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237A -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237A
KR20130008237A KR1020110068849A KR20110068849A KR20130008237A KR 20130008237 A KR20130008237 A KR 20130008237A KR 1020110068849 A KR1020110068849 A KR 1020110068849A KR 20110068849 A KR20110068849 A KR 20110068849A KR 20130008237 A KR20130008237 A KR 2013000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hose tube
powder
heating element
ge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기만
Original Assignee
황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기만 filed Critical 황보기만
Priority to KR102011006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237A/ko
Publication of KR2013000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8Heating hoses; Heating coll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0Heating arrangement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granular powdered or fluid material, e.g. for salt-bath furnace, electrolytic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매트 또는 바닥난방용으로 사용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밀폐부재가 장착된 도전성 호스관, 상기 도전성호스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히터선 상기 도전성호스관의 내부에 채워지며, 열매체의 자연증발 방지제 고체분말을 포함한 열매체 겔용액과 겔용액의 고체분말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와, 소포재, 습윤제,방부제와 누수시 식별이 용이한 염료, 안료와, 열팽창계수를 줄이고 자연증발 억제와 고점도 열매체를 충진이 용이한 겔형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는 도전성 호스관 내부에 내부에 열팽창률이 매우 낮은 고체분말 열매체 겔용액이 채워지므로 열팽창 흡수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열매체 자연증발로 발생되는 하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도전성 호스관과 고체분말을 열매체의 내부에 분산시킴으로써 열전도성과 열저장성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도전성호스관이나 열매체 겔용액에 어스접지로 유도차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매트나 바닥난방에 설치되던 금속판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작 및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heating medium gel solution composite comprising construction building system,hereupon conductive Hosepipe heater using}
본 발명은 온열매트나 바닥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매체의 열팽창흡수성능과 전자기파 차폐성능및 열매체 자연증발 방지가 우수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병원에서 사용되는 온열매트는 발열체의 종류에 따라 전열선 방식, 온수방식, 혼합방식으로 구분된다. 전열선 방식은 매트에 내장된 전열선이 발열하면서 매트를 가열하는 방식인데, 과열로 인해 전열선 주변의 매트가 변색되는 경우가 있고,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금속판이나 금속직물을 사용한 제품도 있으나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방식은 매트의 내부에 온수관을 설치하고, 매트 외부의 보일러에서 온수를 가열하여 온수관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온수방식은 전자파가 발생할 우려는 없으나 별도의 보일러장치가 필요하므로 유지관리가 불편하고 가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혼합방식은 온수관의 내부에 전열선을 설치하고, 전열선을 이용하여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혼합방식은 보일러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나 열매체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팽창흡수장치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판이나 금속직물의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무엇보다 고질적인 하자로는 밀폐식 온수매트나 밀폐식 매립형 주택 난방용 온수관에 충진된 열매체가 누수가 없어도 장시간 사용시 자연증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자연증발이 진행되면 그로인해 난방효율이 점차적으로 떨어지면서 결국은 온수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부문에 열선이 접촉하여 온수관이 녹고 터지며 타는 현상이 초례되어 이분야에 심각한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온열매트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 난방을 위해 설치된 밀폐식 전열선식 온수관에서는 더욱 심각하며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팽창 흡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전자기파 차폐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고 자연증발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고 차단하는 고체분말 성분으로 문제점을 해소하는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밀폐부재가 장착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 상기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히터선 상기 도전성호스관발열체의 내부에 채워지며, 고체분말을 포함한 열매체 겔용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증점제 또는 겔형성제를 포함하는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에서 호스관 자체에 전도성 재질을 조합하어 열전도와 전자파를 접지하여 플러그로 유도 배출하는 도전성호스관과,상기 열매체 겔용액은 도체 부도체의 고체상 분말을 포함하고 도체와 부도체의 액상물를 포함한 겔용액 열매체는 액상의 유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증발되지 않는 금속및 비금속광물 분말과 탄소분말의 고체상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겔용액 열매체에는 부동액, 증류수,염료,안료 또는 원적외선방사체 분말이 첨가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열팽창수축과 자연증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열매체를 열팽창 계수가 적고 증발 자체가 없는 고체상 물질과 동결방지및 내연물 부식방지 열전도성이 높은 부동액원료와 물,증류수와 일정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고체상 물질의 분말이 침하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되고 미끄럼성이 좋아 고점도에도 도전성호스관에 충전시 주입이 잘되고 겔화 조성물은 액상에서도 자연증발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언젠가 액상조성물이 증발되더라고 고체상의 물질은 영구히 남아서 충전되어 있으므로 난방을 하는데 기존의 문제점과 같은 온수관이 녹거나 타는 일이없고 액체상의 열팽창계수보다 고체상의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열팽창에 의한 온수관의 파손으로 터지지 않는 것이다, 그비율은 액상과 고상의 적용 비율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최소한 고상이30%이상 이면 기존에 문제점을 해소할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는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는 고체분말을 포함하고 있어 열팽창률이 매우 낮아 열팽창 흡수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전도성 분말을 열매체의 내부에 분산시킴으로써 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전도 효율이 매우높고 도전성 겔용액과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로 접지 하여 전원플러그로 유도하여 전자기파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매트나 바닥 난방에 설치되던 금속판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열매체 고체분말 겔용액은 자연증발을 억제차단하여 근본적인 하자를 방지하고 음이온 원적외선방사 탈취 항균,자연습도조절로 실내공기 정화와 인체 환경에 친화적이며 완전 밀폐식 구조에 도전성호스관 발열체 내부안은 전기 압력밥솥과 같은 Nucleate Boiling 원리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되고 열매체가 순환되지 않아 열손실이 전혀없는 열매체 gel solution의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는 제작및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수 있다.
도 1은 단일 열선이 내장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복선 열선이 내장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무자계 열선이 내장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무자계 열선의 결선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열선이 내장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의 단면 구성도을 나타낸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도전성 호스관(12)에 도전성 내부코팅(10)이나 외부코팅(11)을 하거나, 도전성 성분의 금속분말 중에 알루미늄 분말이나 탄소분말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출한 도전성 호스관(12) 양단말부에 밀폐부재의 재질로 금속이나 합성수지의 밀폐부재 관말부 티이(13)끼워서 밀폐부재 호스켑(14)체결하고 호스관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피복전열선(15)과, 전선케이블(16)을 전선연결단자에 절연피복(17)하고, 전열선을 호스관에 내삽하여 밀봉하기 위하여 호스관 양단에 각각 장착된 합성수지나 고무재질의 밀폐부재 링팩킹(18)을 삽입하여 밀폐부재 링팩킹 밀폐켑(19)을 체결한다, 밀폐부재 열매체 주입배출구 밀폐켑(21)양단부로 일측에서 조성한 열매체 겔용액(20)을 주입하고 타단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충진하고 밀폐부재 열매체 주입배출구 밀폐켑(21)를 체결하는 순으로 호스관 발열체를 조립한다, 양단부에 노출된 전선 양극에 결선케이블(22)를 제어부(25)로 연결하고,온도센서(24)와,어스접지선(23)을 도전성호스관(12)발열체에 밀착 고정하여 부착하고, 제어부(25)로 연결한다, 전원플러그(26)로 전원을 인가하여 전열선이 발열하고 온도센스로(24)열감지하여 제어부(25)로 피드백하여 온도조절하며 도전성호스관이나, 전도성 열매체 겔용액에 어스접지(23)로 피복 발열선(15)에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전원플러그(26)로 유도하여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전성호스관(12)은 금속분말(알루미늄분말)과 탄소(흑연,숯,카본)분말를 도전성 내부코팅(10)과 도전성외부코팅(11)을 하거나 호일로 감으며 피복절연선(15)을 내삽하여 압출성형한 도전성호스관(12)이나 합성수지와 금속분말과 탄소분말을 혼합하여 피복전열선(15)내삽하면서 압출성형한 도전성 호스관(12)은 매트나 바닥난방에 지그 재그형 또는 나선형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유연성이 높은 합성수지재질인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므로 금속재질의 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피복전열선(15)는 공지된 시이즈계열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피복전열선(15)의 내부에는 열선이 설치되며 절연피복된다. 도 1에는 피복전열선(15)의 내부에 1가닥의 열선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2선의 열선이 도시되어 있고 도 3과 도4는 2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소위 말하는 무자계 열선으로서 2가닥의 피복전열선(15)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자기장을 상쇄하여 전자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1~2가닥의 열선과 무자계 열선방식의 피복전열선(15)는 도전성호스관(12) 양단말부에 밀폐부재 관말부티이(13)을 끼워서 밀폐부재호스켑(14)를 체결하고 피복전열선(15)와 전선케이블(16)과 전선연결단자 절연피복(17)으로 조립된 피복전열선(12)를 도전성호스관(12)에 내삽하거나이미 호스압출 성형시 내삽된 부문을 적정 필요량으로 재단하여 조립한다
피복전열선(15)은 결선케이블(22)을 통해 제어부(25)에 양극으로 연결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단말부 일단부로 밀폐부재 호스켑(14)부문으로 도전성 호스관 내부에 충진된 전도성 열매체 겔용액(20)에 침지되는 어스접지선(23)과 도전성호스관(12) 외부에 어스접지선(23)을 부착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어스접지선(23)은 피복전열선(15)의 누전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피복전열선(15)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전성 호스관(12) 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5)로 피드백하는 온도센서식(24) 콘트롤 제어장치나 저항감응식 콘트롤 제어장치로 운전를 한다.
양단말부의 밀폐부재 열매체 주입배출구 밀폐켑(21)의 일단부로 조성된 열매체 겔용액이 주입되고 타단측으로는 공기배출하는 에어벤트가 되고 충진이 완료되면 양단부 주입배출구에 밀폐켑을 체결하여 열매체 겔용액 주입 조립은 누수없이 완전 밀봉처리 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밀폐부재 소재재질은 금속과 합성수지가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도가 높아 겔(gel)상태에 준하는 전해질물질을 전도성 열매체(102)로 포함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로 액상과 고상이 있는데 액상과 고체상 분말은 도체도 있고 부도체도 있다 이것을 각자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수도 있다,겔화로 조합된 조성물 액상에 고체상 분말을 배합비에 따라 온수와 온돌 개념에 난방의 발열체로 사용된다, 도전성 액상으로 나트륨이온 전해질수용액과 물,황토이온수,석회석이온수를 사용하였고, 부도체 액상은 증류수,부동액,오일을 사용하였다, 도전성 고체상 분말로는 금속분말,탄소분말,물과석회석,물과황토,물과,토르마린을 사용하고,부도체로는 비금속광물(돌,흙,세라믹)분말를 사용하였다, 위와같은 고체상 분말은 충전된 열매체가 열수축 팽창 의 압력으로 인해 호스관이 터지는 현상을 방지목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최소화하여 열팽창 흡수장치가 없어도 터지지 않게되고 무엇보다 열매체에 액상분의 자연증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열저장성이 높으며 열매체 겔용액은 액상의 증발을 억제하여 열매체 체적비를 유지할수있는것이다,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에 고체분말은 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분말이나 금속분말을 혼합하고, 증점제 또는 겔(gel)형성제를 투여함으로써 점도가 높은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를 제조한다.
피복전열선(15)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는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열매체 겔용액(20)의 내부에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며, 이 과정에서 전자파의 에너지는 급격히 소멸하므로 피복전열선(15)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도전성호스관(12)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의 내부에 침지된 어스접지선(23)이 전자파에 의해 유도된 미세전류를 접지시키는 역할을 하고.도전성호스관(12)내,외부에 전도체 코팅이나 호일을 감은 전도체에 어스접지로 유도하여 제어부(25)와 전원플러그(16)로 접지배출한다, 따라서 종래처럼 매트나 바닥 난방에 금속판이나 금속직물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전자파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파로 인해 열매체 겔용액(20)의 내부에서 유도된 미세전류는 저항성 발열을 일으키므로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를 사용하면 피복전열선(15)의 발열효율이 크게 높아지고 전기밥솥과 같은 핵비등 현상의 고효율로 에너지 절감 효과의 장점이 있다.
나트륨이온수용액은NaOH, NaCl 등의 나트륨계열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체분말은 비금속광물(돌.흙,세라믹)을 포함하여 탄소분말은 숯, 흑연, 카본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분말은 알루미늄분말, 구리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를 사용함으로써 전자파를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의 전해질수용액이나 도전성 분말의 성분은 각각 다른 종류의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증점제 또는 겔형성제는 탄소분말, 금속분말 등의 도전성 분말이 침전되지않고 도전성호스관(12)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도전성호스관(12)의 내부에서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체상태로 갈수록 열팽창계수가 낮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겔(gel) 상태 또는 겔상태에 가까운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를 사용하면 열팽창률이 크게 낮아지므로 종래처럼 온수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열팽창흡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무엇보다 겔용액과 고체분말은 자연증발을 억제하고 자연증발이 근복적으로 차단방지되는 장점이있다.
또한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은 열전도율도 높으므로 피복전열선(15)에서 발생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장점도 있다.
이 밖에도 도전성 호스관(12)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열매체 겔용액(20)에 부동액원료인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모노에틸렌글리콜(Mono Ethylene Glycol: MEG)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염료나 안료를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출효능이 뛰어난 세라믹, 토르마린, 황토, 숯, 은용액, 옻용액, 등의 분말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의 종류로 다음과 같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호스관 발열체에 사용되는 열매체 겔용액의(20)의 열매체 겔용액의 종류및 성분 배합표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열매체 겔용액의 종류 성분 배합표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호스관 발열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정 길이로 재단된 도전성호스관(12)의 내부에 도전성호스관(12)와 거의 같은 길이의 피복전열선(15)을 삽입 설치하고, 도전성호스관(12)의 양 단부에 밀폐부재(13,14)를 장착한다. 이때 결선케이블(22)과 피복전열선(15)이 조립되어 전선연결단자 절연피복(17)에 연결되어야 하고, 이를 도전성호스관(12)에 내삽되어 양단부로 전선케이블(16)이 외부에서 결선케이블(22)로 연결된다.
그리고 양단부로 전선케이블(16)이 빠져나온 부문에 밀폐부재 링팩킹(18)을 장착하고 밀폐부재 링펙킹 밀폐켑(19)을 체결하여 밀폐한다,그리고 전선케이블이 관통하는 부분에 열경화성 실리콘 접착제 등으로도 밀봉할수 있다.
이어서 양단부에 장착된 밀폐부재 관말부티이(13)부문의 밀폐부재 열매체 주입배출구 밀폐켑(21)일측으로 열매체겔용액(20)을 주입하고 타단측으로 공기을 배출하며 열매체겔용액(20)충진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 차폐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호스관(12)의 외부에 도전성 코팅(11)과 호일로 감은 도전성 호스관(12)과 금속분말과 탄소분말의 전도체 분말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출성형한 도전성호스관 (12)에 어스접지선(23)을 접지시킬수 있다. 금속층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테이프일 수도 있고, 금속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전도성호스관(12)이 금속재질이면 이러한 도전층(11)을 형성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와 달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에 금속층(10)이 형성된 도전성호스관(12)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전성호스관(12)의 내부 및 외부에 금속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전열선(15)과 전선케이블(16)은 도전성 호스관(12)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였으나, 외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는 무자계 열선 방식의 피복전열선(15)을 사용하였고, 도 1과 도 2는 코일 열선 방식의 피복전열선(15)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의 전열선을 가지는 피복전열선(15)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는 가정용 매트, 병원용 매트에 사용될 수도 있고, 침대매트리스,농용하우스난방, 주택난방용의 매립형태나 판넬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열팽창수축과 자연증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열매체를 열팽창 계수가 적고 증발 자체가 없는 고체상 물질과 동결방지및 내연물 부식방지와 열전도성이 높은 부동액원료와 물,증류수와 일정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체상 물질의 분말이 침하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되고 미끄럼성이 좋아 고점도에도 도전성 호스관에 충전시 주입이 용이하고 겔화 조성물은 액상에서도 자연증발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언젠가 액상 조성물이 증발되더라고 고체상의 물질은 영구히 남아서 충전되어 있으므로 난방을 하는데 기존의 문제점과 같은 온수관이 녹거나 타는 일이없고 액체상의 열팽창계수보다 고체상의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열팽창에 의한 온수관의 파손으로 터지지 않는 것이다, 그비율은 액상과 고상의 적용 비율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최소한 고상이 30%이상 이면 기존에 이러한 문제점을 완전 해소될수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도전성내부코일 11: 도전성외부코팅
12: 도전성호스관 13: 밀폐부재 관말부티이
14: 밀폐부재 호스켑 15: 피복전열선
16: 전선케이블 17: 전선연결단자 절연피복
18: 밀폐부재 링팩킹 19: 밀폐부재 링펙킹 밀폐켑
20: 열매체겔용액 21: 밀폐부재 열매체 주입배출구 밀폐켑
22: 결선케이블 23: 어스접지선
24: 온도센서 25: 제어부(온도조절기)
26: 전원플러그

Claims (3)

  1. 일반적인 부도체 소재의 합성수지나 비금속 소재로 된 호스관과,
    호스관 내,외부에 도전성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이나 탄소호일을 감거나 전도성 도료를 코팅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금속분말이나 탄소분말을 포함한 전도성 고체분말을 일정치 전기 저항값을 갖도록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 성형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탄소분말,금속분말,비금속광물(돌)분말을 일정비 혼합하거나 각각으로 호스관 내부에 충전하며 압출 성형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호스관 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여 압출 성형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금속 파이프를 포함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1선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합성수지 절연피복에 시이즈 전열선과,
    무자계 필라멘트로 구성된 합성수지 절연피복에 시이즈 전열선에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와,
    도전성 호스관 양단 관말부 밀폐장치로
    금속,비금속과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호스관 밀폐부재의 리쁠TEE를 전도성 호스관에 일자로 내삽된 발열선 양단말부 각각에 리쁠TEE를 끼워 나사로 결속하고 양단에 일직선으로 배출된 전열선 부위의 밀폐는 전열선에 결속된 합성수지나,고무재질의 링패킹을 삽입하여 나사켑으로 체결하고 양단에 남은 TEE의 관구로 일측에서 조성된 열매체 겔용액을 실린더 압축펌프로 주입하며 다른 일측에서 에어를 배출하며 완충하고 밀폐된 나사켑을 체결 밀폐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호스관 내,외부에 도전성 코팅제와 호스관내부에 충진된 전도성 고체 분말,나트륨이온전해질수용액 열매체에 어스선를 접지하여 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유도 차단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와,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를 전기저항감응식 단파식 제어장치와,
    온도감지식 양파식 온도제어 장치로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도체분말 겔용액 조성물로
    물과 증류수와 부동액원료 (PG:PropyleneGlycol/ EG:ethylene glycol/ MEG:Mono Ethylene Glycol)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침전방지및 미끄럼성 조성물 MC,CMC,QP,젤라틴,전분,등의 겔조성 증점재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액상물에 탄소분말과 금속분말, 전도체 고상분말을 혼합한 도체분말 수용액을 액상물과 최적비율로 혼합교반하고 발생된 거품제거 소포재와 고상분말 분산제,수분증발방지 습윤제와 방부제를 적정비율로 첨가한 겔용액 조성물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부도체분말 겔용액 조성물로
    증류수와부동액원료(PG:PropyleneGlycol/ EG:ethylene glycol/ MEG:Mono Ethylene Glycol)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침전방지및 미끄럼성 조성물 MC,CMC,QP,젤라틴,PVA,PVP,전분,녹말,아교,등의 겔조성 증점재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액상물에 부도체 비금속광물(돌)의 고상분말을 혼합한 부도체분말 수용액을 액상물과 최적비율로 혼합교반하고 발생된 거품제거 소포재와 고상분말 분산제,수분증발방지 습윤제와 방부제를 적정비로 첨가된 겔용액조성물 도전성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고체분말 열매체 조성물로
    물,증류수와,부동액,(PG:PropyleneGlycol/ EG:ethylene glycol/ MEG:Mono Ethylene Glycol)MC,CMC,QP,젤라틴,PVA,PVP,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침전방지및미끄럼성조성물MC,CMC,QP,젤라틴,PVA,PVP,전분,녹말, 아교,등의 겔조성 증점재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액상물10%에 탄소분말,금속분말,비금속광물(돌)분말90% 혼합한 고체분말과 수용액을 액상물과 ±20~40% 범위에서 혼합 교반하고 발생된 거품제거 소포재와 고상분말 분산제, 수분증발방지 습윤제와 방부제를 적정비로 첨가된 고점도 겔용액 조성물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전해질 겔용액 조성물로
    나트륨이온 전해질 수용액으로 물과 증류수와 부동액원료(PG:PropyleneGlycol/ EG:ethylene glycol/ MEG:Mono Ethylene Glycol)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침전방지및 미끄럼성 조성물 MC,CMC,QP,젤라틴,PVA,PVP,전분,녹말,아교,등의 겔조성 증점재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액상물에 전도체 탄소분말,금속분말과 부도체 비금속광물(돌)의 고상분말을 각각에 첨가나 혼합 첨가한 나트륨이온 전해질 수용액을 액상물에 최적비율로 혼합교반하고 발생된 거품제거 소포재와 고상분말 분산제,수분증발방지 습윤제와 방부제를 적정비로 첨가된 겔용액 조성물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열매체유 겔용액 조성물로
    오일 유용액에 침전방지및 미끄럼성 조성물 MC,CMC,QP,젤라틴,PVA,PVP,전분,녹말,아교,등을 물에 분산한 겔조성 증점재을 열매체유와 유화재를 적정비율 혼합하여 교반한 액상물에 전도체의 탄소분말,금속분말과 부도체의 비금속광물(돌)의 고상분말중 각각에 첨가나 혼합 첨가한 열매체유 오일유용액을 액상물에 최적비율로 혼합교반하고 발생된 거품제거 소포재와 고상분말 분산제,유분증발방지 습윤제와 방부제를 적정비로 겔용액 조성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
  3. 제1항과 2항에 있어서,
    매트용 시공 시스템은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삽입홈이 가공된 단열시트에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를 장착하고 삽입홈에 장착된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가 이탈방지토록 홈에 시트태이프를 부착하고 온도센서를 도전성호스관 발열체에 1-2개 이상 부착고정한 양파식 제어기 조절장치나 무자계 열선및 감응열선의 전기저항감응식 제어기 조절장치로 운전하고 전자파 유도 차폐장치는 전도성을 갖도록 조성된 겔용액 열매체에 침지하거나 도전성호스관발열체에 접지한 어스선을 제어기 온도조절기를 통해 전원플러그로 접지한 매트,매트리스,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과,
    난방용 시공 시스템은
    건축콘크리트 바닥면 하지면에 방수프라이머를 도포후 그위에 적정두께로 단열층의기포몰타르,스치로폼,우레탄보드,우레탄몰타르,은박단열시트,보온덥개시트,등의 단열차음재을 깔고 그위에 섬유및 금속와이어매시를 깔고(스치로폼,은박단열시트,보온덥개시트/해당) 도전성호스관 발열체 홈이 가공된 우레탄보드,그위에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를 끼워넣거나 일정간격 유지하여 바닥에 설치후 고정반도(스치로폼,은박단열시트,보온덥개시트/해당) 체결이나 U핀으로 도전성호스관 발열체를 바닥에 고정한후 방통시멘트나 황토보드, 황토몰타르로 적정두께 상도 시공후 장판이나 마루로 마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KR1020110068849A 2011-07-12 2011-07-12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KR20130008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849A KR20130008237A (ko) 2011-07-12 2011-07-12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849A KR20130008237A (ko) 2011-07-12 2011-07-12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237A true KR20130008237A (ko) 2013-01-22

Family

ID=4783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849A KR20130008237A (ko) 2011-07-12 2011-07-12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2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2463A1 (zh) * 2017-09-30 2019-04-04 深圳喆能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供暖系统
KR101973476B1 (ko) * 2018-02-09 2019-04-29 최창선 겔형태의 발열재가 내장된 엑셀파이프를 이용한 난방구조
KR20190131404A (ko) * 2018-05-16 2019-11-26 임한복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2463A1 (zh) * 2017-09-30 2019-04-04 深圳喆能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供暖系统
KR101973476B1 (ko) * 2018-02-09 2019-04-29 최창선 겔형태의 발열재가 내장된 엑셀파이프를 이용한 난방구조
KR20190131404A (ko) * 2018-05-16 2019-11-26 임한복 복사 난방 시스템을 위한 전기 난방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조립체
US10849194B2 (en) 2018-05-16 2020-11-24 Hanbok LIM Electric heating devi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or radiant he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8237A (ko) 도전성 호스관 발열체, 이에 따른 열매체 겔용액 조성물과 시공시스템
KR101622953B1 (ko) 발열케이블
CN107068280A (zh) 线缆
CN204593553U (zh) 地板辐射采暖系统
CN206709363U (zh) 一种新型新能源汽车液体加热器
CN103415096A (zh) 湿法采暖电缆安装结构
KR20130074890A (ko) 도전성호스관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축열탱크보일러 냉온수통
CN2869646Y (zh) 电热地膜供暖设施
KR100990356B1 (ko) 히팅파이프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CN1874619A (zh) 电热地膜
KR20120112963A (ko) 전도성 열매체를 이용한 호스관 발열체
KR20120116724A (ko) 온열담요
CN205283836U (zh) 一种发热体接线端子结构
KR20060076255A (ko) 전기패널을 이용한 난방 장치
CN102833894A (zh) 一种通过厚膜加热的铝合金加热管
CN206280656U (zh) 封口塞及电器
KR20150117245A (ko) 발열케이블
CN210469762U (zh) 一种防水石墨烯加热板
CN209676512U (zh) 一种具有改进的铲片的ptc加热器
CN106658788A (zh) 一种高电压蓄热加热管
CN207283850U (zh) 一种防火防水防爆高性能发热电缆
CN2872781Y (zh) 电热地膜
CN107591239A (zh) 无线充电装置和具有其的电动交通设备
KR100807261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판상형 난방기구
KR101570414B1 (ko) 절연 피복된 스텐 주름관 난방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