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388B1 -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388B1
KR100806388B1 KR1020060065566A KR20060065566A KR100806388B1 KR 100806388 B1 KR100806388 B1 KR 100806388B1 KR 1020060065566 A KR1020060065566 A KR 1020060065566A KR 20060065566 A KR20060065566 A KR 20060065566A KR 100806388 B1 KR100806388 B1 KR 10080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s
awb
image
constitut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397A (ko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388B1/ko
Priority to US11/608,020 priority patent/US7804526B2/en
Publication of KR2008000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AWB방법은,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기초로,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AWB 수행에 이용될 AWB 데이터인 색차적분을 계산하기 위하여 AWB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색차적분을 계산하는데 소요되는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고속촬영 모드에서의 영상에 대한 AWB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AWB, 윈도우, 색차적분, 분할

Description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Method for AWB and image device thereof}
도 1은 촬상된 영상을 4개의 윈도우로 분할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캠코더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WB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e는 촬상된 영상을 96개의 윈도우로 분할하고, 분할된 윈도우들 중에서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렌즈부 130 :촬상부
132 : CCD 134 : CDS/AGC
136 : ADC 150 : DSP부
152 : 색분리부 154 : 게인조정부
160 : AWB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AWB(Auto White Balance)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AWB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을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장치이며,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를 들 수 있다. 촬영장치는 보다 자연스러운 색재현을 위해, 촬상된 영상에 대해 AWB를 수행한 후에 기록하고 있다.
AWB는 촬상된 영상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색차적분을 계산하고, 계산된 색차적분에 기초하여 색신호마다 게인을 조정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이때, 색차적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된 영상(10)을 4개의 윈도우들(①, ②, ③, ④)로 분할하고, 분할된 4개의 윈도우들마다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AWB는 촬상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SD(Standard Definition)인 경우에는 적합하지만,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인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HD의 경우는 촬상되는 영상의 크기가 매우 커서, 색차적분 계산에 소요되는 연산량이 매우 많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고속모드(High Speed Mode)로 영상을 촬상하여 AWB를 수행하는 경우, 노말모드(Normal Mode)인 경우보다 단위시간당 촬상되는 영상의 개수가 많아지고, AWB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색차적분계산에 소요되는 연산량이 더욱 더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에 대한 AWB 수행에 이용될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감축시키고, 데이터의 색차적분을 계산하는데 소요되는 연산량 감소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WB방법은,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 정수는 촬영모드의 배속을 나타내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선택된 윈도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상에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행의 개수가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의 행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열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의 열의 개수를 상기 특정 정수로 나눈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을 특정 개수의 윈도우들로 그룹화 하고, 상기 그룹화된 각각의 윈도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WB방법은, 상기 선택된 윈도우들이 포함된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WB 수행단계는,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AWB에 이용될 AWB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A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AWB부; 및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WB부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 정수는 촬영모드의 배속을 나타내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를 사용자가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WB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그리고, 상기 AWB부는, 상기 행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의 행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WB부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WB부는 상기 열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의 열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WB부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을 특정 개수의 윈도우들로 그룹화 하고, 상기 그룹화된 각각의 윈도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WB부는,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들이 포함된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WB부는,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AWB에 이용될 AWB 데이터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WB부는,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AWB에 이용될 AWB 데이터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계산된 상기 A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지털 캠코더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지털 캠코더는, 렌즈부(110), 촬상부(130), DSP(Digital Signal Processor)부(150), AWB(Auto White Balance)부(160), 제어부(170), 조작부(180) 및 디스플레이(190)를 구비한다.
촬상부(130)는 렌즈부(110)를 통해 들어오는 광학적 영상 신호를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것으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132), CDS(Correlated Double Sampler)/AGC(Auto Gain Controller)(134),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ter)(136)를 구비한다.
CCD(132)는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하여, 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이다. CDS/AGC(134)는 CCD(13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ADC(136)는 CDS/AGC(13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 로 변환한다.
한편 촬상부(130)는 CMOS형 촬상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는 광학적 영상신호를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데 있어서, CCD(132)와 달리 CDS/AGC(134) 및 ADC(136)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DSP부(150)는 색분리부(152)와 게인조정부(154)를 구비한다.
색분리부(152)는 ADC(136)로부터 인가받은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휘도(Y)신호와 색차(R-Y/B-Y)신호를 분리하여 후술할 AWB부(160)로 인가한다. 또한, 색분리부(152)는 RGB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Y/R-Y/B-Y 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한다.
게인조정부(154)는 색분리부(152)에서 출력되는 R/G/B 신호 각각에 대한 게인을 조정한다. 게인조정부(154)는, R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R-게인조정부(154-R), G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G-게인조정부(154-G), 및 B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정하는 B-게인조정부(154-B)를 구비한다. R/G/B-게인조정부(154-R/G/B)의 게인조정을 통해 촬상된 영상에 대한 AWB가 수행되게 되며, 게인조정량은 후술할 제어부(170)가 결정한다.
AWB부(160)는 색분리부(152)로부터 인가받은 Y/R-Y/B-Y 신호를 이용하여 색차적분(R-Y_Sum/B-Y_Sum)를 계산한다. 색차적분(R-Y_Sum/B-Y_Sum)은 촬상된 영상에 대한 AWB 수행에 이용될 AWB 데이터이다.
AWB부(160)가 색차적분(R-Y_Sum/B-Y_Sum)을 계산하는 방법은 디지털 캠코더의 촬영모드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 촬상된 영상에서, 노말 촬영모드(Normal Mode), 고속 촬영모드(High Speed Mode)마다, AWB부(160)가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방법이 다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WB부(160)는 후술할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모드정보를 통해, 본 디지털 캠코더의 촬영모드를 알 수 있다.
제어부(170)는 AWB부(160)에서 계산된 색차적분(R-Y_Sum/B-Y_Sum)에 기초하여, 촬상된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색차적분(R-Y_Sum/B-Y_Sum)에 기초하여 촬상된 영상의 R/G/B 신호에 대한 게인조정량들(GR, GG, GB)을 각각 결정하고, 결정된 게인조정량들(GR, GG, GB)을 R/G/B-게인조정부(154-R/G/B)로 각각 인가함으로서, R/G/B-게인조정부(154-R/G/B)에서 AWB된 R/G/B 신호(R/G/B_AWE)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촬상된 영상과 함께 AWB를 수행하는 윈도우들이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AWB를 수행하는 윈도우의 개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상에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디지털 캠코더에서 AWB가 수행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AWB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디지털 캠코더는 영상을 촬상한다(S210). 구체적으로, S210단계는 CCD(132)에서 광전변환을 통해 생성된 영상신호에 대해 상관이중 샘플링, 자동게인제어, 및 A/D변환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이후, AWB부(160)는 촬영모드를 판단한다(S220, S250). AWB부(160)의 판단 동작은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모드 정보를 통해 가능하다.
촬영모드가 노말모드로 판단되면(S220-Y), AWB부(160)는 촬상된 영상을 타일 형태인 96개의 윈도우로 분할하고(S230), 분할된 타일 형태의 96개 윈도우 각각에 대한 색차적분(R-Y_Sum/B-Y_Sum)을 계산한다(S240), 이때, 96개의 윈도우는 8×12행렬의 윈도우로 구성된다.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적분(R-Y_Sum/B-Y_Sum)을 기초로 하여, 촬상된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한다(S290).
반면, 촬영모드가 4배의 고속모드로 판단되면(S250-Y), AWB부(160)는 촬상된 영상을 노말모드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타일 형태의 96개의 윈도우로 분할한다(S260).
또한, AWB부(160)는 분할된 윈도우들 중에서 분할된 윈도우의 총개수인 96을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인 24개의 윈도우를 선택한다(S270). AWB부(160)가 윈도우를 선택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의해 자동처리되거나, 사용자가 AWB를 수행할 윈도우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와 같이, 촬상된 영상을 96개의 윈도우로 분할하고, 분할된 윈도우의 총개수인 96을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과 같은 24개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것은 AWB를 수행하기 위하여 AWB부(160)로 전송하는 윈도우에 대한 데이터 양을 줄임으로써, 전송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AWB부(160)는 선택된 24개의 윈도우들 각각에 대한 색차적분(R- Y_Sum/B-Y_Sum)을 계산한다(S280). 이와 같이, 24개의 윈도우에 대한 색차적분(R-Y_Sum/B-Y_Sum)을 계산하도록 한 것은, 색차적분(R-Y_Sum/B-Y_Sum)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고속모드인 경우, 단위시간당 촬상되는 영상의 개수가 노말모드인 경우보다 많기 때문에, 노말모드와 같이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윈도우에 대한 데이터를 AWB부(160)에 전송하고, 모든 윈도우들에 대해 색차적분(R-Y_Sum/B-Y_Sum)을 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시간에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색차적분(R-Y_Sum/B-Y_Sum)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
따라서,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 일부에 대해서만 색차적분(R-Y_Sum/B-Y_Sum)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시간을 단축하고, AWB데이터 계산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색차적분(R-Y_Sum/B-Y_Sum) 계산에 소요되는 연산량이 줄어들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적분(R-Y_Sum/B-Y_Sum)을 기초로 하여, 촬상된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한다(S290)
이하, 분할된 96개의 윈도우 중에서 24개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4a 내지 도 4e에는, 영상을 구성하는 96개의 윈도우에 대한 AWB를 수행하기 위하여 24개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4a에서, 촬상된 영상을 타일 형태의 96개 윈도우로 분할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때, 96개의 윈도우는 8×12 행렬의 윈도우로 구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타일형태의 96개 윈도우들에서 윈도우의 총개수인 96를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인 24개의 윈도우가 임의로 선택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타일형태의 96개의 윈도우들은 전체 8개의 행을 구성한다.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전체 행이 8개이므로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인 2개의 행을 임의로 선택한 일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4d를 참조하면, 타일형태의 96개의 윈도우들은 전체 12개의 열을 구성한다.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전체 열이 12개이므로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인 3개의 열를 임의로 선택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4e에는 4배의 고속 모드이므로 4개의 윈도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각각의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윈도우을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 4배의 고속모드일 때, 각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 전체 개수을 고속모드의 배수인 4로 나눈 값인 24개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조작부(180)를 이용하여 직접 AWB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분할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조작부(180)를 이용하여 AWB를 수행할 윈도우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 를 이용하여 AWB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9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화면을 통해 AWB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윈도우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메뉴화면'이란 '촬영모드의 종류, AWB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윈도우의 개수 등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윈도우의 개수가 선택되면, 도 4b 내지 도 4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AWB가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AWB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윈도우의 개수를 선택하고, 다시 개수에 대응되는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AWB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윈도우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법에 있어서도, 영상을 구성하는 분할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윈도우도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9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AWB를 수행하는 방법, 특히, 촬영 모드가 고속모드인 경우 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AWB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실시예에서 고속모드가 4배속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2배속, 5배속, 6배속등의 경우 뿐만 아니라, 1배속인 노말모드인 경우에도 보다 빠른 AWB를 수행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된 영상을 타일 형태의 96개 윈도우로 분할된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분할된 윈도우의 개수나 형 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 영상을 윈도우로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촬상된 영상의 해상도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촬상된 영상이 해상도가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을 촬상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촬영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예로 든 디지털 캠코더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CCTV와 같은 감시카메라, 모바일폰 장착용 카메라 등에 적용가능하며, 이밖에 촬영장치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촬상된 영상을 입력받아, AWB를 수행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에 대한 AWB 수행에 이용될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감축시키고, 데이터의 색차적분을 계산하는데 소요되는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AWB 수행에 이용될 데이터 전송시간의 감소와 연산량 감소로 인해, AWB의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AWB 수행과정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영상에 대한 AWB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2)

  1.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에 대한 AWB(Auto White Balance)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WB 수행단계는,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AWB에 이용될 AWB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AWB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수는 촬영모드의 배속을 나타내는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상에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행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행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열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특정 개수의 윈도우들로 그룹화 하고, 상기 그룹화된 각각의 윈도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을 선택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AWB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들이 포함된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B방법.
  12. 삭제
  13.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 일부의 윈도우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에 대한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AWB 데이터를 계산하는 AWB(Auto White Balance)부; 및
    상기 계산된 AWB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AWB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의 개수를 특정 정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수는 촬영모드의 배속을 나타내는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의 개수를 사용자가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7. 제 13에 있어서,
    상기 AWB부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으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8. 제 13에 있어서,
    상기 AWB부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윈도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이루어진 윈도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AWB부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특정 개수의 윈도우들로 그룹화 하고, 상기 그룹화된 각각의 윈도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의 윈도우들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들이 포함된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2. 삭제
KR1020060065566A 2006-07-12 2006-07-12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KR10080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66A KR100806388B1 (ko) 2006-07-12 2006-07-12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US11/608,020 US7804526B2 (en) 2006-07-12 2006-12-07 Auto white balance method using windows of a plurality of windows that form an imag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66A KR100806388B1 (ko) 2006-07-12 2006-07-12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97A KR20080006397A (ko) 2008-01-16
KR100806388B1 true KR100806388B1 (ko) 2008-02-27

Family

ID=3894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66A KR100806388B1 (ko) 2006-07-12 2006-07-12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4526B2 (ko)
KR (1) KR100806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247B1 (ko) * 2004-01-09 2012-11-1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2 패널 네비게이션
US20080272884A1 (en) * 2007-05-03 2008-11-06 Sybase 365,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hreat Alerting
KR102513951B1 (ko) 2018-05-09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268A (ja) * 1992-12-22 1994-07-15 Nec Corp 逆光補正機能付きビデオカメラ
JPH10257517A (ja) 1997-12-24 1998-09-25 Canon Inc 撮像装置
JP2002232906A (ja) 2001-01-31 2002-08-16 Ricoh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JP2005136854A (ja) 2003-10-31 2005-05-26 Konica Minolta Opto Inc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341077A (ja) 2004-05-26 2005-12-08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KR20070010705A (ko) *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wb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022A (en) * 1989-11-17 1994-01-25 Sanyo Electric Co., Ltd.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white balance in response to luminance information signal and color information signal obtained from image sensing device
US5760831A (en) * 1992-08-28 1998-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white balance control
JP3039730B2 (ja) * 1992-09-11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5420630A (en) * 1992-09-11 1995-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performing white balance control based on data from regions of a frame
JPH06261336A (ja) * 1993-03-04 1994-09-16 Canon Inc ビデオ撮像装置
US5589879A (en) * 1993-03-26 1996-12-31 Fuji Photo Film Co., Ltd. Performing white balance correction on integrated divided areas of which average color is substantially white
JP4288395B2 (ja) * 1999-01-20 2009-07-01 株式会社ニコン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機能を備える電子カメラ
JP2002095004A (ja) * 2000-09-14 2002-03-29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3914763B2 (ja) * 2001-12-26 2007-05-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008778B2 (ja) * 2002-07-31 2007-11-1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4464241B2 (ja) * 2004-10-12 2010-05-19 Hoya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268A (ja) * 1992-12-22 1994-07-15 Nec Corp 逆光補正機能付きビデオカメラ
JPH10257517A (ja) 1997-12-24 1998-09-25 Canon Inc 撮像装置
JP2002232906A (ja) 2001-01-31 2002-08-16 Ricoh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JP2005136854A (ja) 2003-10-31 2005-05-26 Konica Minolta Opto Inc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341077A (ja) 2004-05-26 2005-12-08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KR20070010705A (ko) *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wb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4526B2 (en) 2010-09-28
US20080012957A1 (en) 2008-01-17
KR20080006397A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827B2 (en) Imag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077917B2 (en) Image sensor having HDR capture capability
KR100900485B1 (ko)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 카메라용 이미지 센싱 수단 및 이를채용한 디지털 카메라
US808124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4051674B2 (ja) 撮像装置
US20060119738A1 (en) Image sens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2970487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程序
US20060050956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US8964094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for producing image data on the basis of a plurality of signals transmitted from an image element
US7187409B2 (en) Level difference correcting method and image pick-up device using the method
US8111298B2 (en) Imaging circuit and image pickup device
JP2003163937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9420223B2 (en) Image recording device that records moving imag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0806388B1 (ko) Awb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US20070285529A1 (en) Image input device, imaging module and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EP2515543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3826885B2 (ja) 電子カメラ
JP200016589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88914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402839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7250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069409A (ja) 撮像装置と映像記録装置
KR100736934B1 (ko) Awb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5550333B2 (ja) 撮像装置、現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209850A (ja) 撮像装置用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の信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