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79A -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 Google Patents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79A
KR20190129279A KR1020180053683A KR20180053683A KR20190129279A KR 20190129279 A KR20190129279 A KR 20190129279A KR 1020180053683 A KR1020180053683 A KR 1020180053683A KR 20180053683 A KR20180053683 A KR 20180053683A KR 20190129279 A KR20190129279 A KR 2019012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haft
spool
peripheral surfac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732B1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5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32B1/ko
Priority to US16/407,683 priority patent/US10791724B2/en
Publication of KR2019012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 샤프트를 메인 샤프트와 피니언 샤프트의 분리형 구조로 개별 제작하고, 클러치 on/off 작동에 따른 피니언의 전후진에 맞게 피니언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캐스팅 시 스풀 샤프트와 피니언이 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비거리 감소, 소음 발생, 피니언을 지지하는 볼베어링의 손상 내지 고착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에 연결되고 일단부에 체결핀과 수용부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타단부에 상기 수용부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스풀 샤프트;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타단부에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며, 클러치 off의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 샤프트와 피니언이 서로 비접촉 유지되어 캐스팅 시 스풀 샤프트와 피니언이 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비거리 감소, 소음 발생, 피니언을 지지하는 볼베어링의 손상 내지 고착 발생을 방지하면서, 클러치 on/off 작동에 따른 피니언의 전후진에 맞게 피니언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이트 캐스팅 릴(이하 낚시 릴로 통칭함.)은, 스풀의 제동 방식에 따른 브레이크 다이얼이나 텐션 너트의 작동 구조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크게 스풀이 장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된 팜(palm)측 제1 사이드커버,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에 결합된 기어(gear)측 제2 사이드커버, 상기 제2 사이드커버에 구비된 핸들 및 캐스팅 시 상기 스풀의 자유 회전을 보장하면서 핸들과 연동하여 스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스풀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낚시 릴은 스풀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일체형으로 길게 연결되어, 일측 단부가 텐션 너트의 텐션력 조절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텐션 너트는, 너트 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조이면 스풀 샤프트에 가해지는 압력(텐션력)이 증가함에 다라 스풀의 회전하는 속도가 줄어들고, 반대로 텐션 너트를 너트 장착부의 외측 방향으로 풀면 스풀 샤프트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스풀이 회전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때 스풀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클러치 수단의 피니언이 외삽되어 연결된다.
상기 피니언은 클러치 바의 작동 시 스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스풀 샤프트에 걸림 결합되어 스풀이 자유 회전하지 못하고 핸들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며,
반대로 클러치 바를 풀었을 때 피니언이 스풀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스풀 샤프트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스풀의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캐스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종래의 낚시 릴은 스풀 샤프트에서 피니언이 외삽되는 부위(이하 일측 연장부로 통칭함)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의 흔들림이나 동심불량 등에 의해 피니언과 일측 연장부의 마찰 내지 접촉이 발생하게 되어, 이에 따른 비거리 감소 및 소음(이음)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낚시 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샤프트(20)의 일측 연장부 외주면을 피니언(31)의 내주면보다 작게 하여 서로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너트 장착부 및 프레임에 구비된 볼베어링(B)으로 스풀 샤프트(20)와 피니언(31)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여 피니언(31)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의 낚시 릴은 클러치 off를 위해 피니언(31)이 후진한 상태에서 피니언(31)이 일측(도면 상 우측) 베어링(B)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피니언(31)의 타단부가 흔들려 스풀 샤프트(20)와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스풀(S)에 낚싯줄을 감을 때 발생하는 부하 및 피니언(31)의 회전에 의한 부하가 볼베어링(B)에 전달되면서 볼베어링의 손상을 유발하여, 클러치 작동 불량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12-0033241호, 공개특허 제10-2015-0062981호, 공개특허 제10-2006-0045676호, 등록특허 제10-0791733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과의 마찰 등에 의한 캐스팅 시 비거리 감소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풀 샤프트와 피니언이 서로 이격되어 비접촉되고,
피니언의 클러치 on/off 동작에 따라 스풀 샤프트가 피니언을 지지할 수 있으며,
스풀 분리 시 피니언을 고정시키면서, 핸들로 스풀을 회전시킬 때 피니언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기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과 수용부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타단부에 상기 수용부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분리형 스풀 샤프트;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타단부에 구비하되,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어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외경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면서 상기 수용부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3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을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일체형 스풀 샤프트;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타단부에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체결핀과 이격되어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 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과 수용부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타단부에 상기 수용부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분리형 스풀 샤프트;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타단부에 구비하여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며,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6 돌출부 및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7 돌출부로 구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비접촉하는 마찰 저감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은,
분리형 스풀 샤프트 또는 일체형 스풀 샤프트가 피니언의 내주면에 비접촉 유지되면서, 클러치 off 상태에서 피니언과 메인 샤프트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스풀 회전 시 메인 샤프트와 피니언과의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스풀을 분리할 때 피니언 샤프트가 피니언을 지지한 상태로 유지되어, 핸들 작동에 따른 피니언의 회전 시 엇물림 등으로 인한 기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피니언 샤프트와 피니언과의 접촉 내지 마찰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피니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비거리 감소 및 소음 발생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메인 샤프트와 피니언 샤프트의 마찰을 저감시켜, 2단 구조의 스풀 샤프트 및 비접촉 구조의 피니언과 함께 캐스팅 시 비거리를 증대시킴은 물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고,
분리형 스풀 샤프트 또는 일체형 스풀 샤프트에 있어서, 피니언의 걸림부와 비접촉하면서 스풀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피니언의 걸림부를 지지하여 부품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의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별 요부 단면도들.
도 9는 종래의 클러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프레임(11)의 양측에 팜측 제1 사이드커버(12) 및 기어측 제2 사이드커버(13)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사이드커버(13)에 핸들(14) 및 텐션 너트(15)가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11) 내부에는 클러치 수단(30)에 의해 핸들(14)과 연동하는 스풀(S)이 스풀 샤프트(20)를 통해 양측 사이드커버(12)(13)에 축설되어, 본체(10)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 스풀 샤프트(20)는 텐션 너트(15)를 통한 텐션력 조절을 통해 스풀(S)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텐션력 조절부재(도면부호 미표기)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분리형 스풀 샤프트(20) 또는 일체형 스풀 샤프트(20')와 피니언(31) 사이의 비 접촉 지지 구조를 통해 캐스팅 시 비거리 감소 및 소음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분리형 스풀 샤프트(20)를 갖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 일체형 스풀 샤프트(20')를 갖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12)(13)에 축설되되, 스풀(S)에 연결되고 일단부(도면 상 우측)에 체결핀(22)과 수용부(23)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21)와, 상기 메인 샤프트(21)의 일단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타단부(도면 상 좌측)에 상기 수용부(23)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25)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24)로 이루어진 분리형 스풀 샤프트(20);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타단부에 상기 체결핀(2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32)를 구비하여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21)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며, 클러치 off의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2)가 상기 수용부(23)와 이격되는 피니언(31)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샤프트(21)는 프레임(11)의 축설부에 장착된 볼베어링(B)에 의해 구름 지지되어,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핸들(14)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는 핸들(14)과 상관없이 자유 회전 가능하여 캐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체결핀(22)은 수용부(23)의 타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타측으로 전진된 피니언(31)의 걸림부(32)에 형성된 슬릿홈에 끼워져, 스풀 샤프트(20)와 피니언(31)이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용부(23)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헤드부(25)가 끼워져,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가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수용부(23)와 헤드부(25) 사이에는 윤활 와셔 등의 마찰 저감부재(28)가 구비되어, 캐스팅 시 메인 샤프트(21)가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는 피니언 샤프트(24)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해소하여 비거리 증가에 일조한다.
상기 피니언 샤프트(24)는 상기 텐션 너트(15)에 의한 압력 변화가 메인 샤프트(21)에 전달되도록, 메인 샤프트(21)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으로, 특히 제1 실시예는 메인 샤프트(21)와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으며,
수용부(23)와 헤드부(25)의 암수 결합 을 통해 메인 샤프트(21)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피니언 샤프트(24)는 텐션 너트(15)가 조여질 때 가해지는 압력을 메인 샤프트(21)로 전달하여 스풀 샤프트(20)(즉, 스풀(S))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텐션 너트(15)가 풀어질 때 메인 샤프트(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스풀(S)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미설명 도면부호 26, 27은 너트 장착부 내측에 구비된 홀더(29)의 양측에 걸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부로써, 일측 이탈방지부(27)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오링으로 구성되어, 필요 시 피니언 샤프트(24)를 타측으로 빼내어 홀더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수단(30)은 클러치 바(34)의 작동 시 클러치 암(35)에 의해 요크(36)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니언(31)을 후진시켜, 걸림부(32)가 체결핀(22)에서 이탈함에 따라,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31), 즉 스풀(S)과 핸들(14)의 연동을 해제하여, 캐스팅 시 스풀(S)이 자유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 바(34)의 작동을 해제하면, 스프링(3)에 의해 요크(36)가 타측 방향으로 복귀 이동하면서 피니언(31)을 전진시켜, 걸림부(32)가 체결핀(22)에 걸림 결합되고,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31), 즉 스풀(S)과 핸들(14)이 서로 연동하게 되어, 핸들(14)에 의해서만 스풀(S)이 회전하여 낚싯줄을 감거나 풀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도면 부호 14a는 핸들(14)과 연결된 기어 뭉치의 드라이브 기어로써, 피니언(31)의 외주면에 구비된 톱니 기어부(33)에 치합되며, 이러한 드라이브 기어(14a) 및 톱니 기어부(33)는 피니언(31)의 전후진에 상관없이 상시적으로 치합되어, 클러치 on 상태에서 핸들(14)을 통해 메인 샤프트(21)에 걸림 결합된 피니언(31)을 회전시켜 스풀(S)이 회전하도록 함과 아울러, 클러치 off 상태에서 피니언(31)의 회전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가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캐스팅에 의해 메인 샤프트(21)가 회전할 때 피니언 샤프트(24)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피니언 샤프트(24)와 피니언(31)과의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비거리가 증가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상기 마찰 저감부재(28)를 통해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 간의 마찰을 해소함으로써, 비거리 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 릴의 정비나 수리를 위해 제1 사이드커버(12)를 개방 후 스풀(S)을 분리하더라도, 메인 샤프트(21)만이 함께 분리되면서 피니언 샤프트(24)는 제2 사이드커버(13)에 계속 결합 유지되기 때문에, 핸들(14)에 의해 피니언(31)이 회전하면서 기어의 맞물림 구조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기어(14a) 및/또는 톱니 기어부(3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클러치 off 상태에서 피니언(31)만이 단독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는 피니언 샤프트(24)와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러치 off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31)이 메인 샤프트(21)와 이격되어 있더라도, 피니언 샤프트(24)가 피니언(31)에 축 결합되는 형태로 내삽되어 있으므로, 캐스팅 시 피니언(31)의 양측 단부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려 피니언 샤프트(24)에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클러치 on 상태에서 피니언(31)이 회전할 때 피니언(31)의 동심 불량 등으로 인해 피니언(31)과 피니언 샤프트(24) 사이에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부하의 증가 내지 소음 발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니언(31)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제2 지지부재(39)(38) 및 피니언(3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도입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스풀 샤프트(20)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31)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31)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9) 및
상기 걸림부(3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8)를 포함한다.
즉, 피니언 샤프트(24)의 외경과 피니언(31)의 내경을 다르게 하더라도, 피니언(31)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지지 구조가 없게 되면 피니언 샤프트(24)와 피니언(31)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피니언(31)이 요동하여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지지수단 및 제1 지지부재(39)를 통해 피니언(31)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특히 피니언(31) 회전 시(즉, 클러치 on 상태에서), 피니언(31)과 제1, 제2 지지부재(39)(38)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39)(38)는 볼베어링 또는 마찰 저감 부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제1 지지부재(39)가 볼베어링으로, 제2 지지부재(38)가 마찰 저감 부싱으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재(39)는 텐션 너트(15)가 장착되는 너트 장착부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38)는 프레임(11)의 축설부 내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피니언(31)의 전후진 상태에 상관없이 제1, 제2 지지부재(39)(38)가 피니언(31)의 양측 단부를 상시적으로 지지하여 피니언(31)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31)이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부(2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3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돌출부(23a)로 구성된다.
즉, 메인 샤프트(21)와 수용부(23)의 연결부를 일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하여, 직경이 큰 부위를 걸림부(32)의 내주면이 접촉되는 제1 돌출부(23a)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피니언(31)의 전진 상태에서 제1 돌출부(23a)가 걸림부(32)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핸들(14)에 의해 피니언(31) 및 메인 샤프트(21)가 함께 회전할 때 축선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피니언(31)의 후진 상태에서는 걸림부(32)가 제1 돌출부(23a)에서 이탈하여 캐스팅 시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21)가 회전하지 않는 피니언(31)에 접촉 내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헤드부(25)의 외경이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경보다 크면서 상기 수용부(23)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 돌출부(25a)로 구성된다.
즉, 상기 헤드부(25)의 외주면을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헤드부(24)의 길이를 수용부(23)의 홈 깊이보다 길게 하여, 돌출된 헤드부(24)의 외면이 제2 돌출부(25a)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피니언(31)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돌출부(25a)가 피니언(31)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핸들(14)에 의해 피니언(31) 및 메인 샤프트(21)가 함께 회전할 때 축선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피니언(31)의 후진 상태에서는 피니언(31)의 내주면이 헤드부(25)에서 이탈하여 캐스팅 시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21)가 회전하지 않는 피니언(31)에 접촉 내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3 돌출부(24a)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에서 상기 헤드부(25)의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돌출된 제3 돌출부(24a)를 구비하여,
피니언(31)의 전진 상태에서 제3 돌출부(24a)가 피니언(31)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핸들(14)에 의해 피니언(31) 및 메인 샤프트(21)가 함께 회전할 때 축선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피니언(31)의 후진 상태에서는 피니언(31)의 내주면이 제3 돌출부(24a)에서 이탈하여 캐스팅 시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21)가 회전하지 않는 피니언(31)에 접촉 내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3 돌출부(24a)는 클러치 on 상태에서만 피니언(31)의 내주면을 지지하면 족하고, 개수에 제한이 없다.
아울러 이러한 분리형 스풀 샤프트(20)가 적용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부(2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31)의 클러치 on 전진 상태에서만 상기 걸림부(32)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돌출부(23a)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4 돌출부(24b)(24c)를 포함한다.
즉, 제1 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제1 돌출부(23a) 및 상기 제3 돌출부(24a)가 혼합된 형태로써, 다만 제3 돌출부(24a)는 피니언(31)이 클러치 on으로 전진한 상태에서만 피니언(31)을 지지하나, 제4 돌출부(24b)(24c)는 피니언(31)의 클러치 on/off에 상관없이 전, 후진 상태에서 항상 피니언(31)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4 돌출부(24b)(24c)의 개수나 위치에 제한이 없으며, 이에 도 5에는 피니언 샤프트(24)에서 헤드부(25)의 후방측 전단부 및 이탈방지부(26)의 전방측 후단부에 2개의 제4 돌출부(24b)(24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분리형 스풀 샤프트(20)가 피니언(31)의 동작 상태에 상관없이 피니언(3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수단(30)은 상기 걸림부(3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비접촉하는 마찰 저감 부싱(38a)을 포함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38)는 마찰 저감 부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마찰 저감 부싱(38a)의 내경은 상기 걸림부(32)의 외경다 크게 형성되어, 마찰 저감 부싱(38a)과 걸림부(32) 사이에는 서로 비접촉하도록 이격된 유격부(38g)가 형성되도록 조립된다.
이에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31)이 회전할 때, 피니언(31)이 마찰 저감 부싱(38a)과 접촉하지 않고, 피니언(31)의 전, 후단부가 각 돌출부로 구성된 지지수단 및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재(39)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를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31)이 회전할 때, 피니언(31)이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재(39)에 지지된 상태에서 피니언(31)의 전단부, 즉 걸림부(32)가 미세 요동하는 것을 마찰 저감 부싱(38a)이 잡아 주게 된다.
이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재(39)와 다르게 마찰 저감 부싱(38a)이 피니언(31)의 걸림부(32)에 상시 접촉되어 있으면, 조어 시 염분 등의 이물질이 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해당 부위에 고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지지수단을 통해 마찰 저감 부싱(38a)의 내주면과 걸림부(32)의 외주면 사이에 유격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낚시 릴 정비 시, 스풀을 비롯한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를 제거한 상태에서 핸들(14) 조작을 통해 피니언(31)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이물질 고착 등의 이유로 마찰 저감 부싱(38a) 자체가 생략되어 있으면, 걸림부(32)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부품이 없게 되어 피니언(31)의 전단부가 요동하면서 톱니 기어부(33)를 비롯한 다른 부품의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걸림부(3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미세하게 이격되어 비접촉하는 마찰 저감 부싱(38a)을 통해 피니언(31)의 단독 회전 시에만 마찰 저감 부싱(38a)이 피니언(31)의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이물질 고착을 방지와 피니언(31) 지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저감 부싱(38a)은 분리형 스풀 샤프트(20)(및 일체형 스풀 샤프트(20'))를 완전하게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핸들 조작으로 피니언(31)이 회전할 경우 피니언(31)의 단독 회전에 따른 부품의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일체형 스풀 샤프트(20')를 갖는 제2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S)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22)을 구비한 메인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24)로 이루어진 일체형 스풀 샤프트(20');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타단부에 상기 체결핀(2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32)를 구비하고,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2)가 상기 체결핀(22)과 이격되어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31)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스풀 샤프트(20')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31)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31)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9)를 더 포함한다.
즉, 제2 실시예는 메인 샤프트(21)와 피니언 샤프트(24)가 분리형이 아닌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 스풀 샤프트(20')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스풀 샤프트(20')는 수용부(23)와 헤드부(25)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일체형 스풀 샤프트(20')로 인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샤프트(21)의 외주면에서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32)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돌출부(21a)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돌출부(21a)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수용부(23)에 구비된 제1 돌출부(23a)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21a)는 메인 샤프트(21) 자체의 외경을 걸림부(32)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여 걸림부(32)에 접촉하는 메인 샤프트(21)의 일부가 제1 돌출부(21a)로 기능할 수도 있고,
또는 메인 샤프트(21)의 외경을 걸림부(32)의 내경보다 작게 하면서, 메인 샤프트(21)의 외주면에서 외경이 크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21a)가 추가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샤프트(24)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 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3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돌출부(24d)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돌출부(24d)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헤드부(25) 또는 피니언 샤프트(24)에 구비된 제2, 제3 돌출부(25a)(24a)를 대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체형 스풀 샤프트(20')가 적용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니언(31)이 클러치 on되게 전진한 상태에서만 돌출부(21a)(24d)들이 피니언(31)의 내경을 지지함으로써,
피니언(31)의 전진 상태에서 핸들(14)에 의해 스풀 샤프트(20')가 회전할 때 축선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피니언(31)의 후진 상태에서 스풀 샤프트(20')가 회전할 때 피니언(31)과 접촉 내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밖에 상기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제2 지지부재(39)(38) 및 마찰 저감 부싱(38a) 등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은, 핸들(14)에 의한 스풀(S)의 안정적인 회전 및 부하 감소, 그리고 캐스팅 시 피니언(31)의 안정적인 지지 및 마찰 발생을 차단하여, 비거리 증대 및 소음 감소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프레임
12, 13 : 사이드커버 14 : 핸들
14a : 드라이브 기어 15 : 텐션 너트
20 : 분리형 스풀 샤프트 20' : 일체형 스풀 샤프트
21 : 메인 샤프트 22 : 체결핀
23 : 수용부 24 : 피니언 샤프트
25 : 헤드부 26, 27 : 오링
28 : 마찰 저감부재
21a, 23a, 24a, 24b, 24c, 24d, 25a : 돌출부
30 : 클러치 수단 31 : 피니언
32 : 걸림부 33 : 톱니 기어부
34 : 클러치 바 35 : 클러치 암
36 : 요크 37 : 스프링
38, 39 : 지지부재 38a : 마찰 저감 부싱
38g : 유격부

Claims (10)

  1.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과 수용부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타단부에 상기 수용부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분리형 스풀 샤프트;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타단부에 구비하되,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어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외경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면서 상기 수용부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3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5.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을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일체형 스풀 샤프트;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타단부에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체결핀과 이격되어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메인 샤프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가 나머지 외주면 보다 외경이 크도록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8. 양측 단부가 양측 사이드커버에 축설되되, 스풀을 관통하면서 일단부에 체결핀과 수용부를 구비한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타단부에 상기 수용부에서 공회전하게 삽입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피니언 샤프트로 이루어진 분리형 스풀 샤프트;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에 외삽되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되, 상기 체결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타단부에 구비하여 전후진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며, 클러치 off 후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는 피니언을 포함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피니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이 서로 비접촉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의 클러치 on의 전진 상태에서만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스풀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4 돌출부로 구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피니언의 일단부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비접촉하는 마찰 저감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KR1020180053683A 2018-05-10 2018-05-10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KR10218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83A KR102184732B1 (ko) 2018-05-10 2018-05-10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US16/407,683 US10791724B2 (en) 2018-05-10 2019-05-09 Fishing reel having pinion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83A KR102184732B1 (ko) 2018-05-10 2018-05-10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79A true KR20190129279A (ko) 2019-11-20
KR102184732B1 KR102184732B1 (ko) 2020-11-30

Family

ID=6846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83A KR102184732B1 (ko) 2018-05-10 2018-05-10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91724B2 (ko)
KR (1) KR1021847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167U (ko) * 1997-03-31 1998-11-16 이기동 낚시용 스피닝 릴의 순간역전 방지장치
KR200227044Y1 (ko) * 2000-12-11 2001-06-15 주식회사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자유회전 유도구조
KR100382814B1 (ko) * 2000-05-05 2003-05-09 더블유. 씨. 브래들리/제브코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스풀 자유회전 메카니즘을 갖춘 베이트캐스트 낚시 릴
JP2017085964A (ja) * 2015-11-10 2017-05-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659Y2 (ko) * 1981-02-09 1986-06-13
JPS6119661Y2 (ko) * 1981-03-28 1986-06-13
US4570878A (en) * 1982-03-03 1986-02-18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Clutch and brake for a fishing reel
JPS5963128A (ja) * 1982-10-04 1984-04-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S6120165U (ja) * 1984-07-11 1986-02-05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US4919360A (en) * 1988-07-21 1990-04-24 Zebco, Corporation Clutch mechanism for bait casting fishing reel
JP2967910B2 (ja) * 1994-10-05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糸張力計測装置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3011255U (ja) * 1994-11-17 1995-05-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166900B2 (ja) * 1996-09-11 2001-05-1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961757B2 (ja)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SG116585A1 (en)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JP4981958B2 (ja) 2010-09-29 2012-07-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18532B2 (ja) * 2013-09-27 2017-10-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9545088B2 (en) 2013-11-29 2017-01-17 Globeride, Inc. Fishing reel
JP6389609B2 (ja) * 2013-12-27 2018-09-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両軸受リール
EP2923568A1 (en) * 2014-03-19 2015-09-30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JP7122081B2 (ja) * 2016-09-08 2022-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57476B2 (ja) * 2016-09-30 2021-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167U (ko) * 1997-03-31 1998-11-16 이기동 낚시용 스피닝 릴의 순간역전 방지장치
KR100382814B1 (ko) * 2000-05-05 2003-05-09 더블유. 씨. 브래들리/제브코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스풀 자유회전 메카니즘을 갖춘 베이트캐스트 낚시 릴
KR200227044Y1 (ko) * 2000-12-11 2001-06-15 주식회사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자유회전 유도구조
JP2017085964A (ja) * 2015-11-10 2017-05-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1724B2 (en) 2020-10-06
US20190343104A1 (en) 2019-11-14
KR102184732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529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JP6376739B2 (ja)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US10952418B2 (en) Gear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9737062B2 (en) 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JP2015065913A5 (ko)
US10477849B2 (en) Dual-bearing reel
JP6560551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20190129279A (ko)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KR10214872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JP6653359B2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及び、一方向クラッチをユニット化する方法
JP4875587B2 (ja) 魚釣用リール
JP7219203B2 (ja) 両軸受型リール
CN112005979A (zh) 钓鱼用绕线轮
JP2018093768A5 (ko)
US11252949B2 (en) Fishing reel
US11122787B2 (en) Fishing reel
US20240065244A1 (en) One-way clutch and fishing reel
JP2012157332A (ja) 魚釣用リール
US5211355A (en) Gear support construction for fishing reel
KR101894745B1 (ko) 낚시 릴의 드래그 릴리즈 시스템
US9226485B2 (en) Fishing reel and drive mechanism therefor
JP2022181753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2406445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釣竿
KR102207977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TW202408355A (zh) 單向離合器及釣魚用捲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