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707A - 적층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707A
KR20190129707A KR1020190047203A KR20190047203A KR20190129707A KR 20190129707 A KR20190129707 A KR 20190129707A KR 1020190047203 A KR1020190047203 A KR 1020190047203A KR 20190047203 A KR20190047203 A KR 20190047203A KR 20190129707 A KR20190129707 A KR 2019012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film layer
adhesive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우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체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층 사이에 있어서, 밀착력의 저하 및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굴곡 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 1 필름층과,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굴곡 가능한 적층체이며,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전부의 위치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또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고, 점착제층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이다.

Description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의 단변(端邊)보다도 내측에 있는 부분을 갖는 점착형 광학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70907호 공보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은,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층 사이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이지러짐에 의한 밀착력의 저하나 이물 부착에 의한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체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층 사이에 있어서, 밀착력의 저하 및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굴곡 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1] 제 1 필름층과,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굴곡 가능한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
[2]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모두,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1]에 기재한 적층체.
[3]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0.4mm 이상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에 접하고 있는, [2]에 기재한 적층체.
[4] 상기 제 1 필름층 및 상기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는 모두,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적층체.
[5] 상기 제 1 필름층 및/또는 상기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4]에 기재한 적층체.
[6] 상기 광학 필름층은, 기재(基材) 필름과, 그 한쪽의 면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층 사이에 있어서, 밀착력의 저하 및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굴곡 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이용한 시험편의 제작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가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
본 발명의 굴곡 가능한 적층체(이하, 적층체라고도 한다)는, 제 1 필름층과,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은 통상, 수송, 핸들링시 또는 제조, 가공 공정 라인상에서의 단부의 점착제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오염(풀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의 단변보다도 내측에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수송 중에 적층체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 점착제층의 이지러짐에 의한 밀착력의 저하나 이물 부착에 의한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적층체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점착제층이 이지러지거나 이물이 부착된 경우라도, 광학 필름층을 절단하는 일 없이, 이지러지거나 이물이 부착된 점착제층과, 경우에 따라 제 1 필름 및/또는 제 2 필름만을 절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박리 필름층에 상당) 사이에 있어서 밀착력의 저하 및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굴곡 가능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굴곡 가능이란, 곡률 반경이 2.5mm에서의 굴곡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적층체는, 바람직하게는 구조체의 내면의 곡률 반경이 2.5mm에서의 굴곡 횟수가 5만회여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적층체는, 매엽체(枚葉體)여도 좋고, 장척체(長尺體)여도 좋다. 적층체가 매엽체인 경우, 매엽체는, 매엽상(狀)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좋고, 장척체의 적층체를 잘라내어 매엽상으로 한 것이어도 좋다.
적층체가 매엽체인 경우, 적층체 및/또는 각 층의 면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층체 및 각 층의 형상이 어느 쪽도 장방형이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한 층은, 모서리부가 모따기되거나, 펀칭 가공되거나 해도 좋다.
상기 단부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란, 적층체가 사각형상의 매엽체인 경우, 그 사각형상에 있어서의 네변 중 적어도 1개의 변에 있어서의 각 층의 단부의 위치를 의미하고, 적층체가 장척체인 경우, 장척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및 장척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중 적어도 1개의 단부에 있어서의 각 층의 단부의 위치를 의미한다. 단부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하는 단부이면 좋다.
적층체는,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 사이에서의 밀착력의 저하 및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가 모두,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상기 단부의 위치의 모두란, 적층체가 사각형상의 매엽체인 경우, 그 사각형상에 있어서의 네변의 모든 변에서의 각 층의 단부의 위치를 의미하고, 적층체가 장척체인 경우, 장척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및 장척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모든 단부에서의 각 층의 단부의 위치를 의미한다.
적층체는, 적층체의 제조 공정 및 수송 공정에 있어서의 점착제에 의한 오염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가 모두,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또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적층체는, 적층체의 제조 공정 및 수송 공정에 있어서의 점착제에 의한 오염 방지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필름층 및/또는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층의 단부보다 외측에 있는 전부 또는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 1 필름층과 접하고 있어도 되고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름층의 단부보다 외측에 있는 전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 1 필름층과 접하고 있다.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층의 단부보다 외측에 있는 전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 1 필름층과 접하고 있는 경우, 적층체가 수송 중에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광학 필름층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이 억제되기 쉬워지는 경향에 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1mm 이상 떨어져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층 사이에 있어서, 밀착력의 저하 및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에 있다.
한편,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50mm 이하 떨어져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적층체를, 예를 들면 표시 장치 등에 첩부(貼付)하여 이용하기 전에 적층체를 재단할 때에, 재단하는 적층체의 단부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경향에 있다.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0.4mm 이상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제 1 필름층에 접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과 제 1 필름층이 접하는 개소보다 내측의 개소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제 1 필름층에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환언하면, 적층체는, 광학 필름층의 외연(外緣)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제 1 필름층이 접하지 않는 미접촉부를 가질 수 있다. 미접촉부의 외연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제 1 필름층은 접할 수 있다.
적층체가 매엽상이며, 또한 적층체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mm 이상 1400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 600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m 이상 500mm 이하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5mm 이상 800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mm 이상 500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 300mm 이하이다.
적층체의 두께는, 적층체에 요구되는 기능 및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 이상 1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500㎛ 이하이다.
적층체는, 제 2 필름층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킨 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예를 들면 표시 장치, 편광판, 터치 센서 등에 첩합(貼合)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절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적층체는, 표시 장치 등에 첩합하기 전에,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점착제층,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의 단부를 절단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점착제층, 제 1 필름층 및 제 2 필름층의 단부와 함께 광학 필름층의 단부도 포함하여 절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100)는, 제 1 필름층(101), 광학 필름층(102),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 1 필름층(101),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며, 또한,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200)는, 제 1 필름층(101), 광학 필름층(102),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 1 필름층(101),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고, 제 1 필름층(101)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점착제층(103)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300)는, 제 1 필름층(101), 광학 필름층(102),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 1 필름층(101),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고,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점착제층(103) 및 제 1 필름층(101)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400)는, 제 1 필름층(101), 광학 필름층(102),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 1 필름층(101),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고, 제 1 필름층(101)의 단부의 위치는,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500)는, 제 1 필름층(101), 광학 필름층(102),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 1 필름층(101), 점착제층(103) 및 제 2 필름층(104)의 단부의 위치는,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다. 점착제층(103)은,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0.4mm 이상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제 1 필름층(101)에 접하고 있다. 점착제층(103)과 제 1 필름층(101)이 접하는 개소보다 내측의 개소에 있어서, 점착제층(103)은 제 1 필름층(101)에 접하고 있지 않다.
(제 1 필름층)
제 1 필름층(101)은, 광학 필름층의 표면을 상처나 더러움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프로텍트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된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를 들면 적층체를 표시 장치 등에 첩합한 후, 박리 제거되는 것이다.
제 1 필름층(101)은, 표시 장치를 절곡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면 좋다. 수지 필름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초산(酢酸)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 등, 당 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제 1 필름층(101)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 이하이면 좋고, 적층체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00㎛ 이하이다.
제 1 필름층(101)은, 후술하는 광학 필름층(102)과 첩합하기 위해 수지 필름의 한쪽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좋다. 제 1 필름층(101)은, 점착제층을 갖지 않아도 된다. 즉, 제 1 필름층(101)은, 자기 점착성의 필름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층)
광학 필름층(102)은,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일 수 있다. 광학 필름층(102)의 예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이나 액정층 등이 형성된 필름,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형 반사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방현 기능 부착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윈도우 필름, 편광판, 윈도우 필름과 편광판과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광학 필름층(10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 이상 500㎛ 이하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0㎛ 이하이다.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은,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단층이어도 복층이어도 되며, 유리 또는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이면 된다. 기재 필름은, 적층체를 굴곡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으로는, 광을 투과 가능한 수지 필름이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기재 및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은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도 마찬가지 의미이다.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을 설치함으로써,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액정층)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의 경화막으로 구성된 층으로서, 위상차층이어도 된다. 2색성 색소를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편광층으로 할 수도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 중합 개시제, 광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및 밀착성 향상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란,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기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 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성은 서모트로픽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되지만, 2색성 색소와 혼합하는 경우에는 서모트로픽 액정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및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2색성 색소는 단독이어도, 조합해도 되지만, 가시광 전역에서 흡수를 얻기 위해서는 3종류 이상의 2색성 색소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종류 이상의 아조 색소를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등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 개시제로는, 서모트로픽 액정의 상(相)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의 경화막을 전사함으로써, 한층 더 박막화 효과가 얻어진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의 경화막의 두께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하여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경화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 이상 20㎛ 이하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기재 필름과 액정층 사이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배향막으로는, 배향막 상에 편광막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제에 불용이고, 또, 용제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광배향막 및 그루브(groove) 배향막 등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nm 이상 5000nm 이하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1000nm 이하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300nm 이하이다.
(편광자)
광학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편광자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편광자를 그대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되고, 그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 것을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40㎛ 이하이다.
2색성 색소란,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갖는 색소를 말한다. 2색성 색소로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80nm 이상 680nm 이하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자에 이용하는 2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요오드나 2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2색성 유기 염료에는, C.I.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2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2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초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초산비닐계 수지로는, 초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초산비닐 외에, 초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초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판의 원반(原反)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50㎛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1축 연신은,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1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1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해도 되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된다. 또, 이들의 복수의 단계에서 1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1축 연신에 있어서는, 주속(周速)이 다른 롤 사이에서 1축으로 연신해도 되고, 열 롤을 이용하여 1축으로 연신해도 된다. 또 1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된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 정도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할 수 있고,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이면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쇄상(鎖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낸다. 그 외의 「(메타)」를 붙인 용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통상 1∼100㎛ 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6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그 외면(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 방현층, 광확산층, 위상차층(1/4 파장의 위상차 값을 갖는 위상차층 등),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防汚層)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 또는 광학층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보호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에 첩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103)은, 적층체를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점착제층(103)은 점착제로 구성된 층을 말한다. 점착제란, 유연한 고무상이고, 그 자체를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등의 피착체에 붙임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이른바 감압형 접착제로 칭해지는 것이다. 또,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도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점착제로는, 종래 공지의 광학적인 투명성이 뛰어난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열경화형 점착제 등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재박리성(이하, 리워크성이라고도 한다.), 내후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제가 적합하다. 점착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가교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로 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의 점착층을 형성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보다 딱딱한 점착층으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등의 피착체에 밀착하여,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일반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통상은 추가로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고, 또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103)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제 2 필름층)
제 2 필름층(104)은, 점착제층(103)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고, 제 2 필름층(104) 상에 형성되는 점착제층(103)을 지지하며, 점착제층(103)을 보호하는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좋다. 제 2 필름층(104)을 구성하는 필름은, 공지의 박리 필름이나 박리지 등이면 좋고, 상술의 제 1 필름층(101)에 이용하는 수지 필름이면 좋다. 또 수지 필름에 실리콘 코팅 등의 이형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좋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은, 광학 필름(102)과 프로텍트 필름(106)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텍트 필름 부착 광학 필름(110)을 준비하는 제 1 준비 공정(도 5(a))과, 제 1 필름(101)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이 되도록, 제 1 필름(101)을, 프로텍트 필름 부착 광학 필름(110)의 광학 필름층(102)측의 면에 첩합하여 제 1 적층체(111)를 얻는 제 1 첩합 공정(도 5(b))과, 점착제층(103)이 제 1 세퍼레이터 필름(107)과 제 2 필름층(104)(제 2 세퍼레이터 필름)에 끼인 점착제 필름(112)을 준비하는 제 2 준비 공정(도 5(c))과, 프로텍트 필름 부착 광학 필름(110)으로부터 프로텍트 필름(106)을 박리하고, 점착제 필름(112)으로부터 제 1 세퍼레이터 필름(107)을 박리하여, 점착제층(103)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광학 필름층(102)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이 되도록 첩합하여 적층체(100)를 얻는 제 2 첩합 공정(도 5(d))을 갖고 있으면 된다.
제 1 첩합 공정 및 제 2 첩합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셀 접합기 등을 이용하여 각 필름을 첩합할 수 있다.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은, 제 1 준비 공정과 제 1 첩합 공정 사이에 프로텍트 필름 부착 광학 필름(110) 및/또는 제 1 필름층(101)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 1 절단 공정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은, 제 2 준비 공정과 제 2 첩합 공정 사이에 점착제 필름(112) 및/또는 제 2 필름층(104)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 2 절단 공정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제 1 절단 공정 및 제 2 절단 공정에 이용하는 절단 방법으로는, 블레이드에 의한 절단, 레이저 커터 등을 들 수 있다.
적층체(100)의 제조 방법은, 제 2 첩합 공정 후에, 광학 필름층의 단부보다 외측에 있는 점착제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 1 필름과 접촉시키기 위해, 얻어진 적층체(100)의 제 1 필름 및/또는 제 2 필름측에서 압압(押壓)을 가하는 공정을 가져도 된다. 압압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닙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시험편의 제작]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판(201)(두께 5mm)을, 아크릴판(201)의 두께 방향이 벽면(202)에 수직이 되도록 설치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203)의 양면에, 적층체(203)의 단부로부터 20mm의 위치에 스틸바(204)(두께 1mm, 폭 25mm)를 대어 고정했다. 적층체(203)의 단부를 아크릴판(201)의 면과 접촉시키고 10회 왕복시켜(1회/1초의 속도, 이동 거리 10mm), 시험편을 제작했다.
[이물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시험편을 광학 현미경(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여 관찰했다.
관찰한 영역은, 광학 필름의 단부와, 적층체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20mm의 위치와의 사이의 영역으로 했다. 적층체 면내에서의 광학 필름층 영역에 있어서 관찰되는,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의 수를 광학 필름층 내의 이물수로서 계측했다.
[밀착성]
이물수를 계측한 후의 각 적층체를 절단하고, 아크릴판의 면과 접촉시킨 단부에서부터 광학 필름의 단부까지의 부분을 레이저 커터(LPTech사 제조)로 제거했다. 그 후, 윈도우 필름 상부의 보호 필름(2), 보호 필름(2') 또는 보호 필름(2'')(제 1 필름층)을 박리했다. 제 1 필름층을 벗긴 면에 제 2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두께 25㎛, 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을 적층했다. 이어서 적층체를 2.54cm×220mm의 크기로 절단한 후, 제 2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두께 0.7mm)에 첩합하고, 이것을 밀착력 평가용 샘플로 했다. 밀착력 평가용 샘플은, 유리판, 제 2 광학 투명 점착제층, 광학 필름,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 제 2 세퍼레이터 필름을 이 순서대로 구비한다.
각 밀착력 평가용 샘플에 대해서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과 제 2 세퍼레이터 필름과의 밀착력을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 CA-210을 이용하여 180도 필(peel) 시험을 행함으로써 측정했다.
[굴곡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굴곡 평가 설비(Science Town사 제조, STS-VRT-500)를 이용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하는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도 7은, 본 평가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재치대(501, 502)를, 간극(C)이 5.0mm(2.5R)가 되도록 배치하고, 간극(C)의 중심에 폭 방향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적층체(100)를 고정하여 배치했다(도 7(a)). 이때, 윈도우 필름(전면판(10))이 위쪽이 되도록 적층체(100)를 배치했다. 그리고, 2개의 재치대(501, 502)를 위치 P1 및 위치 P2를 회전축의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90도 회전시켜, 재치대의 간극(C)에 대응하는 적층체(100)의 영역에 휨력을 부가했다(도 7(b)). 그 후, 2개의 재치대(501, 502)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렸다(도 7(a)). 이상의 일련의 조작을 완료하고, 휨력의 부가 횟수를 1회로 카운트했다. 휨력의 부가 횟수를 거듭하여, 재치대(501, 502)의 간극(C)에 대응하는 적층체(100)의 영역에 있어서의 기포 또는 크랙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고, 기포 또는 크랙이 발생한 시점에서 휨력의 부가를 정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표 1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재치대(501, 502)의 이동 속도, 휨력의 부가 페이스는, 어느 광학 적층체에 대한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A: 휨력의 부가 횟수가 1만에 달해도 기포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B: 휨력의 부가 횟수가 0.7만 이상 1만 미만에서 기포 또는 크랙이 발생했다,
C: 휨력의 부가 횟수가 0.5만 이상 0.7만 미만에서 기포 또는 크랙이 발생했다,
D: 휨력의 부가 횟수가 0.2만 이상 0.5만 미만에서 기포 또는 크랙이 발생했다,
E: 휨력의 부가 횟수가 0.2만 미만에서 기포 또는 크랙이 발생했다.
실시예 1(상술의 제 1 실시형태)
보호 필름(1)(PET로 만들어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두께 75㎛의 필름,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광학 필름층으로서, 하드 코트층 및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 필름(두께 70㎛)을 준비했다. 보호 필름(1)의 점착제층측의 면과, 윈도우 필름의 기재층측의 면이 접하도록 롤투롤법에 의해 적층하고, 레이저 커터(LPTech사 제조)를 이용하여 셀 단위(280mm×220mm)로 절단했다.
이어서 제 1 필름층으로서,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4mm 큰 보호 필름(2)(두께 75㎛, 284mm×224mm,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을 준비했다. 즉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2mm였다. 보호 필름(2)을 윈도우 필름의 하드 코트층측의 면에, 윈도우 필름 및 보호 필름(2)의 각 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셀 접합기(Promis사 제조)를 이용하여 접합했다.
이어서 점착제층으로서의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5㎛)이 제 1 세퍼레이터 필름(PET로 만들어진 수지 필름) 및 제 2 필름층으로서의 제 2 세퍼레이터 필름(PET로 만들어진 수지 필름)에 끼인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을 준비했다.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제 2 세퍼레이터 필름 및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4mm 커지도록 레이저 커터(LPTech사 제조)를 이용하여 절단했다. 즉,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각각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어느 쪽도 2mm였다.
윈도우 필름으로부터 보호 필름(1)을 박리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한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으로부터 제 1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했다. 윈도우 필름의 보호 필름(1)을 박리한 면과,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의 제 1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한 면이 접하도록 셀 접합기(Promis사 제조)를 이용하여 맞붙여, 적층체(1)를 얻었다.
실시예 2(상술의 제 2 실시형태)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 필름(2)을 이용한 것 대신에,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10mm 큰 보호 필름(2')을 이용했다. 또, 제 2 세퍼레이터 필름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10mm 크고, 또한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및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4mm 커지도록 절단했다. 이러한 변경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적층체(2)를 얻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각각 5mm, 5mm 및 2mm였다.
실시예 3(상술의 제 3 실시형태)
실시예 1에 있어서 제 2 세퍼레이터 필름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10mm 크고, 또한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및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네변의 길이보다 각각 4mm 커지도록 절단했다. 이 변경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적층체(3)를 얻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각각 2mm, 5mm 및 2mm였다.
실시예 4(상술의 제 4 실시형태)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 필름(2)을 이용한 것 대신에,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10mm 큰 보호 필름(2')을 이용했다. 이 변경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적층체(4)를 얻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각각 5mm, 2mm 및 2mm였다.
실시예 5(상술의 제 5 실시형태)
실시예 1에 있어서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제 2 세퍼레이터 필름 및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의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셀 단위의 각 변의 길이보다 1mm 커지도록 절단했다. 이 변경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제조함으로써 적층체(6)를 얻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각각 2mm, 0.5mm 및 0.5mm였다.
비교예 1
보호 필름(1)(PET로 만들어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두께 75㎛의 필름,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광학 필름층으로서, 하드 코트층 및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필름(두께 70㎛)을 준비했다. 보호 필름(1)의 점착제층측과, 윈도우 필름의 기재층측의 면이 접하도록 롤투롤법에 의해 적층했다.
이어서 제 1 필름층으로서, 보호 필름(2'')(두께 75㎛, 285mm×225mm,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을 준비했다. 보호 필름(2'')을 윈도우 필름의 하드 코트층측의 면에, 윈도우 필름 및 보호 필름(2'')의 각 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셀 접합기(Promis사 제조)를 이용하여 접합했다.
이어서 점착제층으로서의 제 1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이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및 제 2 필름층으로서의 제 2 세퍼레이터 필름에 끼인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점착제층의 두께 25㎛)을 준비했다.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제 2 세퍼레이터 필름 및 광학 투명성 점착제층의 각 변의 길이를 각각, 윈도우 필름의 각 변의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레이저 커터(LPTech사 제조)를 이용하여 절단했다.
윈도우 필름으로부터 보호 필름(1)을 박리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한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으로부터 제 1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했다. 윈도우 필름의 보호 필름(1)을 박리한 면과, 광학 투명성 점착제 필름의 제 1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한 면이 접하도록 셀 접합기(Promis사 제조)를 이용하여 맞붙였다. 이어서 레이저 커터(LPTech사 제조)를 이용하여 셀 단위(280mm×220mm)로 절단하고, 적층체(5)를 얻었다.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제 1 필름층, 제 2 필름층 및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어느 쪽도 0mm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얻어진 적층체(1∼6)에 대해서, 이물수 및 밀착성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100, 200, 300, 400: 적층체 101: 제 1 필름층
102: 광학 필름층 103: 점착제층
104: 제 2 필름층 106: 프로텍트 필름
107: 제 1 세퍼레이터 필름 110: 프로텍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111: 제 1 적층체 112: 점착제 필름
201: 아크릴판 202: 벽면
203: 적층체 204: 스틸바
501, 502: 재치대

Claims (6)

  1. 제 1 필름층과, 광학 필름층과, 점착제층과, 제 2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굴곡 가능한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는 모두,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층은, 상기 광학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0.4mm 이상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에 접하고 있는 적층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 및 상기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는 모두,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 상기 제 2 필름층, 또는 상기 제 1 필름층 및 상기 제 2 필름층의 단부의 위치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부의 위치보다 외측에 있는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층은, 기재 필름과, 그 한쪽 면에 배치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KR1020190047203A 2018-05-10 2019-04-23 적층체 KR201901297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1163 2018-05-10
JP2018091163 2018-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07A true KR20190129707A (ko) 2019-11-20

Family

ID=6850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203A KR20190129707A (ko) 2018-05-10 2019-04-23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6209B2 (ko)
KR (1) KR20190129707A (ko)
CN (1) CN110467884B (ko)
TW (1) TW2019477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0024A (ja) * 2020-03-05 2021-09-1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1144093A (ja) * 2020-03-10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2169387A (ja) 2021-04-27 2022-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WO2022230893A1 (ja) 2021-04-27 2022-11-03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積層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907A (ja) 2002-10-28 2004-06-17 Nitto Denko Corp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248B2 (ja) * 2002-12-03 2008-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感圧接着剤付き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232602A (ja) * 2010-04-28 2011-11-17 Kira Takayuki シート状体
JP6076523B1 (ja) * 2016-02-25 2017-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48775B1 (ja) * 2016-02-25 2017-06-1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907A (ja) 2002-10-28 2004-06-17 Nitto Denko Corp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6209B2 (ja) 2021-01-20
TW201947778A (zh) 2019-12-16
JP2019199081A (ja) 2019-11-21
CN110467884B (zh) 2023-04-07
CN110467884A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175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6042576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90129707A (ko) 적층체
TWI454510B (zh) 偏光板之製造方法
KR20100117591A (ko) 편광판
TWI568592B (zh) 光學層疊體及其製造方法
KR102413813B1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791058B (zh) 積層體
KR102443686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90084709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I791107B (zh) 積層體
TWI806968B (zh) 積層膜
TWI694272B (zh) 附保護膜之偏光板的製造方法
JP2012137695A (ja) ロール状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CN114514570B (zh) 柔性图像显示装置以及用于其的光学层叠体
KR20170113168A (ko) 광학 필름 및 편광판
JP2023001208A (ja) 光学シート
KR102502463B1 (ko)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220157367A (ko) 적층체
KR20220006528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CN113632235B (zh) 柔性图像显示装置以及用于其的光学层叠体
CN110398800B (zh) 层叠体
WO2014175462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220160692A (ko) 광학 적층체 및 박리 방법
KR20210144728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