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168A -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168A
KR20190131168A KR1020180055709A KR20180055709A KR20190131168A KR 20190131168 A KR20190131168 A KR 20190131168A KR 1020180055709 A KR1020180055709 A KR 1020180055709A KR 20180055709 A KR20180055709 A KR 20180055709A KR 20190131168 A KR20190131168 A KR 2019013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lenge
content
success rate
challeng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571B1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5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전자 단말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여 도전목표 리스트를 갱신하는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가 갱신되면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기 도전하였던 이전 도전 내용을 획득하여 상기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하는 도전 성공률 결정부, 상기 도전 성공률을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에게 제공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하는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 및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키는 도전 진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전자의 목표달성을 위해 도전 내용에 일정한 금액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REVENUE DISTRIBUTION APPARATUS USING THE ACHIEVEMENT OF THE CHALLENGE GOAL}
본 발명은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전자의 목표달성을 위해 도전 내용에 일정한 금액을 지원할 수 있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발전하기 위해 매해 또는 매달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중간에 도전을 포기하는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사람들이 설정하는 목표의 난이도는 개인별로 다양하고, 난이도가 높은 목표일수록 그에 따른 성취도도 높아지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노력 또한 커지게 되어 도전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들의 수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2465(2008.06.30)호는 목표달성 연관 상품의 수익 배분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가 일련의 자기계획 목표와, 상기 자기계획 목표에 대응하는 이용자 조건을 등록하면, 자기계획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문가 추천 목표달성 일정 정보를 수립하여 제공하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상기 추천 상품 구매시, 상기 추천 상품 구매에 의해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상기 전문가에게 배분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7063(2009.05.04)호는 목표 달성형 펀드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주기적으로 고객의 펀드 가입에 따른 평가금액(좌수*기준가를 통해 산출되는 평가금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이 기 설정한 펀드 목표 금액 정보와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이 상기 목표 금액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이 상기 목표 금액에 도달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펀드 금액을 상기 고객이 기 설정한 계좌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2465(2008.06.3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7063(2009.05.0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전자의 목표달성을 위해 도전 내용에 일정한 금액을 제공할 수 있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도전자 단말 및 도전 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이전 도전 내용에 관한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를 획득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는 도전자 단말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여 도전목표 리스트를 갱신하는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가 갱신되면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기 도전하였던 이전 도전 내용을 획득하여 상기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하는 도전 성공률 결정부, 상기 도전 성공률을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에게 제공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하는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 및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키는 도전 진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도전 내용으로부터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를 추출하여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도전목표 아이템을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도전 유형 및 상기 도전 기간을 기초로 달성 가능한 기준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범위 내에 상기 설정 목표가 포함되는 경우에만 상기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성공률 결정부는 상기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상기 이전 도전 내용에 관한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를 획득하여 상기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성공률 결정부는 상기 이전 도전 내용 중 상기 도전 유형, 상기 도전 기간 및 상기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는 상기 도전 내용을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하고 상기 도전 성공률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진행부는 상기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부분 도전 내용의 수가 특정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는 상기 도전 내용이 개시된 경우 상기 도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까지의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진행상황 관리부 및 상기 도전 내용의 종료시점에서의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상기 도전 내용의 성패를 결정하고 상기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상기 도전자 단말 및 상기 도전 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하는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는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도전자 단말 및 도전 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는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이전 도전 내용에 관한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를 획득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에서 수행되는 수익 분배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5는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에서 도전자 단말 및 도전 지원 단말에 제공하는 도전 진행상황 확인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시스템(100)은 도전자 단말(110), 수익 분배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을 포함한다.
도전자 단말(110)은 개인 목표에 도전하려는 도전자가 도전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지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전을 개시한 경우 도전 종료까지 도전 진행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전자 단말(110)은 수익 분배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자 단말(110)은 수익 분배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자 단말(110)은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도전자로부터 도전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전 내용은 도전자가 도전하려는 도전 목표에 관한 것으로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자 단말(110)은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에 대한 선택 옵션을 제공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전자로부터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전자는 다양한 도전 아이템을 포함하는 도전 유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옵션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해당 도전 아이템에 맞춰 도전 기간을 선택하고, 설정 목표를 선택함으로써 도전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고 해당 도전 내용의 성패에 따라 도전 지원 금액을 도전자 단말 및 도전 지원 단말에 분배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자 단말(110) 또는 도전 지원 단말(17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도전자 단말(110) 또는 도전 지원 단말(17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수익 분배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와 별도로 구현된 경우 수익 분배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수익 분배 장치(130)가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고 도전 지원 단말(170)로부터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하여 도전 내용의 성패에 따라 해당 금액을 분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도전 내용 및 도전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도전목표 리스트 정보 및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도전 내용에 대한 도전 지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익 분배 장치(130)가 도전 내용의 성패에 따라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지원 단말(170)은 도전목표 리스트에 포함된 도전 내용을 기초로 해당 도전 내용의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도전 지원 금액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전 지원 단말(170)은 수익 분배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170)은 수익 분배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 도전 진행부(240), 진행상황 관리부(250),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여 도전목표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도전목표 리스트는 복수의 도전자 단말(110)들로부터 수신한 도전 내용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고,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목표 리스트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 지원 단말(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 내용으로부터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를 추출하여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하고 도전목표 아이템을 도전목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전자 단말(110)은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전자로부터 도전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고,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도전 내용을 분석하여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 내용으로부터 도전 유형으로 '몸무게', 도전 기간으로 '3달', 설정 목표로 '-5kg'을 추출하여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 내용으로부터 도전 유형으로 '화장실청소', 도전 기간으로 '1달', 설정 목표로 '매주 월요일 실시'를 추출하여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목표 아이템의 생성 순서에 따라 식별 아이디를 부여하여 도전목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 유형 및 도전 기간을 기초로 달성 가능한 기준 범위를 결정하고 기준 범위 내에 설정 목표가 포함되는 경우에만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범위는 도전 유형에 대하여 도전 기간동안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달성할 수 있는 도전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유형이 '몸무게'이고 도전 기간이 '1달'인 경우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1달 동안 감량 가능한 몸무게의 범위는 -5kg ∼ +5kg 이므로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기준 범위를 '-5kg ∼ +5kg'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도전자가 도전 내용으로서 도전 기간 1달 내에 '-10kg'을 설정 목표로 입력한 경우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는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목표달성 가능성이 없는 도전 내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목표 리스트가 갱신되면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기 도전하였던 이전 도전 내용을 획득하여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도전 성공률은 도전자가 해당 도전 내용을 도전 기간 내에 달성할 확률에 해당하고,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자가 과거에 도전했던 기록들을 이용하여 도전 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이전 도전 내용에 관한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를 획득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자 단말(110)과의 통신을 통하여 도전자 단말(110)을 식별할 수 있고, 해당 도전자 단말(110)과 연관된 도전자의 프로필을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도전자가 과거에 도전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는 관련 도전 기록 뿐만 아니라 해당 도전자의 프로필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처음 도전을 시도하는 도전자의 경우 데이터베이스(150)에 도전 기록이 없기 때문에 도전자 단말(110)에 도전 내용의 입력과 별도로 도전자 프로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도전자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자 프로필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해당 도전자의 과거 도전기록으로부터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또는 실패 횟수를 획득할 수 있고, 도전 횟수에 대한 성공 비율 또는 실패 비율을 산출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이전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을 추출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도전자의 과거 도전기록 중에서 현재의 도전 내용과 유사한 도전기록만을 이용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함으로써 도전 성공률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이전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을 추출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R은 도전 성공률에 해당하고, W1, W2 및 W3은 가중치에 해당하고, R1, R2 및 R3은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중 각각 1개, 2개 및 3개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들을 기초로 도전 횟수에 대한 성공 횟수의 비율로서 산출된 도전 성공률에 해당한다. 또한, W1+W2+W3=1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이전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을 추출하여 다음의 수학식 2을 통해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R은 도전 성공률에 해당하고, Rt는 전체 이전 도전 내용들을 기초로 산출된 도전 성공률에 해당하고, Ri는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중 i개(단, i는 1 내지 3)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들을 기초로 도전 횟수에 대한 성공 횟수의 비율로서 산출된 도전 성공률에 해당한다. 도전 성공률 R은 도전 성공률 Rt에서 도전 성공률 Rt 및 도전 성공률 Ri 간의 차들의 평균에 대한 루트값을 뺀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이전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의 도전 내용과 특정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 이전 도전 내용만을 추출하여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에 각각 2, 1, 1의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현재 도전 내용과 도전 유형만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과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만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은 현재 도전 내용과 동일한 유사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이전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모두 일치하는 이전 도전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전 도전 내용에 대한 과거의 성패 결과를 기초로 현재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 모두 일치하는 이전 도전 내용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이전 도전 내용이 과거에 모두 성공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는 현재의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1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는 도전 성공률을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170)에게 제공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도전 지원 단말(170)은 도전목표 리스트에 포함된 도전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에 의해 제공된 각 도전 내용에 대한 도전 성공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전 지원자는 도전 지원 단말(170)을 통해 도전 지원 금액을 입력하고 결제함으로써 도전 지원 금액을 해당 도전 내용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는 도전 내용을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하고 도전 성공률을 기초로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도전 지원 금액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내용 중 도전 유형이 '몸무게', 도전 기간이 '1달', 설정 목표가 '-5kg'인 경우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는 해당 도전 내용 중 설정 목표를 대상으로 '-5kg', '-4kg', '-3kg', '-2kg' 및 '-1kg'으로 분할하여 각 설정 목표로 구성된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는 도전 성공률이 80%인 경우 전체 설정 목표인 '-5kg'의 80%에 해당하는 '-4kg'를 설정 목표로 포함하는 부분 도전 내용에 도전 지원 금액을 할당할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여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170)로부터 수신한 도전 지원 금액을 기초로 도전 내용에 대한 성공 및 실패 각각에 지원된 도전 지원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도전 지원 금액의 총액을 기준으로 도전 성공에 대한 도전 지원 금액 총액의 비율 또는 도전 실패에 대한 도전 지원 금액 총액의 비율로서 도전성공비율 또는 도전실패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 도전성공비율 및 도전실패비율 간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도전 내용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가 도전 시도 시점에서 명확하여 도전에 대한 지원의 의미가 퇴색되는 경우에는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시도를 중단시켜 의미없는 도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특정 기준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고, 도전 지원 금액의 총액을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진행부(240)는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각각에 대해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고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부분 도전 내용의 수가 특정 수 이상인 경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전 진행부(240)는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에 의해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된 경우 각 부분 도전 내용에 대한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부분 도전 내용의 수가 일정한 수 이상이 될 경우에는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켜 의미없는 도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 내용이 개시된 경우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까지의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종료되기 전까지 비주기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성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해당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도전 내용 개시 시점부터 특정 비율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도전 내용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도전 성공 또는 실패 결정을 위한 특정 범위를 사전에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주기적으로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는 경우 만약 특정 시점에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진행상황에 대한 입력이 없다면 이전 주기에 입력 받은 도전 진행상황을 해당 특정 시점에서의 도전 진행상황으로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행상황 관리부(250)는 주기적으로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는 경우 만약 특정 시점에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진행상황에 대한 입력이 없다면 해당 도전 내용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해당 시점 이후로는 비주기적으로 도전 진행상황을 입력 받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에서의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도전 내용의 성패를 결정하고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자 단말(110)에게 도전 지원 금액의 특정 비율만큼을 먼저 분배하고, 나머지 도전 지원 금액을 복수의 도전 지원 단말(170)에 공평하게 또는 도전 지원 금액 비율에 맞춰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 간의 공평하게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에 의해 하나의 도전 내용이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되고 부분 도전 내용들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이 할당된 경우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해당 부분 도전 내용에 지원을 결정한 도전 지원 단말(170)들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에 의해 하나의 도전 내용이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되고 부분 도전 내용들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이 할당된 경우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도전 진행 현황을 기초로 달성된 부분 도전 내용들에 지원을 결정한 모든 도전 지원 단말(170)들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유형이 '몸무게'이고 설정 목표가 '-5kg'인 도전 내용이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에 의해 설정 목표가 각각 '-1kg', '-2kg', '-3kg', '-4kg', '-5kg'인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되었다면,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는 도전 진행현황이 '-4kg'인 상황에서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해 성공으로 결정된 경우 설정 목표가 각각 '-1kg', '-2kg', '-3kg', '-4kg'인 부분 도전 내용들에 지원한 모든 도전 지원 단말(170)들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수익 분배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 도전 진행부(240), 진행상황 관리부(250) 및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에서 수행되는 수익 분배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210)를 통해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여 도전목표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단계 S310).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 성공률 결정부(220)를 통해 도전목표 리스트가 갱신되면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기 도전하였던 이전 도전 내용을 획득하여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20).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230)를 통해 도전 성공률을 도전 지원 단말(170)에게 제공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 진행부(240)를 통해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여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단계 S340).
수익 분배 장치(130)는 진행상황 관리부(250)를 통해 도전 내용이 개시된 경우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까지의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단계 S350).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260)를 통해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에서의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도전 내용의 성패를 결정하고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을 대상으로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단계 S360).
도 4 및 5는 도 1에 있는 수익 분배 장치에서 도전자 단말 및 도전 지원 단말에 제공하는 도전 진행상황 확인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수익 분배 장치(130)는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여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에 제공할 수 있고,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전 진행상황을 도전자 및 도전 지원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 상의 기록 메뉴(410)를 클릭하면 도전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도전 진행상황에 대한 기록 리스트(43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 상의 진행중인 목표 메뉴(510)를 클릭하면 해당 도전 내용에 대한 현재의 도전 진행상황이 원형 그래프(550) 형태로 표시된 목표 달성도(530)를 확인할 수 있다. 수익 분배 장치(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도전자 단말(110) 및 도전 지원 단말(170)을 통해 도전자 및 도전 지원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시스템
110: 도전자 단말 130: 수익 분배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도전 지원 단말
210: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 220: 도전 성공률 결정부
230: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 240: 도전 진행부
250: 진행상황 관리부 260: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
270: 제어부
410: 기록 메뉴 430: 기록 리스트
510: 진행중인 목표 메뉴 530: 목표 달성도
550: 원형 그래프

Claims (8)

  1. 도전자 단말로부터 도전 내용을 수신하여 도전목표 리스트를 갱신하는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가 갱신되면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기 도전하였던 이전 도전 내용을 획득하여 상기 도전 내용의 도전 성공률을 결정하는 도전 성공률 결정부;
    상기 도전 성공률을 적어도 하나의 도전 지원 단말에게 제공하여 도전 지원 금액을 수신하는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 및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키는 도전 진행부를 포함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도전 내용으로부터 도전 유형, 도전 기간 및 설정 목표를 추출하여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도전목표 아이템을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목표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도전 유형 및 상기 도전 기간을 기초로 달성 가능한 기준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범위 내에 상기 설정 목표가 포함되는 경우에만 상기 도전목표 아이템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성공률 결정부는
    상기 도전자의 프로필을 기초로 상기 이전 도전 내용에 관한 도전 횟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를 획득하여 상기 도전 성공률을 결정하는 것을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성공률 결정부는
    상기 이전 도전 내용 중 상기 도전 유형, 상기 도전 기간 및 상기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이전 도전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도전 성공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지원 금액 수신부는
    상기 도전 내용을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로 분할하고 상기 도전 성공률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진행부는
    상기 복수의 부분 도전 내용들 각각에 대해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의 도전성패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도전성패비율의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부분 도전 내용의 수가 특정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도전 내용의 시도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내용이 개시된 경우 상기 도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까지의 도전 진행상황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진행상황 관리부; 및
    상기 도전 내용의 종료 시점에서의 도전 진행상황을 기초로 상기 도전 내용의 성패를 결정하고 상기 도전 내용이 성공한 경우 상기 도전자 단말 및 상기 도전 지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도전 지원 금액을 분배하는 도전 지원 금액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KR1020180055709A 2018-05-16 2018-05-16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KR10213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09A KR102137571B1 (ko) 2018-05-16 2018-05-16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09A KR102137571B1 (ko) 2018-05-16 2018-05-16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68A true KR20190131168A (ko) 2019-11-26
KR102137571B1 KR102137571B1 (ko) 2020-07-24

Family

ID=6873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09A KR102137571B1 (ko) 2018-05-16 2018-05-16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623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화이트큐브 목표 달성 보상 지급 방법
WO2022039495A1 (ko) * 2020-08-19 2022-02-24 장아경 습관 형성 소프트웨어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465A (ko)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효성 전기적 접속 신뢰성과 박리강도가 개선된 이방성 도전필름의 제조방법
KR100897063B1 (ko) 2007-02-13 2009-05-14 주식회사 신한은행 목표 달성형 펀드 운용 시스템
KR20110023559A (ko) * 2009-08-31 2011-03-08 이문웅 인터넷을 통하여 설정한 목표의 달성을 독려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4048924A (ja) * 2012-08-31 2014-03-17 Tohmatsu Innovation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34433A (ko) * 2014-09-18 2016-03-30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다이어트 경쟁을 통해 사용자의 체중 감량을 독려하는 다이어트 경쟁시스템 및 방법
JP2017162063A (ja) * 2016-03-08 2017-09-14 株式会社Campus for H ダイエット支援及び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465A (ko)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효성 전기적 접속 신뢰성과 박리강도가 개선된 이방성 도전필름의 제조방법
KR100897063B1 (ko) 2007-02-13 2009-05-14 주식회사 신한은행 목표 달성형 펀드 운용 시스템
KR20110023559A (ko) * 2009-08-31 2011-03-08 이문웅 인터넷을 통하여 설정한 목표의 달성을 독려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4048924A (ja) * 2012-08-31 2014-03-17 Tohmatsu Innovation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34433A (ko) * 2014-09-18 2016-03-30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다이어트 경쟁을 통해 사용자의 체중 감량을 독려하는 다이어트 경쟁시스템 및 방법
JP2017162063A (ja) * 2016-03-08 2017-09-14 株式会社Campus for H ダイエット支援及び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623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화이트큐브 목표 달성 보상 지급 방법
WO2022039495A1 (ko) * 2020-08-19 2022-02-24 장아경 습관 형성 소프트웨어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71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999B (zh) 用于为零售商提供多渠道库存分配途径的系统和方法
EP2966607A1 (en) Recharge method, recharge terminal and recharge server
US20140350981A1 (en) Service provider allocation system and allocation management device
KR102137571B1 (ko) 도전목표달성을 통한 수익 분배 장치
JP63876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94801B2 (ja) 需給調整装置、需給調整システム、及び需給調整方法
JP2019200487A (ja) 利用数予測装置、利用数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793081A (zh) 仓储监控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JP2018147251A (ja) 販売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91449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138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sourced content management enabling reasonable payment for production thereof
KR101699013B1 (ko) 매출 보상금 지급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924594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606788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313499B1 (ja) 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sandideh et al. A multi objective model for determining ordering strategy within different constraints
CN110009382B (zh) 虚拟商品的数据监控方法、装置及服务器
US20150134416A1 (en) Initial marketing campaign targets
JP4791519B2 (ja) ローン情報提供システム、ローン情報提供方法及びローン情報提供プログラム
WO2016135520A1 (en) Customer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aggregate customer value
JP5987669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98910B1 (ja) 顧客の利用シーン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56567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7114888B2 (ja) 推奨度判定装置、表示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53413B1 (ko) 복수의 업태에 적용가능한 포스 장치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