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668A -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668A
KR20190131668A KR1020180056318A KR20180056318A KR20190131668A KR 20190131668 A KR20190131668 A KR 20190131668A KR 1020180056318 A KR1020180056318 A KR 1020180056318A KR 20180056318 A KR20180056318 A KR 20180056318A KR 20190131668 A KR20190131668 A KR 2019013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solution
zeolite
pol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885B1 (ko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이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운 filed Critical 이재운
Priority to KR102018005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04Metals or alloys
    • C10L2200/0213Group II metals: Be, Mg, Ca, Sr, Ba, Ra, Zn, Cd, H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72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8Cutting, disintegrating, shredd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8Applying an electric field or inclusion of electrodes in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7Filtration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운모 분말 1,000g , 지올라이트 분말 500g 및 물 150g 을 혼합하여 볼밀 기기에 넣고, 48시간 가열 분쇄한 후, 1㎛의 여과통공이 구비된 여과포가 장착된 필터프레스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침전조로 이송시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다음,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0g에 물1,000g을 투입하여 용해 시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 폐비닐 저장소, 선별공정 및 분쇄공정에 분무 시켜 폐비닐의 악취를 제거에 사용하고, 규산소다 1,000g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g을 혼합한 규산소다조성물과 분쇄된 폐비닐을 투입하되, 분쇄된 폐비닐 1,000g 당 규산소다조성물 50g을 투입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규산소다조성물이 침적된 폐비닐 1,000g과 석탄분말 1,000g을 함께 투입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융공정으로 이송시켜, 120 ~ 150℃의 열로 용융시켜 폐비닐과 석탄분말이 혼합용융 시켜,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이 생성되며, 상기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축성형 한 후, 압출성형기를 통해 직경5cm의 크기로 배출되는 폐비닐석탄분말 성형물을 압출성형기를 배출구에 설치된 커팅기로 5cm 간격으로 커팅시켜, 포장공정으로 이송시켜 포장하여 제조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E FOR FUEL BY USING WASTE VINYL}
본 발명은 폐비닐에 광물질과 석탄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이나 공업 등의 산업 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비닐은 사용 후 재처리 비용이 과다함에 따른 수익성이 떨어져 그냥 버려지거나 또는 불법으로 소각되어 토양 오염이나 공해 발생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렇게 버려지는 폐비닐은 연간 수십 내지 수백 만 톤 이상으로 추산되고 그 비율은 날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폐비닐(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 방법은 한 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자원(쓰레기)을 선별하여 분쇄, 건조 및 압축 성형하여 얻어지는 고형연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RPF(Refuse Plastic Fuel) 또는RDF(Refuse Derived Fuel) 또는 WDF(Waste Derived Fuel) 또는 PRF(Processed Refuse Fuel) 또는RPF(Recycled Plastic Fuel) 등과 같이 동일한 의미의 다양한 용어로도 불리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폐비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고형연료는 소각시설, 발전시설 등의 열원으로 이용하여 고가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어 에너지의 재생 또는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쓰레기의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폐비닐을 적은 비용으로 다시 비닐이나 플라스틱 관련 제품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이나 특히 고형 연료로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95546 (2011.08.25.)호에는 본 발명은 폐비닐 재활용 고형 연료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재활용 고형 연료의 제조 시스템은 수거된 폐비닐이 투입되는 폐비닐 투입기, 폐비닐 투입기에 투입된 폐비닐을 이송 받아 5 내지 10 ㎝ 길이로 파쇄 하는 폐비닐 파쇄기, 폐비닐 파쇄기에서 파쇄된 폐비닐을 이송 받아 파쇄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선별기, 이물질 선별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파쇄된 폐비닐을 이송 받아 용융시키는 용융기, 용융기에 의해 용융된 폐비닐을 이송 받아 고형 연료로 냉각 성형하는 냉각기, 냉각기에서 의해 냉각 성형된 고형 연료를 이송 받아 최종 사이즈가 1 내지 2 ㎝ 길이가 되도록 분쇄하는 고형 연료 분쇄기 및 우수한 폐비닐 재활용 고형 연료의 제조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39510000(2014.05.02.)호에는 서포터로 유지되는 프레임 상방에 구비하는 성형실린더와, 상기 성형실린더의 후측 상부에 폐비닐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투입구와, 상기 성형실린더의 내부에 설치하여 공급되는 폐비닐을 가압 및 탈수시키는 탈수부와, 상기 성형실린더의 선단에 설치하여 가압 탈수된 폐비닐을 용융시켜 소정의 고형체로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성형실린더의 후방에 설치하여 탈수부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 수부는, 성형실린더 내부에 블록화 하여 결합하는 다수개의 스크루하우징과, 상기 스크루하우징 내부에 설치하여 공급받은 폐비닐을 가압하고 탈수하는 성형스크류로 구성하고; 상기 압출 부는, 폐비닐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를 내장하고 융융된 고형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공을 가지고 압출플랜지에 체결되는 압출다이스를 압출플랜지의 전방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프레임 후방에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스크루샤프트 사이에는 유성치차감속기를 설치하여 구성된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69618(2003.08.27.)호에는 폐비닐에, 촉매제인 질산칼륨(KNO3), 질산스트론튬(Sr(NO3)2·4H2O) 및 요소(CO(NH2)2)를 주입하여 칩형태의 대체연료를 생산함으로써, 폐비닐의 폐기에 의해 발생되는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부존자원의 가치 활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대체연료의 연소효율 및 발열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계 오염물질 및 다이옥신(dioxin)계 오염물질의 배출을 저감시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폐비닐을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 및 파쇄단계(S1)와: 절단 및 파쇄한 폐비닐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2)와: 세척된 폐비닐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S3)와: 건조된 폐비닐을 160∼24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시키는 용융단계(S4)와: 용융된 폐비닐 94∼97 중량%에, 촉매제로서 질산칼륨(KNO3) 1∼2 중량%, 질산스트론튬(Sr(NO3)2·4H2O) 1∼2 중량% 및 요소(CO(NH2)2) 1∼2 중량%를 주입하는 촉매제 주입단계(S5)와: 촉매제가 주입된 혼합물을 냉각시켜 섬유사 형태로 응고시키는 응고단계(S6)와: 응고된 혼합물을 2∼3mm 정도 크기의 칩형태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대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38884(2003.05.17.)호에는 폐비닐을 용융하고 유해물질 제거용 첨가제를 첨가하여 펠릿형상의 고형연료로 만드는 폐비닐연료제조장치(a)와, 이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물 또는 유체와 열교환 시키고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처리수 재처리하는 폐비닐연료열교환장치(b)로 구성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열교환방법과, 여기에 투입되는 석회질이 혼합 조성된 연료를 발명의 요지로 한 농업용 폐비닐을 연료화 하여 열풍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95546 (2011.08.25.)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39510000(2014.05.02.)호 3.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69618(2003.08.27.)호 4.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38884(2003.05.1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폐비닐은 악취는 물론 각종 유해물의 악취가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폐비닐로 제조된 고형연료는 연소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등의 문제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 중 특히 재활용 고형 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시스템 구축 비용이 과도하게 비싸고 제조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낮아 상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견운모 분말 1,000g, 지올라이트 분말 500g 및 물 150g 을 혼합하여 볼밀 기기에 넣고, 48시간 가열 분쇄한 후, 1㎛의 여과통공이 구비된 여과포가 장착된 필터프레스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침전조로 이송시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다음,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0g에 물1,000g을 투입하여 용해 시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 폐비닐 저장소, 선별공정 및 분쇄공정에 분무 시켜 폐비닐의 악취를 제거에 사용하고,
규산소다 1,000g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g를 혼합한
규산소다조성물과 분쇄된 폐비닐을 투입하되, 분쇄된 폐비닐 1,000g 당 규산소다조성물 50g을 투입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규산소다조성물이 침적된 폐비닐 1,000g과 석탄분말 1,000g을 함께 투입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융공정으로 이송시켜,
120 ~ 150℃의 열로 용융시켜 폐비닐과 석탄분말이 혼합용융 시켜,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이 생성되며, 상기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축성형 한 후, 압출성형기를 통해 직경5cm의 크기로 배출되는 폐비닐석탄분말 성형물을 압출성형기를 배출구에 설치된 커팅기로 5cm 간격으로 커팅 시켜, 포장공정으로 이송시켜 포장하여 제조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펠릿 형태의 고형 연료로서, 불에 빨리 타지 않고 석탄과 같이 혼합 압출되어 연탄과 같이 불이 서서히 붙고, 연소되어, 연소시간이 늦고, 열안정이 석탄과 같으며, 열량 역시 기존 연탄보다 높고, 대기오염 등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농어촌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된 폐비닐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견운모 분말 1,000g, 지올라이트 분말 500g 및 물 150g 을 혼합하여 볼밀 기기에 넣고, 48시간 가열 분쇄한 후, 1㎛의 여과통공이 구비된 여과포가 장착된 필터프레스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침전조로 이송시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다음,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0g에 물1,000g을 투입하여 용해 시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 폐비닐 저장소, 선별공정 및 분쇄공정에 분무 시켜 폐비닐의 악취를 제거에 사용하고,
규산소다 1,000g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g을 혼합한
규산소다조성물과 분쇄된 폐비닐을 투입하되, 분쇄된 폐비닐 1,000g 당 규산소다조성물 50g을 투입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규산소다조성물이 침적된 폐비닐 1,000g과 석탄분말 1,000g을 함께 투입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융공정으로 이송시켜,
120 ~ 150℃의 열로 용융시켜 폐비닐과 석탄분말이 혼합용융 시켜,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이 생성되며, 상기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축성형 한 후, 압출성형기를 통해 직경5cm의 크기로 배출되는 폐비닐석탄분말 성형물을 압출성형기를 배출구에 설치된 커팅기로 5cm 간격으로 커팅시켜, 포장공정으로 이송시켜 포장하여 제조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소기간이 길고 열안전성이 우수한 고형연료 제조방법으로,
현재까지 폐비닐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형연료는 연소시 급속하게 연소되며, 열안전성이 없고, 연소시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고, 악취에 의해 환경을 저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비닐이 불에 급속하게 연소되지 않고, 서서히 연소되도록, 불연처리하기 위해 규산소오다를 폐비닐에 침적시키거나 코팅되도록 하였다.
규산소오다는 규사를 화학적 콜로이드화하여 나노입자로 용융되어, 플라스틱이나 목제, 직물 등에 코팅되었을 때 규산소다의 규사가 나노입자상태에서 입자 표면에 코팅되어 공기를 차단시켜, 불에 잘 타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석탄분말은 상기 규산소다로 불연 처리된 폐비닐 입자와 일정량을 혼합시켜, 용융 혼합했을 때 불이 서서히 연소되면서, 120 ~ 200℃ 사이에서 폐비닐은 용해되고 탄화된 석탄과 같이 혼합되어 석탄과 같이 서서히 연소되도록 하였다.
석탄은 수천 년 전에 지각의 변동으로 나무가 땅에 붙여 탄화되어 석탄이 되어 석탄 속에 흙과 같이 탄화되어 공기의 량이 적어 빨리 연소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석탄과 폐비닐이 같은 비율로 혼합시켜 연소시키면, 석탄은 탄소로 되어 있어 다공질이 풍부하여 폐비닐에서 나오는 유기화합물 냄새를 일부 흡착할 수 있고,
특히 규산소다와 나노아연황동견운모 지올라이트 용액이 함유되어 규산소다는 건조되면 실리카겔이 되어 각종가스 등을 합착하는 기능이 있다.
견운모 지올라이트용액은 수많은 다공질로 되어 탈취기능이 있다.
열량 역시 폐비닐은 8,000 ~ 9,000칼로리 열량을 가지고 있고 연탄은 4,500칼로리 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 발명에서 제조된 펠릿 형태의 고형 연료의 칼로리는 약 6,500칼로리 정도의 열량을 방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펠릿 형태의 고형 연료로서, 불에 빨리 타지 않고 석탄과 같이 혼합 압출되어 연탄과 같이 불이 서서히 붙고, 연소되어, 연소시간이 늦고, 열안정이 석탄과 같으며, 열량 역시 기존 연탄보다 높고, 대기오염 등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농어촌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된 폐비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분해 공정에서 전기분해 핵심기술은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출기는 기존에 플라스틱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압출기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기로 하였다.
본 발명의 견운모는 여러 가지 규산 알루미늄 광물이 변질을 받아 생성된 백색의 칼륨(K) 운모로 작은 비늘모양이나 엽상으로 비단광택을 가지며 다양한 변성암(특히 편암과 천매암)이나 단층점토와 광상의 충전물질로 산출, 조성은 백운모와 같거나 거의 비슷하고 일라이트(ilite)를 많이 포함한다.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며, 백색 또는 회백색에 진주광택이 있다. 화학성분은 백운모와 거의 유사하다
세리사이트라고도 한다.‘sericite’라는 말은 비단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연유한다. 단사정계에 속하며, 백색 또는 회백색에 진주광택이 있다. 원래는 결정편암, 특히 견운모편암의 주성분 광물을 말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열수작용으로 생긴 점토 모양의 미세한 백운모를 가리킨다. 화학성분은 백운모와 거의 같으나, 일반적으로 칼륨 K는 백운모보다 적고 수분 H2O가 다소 많다.
장석·근청석·홍주석 등의 2차적 변질물로서 생성되고, 가벼운 동력변성작용을 받은 천매암질 점판암 또는 천매암의 가장 흔한 구성광물이다. 도석(陶石)은 화산암의 변질로 인해 생기는데, 석영(70 %)과 견운모(30 %)로 이루어졌다. 견운모는 도자기나 내화벽돌의 혼입재로 쓰이며, 그 밖에 도료·전기절연체·활마재·화장품용 등 용도가 다양하다. (네이버 두산백과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올라이트분말은 통상적으로 채광되어 분말형태, 즉 미분(fine power) 형태로 제조된다. 지올라이트는 열적 안전성이 높은 클라이놉타일로라이(Clinoptillolite), 모데나이트(Mordenite), 스멕타이트(smectite), 장석 및 석영 등을 포함한다. 지올라이트는 표면적이 크고, 양이온 치환용량이 크며, 분자체 구조(molecular sieve structure)를 갖고 있고, 표면 전하가 큰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토양 개량제나 다양한 환경오염 물질을 흡착제거 하는데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제1공정
견운모 분말 1,000g , 지올라이트 분말 500g 및 물 150g 을 혼합하여 볼밀 기기에 넣고, 48시간 가열 분쇄한 후, 1㎛의 여과통공이 구비된 여과포가 장착된 필터프레스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침전조로 이송시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다음,
제2공정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후,
제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제조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0g에 물1,000g을 투입하여 용해 시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 폐비닐 저장소, 선별공정 및 분쇄공정에 분무 시켜 폐비닐의 악취를 제거에 사용하고,
제4공정
규산소다 1,000g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g을 혼합한
규산소다조성물과 분쇄된 폐비닐을 투입하되,
분쇄된 폐비닐 1,000g 당 규산소다조성물 50g을 투입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규산소다조성물이 침적된 폐비닐 1,000g과 석탄분말 1,000g을 함께 투입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융공정으로 이송시켜,
제5공정
120 ~ 150℃의 열로 용융시켜 폐비닐과 석탄분말이 혼합용융 시켜,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이 생성되며,
상기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축성형 한 후,
제6공정
압출성형기를 통해 직경5cm의 크기로 배출되는 폐비닐석탄분말 성형물을 압출성형기를 배출구에 설치된 커팅기로 5cm 간격으로 커팅 시켜, 포장공정으로 이송시켜 포장시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발열량(j/kg) 시험방법 비고
실시예에 의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로
6,500 KSE 3707-95
종래의 연탄 4,500 상동
상기와 같이 시험결과로 볼 때 실시예와 같이 제조한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는 기존 연탄 열량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시험결과2의 폐섬유와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는 단위 j/kg을 열량으로 계산하면 약 6,500kcal의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

  1.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
    견운모 분말 1,000g , 지올라이트 분말 500g 및 물 150g 을 혼합하여 볼밀 기기에 넣고, 48시간 가열 분쇄한 후, 1㎛의 여과통공이 구비된 여과포가 장착된 필터프레스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침전조로 이송시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다음,

    제2공정
    전기분해조의 +극에 직경 2cm, 길이 20cm 아연봉을 연결하고,
    - 극은 직경 2cm, 길이 20cm 황동봉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전해액으로 10kg 과 소금 500g으로 조성된 혼합액을 전해액으로 전기분해조에 투입하고,

    +극의 아연봉과, -극의 황동봉의 간격을 5cm로 고정시킨 다음,
    전류를 3볼트, 13암페어로 고정시켜 전기분해를 하여
    아연봉과 황동봉이 전해조 용액에 완전용해 될 때까지 용해시켜,
    살균, 항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을 제조한 후,
    제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제조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0g에 물1,000g을 투입하여 용해 시켜,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희석용액 폐비닐 저장소, 선별공정 및 분쇄공정에 분무 시켜 폐비닐의 악취를 제거에 사용하고,

    제4공정
    규산소다 1,000g 상기 나노아연황동견운모지올라이트용액 100g을 혼합한
    규산소다조성물과 분쇄된 폐비닐을 투입하되,
    분쇄된 폐비닐 1,000g 당 규산소다조성물 50g을 투입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규산소다조성물이 침적된 폐비닐 1,000g과 석탄분말 1,000g을 함께 투입하여 건조시킨 다음,
    용융공정으로 이송시켜,

    제5공정
    120 ~ 150℃의 열로 용융시켜 폐비닐과 석탄분말이 혼합용융 시켜,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이 생성되며,
    상기 폐비닐석탄분말 용융고형물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축성형 한 후,

    제6공정
    압출성형기를 통해 직경5cm의 크기로 배출되는 폐비닐석탄분말 성형물을 압출성형기를 배출구에 설치된 커팅기로 5cm 간격으로 커팅 시켜, 포장공정으로 이송시켜 포장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1020180056318A 2018-05-17 2018-05-17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KR10205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18A KR102051885B1 (ko) 2018-05-17 2018-05-17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18A KR102051885B1 (ko) 2018-05-17 2018-05-17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68A true KR20190131668A (ko) 2019-11-27
KR102051885B1 KR102051885B1 (ko) 2019-12-04

Family

ID=6872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18A KR102051885B1 (ko) 2018-05-17 2018-05-17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8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84A (ko) 2001-11-07 2003-05-17 박금남 농업용 폐비닐을 연료화하여 열풍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장치 및 방법과 여기에 사용되는 폐비닐연료
KR20030069618A (ko) 2002-02-22 2003-08-27 오태득 폐비닐을 이용한 대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6352A (ko) * 2006-12-18 2008-06-23 마명희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KR20110095546A (ko)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이앤티 폐비닐 재활용 고형 연료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393951B1 (ko) 2012-06-25 2014-05-12 조규송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1616016B1 (ko) * 2016-01-08 2016-04-27 신수연 새집증후군 시멘트 독성 제거제의 제조방법
KR20180085178A (ko) * 2017-01-18 2018-07-26 신수연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 아연 탄소 과망간산칼륨 용액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84A (ko) 2001-11-07 2003-05-17 박금남 농업용 폐비닐을 연료화하여 열풍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장치 및 방법과 여기에 사용되는 폐비닐연료
KR20030069618A (ko) 2002-02-22 2003-08-27 오태득 폐비닐을 이용한 대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6352A (ko) * 2006-12-18 2008-06-23 마명희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KR20110095546A (ko)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이앤티 폐비닐 재활용 고형 연료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393951B1 (ko) 2012-06-25 2014-05-12 조규송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1616016B1 (ko) * 2016-01-08 2016-04-27 신수연 새집증후군 시멘트 독성 제거제의 제조방법
KR20180085178A (ko) * 2017-01-18 2018-07-26 신수연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 아연 탄소 과망간산칼륨 용액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885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543B1 (ko) 음식물쓰레기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체연료의제조방법과 그 장치
US823222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containing bottom ash
KR101442689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
CN102936169A (zh) 肥料缓释与放射性核素富集的淀粉基材料及其制备方法
Azeez Thermoplastic recycling: propertie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N101831101B (zh) 一种利用废旧塑料生产汽车雨篷专用料制备方法
KR20200092062A (ko) 재활용 폐플라스틱류의 처리법 그리고 선순환 처리시스템
EP0531371B1 (de) Verfahren zur verwertung von organischen abfäll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2051885B1 (ko)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CN102423909A (zh) 一种废旧塑料混合处理的方法
KR20030003159A (ko)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DE19909328A1 (de) Abfallverwertungsverfahren
US9278358B2 (en) Method for refining coal ash by separating carbonous product and regenerating siliceous ash products and use of a carbonous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KR20010067490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고체연료
KR101295854B1 (ko) 석탄비산재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용 비정질 실리카알루미나 촉매의 제조공정
KR101662439B1 (ko) 바이오매스에 폐유와 벙커씨유를 이용하여 건조, 분사 코팅 후 제조하게 되는 펠릿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CN110252779B (zh) 一种利用矿化垃圾进行木塑板材一体化生产的工艺
KR200312379Y1 (ko)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
CN107571422A (zh) 废旧塑料再生造粒工艺
CN107876547B (zh) 一种填埋体及其制备方法和设备
KR100494382B1 (ko)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200233595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시스템
KR20020066315A (ko) 폐기물의 대체에너지 재활용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00072160A (ko) 오니탄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0061669A1 (en) Conversion of plastics material into composite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