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301A -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301A
KR20190065301A KR1020197011042A KR20197011042A KR20190065301A KR 20190065301 A KR20190065301 A KR 20190065301A KR 1020197011042 A KR1020197011042 A KR 1020197011042A KR 20197011042 A KR20197011042 A KR 20197011042A KR 20190065301 A KR20190065301 A KR 20190065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nd
cable
adjustable
coil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316B1 (ko
Inventor
알렌 토드 깁슨
Original Assignee
케이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케이프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6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7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58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onstricting the conductor-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글랜드(100) 및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 유형에서의 접지, 접합 및 전자기 성능을 위한 방법. 케이블 글랜드(100)는 케이블 글랜드(100)에 삽입된 케이블 둘레에 고정되는 케이블 글랜드(100)의 글랜드 본체(40)에서 내부에 배열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포함한다. 완전히 코일링될 때,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이완되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확대됨에 따라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케이블 글랜드(100) 내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된 접지 스트랩(1620)은 그라운딩 성능을 케이블 글랜드(100)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외장 또는 금속 클래드 케이블과의 접지, 접합 및 전자기 성능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케이블 글랜드)(CABLE CONNECTOR (CABLE GLAND) FOR EARTHING, BONDING & ELECTROMAGNETIC CAPABILITY WITH ARMORED OR METAL CLAD CABLES)"인 2016년 10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09,72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 및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커넥터로도 지칭되는 케이블 글랜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 유형과의 접지, 접합 및 전자기 성능을 위한 케이블 글랜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프로젝트 설계 및 설비는 고정식 강성-도관 유형 설비를 대체하기 위해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을 사용한다. 도관 시스템은 역사적으로 케이블에 기계적 및 환경적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금속 도관 시스템은 전기 단락 고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접지되거나 접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많은 상이한 접지 및 접합 제품이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은 이러한 강성-도관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개별 케이블 전도체를 수용하는 가요성 금속 재킷을 제공하여 전통적인 강성 도관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기계적 및 환경적 보호를 제공한다.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은 또한 정션 박스 또는 단자함과 같은 전기 인클로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지점에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에 연결되어야 한다. 케이블 글랜드 또는 케이블 커넥터로 공지된 이 장치의 일반적인 목적은 1) 비 및 먼지와 같은 환경 요소로부터 케이블 및 인클로저를 보호하는 것, 2) 케이블 유지를 통해 변형 경감을 제공하는 것, 3) 잠재적인 단락 고장에 대한 보호로서 접지 또는 접합을 제공하는 것 및 4) 동작하는 장비에서의 전자기 간섭 또는 심지어 물리적 손상 같은 원치 않는 영향을 야기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예를 들어, 간섭 완화)을 포함하는 전자기 성능(EMC)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락 고장에 대한 이러한 보호를 제공하고 EMC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 케이블 글랜드만 이러한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이 분야에는 비금속 구성요소 사용에 대한 저항이 있다. 따라서, 금속 케이블 글랜드를 사용하는 높은 가격, 무거운 중량 및 설비 요건의 곤란성이 구매자에게 남겨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케이블 글랜드가 제공되며, 이는: 와셔 실런트; 제2 와셔; 제1 와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 외부 하우징; 글랜드 본체를 포함하고; 글랜드 본체는 글랜드 본체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 외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은, 글랜드 본체에 연결되고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회전되고 나면, 테이퍼진 영역을 압축하여 케이블 글랜드에 삽입된 케이블 둘레로 밀봉 커넥터가 조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글랜드는 환경적 밀봉의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종단 지점(들)에 대한 케이블 전도체의 지속적 연결에 중요한 케이블 유지 및 변형 경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글랜드 본체, 외부 하우징, 하나 이상의 와셔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로 구성되는 비금속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끼워진 케이블을 그라운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 글랜드의 일 단부에 삽입하여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일체형 탭이 케이블 글랜드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하는 단계; 케이블 글랜드의 각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 개구를 개방시키는 단계;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원주까지 확대시키는 단계; 케이블 글랜드의 제1 개구를 통해,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그리고 케이블 글랜드의 제2 개구 외부로 케이블을 삽입하는 단계;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삽입된 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케이블 수용 개구를 케이블 상의 제 위치에 케이블 글랜드를 보유 및 고정하기에 충분히 긴밀하게 조이는 단계; 케이블 주위에, 그러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과 연결될 영역에서 케이블의 외장, 금속-클래딩 또는 금속-외피와 케이블의 개별 전도체 사이에, 단락방지 부싱을 삽입하는 단계; 그라운딩을 위해 노출된 케이블 상의 영역에서 케이블 둘레에 조여지도록 케이블 글랜드 내부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수축시키는 단계;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일체형 탭을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케이블 글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그라운딩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개선된 접지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크기비보다는 명료성에 중점을 둔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비제한적으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케이블 글랜드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케이블 글랜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와셔 조합체, 즉 와셔 실런트 및 제2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와셔 조합체, 즉 와셔 실런트 및 제2 와셔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랜드 본체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하우징의 조감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와이어가 관통 연장하는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접지 인서트 클램프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8c는 접지 인서트 클램프가 삽입되는 글랜드 본체와 인서트 클램프가 연결되는 글랜드 본체의 홈의 근접도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의 2개의 사시도이다.
도 9c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글랜드에 삽입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와 케이블 글랜드를 관통 연장하는 케이블 와이어를 갖는 케이블 글랜드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대안적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상태의 케이블 글랜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의 측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랜드 본체 및 케이블 글랜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의 글랜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하중 스프링, 접지 스트랩 및 일체형 탭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하중 스프링과 함께 사용되는 케이블 글랜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및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산업계에서 케이블 커넥터로도 지칭되는 케이블 글랜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외장형, 금속-클래드 및 금속-외피형 케이블 유형과의 접지, 접합 및 전자기 성능을 위한 케이블 글랜드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글랜드(100)는 글랜드 본체(40), 글랜드 본체(40)의 테이퍼진 단부(460)에서 외부에 배열된 외부 하우징(50), 글랜드 본체(40)의 외부에 배열된 제1 와셔(30), 글랜드 본체(40)의 외부에 배열된 제2 와셔(20), 글랜드 본체(40)의 외부에 배열된 와셔 실런트(10) 및 글랜드 본체(40)의 내부에 배열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포함한다. 글랜드 본체(40)는 글랜드 본체(40)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2 세트의 나사부(440) 및 글랜드 본체(40)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된 제1 세트의 나사부(460)를 포함한다. 글랜드 본체(40)는 외부 하우징(50)과 상호 작용하는 제1 세트의 나사부에 인접한 테이퍼진 영역(480)을 더 포함한다(도 1b 및 도 1b 참조). 도 4c는 글랜드 본체(40)의 테이퍼진 영역(480)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482)를 도시한다. 글랜드 본체(40)는 또한 글랜드 본체(40)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46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메커니즘(420)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는 글랜드 본체(40)의 내부 주변 둘레에 하나 이상의 홈 또는 노치(442)를 더 포함한다(도 4d 참조). 일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의 내부 주변 둘레의 홈 또는 노치(442)는 상이한 형상, 깊이 및 폭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는 글랜드 본체(40)의 내부 원주 둘레를 감싸는 얇은 레지 또는 선반(446)을 더 포함한다. 도 5는 글랜드 본체(40)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하우징(50)을 도시한다. 외부 하우징(50)의 내부는 나사부(510)로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5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100)는 단락방지 부싱(700)을 더 포함한다(도 8 참조).
도 6a는 이완된 코일링된 형태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도시하고, 도 6c는 확대된 형태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도시한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평탄하고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 단편이며, 각각의 코일은 이전 코일 위에 놓여져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한다.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의 넓은 단부(640)는 코일의 내부 층을 형성하는 한편,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의 좁은 단부(650)는 코일의 외부 층을 형성한다. 미소한 굴곡부(620)가 코일의 단부에 형성되고 코일이 컬링되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고, 일체형 탭(610)이 연결 지점(630)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된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에 의해 케이블 글랜드(100)에서 제 위치에 보유된다(도 2 참조).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는 작은 얇은 개구(220)를 제외하고 와셔 사이에 공간을 남기지 않고 제2 와셔(20)의 평탄한 측면에 접한 와셔 실런트(10)의 평탄한 측면을 포함한다. 작은 얇은 개구(220)는 2개의 와셔의 원주의 일부이고, 제2 와셔(20)와 와셔 실런트(10)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2개의 접하는 와셔 사이에서, 두 와셔의 외부 주변으로부터 두 와셔의 내부 주변을 통해 그리고 그 내부로 천공된다. 대안 실시예에서,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는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미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1010)은 원형의 재료의 중심을 통과하여 절단되고 추출됨으로써 별 형상 구멍을 형성하는, 별 형상 구멍(1020)뿐만 아니라 그에 부착된 일체형 탭(1030)을 갖는 평탄한 원형 재료이다(도 10a 내지 도 10e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1100)은 개방 단부를 갖는 짧은 실린더이며, 실린더의 일 단부는 어떠한 절단부도 없는 실린더의 반대쪽 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단부를 가져서 다수의 플랩(1250)을 형성하고, 하나를 제외한 각각의 플랩은 절단부가 형성되는 실린더의 단부의 개방부를 향해 약 45도 절첩된다(도 11 참조).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에서 개방부를 향해 절첩되지 않은 하나의 플랩(1200)은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의 개방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대략 90도 외향 절첩되어, 일체형 탭(1200)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를 제외한 각각의 플랩은 약 35 내지 55도 범위에서 절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플랩은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에서 개방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약 80-100도 외향 절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가 케이블 글랜드(108)에 사용된다(도 8a 내지 도 8c 참조). 케이블 글랜드(108)는 와셔(30), 외부 하우징(50),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 글랜드 본체(40) 및 단락방지 부싱(7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108)는 글랜드 본체(40) 상의 해제 메커니즘(420)(도 4c 참조) 및 외부 하우징(50) 상의 해제 메커니즘(520)(도 5a 참조)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는 정하중 스프링(860)으로 구성되며, 정하중 스프링은 케이블 클램프 인서트의 내부 주변을 따라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평탄한 직사각형 재료 단편으로 더 구성되고, 각각의 코일은 이전 코일 둘레로 감겨져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하중 스프링(860)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의 케이블 클램프 인서트에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하중 스프링(860)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의 케이블 클램프 인서트의 홈 또는 개방부에 끼워져 제 위치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 탭(810)은 연결 지점에서 정하중 스프링(86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체형 탭(810)은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 지점을 통해 연결 지점에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일체형 탭(81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정하중 스프링(860)에 부착된다(도 16 참조).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의 제1 단부는 연결 지점에서 일체형 탭(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의 제1 단부는 연결 지점에서 정하중 스프링(86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을 통해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접지 브레이드 또는 접지 케이블이고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락방지 부싱(700)은 또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에 부착된다. 단락방지 부싱(700)은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끼워진 케이블과 접촉하는 정하중 스프링(860)의 에지 원주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가 케이블 글랜드(109)에 사용된다(도 9a 내지 도 9e 참조). 케이블 글랜드(109)는 와셔(30), 외부 하우징(50),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 글랜드 본체(40) 및 단락방지 부싱(7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109)는 글랜드 본체(40) 상의 해제 메커니즘(420)(도 4c 참조) 및 외부 하우징(50) 상의 해제 메커니즘(520)(도 5a 참조)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는 조절 가능한 케이블 인서트 클램프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는 연결 지점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에 부착된 일체형 탭(91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체형 탭(910)은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 지점을 통해 연결 지점에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 탭(910)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770)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760)의 제1 단부는 연결 지점에서 일체형 탭(910)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760)의 제1 단부는 연결 지점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은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을 통해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브레이드 또는 접지 케이블이며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락방지 부싱(700)은 또한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끼워지는 케이블과 접촉하게 되는 클램프(900)의 에지 원주까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900)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100)는 글랜드 본체(40)의 테이퍼진 영역(480)에 외부 하우징(50)을 연결하고 글랜드 본체(40)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460) 둘레로 외부 하우징(50)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외부 하우징(50)은 글랜드 본체의 테이퍼진 영역(480)을 압축하여 글랜드 본체 내부의 밀봉 커넥터 글랜드(482)가 케이블 둘레로 조여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 상의 해제 메커니즘(420)은 스프링 버튼이다. 일단 외부 하우징(50)이 미리 결정된 조임도로 토크부여 되면, 외부 하우징(50)의 개구(520)는 글랜드 본체 상의 해제 메커니즘(420)과 정렬될 것이다. 스프링 버튼(420)은 외부 하우징(50) 상의 개구(520)와 상호 작용하여 눌려진 위치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변화한다. 스프링 버튼(420)은 글랜드 본체(40)에 대해 외부 하우징(50)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추가로 돕는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버튼(420)의 상승된 위치는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조여졌다는 시각적 지시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 상의 해제 메커니즘(420)은 테이퍼진 영역(480)의 하나 이상의 개구이다. 외부 하우징(50)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520)를 갖는다. 외부 하우징(50)은 글랜드 본체(40)와 상호 작용하고 미리 결정된 조임도로 토크부여되며; 외부 하우징(50)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520)는 글랜드 본체(40)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420)와 정렬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개구가 정렬될 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가 설치되어 외부 하우징(50)과 글랜드 본체(40)를 함께 제 위치에 보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는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토크부여되었다는 시각적 지시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조립이 완료되었다는 시각적 지시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고정 스크류가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으면 고정 스크류가 돌출하고, 설치자는 고정 스크류가 적절히 맞물리지 않았거나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토크부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는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토크부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다른 시각적 지시자를 제공하기 위해 나사부 상에 딥(dip) 또는 페인(pain) 버블을 가질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의 나사부는 밝은 색상으로 칠해지고, 충분히 조여지면 나사부가 더 이상 보이지 않아서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토크부여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가 충분히 조여졌다는 시각적 지시자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는 나사부의 단부에서 페인트 버블을 갖는 중공부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글랜드 본체(40)는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토크부여된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대안적인 방법을 갖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착색된 케이블 본체(1520)의 나사부(1522)의 길이(1524)가 있다. 이 착색된 길이(1524)는 케이블 글랜드(100)에 삽입된 케이블에 케이블 글랜드(100)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최소 조임도에 대응한다. 설치자는 착색된 길이(1524)를 지나치도록 외부 하우징(50)을 조일 것이다. 이는 케이블 글랜드(100)가 충분히 조여졌다는 시각적 지시자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착색된 길이는 케이블의 외부 직경에 따라 다르다.
케이블 주위로 케이블 글랜드(100)를 충분히 조인 후, 제1 와셔(30)가 글랜드 본체(4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와셔(30)는 제1 와셔(30)의 내부 원주 둘레에 나사부(330)를 갖는다. 제1 와셔(30)를 글랜드 본체(40)에 연결하기 위해, 제1 와셔(30)의 나사부(330)는 글랜드 본체(40) 상에 위치한 제2 세트의 나사부(440)와 상호 작용한다. 제1 와셔(30)가 글랜드 본체(40)에 연결된 후,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는 글랜드 본체(4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는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의 내부 원주 둘레에 나사부(240)를 갖는다.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를 글랜드 본체(40)에 연결하기 위해, 이들 나사부(240)는 또한 글랜드 본체(40) 상에 위치된 제2 세트의 나사부(440)와 상호 작용한다.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가 글랜드 본체(40)에 연결되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 내부, 그리고 또한 글랜드 본체(40) 내부에 삽입된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먼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일체형 탭(610)을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의 얇은 개구(220) 내로,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의 내부 원주로부터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를 통해, 그리고, 외부까지 삽입하여, 일체형 탭(610)이 케이블 글랜드(100)의 외부로 돌출하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잔여 부분이 케이블 글랜드(100) 내부의 제 위치에 보유되도록 함으로써 제 위치에 보유된다(도 7a 내지 도 7d 참조).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그 코일 단부의 굴곡부(620)가 글랜드 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442)에 인입될 때 제 위치에 두 번째로 보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가 글랜드 본체(40)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440) 둘레로 회전됨에 따라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단부에서의 굴곡부(620)가 글랜드 본체(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442) 내에 인입될 때,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확대 및 수축한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힘이 가해짐에 따라 확대되어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를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코일링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글랜드 본체(40)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440) 주위로 회전시킨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를 회전시키도록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고 나면 자동으로 수축한다. 이 힘이 해제되고 나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즉시 수축하여 그 원래 조임도로 다시 코일링되어 케이블 외장, 금속-클래딩 또는 금속 외피 둘레에 견고히 스냅결합되어 케이블 글랜드(100) 내에 있는 적절한 접지 또는 접합을 위한 연결부를 제공하고,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230)를 다시 힘이 가해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단락방지 부싱(700)은 케이블에 연결되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반복된 확대 또는 수축 또는 케이블 글랜드(100)의 다른 부분의 에지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해 케이블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절단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100)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정하중 스프링이다. 정하중 스프링이 완전히 말려지면, 정하중 스프링이 이완된다. 정하중 스프링이 펼쳐지면 복원력이 발생되어 정하중 스프링을 그 이완된 말려진 위치로 되돌리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와셔(30)는 글랜드 본체(40)에 연결되고, 이후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는 케이블 글랜드(100)의 글랜드 본체(40)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는 먼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의 글랜드 본체(40) 내로의 견고한 끼워맞춤 및 스냅 결합에 의해, 그리고, 두 번째로 글랜드 본체의 내부 원주에 있는 레지 또는 선반(446) 내로의 인입에 의해 제 위치에 보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 내의 정하중 스프링(860)은 확대 및 수축하고, 정하중 스프링(860)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 및 글랜드 본체(40)의 내부 둘레로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800)는 정하중 스프링(860) 또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코일링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글랜드 본체(40)의 내부 둘레로 정하중 스프링(860)을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확대된다. 정하중 스프링(860)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유사하며 상호 교환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정하중 스프링(860)은 그것을 회전시키는 힘이 해제되고 나면 자동으로 수축한다. 그 힘이 해제되고 나면, 정하중 스프링은 즉시 수축하고 그 원래의 조임도로 다시 코일링되어 케이블 글랜드(100)에 있는 케이블 주위에 견고히 스냅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코일이 완전히 펼쳐질 때 생성되는 최대 힘은 코일이 말려지고 펼쳐지는 횟수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이완 상태에서 재료의 내부 원주 코일은 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케이블 직경인 원주만큼 작게 말려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재료의 내부 원주 코일은 대략 2-4 밀리미터만큼 작게 말려진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케이블에 대한 전기적 연결 지점 역할을 한다. 일체형 탭(610)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과 접지 스트랩(1620) 사이의 연결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도 16 참조). 접지 스트랩(1620)은 접지 스트랩(1620)의 제1 단부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일체형 탭(610)에 부착된다. 접지 스트랩(1620)의 제2 단부(1630)는 전기 장비의 접지 또는 접합 지점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단일의 일체형 접지 및 접합 장치를 생성하는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 지점을 통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 스트랩(1620)은 브레이딩된 재료 또는 접지 브레이드 또는 접지 케이블이고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정하중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은 케이블 글랜드(100)에 삽입된 케이블을 따라 케이블 글랜드(100)의 본체 내에서 상향 나선형 원추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나선형 원추는 원추 또는 슬리브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실런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독립 슬리브가 실런트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추 또는 슬리브의 목적은 실런트를 보유하고 가연성 가스 또는 액체가 전기 아크가 노출된 영역까지 케이블 내부로 그리고 그를 통해 이동할 가능성을 억제하여 잠재적 폭발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런트는 에폭시, 수지, 퍼티 또는 다른 유형의 실런트이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완전히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1700)를 도시한다. 접지 스트랩(1770)은 글랜드 본체(1720) 내부에 끼워 맞춰지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1760)의 일체형 탭(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제1 단부와, 전기 장비의 접지 또는 접합 지점에 부착되는 제2 단부(1760)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1760)은 케이블 글랜드(1700)에 삽입된 케이블을 따라 연장되고 원추 또는 슬리브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에폭시 또는 상이한 유형의 실런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독립 슬리브가 실런트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와셔 실런트(10), 제2 와셔(20), 제1 와셔(30),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 외부 하우징(50), 글랜드 본체(40)로 구성된 케이블 글랜드(100)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그라운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글랜드 본체(40)는 글랜드 본체(40)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482), 외부 하우징(50)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480)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460)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조립된 케이블 글랜드(100)의 일 단부에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삽입하여,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된 일체형 탭(610)이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단계;
2) 케이블 글랜드(100)의 각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 개구를 개방하는 단계;
3)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은 원주로 확대시키는 단계;
4) 케이블을 케이블 글랜드(100)의 제1 개구를 통해 삽입하고, 케이블을 케이블 글랜드(100)를 통해, 케이블 글랜드(100)의 제2 개구 외부로 끼우는 단계;
5)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삽입된 단부 반대쪽의 케이블 수용 개구를, 케이블 상의 제 위치에 케이블 글랜드(100)를 보유 및 고정하기에 충분히 긴밀하게 조이는 단계;
6)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과 상호 작용할 영역에서 케이블 주위에 단락방지 부싱(700)을 삽입하는 단계;
7) 케이블 글랜드(100) 내부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수축시켜 그라운딩을 위해 노출된 케이블 상의 영역에서 케이블 주위로 조이는 단계; 및
8)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확대시키는 방법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100)의 글랜드 본체(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442) 내에 인입시키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컬링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글랜드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삽입되는 위치 반대쪽의 케이블 글랜드(100)의 단부를 조이는 방법은 케이블 글랜드(100)의 외부 하우징(50)을 제1 세트의 나사부(460)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수축시키는 방법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100)의 글랜드 본체(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442) 내에 인입시키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컬링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회전시키도록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442)이 글랜드 본체 내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은 상이한 형상, 깊이 및 폭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수축시키는 방법은 케이블 글랜드(100)의 글랜드 본체(40)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442)에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의 단부를 인입하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이 컬링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케이블 글랜드(100)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440) 둘레로 제2 와셔(20)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방법은 접지 스트랩(1620)의 제1 단부를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된 일체형 탭(610)에 부착하고, 접지 스트랩(1630)의 제2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의 접지 지점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을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방법은 접지 스트랩(1620)의 제1 단부를 기계적, 납땜, 또는 접착제 연결 지점을 통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60)에 부착하여 단일의 통합된 접지 및 접합 장치를 생성하고, 접지 스트랩(1630)의 제2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100) 외부의 접지 지점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76)

  1. 케이블 글랜드이며,
    글랜드 본체;
    글랜드 본체의 일 단부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하우징;
    글랜드 본체 상에 외부에 배열된 제1 와셔;
    글랜드 본체 상에 외부에 배열된 제2 와셔;
    글랜드 본체 상에 외부에 배열된 와셔 실런트; 및
    글랜드 본체 내에 내부에 배열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포함하고,
    글랜드 본체는,
    글랜드 본체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
    외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은, 글랜드 본체에 연결되고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회전되고 나면, 테이퍼진 영역을 압축하여 케이블 둘레로 밀봉 커넥터 글랜드가 조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글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에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3. 제2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스프링 버튼인, 케이블 글랜드.
  4. 제2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퍼진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인, 케이블 글랜드.
  5. 제4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및 글랜드 본체의 개구는 연결되고 나면 정렬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글랜드.
  6. 제1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의 길이의 일부는 착색되어 있는, 케이블 글랜드.
  7. 제1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은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평탄하고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 단편이며, 각각의 코일은 이전 코일 위에 놓여져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하며,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의 넓은 단부는 코일의 내부 층을 형성하고, 좁은 단부는 코일의 외부 층을 형성하고, 코일의 외부 층의 단부는 코일이 컬링되는 반대 방향으로 미소한 굴곡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글랜드.
  8. 제7항에 있어서, 일체형 탭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부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9. 제8항에 있어서,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를 더 포함하고,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는, 와셔 실런트와 제2 와셔 모두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2개의 와셔 사이에서 두 와셔의 외부 주변으로부터 두 와셔의 내부 주변을 통해 그리고 그 내부로 천공된 와셔의 원주의 일부인 작은 얇은 개구를 제외하면 와셔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남기지 않고, 제2 와셔의 하나의 평탄한 측면에 접하는 와셔 실런트의 하나의 평탄한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와셔가 먼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상에 배열되고, 그 다음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에 배치되고, 그 다음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 내부에 삽입되고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의 얇은 개구를 통해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일체형 탭을 삽입함으로써 제 위치에 보유되는, 케이블 글랜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은,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회전됨에 따라,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단부에서의 굴곡부가 글랜드 본체 내의 홈 내로 인입될 때, 확대 및 수축하는, 케이블 글랜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은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둘레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대되고, 이중-와셔-실런트-조합체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둘레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수축되는, 케이블 글랜드.
  1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글랜드에 삽입되는 케이블에 연결된 단락방지 부싱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14. 제1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은 원형의 재료의 중심을 통과하여 절단되고 추출됨으로써 원형 재료의 중심에 별 형상 구멍을 형성하는, 별 형상 구멍뿐만 아니라 그에 부착된 일체형 탭을 갖는 평탄한 원형 재료인, 케이블 글랜드.
  15. 제1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은 개방 단부를 갖는 짧은 실린더이고, 실린더의 일 단부는 절단부가 없는 실린더의 반대쪽 단부를 향해 형성되어 다수의 플랩을 형성하는 다수의 균등 이격된 절단부를 갖고, 하나를 제외한 각 플랩은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의 개방부를 향해 45도 절첩되고,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의 개방부를 향해 절첩되지 않은 하나의 플랩은 절단부가 형성된 실린더의 단부의 개방부로부터 멀리 반대 방향으로 90도 외향 절첩되어 케이블 커넥터를 그라운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탭을 형성하는, 케이블 글랜드.
  16. 제1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는 실런트를 수용하도록 삽입된 독립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실런트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18.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글랜드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글랜드.
  19. 케이블 글랜드이며,
    글랜드 본체;
    글랜드 본체의 일 단부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하우징;
    글랜드 본체 상에 외부에 배열된 와셔; 및
    글랜드 본체 내에 내부에 배열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를 포함하고,
    글랜드 본체는,
    글랜드 본체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
    외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은, 글랜드 본체에 연결되고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회전되고 나면, 테이퍼진 영역을 압축하여 케이블 둘레로 밀봉 커넥터 글랜드가 조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글랜드.
  20. 제19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에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21. 제20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스프링 버튼인, 케이블 글랜드.
  22. 제20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퍼진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인, 케이블 글랜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및 글랜드 본체의 개구는 연결되고 나면 정렬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글랜드.
  24. 제19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의 길이의 일부는 착색되어 있는, 케이블 글랜드.
  25. 제19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는 원통형 인서트의 주변 내부에서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직사각형의 평탄한 재료 단편으로 구성되는 정하중 스프링이고, 각각의 코일은 이전 코일 둘레를 감싸서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하며, 코일의 일 단부는 코일이 컬링된 반대 방향으로 미소한 굴곡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글랜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일체형 탭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27. 제26항에 있어서, 단락방지 부싱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28. 제27항에 있어서, 와셔가 먼저 글랜드 본체에 연결되고, 그 다음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가 글랜드 본체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 글랜드.
  29. 제2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의 단부의 굴곡부를 글랜드 본체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에 인입시킴으로써 삽입되는, 케이블 글랜드.
  30. 제2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를 글랜드 본체의 내부 주변 둘레의 원형 레지에 끼움으로써 삽입되는, 케이블 글랜드.
  31. 제2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는 글랜드 본체 내부에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이 가해질 때 확대되고, 힘이 해제될 때 수축되는, 케이블 글랜드.
  32. 제19항에 있어서, 케이블 글랜드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글랜드.
  33. 케이블 글랜드이며,
    글랜드 본체;
    글랜드 본체의 일 단부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하우징;
    글랜드 본체 상에 외부에 배열된 와셔; 및
    글랜드 본체 내에 내부에 배열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를 포함하고,
    글랜드 본체는,
    글랜드 본체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
    외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은, 글랜드 본체에 연결되고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회전되고 나면, 테이퍼진 영역을 압축하여 케이블 둘레로 밀봉 커넥터 글랜드가 조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글랜드.
  34. 제33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에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35. 제34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스프링 버튼인, 케이블 글랜드.
  36. 제34항에 있어서,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퍼진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인, 케이블 글랜드.
  37. 제36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및 글랜드 본체의 개구는 연결되고 나면 정렬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글랜드.
  38. 제33항에 있어서, 글랜드 본체 상의 제1 세트의 나사부의 길이의 일부는 착색되어 있는, 케이블 글랜드.
  39. 제33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는 조절 가능한 케이블 인서트 클램프인, 케이블 글랜드.
  40. 제39항에 있어서, 일체형 탭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41. 제40항에 있어서, 단락방지 부싱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42. 제41항에 있어서, 와셔가 먼저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둘레에 외부에 배열되고, 그 다음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가 제2 세트의 나사부가 수납되는 글랜드 본체의 단부에서 글랜드 본체 내로 삽입되는, 케이블 글랜드.
  43. 제42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를 글랜드 본체의 내부 주변 둘레의 원형 레지에 끼움으로써 삽입되는, 케이블 글랜드.
  44. 제42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의 상단의 클램핑 탭을 조절함으로써 확대 및 수축하는, 케이블 글랜드.
  45. 제44항에 있어서, 클램핑 탭을 조절하는 것은 클램핑 탭을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의 본체에 연결하는 스크류의 세트를 푸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블 글랜드.
  46. 제33항에 있어서, 케이블 글랜드는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글랜드.
  47. 접지 코일이며,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테이퍼진 직사각형의 평탄한 재료 단편으로서, 각 코일은 이전의 코일 위에 놓여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하고, 재료는 완전히 말려질 때 이완되고 펼쳐질 때 복원력이 발생되며, 발생된 힘은 재료를 다시 이완된 말려진 위치가 되게 하도록 작용하는, 재료 단편; 및
    접지 코일에 부착된 일체형 탭을 포함하는, 접지 코일.
  48. 제47항에 있어서, 코일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
  49. 제48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의 제1 단부가 접지 코일에 부착된 일체형 탭에 부착되는, 접지 코일.
  50. 제48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연결 지점을 통해 접지 코일에 부착되는, 접지 코일.
  51. 제50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스트랩을 접지 코일 상의 연결 지점에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부착되는, 접지 코일.
  52. 제49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브레이드이고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지 코일.
  53. 제47항에 있어서, 접지 코일은 케이블 글랜드의 본체 내부에서 상향 나선형 원추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접지 코일.
  54. 제53항에 있어서, 상향 나선형 원추는 실런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코일.
  55. 제54항에 있어서, 실런트는 에폭시인, 접지 코일.
  56.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이며,
    케이블 클램프 인서트의 내부 주변 둘레에 원형 형상으로 감겨진 테이퍼진 직사각형의 평탄한 전기 전도성 재료 단편으로 구성된 정하중 스프링으로서, 각각의 코일은 이전 코일 둘레로 감겨져 평탄한 컬링된 리본을 형성하고, 코일의 일 단부는 코일이 컬링되는 반대 방향으로 미소한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재료는 완전히 말려질 때 이완되고,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가 펼쳐질 때 복원력이 발생되어 테이퍼진 직사각형 재료를 다시 그 이완된 말려진 위치가 되게 하도록 작용하는, 정하중 스프링;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된 일체형 탭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57. 제56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된 일체형 탭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58. 제57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의 연결 지점을 통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59. 제58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스트랩을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의 연결 지점에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60. 제57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브레이드이고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61. 제56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에 부착된 단락방지 부싱을 더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62.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이며,
    조절 가능한 케이블 클램프 인서트;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된 일체형 탭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3. 제62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된 일체형 탭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4. 제63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연결 지점을 통해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5. 제64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스트랩을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상의 연결 지점에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6. 제63항에 있어서, 접지 스트랩은 접지 브레이드이고 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7. 제62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에 부착된 단락방지 부싱을 더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접지 인서트 클램프.
  68. 케이블 글랜드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그라운딩하는 방법이며,
    케이블 글랜드는 와셔 실런트, 제2 와셔, 제1 와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 외부 하우징 및 글랜드 본체를 포함하고; 글랜드 본체는 글랜드 본체 내에 배치된 밀봉 커넥터, 외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테이퍼진 영역, 및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고, 상기 방법은: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 글랜드의 일 단부에 삽입하여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부착된 일체형 탭이 케이블 글랜드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단계;
    케이블 글랜드의 각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 개구를 개방시키는 단계;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원주까지 확대시키는 단계;
    케이블을 케이블 글랜드의 제1 개구를 통해 삽입하고, 케이블을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케이블 글랜드의 제2 개구 외부로 끼우는 단계;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삽입된 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케이블 수용 개구를 케이블 상의 제 위치에 케이블 글랜드를 보유 및 고정하기에 충분히 긴밀하게 조이는 단계;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과 상호 작용할 영역에서 케이블 주위에 단락방지 부싱을 삽입하는 단계;
    그라운딩을 위해 노출된 케이블 상의 영역에서 케이블 둘레에 조여지도록 케이블 글랜드 내부의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수축시키는 단계; 및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는,
    케이블 글랜드의 일 단부에서 2개의 와셔 사이에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 및
    코일의 단부가 케이블 글랜드의 본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내로 인입되도록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0.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확대시키는 단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의 글랜드 본체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에 인입하고 케이블 글랜드를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컬링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1.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삽입되는 위치 반대쪽의 케이블 글랜드의 단부를 조이는 단계는 글랜드 본체 상의 테이퍼진 영역에 인접한 제1 세트의 나사부 둘레에서 케이블 글랜드의 외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수축시키는 단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의 글랜드 본체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내에 인입시키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컬링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회전시키도록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가해진 임의의 압력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3.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수축시키는 단계는 케이블 글랜드의 글랜드 본체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에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의 단부를 인입하고,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이 컬링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글랜드 본체 상의 제2 세트의 나사부 둘레로 제2 와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수축시키는 단계는 케이블 글랜드의 내부를 따라 코일을 연장시켜 실런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5.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부착된 일체형 탭에 접지 스트랩의 제1 단부를 부착하고, 접지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접지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6. 제68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을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그라운딩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는 조절 가능한 접지 코일에 접지 스트랩의 제1 단부를 부착하고, 접지 스트랩의 제2 단부를 케이블 글랜드 외부의 접지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11042A 2016-10-18 2017-10-18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55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9720P 2016-10-18 2016-10-18
US62/409,720 2016-10-18
PCT/US2017/057275 WO2018075697A1 (en) 2016-10-18 2017-10-18 Cable gla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ing a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301A true KR20190065301A (ko) 2019-06-11
KR102355316B1 KR102355316B1 (ko) 2022-01-24

Family

ID=6190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042A KR102355316B1 (ko) 2016-10-18 2017-10-18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090653B2 (ko)
EP (1) EP3529865A4 (ko)
JP (1) JP6929948B2 (ko)
KR (1) KR102355316B1 (ko)
CN (1) CN110178273B (ko)
AU (1) AU2017345352B2 (ko)
CA (1) CA3039593C (ko)
SA (1) SA519401591B1 (ko)
WO (1) WO2018075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39593C (en) * 2016-10-18 2021-06-15 CAPE Industries, LLC Cable gla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ing a cable
US11011896B2 (en) 2016-10-18 2021-05-18 CAPE Industries, LLC Cable gland for grounding a cable
US11600976B2 (en) 2016-10-18 2023-03-07 CAPE Industries, LLC Cable gland for grounding a cable and method of use
JP6580022B2 (ja) * 2016-12-08 2019-09-25 星和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グランド
IT201800005960A1 (it) 2018-06-01 2019-12-01 Pressacavo
US10522946B1 (en) * 2018-09-17 2019-12-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nnectors with locking tab
US11721932B2 (en) * 2019-07-09 2023-08-08 Arris Enterprises Llc Tool-less service cable connecto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1070043B1 (en) * 2019-07-23 2021-07-20 Power Feed Thru Systems And Connectors Llc Cable splice sleeve assemblies
WO2022216245A1 (en) * 2021-04-09 2022-10-13 Bi̇med Tekni̇k Alet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pressure balancing gland suitable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CN113014146B (zh) * 2021-04-15 2023-05-12 淮北浚程机电设备有限公司 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多回路高真空电磁起动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070A (ja) * 1996-05-10 1997-11-28 Toshio Saito アーマードケーブル用フィックスパッキン
JP2001295819A (ja) * 2000-04-12 2001-10-26 Takashi Ogawa 締め忘れチェック用印(マーク)付きボルト
JP2013230012A (ja) * 2012-04-26 2013-11-07 Ohm Denki Kk ケーブル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9582A (en) * 1926-12-31 1931-06-09 Thomas & Betts Corp Pipe coupler
GB1280144A (en) 1968-09-20 1972-07-05 Hawke Cable Gland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able glands
US3833754A (en) 1973-04-23 1974-09-03 Gen Signal Corp Grounding connector for strand cable assembly
US4032205A (en) * 1976-09-10 1977-06-28 Rte Corporation Adaptor for a high voltage cable
US4080024A (en) * 1977-05-12 1978-03-21 Harco Corporation Underground cable connection
GB2214728B (en) * 1988-01-20 1992-04-15 C M P Improvements in cable gland assemblies
US5037140A (en) * 1989-11-21 1991-08-06 Evergreen Tool Company, Inc. Fire suppression apparatus
US5015804A (en) 1990-03-26 1991-05-14 Commander Electrical Materials, Inc. Electrical cable connector for sealing an armoured electrical cable
GB2258350B (en) 1991-07-20 1995-08-02 Hawke Cable Glands Ltd Electric cable barrier gland
CA2160470A1 (en) * 1993-04-16 1994-10-27 Van Le Huynh Bonding assembly for fiber optic cable and associated method
GB9420349D0 (en) 1994-10-10 1994-11-23 Hawkins David F Connector
EP0744788B1 (de) * 1995-05-20 1999-07-21 Alcatel Vor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metallischen Rohres
DE19528140A1 (de) 1995-05-20 1996-11-21 Alcatel Kabel Ag Vor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metallischen Rohres
GB2302618B (en) 1995-06-24 1998-11-04 Hawke Cable Glands Ltd Electric cable termination gland
US5789706A (en) 1997-01-17 1998-08-04 Perkins; Vernon Electrical cable to utilization device quick connector
US6034325A (en) * 1997-09-16 2000-03-07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nector for armored electrical cable
CN2360969Y (zh) * 1999-01-15 2000-0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装置
DE10033911C1 (de) * 2000-07-12 2002-04-04 Hummel Anton Verwaltung Anschlussarmatur für längliche Körper mit Spannzange
US7183486B2 (en) * 2005-07-21 2007-02-2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Liquid-tight connector with deformable o-ring
US7563993B2 (en) * 2006-09-22 2009-07-21 Lapp Engineering & Co. 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DE102006048242A1 (de) 2006-10-11 2008-04-17 Cooper Crouse-Hinds Gmbh Kabelverschraubungsvorrichtung
US7963567B2 (en) * 2007-04-27 2011-06-21 Securus, Inc.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US7534143B1 (en) * 2007-11-16 2009-05-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ire termination arrangement
JP2011507162A (ja) * 2007-12-06 2011-03-03 バル・シ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ラインコネクタ
TW201006059A (en) * 2008-07-31 2010-02-01 Acbel Polytech Inc Water-proof assembly for wiring connections
US8431836B2 (en) * 2008-11-06 2013-04-30 Miretti SpA Connector apparatus and system for explosion proof engine
EP2264848B1 (de) * 2009-06-16 2013-07-31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Kabelverschraubung
KR101113561B1 (ko) * 2010-02-08 2012-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US8586881B1 (en) * 2010-03-17 2013-11-19 Sami Shemtov Connector assembly suited for wet locations
US8490513B2 (en) * 2010-03-19 2013-07-23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US8485062B2 (en) * 2010-03-19 2013-07-16 Avc Industrial Corp. Double-lock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CH704182A2 (de) * 2010-12-01 2012-06-15 Agro Ag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s kabels.
DE202011002287U1 (de) * 2011-02-02 2012-05-16 Wiska Hoppmann & Mulsow Gmbh Kabelverschraubung für abgeschirmte Leitungen
DE102011100499B4 (de) 2011-05-04 2012-12-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Leitungsverbinder
US8562361B2 (en) * 2011-10-11 2013-10-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iversal ground adapter for marine cables
CN202423696U (zh) * 2011-12-28 2012-09-05 广州璞成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电连接器
CN102544894B (zh) * 2012-03-02 2013-07-31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三防连接器
GB201212857D0 (en) 2012-07-19 2012-09-05 Hubbell Ltd Cable glands
DE102012107406A1 (de) 2012-08-10 2014-05-15 Endress + Hauser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mit Schirmungskontakt
US9196976B2 (en) * 2012-11-08 2015-11-24 Hubbell Incorporated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US9909636B2 (en) * 2013-03-14 2018-03-06 Bal Seal Engineering, Inc. Canted coil spring with longitudinal component within and related methods
DE102014118391A1 (de) * 2014-12-11 2016-06-16 Endress + Hause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ignalen aus einem Metall-Gehäuse
CN204966706U (zh) * 2015-07-15 2016-01-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CA3039593C (en) * 2016-10-18 2021-06-15 CAPE Industries, LLC Cable gla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ing a c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070A (ja) * 1996-05-10 1997-11-28 Toshio Saito アーマードケーブル用フィックスパッキン
JP2001295819A (ja) * 2000-04-12 2001-10-26 Takashi Ogawa 締め忘れチェック用印(マーク)付きボルト
JP2013230012A (ja) * 2012-04-26 2013-11-07 Ohm Denki Kk ケーブル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90653B2 (en) 2018-10-02
US20190140434A1 (en) 2019-05-09
EP3529865A1 (en) 2019-08-28
US10673216B2 (en) 2020-06-02
JP2020501499A (ja) 2020-01-16
AU2017345352B2 (en) 2021-04-01
SA519401591B1 (ar) 2022-11-29
CA3039593C (en) 2021-06-15
CN110178273A (zh) 2019-08-27
US20180109093A1 (en) 2018-04-19
CA3039593A1 (en) 2018-04-26
KR102355316B1 (ko) 2022-01-24
JP6929948B2 (ja) 2021-09-01
WO2018075697A1 (en) 2018-04-26
AU2017345352A1 (en) 2019-05-02
EP3529865A4 (en) 2020-06-17
CN110178273B (zh)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316B1 (ko) 케이블 글랜드 및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356784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waterproof jacketed armored cable
US20050039940A1 (en) Connection cover
US9196976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JP2003264040A (ja) シールド電線
EP2510582B1 (en) Biasing connector
US20020084094A1 (en) High voltage cable termination
US4310209A (en) Cable shield connecting device
CA2963223C (e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connecting to a metallic shield of a cable
CN104781989A (zh) 用于电缆导电护套的接地装置和用于安装该接地装置的方法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US5646370A (en) Permanent attachment of grounding wire
US6734355B1 (en) Ground connector
WO2021242698A1 (en) Cable gland for grounding a cable and method of use
US4306760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4808121A (en) Bond connector for service cable
US11011896B2 (en) Cable gland for grounding a cable
US2022015749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o a metallic shield of a cable
US20210175644A1 (en) Partly Pre-Assembled Cable Joint
EP3587884B1 (en) Assembly comprising a bonding wire and a pipe and method of attaching a bonding wire to a pipe
CN117543274A (zh) 用于高压连接线缆的插接头及插拔式高压连接线缆
JP2013055771A (ja) 接地線引出部および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150033868A (ko) 나선형 열수축 튜브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