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957A -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957A
KR20150121957A KR1020140048236A KR20140048236A KR20150121957A KR 20150121957 A KR20150121957 A KR 20150121957A KR 1020140048236 A KR1020140048236 A KR 1020140048236A KR 20140048236 A KR20140048236 A KR 20140048236A KR 20150121957 A KR20150121957 A KR 2015012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ent
screen device
correction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그래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그래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그래픽스
Priority to KR102014004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957A/ko
Publication of KR2015012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8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9/882Signal drop-out compensation the signal being a composite colou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multiple sensors
    • H04N23/15Image signal generation with circuitry for avoiding or correcting image mis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부(2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발색 특성을 분석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부(300)에서 분석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콘텐츠부(200)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large-scale displaying content}
본 발명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원시 콘텐츠인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를 보정하여 전달함으로써,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 박람회장, 옥외광고시설 등과 같은 특수한 목적을 갖는 현장에서의 콘텐츠 상영에 있어서, 유동 관람자의 시선유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2대 이상의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각각의 화면의 해상도를 합친 고해상도 및 각각의 화면의 크기보다 큰 대화면 장치(대형화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연동되는 만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로 인해 대화면 장치 전체적으로 화질이 안정화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비하여, 대화면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게 발색 보정을 통해, 대화면 장치 전체의 화질을 안정화시키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며, 전력과 발열로 인한 내구성 또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은, 별도의 구성 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대화면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자체의 발색을 보정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를 보정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이다.
국내 공개 특허 제2008-0025593호("디스플레이 영상의 색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이하 선행문헌 1)는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 디스플레이가 목표로 하는 타겟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색감을 표현하면서 현재 사용 디스플레이의 최대 밝기 및 채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색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허나, 선행문헌 1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는 대화면 장치에서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 보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25593호 (공개일자 2008.03.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원시 콘텐츠인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를 보정하여 전달함으로써, 기본적인 영상 장치 외에 추가적인 영상 장치 없이 용이하게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부(2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발색 특성을 분석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부(300)에서 분석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콘텐츠부(200)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감지부(300)에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발색 특성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100),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한 겹침 영역 정보 또는, 발색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S200), 상기 분석 단계(S200)에서 분석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 단계(S300) 및 상기 보정 단계(S300)에 의해 보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감지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정 단계(S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원시 콘텐츠인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의 색상, 채도 및 명도 등을 보정하여 전달함으로써,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젝터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화면 장치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투사할 경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해 생기는 겹침 영역을 감지하여, 겹침 영역에서 발생하는 밝기의 불균일성 또한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의 밝기 보정을 통하여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대화면 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발색을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
즉, 대화면 장치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에 맞게 보정한 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별도의 장치에 의한 추가 전력 및 발열에 의한 내구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구축함에 있어서,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정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발색 차이가 적고 전체적으로 화질이 우수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 콘텐츠부(200), 감지부(300) 및 보정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는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통해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특성으로 인한 발색 차이를 보정하여 전체적으로 화질이 우수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콘텐츠부(200), 감지부(300) 및 보정부(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특성을 극복하고 전체적으로 화질이 우수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부(2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부(200)는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보정부(4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에서 분석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부(200)에서 전달받은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을 감지하거나,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한 겹침 영역 정보 또는, 발색 차이에 의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젝터 영상 시스템, 즉, 다수의 프로젝터로 영상이 투사되는 대화면 장치의 경우,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해 겹침 영역이 발생되고 이 겹침 영역의 밝기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을 감지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단위로 발색 차이를 감지하거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일정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전체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부와 분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을 감지하거나,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대화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거나, 상기 대화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분석부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하거나,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분석 알고리즘은, 종래에 널리 이용되는 콘텐츠의 발색 차이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이며,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양한 실시예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있을 경우에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고, 발색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부(300)에서 분석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부(200)에서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이다.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에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단위, 일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별로, 일정 영역 별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 전체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보정부(400)는상기 겹침 영역으로 인한 밝기의 불안정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밝기를 보정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화소 별로, 일정 영역 별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 전체를 보정함으로써,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 상이한 발색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여도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의 발색 보정을 통해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특성을 극복하고 상기 대화면 장치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프로젝터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로 투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에서 생기는 밝기의 불균일성도 밝기 보정을 통해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대화면 장치가 A, B, C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경우, 대화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 역시, A', B', C'로 나뉘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된다.
이 때, A, B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발색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C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도가 A, B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높을 경우,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을 적용하여, 감지부(300)에서 C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도가 A, B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높은 것을 감지 및 이러한 발색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보정부(400)로 전달함으로써, 보정부(400)에서 C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C'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채도 부분을 보정하여 전체적으로 A, B, C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일한 발색 특성을 갖도록 보이도록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색 차이의 감지 단계(S100), 발색 특성의 분석 단계(S200), 발색 특성의 보정 단계(S300)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출력 단계(S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감지 단계(S100)는 상기 감지부(300)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젝터 영상 시스템, 즉, 다수의 프로젝터로 영상이 투사되는 대화면 장치의 경우,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해 겹침 영역이 발생되고 이 겹침 영역의 밝기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을 감지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단위로 발색 차이를 감지하거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일정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전체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분석 단계(S200)는 상기 감지부(300)를 통해서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한 겹침 영역 정보 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획득부와 상기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고 발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보정 단계(S300)는 상기 보정부(400)를 통해서 상기 분석 단계(S200)에서 분석한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부(20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보정 단계(S300)는 상기 분석 단계(S200)에서 분석한 상기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게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보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감지부(300)에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단위, 일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의 발색 차이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화소 별로, 일정 영역 별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 전체의 발색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겹침 영역으로 인한 밝기의 불안정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밝기를 보정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화소 별로, 일정 영역 별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 전체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계(S400)는 상기 콘텐츠부(200)를 통해서 상기 보정 단계(S300)에 의해 보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은, 대화면 장치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발색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라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 자체를 보정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발색 특성을 갖는 것 처럼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출력되어 안정적으로 대화면 장치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콘텐츠부
300 : 감지부
400 : 보정부

Claims (5)

  1.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부(2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발색 특성을 분석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부(300)에서 분석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400)는
    상기 콘텐츠부(200)를 통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감지부(300)에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여, 발색 특성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3.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대화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100);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한 겹침 영역 정보 또는, 발색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 단계(S200);
    상기 분석 단계(S200)에서 분석한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 단계(S300); 및
    상기 보정 단계(S300)에 의해 보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대화면 장치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S1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면 장치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겹침 영역 또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발색 차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S300)는
    상기 대화면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색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방법.
KR1020140048236A 2014-04-22 2014-04-22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KR20150121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236A KR20150121957A (ko) 2014-04-22 2014-04-22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236A KR20150121957A (ko) 2014-04-22 2014-04-22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57A true KR20150121957A (ko) 2015-10-30

Family

ID=5443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236A KR20150121957A (ko) 2014-04-22 2014-04-22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27A1 (ko) * 2018-05-09 2019-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27A1 (ko) * 2018-05-09 2019-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232739B2 (en) 2018-05-09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lor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270B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US10681319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jection system
US11176865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93246B2 (en)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US10148924B2 (en) Proje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system
CN105096815A (zh) Led显示屏亮色度校正方法以及led显示屏系统
CN106034211A (zh) 多荧幕系统的校正系统与方法
EP31363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djustment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10652510B2 (en)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US1089664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unit for image correction based on pixel values
US8648964B2 (en) Multi-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thereof
US10630949B2 (en)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US201800333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display screen
JP6181931B2 (ja) 投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投影システム
KR202000138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JP6304971B2 (ja) 投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197768A (ja) 画像投射システム及び投射画像の制御方法
JP6707871B2 (ja) 画質補正方法、及び、画像投射システム
JP2008187362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投写画像調整方法
US9672598B2 (en) Color moire reducing method, color moire reduc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150121957A (ko) 대화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 방법
JP2006109168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US11109002B2 (en)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US8228342B2 (en) Image display device, highlighting method
US11562712B2 (en) Video reproduction system,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for video reprod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