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404A -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404A
KR20190131404A KR1020180128250A KR20180128250A KR20190131404A KR 20190131404 A KR20190131404 A KR 20190131404A KR 1020180128250 A KR1020180128250 A KR 1020180128250A KR 20180128250 A KR20180128250 A KR 20180128250A KR 20190131404 A KR20190131404 A KR 20190131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ipe
node
power
power terminal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938B1 (ko
Inventor
임한복
Original Assignee
임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복 filed Critical 임한복
Publication of KR2019013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01R4/643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for rigid cylindrical bod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난방 장치는, 도전성 파이프,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로 연장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도전성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컨택하여 도전성 파이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단자, 그리고 도전성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및 접지 단자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ELECTRIC HEATING DEVI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OR RADIANT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 천장, 및/또는 벽과 같은 레이어 내에 묻히는 난방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사 난방 시스템은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하며, 그 표면은 대류(convection) 및 복사(radiation)를 통해 주변 환경과 열을 교환한다. 복사 난방 시스템은 바닥, 천장, 혹은 벽과 같은 레이어 내에 묻히는 난방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순환수식(hydronic) 복사 난방 시스템은 레이어 내에 묻히는 송수관을 포함하며, 송수관에 상대적으로 높은 열을 갖는 물을 흘려 보냄으로써 난방한다. 전기(electrical) 복사 난방 시스템은 레이어 내에 묻히는 난방 배선을 포함하며, 그 난방 배선은 전기 저항을 가지므로 배선을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열을 발생한다.
전기 난방 시스템은, 간단한 구성과 낮은 유지비로 인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 난방 시스템은 동작 중에 전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사 난방 시스템에서 전자기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난방 장치는, 도전성 파이프;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컨택하여 상기 도전성 파이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및 상기 접지 단자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져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및 상기 접지 단자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은 각각 상기 도전성 파이프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난방 배선과 제 2 난방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1 난방 배선에 연결되는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에 연결되는 제 2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제 1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및 제 3 노드를 통해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노드들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 1 난방 배선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은 상기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전원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 및 제 1 노드를 통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배선과 상기 제 1 노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 1 난방 배선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은 각각 제 2 외부 배선과 제 3 외부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는 인덕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제 1 전원 단자와 제 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는 상기 인덕터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덕터 회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제 1 전원 단자를 제 1 노드에 연결하는 제 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를 제 2 노드에 연결하는 제 2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덕터 회로는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연결 배선, 상기 제 2 연결 배선, 상기 제 1 노드, 상기 제 2 노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에 배치되는 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향하는 개구부를 막음으로써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에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을 유지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상기 마개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난방 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양단들을 갖도록 연장되는 도전성 파이프; 상기 도전성 파이프 내에 배치되는 난방 배선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양단들 중 제 1 단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양단들 중 제 2 단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단과 인접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제 1 부분과 컨택하는 제 1 접지 단자;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2 단과 인접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제 2 부분과 컨택하는 제 2 접지 단자;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 상기 제 1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을 감싸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 상기 제 2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2 부분을 감싸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제 1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과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들;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회로; 및 제 3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노드들 및 상기 제 2 노드를 감싸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연결 회로 및 상기 제 3 노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연결 회로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는 인덕터 회로; 및 상기 인덕터 회로를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에 연결하는 연결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제 1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들;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제 3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들; 및 제 4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4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노드들 및 상기 제 2 노드를 감싸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3 노드들 및 상기 제 4 노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전기 난방 장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를 채우는 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단 및 상기 제 2 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을 유지하는 제 1 마개 및 제 2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1 마개를 통해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2 마개를 통해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사 난방 시스템에서 전자기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난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들 및 접지 단자들과 연결되는 파이프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파이프 마개들 중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부분 A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C 내의 코일 및 도전성 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코일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기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복사 난방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레이어들, 필름들, 패널들, 영역들 등의 크기 또는 상대적인 크기는 명확성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어떤 소자 또는 레이어가 다른 소자 또는 레이어와 "연결되어 있다”고 서술되어 있으면,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서술되어 있으면, 이는 해당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다른 소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첫번째, 두번째 등과 같은 용어가 다양한 소자들, 구성들, 지역들, 레이어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소자들, 구성들, 지역들, 레이어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소자, 구성, 지역, 레이어, 및/또는 섹션을 다른 소자, 구성, 지역, 레이어, 및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의 첫번째 소자, 구성, 지역, 레이어, 및/또는 섹션은 다른 실시예에서 두번째 소자, 구성, 지역, 레이어, 및/또는 섹션이라 칭할 수 있다.
"아래", "위" 등과 같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도면에서 도시된 대로 하나의 소자 또는 특징과 다른 소자 또는 특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묘사된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동작 시, 및/또는 제조 시의 상이한 방향들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장치가 뒤집히면, 다른 소자들 또는 특징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된 소자들은 다른 소자들 또는 특징들의 “위”의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아래” 라는 용어는 위와 아래의 양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치는 그 외 다른 방향(예를 들면, 90도 회전된 혹은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기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그에 따라 해석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도식화된 단면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제조 기술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결과로 그 형상들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도시된 형상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제조 공정의 결과로 발생하는 형상들의 변화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난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난방 조립체(10)는 복수의 난방 장치들(11~13)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은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고,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 각각은 제 2 방향(Y)과 수직인 제 1 방향(X)으로 연장된다.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은 각각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EWG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은 제 1 내지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원(예를 들면, 교류 전류)을 수신하여, 전기 난방 조립체(10)가 묻혀있는 레이어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에 전원 전류 및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내지 제 3 난방 장치들(11~13)을 접지(ground or earth)에 연결하는 접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배선과 관련하여는 도 2,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및 제 2 난방 장치들(11~13) 각각은 제 1 하우징(HS1) 및 제 2 하우징(HS2)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HS1) 및 제 2 하우징(HS2)은 각 난방 장치를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에 고정 및 연결하고, 각 난방 장치의 단자들과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사이의 연결 노드들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들과 오염 물질들로부터 보호한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들 및 접지 단자들과 연결되는 파이프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파이프 마개들 중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부분 A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난방 장치(100)는 파이프(110), 파이프(110)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131, 132),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을 포함한다.
파이프(110)는 제 1 방향(X)으로 연장된다. 파이프(110)는 파이프(110) 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을 보호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두개의 난방 배선들(121, 122)이 제공되어 있다. 파이프(110)는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을 수분, 산소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로부터 발생된 열을 난방 장치(100)가 묻혀 있는 레이어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1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이프(110)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식 저항성을 갖는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파이프(110)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파이프(110)를 따라 제 1 방향(X)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 각각은 발열을 위해 특정 전기 저항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전원 단자들은 파이프(110)의 양단들을 통해 파이프(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과 연결된다. 도 2에서,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과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난방 배선(121)은 제 1 및 제 3 전원 단자들(PT1, PT3)에 연결되며, 제 2 난방 배선(122)은 제 2 및 제 4 전원 단자들(PT2, PT4)과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은 파이프(110)의 제 1 단을 통해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에 각각 연결된다.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은 파이프(110)의 제 1 단과 반대되는 파이프(110)의 제 2 단을 통해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에 각각 연결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지 단자들이 파이프(110)의 양단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파이프(110)와 컨택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접지 단자(GT1)는 파이프(110)의 제 1 단부와 컨택하고, 제 2 접지 단자(GT2)는 파이프(110)의 제 1 단부와 반대되는 파이프(110)의 제 2 단부와 컨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은 제 3 및 제 4 외부 배선들(EW3, EW4, 도 2 및 도 6 참조)과 같은 접지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류를 수신하여 열을 발생한다. 파이프(110)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식 저항성을 갖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이프(110)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작 중,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을 통해 흐르는 교류 전류로 인해 파이프(11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110)의 유도 전류는 전자기 유도를 발생할 수 있으며, 비록 난방 장치(100)가 바닥, 천장, 혹은 벽과 같은 레이어 내에 묻혀 있어 다른 물질들이 난방 장치(100)와 레이어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은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표면과 난방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난방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열은 표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위 전자기력이 인체에 주는 영향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이프(110)를 접지에 연결된 제 3 및 제 4 외부 배선들(EW3, EW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난방 시 파이프(110)에 발생된 유도 전류는 접지로 디스차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할 수 있다.
충진재(140, filler)가 파이프(110) 내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충진재(140)는 제 1 난방 배선(121), 제 2 난방 배선(122), 및 파이프(110)의 내부 표면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비도전성 물질들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서, 충진재(140)는 산화 마그네슘(MgO)과 같은 열 전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40)를 유지 및 밀봉하기 위해, 제 1 마개(STP1, stopper)는 파이프(110)의 제 1 단에 형성되어 파이프(110) 내부로 향하는 개구부를 차단하며, 제 2 마개(STP2)는 파이프(110)의 제 1 단과 반대되는 파이프(110)의 제 2 단에 형성되어 파이프(110) 내부로 향하는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개(STP)는 몸체부(MB) 및 2개의 돌출 링들(PRR1, PRR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MB)는 복수의 개구부들(OP1, O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들(OP1, OP2)은 전원 단자들이 관통하는 홀들일 수 있다. 제조 공정에서, 제 1 및 제 2 마개들(STP1, STP2)은 충진재(140)의 충진 파우더가 파이프(110) 내에 채워진 후에 파이프(110)의 양단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후 파이프(110)는 정해진 온도에서 압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마개들(STP1, STP2)은 파이프(110)의 내부 표면과 함께 에어 베리어(air barrier)를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돌출 링들(PRR1, PRR2)을 포함하므로, 파이프(110)가 압착될 때 충진 파우더를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전류를 수신하여 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전원 단자(PT1)는 제 1 노드(ND1)를 통해 제 1 외부 배선(EW1)과 연결될 수 있고, 제 2 전원 단자(PT2)는 제 2 노드(ND2)를 통해 제 2 외부 배선(EW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와 배선은 그것들 사이에 위치하는 슬리브(sleeve)와 함께 서로 용접되어 서로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은 연결 배선(CW)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을 통해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이 코일 스프링의 형상을 갖고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되는 경우, 앙페르 법칙(Ampere’s law)에 따라, 제 1 난방 배선(PT1)의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전자기장은 제 2 난방 배선(PT2)의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사이에서 직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은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기력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접지 단자(GT1)는 제 3 노드(ND3)를 통해 제 3 외부 배선(EW3)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접지 단자(GT2)는 제 4 외부 배선(EW4)과 연결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외부 배선들(EW3, EW4)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들(HS1, HS2)은 파이프(110)의 제 1 및 제 2 단부들,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단자들(PT1~PT4, GT1, GT2)을 외부 배선들(EW1~EW4)에 연결하는 노드들,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의 일부들을 감싼다(혹은, 차폐한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하우징(HS1) 및 제 2 하우징(HS2)은 전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도전성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및 제 2 하우징들(HS1, HS2) 각각은 하부 커버 및 하부 커버와 조립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상부 커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제 1 하부 커버(131)는 파이프(110)의 제 1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 1 하부 커버(131)는 제 1 상부 커버와 조립되어 도 1의 제 1 하우징(HS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부 커버(131)는 홀들(HLE)을 갖고, 제 1 상부 커버는 홀들(HLE)에 대응하는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홀들(HLE)은 제 1 상부 커버의 돌출부들을 수용하여 잠금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하부 커버(131)는 제 1 상부 커버와 조립될 수 있다. 제 1 하부 커버(131)와 제 1 상부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들(PRT)을 포함하여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을 고정할 수 있다. 제 1 하부 커버(131) 및 제 1 상부 커버는, 조립된 후 에폭시(epoxy)와 같은 밀봉 부재로 채워질 제 1 내부 공간(IS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110)의 제 1 단부,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제 1 접지 단자(GT1),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와 제 1 접지 단자(GT1)를 제 1 내지 제 3 외부 배선들(EW1~EW3)와 연결하는 노드들, 그리고 제 1 내부 공간(IS1) 내에 위치하는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의 일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수분, 산소 등과 같은 외부 환경들 및 오염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 1 하부 커버(132)는 파이프(110)의 제 2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 2 상부 커버와 조립되어 도 2의 제 2 하우징(HS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하부 커버(132)는 제 1 하부 커버(131)와 대칭일 수 있다. 제 2 하부 커버(132)는 제 2 상부 커버의 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홀들(HLE)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제 2 하부 커버(132)와 제 2 상부 커버는 조립될 수 있다. 제 2 하부 커버(132) 및 제 2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HS2)은 제 2 내부 공간(IS2)을 가질 수 있다. 제 1 내부 공간(IS1)과 유사하게, 제 2 내부 공간(IS2)은 에폭시와 같은 밀봉 부재로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110)의 제 2 단부,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 제 2 접지 단자(GT2), 연결 배선(CW), 제 2 접지 단자(GT)를 제 4 외부 배선(EW4)과 연결하는 노드, 그리고 제 2 내부 공간(IS2) 내에 위치하는 제 2 외부 배선 그룹(EWG2)의 일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 환경들 및 오염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난방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들의 구조물들 중 어느 하나에 묻힐 수 있다. 몇몇 레이어는 특히 난방 장치(100)를 부식시킬 수 있는 수분, 산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파이프(110)와 컨택하는 접지 단자가 전원 단자들을 감싸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접지 단자는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수분, 산소 등에 의해 점진적으로 부식될 수 있다. 즉, 접지 단자의 성질은 변할 수 있으며, 이는 동작 시 파이프(110)에 발생되는 유도 전류가 원활하게 방출되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접지 단자가 파이프(110)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면, 접지 단자는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고, 수분, 산소 등에 의해 점진적으로 부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지 단자의 신뢰성은 보장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이프(110)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컨택하며, 하우징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는 접지 단자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접지 단자는 파이프(110)의 유도 전류를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디스차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 예를 들면 부식 저항성을 가져 그 전기적인 성질은 의도한 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과 제 2 외부 배선 그룹(EWG2)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배선 및 그것을 감싸는 피복(sheath)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은 전원 배선들인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들(EWG1, EWG2), 그리고 접지 배선인 제 3 외부 배선(EW3)을 포함한다. 제 2 외부 배선 그룹(EWG2)은 접지 배선인 제 4 외부 배선(EW4)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B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난방 장치(200)는 파이프(2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221, 2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231, 232),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그리고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을 포함한다. 파이프(2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221, 2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231, 232),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그리고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파이프(1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131, 132),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그리고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과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은 다양한 방식들로 제 1 및/또는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의 외부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은 도 2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1 외부 배선 그룹(EWG1)의 전원 배선들에 연결된다.
도 2의 실시 예와 다르게,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도 전원 배선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외부 배선 그룹(EWG2)은 제 4 내지 제 6 외부 배선들(EW4~EW6)과 제 4 내지 제 6 외부 배선들(EW4~EW6)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접지 단자(GT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 4 노드(ND4)를 통해 제 4 외부 배선(EW4)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전원 단자(PT3)는 제 5 노드(ND5)를 통해 제 5 외부 배선(EW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 4 전원 단자(PT4)는 제 6 노드(ND6)를 통해 제 6 외부 배선(EW6)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난방 배선(221)은 제 1 외부 배선(EW1)과 제 5 외부 배선(EW5)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난방 배선(222)은 제 2 외부 배선(EW2)과 제 6 외부 배선(EW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전기 난방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난방 장치(300)는 파이프(3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321, 3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331, 332),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PT1~PT4),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 및 코일(350)을 포함한다. 파이프(3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321, 3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331, 332),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및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파이프(110),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121, 122), 제 1 및 제 2 하부 커버들(131, 132),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들(PT1, PT2),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GT1, GT2), 및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EWG1, EWG2)과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코일(350)과 같은 인덕터 회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코일(350)은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과 인접하게 파이프(3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350)은 파이프(3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번 감겨져 있고,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50)은 제 2 하우징(HS2)에 의해 감싸질 수 있으며, 제 2 내부 공간(IS2)에 채워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350)이 부식되는 것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할 수 있으며, 그 전기적 성질은 의도한 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C 내의 코일 및 도전성 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코일에 의해 유발되는 전자기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코일(350)은 파이프(310)의 일부 위에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연결 배선들(CW1, CW2)을 통해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에 연결된다. 코일(350)의 배선의 일단은 제 1 연결 배선(CW1)을 통해 제 3 전원 단자(PT3)에 연결되고, 코일(350)의 배선의 타단은 제 2 연결 배선(CW2)을 통해 제 4 전원 단자(PT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연결 배선(CW1), 코일(350), 및 제 2 연결 배선(CW2)은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인덕터 회로(INDT1)를 구성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은 제 2 마개(STP2)를 통해 연장되어 도 9의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321, 322)에 연결된다. 전원이 난방 장치(300)에 공급될 때, 제 1 난방 배선(321)의 전류는 제 1 인덕터 회로(INDT1)를 통해 제 2 난방 배선(322)로 흐를 수 있다. 제 1 인덕터 회로(INDT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자기장(EM)을 유발할 수 있다. 감지기(1100)가 코일(350)에 가깝게 위치한다면(혹은 코일(350)을 감싸는 제 2 하우징(HS2)에 가깝게 위치한다면) 전자기장(EM)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사용자는 난방 장치(300)에 직접 컨택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비 없이도, 난방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감지기(1100)는 자기력계(magnetometer)와 같은 전자기장(EM)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기(1100)는 제 2 인덕터 회로(INDT2) 및 제 2 인덕터 회로(INDT2)에 연결되는 전류 센서(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덕터 회로(INDT2)는 제 1 인덕터 회로(INDT1)와 제 2 인덕터 회로(INDT2)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에 따라 전자기장(EM)에 기인하여 생성되는 유도 전류(IC)를 제공할 수 있다. 전류 센서(1110)는 유도 전류(IC)를 센싱할 수 있다. 만약 제 1 외부 배선(EW1), 제 1 난방 배선(321), 제 1 인덕터 회로(INDT1), 제 2 난방 배선(322), 및 제 2 외부 배선(EW2)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의 임의의 포인트가 오픈되거나 적어도 손상된다면, 난방 장치(300)의 동작 중 전자기장(EM)은 발생되지 않거나 적어도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인덕터 회로(INDT1)에 가깝게 위치하는 감지기(1100)는 전자기장(EM)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낮은 레벨의 전자기장(EM)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및 제 4 전원 단자들(PT3, PT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인덕터 회로(INDT1)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접촉식(non-contacting) 감지기(1100)를 사용하여 난방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1 인덕터 회로(INDT1)는 제 2 하우징(HS2)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 1 인덕터 회로(INDT1) 및 제 1 인덕터 회로(INDT1)를 감싸는 제 2 하우징(HS2)은 파이프(310)의 양단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므로 제 2 하우징(HS2)이 실내 공간의 가장자리 혹은 실내 공간의 밖에 위치하도록 난방 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체에 대한 전자기장(EM)의 부정적인 영향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복사 난방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사 난방 시스템은 난방 절연 레이어(1200), 방열 레이어(1300), 및 전기 난방 조립체를 포함한다.
난방 절연 레이어(1200)는 바닥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난방 절연 레이어(1200)는 방열 레이어(1300)의 열이 하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난방 절연 레이어(1200)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레이어(1300)는 난방 절연층(120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 난방 조립체로부터의 열을 표면으로 전달하는 데에 적합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 레이어(1300)는 모르타르(mortar)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난방 조립체는 방열 레이어(1300) 내에 묻힐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마감재들이 방열 레이어(1300) 위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난방 조립체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난방 장치(300)를 포함하는 경우, 난방 장치(300)는 도 11의 제 1 인덕터 회로(INDT1)를 갖는 제 2 하우징(HS2)을 포함한다. 전기 난방 조립체는 표면으로부터 제 1 거리(d1)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 거리(d1)는 제 1 인덕터 회로(INDT1)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장(EM)이 감지기(110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d1)는 약 3cm 내지 약 5cm 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거리(d1)를 고려하여 제 1 인덕터 회로(INDT1)의 배선이 파이프(310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 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인덕터 회로(INDT1)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접촉식 감지기(1100)를 사용하여 어떤 난방 장치가 정상적이고 어떤 난방 장치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기 난방 조립체
HS1, HS2: 제 1 및 제 2 하우징들
EWG1, EWG2: 제 1 및 제 2 외부 배선 그룹들
110: 파이프
121, 122: 제 1 및 제 2 난방 배선들
PT1~PT4: 제 1 내지 제 4 전원 단자들
GT1, GT2: 제 1 및 제 2 접지 단자들

Claims (18)

  1. 도전성 파이프;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컨택하여 상기 도전성 파이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및 상기 접지 단자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져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 및 상기 접지 단자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방 배선들은 각각 상기 도전성 파이프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난방 배선과 제 2 난방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1 난방 배선에 연결되는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에 연결되는 제 2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및
    제 3 노드를 통해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노드들을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방 배선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은 상기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전기 난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전원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 및
    제 1 노드를 통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배선과 상기 제 1 노드를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방 배선 및 상기 제 2 난방 배선은 각각 제 2 외부 배선과 제 3 외부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난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는 인덕터 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제 1 전원 단자와 제 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는 상기 인덕터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덕터 회로를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단자를 제 1 노드에 연결하는 제 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를 제 2 노드에 연결하는 제 2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인덕터 회로는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연결 배선, 상기 제 2 연결 배선, 상기 제 1 노드, 상기 제 2 노드를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에 배치되는 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향하는 개구부를 막음으로써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에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을 유지(retain)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원 단자들은 상기 마개를 통해 연장되는 전기 난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12. 서로 반대되는 양단들을 갖도록 연장되는 도전성 파이프;
    상기 도전성 파이프 내에 배치되는 난방 배선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양단들 중 제 1 단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양단들 중 제 2 단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난방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원 단자들;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단과 인접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제 1 부분과 컨택하는 제 1 접지 단자;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2 단과 인접하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제 2 부분과 컨택하는 제 2 접지 단자;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 상기 제 1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부분을 감싸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 상기 제 2 접지 단자,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2 부분을 감싸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과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들;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회로; 및
    제 3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노드들 및 상기 제 2 노드를 감싸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연결 회로 및 상기 제 3 노드를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회로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는 인덕터 회로; 및
    상기 인덕터 회로를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에 연결하는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배선들;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외부 배선;
    제 3 노드들을 통해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에 연결되는 제 3 외부 배선들; 및
    제 4 노드를 통해 상기 제 2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 4 외부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노드들 및 상기 제 2 노드를 감싸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3 노드들 및 상기 제 4 노드를 감싸는 전기 난방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내부를 채우는 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제 1 단 및 상기 제 2 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열 전도성 물질을 유지하는 제 1 마개 및 제 2 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1 마개를 통해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원 단자들은 상기 제 2 마개를 통해 상기 도전성 파이프의 상기 내부로 연장되는 전기 난방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은 서로 대칭인 전기 난방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전기 난방 장치.

KR1020180128250A 2018-05-16 2018-10-25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92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2185P 2018-05-16 2018-05-16
US62/672,185 2018-05-16
US16/049,841 US10849194B2 (en) 2018-05-16 2018-07-31 Electric heating devi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or radiant heating system
US16/049,841 2018-07-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72A Division KR20200032081A (ko) 2018-05-16 2020-03-18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04A true KR20190131404A (ko) 2019-11-26
KR102092938B1 KR102092938B1 (ko) 2020-03-24

Family

ID=685333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250A KR102092938B1 (ko) 2018-05-16 2018-10-25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200033372A KR20200032081A (ko) 2018-05-16 2020-03-18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72A KR20200032081A (ko) 2018-05-16 2020-03-18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49194B2 (ko)
KR (2) KR1020929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58B1 (ko) * 1999-04-30 2003-10-08 수미토모 스페셜 메탈스 코., 리미티드 자기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2963A (ko) * 2011-04-04 2012-10-12 황보대화 전도성 열매체를 이용한 호스관 발열체
KR20130008237A (ko) * 2011-07-12 2013-01-22 황보기만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KR101303895B1 (ko) * 2013-01-24 2013-09-05 지제이엠 주식회사 유기재료 승화 정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1818A (en) * 1958-12-17 1961-04-25 Electric Pipe Line Inc Type metal transportation system
US3593002A (en) * 1969-06-19 1971-07-13 Springfield Wire Sealed tubular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with ground connection
US4087777A (en) * 1973-12-21 1978-05-02 Dynamit Nobel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heating assembly having a thermally conductive refractory electrical insulating embedding composition between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and a jacket
US4092520A (en) 1976-12-16 1978-05-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Leakage current thermostat
US4626665A (en) * 1985-06-24 1986-12-02 Shell Oil Company Metal oversheathed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US4878332A (en) * 1988-01-11 1989-11-07 Infloor, Inc. Electric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US5977519A (en) * 1997-02-28 1999-11-02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Heating element with a diamond sealing material
US6303905B1 (en) * 2000-08-25 2001-10-16 Bask Technologies Llc Heating element construction for floor warming systems
US6958463B1 (en) * 2004-04-23 2005-10-25 Thermosoft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er with simultaneous hot spot and mechanical intrusion protection
CN2852157Y (zh) * 2005-07-05 2006-12-27 武汉电信器件有限公司 小型化数字地和壳地电隔离的同轴光电组件
KR100900193B1 (ko) 2007-05-04 2009-06-02 (주)한진테크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KR101938744B1 (ko) 2016-07-06 2019-01-16 주식회사 지앤브이 공기배출구멍과 돌기링이 형성된 시즈히터용 패킹, 이를 이용한 시즈히터 및 전열장치 시설체
KR101746775B1 (ko) 2017-01-11 2017-06-13 주식회사 에너피아 전자기장 차폐 기능을 갖는 밀폐형 전열온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58B1 (ko) * 1999-04-30 2003-10-08 수미토모 스페셜 메탈스 코., 리미티드 자기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2963A (ko) * 2011-04-04 2012-10-12 황보대화 전도성 열매체를 이용한 호스관 발열체
KR20130008237A (ko) * 2011-07-12 2013-01-22 황보기만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KR101303895B1 (ko) * 2013-01-24 2013-09-05 지제이엠 주식회사 유기재료 승화 정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938B1 (ko) 2020-03-24
US10849194B2 (en) 2020-11-24
KR20200032081A (ko) 2020-03-25
US20190357313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5017T3 (es) Terminal y terminación de cable con dispositivo de monitorización integrado
EP3334967B1 (en) An assembly comprising an end-fitting and an unbonded flexible pipe
US8558535B2 (en) 3-phase Faraday optical current sensor assembly
TWI675605B (zh) 具有前部和中間的菊鏈功率注入、屏蔽和抗水性特徵的流線型加熱器組件
ES2719131T3 (es) Cable de alimentación articulado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JP2016524130A (ja) 電気導体の温度監視システム
JP2017516276A (ja) センサ付き電気ジャンパ
BR112018011871B1 (pt) Penetrador elétrico e montagems de passagem de aimentação resistentes ao fogo
BR102013028657A2 (pt) Cabo achatado compósito, e, instalação de cogeração solar
WO2017182689A2 (es) Dispositivo aislador pasante de alta tensión
KR102092938B1 (ko)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ES2582179T3 (es) Sistema de conexión entre dispositivos eléctricos de alta tensión
ES2896015T3 (es) Conector eléctrico con un sensor de temperatura
JP6781259B2 (ja) 圧力センサ
CN112437882A (zh) 分裂芯电流传感器
KR102436606B1 (ko) 전력케이블용 도전성 차폐 냉각 시스템
KR20180026009A (ko)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CN218098191U (zh) 带发热功能的漏液检测线缆及漏液检测系统
KR200497641Y1 (ko) 방식 전위 측정을 위한 입상형 테스트 박스
KR102671149B1 (ko) 침수된 전기설비의 3상 4선식 상간전류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KR102537456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ES2932024T3 (es) Transformador de tipo seco y método para fabricarlo
KR20200132213A (ko) 2중 복합열선에 의한 전자기장 억제 기능을 갖는 매설형 전기온돌 장치
KR100895931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무전계 발열선
WO2015037758A1 (ko) 전기 설비용 통형 감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