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937A -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937A
KR20190130937A KR1020180055677A KR20180055677A KR20190130937A KR 20190130937 A KR20190130937 A KR 20190130937A KR 1020180055677 A KR1020180055677 A KR 1020180055677A KR 20180055677 A KR20180055677 A KR 20180055677A KR 20190130937 A KR20190130937 A KR 2019013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controller
vehicle
charg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509B1 (ko
Inventor
장영진
강형석
노성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09B1/ko
Priority to US16/179,055 priority patent/US10800282B2/en
Priority to DE102018218829.7A priority patent/DE102018218829A1/de
Priority to CN201811347709.3A priority patent/CN110481351B/zh
Publication of KR2019013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1Battery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담당하는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 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이유를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웨이크업 이유에 따라 적절한 연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으로 인한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ntrol method of reservation-based charg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 동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예약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상기 예약충전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충전이 시작되고 설정 SOC(State Of Charge)에 도달하면 차량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예약충전이 설정되는 경우,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등과 같은 차량 외부 충전기(전력공급장치)에 구비된 충전 커넥터를 차량에 연결하여도 바로 충전이 진행되지 않고 예약충전 시간이 되어야 충전이 시작된다. 이때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충전기는 예약충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은 충전 시작 시간까지 충전기 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오프(OFF)하고 슬립 모드(sleep mode)로 들어간다.
이후 예약충전 시간이 도래하면 VCU(Vehicle Control Unit)에서 충전에 관련되는 모든 제어기를 깨우고 배터리 충전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예약충전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바로 충전을 원할 경우 운전자는 상기 예약충전을 취소해야 한다. 예약충전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제어기를 ON 시켜야 하므로 차량 시동(IG ON)을 걸고 예약충전을 취소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 시동(IG ON)을 걸지 않아도 예약충전 취소버튼만으로 예약충전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을 사용하여 예약충전을 취소하는 경우, 충전에 관련된 차량내 모든 제어기를 깨우므로 운전자가 예약충전 취소버튼을 누를 때마다 충전에 관련된 모든 제어기가 항상 ON 되는 단점이 있다. 부연하면, 예약충전 취소버튼을 작동하면 충전에 관련된 모든 제어기가 ON 되어 예약충전을 취소하고 일반충전으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이 진행될 수 없는 조건(예를 들면, 충전용 커넥터 미연결, 충전요금 미결재 등)의 경우에도 항상 모든 제어기가 온(ON)이 된다.
만약 예약충전 취소버튼이 반복적으로 ON 작동되면 충전 관련 제어기들의 ON/OFF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그로 인해 충전 관련 제어기들의 온/오프 시퀀스(Sequence)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가 예약충전 취소버튼을 작동시킬 때 충전에 관련되어 있는 모든 제어기를 온(ON) 하는 것이 아니라 그중 충전을 담당하는 하나의 제어기(즉, 충전제어기)만 온(ON) 시킨 후 충전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충전이 가능한 상황이면 충전에 관련된 모든 제어기를 온(ON) 시키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차량의 충전에 관련되어 있는 모든 제어기들 중에 상기 충전제어기가 온(ON) 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가 온(ON) 될 수 있는 조건이 예약충전 취소버튼의 작동 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충전제어기가 온(ON) 된 이유가 예약충전 취소버튼의 작동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또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상기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Wake up) 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사유를 사용자가 의도한 것으로 오인식하여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조건 외에 충전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조건이 만족되면 충전에 관련되어 있는 차량내 모든 제어기를 온(ON) 시키는 등의 예약충전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61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담당하는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 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이유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웨이크업 이유에 따라 적절한 연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으로 인한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 충전기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제1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 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사유를 판별하는 제1단계;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제어기를 오프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충전제어기에 제2배터리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을 취소하기 위한 예약충전 취소신호가 미발생한 상태이면, 상기 충전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배터리는 배터리 릴레이의 온 작동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통해 상기 충전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릴레이는 웨이크업된 타제어기에 의해 온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터리는 예약충전 취소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발생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를 통해 충전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제2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제어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기전원공급장치가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와 충전제어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할 때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사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함에 의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를 통해 충전제어기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충전제어기에 충전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제1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충전 시작 신호가 미수신되면 충전제어기를 오프하되,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제어기를 오프하기 전에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기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는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는 제1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차량 내부 충전기에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동력원으로서 사용되는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차량 내부 충전기; 차량의 제2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제어를 위한 충전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충전제어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제어수단;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웨이크업 되면 오프되는 충전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제어수단은, 작동 시에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을 취소시키는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작동 시에 상기 제2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는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가 상기 전력공급제어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가 충전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제어기는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충전제어기는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차량 외부 충전기의 사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함에 의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충전제어기는 충전기 결재판단부가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하고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충전 시작 신호가 미수신되면 오프되되,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충전제어기가 오프되기 전에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기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와 충전제어기 사이에는 예약충전 취소버튼에서 발생한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일정시간 유지시켜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송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가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EVSE 등과 같은 차량 외부 충전기(즉, 차량 외부의 전력공급장치)의 이상동작으로 인한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예약충전 장치를 강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에 따른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기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반복 발생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충전에 관련된 차량내 모든 제어기가 온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충전제어기와 충전기 결재판단부 및 예약충전 취소버튼 사이의 회로 구성을 좀더 구체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 될 때까지 예약충전 취소버튼의 하이 신호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한 충전기 결재판단부의 이상 신호를 일례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의 예약충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는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제어를 위한 충전제어기(11)에 웨이크업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사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를 인식하기 위한 충전기 결재판단부(13), 수동 작동(사용자 조작)에 의해 예약충전 모드(예약충전 대기) 중에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을 취소하기 위한 예약충전 취소버튼(15),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시킬 수 있는 차량내 충전 관련 제어기(이하, '타제어기'라고 함)(18,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차량 동력원으로서 사용되는 제1배터리(이하,'메인배터리'라고 함)(미도시)의 충전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2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10)에 내장되며,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10)는 차량에 탑재되는 충전기로서 OBC(On Board Charger)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20)는 상기 메인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외부의 전력공급장치로서, 가정용 콘센트나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등과 같은 전력공급장치를 말한다.
상기 타제어기(17,18)는 충전제어기(11) 외에 상기 메인배터리의 충전에 관련되는 차량내 제어기로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HCU(Hybrid Control Unit) 등이 있으며, 타제어기(17,18)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내 전력공급원에서 전력을 제공받아 온(ON) 된 상태일 때는 선택적으로 보조배터리(19)(혹은 '제2배터리'라고 함)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 배터리 릴레이(19a)를 통해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을 제공받아 온(ON)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타제어기(17,18)는 2개의 제어기(17,18)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의해 상기 메인배터리의 충전에 관련되는 타제어기(17,18)의 갯수 및 역할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타제어기(17,18)는 각각 예약충전시간이 도래하면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시키는 제어기(VCU), 원격충전신호에 의해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시키는 제어기(TMS), 차량 도어가 오픈되면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시키는 제어기(CGW)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은 예약충전 취소신호(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로서, 그 작동 시에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제공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19)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의해 웨이크업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제어기(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온(ON) 작동 시, 다시 말해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작동되어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을 취소시키기 위한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발생할 때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를 활성화하기 위한 액티브(ACTIVE) 전력이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액티브 전력이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을 통해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는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충전제어기(11)에 웨이크업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제어수단과 충전제어기(11) 사이에 연결 구성되며, 액티브 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웨이크업 된 뒤에 충전제어기(11)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제어수단은 보조배터리(19)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19)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이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예약충전 취소버튼(15)과 배터리 릴레이(19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과 배터리 릴레이(19a)는 보조배터리(19)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 사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내부 충전기(10)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충전기 결재판단부(13)의 충전요금 결재신호 및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작동신호(즉, 예약충전 취소 신호)의 수신 여부를 기초로 예약충전의 취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첨부한 도 2는 충전제어기(11)와 충전기 결재판단부(13) 및 예약충전 취소버튼(15) 사이의 회로 구성을 좀더 구체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작동 시에 충전제어기(11)가 웨이크업 될 때까지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하이 신호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출력단에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15a)가 연결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15a)는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작동 시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작동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연장시켜줌으로써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전달되는 액티브 전력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15a)는 예약충전 취소버튼의 온(ON) 작동에 따른 하이 신호(예약충전 취소 신호)를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충전제어기(11)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의해 웨이크업 된 이후에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예약충전 취소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한다(도 3 참조).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13)는 차량 외부 충전기(20)에서부터 수신되는 CP(Control Pilot)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충전요금 결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13)는 CP 신호의 하이(High) 신호를 감지하는 하이신호감지부(13a)와 로우(Low) 신호를 감지하는 로우신호감지부(1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이신호감지부(13a)와 로우신호감지부(13b)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외부 충전기(20)로부터 입력되는 CP 신호가 구형파인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에 액티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는 액티브 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웨이크업 된 뒤, 충전제어기(11)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는 충전기 결재판단부(13)와 예약충전 취소버튼(15) 중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전력을 제공하면 그 액티브 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충전제어기(11)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예약충전 장치는 차량 내부 충전기(10)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CP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 결재판단부(13)에서 발생한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인식되는 경우, 또는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온(ON) 작동이 인식되는 경우, 또는 타제어기(17,18)가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작동시킨 경우,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제어기(즉, 충전제어기)(11)가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을 공급받아 웨이크업 된다.
따라서, 예약충전 모드 중에 상기 충전제어기(11)가 온(ON) 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11)가 어떤 사유에 의해 웨이크업(Wake up)된 것인지를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사유에 기초하여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충전제어기(11)가 웨이크업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충전기 결재판단부(13)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13)의 신호(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 후 중간에 해지되었다가 다시 발생되는 경우(도 4 참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새로 발생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새로 발생한 것으로 인식되어 충전제어기(11)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말하면,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 모드 시에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13)가 충전기 사용에 따른 충전요금의 결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CP 신호를 차량 외부 충전기(20)로부터 수신하는 중에,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상기 CP 신호가 중간에 일시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되는 경우 새로운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충전제어기(11) 및 타제어기(17,18)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작동으로 인해 충전기 결재판단부(13)에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재발생하는 경우, 웨이크업 상태의 충전제어기(11) 및 타제어기(17,18)를 다시 웨이크업 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전력 손실 등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 충전기(10)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사유가 무엇인지를 판별하고, 판별한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사유에 따른 연계동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으로 인한 예약충전 장치의 오동작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제어기(11)는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 모드 중에 웨이크업 되면(S11)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사유가 무엇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사유를 판별하기 위해, 먼저 타제어기(17,18)에 의해 배터리 릴레이(19a)가 온(ON) 작동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타제어기(17,18)에 의해 배터리 릴레이(19a)가 온(ON) 작동된 경우는, 배터리 릴레이(19a)에 의해 보조배터리(19)의 전력이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를 활성화시키게 되므로, 일반충전을 시작하기 위한 다른 조건(예를 들어, 충전요금 결재신호의 발생 등)이 모두 만족되면 충전제어기(11)는 메인배터리의 예약충전을 취소하고 메인배터리의 일반충전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상기 일반충전이란 차량 외부 충전기(20)에 구비된 충전 커넥터가 차량에 연결되면 바로 메인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S12 단계에서 상기 타제어기(17,18)에 의해 배터리 릴레이(19a)가 온(ON) 작동된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온(ON) 작동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온 작동된 상태이면,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기초로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의 발생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가 충전요금 결재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말해 충전기 결재판단부(13)에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제어기(11)가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시키고 상기 배터리 릴레이(19a)가 온(ON) 됨에 따라 타제어기(17,18)를 포함하여 메인배터리의 충전에 관련된 차량내 모든 제어기가 웨이크업 된다(S15).
다음, 충전제어기(11)는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충전을 시작한다(S16).
이후, 상기 메인배터리의 일반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제어기(11)는 일정시간 동안 충전 이너블(Enable)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 뒤 다시 슬립(Sleep) 모드로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S14 단계에서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의 발생 여부를 기초로 충전요금 결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제어기(11)는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시키지 않고 바로 슬립 모드로 오프된다.
한편, 상기 S13 단계에서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온(ON) 작동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의 작동이 인식되지 않으면, 다시 말해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미작동(오프) 상태이면, 상기 S11 단계에서 판단한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은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나 충전기 결재판단부(13)의 충전요금 결재신호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배터리(19)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16)가 전력공급제어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타제어기(17,18)에 의해 배터리 릴레이(19a)가 온(ON) 작동된 상태가 아니고 예약충전 취소버튼(15)이 온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S11 단계에서 판단한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은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나 충전요금 결재신호의 발생에 의해 일어난 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제어기(11)는 충전제어기(11)의 비휘발성 저장부(예를 들어, NVRAM)에 저장되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FLAG)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17).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저장부는 충전제어기(11)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삭제되지 않는 메모리 영역이다.
상기 충전기 이상 플래그(FLAG) 신호는 차량 내부 충전기(10)가 예약충전 모드로 대기중인지 아니면 차량 외부 충전기(20)가 이상동작 중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제어기(11)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되는 설정값이며,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 시 상기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의 값을 기반으로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 일어나는 경우(예를 들어,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 상태에서 충전제어기(11)의 자체 웨이크업을 발생시키는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다시 발생하는 경우, 즉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반복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충전제어기(11)는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요금 결재신호의 발생에 의해 충전제어기(11)가 웨이크업 된 것으로 판단하고, 배터리 릴레이(19a)를 온(ON) 시켜 타제어기(17,18)를 포함하여 메인배터리의 충전에 관련되는 차량내 모든 제어기가 웨이크업 되도록 한다(S18).
이어서, 충전제어기(11)는 차량 외부 충전기(20)에서 전송하는 충전 시작 신호가 충전제어기(11)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차량 외부 충전기(20)로부터 충전 시작이 가능함을 알리는 충전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예약충전을 취소하고,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전력을 이용하여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일반충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16).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상기 충전 시작 신호를 미수신하면 일정시간 값으로 설정된 대기시간(T1) 동안 충전 시작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며(S20), 상기 대기시간(T1) 동안에도 충전 시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오프된다.
이때, 상기 충전제어기(11)는 충전 시작 신호가 상기 대기시간(T1)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오프되기 직전에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21),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충전제어기(11)를 오프한다. 그리고, 충전제어기(11)는 상기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적으로 오프하기 전에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새로 설정하여 상기 충전제어기(11)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한다(S22).
상기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는 의도치 않게 차량 내부 충전기(10)의 예약충전 모드가 해제되거나 원격 충전 등의 요인으로 메인배터리의 일반충전을 시작할 때에 충전제어기(11)의 비휘발성 저장부에서 삭제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제어기(11)는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새로 설정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예약충전 모드는 충전제어기(11)의 예약충전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메인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고 설정 SOC(State Of Charge)에 도달하면 메인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는 모드이며, 이러한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충전기(10)는 충전 시작을 대기하고 있다가 예약충전 시간이 되면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차량은 충전 시작 시간까지 충전에 관련된 모든 제어기들을 오프(OFF)하고 슬립 모드(sleep mode)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7 단계에서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 검출되면, 다시 말해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20)로부터 수신되는 CP 신호 및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초로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이 판단되면,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시간 값으로 설정된 대기시간(T2)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충전제어기(11)는 상기 대기시간(T2)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적으로 즉시 오프한다.
즉, 상기 충전제어기(11)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20)의 이상동작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대기시간(T2)이 경과한 뒤에 충전제어기(11)가 오프된다.
여기서, 상기 대기시간(T2)은 충전 시작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대기시간(T1)보다 매우 짧은 시간 값으로 설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내부 충전기
11 : 충전제어기
13 : 충전기 결재판단부
13a : 하이신호감지부
13b : 로우신호감지부
15 : 예약충전 취소버튼
15a :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
16 : 제어기전원공급장치
17,18 : 타제어기
19 : 보조배터리
19a : 배터리 릴레이
20 : 차량 외부 충전기

Claims (18)

  1. 차량 내부 충전기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제1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제어기가 웨이크업 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 사유를 판별하는 제1단계;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제어기를 오프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충전제어기에 제2배터리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릴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을 취소하기 위한 예약충전 취소신호가 미발생한 상태이면, 상기 충전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는 배터리 릴레이의 온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통해 상기 충전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는 예약충전 취소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발생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를 통해 충전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충전제어기에 제2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제어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기전원공급장치가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와 충전제어기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사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함에 의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결재판단부를 통해 충전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충전제어기에 충전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제1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요금 결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충전 시작 신호가 미수신되면 충전제어기를 오프하되,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제어기를 오프하기 전에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기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릴레이는 타제어기에 의해 온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는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2. 차량의 동력원으로서 사용되는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차량 내부 충전기;
    차량의 제2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제어를 위한 충전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충전제어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제어수단;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가 예약충전 모드일 때,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웨이크업 되면 오프되는 충전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가 상기 전력공급제어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제어기는 충전제어기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제어수단은,
    작동 시에 상기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을 취소시키는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
    제2배터리와 제어기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작동 시에 상기 제2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어기전원공급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 릴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기는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기 결재판단부에서 차량 외부 충전기의 사용에 대한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함에 의해 상기 충전제어기의 웨이크업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기는 충전기 결재판단부가 충전요금 결재신호를 발생하고 차량 외부 충전기에서 충전 시작 신호가 미수신되면 오프되되, 차량 내부 충전기의 예약충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충전제어기가 오프되기 전에 차량 외부 충전기의 이상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충전기 이상 플래그 신호를 상기 충전제어기의 비휘발성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 충전기는 제1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차량 내부 충전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와 충전제어기 사이에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발생기에서 발생한 예약충전 취소신호를 일정시간 유지시켜 상기 충전제어기에 전송하는 예약충전 취소신호 유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KR1020180055677A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2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77A KR102529509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6/179,055 US10800282B2 (en) 2018-05-15 2018-11-02 Vehicle reservation-based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8218829.7A DE102018218829A1 (de) 2018-05-15 2018-11-05 Fahrzeugreservierungs-basierte lad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selben
CN201811347709.3A CN110481351B (zh) 2018-05-15 2018-11-13 车辆预约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77A KR102529509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37A true KR20190130937A (ko) 2019-11-25
KR102529509B1 KR102529509B1 (ko) 2023-05-04

Family

ID=6841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677A KR102529509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0282B2 (ko)
KR (1) KR102529509B1 (ko)
CN (1) CN110481351B (ko)
DE (1) DE102018218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86B1 (ko) 2018-02-13 2023-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US11673483B2 (en) 2020-01-13 2023-06-13 NAD Gri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US10981464B1 (en) * 2020-01-13 2021-04-20 NAD Gri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US10836274B1 (en) 2020-01-13 2020-11-17 NAD Gri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US11724616B2 (en) 2020-01-13 2023-08-15 NAD Gri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operation modes
US10953765B1 (en) 2020-01-13 2021-03-23 NAD Gri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CN111452636A (zh) * 2020-04-09 2020-07-28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预约充电控制方法
CN113511154B (zh) * 2020-04-10 2023-10-0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强制休眠控制方法、装置及车辆
US20220094162A1 (en) * 2020-09-21 2022-03-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CN112965459B (zh) * 2021-02-03 2022-03-11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车辆、用于车辆整车控制器的唤醒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74A (ko) * 2012-12-17 201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KR20160036117A (ko) 2014-09-24 2016-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약 충전 취소 버튼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81738B (zh) * 2005-06-17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模式控制电路及方法
US8547064B2 (en) * 2010-01-14 2013-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attery cell tab monitor
EP2659565B1 (en) * 2010-12-31 2017-12-13 Nokia Technologies Oy Power transfer apparatus
CN102427260A (zh) * 2011-12-02 2012-04-25 苏州冠硕新能源有限公司 充电管理系统及采用该充电管理系统的充电器
US9362772B2 (en) * 2012-08-14 2016-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voltages
JP6060710B2 (ja) * 2013-01-31 2017-01-18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施設の予約状況を管理するサーバ
JP6066840B2 (ja) * 2013-06-07 2017-01-25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6084696B2 (ja) * 2013-09-04 2017-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伝送装置
WO2015053163A1 (ja) * 2013-10-08 2015-04-16 アユダンテ株式会社 自動車充電スタンド管理システム
US10286800B2 (en) * 2013-10-09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pilot latch-out mechanism to reduce off-board energy consumption
KR101551011B1 (ko) * 2013-12-18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차량의 충전방법
KR101664551B1 (ko) * 2014-07-15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10482B1 (ko) * 2014-07-28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예약 취소 및 즉시 충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19042A (ko) * 2015-08-11 2017-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약 충전 기능 구현을 위한 내장 회로를 갖는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798514B1 (ko) * 2015-11-09 2017-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충전 제어방법
KR102443338B1 (ko) * 2017-09-12 2022-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74A (ko) * 2012-12-17 201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KR20160036117A (ko) 2014-09-24 2016-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약 충전 취소 버튼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81351A (zh) 2019-11-22
KR102529509B1 (ko) 2023-05-04
CN110481351B (zh) 2023-08-22
US10800282B2 (en) 2020-10-13
US20190351775A1 (en) 2019-11-21
DE102018218829A1 (de)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509B1 (ko)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715513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のための充電制御装置
US10179514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method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
US8704495B2 (en) Onboard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e to secondary battery
JP6330229B2 (ja) 充放電システム
JP6698909B1 (ja) 車載電子制御装置
CN112009303A (zh) 用于电动汽车放电控制的控制系统和方法
WO2013054387A1 (ja) 車両の充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KR102308656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US8305033B2 (e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JP5506052B2 (ja) 車両用充電装置
JP2010239850A (ja) 充電システム、充電器、電動車両、および停電発生時の充電終了方法
US10377257B2 (en)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harging system
EP2997641A1 (en) Magnetic field detection apparatus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N112319259B (zh) 一种电动汽车交流充电电子锁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130898B (zh) 一种一体式车载充电机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汽车
JP2022104864A (ja) 電気車両のオンボード充電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390911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19315A (zh) 燃料电池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7192275A (ja) 電力制御装置
KR20170019042A (ko) 예약 충전 기능 구현을 위한 내장 회로를 갖는 차량용 충전 장치
KR20200104709A (ko) 배터리의 예약 충전 기능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5089206A (ja) 車載充電システム
JP2023547250A (ja) 過放電保護方法及びシステム、車両、電池管理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KR20200134557A (ko) 차량용 배터리 예약 충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