 순환토출관고정구멍(152)에 결합되고, 상기 어항(1)의 일측에는 수밀구조를 가지며 구비되는 조명장치(14)와; 상기 어항(1)의 아래에서 어항(1)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배관 및 물배관(22)을 구비하며, 상기 어항(1)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방향에는 지지대받침대(24)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대(2)와; 상기 공기배관과 결합된 공기분사구(212)를 통해 어항(1) 내부에 순환토출구(102)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4); 및 상기 어항(1)의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안전지지대(2)와 결합되는 화분(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관의 일단은 안전지지대(2)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펌프(4)에 연결되며, 공기배관의 타단은 공기분사구(212)에 결합되고, 공기배관 또는 공기분사구(212)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211)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12) 및 필터를 통해 걸러져서 토출구멍(103)으로 빠져나오는 물(13)이 공기분사구(212)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순환토출관(101)을 통해 순환토출구(102)로 빠져나가고, 어항(1) 내부의 물(13)을 상기 유량조절밸브(221) 및 물배관(22)을 통해 화분(3)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을 제공한다.
화분(3)은 화단을 포함하는 표현이며, 식물, 생화, 조화 및 기타 장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잔디밭에 물(13)을 공급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뚜껑에 구비된 먹이투입구멍(151)을 통해 어항 뚜껑(15)을 분리하지 않고 어항(1)에 먹이를 투입하며, 먹이 및 물고기로부터 배출된 단백질 및 유기물 성분을 1차적으로 모래(12)를 통해, 2차적으로 필터(11)를 통해 걸러내어, 어항(1) 아래에 위치한 화분(3)에 물(13)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화분(3)에는 영양성분이 포함된 물(13)을 투입하여 별도의 영양제나 비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10)는 필요에 따라 어항(1) 본체와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어항에서는, 어항 내부의 물이 장기적으로 방치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이물질들로 인해 세균번식 및 악취발생의 문제점이 있으며, 큰 비용을 들여 별도의 물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물 정화장치의 부피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소모가 발생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측면이 있다. 물 정화장치가 없을 경우 주기적으로 환수 작업을 해야 하는데, 물고기의 특성상 환수 작업으로 인해 물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할 경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항(1)내부의 물(13)이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한번 투입한 물(13)이 장기간 방치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물(13)이 순환하는 이점이 있다. 유량조절밸브(22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물(13)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속도의 물(13) 순환을 통해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서 물(13)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항(1) 내부에 별도의 모터 및 팬 등의 구조물을 구비하지 않고, 도 2와 같이 공기의 투입을 통해 버블을 발생시키며 자동으로 어항(1) 내부의 물(13)을 자연스럽게 순환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통상적으로, 어항(1) 내부에 물(13) 또는 공기를 투입하게 되면, 공기의 버블에 의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어항 뚜껑(15)에 순환토출구(101)를 고정할 수 있는 순환토출구고정구멍(152)을 구비하여,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감쇠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체결구멍에 별도의 댐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는 고무, 실리콘, 스펀지, 탄성체 등 소음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물(13)을 화분(3)으로 보내는 것 이외에, 배수관으로 보내어 어항(1)으로부터 빠져나온 물(13)을 폐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항(1) 아래에 화분(3)이 위치하지만, 화분(3)은 생화(살아있는 식물)를 구비하는 것 외에도, 조화나 다른 장식물을 위치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화분(3)에 별도의 물(13)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13)을 바로 폐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조명장치(14)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조명장치(14)의 종류에 따라서 어항(1)내부의 온도조절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조명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유선으로 외부전원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명장치(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안전지지대(2) 내부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전선을 감추어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수밀구조란, 조명장치(14)에 물(13)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며, 조명장치(14)의 구체적인 종류 및 제어방법과 수밀구조(고무/실리콘 패킹 등)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히 기재하지는 않는다.
안전지지대(2)는 중공축의 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기배관, 물배관(22) 및 물공급배관(23)을 별도로 구비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축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여 각각 공기배관, 물배관(22) 및 물공급배관(23)으로써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축이 어항(1)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설계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지지대(2)와 어항의 결합부(A, B)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깔 형태가 권장된다.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와 같이 안전지지대(2)에 구비된 배관과 어항(1)에 구비된 공기분사구(212) 및 물분사구(232)가 결합되는 구조도 필요하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명세서를 통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화분(3)에 있는 식물에서 광합성을 통해 발생된 산소를, 공기펌프(4)를 통해 어항(1)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식물에서 발생하는 산소만으로는 어항(1)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공기펌프(4)와 별도로, 산소발생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2)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분(3)은 하단에 물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물구멍(30) 하단에 물받이(31), 필터(32) 및 물받이수위센서(311)를 구비하여, 화분(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13)을 외부의 물공급수단 또는 배수관으로 보낼 수 있다
외부의 물공급수단과 배수관은 물탱크, 수도관, 하수도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 공급수단과 배수시설을 의미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분(3)으로부터 배수된 물(13)을 정화하여 다시 어항(1)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물(13) 순환 폐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별도의 물 정화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수되어 정화된 물(13)의 성분을 측정하여, 어항(1)에 적합한 경우(어항(1) 내부의 물(13) 성분과 유사하거나 기존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13)과 유사한 경우)에는 다시 어항(1)으로 바로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배관(22)은 일측에 안전지지대(2)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다공성 노즐(222)를 구비하여, 화분(3)에 물(13)을 공급할 수 있다.
노즐(222)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나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물(13)을 식물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안전지지대(2) 축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를 구비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한편, 어항(1)으로부터 배출된 물(13)이 일정량 이상이 될 때까지는 공급하지 않고 있다가, 물(13)이 어느정도 이상 고이게 되면 한번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노즐(222) 후단에 수차를 구비하여, 수차의 한 칸에 물(13)이 쌓이게 되면 물(13)의 무게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며 자동으로 고여있던 물(13)이 화분(3)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구조는, 유량조절밸브(221)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이 극히 작은 경우에, 화분(3)에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의 물(13)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수차를 통해 심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13)의 필요량이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을 통해 식물에 따라 적절한 물(13) 공급 시간 및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공성 노즐(222)이란, 일반 물뿌리개의 출구 구조와 유사하며, 물(13)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에서 출구방향에 구멍이 복수개 구비되어, 물(13) 입자를 분할하여 넓은 범위에 물(13)을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안전지지대(2)는 탈부착 가능한 둘 이상의 안전지지대모듈(20)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20)의 종류는 직선형(201), 분지형(202) 및 어항결합부(203) 안전지지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지지대(2)는 상기 직선형(201) 및 분지형(202) 안전지지대모듈(20)의 종류가 중복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최상단에는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203)이 결합될 수 있다.
분지형 모듈이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지관과 유사한 형태이며, 분지형을 통해 하나의 화분(3)에 복수개의 어항(1)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듈은 직선형-직선형, 분지형-직선형, 분지형-직선형-분지형, 분지형-분지형 등 중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병렬연결이란 분지형 이후 각 분지형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가 병렬연결이다. 도 8a와 같이, 분지형 뒤에 다시 분지형을 연결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20)은 결합돌기(A')를 구비한 일단(A)의 외경이 그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안전지지대모듈(20)의 결합홈(B')을 구비한 타단(B)의 내경과 결합되는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20)을 둘 이상 결합 시 일단(A)은 지면방향을 향하고 타단(B)은 상측을 향하며, 그 결합부위에 실링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듈 결합부(A, B)에 구비되는 실링수단은 고무패킹, 테프론 테이프, 실리콘패킹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안전지지대(2) 가장 아래쪽은 도 4와 같이, 물배관(22), 공기배관 및 물공급배관(23)이 각각 빠져나가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다른 안전지지대모듈(20)과는 별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안전지지대모듈(20)은 상호 밀폐 결합되어 내부의 물(13)과 공기를 누설이 없도록 유동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성상 어느정도의 누설이 생기는 것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한편, 물펌프(51)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어항(1)은 어항수위센서(16) 및 물분사구(232)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지지대(2)는 내부에 물공급배관(23) 및 물공급배관(23) 일측에 물역류방지밸브(231)를 더 구비하여, 외부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공급배관(23)을 통해 물분사구(232)로 어항(1)에 물(13)을 공급하여 어항(1)의 수위를 소정의 높이만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어항(1)에서 물(13)이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자동으로 어항(1) 내부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13)을 공급하는 구조를 말하며, 상기 구조 없이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어항(1)에 물(13)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역류방지밸브(211, 231)(물, 공기)를 분사구 주위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밸브가 구비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어항(1)내부에 수질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13)의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 용존산소 등의 농도, pH, BOD, COD 등의 수치를 측정하여 어항(1)내부의 수질이 오염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어항(1) 수질을 개선하도록 경고음이나 경고LED를 작동하도록 제어부와 스피커, LED 및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pH에 민감한 어종을 기르는 경우에는 어항(1) 내부의 pH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용액을 자동으로 투입하도록, 완충용액탱크, 완충용액투입장치, 완충용액 및 pH 농도 측정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분(3)에 상기 완충용액이 투입되지 않도록 필터와 더불어 완충용액을 중화시키거나 걸러낼 수 있는 완충용액 제거부재가 더 필요하다.
1 : 어항 22 : 물배관
10 : 플레이트 221 : 유량조절밸브
101 : 순환토출관 222 : 노즐
102 : 순환토출구 23 : 물공급배관
103 : 토출구멍 231 : 물역류방지밸브
11 : 어항필터 232 : 물분사구
12 : 모래 24 : 지지대받침대
13 : 물 3 : 화분
14 : 조명장치 30 : 물구멍
15 : 어항 뚜껑 31 : 물받이
151 : 먹이투입구멍 311 : 물받이수위센서
152 : 순환토출관고정구멍 32 : 물받이 필터
16 : 어항수위센서 4 : 공기펌프
2 : 안전지지대 51 : 물펌프
20 : 안전지지대모듈 52 : 배수펌프
201 : 직선형 안전지지대모듈 A, B : 안전지지대모듈 결합부
202 : 분지형 안전지지대모듈 A' : 결합돌기
203 :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 B' : 결합홈
21 : 공기배관
211 : 역류방지밸브
212 : 공기분사구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에 유량조절밸브와 공기분사구를 구비하고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항 뚜껑을 포함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 뚜껑은 먹이투입구멍과 순환토출관고정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에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구비하고, 평판 형태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순환토출구가 형성된 순환토출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토출구멍 전체를 덮는 필터와,
    상기 필터 위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모래를 적층하여, 어항 내부에 있는 물이 모래와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순환토출관은 순환토출관고정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어항의 일측에는 수밀구조를 가지며 구비되는 조명장치와;
    상기 어항의 아래에서 어항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배관 및 물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어항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방향에는 지지대받침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대와;
    상기 공기배관과 결합된 공기분사구를 통해 어항 내부에 순환토출구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어항의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안전지지대와 결합되는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관의 일단은 안전지지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공기배관의 타단은 공기분사구에 결합되고, 공기배관 또는 공기분사구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및 필터를 통해 걸러져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오는 물이 공기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순환토출관을 통해 순환토출구로 빠져나가고,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물배관을 통해 화분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2.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에 유량조절밸브와 공기분사구를 구비하고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항 뚜껑을 포함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 뚜껑은 먹이투입구멍과 순환토출관고정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에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구비하고, 평판 형태의 일측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순환토출구가 형성된 순환토출관을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토출구멍 전체를 덮는 필터와,
    상기 필터 위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모래를 적층하여, 어항 내부에 있는 물이 모래와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순환토출관은 순환토출관고정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어항의 일측에는 수밀구조를 가지며 구비되는 조명장치와;
    상기 어항의 아래에서 어항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기배관 및 물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어항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면방향에는 지지대받침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대와;
    상기 공기배관과 결합된 공기분사구를 통해 어항 내부에 순환토출구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어항의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안전지지대와 결합되는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관의 일단은 안전지지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공기배관의 타단은 공기분사구에 결합되고, 공기배관 또는 공기분사구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및 필터를 통해 걸러져서 토출구멍으로 빠져나오는 물이 공기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순환토출관을 통해 순환토출구로 빠져나가고,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물배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배수펌프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분은 하단에 물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물구멍 하단에 물받이, 필터 및 물받이수위센서를 구비하여,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의 물공급수단 또는 배수관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관은 일측에 안전지지대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다공성 노즐을 구비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5.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지대는 탈부착 가능한 둘 이상의 안전지지대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의 종류는 직선형, 분지형 및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지대는 상기 직선형 및 분지형 안전지지대모듈의 종류가 중복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최상단에는 어항결합부 안전지지대모듈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은 결합돌기(A')를 구비한 일단(A)의 외경이 그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안전지지대모듈의 결합홈(B')을 구비한 타단(B)의 내경과 결합되는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지지대모듈을 둘 이상 결합 시 일단(A)은 지면방향을 향하고 타단(B)은 상측을 향하며, 그 결합부위에 실링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8.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물펌프 및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어항은 어항수위센서 및 물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지지대는 내부에 물공급배관 및 물공급배관 일측에 물역류방지밸브를 더 구비하여,
    외부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공급배관을 통해 물분사구로 어항에 물을 공급하여 어항의 수위를 소정의 높이만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1020180056733A 2018-05-17 2018-05-17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10207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733A KR102073706B1 (ko) 2018-05-17 2018-05-17 화분 일체형 수족관
PCT/KR2019/003024 WO2019221378A1 (ko) 2018-05-17 2019-03-15 화분 일체형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733A KR102073706B1 (ko) 2018-05-17 2018-05-17 화분 일체형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836A true KR20190131836A (ko) 2019-11-27
KR102073706B1 KR102073706B1 (ko) 2020-02-05

Family

ID=6854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733A KR102073706B1 (ko) 2018-05-17 2018-05-17 화분 일체형 수족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3706B1 (ko)
WO (1) WO2019221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474A (zh) * 2022-05-27 2022-08-19 青岛理工大学 一种智能生态景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946A (ko) * 2009-10-09 2011-04-15 윤병섭 어항을 구비한 화분
KR101682618B1 (ko) * 2015-09-03 2016-12-06 (주)록키 오아시스형 반수경 어항화분
JP3212659U (ja) * 2017-07-13 2017-09-21 株式会社グリーンテック 動植物共生観賞容器
CN207266569U (zh) * 2017-07-07 2018-04-24 浙江农林大学 一种花鱼共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659B2 (ja) 1992-01-20 2001-09-25 マツダ株式会社 液晶樹脂複合体の成形方法
KR20130004600U (ko) * 2012-01-18 2013-07-26 조경숙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946A (ko) * 2009-10-09 2011-04-15 윤병섭 어항을 구비한 화분
KR101682618B1 (ko) * 2015-09-03 2016-12-06 (주)록키 오아시스형 반수경 어항화분
CN207266569U (zh) * 2017-07-07 2018-04-24 浙江农林大学 一种花鱼共养装置
JP3212659U (ja) * 2017-07-13 2017-09-21 株式会社グリーンテック 動植物共生観賞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706B1 (ko) 2020-02-05
WO2019221378A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680B2 (en) Aquaponics System
US11224176B2 (en) Vertical growing system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CN107072159B (zh) 水族箱养耕共生系统和方法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JP6460912B2 (ja) 船舶内で植物を育成する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US20210059140A1 (en) Hydroponic grow system
KR102073706B1 (ko)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20130047375A (ko) 식물 재배기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ZA200502733B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20200305368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KR101466643B1 (ko) 활어운반차량용 해수 정수장치
KR101724610B1 (ko)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CN110615537B (zh) 一种农业面源污染废水立体阻控生态净化系统及构建方法
KR101547300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RU229078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эксплуатации рыбоводных водоемов
ES2668928T3 (es) Filtro de acuario
KR102608604B1 (ko)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CN216890282U (zh) 一种多功能生态浮筏
RU2771827C2 (ru) Аквап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разведения рыбы и моллюсков с применением аквапонной системы
JP2023091836A (ja) 生産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法
JP2023091837A (ja) 濾過装置および濾過方法
JP2023031644A (ja) 栽培養殖システムおよび栽培養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