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932A -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932A
KR20190128932A KR1020180053304A KR20180053304A KR20190128932A KR 20190128932 A KR20190128932 A KR 20190128932A KR 1020180053304 A KR1020180053304 A KR 1020180053304A KR 20180053304 A KR20180053304 A KR 20180053304A KR 20190128932 A KR20190128932 A KR 2019012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ordinate
area
display
valu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951B1 (ko
Inventor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5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20 priority patent/WO2019216527A1/ko
Priority to US16/981,002 priority patent/US11232739B2/en
Publication of KR2019012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고,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평균 보정 값에서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보정량을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LOR BALANC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고,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방송 등의 목적으로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함께 사용되어 영상을 표현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박람회 등에서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되면서 광학 소자의 밝기 차이 때문에 화면 전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얼룩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전광판과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경계선에 불연속적인 색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만의 색 보정을 통해 화면 전체의 색을 균일하게 표현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만의 색 보정을 통해 화면 전체의 색을 균일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할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각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 좌표 값의 평균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중, 색 좌표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정된 보정량을 재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색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별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된 색 좌표 값을 기초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와는 구별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정된 보정 값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각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 좌표 값의 평균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중, 색 좌표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정된 보정량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색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밝기 별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이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정된 보정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색 좌표 보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의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우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 별 보정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화면에서 보정될 영역을 식별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외부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감마 곡선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계측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감마 곡선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마 곡선을 조정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별로 색 좌표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색 좌표는 RGB, YUV, HSV, CIE, Lab와 같은 다양한 도메인일 수 있다.
계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계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밝기 별 화면을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밝기 별 화면을 계측한다는 것은, 계측 장치가 제1 밝기로 표시된 화면 및 제2 밝기로 표시된 화면의 색 좌표를 계측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예를 들어, 백색)의 화면을 표시하면, 계측 장치(200)는 이를 계측하여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일 때의 색 좌표 값을 계측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보다는 어두운 제2 밝기(예를 들어, 회색)의 화면을 표시하면, 계측 장치는 이를 다시 계측하여, 디스플레이가 제2 밝기일 때의 색 좌표 값을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측 장치(200)는 백색부터 흑색까지 점진적으로 어두워지거나 흑색부터 백색까지 점진적으로 밝아지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각각 계측할 수 있다. 이때, 계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계측하거나, 일부 영역만을 계측할 수도 있다.
계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의 픽셀 별로 픽셀 값을 계측하거나,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별로 픽셀 값을 계측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픽셀 값은 픽셀의 밝기 값, 색 좌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픽셀의 밝기가 동일한 경우, 픽셀 값은 색 좌표 값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한편, 계측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 별로 픽셀 값을 계측하는 경우, 여기서의 픽셀 값은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그룹의 평균 밝기 값 및 평균 색 좌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그룹이란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미세 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미세 영역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보정이 수행되는 영역은 복수의 픽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 및 색 좌표 계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조도 측정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계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촬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계측 장치(200)는 이미지 센서 및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촬상한 영상을 이용하여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계측 장치(200)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의 픽셀 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계측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픽셀 별로 밝기 값 및 색 좌표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 영역의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계측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상한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영상 또는 영상의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의 특정 위치와 디스플레이의 픽셀의 위치를 매칭하는 동작을 우선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 내 존재하는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와 좌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경계에서의 픽셀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 값의 보정 값을 산출 및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보정 값 산출 및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고, 계측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계측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감마 곡선을 조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전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는 별도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감마 곡선 조정 동작은 계측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계측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10)는 계측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상한 영상 또는 이에 기초한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와 계측 장치가 동일한 구성인 경우, 계측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100)가 아닌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일 경우,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조정된 색 좌표의 보정 값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무선랜,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지그비, 적외선(IrDA)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유선 방식인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유선 Etherne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컴포넌트 포트, PC 포트,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110)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GB(Red Green Blue), DSUB, S-Video(Super Vide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색 좌표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된 디스플레이의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목표 색 좌표 값을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목표 픽셀 값으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의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산출하고, 픽셀 별로 다른 보정 값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계산의 속도 및 메모리에 보다 유리하도록 영역 별로 보정 값의 평균을 산출하고, 해당 영역은 일괄적으로 평균 보정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이며, 특정 기준에 의해 보정이 수행될 영역으로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각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의 평균 값과 목표 픽셀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영역을 보정이 필요한 제1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복수의 영역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하나의 픽셀 그룹일 수도 있고, 하나의 픽셀일 수도 있다. 이때, 픽셀 그룹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가 적으면 미세 분할 영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미세 분할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보정이 수행되는 제1 영역은 복수의 미세 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할된 복수의 영역은 같은 크기일 수도 있고, 다른 크기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픽셀들 중, 색 좌표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내에 포함된 픽셀들은 각 픽셀 값과 목표 픽셀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픽셀 그룹 중, 픽셀 그룹의 평균 픽셀 값과 목표 픽셀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 그룹들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내에 포함된 픽셀 그룹들은 각 평균 픽셀 값과 목표 픽셀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계측 장치가 별개의 장치이면, 사용자는 계측 장치에서 영상 내 보정이 필요한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하며, 보정이 필요한 영역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얼룩의 크기를 어림잡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얼룩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을 분할하는 동작 및 보정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은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의 픽셀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픽셀 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의 픽셀 값이 연속적인지 여부에 따라 보정 값을 다른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픽셀들의 밝기 값 또는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의 픽셀들의 색 좌표의 보정량이 평균 보정 값에서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이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별로 평균 보정 값을 이용하여 픽셀 값을 보정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보정 값 조정 동작은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픽셀들의 밝기 값 또는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가 크면, 프로세서(120)는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가 크도록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반면,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가 작으면, 프로세서(120)는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가 작도록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 영역 간의 보정 값의 차이가 클수록 보정량의 기울기 또는 곡률을 완만하게 하여, 인접 영역 간의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픽셀들의 밝기 값 또는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의 픽셀들의 색 좌표의 보정량을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경계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보정 후 경계면에서의 색 좌표 값이 일치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정된 보정량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 중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 색 좌표 값의 평균 산출 동작 및 조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2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의 색이 보다 균일하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계측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색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밝기 별 보정 값을 산출 및 저장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여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란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형광등과 같은 실내 조명, 태양광 등의 위치 및 밝기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계측 값이 달라질 것이므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는 형광등 및 태양광의 위치 및 밝기 등의 정보를 더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픽셀 값의 보정 값을 조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의 색이 보다 균일하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형광등은 실내에 고정된 것일 확률이 높으나, 태양광의 경우 시간, 계절 및 기후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고, 이동 속도도 달라진다. 따라서,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넷 등 외부 서버로부터 계절, 날씨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시간, 계절, 날씨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픽셀 값의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만의 색 좌표 보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화면 전체의 색을 균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130), 유저 인터페이스부(140), 메모리(150), 센서(160), 비디오 프로세서(170), 오디오 프로세서(180) 및 오디오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의 일부 동작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버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등은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메모리(15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24)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130)에 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디스플레이(130)로 제공되어,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20)가 하나의 CPU(123)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3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조정된 색 좌표 값을 기초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등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보정할 영역을 설정하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디스플레이(130)도 유저 인터페이스부(140)로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계측 정보 및 영역 별로 조정된 보정 값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와 계측 장치가 동일한 구성이라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160)는 조도 센서 또는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조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픽셀 값을 계측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픽셀 값을 계측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1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70) 및 오디오 프로세서(18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30)는 비디오 프로세서(17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표시 영역, 서브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오디오 프로세서(18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9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와 같이 음성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외부 스피커에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포트 형태일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HDMI 포트,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의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410)의 차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에서 색감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 제1 영역과 다른 측에서 인접한 제3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를 가정해보면, 우선 전자 장치는 계측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각 영역의 색 좌표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평균 색 좌표 값(431), 제2 영역의 평균 색 좌표 값(432), 제3 영역의 평균 색 좌표 값(433)을 영역 별로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는 각 영역의 평균 색 좌표 값(431, 432, 433)과 목표 색 좌표 값(420)을 이용하여, 각 영역의 평균 보정 값(440)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역의 평균 보정 값(440)의 보정량은 보정 제로선(425)을 기준으로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제로선(425)은 보정량이 0임을 나타내는 선일 수 있다. 그리고 보정량은 방향 없이 크기만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410)에 각 영역의 평균 보정 값(440)을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보정 후 색 좌표 값(450)과 같이 보정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기초하여 도출된 보정 후 색 좌표 값(450)을 살펴보면, 영역 별로 동일한 평균 보정 값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영역의 경계(451, 452)에서 색 좌표 값의 불연속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보정 후 오히려 색감의 불연속이 확연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분할한 각 영역의 경계에서는 평균 보정 값이 적용되지 않도록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우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각 영역의 경계에서 보정량이 0이 되도록 색좌표 보정 값(440)을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영역의 보정 값을 평균 보정 값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로 갈수록 보정 값이 보정 제로선(425)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제1 영역의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영역의 경계로 갈수록 평균 보정 값에서 보정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1 영역의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동작은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 동작을 통해 획득된 조정된 보정 값(510)을 도 4의 색 좌표 값(410)에 적용하면, 조정된 보정 값(510)으로 보정된 색 좌표 값(520)이 획득될 수 있다. 이를 도 4의 보정 후 색 좌표 값(450)과 비교해보면, 각 영역의 경계(521, 522)에서 발생했던 불연속성이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보정 값을 조정하면, 영역 간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의 불연속성은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영역 내에서 색감 차이의 발생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보정 값으로 보정 후 색 좌표 값(520)을 살펴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521)에서의 색 좌표 값과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경계(522)에서의 색 좌표 값의 차이로 인해 제1 영역 내에서는 색감의 차이(523)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영역의 조정된 색 좌표의 보정 값(510)을 재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경계에서의 보정 값은 연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각 경계의 색 좌표의 차이 값을 감소시키도록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의 색 좌표 값은 목표 색 좌표 값보다 높으므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에서는 보정 값이 음수가 되도록 조정하고, 제1 영역과 제3 영역의 경계의 색 좌표 값은 목표 색 좌표 값보다 낮으므로, 제1 영역과 제3 영역의 경계에서는 보정 값이 양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조정 동작을 통해 획득된 재조정된 보정 값(530)을 도 4의 색 좌표 값(410)에 적용하면, 재조정된 보정 값(530)으로 보정된 색 좌표 값(540)이 획득될 수 있다. 이를 도 5의 조정된 보정 값으로 보정한 색 좌표 값(200)과 비교해보면, 각 영역의 경계에서 연속적이면서, 제1 영역 내에서 색감 차이도 감소(541)하여 균일한 색감으로 표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차원에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 구현시에는 영역의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가능하여 2차원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사이에 색 좌표 값의 불연속이 발생된 경우이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간 경계면에서 불연속이 발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계측 결과,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610)는 영역 간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계와 연속적인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610) 중 영역 간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계는 도 5에 도시된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보정된 조정 값(620)에서, 영역 간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계의 보정 값(622)은 평균 보정 값에서 경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영역 간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계는 도 5와 같이 경계에서 동일한 보정량이 적용되도록 보정 값을 산출하면, 경계에서의 불연속이 유지되므로, 이 경우에는 보정된 조정 값(620)에서, 영역 간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경계의 보정 값(621)은 각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을 그대로 보정 값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 간 경계에서의 색 좌표가 불연속적일 경우,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을 그대로 적용하여 획득된 보정된 색 좌표(630)를 살펴보면, 경계에서 양쪽 영역의 색 좌표 값(631)이 일치 또는 차이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밝기 별 보정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계측 정보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별로 구분된 것일 수 있으며, 각 영역을 복수의 미세 분할 영역 별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Grey 0, Grey 1, Grey 2, Grey 3 과 같이 4개의 밝기 별로 디스플레이를 계측할 수 있다. 실제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는 4개 미만 또는 5개 이상의 밝기 별로 계측될 수 있다. 또한 각 밝기 레벨에 대해 디스플레이는 3 by 3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할 영역은 m by n의 미세 분할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분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Grey 3에서 (3,3)의 분할 영역 내 (m.n)의 미세 분할 영역의 RGB 보정 값(gain)을 나타낸 것이며, 전자 장치는 각 밝기 별 보정 값을 모두 저장하기 위해서는, 4 * (3 * 3) *(m * n) * 3 의 저장 셀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보정 값은 분할 영역 또는 미세 분할 영역 별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각 보정 값들은 가변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화면에서 보정될 영역을 식별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는 목표 색 좌표 값(810) 및 최대 허용 오차(820) 및 최소 허용 오차(8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오차(820, 830)는 목표 색 좌표 값(810)을 기준으로 색감의 차이가 육안으로는 구분하기 힘들거나, 용인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계측 정보에 포함된 색 좌표 값(840)을 이용하여 보정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허용 오차(820, 830)의 색 좌표 값을 갖는 픽셀들이 경계가 되도록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해 보면,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840)과 최소 허용 오차(830)와 교차하는 교차점(841, 842)을 영역의 시작 및 끝, 즉 경계로 하도록 제1 분할 영역(851)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840)과 최대 허용 오차(820)가 교차하는 교차점을 영역의 경계로 하도록 제2 분할 영역(852)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840)과 최소 허용 오차(830)가 교차하는 교차점을 영역의 경계로 하도록 제3 분할 영역(853)을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허용 오차(820, 830)와 색 좌표 값(840)의 교차점을 경계로 하여 보정이 수행될 영역을 식별하는 방식은 색 좌표 값(840)이 연속적인 구간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840)이 불연속적인 지점에서는 불연속 지점을 경계로 하도록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이 최대 허용 오차(820)를 넘는 지점 및 색 좌표 값이 불연속인 지점(843)을 경계로 하는 제4 분할 영역(854) 및 제5 분할 영역(855)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8에서 분할된 영역 별로 도 5 및 도 6의 보정 방법을 적용한 후의 색 좌표 값(940)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보정 과정을 통해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인 부분은 사라졌고, 각 분할 영역 내에서의 색 좌표 값의 차이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도 9를 참조하면, 보정을 수행한 색 좌표 값(940)도 목표 색 좌표 값(810) 및 허용 오차(820, 830)를 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보정이 수행된 색 좌표 값(940)과 허용 오차(820, 830)의 교차점(941, 942)을 경계로 하도록 제1 분할 영역(951)을 다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좌표 값(940)과 허용 오차(820, 830)의 교차점을 경계로 하는 제2 분할 영역(952)을 식별할 수 있다. 도 9의 색 좌표 값(940)에는 불연속적인 부분은 사라졌으므로, 전자 장치는 제1 분할 영역(951) 및 제2 분할 영역(952)에 대해 도 5의 보정 방법을 적용하여 색 좌표 값 반복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서 보정이 수행될 분할 영역을 지정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는 전체를 복수의 미세 분할 영역(1001)으로 분할하고, 각 미세 분할 영역에 대한 계측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이 수행될 분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순서(1010)와 같이 중앙에서부터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세 분할 영역의 색 좌표 값이 허용 오차를 벗어났는지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미세 분할 영역의 색 좌표 값의 평균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오차를 벗어난 것으로 식별된 미세 분할 영역을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확인 순서(1010)는 디스플레이의 중앙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보정이 필요한 영역(1020, 1030, 1040)을 식별할 수 있고,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보정이 필요한 영역의 경계는 색 좌표 값이 연속적(1020, 1040)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보정이 필요한 영역의 경계는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1030)인 경우,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외부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광원은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실내 조명(1110) 및 태양광(1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광원은 디스플레이 전체 또는 일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1110) 또는 태양광(1120)의 위치나 밝기를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외부 환경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외부 광원이 조사된 상태에서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은 시간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침에는 태양광(1210)이 전자 장치(100)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로 조사되었던 반면, 오후에는 태양광(1220) 전자 장치(100)의 우측에서 디스플레이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1210, 1220)의 위치, 이동 경로, 밝기 등은 날씨, 계절, 시간 등에 의해 달라지므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계절, 시간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태양광(1210, 1220)에 대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보정하는 전자 장치는 별개의 구성일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계측 장치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와는 구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와 계측 장치가 동일한 장치이면, 전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개의 구성이며, 전자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계측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는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S13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보정이 수행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된 제1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각각의 보정 값 및 이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는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평균 보정 값에서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고,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보정량을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S1330).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과 제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가 크면,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가 커지도록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영역의 좌우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라면, 전자 장치는 색 좌표 값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보정 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색 좌표 값만을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밝기 값을 함께 보정 및 보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감마 곡선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는 3 by 3으로 영역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우선,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그레이 레벨(N)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410). 그 다음, 전자 장치는 설정된 그레이 레벨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S1420).
그리고,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행(P)과 열(Q)을 각각 1로 설정할 수 있다(S1430). 그 다음, 전자 장치는 설정된 (P.Q)의 분할 화면의 색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S1440). 여기서 색 좌표를 측정한다는 것은 계측 장치로부터 설정된 분할 영역의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분할 화면의 색 좌표가 목표 색 좌표와 일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450). 이때, 측정된 색 좌표와 목표 색 좌표가 일치하지 않으면(S1450-N), 전자 장치는 설정된 분할 영역의 그레이 레벨에서의 색 좌표 값, 예를 들어, R,G,B 출력 값을 조정할 수 있다(S1470). 이때, 전자 장치는 설정된 분할 영역의 색 좌표 값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분할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색 좌표 값을 조정 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분할 영역의 색 좌표를 다시 측정 및 목표 색좌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식별을 반복할 수 있다.
측정된 색 좌표와 목표 색 좌표가 일치하면(S1450-Y), 전자 장치는 Q가 3인지 판단(S1460)하고, Q가 3이 아니면(S1460-N), Q를 Q+1값으로 변환(S1461)하고, (P,Q)의 분할 영역의 색 좌표를 측정 및 보정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는 색 좌표가 보정된 영역과 동일한 행(P)에 위치하면서 인접한 영역의 색 좌표를 측정 및 보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Q가 3이면(S1460-Y), 1행의 영역들에 대해서는 측정 및 보정이 완료된 것이므로, 전자 장치는 P가 3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80). P가 3이 아니면(S1480-N), 전자 장치는 P를 P+1 값으로 변환(S1481)하고, (P,Q)의 분할 영역의 색 좌표를 측정 및 보정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P가 3이면(S1480-Y), 전자 장치는 그레이 레벨(N)이 4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90). 이때, 그레이 레벨(N)이 4가 아니면(S1490-N), 전자 장치는 N을 N+1로 변환(S1491)하고, P 및 Q 값을 1로 설정하는 S1430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이는 새로운 그레이 레벨의 각 분할 영역의 색 좌표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상에 기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만의 색 좌표 보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화면 전체의 색을 균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시스템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200 : 계측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할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각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 좌표 값의 평균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영역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중, 색 좌표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정된 보정량을 재조정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색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밝기 별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된 색 좌표 값을 기초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와는 구별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정된 보정 값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보정 값 및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보정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량이 감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식별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각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 좌표 값의 평균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영역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 중, 색 좌표 값과 목표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픽셀을 경계로 하여 식별된 영역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고,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경계의 색 좌표 값과 상기 제2 경계의 색 좌표 값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정된 보정량을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별 색 좌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밝기 별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정 값을 조정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외부 광원의 위치, 밝기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것이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정된 보정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색 좌표 보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색 좌표 값을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한 색 좌표 값의 평균 보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연속적이면, 상기 제1 영역의 색 좌표 값의 보정량이 상기 평균 보정 값에서 상기 경계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보정 값을 픽셀 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에서의 색 좌표 값이 불연속적이면, 상기 보정량을 상기 평균 보정 값으로 유지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80053304A 2018-05-09 2018-05-09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1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04A KR102513951B1 (ko) 2018-05-09 2018-05-09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CT/KR2019/001620 WO2019216527A1 (ko) 2018-05-09 2019-02-11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6/981,002 US11232739B2 (en) 2018-05-09 2019-02-11 Electronic device, color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04A KR102513951B1 (ko) 2018-05-09 2018-05-09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32A true KR20190128932A (ko) 2019-11-19
KR102513951B1 KR102513951B1 (ko) 2023-03-27

Family

ID=6846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04A KR102513951B1 (ko) 2018-05-09 2018-05-09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2739B2 (ko)
KR (1) KR102513951B1 (ko)
WO (1) WO2019216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05A (ko) * 2019-11-14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60A1 (en) * 2010-08-12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60142525A (ko) * 2015-06-03 201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972B2 (ja) 2002-03-04 2007-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ラスト強調方式
KR100590529B1 (ko) * 2003-11-04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국부적 휘도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70031756A (ko) 2005-09-15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06388B1 (ko) 2006-07-12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2008051905A (ja) 2006-08-22 2008-03-0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JP4237220B2 (ja) 2006-11-13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透過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306431A (ja) 2007-06-07 2008-12-18 Iix Inc 表示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画質調整装置
KR100958324B1 (ko) 2008-07-30 2010-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백라이트 휘도 조절 기능을가지는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970883B1 (ko) * 2008-10-08 2010-07-20 한국과학기술원 영역 특성을 고려한 영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6021339B2 (ja) 2012-01-27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25387B2 (ja) 2012-05-08 2016-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の画質改善方法
JP6309777B2 (ja) 2014-02-10 2018-04-11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20150121957A (ko) * 2014-04-22 2015-10-30 주식회사 케이엠그래픽스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60A1 (en) * 2010-08-12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60142525A (ko) * 2015-06-03 201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527A1 (ko) 2019-11-14
US20210110753A1 (en) 2021-04-15
KR102513951B1 (ko) 2023-03-27
US11232739B2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44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3608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003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backlight to prevent or reduce gradation overcompensation
US10127889B2 (en)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US201601485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717389B2 (en) Projector array for multiple images
EP2685446A2 (en) Display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wer saving
US10529301B2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JP200906369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27700B2 (en) Generation of display overlay parameters utilizing touch inputs
KR10259995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08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44334B1 (ko)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25899A1 (en) Image display method
KR20150140514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상 방법
US1136319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KR102513951B1 (ko)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3027470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KR10252136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3372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482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 방법
US10477135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73370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451297B2 (en) Identifying a rectangular area in a multi-projector system
US20220122234A1 (en) High dynamic range post-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