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2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25A
KR20190129325A KR1020180053796A KR20180053796A KR20190129325A KR 20190129325 A KR20190129325 A KR 20190129325A KR 1020180053796 A KR1020180053796 A KR 1020180053796A KR 20180053796 A KR20180053796 A KR 20180053796A KR 20190129325 A KR20190129325 A KR 20190129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vating
lifting
rack assembly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217B1 (ko
Inventor
요하네스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17B1/ko
Priority to US16/351,891 priority patent/US10743742B2/en
Priority to AU2019266863A priority patent/AU2019266863B2/en
Priority to PCT/KR2019/002997 priority patent/WO2019216540A1/en
Priority to MX2020011839A priority patent/MX2020011839A/es
Priority to EP19164510.0A priority patent/EP3566634B1/en
Priority to CN201910387586.4A priority patent/CN110464282B/zh
Publication of KR2019012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25A/ko
Priority to US16/940,907 priority patent/US110001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2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lowering and lif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방부를 가지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식기 수납 어셈블리와, 식기 수납 어셈블리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한다.
식기 수납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되는 바스켓(basket)과, 커트러리(cutlery)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는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높이 조절이 어렵거나 설사 높이 조절이 가능하더라도 랙 어셈블리를 터브로부터 인출한 후에 높이 조절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움 내지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랙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터브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랙 어셈블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방부를 가지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도부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링크부재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승강 유도부재에 인접한 제 1단부 및 상기 제 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 1단부 및 상기 제 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암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 1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암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 2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상기 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로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벽의 내면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제한 리브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조작부재와 간섭하도록 마련되는 제 1회동 제한 리브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조작부재와 간섭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회동 제한 리브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2회동 제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에 연결되는 제 1승강 유도부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에 연결되는 제 2승강 유도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터브의 개방부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되는 제 1조작부재 및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와 별개로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되는 제 2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 및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에 마련되는 제 1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을 가지는 제 1링크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 및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을 가지는 제 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방부를 가지는 터브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유도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터브의 개방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부재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터브의 개방부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터브로부터 랙 어셈블리를 인출할 필요 없이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뿐만 아니라 기울기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랙 어셈블리 내지 랙 어셈블리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스켓에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부피를 가지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의 공간 활용도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대신 플라스틱만을 사용하여 랙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제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랙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고, 랙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랙 어셈블리의 제조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일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1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1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2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2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3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3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1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2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3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식기는 그릇, 컵, 커트러리(cutlery), 각종 조리 도구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 1방향(X)은, 터브(12)의 개방부(12a) 및 터브(12)의 개방부(12a)와 마주하는 면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 2방향(Y)은 제 1방향(X)과 상이한 방향을 의미한다. 제 1방향(X)은 승강 유도부재(140)의 축방향(X)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방향(X)은 식기세척기(1)의 전후방향을, 제 2방향(Y)은 식기세척기(1)의 좌우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식기 수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수납 어셈블리는 복수의 바스켓(51,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52)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 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1)은 상부 가이드 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부 바스켓(52)은 하부 가이드 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랙(13a) 및 하부 가이드 랙(13b)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가이드 랙(13a) 및 하부 가이드 랙(13b)은 제 1방향(X)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 수납 어셈블리는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 어셈블리(100)는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랙 어셈블리(100)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랙 어셈블리(100)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만, 랙 어셈블리(10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복수의 바스켓(51,5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터브(12)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브(12)의 내벽에는 랙 어셈블리(100)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90)이 마련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2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제 1공급관(31)을 통해 후술할 제 1분사유닛(41)과 제 2분사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 2공급관(32)을 통해 후술할 제 3분사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41,4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41,42,43)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 바스켓(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분사유닛(4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 바스켓(51) 및 하부 바스켓(52)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분사유닛(4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부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3분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분사유닛(41)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랙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분사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분사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분사유닛(41)은 랙 어셈블리(100) 및 상부 바스켓(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분사유닛(42)은 상부 바스켓(51) 및 하부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 3분사유닛(43)은 제 1분사유닛(41) 및 제 2분사유닛(42)과 달리 터브(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분사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 3분사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분사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대략 터브(12)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 3분사유닛(43)의 노즐(44)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6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하부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60)는 홀더(64)에 의해 가이드 레일(62)에 구속되며,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일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4는 랙 어셈블리(100)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S"는 랙 어셈블리(100)에 수납된 스푼(spoon)을 지칭한다. 도 6에 표시된 "199"는 레일 홀더를 지칭한다. "150"은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포괄하는 조작부재를 지칭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는 랙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승강 가능하도록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승강 플레이트(130)에 걸쳐 놓여질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조작부재(151,152) 및 승강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승강 유도부재(140)는 샤프트(shaft)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선형(線形)을 가질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15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조작부재(151,152)의 조작에 의해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터브(12)의 개방부(12a)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브(12)로부터 랙 어셈블리(100)를 인출할 필요 없이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151,152)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1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링크부재(160)와 함께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도록 링크부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1)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111a,111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플레이트(111)는 그릴(gril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1a,111b)는 제 1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리브(111a) 및 제 2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리브(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 1리브(111a) 및 복수의 제 2리브(111b)는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복수의 제 1리브(111a) 및 복수의 제 2리브(111b)의 연장 방향이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 1리브(111a) 및 복수의 제 2리브(111b)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1)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고정 플레이트(111)의 형상은, 식기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고정 플레이트(111)에는 식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거치부(113)는, 식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기세척기(1)의 작동 과정에서 식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거치부(113)는 제 2방향(Y)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거치부(113)는, 제 1방향(X)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거치 리브(11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거치부(113)의 배열 방향 및 복수의 거치 리브(113a)의 배열 방향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복수의 거치 리브(113a)는 고정 플레이트(1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는 서로 이웃한 복수의 거치 리브(113a)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11)에 고정된다.
프레임(110)은 개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4)는 승강 플레이트(1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는 개구(114)를 중심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는 개구(114)를 중심으로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131,1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승강 플레이트(130)는 그릴(gril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131,132)는 제 1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리브(131) 및 제 2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 1리브(131) 및 복수의 제 2리브(132)는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복수의 제 1리브(131) 및 복수의 제 2리브(132)의 연장 방향이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 1리브(131) 및 복수의 제 2리브(13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승강 플레이트(130)의 형상은, 식기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승강 플레이트(130)에는 식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거치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거치부(134)는, 식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기세척기(1)의 작동 과정에서 식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거치부(134)는 제 2방향(Y)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거치부(134)는, 제 1방향(X)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거치 리브(134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거치부(134)의 배열 방향 및 복수의 거치 리브(134a)의 배열 방향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복수의 거치 리브(134a)는 승강 플레이트(13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는 서로 이웃한 복수의 거치 리브(134a)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승강 플레이트(130)에 고정된다.
프레임(110)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로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벽(115)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는 제 1벽(115a)과, 제 1벽(115a)과 마주하는 제 2벽(115b)과, 제 1벽(115a) 및 제 2벽(115b)을 연결하는 제 3벽(115c) 및 제 4벽(115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은 터브(12)의 전방을 향하고, 프레임(110)의 제 2벽(115b)은 터브(12)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 3벽(115c) 및 제 4벽(115d)은 각각 터브(12)의 우측면 및 좌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벽(115)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의 벽(115)은, 로딩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내벽(116)과, 내벽(1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16) 및 외벽(117)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벽(115)의 내벽(116)은 로딩부의 가장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110)의 벽(115)의 내벽(116)은 고정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를 정의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와 마주하는 벽(115)의 내면에는, 조작부재(151,152)의 회동을 가이드하거나 조작부재(151,152)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조작부재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 가이드부는, 조작부재(151,15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23)(도9참고)와, 조작부재(151,152)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 리브(121,122)(도9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조작부재(151,152)와 마주하는 제 1벽(115a)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제한 리브(121,122)는 조작부재(151,152)와 마주하는 제 1벽(115a)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동 제한 리브(121,122)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와, 승강 플레이트(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회동 제한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동 제한 리브(121) 및 제 2회동 제한 리브(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동 제한 리브(121) 및 제 2회동 제한 리브(12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방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제 1회동 제한 리브(121)는 승강 플레이트(130)가 상승하였을 때 조작부재(151,152)와 간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동 제한 리브(122)는 승강 플레이트(130)가 하강하였을 때 조작부재(151,152)와 간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제 1회동 제한 리브(121) 및 제 2회동 제한 리브(1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1벽(115a)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조작부재(151,152)의 회동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3)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리브(123)는 호(弧)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가이드 리브(123)를 따라 움직이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 및 가이드 돌기(124)(도5참고)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축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는 승강 유도부재(140)와 결합되도록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로부터 승강 플레이트(13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는 승강 유도부재(1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는 프레임(110)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 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리브(127)는 프레임(110)의 벽(115)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보강 리브(127)는 벽(115)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보강 리브(127)는 로딩부의 둘레를 따라 프레임(110)의 벽(115)의 내벽(116) 및 외벽(11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리브(127)의 형성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승강 유도부재(140)의 양 단부는 각각 프레임(110)의 제 1벽(115a) 및 제 2벽(11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140)의 축방향(X)으로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1단부는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강 유도부재(140)의 축방향(X)으로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2단부는 프레임(110)의 제 2벽(11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에 결합되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 및 회전 가능하도록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에 결합되는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승강 유도부재(141) 및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제 2승강 유도부재(142)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 및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151,152)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를 회전시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1승강 유도부재(141)에 결합되는 제 1조작부재(151)와, 제 1승강 유도부재(141)와 별개로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회전시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2승강 유도부재(142)에 결합되는 제 2조작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회동 가능하도록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작부재(151,152)는 승강 유도부재(14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회동 가능한 레버(lev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조작부재(151,152)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링크부재(160)의 제 1단부는 승강 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링크부재(160)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160)는,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부재(160)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arm)(16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링크부재(160)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17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60)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제 2방향(Y)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승강 유도부재(140)에 인접한 제 1단부(171)(도9참고) 및 제 1단부(17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172)(도9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의 제 2단부(172)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링크부재(160)의 암(163)이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 및 제 2단부(172)를 연결하는 연결부(173)(도9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73)는 굴곡 없이 평평할 수 있다.
링크부재(160)의 암(163)이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에 위치하면,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반면, 링크부재(160)의 암(163)이 가이드 슬롯(170)의 제 2단부(172)에 위치하면,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링크부재(160)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 및 제 1승강 유도부재(141)를 연결하는 제 1링크부재(161)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 및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연결하는 제 2링크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링크부재(161)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에 마련되는 제 1가이드 슬롯(17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링크부재(162)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 슬롯(17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160)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1단부 및 승강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제 1링크유닛(165)과, 승강 유도부재(140)의 제 2단부 및 승강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제 2링크유닛(16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링크유닛(165) 및 조작부재(151,1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의 제 1단부는 승강 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는 링크부재(160)와 함께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단단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80)는 가이드 레일(29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로딩부 및 벽(115)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111) 및 벽(115)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유도부재(140)는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승강 유도부재(140)는 스틸(steel)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조작부재(151,152)의 회전축 역할뿐 만 아니라 프레임(110)에 강성을 부여하여 프레임(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승강 유도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강성을 부여하여 프레임(110)의 중심부가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즉, 프레임(110)의 중심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와이어 틀과, 와이어 틀에 결합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랙 어셈블리와 비교해볼 때, 본원발명의 랙 어셈블리(100)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틀을 사용하는 대신 플라스틱만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10)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볍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랙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랙 어셈블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을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와이어 틀에 수납용기를 결합시키는 종래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랙 어셈블리(100)의 제조공정은 종래의 랙 어셈블리의 제조공정에 비해 간단하고 단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1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1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는 동일한 정도로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 상태를 "제 1상태"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가이드 슬롯(175)에 결합된 상태로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2단부(172)로 이동한다. 제 1조작부재(151)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조작부재(151)는 제 1조작부재(151)가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이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2단부(172)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조작부재(151)와 동일한 정도로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가이드 슬롯(176)에 결합된 상태로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2단부(172)로 이동한다.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2조작부재(152)는 제 2조작부재(152)가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이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2단부(172)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랙 어셈블리(100) 및 상부 바스켓(51)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상부 바스켓(51)을 더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부 바스켓(51)에 부피가 더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2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2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랙 어셈블리(1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제 1단부 및 제 2단부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제 2상태"로 정의한다. 이하,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상승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하강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가이드 슬롯(175)에 결합된 상태로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2단부(172)로 이동한다. 제 1조작부재(151)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조작부재(151)는 제 1조작부재(151)가 제 1회동 제한 리브(121)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이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2단부(172)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가이드 슬롯(176)에 결합된 상태로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1단부(171)로 이동한다.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2조작부재(152)는 제 2조작부재(152)가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이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1단부(171)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 1조작부재(151)의 회동 방향 및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 및 터브(12)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를 더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에 더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3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 3상태에 있을 때, 조작부재, 승강 플레이트 및 링크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의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는 동일한 정도로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승강 플레이트(130) 및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의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 상태를 "제 3상태"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가이드 슬롯(175)에 결합된 상태로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1단부(171)로 이동한다. 제 1조작부재(151)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조작부재(151)는 제 1조작부재(151)가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1링크부재(161)의 암(163)이 제 1가이드 슬롯(175)의 제 1단부(171)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가이드 슬롯(176)에 결합된 상태로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1단부(171)로 이동한다.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은 가이드 리브(12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2조작부재(152)는 제 2조작부재(152)가 제 2회동 제한 리브(122)에 의해 간섭될 때까지 승강 플레이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 2링크부재(162)의 암(163)이 제 2가이드 슬롯(176)의 제 1단부(171)에 위치할 경우,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랙 어셈블리(100) 및 터브(12)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랙 어셈블리(100)를 더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랙 어셈블리(100)에 부피가 더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1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151,152)의 후방에는 결합 리브(80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리브(800)는 조작부재(151,152) 및 링크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리브(800)는 조작부재(151,152) 및 링크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리브(800)는 조작부재(151,152)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리브(800)는 아크(arc)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 리브(800)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결합 리브(80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결합 리브(800)는 조작부재(151,152)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 리브(800)는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부재(151,15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리브(80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리브(800)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리브(800)는 고정 플레이트(111),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제 1벽(115a)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2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연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복수의 연결부재(300) 사이에는 연결 리브(91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한 복수의 연결부재(300)는 연결 리브(9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910)는 링크부재(160) 및 링크부재(160)에 인접한 복수의 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연결 리브(910)는 링크부재(160) 및 링크부재(160)에 인접한 복수의 연결부재(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연결 리브(910)는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리브(910)는 복수의 연결부재(300)와 함께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3추가 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인접한 승강 플레이트(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는 승강 플레이트(13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는 승강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는 승강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와 함께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가 모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137)가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30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2000)는 조작부재(151,152) 및 승강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 유도부재(2100)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승강 유도부재(210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2100)는 제 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요철(凹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2100)는 고정 플레이트(111)에 인접하고, 제 1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제 1부분(2111)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승강 플레이트(130)에 인접하고, 제 1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제 2부분(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을 연결하는 제 3부분(2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부분(2113)은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 각각과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제 3부분(2113)은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을 연결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반드시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 각각과 직교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승강 유도부재(2100)의 제 1부분(2111) 및 제 2부분(2112)은, 제 1방향(X)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2100)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유도부재(2100)의 제 1부분(2111)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승강 유도부재(2100)의 제 1부분(2111)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2000)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15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조작부재(151,152)의 조작에 의해 승강 유도부재(210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터브(12)의 개방부(12a)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브(12)로부터 랙 어셈블리(2000)를 인출할 필요 없이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에는 결합 리브(80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리브(800)는 조작부재(151,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리브(800)는 아크(arc)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 리브(800)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결합 리브(80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결합 리브(800)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플레이트(130)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리브(800)는 고정 플레이트(111),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제 1벽(115a) 사이의 갭을 통해 로딩부에 위치한 식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2000)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2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제 1단부는 승강 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2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2100)의 제 1부분(2111)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제 2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1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승강 유도부재(2100)의 제 1부분(211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300)는, 가이드 슬롯(139)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arm)(31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연결부재(300)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13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암(310)은 승강 플레이트(130)의 가이드 슬롯(139)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9)은 제 2방향(Y)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9)은 승강 유도부재(2100)에 인접한 제 1단부 및 제 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9)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가이드 슬롯(139)의 제 1단부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9)은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암(310)이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139)의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굴곡 없이 평평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암(310)이 가이드 슬롯(139)의 제 1단부에 위치하면,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연결부재(300)의 암(310)이 가이드 슬롯(139)의 제 2단부에 위치하면,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승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랙 어셈블리(1000)의 측면에서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랙 어셈블리(10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조작부재(151,152)를 조작하여 승강 플레이트(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조작부재(151,152)의 조작에 의해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0)는 랙 어셈블리(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0)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식기세척기(1)의 제 2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승강 유도부재(140)는 식기세척기(1)의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승강 유도부재(140)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양 단부가 각각 프레임(110)의 제 3벽(115c) 및 제 4벽(115d)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의 양 단부는 각각 프레임(110)의 제 3벽(115c) 및 제 4벽(115d)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0)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15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조작부재(151,152)의 조작에 의해 사프트(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0)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100)는 승강 유도부재(140)의 축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 유도부재(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에 결합되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 및 회전 가능하도록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에 결합되는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승강 유도부재(141) 및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승강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제 2승강 유도부재(142)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 및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151,152)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를 회전시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1승강 유도부재(141)에 결합되는 제 1조작부재(151)와, 제 1승강 유도부재(141)와 별개로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회전시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2승강 유도부재(142)에 결합되는 제 2조작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회동 가능하도록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작부재(151,152)는 승강 유도부재(14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재(151,152)는 회동 가능한 레버(lev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조작부재(151,152)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랙 어셈블리(100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80)는 가이드 레일(29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는 동일한 정도로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즉, 사용자가 승강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 1조작부재(151)를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즉, 사용자가 승강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 1조작부재(151)를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의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승강 플레이트(130)의 양 단부는 동일한 정도로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승강 플레이트(130) 및 고정 플레이트(11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 정도는 동일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랙 어셈블리(10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제 1단부 및 제 2단부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랙 어셈블리(1000)의 승강 플레이트(130)는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상승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하강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 1조작부재(151)를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1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조작부재(152)를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경우, 제 2승강 유도부재(140)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하고, 승강 플레이트(130)의 제 2단부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프레임(110)의 고정 플레이트(11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조작부재(151) 및 제 2조작부재(15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 1조작부재(151)의 회동 방향 및 제 2조작부재(152)의 회동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랙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어셈블리(100a)는 랙 어셈블리(100a)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111)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210)는 복수의 승강 유닛(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승강 유닛(211)은 제 1방향(X)으로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210)는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승강 유도부재(140)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a)는 승강 플레이트(210)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60)의 제 1단부는 승강 플레이트(210)에 결합되고, 링크 부재(260)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260)는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부재(260)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264)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60)는 복수의 승강유닛(211) 및 승강 유도부재(140)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제 1단부는 각각의 복수의 승강유닛(211)에 결합되고, 각각의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제 2단부는 승강 유도부재(14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은 프레임(110)의 제 1벽(115a)과 마주하는 제 1링크유닛(261)과, 프레임(110)의 제 2벽(115b)과 마주하는 제 2링크유닛(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링크유닛(261) 및 제 2링크유닛(262)은,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26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링크유닛(261) 및 조작부재(151,1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은 제 1링크유닛(261) 및 제 2링크유닛(262)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을 연결하는 복수의 암(26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암(264)은 복수의 승강유닛(21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의 제 1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암(264)은 복수의 승강유닛(211)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암(264) 중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암(264) 중 다른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다른 하나의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각각의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17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암(264)은 각각의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가이드 슬롯(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제 2방향(Y)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복수의 가이드 슬롯(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을 향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1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 프레임(110)의 제 2벽(115b)을 향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2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링크유닛(261)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264)은, 프레임(110)의 제 1벽(115a)을 향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1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링크유닛(262)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암(264)은, 프레임(110)의 제 2벽(115b)을 향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2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3링크유닛(263)의 제 1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암(264)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어느 하나의 제 1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 및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다른 하나의 제 2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승강 유도부재(140)에 인접한 제 1단부(171) 및 제 1단부(17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단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의 제 2단부(172)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70)은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암(264)이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 및 제 2단부(172)를 연결하는 연결부(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73)은 굴곡 없이 평평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암(264)이 가이드 슬롯(170)의 제 1단부(171)에 위치하면,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강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링크유닛(261,262,263)의 암(264)이 가이드 슬롯(170)의 제 2단부(172)에 위치하면, 복수의 승강유닛(211)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승할 수 있다.
링크부재(260)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1단부 및 제 1승강 유도부재(141)를 연결하는 제 1링크부재(265)와,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2단부 및 제 2승강 유도부재(142)를 연결하는 제 2링크부재(2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링크부재(265)의 암(264)은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1단부에 마련되는 제 1가이드 슬롯(17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링크부재(266)의 암(264)은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2단부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 슬롯(17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재(151,152)를 회동시킬 경우, 제 1승강 유도부재(141)는 제 1조작부재(151)와 일체로 회전하고, 제 2승강 유도부재(142)는 제 2조작부재(152)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1단부는 제 1승강 유도부재(141)와 연동되어 움직이고, 복수의 승강유닛(211)의 제 2단부는 제 2승강 유도부재(142)와 연동되어 움직인다.
도 20 및 도 21에서는 복수의 승강유닛(211)이 일체로 움직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승강유닛(211)이 별개로 움직이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일부는 상승하고,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나머지 일부는 하강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승강유닛(211)이 기울어진 방향이 상이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일부는 제 1단부가 하강하고, 복수의 승강유닛(211) 중 나머지 일부는 제 2단부가 하강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조작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조절 방식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1: 도어 12: 터브
12a: 개방부 13a: 상부 가이드 랙
13b: 하부 가이드 랙 15: 히터
20: 섬프 21: 세척펌프
22: 배수펌프 31: 제 1공급관
32: 제 2공급관 41: 제 1분사유닛
41a: 회전축 42: 제 2분사유닛
42a: 회전축 43: 제 3분사유닛
44: 노즐 51: 상부 바스켓
52: 하부 바스켓 60: 전환 어셈블리
62: 가이드 레일 64: 홀더
100,100a: 랙 어셈블리 110: 프레임
111: 로딩부 111a: 제 1리브
111b: 제 2리브 112: 홀
113: 거치부 113a: 거치 리브
114: 개구 115: 벽
115a: 제 1벽 115b: 제 2벽
115c: 제 3벽 115d: 제 4벽
115e: 결합공 116: 내벽
117: 외벽 121: 제 1회동 제한 리브
122: 제 2회동 제한 리브 123: 가이드 리브
125: 승강 유도부재 홀더 127: 보강 리브
130: 승강 플레이트 131: 제 1리브
132: 제 2리브 133: 홀
134: 거치부 134a: 거치 리브
140: 승강 유도부재 141: 제 1승강 유도부재
142: 제 2승강 유도부재 150: 조작부재
151: 제 1조작부재 152: 제 2조작부재
160: 링크부재 161: 제 1링크부재
162: 제 2링크부재 163: 암
165: 제 1링크유닛 166: 제 2링크유닛
170: 가이드 슬롯 171: 제 1단부
172: 제 2단부 173: 연결부
175: 제 1가이드 슬롯 176: 제 2가이드 슬롯
180: 롤러 199: 레일 홀더
210: 승강 플레이트 211: 승강유닛
260: 링크부재 261: 제 1링크유닛
262: 제 2링크유닛 263: 제 3링크유닛
264: 암 265: 제 1링크부재
266: 제 2링크부재 290: 가이드 레일
124: 가이드 돌기 300: 연결부재
800: 결합 리브 910: 연결 리브
137: 돌출 리브 1000: 랙 어셈블리
1100: 연결부재 2000: 랙 어셈블리
2100: 승강 유도부재 2111: 제 1부분
2112: 제 2부분 2113: 제 3부분
310: 암 139: 가이드 슬롯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방부를 가지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도부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링크부재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승강 유도부재에 인접한 제 1단부; 및
    상기 제 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 2단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 1단부 및 상기 제 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암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 1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암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제 2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승하는 식기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유도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승강 유도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상기 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로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벽의 내면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 제한 리브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제한 리브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조작부재와 간섭하도록 마련되는 제 1회동 제한 리브;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조작부재와 간섭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회동 제한 리브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2회동 제한 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에 연결되는 제 1승강 유도부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에 연결되는 제 2승강 유도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터브의 개방부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되는 제 1조작부재; 및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와 별개로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에 결합되는 제 2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 및 상기 제 1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단부에 마련되는 제 1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을 가지는 제 1링크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 및 상기 제 2승강 유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단부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을 가지는 제 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방부를 가지는 터브; 및
    식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는,
    상기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딩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유도부재;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터브의 개방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랙 어셈블리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식기세척기.
KR1020180053796A 2018-05-10 2018-05-10 식기세척기 KR10251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96A KR102512217B1 (ko) 2018-05-10 2018-05-10 식기세척기
US16/351,891 US10743742B2 (en) 2018-05-10 2019-03-13 Dishwasher
AU2019266863A AU2019266863B2 (en) 2018-05-10 2019-03-15 Dishwasher
PCT/KR2019/002997 WO2019216540A1 (en) 2018-05-10 2019-03-15 Dishwasher
MX2020011839A MX2020011839A (es) 2018-05-10 2019-03-15 Lavadora de trastes.
EP19164510.0A EP3566634B1 (en) 2018-05-10 2019-03-22 Dishwasher
CN201910387586.4A CN110464282B (zh) 2018-05-10 2019-05-10 洗碗机
US16/940,907 US11000179B2 (en) 2018-05-10 2020-07-2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96A KR102512217B1 (ko) 2018-05-10 2018-05-1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25A true KR20190129325A (ko) 2019-11-20
KR102512217B1 KR102512217B1 (ko) 2023-03-22

Family

ID=6590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96A KR102512217B1 (ko) 2018-05-10 2018-05-1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43742B2 (ko)
EP (1) EP3566634B1 (ko)
KR (1) KR102512217B1 (ko)
CN (1) CN110464282B (ko)
MX (1) MX2020011839A (ko)
WO (1) WO20192165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74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US11969130B2 (en) 2020-11-0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ck assembly and dish washer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17B1 (ko) 2018-05-10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590134B1 (ko) * 2018-11-13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USD937506S1 (en) * 2019-10-04 2021-11-30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assembly
USD956372S1 (en) 2019-11-2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for a dish treating appliance
US11006814B1 (en) * 2020-06-04 2021-05-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temware support/cup shelf for dishwasher
KR20230067345A (ko) * 2021-11-09 202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986144B2 (en) 2022-03-15 2024-05-2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1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2322A (en) * 1971-07-08 1973-08-14 Hobart Mfg Co Rack system for a dishwashing machine
US4046261A (en) * 1976-02-05 1977-09-06 Design & Manufacturing Corporation Dishwasher rack
KR890002448Y1 (ko) * 1986-11-27 1989-04-22 주식회사금성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900004962Y1 (ko) 1987-07-16 1990-06-05 박태현 스크린샤 견장기(tensioner)
US4917248A (en) * 1989-01-12 1990-04-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rack with movable fence
US5205419A (en) * 1991-09-27 1993-04-27 Maytag Corporation Dishwasher racking system
US5480035A (en) * 1994-02-07 1996-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with adjustable shelf
IT235015Y1 (it) * 1994-04-01 2000-03-31 Zanussi Elettrodomestici Cesto per lavastoviglie con setto mobile
SE511001C2 (sv) * 1997-04-03 1999-07-19 Gs Dev Ab Ställ för diskgods i diskmaskin
US6571965B1 (en) * 2000-04-12 2003-06-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rack with pivotable fences
US6546942B2 (en) * 2001-04-17 2003-04-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uxiliary basket
US6848585B2 (en) * 2001-11-09 2005-02-01 Maytag Corporation Rack for reduced height washing compartment
DE10164505A1 (de) 2001-12-28 2003-07-1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esteck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7231929B2 (en) * 2003-11-20 2007-06-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rack
KR101054403B1 (ko) * 2004-02-13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선반 설치 구조
DE602005008037D1 (de) * 2004-05-06 2008-08-21 Arcelik Anonim Sirketi Tuzla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4035726A1 (de) * 2004-07-23 2006-03-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zur variablen Aufnahme von Geschirrteilen
KR20060058298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US8408403B2 (en) * 2005-06-22 2013-04-02 Whirlpool Corporation Molded plastic dishwasher rack tine members including elastomeric bumpers
US20070039904A1 (en) * 2005-08-18 2007-02-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rackets for supporting article holders
DE102005044264B4 (de) * 2005-09-15 2007-06-06 Miele & Cie. Kg Geschirrkorb
DE102005056886B3 (de) * 2005-11-28 2007-02-22 Miele & Cie. Kg Vorrichtung zum Ablegen von Besteck
PL1993427T3 (pl) * 2006-03-16 2009-11-30 Miele & Cie Wkład koszowy do zmywarki do naczyń
US7682465B2 (en) * 2006-04-20 2010-03-23 Maytag Corporation Sliding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KR101270618B1 (ko) * 2006-11-15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US7766175B2 (en) * 2007-11-09 2010-08-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accessory for a dishwasher rack
DE102008015714A1 (de) * 2008-03-26 2009-10-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und Geschirrspülmaschine
KR20100037460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AU2009320505B2 (en) * 2008-11-28 2013-10-3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Adjustable shelf assembly and appliances incorporating the adjustable shelf assembly
DE102008062761B3 (de) 2008-12-18 2010-03-25 Miele & Cie. Kg Besteckschublade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8191560B2 (en) 2009-06-11 2012-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upper dishwasher rack
KR101290375B1 (ko) * 2010-09-02 201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8646620B2 (en) * 2011-05-20 2014-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tines
TR201106334A1 (tr) * 2011-06-27 2013-01-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bulaşık makinası.
DE102011080698B4 (de) * 2011-08-09 2015-12-31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träger zur variablen Aufnahme von Spülgut
US20130299438A1 (en) * 2012-05-09 2013-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vable tine block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8925742B1 (en) * 2012-06-14 2015-01-06 David Dennys Chitayat Folding dishrack with articulating tines
CN103654666B (zh) * 2012-09-19 2016-08-10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KR102002505B1 (ko) * 2012-11-19 2019-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961373B1 (ko) * 2012-11-19 2019-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4981197B (zh) * 2012-12-21 2018-02-06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高脚杯固持单元、洗碗机杯架以及洗碗机篮组件
US9107552B2 (en) * 2013-03-15 2015-08-18 Lifetime Brands, Inc. Collapsible drying rack
US9901240B2 (en) * 2013-08-26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ne adjustment and adaptable wash cycle control
US9962063B2 (en) * 2014-03-13 2018-05-0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rack spray assembly
CN106535733A (zh) * 2014-09-01 2017-03-22 伊莱克斯电器股份公司 支撑组件
US9629515B2 (en) * 2015-07-30 2017-04-2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ulti-sided, rotable tines for a dishwasher rack
KR102393509B1 (ko) * 2015-08-18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DE102015219620B3 (de) * 2015-10-09 2016-10-13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aufnahme für ein flächiges Spülgut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CN106343937B (zh) 2016-11-01 2019-12-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刀叉托盘组件和具有其的洗碗机
US10426315B2 (en) * 2017-02-21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US10405731B2 (en) * 2017-09-07 2019-09-1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pecialty dishwasher for glasses and lower rack for same
WO2019192910A1 (en) 2018-04-06 2019-10-10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KR102512217B1 (ko) * 2018-05-10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1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74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US11969130B2 (en) 2020-11-0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ck assembly and dish washer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66863A1 (en) 2020-10-01
CN110464282B (zh) 2022-12-09
US20200352409A1 (en) 2020-11-12
KR102512217B1 (ko) 2023-03-22
EP3566634A2 (en) 2019-11-13
WO2019216540A1 (en) 2019-11-14
MX2020011839A (es) 2021-01-15
EP3566634A3 (en) 2019-12-25
EP3566634B1 (en) 2022-11-16
US10743742B2 (en) 2020-08-18
US11000179B2 (en) 2021-05-11
US20190343368A1 (en) 2019-11-14
CN110464282A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325A (ko) 식기세척기
JP4692037B2 (ja) 食器洗い機
KR102021823B1 (ko) 식기세척기
KR102002505B1 (ko) 식기세척기
RU256459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KR20040076668A (ko) 식기 세척기
US20130300269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US10602909B2 (en) Stable height adjuster mechanism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20200016773A (ko) 식기세척기
JPH10179495A (ja) 食器洗い機
KR20070063060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0160426B1 (ko) 식기 세척기
JP4507748B2 (ja) 食器洗い機
US11412915B2 (en) Dish washer with loading frame
US11324380B2 (en) Drawer type single cavity dishwashing appliance with convertible drip shields
CN219846462U (zh) 一种顶部开门式的清洗机
CN210673256U (zh) 洗碗机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1527235B1 (ko) 식기 세척기
JP6569085B2 (ja) 食器洗い機等の食器かご
KR20230032374A (ko) 식기세척기
KR100658850B1 (ko) 식기 세척기의 틴 장착 구조
KR100776889B1 (ko) 식기 세정기
CN110063697A (zh) 一种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