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56B1 -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56B1
KR102537456B1 KR1020230004878A KR20230004878A KR102537456B1 KR 102537456 B1 KR102537456 B1 KR 102537456B1 KR 1020230004878 A KR1020230004878 A KR 1020230004878A KR 20230004878 A KR20230004878 A KR 20230004878A KR 102537456 B1 KR102537456 B1 KR 10253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s
notification
distribution lines
housing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0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들을 접속하고 배전선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축 거동 또는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한 거동을 확인하여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는, 제1,2배전선(1,2)의 제1,2도선부의 둘레부를 감싸 상기 제1,2도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구(10)와; 상기 제1,2배전선의 접속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20,30)과; 상기 접속구를 감싸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상기 제1,2소켓을 덮는 하우징(30)과; 단부가 상기 제1,2소켓에 각각 제1핀(51,6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제1핀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이 제2핀(52.62)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알림핀(50,60)을 포함하여, 상기 제1,2배전선의 거동 시 상기 제1,2알림핀이 양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2배전선의 거동 방향을 알려준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Connection connection device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들을 접속하고 배전선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축 거동(이동) 또는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한 거동(이동)을 확인하여 알려주는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배전선로는 변전소로부터 변압된 전기를 수용가로 인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가까지의 거리가 멀고 넓게 수용가들이 퍼져 전기를 인입해야 하기 때문에 긴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데, 배전선로를 연장하기 위해 접속 연결장치를 통해 배전 케이블을 서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171998호는 전선의 피복제가 제거된 심선을 전기적으로 되게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피복제를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피복제의 외측 둘레면에 긴밀히 고정되게 중앙부에는 경사부로 이루어진 끼움공이 형성된 걸림링; 상기 전선이 삽입되게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단 내측에는 너트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삽입된 전선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상기 심선의 외측 둘레면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가압핀이 가압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 설치된 접촉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탄력 설치되어 걸림링을 외부로 탄력 지지하는 내부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가 형성된 회전커버; 및 상기 걸림링과 걸림턱의 사이 및 걸림링과 회전커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외부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며, 배전선로의 이동(이동 방향과 이동 정도)을 알려주지는 못하고 따라서, 온도 등으로 인한 배전선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고 이를 빅데이터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1719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선들을 접속하고 배전선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축 거동 또는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한 거동을 확인하여 알려주는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는, 제1,2배전선의 제1,2도선부의 둘레부를 감싸 상기 제1,2도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구와; 상기 제1,2배전선의 접속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과; 상기 접속구를 감싸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상기 제1,2소켓을 덮는 하우징과; 단부가 상기 제1,2소켓에 각각 제1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제1핀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이 제2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변형 제1,2알림핀을 포함하여, 상기 제1,2배전선의 신축 시 상기 제1,2알림핀이 양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2배전선의 거동 방향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에 의하면, 배전선들을 접속하고 배전선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축 거동 또는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한 거동을 확인하여 알려줌으로써 온도 등으로 인한 배전선의 거동을 빅데이터로 구축하여 배전계통의 관리에 도움을 주며, 안전한 배전계통을 통해 정상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3은 제1,2배전선의 신장 시이고,
도 4는 제1,2배전선의 수축 시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는, 제1,2배전선(1,2)의 제1,2도선부(1-1,2-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구(10), 제1,2배전선(1,2)의 접속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20,30), 내부에 제1,2소켓(20,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40), 제1,2소켓(20,30)에 장착되며 제1,2배전선(1,2)의 신축을 알려주는 제1,2알림핀(50,60)을 포함한다.
접속구(10)는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관통되는 관형으로 양쪽에서 제1,2도선부(1-1,2-1)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제1,2도선부(1-1,2-1)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내부가 도통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제1,2도선부(1-1,2-1)의 양방향 이동을 위하여 슬립이 가능한 길이와 내경이고, 내주면에는 안쪽을 향해 돌출되어 제1,2도선부(1-1,2-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11)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2소켓(20,30)은 각각 제1,2배전선(1,2)의 제1,2피복부(1-2,2-2)의 둘레부를 감싸는 원형링의 구조이고, 제1,2배전선(1,2)의 이동을 제1,2알림핀(50,60)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1,2배전선(1,2)에 고정되어야 하고, 클램핑, 볼팅, 테이핑 등이 가능하다. 제1,2소켓(20,30)은 고정 전에는 제1,2배전선(1,2)에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1,2알림핀(50,60)의 위치를 자유롭게 맞출 수 있다.
제1,2소켓(20,30)의 단부에는 외부에서 이물질(빗물, 먼지 등)이 접속구(10)쪽으로 침투하는 막기 위하여 방수테이핑이 감길 수 있다.
하우징(40)은 접속구(10) 및 제1,2소켓(20,30)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으로 제1,2배전선(1,2)이 배선되는 관형의 구조이며, 제1,2알림핀(50,60)의 삽입과 회동을 위하여 길이방향의 양쪽에는 각각 제1,2안내홈(41,42)이 형성된다.
제1,2안내홈(41,42)은 제1,2알림핀(50,60)의 삽입과 함께 제1,2알림핀(50,60)의 회동이 가능한 여유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하우징(40)의 양쪽 끝쪽에서부터 안쪽을 향해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조이다.
또한, 하우징(40)은 제1,2알림핀(50,60)의 동작을 위하여 제1,2알림핀(50,6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보스(43,44)가 포함된다.
이 때, 제1,2보스(43,44)가 고정형인 경우 제1,2배전선(1,2)의 접속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1,2알림핀(50,60)을 동일한 정위치(진북 방향)를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보스(43)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보스(44)를 통해 제2알림핀(60)을 정위치로 하고, 제1보스(43)를 이동시키면서 제1알림핀(50)을 정위치로 한다. 제1보스(43)의 이동 구조는 예를 들어, 하우징(40)의 제1안내홈(41)에 제1보스(43)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보스 레일(41a)을 형성하고 제1보스(43)의 좌우 양쪽 날개를 보스 레일(41a)에 슬라이딩시키며 볼트형의 조임구(41b)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제1보스(43)는 제1알림핀(50)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2개로 분할 구성된다.
보스 레일(41a)과 제1보스(43)의 날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제1보스(43)가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를 위하여 경사부를 갖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40)의 제1,2안내홈(41,42)을 따라 삽입된 제1,2알림핀(50,6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1,2보호커버(45,46)가 포함된다.
제1,2보호커버(45,46)는 예를 들어 대략 반원형이며 제1,2안내홈(41,42)의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세워져 그 사이에 제1,2알림핀(50,60)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1,2보호커버(45,46) 아래에 있는 제1,2안내홈(41,42)을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2보호커버(45,46)는 상부가 덮개로 폐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단, 상기 덮개는 제1,2알림핀(50,60)을 제1,2안내홈(41,42) 안에 삽입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개폐식이나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2보호커버(45,46)는 제1,2알림핀(50,60)의 회동 각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표면에 각도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각도는 원거리에서 카메라의 촬영으로 확인될 수 있는 형식이 가능하고, 또는 제1,2알림핀(50,60)을 감지하여 통제실의 서버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 형식도 가능하고, 센서 형식의 경우 제1,2보호커버(45,46)에는 일정 각도별로 다수개의 각도센서가 설치되며 이 중에서 제1,2알림핀(50,60)을 감지하는 각도센서만 신호를 발생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한편, 제1보스(43)가 이동형이기 때문에 제1보호커버(45)는 제1보스(43)의 위치에 맞도록 이동하는 이동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제1보호커버(45)와 일체형인 것도 가능하다. 이동형의 제1보호커버(45)는 제1보스(43)처럼 제1,2안내홈(4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볼트형의 조임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2보스(44)는 제2보호커버(4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접속구(10)와 제1,2소켓(20,30) 등의 조립을 위하여 2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도 1은 상하 2개의 부재가 슬라이딩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일 뿐이고, 2개의 부재는 볼팅 조립 등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다.
하우징(40)은 제1,2배전선(1,2)의 신축 거동 시 움직임을 일으키지 않도록 접속구(1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제1,2알림핀(50,60)이 없는 다른 곳에서 나사 체결되어 접속구(10)의 외주면에 지지 또는 접속구(10)의 외주면에 있는 홈이 삽입 결합되는 볼트(47)를 통해 연결된다.
제1,2알림핀(50,60)은 단부가 제1핀(51,61)을 통해 제1,2소켓(20,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이 제2핀(52,62)을 통해 하우징(40)의 제1,2보스(43,4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배전선(1,2)의 이동 시 제1,2소켓(20,30)의 동일한 이동을 통해 회동하면서 위치를 변화시켜 외부에 알려준다.
이 때, 제1,2핀(51,61)(52,62) 중 어느 하나는 장공에 연결될 수 있고, 도면은 제2핀(52,62)이 연결되는 제1,2알림핀(50,60)에 장공(53,63)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물론, 제1,2핀(51,61)(52,62)은 제1,2알림핀(50,60)의 파손과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다면 큰 원형구멍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알림핀(50,60)은 제1핀(51,61)을 통해 제1,2소켓(20,30)에 연결되어 있고, 접속구(10)로 연결된 후 하우징(40)에 삽입된 후 제2핀(52,62)을 통해 하우징(40)에 연결된다.
제1,2알림핀(50,60)은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초기 위치를 진북방향(12시 방향)을 유지하도록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평상 시(도 2 참고).
제1,2배전선(1,2)의 제1,2도선부(1-1,2-1)를 접속구(10)의 양쪽에서 삽입 결합한다.
제1,2배전선(1,2)의 제1,2피복부(1-2,2-2)의 둘레부에 제1,2소켓(20,30)을 조립한 후, 제1,2배전선(1,2)을 하우징(40)의 양쪽에서 삽입하며, 이 때, 제1,2알림핀(50,60)을 하우징(40)의 제1,2안내홈(41,42) 안에 삽입하여 이동시킨다. 제2알림핀(60)의 제2핀(62)을 하우징(40)의 제2보스(44)에 끼워 제2알림핀(60)을 셋팅한다. 제2알림핀(60)의 초기 상태는 상부를 향하는 상태이다.
제1알림핀(50)을 제1보스(43)에 끼우고, 제1알림핀(50)이 제2알림핀(60)과 동일한 초기 위치로 셋팅되도록 제1보스(43)를 이동시킨 후, 제1보스(43)를 고정한다.
따라서, 제1,2알림핀(50,60)은 제1,2배전선(1,2)의 접속 상태를 알려주며, 제1,2보호커버(45,46) 안에서 보호되어 외부요인으로 인한 위치 변경을 일으키지 않는다.
2. 제1,2배전선 신장 시(도 3 참고).
제1,2배전선(1,2)이 늘어나거나 이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2알림핀(50,60)은 제1핀(51,61)을 통해 제1,2소켓(20,30)과 함께 제1,2배전선(1,2)과 동일한 방향(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제2핀(52,62)을 통해 회동하게 된다. 제1알림핀(50)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2알림핀(60)은 시계 방향이다.
제1,2알림핀(50,60)은 제1,2보호커버(45,46)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제1,2알림핀(50,60)의 각도를 통해 제1,2배전선(1,2)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즉, 제1알림핀(50)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2알림핀(60)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것만으로도 제1,2배전선(1,2)의 이동 방향을 알려줄 수 있고, 제1,2알림핀(50,60)의 각도를 통해 제1,2배전선(1,2)의 이동 거리를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3. 제1,2배전선 수축 시(도 4 참고).
제1,2배전선(1,2)이 줄어들거나 이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2알림핀(50,60)은 제1핀(51,61)을 통해 제1,2소켓(20,30)과 함께 제1,2배전선(1,2)과 동일한 방향(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제2핀(52,62)을 통해 회동하게 된다. 제1알림핀(50)은 시계 방향이고, 제2알림핀(60)은 반시계 방향이다.
외부에서 제1,2알림핀(50,60)의 각도를 확인한 후 제1,2배전선(1,2)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알림핀(50,60)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배전선(1,2)의 이동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제1,2보호커버(45,46)의 양쪽으로 제1,2알림핀(50,60)의 회동 궤적의 양쪽 끝에는 리미트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제1,2배전선(1,2)의 이동으로 제1,2알림핀(50,60)이 어느 하나의 리미트 센서를 작동시키면 리미트 센서의 신호를 통제실의 서버나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관리자는 제1,2배전선(1,2)의 이동 상태의 확인으로 신속한 보수를 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센서는 제1,2배전선(1,2)이 서로 탈락되는 것을 미리 알려주기 위하여 한쪽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1,2 : 제1,2배전선,
10 : 접속구, 20,30 : 제1,2소켓
40 : 하우징, 41,42 : 제1,2안내홈
43,44 : 제1,2보스, 45,46 : 제1,2보호커버
50,60 : 제1,2알림핀, 51,61 : 제1핀
52,62 : 제2핀, 53,63 : 장공

Claims (4)

  1. 제1,2배전선(1,2)의 제1,2도선부의 둘레부를 감싸 상기 제1,2도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구(10)와;
    상기 제1,2배전선의 접속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소켓(20,30)과;
    상기 접속구를 감싸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상기 제1,2소켓을 덮는 관형이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에는 끝쪽에서부터 안쪽을 향해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조의 제1,2안내홈(41,42)이 형성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의 제1,2안내홈에 삽입되면서 단부가 상기 제1,2소켓에 각각 제1핀(51,6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제1핀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이 제2핀(52,62)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2배전선의 양방향의 이동 시 양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2배전선의 이동 방향을 알려주는 제1,2알림핀(50,6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2알림핀의 제2핀이 연결되는 제1,2보스(43,44) 및 반원형이며 상기 제1,2안내홈의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세워져 그 사이에 제1,2알림핀(50,6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2알림핀의 좌우 양쪽을 감싸 보호하면서 각도를 표시하는 제1,2보호커버(45,46)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제1안내홈(41)에 상기 제1보스(43)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보스 레일(41a)을 형성하고 제1보스(43)의 좌우 양쪽 날개를 상기 보스 레일에 슬라이딩시키며 볼트형의 조임구(41b)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보스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2핀을 동일한 초기 위치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보호커버의 일측 또는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2알림핀에 의해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제1,2배전선의 이동을 알려주는 리미트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KR1020230004878A 2023-01-12 2023-01-12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KR10253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878A KR102537456B1 (ko) 2023-01-12 2023-01-12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878A KR102537456B1 (ko) 2023-01-12 2023-01-12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456B1 true KR102537456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878A KR102537456B1 (ko) 2023-01-12 2023-01-12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2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98381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KR102171998B1 (ko) 2020-06-16 2020-10-30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2435050B1 (ko) * 2021-09-08 2022-08-23 주식회사 대덕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2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98381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KR102171998B1 (ko) 2020-06-16 2020-10-30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2435050B1 (ko) * 2021-09-08 2022-08-23 주식회사 대덕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9015A (en) Electrical cable with a bend retaining jacket capable of conforming to a substantial installation curve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20190065301A (ko)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063537B2 (en) Rotat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securing such assemblies
CN107004996B (zh) 电线端子组件和适配器套件
CN101849330A (zh) 电连接器装置
CN103997003A (zh) 用于母线槽的分流装置
JP7033745B2 (ja) 配電システム
CA2679439A1 (en) Surge arrester having a varistor arrangement, and varistor module for use in a surge arrester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KR102537456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 장치
KR102238913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의 온도센서 인식방법
US9960541B2 (en) Subsea connector
CN104981946A (zh) 具有电连接装置的电组件
JP2015014597A (ja) 基準尺を走査する走査ユニットと位置測定装置
BRPI0610608A2 (pt) sistema de corpos de isolamento, concebido por duas ou mais peças, para a realização de guarnições de cabos de média voltagem
US9935413B1 (en) Hinge pin with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a cylindrical pin body
KR102171998B1 (ko) 가공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200394084Y1 (ko)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JP2011234427A (ja) 電気接続箱
US5371322A (en) Antenna wire coupling
KR101149579B1 (ko)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프레임
US7067740B1 (en) Conversion kit for a remote monitoring system transmitter
BRPI0609941A2 (pt) acoplador indutivo para comunicações de linha de energia tendo um elemento para manter uma conexão elét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