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352A -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 Google Patents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352A
KR20080056352A KR1020060129141A KR20060129141A KR20080056352A KR 20080056352 A KR20080056352 A KR 20080056352A KR 1020060129141 A KR1020060129141 A KR 1020060129141A KR 20060129141 A KR20060129141 A KR 20060129141A KR 20080056352 A KR20080056352 A KR 2008005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lid fuel
fuel
oil
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명희
조옥현
Original Assignee
마명희
조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명희, 조옥현 filed Critical 마명희
Priority to KR102006012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6352A/ko
Publication of KR2008005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등에서 수거되는 폐비닐 또는 각종 합성수지, 폐목재류, 폐유 등을 재활용하여 매우 열량이 높으면서 연소시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조성되는 제1연료조성물 50~60중량%와, 폐식용유와 자동차의 엔진오일 등의 폐유 그리고 흑연, 석탄분말, 폐목재나 톱밥을 혼합 압출시켜 조성되는 제2연료조성물 20~30중량%, 그리고 결합제인 규산소다 10~15중량로 혼합하여 조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를 제공하게 된다.
폐기물, 폐비닐, 폐합성수지,고체연료

Description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SOLID FUEL USING WASTE MATERIALS}
본 발명은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등에서 수거되는 폐비닐 또는 각종 합성수지, 폐목재류, 폐유 등을 재활용하여 매우 열량이 높으면서 연소시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폐비닐이나 각종 합성수지 등은 열용융공정과 압출공정 등을 거쳐서 재생하거나 소각장에서 소각 폐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닐 또는 합성수지의 재생품은 결국 2차적인 환경오염 즉, 연소시 다이옥신 등과 같은 발암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산림청에서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간벌작업시 엄청난 폐목재가 발생되는데, 이를 부분적이지만 톱밥 등으로 가공하여 재활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그대로 방치하는 등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이, 폐식용유나 자동차의 엔진오일 그리고 파라핀과 정유공장의 폐부산물, 아스팔트포장의 폐부산물 등과 같은 폐유 그리고 폐합성섬유, 제조공장의 각종 더스트 등은 폐기물처리업체에서 별도로 폐기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그 비용이 과 다하여 불법적으로 폐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폐기물을 재활용하면서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고체연료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닐하우스 등에서 수거되는 폐비닐 또는 각종 합성수지, 폐목재류, 폐유 등을 재활용하여 매우 열량이 높으면서 연소시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조성되는 제1연료조성물 50~60중량%와, 폐식용유와 자동차의 엔진오일 등의 폐유 그리고 흑연, 석탄분말, 폐목재나 톱밥을 혼합 압출시켜 조성되는 제2연료조성물 20~30중량%, 그리고 결합제인 규산소다 10~15중량로 혼합하여 조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그 일시예에 따르면,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조성되는 제1연료조성물 50~60중량%와, 폐식용유와 자동차의 엔진오일 등의 폐유 그리고 흑연 또는 석탄분말, 폐목재나 톱밥 등을 혼합 압출시켜 조성되는 제2연료조성물 20~30중량%, 그리고 결합제인 규산소다 10~15중량로 혼합하여 조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연료조성물은 농촌 등에서 회수되는 폐비닐 또는 단독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폐합성수지를 수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작업을 거치게 되고, 열을 가하여 용융시키되 겔(Gel)타입의 액상으로 용융시키게 된다.
이처럼, 겔상의 제1연료조성물은 50~60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분말상태의 제2연료조성물을 고체형태로 혼합하는데에 결합제 역활을 하게 되고, 연소시 900~1000℃ 정도의 연소온도에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이옥신 등과 같은 발암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2연료조성물은 20~30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폐식용유와 자동차의 엔진오일 등, 파라핀과 정유공장의 폐부산물, 아스팔트포장의 폐부산물 등과 같은 폐유 그리고 폐합성섬유, 제조공장의 각종 더스트, 석탄분말, 폐목재나 톱밥 등을 혼합 압출시켜 조성하게 된다.
여기서, 폐목재나 톱밥 등은 산림청에서 실시하는 간벌 작업시 발생되는 나무 등에서 발생되는 폐목을 재활용하게 되고, 이를 톱밥 형태의 분말로 가공하여 폐유 등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고체형태로 결합시키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규산소다는 10~15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겔상의 제1연료조성물과 분말상태의 제2연료조성물을 혼합할 때 결합제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조성되는 본 발명의 고체연료는 연소시 제2연료조성물을 조성하는 폐목재나 톱밥 그리고 흑연 또는 석탄분말 등이 가장 먼저 연소되면서 폐유 등을 연소시키게 되고, 그 다음 폐비닐과 폐합성수지가 연소되면서 연소열을 높이게 되면서 완전연소를 유도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고체연료는 연소온도가 1000℃ 이상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옥신 등과 같은 발암물질의 생성이 방지되며, 이로써 2차적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종 폐기물을 고체연료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사용시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연소시 발생될 수 있는 2차적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폐기물의 재활용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조성되는 제1연료조성물 50~60중량%와, 폐식용유와 자동차의 엔진오일 등의 폐유 그리고 흑연, 석탄분말, 폐목재나 톱밥을 혼합 압출시켜 조성되는 제2연료조성물 20~30중량%, 그리고 결합제인 규산소다 10~15중량로 혼합하여 조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KR1020060129141A 2006-12-18 2006-12-18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KR20080056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41A KR20080056352A (ko) 2006-12-18 2006-12-18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41A KR20080056352A (ko) 2006-12-18 2006-12-18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52A true KR20080056352A (ko) 2008-06-23

Family

ID=3980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141A KR20080056352A (ko) 2006-12-18 2006-12-18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3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80B1 (ko) * 2009-01-22 2009-07-22 손민일 폐제지슬러지와 폐유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668A (ko) * 2018-05-17 2019-11-27 이재운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80B1 (ko) * 2009-01-22 2009-07-22 손민일 폐제지슬러지와 폐유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668A (ko) * 2018-05-17 2019-11-27 이재운 폐비닐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krzycki et al. Alternative fuels for the cement industry
Raju et al. Studies on development of fuel briquettes for household and industrial purpose
KR20080056352A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WO2022019464A1 (ko) 석유화학제품폐기물을 이용한 분말재생연료 및 그 생산 장치
JP2012219239A (ja) 従来の固形燃料の外周を廃プラスチックで含浸コーティングする事により、初期火力の安定と、燃焼特性の安定、製造時または保管時の性状の安定が可能となる固形燃料の製造技術
KR101534444B1 (ko) 합성수지 폐기물과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형 연료
KR100319803B1 (ko) 오니탄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ang et al. Study on the preparation method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mass char fuel made from chicken manure synergistic plastic waste
CN102876420A (zh) 一种环保燃料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20020066315A (ko) 폐기물의 대체에너지 재활용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101185B1 (ko) 고형연료
Vest Small scale briquetting and carbonisation of organic residues for fuel
KR100601734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20200039627A (ko) 폐활성탄을 이용한 친환경 고체연료의 제조 방법
Nkosi et al. Using tyre derived fuel: an analysis of the benefits
JP2826958B2 (ja) ゴム系廃棄物の燃料化方法
KR200292576Y1 (ko) 폐기물의 대체에너지 재활용 장치
JPS5956496A (ja) 廃棄物固型燃料の製造法
KR100487735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고체연료의 조연제 및 그제조방법
KR102227737B1 (ko) 폐페인트 발포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100324484B1 (ko) 축산 오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357202Y1 (ko) 쓰레기 청정 고체연료
KR100489448B1 (ko)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왁스를 이용한 고형연료 및 그의제조방법
CN103223416A (zh) 一种可燃性燃料的制作方法
Nam et al. EXTRUSION OF MUNICIPAL PLASTIC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