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73A - 제본천공기 - Google Patents

제본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73A
KR20190131373A KR1020180056156A KR20180056156A KR20190131373A KR 20190131373 A KR20190131373 A KR 20190131373A KR 1020180056156 A KR1020180056156 A KR 1020180056156A KR 20180056156 A KR20180056156 A KR 20180056156A KR 20190131373 A KR20190131373 A KR 2019013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fixing
bookbinding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166B1 (ko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18005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2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stacked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절단된 몰딩튜브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구멍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천공부재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 및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상호 결합된 작업판과 하우징을 설치하고, 작업판은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작업구멍의 양쪽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한쪽 측면이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돌출 형성하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어부에 제어되며 제1기어가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제1기어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가 구비된 스크루축과, 스크루축의 회전에 의해서 스크루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이동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멍을 형성하며, 이동구에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양쪽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대가 구비된 테이블을 설치한 이동식 테이블 장치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인출부재에 의해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천공부재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제어되며, 천공부재에 의해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본천공기{Bookbinding and bor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작업자에게 필요한 각종 공구나 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천공 작업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주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연속적인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해주는 제본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본천공기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 또는 서류 등과 같은 지편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일정 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몰딩튜브를 삽입하면서 그 양단을 성형하여 하나로 묶어 제본하는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베이스판의 상부로 드릴을 구비한 천공모터와 적층된 지편을 클램핑하는 프레스암이 샤프트를 따라 승강 작동함에 있어, 이송모터의 축상에 설치되어 몰딩튜브를 이송안내하는 안내롤과, 그 하부로 상기 이송안내되는 몰딩튜브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하부 히터부상의 튜브가이드핀과, 상기 몰딩튜브를 커팅하는 커터 및 상기 튜브가이드핀의 일측으로 이에 삽입되는 몰딩튜브를 지지하는 길이조절플레이트로 구성하되, 상기 길이조절플레이트는 그 일측 하단이 탄발스트링에 탄발지지되고, 상단은 프레스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암이 적층된 지편의 두께에 따라 승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길이조절플레이트가 대응되게 승강 작동하면서 몰딩튜브의 절단길이를 자동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몰딩튜브 공급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서류제본은 통상 2공 천공하는데 첫번째 천공 및 제본 작업을 마무리하고, 두번째 천공 및 제본 작업을 할 때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옮겨야 했었다.
즉,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작업자의 수작업 때문에 위치가 변경될 우려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천공 및 제본 작업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게 필요한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기가 어려웠고, 천공 작업에 의해 형성될 구멍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어느 곳에 위치되는 지를 작업자가 미리 알기가 어려웠다.
특허문헌1 : 등록실용신안 제20-0193629호(2000.06.1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필요한 각종 공구나 부품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천공 작업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주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연속적인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해주는 제본천공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절단된 몰딩튜브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구멍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천공부재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 및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있어서, 프레임에 상호 결합된 작업판과 하우징을 설치하고, 작업판은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구멍을 형성하고, 작업구멍의 양쪽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한쪽 측면이 밀착되는 제1밀착단을 돌출 형성하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어부에 제어되며 제1기어가 회전축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제1기어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가 구비된 스크루축과, 스크루축의 회전에 의해서 스크루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이동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멍을 형성하며, 이동구에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양쪽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대가 구비된 테이블을 설치한 이동식 테이블 장치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인출부재에 의해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천공부재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제어되며, 천공부재에 의해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의 제어부에 제어되는 구동모터의 제1기어 및 스크루축의 제2기어를 통해서 테이블이 설치된 이동구가 스크루축 및 이동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테이블의 고정대 및 작업판의 제1밀착단에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제본천공기의 첫번째 천공 및 제본 작업이 마무리되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자동으로 옮겨져서 두번째 또는 그 이상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시, 종래처럼 작업자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수작업으로 지속적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구의 가이드구멍이 가이드축에 안내되기 때문에, 이동구에 의해 이동하는 테이블의 흔들림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테이블의 고정대 및 작업판의 제1밀착단에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삽입공간으로 제본천공기의 베이스판 및 하부몸체가 삽입되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에서 이동식 테이블 장치가 돌출되는 정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에 이동식 테이블 장치가 설치되어도 부피가 덜 증가하기 때문에, 이동식 테이블 장치가 설치된 제본천공기를 좁은 설치공간에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삽입공간이 제본천공기의 베이스판 및 하부몸체에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하우징의 흔들림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판의 제2밀착단이 제본천공기의 베이스판 양쪽 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하우징의 흔들림을 더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테이블에 놓여진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흔들림 없이 이동하여,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기어가 베벨기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동모터와 스크루축이 수평적으로 교차해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2기어 및 구동모터와 스크루축을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의 높이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에 이동식 테이블 장치가 설치되어도 부피가 덜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상부면을 가압부재로 가압하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상부 방향으로 움직여서 다수의 인쇄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가압부재가 막아주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가압부재에 의해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제본 작업 시 몰딩튜브의 길이를 짧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몰딩튜브의 낭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구가 제1,2걸림구멍에 끼워져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판의 제3걸림구멍이 가이드봉에 끼워져 걸리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고정부재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탄성스프링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구가 지속적으로 제1,2걸림구멍에 끼워져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판의 제3걸림구멍이 가이드봉에 지속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시 발생되는 외력에 상관없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이 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판의 누름이 해제되면 가압부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가이드봉에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고정이 해제되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이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신속하게 해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과 유사한 형태의 가압부재가 넓은 면적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상부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들이 서로 더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의 제본 작업 시 몰딩튜브의 길이를 더 짧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몰딩튜브의 낭비를 더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압부재에서 돌출 형성된 가압부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의 상부면을 더 신속하게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가이드봉에 의한 가압부재의 하강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엔코더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통해서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정밀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이동구를 이동시켜주는 스크루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대한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이 불량하게 천공 및 제본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위치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통해서 제어부가 이동구에 설치된 고정핀의 최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시작 또는 초기화 시 이동구를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위치로 신속하게 위치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끝난 후 곧바로 다음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을 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의 구성요소들에 관련된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장치를 통해 저장,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각종 공구나 부품을 제본천공기의 주변에 항상 위치시켜서, 작업자가 필요할 때마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출부재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 또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본천공기가 설치된 설치공간에 맞게 보관함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공 작업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표시장치의 레이저 광선을 통해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천공 및 제본 작업에 쓰이지 않는 별도의 인쇄물을 천공부재로 천공하여,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인쇄물을 불필요하게 적층하고 적층 해제하는 종래의 과정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공부재에 설치되는 표시장치가 제1,2레이저 모듈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2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광선 조사에 의한 교차점과 천공부재의 드릴의 중심을 보다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천공부재의 천공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부재에 대한 제1,2레이저 모듈의 설치 위치를 보다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 이상 시, 전체가 아닌 제1,2레이저 모듈 중 하나만을 교체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인쇄물을 종래보다 많은 500매 이상으로 천공 및 제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제본천공기의 상세도,
도 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제본천공기(1000)는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몸체(101)와, 상기 하부몸체(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2)과, 상기 베이스판(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몸체(103)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100)의 상부몸체(103)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천공부재(11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2)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12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에 설치되어 절단된 몰딩튜브(2)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1a)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몸체(103)에 설치되어 천공부재(110)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120) 및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버튼 누름식 또는 화면 터치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에 제어되어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천공 및 제본 작업을 도와주는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는 상호 결합되어서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 및 베이스판(102)에 설치되는 작업판(210)과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판(210)은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구멍(2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구멍(211)의 양쪽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한쪽 측면이 밀착되는 제1밀착단(212)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착단(212)은 작업판(210)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판(10)은 작업구멍(11)의 양쪽으로 프레임(100)의 베이스판(102) 양쪽 측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단(213)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밀착단(213)은 작업판(210)의 하부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제어부(140)에 제어되며 제1기어(231)가 회전축(232)에 구비된 구동모터(230)와, 상기 제1기어(231)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241)가 구비된 스크루축(240)과, 상기 스크루축(24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크루축(240)을 따라 이동하는 육면체 형태와 유사한 이동구(2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기어(231)(241)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230)는 감속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는 이동구(250)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이동구멍(22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구(250)에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양쪽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대(261)가 구비된 테이블(2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스크루축(240) 위로 가이드축(251)이 설치되고, 이동구(250)에는 상기 가이드축(251)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는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 및 베이스판(102)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260)의 외면에는 고정대(261)의 양쪽으로 가이드봉(262)이 상기 고정대(261)보다 작업판(210)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262)에는 상기 가이드봉(262)에 양쪽이 승강 안내되어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부재(2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262) 및 가압부재(270)에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부재(270)를 가이드봉(262)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해주는 고정부재(2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70)는 가이드봉(262)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71)이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271)의 주변으로 제1,2걸림구멍(272)(27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7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270)의 중앙에는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74)가 절곡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80)는 가이드봉(262)에 안내되거나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걸리는 제3걸림구멍(281a)이 한쪽에 형성되고, 제1,2걸림구멍(272)(273)과 통하는 제1,2체결구멍(281b)(281c)이 반대편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3걸림구멍(281a)과 제1,2체결구멍(281b)(281c) 사이로 절곡부(281d)가 절곡 형성된 고정판(281)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80)는 고정판(281)의 제1,2체결구멍(281b)(281c)에 한쪽이 체결되면서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을 반대편 한쪽이 관통하며, 상기 제1,2걸림구멍(272)(273)의 주변에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제1이탈방지부(282a)가 반대편 한쪽에 구비된 고정구(28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부재(270)로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판(281)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고정판(281)에 체결된 고정구(282)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2걸림구멍(272)(273)에 끼워져 걸리면서 제1이탈방지부(282a)가 상기 제1,2걸림구멍(272)(273)의 주변에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이 가이드봉(262)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270)가 고정부재(280)에 의해 가이드봉(262)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80)는 가이드구멍(271) 및 제3걸림구멍(281a)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제2걸림구멍(273) 및 제2체결구멍(281c) 사이로 고정구(282)에 설치되는 제1탄성스프링(282b)이 포함된다.
즉, 상기 고정판(281)은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260)과 가압부재(270) 사이로 가이드봉(262)에 제2탄성스프링(263)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2탄성스프링(263)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270)가 가이드봉(26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262)은 고정판(281)이 이탈되는 것을 막도록 제3걸림구멍(281a)의 주변에 걸리는 제2이탈방지부(26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회전축(232)의 회전을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엔코더(2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290)는 회전축(232)에 구비되며 테두리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회전판(291)과, 상기 회전판(291)의 홈에 발광부의 빛을 내보내고 수광부에서 상기 빛을 검출하는 검출센서(29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회전판(291)의 다수의 홈에 검출센서(292)의 발광부의 빛을 내보내고 상기 검출센서(292)의 수광부에서 빛을 검출할 때마다 엔코더(290)로부터 구형파 형태의 펄스 신호로 측정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측정정보를 통해 회전축(232)의 회전한 각도, 속도, 위치를 검출하여 구동모터(23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하나의 펄스당 이동구(250)가 0.01mm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230)에 구비된 감속기의 감속비와, 엔코더(290)의 해상도 즉 검출센서(292)의 발광부의 빛을 회전판(291)의 다수의 홈을 통해 상기 검출센서(292)의 수광부에서 검출하는 횟수의 조합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250)의 외면에는 'ㄱ' 형태의 고정핀(25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이동구(250)에 의해 이동하는 고정핀(253)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위치센서(254)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센서(254)는 스크루축(240)의 중앙 및 좌,우 양쪽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정핀(253)이 지나갈 때 상기 고정핀(253)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천공 및 제본 작업 시작 또는 초기화 시 이동구(250)가 중앙 위치센서(254)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110)는 드릴(111a) 및 랙기어(111b)가 구비된 천공모터(111)와, 상기 드릴(111a)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12a)이 구비된 프레스암(11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110)는 천공모터(111)와 프레스암(112)이 승강되게 설치되는 샤프트(113)(114)와, 상기 천공모터(111)가 승강하도록 랙기어(111b)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11c')가 구비된 승강모터(111c)와, 상기 천공모터(111) 및 프레스암(112) 및 베이스판(10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15)(115a)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13)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가이드구멍(1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120)는 몰딩튜브(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2삽입관(120a)(120b)과, 상기 제1삽입관(120a)에 삽입된 몰딩튜브(2)를 제2삽입관(120b)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121a)가 구비된 이송모터(12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120)는 천공모터(111)와 같이 승강하도록 샤프트(113)의 가이드구멍(113a)을 통해 상기 천공모터(111)와 연결된 이동봉(122)과, 승강하는 상기 이동봉(122)에 당김 및 당김 해제되어 회전하는 회전부(122a)와, 상기 회전부(122a)의 한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122a)에 의해 전,후진하여 제2삽입관(120b)에 삽입된 몰딩튜브(2)를 절단하는 칼날(122b)과, 상기 회전부(122a)의 반대편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122a)가 이동봉(122)에 당김 해제될 때 상기 회전부(122a)를 당겨서 회전시켜주는 당김스프링(122c)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모터(111)와 연결된 이동봉(122)은 상기 천공모터(111)가 하강하면 샤프트(113)의 가이드구멍(113a)을 통해 같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상기 이동봉(122)에 당김 해제되는 회전부(122a)는 당김스프링(122c)의 당김에 의해 회전되어 칼날(122b)을 전진시키게 되며,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122a)에 의해 전진하는 칼날(122b)은 제2삽입관(120b)을 열어서 몰딩튜브(2)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천공모터(111)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드릴(111a)의 천공 작업 완료 후 상기 천공모터(111)가 상승하면 상기 천공모터(111)와 연결된 이동봉(122)도 같이 상승하게 되고, 회전부(122a)는 상승하는 상기 이동봉(122)에 다시 당김되어 칼날(122b)을 후진시키게 되며, 후진하는 상기 칼날(122b)은 몰딩튜브(2)를 절단하면서 제2삽입관(120b)을 닫는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120)는 프레스암(112)과 같이 승강하도록 와이어(W)로 연결된 이동봉(123)과, 상기 이동봉(123)에 연결되어 칼날(122b)에 절단되도록 제2삽입관(120b)에서 하강하는 몰딩튜브(2)를 지지하는 지지판(123a)과, 상기 하부몸체(101)에 설치되면서 지지판(123a)에 연결되어 이동봉(123)을 원상태로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123b)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23a)은 빠짐구멍(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제1기어(130a')가 구비된 감속모터(130a)와, 상기 제1기어(130a')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130b')가 구비된 캠축(130b)과, 상기 캠축(130b)에 설치되며 끼움홈(130c')이 외면에 형성된 중심캠(130c)과, 상기 캠축(130b)에 설치되며 승강 안내로(130d')가 형성된 드럼캠(130d)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캠(130d)의 상부면에는 경사돌기(130d'')가 형성되며, 제1,2기어(130a')(130b')는 평기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중심캠(130c)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고 끼움홈(130c')에 끼워지는 작동자(131)와, 상기 작동자(131)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링크(131a)와, 상기 제1링크(131a)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링크(131b)와, 상기 제2링크(131b)와 연결대(131c)로 회전바(131d)의 한쪽이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131b)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작동샤프트(131e)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131d)는 작동샤프트(131e)와 같이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작동샤프트(131e)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하부몸체(101)에 설치되어 작동샤프트(131e)의 회전바(131d) 반대편 한쪽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131f)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작동샤프트(131e)의 회전바(131d) 반대편 한쪽과 와이어(W)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샤프트(131e)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풀리(132a)와, 상기 샤프트(132)에 한쪽이 승강되고 반대편 한쪽에 승강 안내로(130d')에 승강 안내되는 작동롤러(132b)가 구비된 회전바(132c)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132c)의 한쪽은 승강 안내로(130d')에 작동롤러(132b)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풀리(132a)와 같이 회전되게 연결봉(132d)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132c)의 반대편 한쪽에는 작동롤러(132b) 승강 시 드럼캠(130d) 주변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132e)를 따라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롤러(132f)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회전바(132c)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며 칼날(122b)에 절단된 몰딩튜브(2)가 끼워지는 가이드핀(133a)이 구비된 하부 히터부(13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133a)은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을 관통하며, 몰딩튜브(2)로 제본작업 시 상기 빠짐구멍(123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작동샤프트(131e)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회전바(134)와, 상기 제1회전바(134)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바(134)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에서 전,후진하는 가림판(134a)과, 상기 작동샤프트(131e)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바(134b)와, 상기 제2회전바(134b)에 한쪽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34c)와, 상기 회전부재(134c)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134c)의 회전에 따라 가림판(134a)과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가이드부재(134d)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회전바(134)(134b)는 회전바(131d)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작동샤프트(131e)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는 가이드부재(134d)에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4d) 전,후진 시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과 통하는 가이드구멍(112b)을 따라 전,후진하는 상부 히터부(13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히터부(135)는 프레스암(112)과 함께 승강하며, 가이드핀(133a)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3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프레스암(112)을 고정해주는 프레스암 고정부재(1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150)는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프레스암(112)에 설치된 스톱봉(112c)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구멍(151a)이 형성된 고정바(1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150)는 베이스판(102)과 고정바(151)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바(151)에 걸리는 걸림머리(152a) 구비된 작동봉(152)과, 상기 작동봉(152)에 설치되어 베이스판(102)과 고정바(151) 사이에 위치되는 압축스프링(153)과, 상기 작동봉(152)과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 사이로 상기 베이스판(102)에 설치되는 지지대(15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153)은 고정바(151)를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밀게 되며, 상기 지지대(154)는 고정바(151)가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수평되게 회전된 상태가 될 때 상기 고정바(151)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150)는 하부몸체(101)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한쪽이 작동봉(152)에 연결된 회전바(155)와, 상기 회전바(155)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어 드럼캠(130d)의 상부면에 수평 안내되다가 경사돌기(130d'')에 상승 안내되는 작동롤러(15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봉(152)은 작동롤러(156)에 의해 회전바(155)가 회전하면서 베이스판(102)과 고정바(151)에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하우징(220)의 외면 즉 상기 하우징(2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인출부재(310)에 의해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함(320)이 상기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보관장치(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장치(300)는 스토퍼 및 보관함(320)의 이탈을 막아주는 이탈 방지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보관함(320)은 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관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하우징(220)의 외면에 설치된다.
또한, 각종 상기 공구는 제본천공기(1000)의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공구이며, 부품은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재(310)는 하우징(220)의 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1)과, 상기 보관함(32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11)에 안내되는 가이드(31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310)는 가이드레일(311) 및 가이드(312)를 대신하여, 하우징(220)의 외면에 보관함(320)을 회전되게 설치해주는 힌지부재(31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천공부재(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에 제어되며,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4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400)는 천공부재(110) 즉 천공모터(111)의 정면 및 측면 한쪽에 각각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일자 형태의 레이저 광선을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조사하는 제1,2레이저모듈(410)(42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1,2레이저모듈(410)(420)의 레이저 광선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각각 조사되면, 상호 직교되면서 형성되는 교차점이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교차점은 구멍(1a) 및 드릴(111a)의 중심을 나타낸다.
그리고,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은 500매 이상에서 800매 이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드릴(111a)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111a) 천공 시 생성되는 연동칩을 배출하거나 따로 모아주는 배출장치(1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천공 여부를 확인하며, 몰딩튜브(2)의 잔량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판(210)의 제2밀착단(213)을 프레임(100)의 베이스판(102)의 양쪽 측면에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 및 베이스판(102)을 하우징(220)의 삽입공간(222)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101) 및 베이스판(102)은 하우징(220)의 삽입공간(222)에 밀착된다.
즉,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는 제2밀착단(213) 및 삽입공간(222)에 의해 용이하게 안내되어 프레임(100)의 하부몸체(101) 및 베이스판(102)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업판(210)의 작업구멍(211)은 드릴(111a) 및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 및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과 수직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구동모터(230)는 제어부(140)에 제어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엔코더(290) 및 위치센서(254)도 제어부(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를 프레임(100)에 설치할 때 사용한 각종 공구는 보관장치(300)에 보관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재(310)의 가이드(312)를 가이드레일(311)에 안내시켜 보관함(320)을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관함(320)은 인출부재(310)의 힌지부재(313)를 통해 회전시켜서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인출시킬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보관함(320)에 각종 공구를 넣어서 보관한다.
여기서, 상기 보관함(320)은 제본천공기(1000)의 구성요소들에 해당하는 부품들도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판(210) 및 테이블(260) 위로 다수의 인쇄물(1)을 적층시킨 후,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표시장치(400)의 레이저 광선을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에 조사한다.
그러면,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가 표시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2레이저모듈(410)(420)의 일자 형태의 레이저 광선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조사된다.
그러면, 상기 레이저 광선이 상호 직교되면서 형성된 교차점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표시된다.
즉, 상기 교차점은 천공부재(110)의 드릴(111a)의 중심과 동일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교차점은 구멍(1a)의 중심으로도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가 될 때까지, 표시장치(400)를 통해 확인하면서 작업판(210) 및 테이블(260) 위에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래서,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가 되면, 작업판(210)의 제1밀착단(212)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한쪽 측면을 밀착시키고 테이블(260)의 고정대(261)에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양쪽 측면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270)를 가이드봉(262)에 안내되도록 하강시켜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한 후, 고정부재(280)를 통해 상기 가압부재(270)를 가이드봉(262)에 고정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280)의 고정판(281)은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고정판(281)에 체결된 고정구(282)가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에 끼워져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이 가이드봉(262)에 끼워져 걸리게 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282a)는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 주변에 걸려서,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고정구(282)가 상기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70)는 가이드봉(262)에 설치된 제2탄성스프링(263)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다.
즉, 상기 가압부재(270)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고정부재(280)의 고정판(281)을 반대편 한쪽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고정판(281)에 체결된 고정구(282)가 반대편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에 끼움 및 걸림이 해제되고, 반대편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도 가이드봉(262)에 끼움 및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스프링(282b)은 반대편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판(281)에 의해 압축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80)의 고정 해제에 의해 가압부재(270)가 가이드봉(262)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70)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향해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압부재(270)의 가이드구멍(271)과 고정부재(280)의 제3걸림구멍(281a)이 가이드봉(262)에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며, 하강하는 상기 가압부재(270)에 의해 제2탄성스프링(263)이 압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압부재(270)의 가압부(274)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면, 고정부재(280)의 고정판(281) 누름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280)의 고정판(281)은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281)에 체결된 고정구(282)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에 끼워져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이 가이드봉(262)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282a)는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 주변에 걸려서, 제1탄성스프링(282b)의 탄성에 의해 고정구(282)가 상기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즉, 하강한 상기 가압부재(270)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한 상태로, 고정부재(280)의 고정에 의해 가이드봉(26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7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넓은 면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스프링(263)은 하강하여 고정된 가압부재(270)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3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30)의 회전축(232)에 구비된 제1기어(231)에 스크루축(240)의 제2기어(241)가 치합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테이블(260)에 고정된 이동구(250)가 상기 스크루축(240)의 나사선 및 하우징(220)의 이동구멍(2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기어(21a)(22a)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250)의 가이드구멍(252)도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축(251)에 안내된다.
즉,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테이블(260)에 놓여진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이 흔들림 없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2)의 양쪽 측면이 작업판(210)의 제2밀착단(213)에 밀착되고 베이스판(102) 및 하부몸체(101)가 하우징(220)의 삽입공간(222)에 삽입되어 밀착되었기 때문에,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테이블(260)에 놓여진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이 더 흔들림 없이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이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처음 시작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구동모터 구동이 멈추면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시작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천공모터(111)와 승강모터(111c)가 구동하게 되면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11c')에 랙기어(111b)가 치합되어 상기 천공모터(111)가 샤프트(113)(114)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모터(111)는 드릴(111a)을 빠르게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모터(111)의 하강으로 압축되는 압축스프링(115)에 의해 프레스암(112)도 하강하게 되면서 압축스프링(115a)을 압축하게 된다.
그래서, 하강하는 상기 프레스암(112)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고, 승강모터(111c)에 의해 천공모터(111)가 계속 하강하면서 압축스프링(115)을 계속 압축하게 되며, 드릴(111a)이 상기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 및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작업구멍(211)을 관통하면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에 구멍(1a)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을 드릴(111a)로 천공할 때 생성되는 연동칩은 배출장치(160)를 통해 배출되거나 따로 모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111a)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천공모터(111)는 승강모터(111c)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11c')에 랙기어(111b)가 치합되어 샤프트(113)(114)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압축스프링(115)에 대한 압축도 해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프레스암(112)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가압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압축스프링(153)에 의해 고정바(151)가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해서, 프레스암(112)의 스톱봉(112c)이 경사진 상태의 상기 고정바(151)의 걸림구멍(151a)에 끼워져 걸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천공모터(111) 및 프레스암(112) 하강 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이송모터(121)가 구동되면서 안내롤러(121a)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안내롤러(121a)에 의해 제1삽입관(120a)에 삽입된 몰딩튜브(2)가 제2삽입관(120b)으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천공모터(111)와 연결된 이동봉(122)도 샤프트(113)의 가이드구멍(113a)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상기 이동봉(122)에 회전부(122a)가 당김 해제되어 당김스프링(122c)의 당김에 의해 상기 회전부(122a)가 아래쪽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122a)가 칼날(122b)을 전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22a)에 연결된 당김스프링(122c)은 늘어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면, 전진하는 상기 칼날(122b)에 의해 제2삽입관(120b)이 열리게 되면서 몰딩튜브(2)가 하강하여,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을 관통한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3a)은 프레스암(112) 하강 시, 상기 프레스암(112)과 와이어(W)로 연결된 이동봉(123)과 같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2)가 길이를 가지도록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몰딩튜브(2)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여유길이를 가지면서, 상승한 지지판(123a)에 지지되어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23a)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23b)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111a)의 천공작업이 완료되어 천공모터(111) 상승 시, 이동봉(122)은 샤프트(113)의 가이드구멍(113a)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회전부(122a)는 상승하는 상기 이동봉(122)에 다시 당김되어 위쪽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당김스프링(122c)은 회전하는 회전부(122a)에 의해 원상태에서 다시 늘어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칼날(122b)은 상승하는 이동봉(122)에 다시 당김되는 회전부(122a)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후진하는 상기 칼날(122b)은 몰딩튜브(2)를 절단하면서 제2삽입관(120b)을 닫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천공모터(111) 및 승강모터(111c) 및 이송모터(121)의 구동이 멈추면서, 감속모터(130a)가 구동된다.
그러면, 회전하는 상기 감속모터(130a)의 제1기어(130a')에 캠축(130b)의 제2기어(130b')가 치합되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중심캠(130c)과 드럼캠(130d)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자(131)가 회전하는 중심캠(130c)의 끼움홈(130c')에서 빠져나와 상기 중심캠(130c)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순차적으로 제1,2링크(131a)(131b)가 연동되어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하는 상기 제2링크(131b)에 의해 연결대(131c)가 회전바(131d)를 당기면서 작동샤프트(131e)가 상기 회전바(131d)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131d)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31f)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회전바(131d)와 와이어(W)로 연결된 가이드풀리(132a)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풀리(132a)와 연결봉(132d)으로 연결된 회전바(132c)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드럼캠(130d)의 승강 안내로(130d')를 향해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2)가 끼워진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은 회전하는 회전바(132c)에 의해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133a)이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에서 빠져나오도록 작동샤프트(131e)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바(134)에 의해, 가림판(134a)이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은 후진하는 가림판(134a)에 의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바(13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바(134b)에 의해, 회전부재(134c)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회전부재(134c)의 전진에 의해, 가이드부재(134d)는 후진한 가림판(134a)의 반대 방향으로 즉 전진을 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4d)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상부 히터부(135)도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과 통하는 가이드구멍(112b)을 따라 전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히터부(135)의 관통구멍(135a)은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 및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 및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작업구멍(211)과 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 히터부(135)의 관통구멍(135a)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1a)하고도 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132c)에 설치된 작동롤러(132b)는 드럼캠(130d)의 승강 안내로(130d')에 삽입되어 상승 안내되고, 동시에 상기 드럼캠(130d) 주변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132e)를 따라 회전바(132c)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32f)도 상승 안내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은 순차적으로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 및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의 작업구멍(211) 및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1a) 및 상부 히터부(135)의 관통구멍(135a) 및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에 끼워진 몰딩튜브(2)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1a) 삽입되며, 상부 히터부(135)의 관통구멍(135a)에 일부 삽입되어 걸린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부(133)는 드럼캠(130d)의 승강 안내로(130d')에서 더 상승 안내되는 작동롤러(132b)에 의해 더 상승 안내되고, 몰딩튜브(2)의 상부가 상부 히터부(135)의 관통구멍(135a)에 지지된 상태로 더 상승하는 하부 히터부(133)에 의해 상기 몰딩튜브(2)의 하부가 가압된다.
이때, 상기 몰딩튜브(2)의 상,하부가 상,하부 히터부(135)(133)에 가열되어 성형된다.
그래서, 상기 몰딩튜브(2)의 상,하부는 가열 성형되어 확관부(2a)가 형성되면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묶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작동롤러(132b)가 드럼캠(130d)의 승강 안내로(130d')에 하강 안내되면서 가이드롤러(132f)도 가이드 플레이트(132e)에 하강 안내되며, 작동자(131)는 중심캠(130c)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다가 끼움홈(130c')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132c)가 샤프트(132)에 하강 안내되면서,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도 하강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자(131)가 중심캠(130c)의 끼움홈(130c')에 끼워지기 전에, 회전바(155)에 설치된 작동롤러(156)가 드럼캠(130d)의 상부면에 수평 안내되다가 경사돌기(130d'')에 의해 상승 안내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바(155)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바(155)에 연결된 작동봉(152)이 하강을 하게 되고, 상기 작동봉(152)의 걸림머리(152a)가 고정바(151)에 걸리게 되어 상기 고정바(151)가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51)는 지지대(154)에 수평 상태가 되도록 지지되면서 압축스프링(153)을 압축하게 되고, 걸림구멍(151a)에 끼워져 걸려서 고정되어 있던 프레스암(112)의 스톱봉(112c)은 상기 고정바(151)에서 고정 해제되면서 프레스암(112)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115a)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암(112)의 가이드구멍(112b)에 있던 상부 히터부(135)도 가이드부재(134d)를 통해 같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암(112)에 와이어(W)로 연결된 이동봉(123)은 지지판(123a)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23b)이 원상태로 복귀 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롤러(156)는 경사돌기(130d'')를 지난 후에 하강을 하게 되면서 회전바(155)는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바(155)에 연결된 작동봉(152)이 상승을 하게 되어 상기 작동봉(152)의 걸림머리(152a)가 고정바(151)에 더이상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면,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고정바(151)가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53)에 의해 고정바(151)가 베이스판(102)의 브라켓(102b)에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암(112)의 스톱봉(112c)은 경사진 상태의 고정바(151)의 걸림구멍(151a)에 다시 헐겁게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자(131)가 중심캠(130c)의 끼움홈(130c')에 끼워지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감속모터(130a)의 구동이 멈추게 된다.
또한, 순차적으로 상기 제1,2링크(131a)(131b)가 연동되어 원상태로 복귀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하는 상기 제2링크(131b)에 의해 연결대(131c)가 회전바(131d)를 밀게 되면서 작동샤프트(131e)가 상기 회전바(131d)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131d)와 와이어(W)로 연결된 가이드풀리(132a)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원상태로 복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풀리(132a)와 연결봉(132d)으로 연결된 회전바(132c)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지지판(123a)을 향해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늘어나 있던 상기 회전바(131d)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31f)은 원 상태로 복귀 되면서, 가이드풀리(132a)와 연결봉(132d)으로 연결된 회전바(132c)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지지판(123a)을 향해 더 빠르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하부 히터부(133)의 가이드핀(133a)은 회전하는 회전바(132c)에 의해,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133a)이 지지판(123a)의 빠짐구멍(123a')에 삽입되도록 작동샤프트(131e)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바(134)에 의해, 가림판(134a)이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2)의 가이드구멍(102a)은 전진하는 가림판(134a)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바(13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바(134b)에 의해, 회전부재(134c)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회전부재(134c)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34d)는 전진한 가림판(134a)의 반대 방향으로 즉 후진을 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4d)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상부 히터부(135)도 프레스암(112)의 관통구멍(112a)과 통하는 가이드구멍(112b)을 따라 후진을 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부재(110)와, 몰딩튜브 절단부재(120)와,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와, 프레스암 고정부재(150)가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140)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두번째 또는 그 이상의 천공 및 제본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의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를 다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엔코더(21)는 회전축(232)의 회전 즉 상기 회전축(232)에 구비된 회전판(291)의 회전을 검출센서(292)로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140)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구동모터(230)의 회전축(232)을 회전시켜, 제본천공기(1000)의 두번째 또는 그 이상의 천공 및 제본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이동구(250)를 정밀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를 통해 수작업 없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자동으로 책 형태로 묶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 및 제본작업이 완료되면, 고정부재(280)로 가압부재(270)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러면, 압축된 상기 제2탄성스프링(263)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270)가 고정부재(280)와 함께 상승하게 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된 상기 제2탄성스프링(263)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270)가 빠르게 상승하더라도 가이드봉(262)의 제2이탈방지부(262a)에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 주변이 걸리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재(270) 및 고정부재(280)가 가이드봉(2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상기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에서 책 형태로 된 다수의 인쇄물(1)을 빼낸다.
여기서, 책 형태로 된 다수의 인쇄물(1)은 500매 이상에서 800매 이하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작업 중,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센서(254)는 이동구(250)에 설치된 고정핀(253)이 지나갈 때 위치를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마지막에 측정된 측정정보를 토대로 고정핀(253)의 최종 위치 즉 이동구(250)의 최종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좌측 위치센서(254)와 중앙 위치센서(254) 사이 또는, 우측 위치센서(254)와 중앙 위치센서(254) 사이 또는, 좌측 위치센서(254) 또는, 중앙 위치센서(254) 또는, 우측 위치센서(254)에 최종 위치되는 고정핀(253)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그래서,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작업 시작 또는 초기화 시, 제어부(140)는 고정핀(253)의 최종 위치정보를 토대로 이동구(250)가 중앙 위치센서(254)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 구성요소들에 손상이 발생하면, 보관함(320)에 보관된 부품으로 각종 공구를 통해 교체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인쇄물 1a : 구멍
2 : 몰딩튜브 100 : 프레임
110 : 천공부재 120 : 몰딩튜브 절단부재
130 :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 140 : 제어부
200 : 이동식 테이블 장치 210 : 작업판
211 : 작업구멍 212 : 제1밀착단
213 : 제2밀착단 220 : 하우징
221 : 이동구멍 222 : 삽입공간
230 : 구동모터 231 : 제1기어
232 : 회전축 240 : 스크루축
241 : 제2기어 250 : 이동구
251 : 가이드축 252 : 가이드구멍
253 : 고정핀 254 : 위치센서
260 : 테이블 261 : 고정대
262 : 가이드봉 262a : 제2이탈방지부
263 : 제2탄성스프링 270 : 가압부재
271 : 가이드구멍 272 : 제1걸림구멍
273 : 제2걸림구멍 274 : 가압부
280 : 고정부재 281 : 고정판
281a : 제3걸림구멍 281b : 제1체결구멍
281c : 제2체결구멍 281d : 절곡부
282 : 고정구 282a : 제1이탈방지부
282b : 제1탄성스프링 290 : 엔코더
300 : 보관장치 310 : 인출부재
311 : 가이드레일 312 : 가이드
313 : 힌지부재 320 : 보관함
400 : 표시장치 410 : 제1레이저 모듈
420 : 제2레이저 모듈 1000 : 제본천공기

Claims (17)

  1.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1a)을 형성하는 천공부재(11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2)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절단된 몰딩튜브(2)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1a)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천공부재(110)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120) 및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상호 결합된 작업판(210)과 하우징(220)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판(210)은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구멍(211)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구멍(211)의 양쪽으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한쪽 측면이 밀착되는 제1밀착단(212)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제어부(140)에 제어되며 제1기어(231)가 회전축(232)에 구비된 구동모터(230)와, 상기 제1기어(231)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241)가 구비된 스크루축(240)과, 상기 스크루축(24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크루축(2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250)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는 이동구(25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멍(221)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구(250)에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양쪽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대(261)가 구비된 테이블(260)을 설치한 이동식 테이블 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인출부재(310)에 의해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함(320)이 상기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보관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부재(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에 제어되며, 상기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가이드축(251)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구(250)에는 가이드축(251)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는 프레임(1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210)에는 작업구멍(211)의 양쪽으로 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단(213)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어(231)(241)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260)의 외면에는 고정대(261)의 양쪽으로 가이드봉(262)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262)에는 상기 가이드봉(262)에 양쪽이 승강 안내되어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해서 고정하는 가압부재(270)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262) 및 가압부재(270)에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부재(270)를 가이드봉(262)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해주는 고정부재(28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70)는 가이드봉(262)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71)이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271)의 주변으로 제1,2걸림구멍(272)(27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80)는 가이드봉(262)에 안내되거나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걸리는 제3걸림구멍(281a)이 한쪽에 형성되고, 제1,2걸림구멍(272)(273)과 통하는 제1,2체결구멍(281b)(281c)이 반대편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3걸림구멍(281a)과 제1,2체결구멍(281b)(281c) 사이로 절곡부(281d)가 절곡 형성된 고정판(281)과,
    상기 고정판(281)의 제1,2체결구멍(281b)(281c)에 한쪽이 체결되면서 가압부재(270)의 제1,2걸림구멍(272)(273)을 반대편 한쪽이 관통하며, 상기 제1,2걸림구멍(272)(273)의 주변에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제1이탈방지부(282a)가 반대편 한쪽에 구비된 고정구(282)가 포함되며,
    상기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부재(270)로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판(281)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고정판(281)에 체결된 고정구(282)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2걸림구멍(272)(273)에 끼워져 걸리면서 제1이탈방지부(282a)가 상기 제1,2걸림구멍(272)(273)의 주변에 걸리고,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고정판(281)의 제3걸림구멍(281a)이 가이드봉(262)에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가압부재(270)가 고정부재(280)에 의해 가이드봉(26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80)는 가이드구멍(271) 및 제3걸림구멍(281a)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제2걸림구멍(273) 및 제2체결구멍(281c) 사이로 고정구(282)에 설치되는 제1탄성스프링(28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260)과 가압부재(270) 사이로 가이드봉(262)에 제2탄성스프링(263)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262)은 고정판(281)이 이탈되는 것을 막도록 제3걸림구멍(281a)의 주변이 걸리는 제2이탈방지부(26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7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70)의 중앙에는 테이블(26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74)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회전축(232)의 회전을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엔코더(29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250)의 외면에는 고정핀(253)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이동구(250)에 의해 이동하는 고정핀(253)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위치센서(254)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4. 제1항에 있어서,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은 500매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310)는 하우징(220)의 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1)과, 상기 보관함(32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11)에 안내되는 가이드(3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310)는 하우징(220)의 외면에 보관함(320)을 회전되게 설치해주는 힌지부재(3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400)는 천공부재(110)에 각각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일자 형태의 레이저 광선을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조사하는 제1,2레이저모듈(410)(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레이저모듈(410)(420)의 레이저 광선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각각 조사되면, 상호 직교되면서 형성되는 교차점이 천공부재(110)에 의해 형성될 구멍(1a)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
KR1020180056156A 2018-05-16 2018-05-16 제본천공기 KR10210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56A KR102100166B1 (ko) 2018-05-16 2018-05-16 제본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56A KR102100166B1 (ko) 2018-05-16 2018-05-16 제본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73A true KR20190131373A (ko) 2019-11-26
KR102100166B1 KR102100166B1 (ko) 2020-04-13

Family

ID=6873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56A KR102100166B1 (ko) 2018-05-16 2018-05-16 제본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610A (ko) * 2019-03-08 2020-09-1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2229949B1 (ko) 2020-03-04 2021-03-19 양응모 학습지 체결공 자동천공기
KR102330850B1 (ko) * 2020-07-21 2021-12-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적층판 전용 절단기
KR102490128B1 (ko) * 2022-01-17 2023-01-17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512428B1 (ko) *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KR20230072841A (ko) * 2021-11-18 2023-05-25 노희옥 가이드핀의 교체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하부 히터부재
KR20230073575A (ko) * 2021-11-19 2023-05-2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CN116442294A (zh) * 2023-06-19 2023-07-18 山东朗盛防水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切割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29Y1 (ko) 2000-02-15 2000-08-16 노희옥 제본기의 몰딩튜브 공급장치
KR100415590B1 (ko) * 2000-11-21 2004-01-31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KR100619131B1 (ko) * 2006-03-31 2006-09-01 (주)포스트오에이 전자동 천공기
KR200425977Y1 (ko) * 2006-06-21 2006-09-12 노희옥 제본천공기 및 천공기용 수납장치
KR20110007024U (ko) * 2010-01-07 2011-07-13 한복환 천공펀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29Y1 (ko) 2000-02-15 2000-08-16 노희옥 제본기의 몰딩튜브 공급장치
KR100415590B1 (ko) * 2000-11-21 2004-01-31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KR100619131B1 (ko) * 2006-03-31 2006-09-01 (주)포스트오에이 전자동 천공기
KR200425977Y1 (ko) * 2006-06-21 2006-09-12 노희옥 제본천공기 및 천공기용 수납장치
KR20110007024U (ko) * 2010-01-07 2011-07-13 한복환 천공펀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610A (ko) * 2019-03-08 2020-09-1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2229949B1 (ko) 2020-03-04 2021-03-19 양응모 학습지 체결공 자동천공기
KR102330850B1 (ko) * 2020-07-21 2021-12-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적층판 전용 절단기
KR20230072841A (ko) * 2021-11-18 2023-05-25 노희옥 가이드핀의 교체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하부 히터부재
KR20230073575A (ko) * 2021-11-19 2023-05-2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KR102490128B1 (ko) * 2022-01-17 2023-01-17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512428B1 (ko) *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CN116442294A (zh) * 2023-06-19 2023-07-18 山东朗盛防水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切割设备
CN116442294B (zh) * 2023-06-19 2023-08-29 山东朗盛防水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切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166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166B1 (ko) 제본천공기
KR101953360B1 (ko)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0619131B1 (ko) 전자동 천공기
EP0671325B1 (en) Compressive cutting mechanism having plural-edged cutter
KR20200059677A (ko)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20010081959A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KR102194224B1 (ko)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0940100B1 (ko) 판재 자동 천공 장치
US3506179A (en) Machine for making wirebound boxes
PL202026B1 (pl) Sposób wytwarzania płyt na bazie spoiwa hydraulicznego, linia produkcyjna do wytwarzania takich płyt i urządzenie w szczególności do wykonania odcisku oraz zastosowanie takiego urządzenia w linii produkcyjnej
JPS6044719B2 (ja) 紙幣失効装置
CN114643617B (zh) 一种纸板打孔装置
US3129622A (en) Blank forming machine and method of die cutting blanks
JP2007076044A (ja) 樹脂管を使用する自動製本機における残余樹脂管の排出装置
JP5891574B2 (ja) 鋼板コイルの結束バンド処理方法
KR102081224B1 (ko) 제본천공기용 상부 히터블록 위치 확인장치
US3848791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wooden frames
KR102490128B1 (ko)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361286B1 (ko) 중철제본벽걸이칼렌다 자동천공 및 자동보강판지삽입 온라인개별수축 포장라인
CN220332104U (zh) 一种纸质包装盒开孔机
KR102512428B1 (ko) 천공 제본 장치
US4049180A (en) Stitching head bypass apparatus
JP2704740B2 (ja) ロール巻きしたシート状物の穿孔・断截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374631B1 (ko) 중철제본벽걸이칼렌다 자동천공 및 자동보강판지삽입 온라인개별수축 포장라인
KR100644328B1 (ko) 천공 제본기의 천공을 위한 프레싱암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