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575A -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 Google Patents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575A
KR20230073575A KR1020210160110A KR20210160110A KR20230073575A KR 20230073575 A KR20230073575 A KR 20230073575A KR 1020210160110 A KR1020210160110 A KR 1020210160110A KR 20210160110 A KR20210160110 A KR 20210160110A KR 20230073575 A KR20230073575 A KR 2023007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tube
hole
guide
base plat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387B1 (ko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21016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해서 몰딩튜브를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몰딩튜브 공급부재는 관통구멍의 주변으로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외면에 각각 회전구멍 및 가이드구멍 및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회전구멍에 회전축이 회전되게 설치된 이송모터와; 회전축에 설치되는 안내롤러와;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축과; 안내롤러와 나란하도록 이동축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베어링과 가이드구멍의 사이로 이동축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축을 회전축을 향해 당겨주는 탄성부재와; 제본천공기의 상부몸체에 설치되어 몰딩튜브를 안내롤러와 베어링의 사이로 투입해주는 튜브 투입관;을 포함하되, 이송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몰딩튜브는 이동축을 회전축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에 의해 베어링에 가압되어 안내롤러에 밀착 안내되면서, 관통구멍을 통해 하강하여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Molding tube supply device for the bookbinding and bor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해서 몰딩튜브를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본천공기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 또는 서류 등과 같은 지편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일정 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몰딩튜브를 삽입하면서 그 양단을 성형하여 하나로 묶어 제본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가압하는 제1프레스암과;, 상기 상부몸체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제1프레스암을 가압하는 제2프레스암과;, 상기 제2프레스암을 하강시켜서 제1프레스암을 가압하게 하여, 상기 제1프레스암으로 베이스판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가압하게 하는 제1승강부재 등을 포함하는 제본천공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몰딩튜브가 안내롤러의 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몰딩튜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즉, 마찰력이 낮은 안내롤러에 의해 몰딩튜브의 공급이 늦춰져서, 제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2100170호(2020.04.07.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해서 몰딩튜브를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종래보다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에 설치되어, 몰딩튜브를 베이스판의 관통구멍을 통해 하강시켜 몰딩튜브 절단부재에 공급해주는 몰딩튜브 공급부재에 있어서, 몰딩튜브 공급부재는 관통구멍의 주변으로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외면에 각각 회전구멍 및 가이드구멍 및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회전구멍에 회전축이 회전되게 설치된 이송모터와; 회전축에 설치되는 안내롤러와;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축과; 안내롤러와 나란하도록 이동축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베어링과 가이드구멍의 사이로 이동축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축을 회전축을 향해 당겨주는 탄성부재와; 제본천공기의 상부몸체에 설치되어 몰딩튜브를 안내롤러와 베어링의 사이로 투입해주는 튜브 투입관;을 포함하되, 이송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몰딩튜브는 이동축을 회전축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에 의해 베어링에 가압되어 안내롤러에 밀착 안내되면서, 관통구멍을 통해 하강하여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몰딩튜브가 이동축을 회전축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에 의해 베어링에 가압되어 안내롤러에 밀착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즉, 몰딩튜브와 안내롤러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베어링의 가압으로 상승시켜서, 몰딩튜브가 안내롤러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어링의 외륜도 안내롤러와 함께 회전해서 몰딩튜브를 안내해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을 제본하기 위해서 몰딩튜브를 몰딩튜브 절단부재로 종래보다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몰딩튜브의 일부가 안내롤러의 삽입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베어링의 가압에 의해 몰딩튜브가 안내롤러와 베어링의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몰딩튜브의 일부가 베어링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면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서 안내되는 돌출 변형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몰딩튜브와 안내롤러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즉, 몰딩튜브가 안내롤러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변형이 어려운 판스프링 등과 달리 변형이 용이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내롤러와 베어링의 사이로 몰딩튜브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줄, 밴드 등과 달리 잘 끊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몰딩튜브 공급부재가 포함된 제본천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몰딩튜브 공급부재가 포함된 제본천공기의 상세도 및 확대도,
도 20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몰딩튜브 공급부재가 포함된 제본천공기의 천공 및 제본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제본천공기(1000)는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몸체(130)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상부몸체(13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베이스판(12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가압하는 제1프레스암(200)과; 상기 상부몸체(13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제1프레스암(200)을 가압하는 제2프레스암(300)과; 상기 제2프레스암(300)을 하강시켜서 제1프레스암(200)을 가압하게 하여, 상기 제1프레스암(200)으로 베이스판(12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가압하게 하는 승강부재(4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하부몸체(110) 및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베이스판(12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510) 및,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을 제본하는 연질의 몰딩튜브(2)를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하부 히터부(520)를 이송해주는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베이스판(120) 및 상부몸체(130)에 설치되어 몰딩튜브(2)를 상기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1)을 통해 하부 히터부(520)의 가이드핀(521)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700)에 공급해주는 몰딩튜브 공급부재(600)와; 하부몸체(110) 및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2)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7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상부몸체(130) 및 제1프레스암(200)에 설치되어 하부 히터부(520)와 함께 몰딩튜브(2)를 가열 성형하는 상부 히터부(800)와; 상기 상부 히터부(800)가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상부몸체(130)에 전,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히터부(800)를 전,후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부재(810)와;, 베이스판(120) 및 상기 상부몸체(130)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제1프레스암(200)을 고정 및 고정해제해주는 프레스암 고정부재(9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몸체(130)에 설치되어 상기 제본천공기(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드릴(510) 천공 시 생성되는 폐기칩을 수거하는 수거함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버튼 누름식 또는 화면 터치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20)은 드릴(510) 및 하부 히터부(520)의 가이드핀(521)에 관통되는 관통구멍(122)이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상부 히터부(800)가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드릴(510)에 관통되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는 스톱봉(2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봉(210)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스암(300)은 걸림부(311)가 구비된 이동봉(3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봉(310)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400)는 상부몸체(110)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411)가 설치된 승강모터(410)와;, 제2프레스암(300)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411)에 치합되는 랙기어(4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베이스판(120)의 하부 면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풀리(531)가 설치된 천공모터(530)와; 상기 회전축에 한쪽이 관통되면서 베어링에 의해 천공모터(51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반대편 한쪽에 제1,2가이드봉(541)(542)이 설치된 회전블록(5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531)는 회전블록(540)의 한쪽을 관통한 회전축의 한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제2프레스암(300)을 한쪽이 관통하며, 상기 한쪽에 승강부재(400)에 의해 상승하는 제2프레스암(300)에 걸리는 걸림부(551)가 설치되고, 반대편 한쪽이 회전블록(540)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400)에 의해 상승하는 제2프레스암(300)에 걸림부(551)가 걸리면 회전블록(540)을 당겨서 천공모터(530)에서 회전시키는 와이어(5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50)는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제1가이드봉(541)에 안내되어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외면에 수평홈(561)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에 수평홈(561)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구멍(562)이 관통 형성된 제1승강블록(56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풀리(531)와 구동벨트로 연결되는 풀리(511)가 설치되고, 베어링에 의해 회전블록(540) 및 제1승강블록(56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관통구멍(122)을 통해 베이스판(12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51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제2가이드봉(542)에 안내되어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외면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하는 몰딩튜브(2)를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하부 히터부(520)가 설치되며, 상기 외면에 수평홈(571)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에 수평홈(571)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구멍(572)이 관통 형성된 제2승강블록(57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하부몸체(110)에 설치되며, 제1승강블록(560)을 제1가이드봉(541)을 따라 승강시켜주고, 와이어(550)의 당김에 의해 회전블록(540)이 회전한 후 제2승강블록(570)을 제2가이드봉(542)을 따라 승강시켜주는 승강부재(58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80)는 하부몸체(110)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581a)가 설치된 승강모터(581)와; 상기 하부몸체(11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581a)에 치합되는 랙기어(582)와;, 상기 랙기어(582)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홈(561)(571)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에 의해 제1,2승강블록(560)(570)을 각각 승강시켜주는 승강부(58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는 베이스판(120)의 하부 면에 설치되며, 승강하는 제1,2승강블록(560)(570)의 수직구멍(562)(572)에 삽입되어 안내해주는 가이드봉(59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재(600)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외면에 각각 회전구멍(611) 및 가이드구멍(612) 및 고정부(613)가 형성된 고정브라켓(6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멍(611) 및 가이드구멍(612)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브라켓(610)의 외면에 형성되며, 고정부(613)는 상기 회전구멍(611)의 주변으로 베이스판(120)에 근접한 고정브라켓(6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멍(612)은 고정브라켓(610)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재(600)는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회전구멍(611)에 회전축(621)이 회전되게 설치된 이송모터(620)와; 상기 회전축(621)에 설치되는 안내롤러(6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롤러(630)의 외면에는 몰딩튜브(2)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631)에는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걸림홈(632)이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롤러(6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로렛트 가공에 의해 삽입홈(631) 및 걸림홈(6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재(600)는 가이드구멍(6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축(640)과; 상기 안내롤러(630)와 나란하도록 이동축(640)에 설치되는 베어링(650)과; 상기 베어링(650)과 가이드구멍(612)의 사이로 이동축(64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60)와; 상기 고정부(613)와 고정부재(6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축(640)을 회전축(621)을 향해 당겨주는 탄성부재(670)와;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상부몸체(130)에 설치되어 몰딩튜브(2)를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사이로 투입해주는 튜브 투입관(68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7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이동축(640)은 가이드구멍(61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660)는 'ㄱ'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70)의 양쪽은 고정부(613)에 형성된 구멍과, 베이스판(120)에 인접한 고정부재(660)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사이의 간격은 몰딩튜브(2)의 밀착 안내를 위해서 상기 몰딩튜브(2)의 지름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외면에는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위로 튜브 투입관(680)에서 배출되는 몰딩튜브(2)에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700)는 하부몸체(11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승강하는 이동봉(310)의 걸림부(311)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어 회전하는 회전부(710)와;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몰딩튜브(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721)이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721)의 주변으로 가이드홈(722)이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7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700)는 회전부(710)에 한쪽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7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이드홈(722)에서 전,후진 하여 몰딩튜브(2)를 절단하는 칼날부(730)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며, 제1프레스암(200)과 와이어(741)로 연결되는 이동봉(74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700)는 이동봉(740)에 설치되며, 몰딩튜브 공급부재(600)에 의해 관통구멍(121)을 관통한 몰딩튜브(2)를 지지하며, 가이드핀(521)이 삽입되었다가 빠지는 빠짐구멍(751)이 외면에 형성된 지지판(75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810)는 제2프레스암(300)을 한쪽이 관통하며, 상기 한쪽에 승강부재(400)에 의해 상승하는 제2프레스암(300)에 걸리는 걸림부(81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400)에 의해 상승하는 제2프레스암(300)에 걸림부(812)가 걸리면 가이드부재(810)를 당겨서 상부 히터부(800)를 제본하기 위해 전진시키는 와이어(8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는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910)과;, 상기 고정브라켓(91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스톱봉(210)이 걸리는 걸림구멍(921)이 외면에 형성된 스톱바(9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는 베이스판(120)에 설치되어 걸림구멍(921)의 반대편으로 스톱바(920)의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9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바(920)는 지지스프링(930)에 의해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봉(210)은 걸림구멍(921)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는 상부몸체(13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승강부재(400)의 피니언 기어(411)의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411)에 설치된 걸림구(941)에 걸려서 회전하는 회전바(9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는 스톱바(920)와 회전바(940)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11)의 걸림구(941)에 걸려서 회전바(940)가 상승하도록 회전하면 스톱바(920)를 당겨서 상기 스톱바(920)가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 기어(411)의 걸림구(941)에 걸려서 회전바(940)가 하강하도록 회전하면 스톱바(920)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스톱바(920)가 지지스프링(930)에 의해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되게 해주는 와이어(9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950)는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포함된 구성들이 동작 후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해주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20)에 다수의 인쇄물(1)이 적층된 상태에서 천공을 하기 위해,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를 제어하여 승강부재(400)의 승강모터(41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410)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411)에 치합된 랙기어(420)가 하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420)가 설치된 제2프레스암(300)이 하강하게 되면서, 제1프레스암(200)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의 회전바(940)는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11)의 걸림구(941)에 걸리면서 상승하도록 회전을 하게 되며, 와이어(950)는 상승하는 상기 회전바(940)에 의해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스톱바(920)을 한쪽을 당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바(920)는 지지스프링(930)에 의해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다가, 와이어(950)의 당김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스암(200)에 설치된 스톱봉(210)은 스톱바(920)가 수평 상태가 되면서 걸림구멍(921)에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에서 고정 해제된 상태가 된다.
그래서,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하강하는 제2프레스암(300)에 가압되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제2프레스암(300)과 함께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가압하여 베이스판(120)에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봉(210)은 걸림구멍(921) 및 베이스판(120)을 관통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제1프레스암(200)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은 늘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스암(300)에 설치된 이동봉(310)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2프레스암(300)과 함께 하강하게 되고, 몰딩튜브 절단부재(700)의 회전부(710)를 걸어서 고정하고 있던 걸림부(311)도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710)는 늘어나 있던 복귀스프링이 원상 복귀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며, 칼날부(730)는 연결된 상기 회전부(710)에 의해 가이드부(720)의 가이드홈(722)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1)과 가이드부(720)의 관통구멍(721)은 후진한 칼날부(730)에 의해 개방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700)의 이동봉(740)은 하강하는 제1프레스암(200)에 의해 와이어(741)에 당겨지면서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봉(740)에 설치된 지지판(750)도 가이드부(720)의 관통구멍(721)을 향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750)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20)에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이 제1,2프레스암(200)(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가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의 승강부재(58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581)의 회전축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581a)에 치합된 랙기어(582)가 상승을 하게 되고, 상승하는 상기 랙기어(582)의 승강부(583)에 수평홈(561)이 걸리면서 제1승강블록(560)이 제1가이드봉(541)을 따라 상승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블록(560)의 수직구멍(562)은 베이스판(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봉(590)이 삽입되면서 안내된다.
즉, 상기 제1승강블록(56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가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의 천공모터(53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천공모터(530)의 회전축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구동벨트로 연결된 풀리(511)(531)가 회전을 하게 되고, 드릴(510)도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510)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블록(540) 및 제1승강블록(560)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블록(560)이 최고점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드릴(510)은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2)을 관통하여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승강부재(580)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581)의 회전축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581a)에 치합된 랙기어(582)가 하강을 하게 되고, 상기 랙기어(582)의 승강부(583)에 수평홈(561)이 걸리면서 제1승강블록(560)이 제1가이드봉(541)을 따라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블록(560)의 수직구멍(562)은 베이스판(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봉(590)에 안내된다.
즉, 상기 제1승강블록(56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제본을 하기 위해 승강부재(400)의 승강모터(41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410)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411)에 치합된 랙기어(420)가 상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420)가 설치된 제2프레스암(300)이 상승하게 되면서, 제1프레스암(200)에 대한 가압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의 회전바(940)는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11)의 걸림구(941)에 걸리면서 하강하도록 회전을 하게 되며, 와이어(950)는 하강하는 상기 회전바(940)에 의해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느슨하게 풀어진다.
즉, 상기 와이어(950)는 스톱바(920)을 한쪽을 당기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바(920)는 지지스프링(930)에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프레스암(200)에 설치된 스톱봉(210)은 스톱바(920)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서 걸림구멍(921)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계속 가압하여 베이스판(120)에 고정되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몰딩튜브 공급부재(6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2)는 튜브 투입관(680)을 통해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사이에 투입된 상태이다.
즉, 상기 몰딩튜브(2)의 끝 부분은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다.
그러면, 상기 이송모터(620)의 회전축(621)은 회전을 하게 되고, 몰딩튜브(2)는 상기 회전축(621)에 의해 회전하는 안내롤러(630)에 하강 안내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650)의 외륜은 하강하는 몰딩튜브(2)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몰딩튜브(2)를 하강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640)은 안내롤러(630) 및 베어링(650)에 안내되는 몰딩튜브(2)에 의해, 가이드구멍(6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621)에서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몰딩튜브(2)는 고정부(613)와 고정부재(6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축(640)을 회전축(621)으로 당겨주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670)에 의해, 베어링(650)에 가압되어 안내롤러(630)에 밀착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670)는 몰딩튜브(2)에 의해 팽창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으로 고정부재(660)를 당기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660)가 설치된 이동축(640)은 가이드구멍(6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621)으로 다시 가까워져 베어링(650)이 몰딩튜브(2)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2)의 일부는 안내롤러(630)의 삽입홈(631)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2)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삽입홈(631)에 삽입된 상기 몰딩튜브(2)의 일부는 베어링(650)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면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632)에 삽입되어 걸려서 안내되는 돌출 변형턱(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몰딩튜브(2)는 안내롤러(630)에 더 밀착되어 안내된다.
그래서, 상기 몰딩튜브(2)는 관통구멍(121)을 통해 하강하여 몰딩튜브 절단부재(700)로 공급된다.
그리고, 하강한 상기 몰딩튜브(2)는 하부 히터부(520)의 가이드핀(521)에 끼워지면서, 지지판(750)에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스암(300)에 설치된 이동봉(310)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2프레스암(300)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몰딩튜브 절단부재(700)의 회전부(710)가 걸림부(311)에 걸려서 회전을 하게 되며, 복귀스프링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730)는 연결된 회전부(710)에 의해 가이드부(720)의 가이드홈(722)을 따라 전진하게 되면서, 몰딩튜브(2)의 일부를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1)과 가이드부(720)의 관통구멍(721)은 전진한 칼날부(730)에 의해 폐쇄되며, 절단되지 않은 몰딩튜브(2)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칼날부(73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승하는 상기 제2프레스암(300)에 걸림부(812)가 걸리면서 와이어(811)가 가이드부재(810)를 당기게 되며, 복귀스프링은 늘어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히터부(800)는 가이드부재(810)에 의해 제1프레스암(200)의 내부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승하는 상기 제2프레스암(300)에 걸림부(551)가 걸리면서 와이어(550)가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회전블록(540)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블록(540)은 베어링에 의해 천공모터(530)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제1,2승강블록(560)(570)은 제1,2가이드봉(541)(542)에 걸리면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록(540)을 따라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승강블록(570)의 수평홈(571)에는 승강부(58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2)가 끼워진 가이드핀(521)은 지지판(750)의 빠짐구멍(751)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회전블록(540)에 연결된 복귀스프링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500)의 승강부재(580)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하부 히터부(800)(520)에 전류를 공급하여 가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581)의 회전축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581a)에 치합된 랙기어(582)가 상승을 하게 되고, 상승하는 상기 랙기어(582)의 승강부(583)에 수평홈(571)이 걸리면서 제2승강블록(570)이 제2가이드봉(542)을 따라 상승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블록(570)의 수직구멍(572)은 베이스판(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봉(590)이 삽입되면서 안내된다.
즉, 상기 제2승강블록(57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블록(570)이 최고점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하부 히터부(520)의 가이드핀(521)은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2) 및,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 및, 상부 히터부(800) 및 제1프레스암(200)을 관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몰딩튜브(2)의 상,하부는 상,하부 히터부(800)(520)에 압착 가열되어 성형된다.
즉, 상기 몰딩튜브(2)는 가열 성형되면서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승강부재(580)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581)의 회전축은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581a)에 치합된 랙기어(582)가 하강을 하게 되고, 상기 랙기어(582)의 승강부(583)에 수평홈(571)이 걸리면서 제2승강블록(570)이 제2가이드봉(542)을 따라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블록(570)의 수직구멍(572)은 베이스판(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봉(590)에 안내된다.
즉, 상기 제2승강블록(57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제어부는 승강부재(400)의 승강모터(41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모터(410)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피니언 기어(411)에 치합된 랙기어(420)가 하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420)가 설치된 제2프레스암(300)이 하강을 하게 되면서, 걸림부(551)(812)는 걸림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551)(812)가 설치된 와이어(550)(811)는 느슨하게 풀어진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부재(810)는 복귀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후진을 하게 되고, 상부 히터부(800)도 제1프레스암(200)의 내부에서 후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540)은 복귀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베어링에 의해 천공모터(530)에서 원상태가 되도록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승강블록(560)(570)은 제1,2가이드봉(541)(542)에 걸리면서 회전블록(540)과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승강부(583)는 수평홈(56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750)은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1)을 마주보게 되면서, 빠짐구멍(751)으로 하부 히터부(520)의 가이드핀(521)이 원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의 회전바(940)는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11)의 걸림구(941)에 걸리면서 상승하도록 회전을 하게 되며, 와이어(950)는 상승하는 상기 회전바(940)에 의해 베이스판(120)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스톱바(920)을 한쪽을 당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바(920)는 지지스프링(930)에 의해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다가, 와이어(950)의 당김에 의해 고정브라켓(910)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스암(200)에 설치된 스톱봉(210)은 스톱바(920)가 수평 상태가 되면서 걸림구멍(921)에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프레스암 고정부재(900)에서 고정 해제된 상태가 된다.
그래서, 상기 제1프레스암(200)은 복귀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승하여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가압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스암(200)에 연결된 와이어(741)는 느슨하게 풀어지게 되며, 상기 와이어(741)에 연결된 이동봉(740)은 지지판(750)에 연결된 복귀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원상태로 하강을 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을 다시 반복하여, 다수의 인쇄물(1)을 30매 이상 ~ 800매 이하로 이루어진 책 형태로 만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2 : 몰딩튜브 2a : 돌출 변형턱
100 : 프레임 110 : 하부몸체
120 : 베이스판 121 : 관통구멍
130 : 상부몸체 200 : 제1프레스암
300 : 제2프레스암 400 : 승강부재
500 : 드릴 및 하부 히터부 이송장치 600 : 몰딩튜브 공급부재
610 : 고정브라켓 611 : 회전구멍
612 : 가이드구멍 613 : 고정부
620 : 이송모터 621 : 회전축
630 : 안내롤러 631 : 삽입홈
632 : 걸림홈 640 : 이동축
650 : 베어링 660 : 고정부재
670 : 탄성부재 680 : 튜브 투입관
700 : 몰딩튜브 절단부재 800 : 상부 히터부
810 : 가이드부재 900 : 프레스암 고정부재
1000 : 제본천공기

Claims (4)

  1. 제본천공기(1000)에 설치되어, 몰딩튜브(2)를 베이스판(120)의 관통구멍(121)을 통해 하강시켜 몰딩튜브 절단부재(700)에 공급해주는 몰딩튜브 공급부재(600)에 있어서,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재(600)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외면에 각각 회전구멍(611) 및 가이드구멍(612) 및 고정부(613)가 형성된 고정브라켓(610)과;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회전구멍(611)에 회전축(621)이 회전되게 설치된 이송모터(620)와; 상기 회전축(621)에 설치되는 안내롤러(630)와; 상기 가이드구멍(6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축(640)과; 상기 안내롤러(630)와 나란하도록 이동축(640)에 설치되는 베어링(650)과; 상기 베어링(650)과 가이드구멍(612)의 사이로 이동축(64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60)와; 상기 고정부(613)와 고정부재(6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축(640)을 회전축(621)을 향해 당겨주는 탄성부재(670)와; 상기 제본천공기(1000)의 상부몸체(130)에 설치되어 몰딩튜브(2)를 안내롤러(630)와 베어링(650)의 사이로 투입해주는 튜브 투입관(680);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터(620)의 회전축(621)을 회전시키면, 몰딩튜브(2)는 이동축(640)을 상기 회전축(621)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670)에 의해 베어링(650)에 가압되어 안내롤러(630)에 밀착 안내되면서, 관통구멍(121)을 통해 하강하여 몰딩튜브 절단부재(70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630)의 외면에는 몰딩튜브(2)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31)을 링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631)에는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걸림홈(632)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몰딩튜브(2)의 일부는 베어링(650)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면서 걸림홈(632)에 삽입되어 걸려서 안내되는 돌출 변형턱(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7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KR1020210160110A 2021-11-19 2021-11-19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KR10261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10A KR102619387B1 (ko) 2021-11-19 2021-11-19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10A KR102619387B1 (ko) 2021-11-19 2021-11-19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575A true KR20230073575A (ko) 2023-05-26
KR102619387B1 KR102619387B1 (ko) 2023-12-28

Family

ID=8653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110A KR102619387B1 (ko) 2021-11-19 2021-11-19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914A (zh) * 2015-11-19 2016-03-23 河北汇金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级联动的全自动装订机及其控制方法
KR20190131373A (ko) * 2018-05-16 2019-11-26 노희옥 제본천공기
KR102100170B1 (ko) 2019-07-19 2020-04-13 노희옥 제본천공기
KR20200059677A (ko) * 2018-11-21 2020-05-2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20200107610A (ko) * 2019-03-08 2020-09-1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914A (zh) * 2015-11-19 2016-03-23 河北汇金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级联动的全自动装订机及其控制方法
KR20190131373A (ko) * 2018-05-16 2019-11-26 노희옥 제본천공기
KR20200059677A (ko) * 2018-11-21 2020-05-2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20200107610A (ko) * 2019-03-08 2020-09-16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2100170B1 (ko) 2019-07-19 2020-04-13 노희옥 제본천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387B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60B1 (ko)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TWI331075B (en) Paper cutting apparatus having shifting cutter board
KR102100170B1 (ko) 제본천공기
KR100415590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KR102100166B1 (ko) 제본천공기
JP2012166319A (ja) 自動製本機の穿孔装置の構造
CN206030820U (zh) 自动档案装订机
KR20230073575A (ko)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KR102194224B1 (ko)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CN112192669A (zh) 一种家具生产用木棍打孔设备
CN110154147B (zh) 冲孔装置
CN208469365U (zh) 会计票据装订装置
KR200451962Y1 (ko) 천공기 및 제본천공기의 천공장치
CN112297124B (zh) 一种服饰用四孔纽扣均匀打孔机
KR102539673B1 (ko)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CN112692928A (zh) 一种机械加工用条板自动打孔装置
KR102557465B1 (ko) 가이드핀의 교체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하부 히터부재
JP6081197B2 (ja) 綴じ装置
KR200193629Y1 (ko) 제본기의 몰딩튜브 공급장치
CN212266042U (zh) 带限位装置的会计账本打孔机
CN214295156U (zh) 一种a4大会计凭证的自动装订装置
KR200193628Y1 (ko) 제본기의 몰딩성형장치
CN112355350A (zh) 一种建筑材料打孔装置
CN213796877U (zh) 一种新式办公用品纸材打孔机
KR0138407B1 (ko)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