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231A -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231A
KR20190128231A KR1020197031194A KR20197031194A KR20190128231A KR 20190128231 A KR20190128231 A KR 20190128231A KR 1020197031194 A KR1020197031194 A KR 1020197031194A KR 20197031194 A KR20197031194 A KR 20197031194A KR 20190128231 A KR20190128231 A KR 2019012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s barrier
barrier film
organ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모토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가요성을 갖고,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조합하여 이용되는 기능성 필름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EL 적층체를 제공한다. 유기 EL 적층체는, 수지 기재, 및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상에 적층되는 유기 EL 소자를 갖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가스 배리어층을 대면하여 배치되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지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이고,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다.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본 발명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재료를 이용한 유기 EL 디바이스(OELD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나 조명 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 유기 EL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유기 EL 재료는, 매우 수분에 약하다. 그 때문에, 유기 EL 장치에서는, 양면을 유리판 등으로 밀봉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유기 EL 재료의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판을 이용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최근, 유기 EL 장치에 요구되고 있는 플렉시블화로의 대응이 곤란하다.
그래서, 유리판 대신에, 수지 기재 상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한 가스 배리어 필름을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유기 EL 재료를 이용하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덮는 패시베이션막을 갖는 유기 EL 디바이스를, 지지체와 지지체 위에 무기막 및 무기막의 하지(下地)가 되는 유기막의 조합을 1 이상 갖는 가스 배리어 필름으로 밀봉하는 유기 EL 적층체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유기 EL 소자가 형성된 유기 EL 패널을 협지하여 유지하는,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한 쌍의 가요성 필름 시트를 갖는 유기 EL 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한 쌍의 필름 시트가 유기 EL 패널을 내부에 기밀하게 봉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4-19753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3-021357호
여기에서, 유기 EL 적층체를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편광자층과 위상차층을 조합한 반사 방지층, 및 터치 패널층 등의 각종 기능성 필름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편광자층, 위상차층, 혹은 터치 패널층 등에 있어서도 수분에 의한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의 밀봉에, 가스 배리어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플렉시블성을 부여하는 구성에 있어서, 편광자층, 위상차층, 혹은 터치 패널층 등을 보호하는 것은 생각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으며, 가요성을 갖고,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조합하여 이용되는 기능성 필름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수지 기재, 및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상에 적층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갖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지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이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각각 적어도 무기층을 가지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가짐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1)수지 기재, 및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상에 적층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갖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지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이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각각 무기층을 가지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2)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1)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3)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서의 무기층은, 질화 규소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4)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사이의 거리가 500μm 이하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5)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수지 기재가, 황색도 5 이하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6)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투명 수지 기재의, 가스 배리어층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7)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의 단면(端面)의, 적어도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무기층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무기층의 사이를 덮는 단면 밀봉층을 갖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을 갖고,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조합하여 이용되는 기능성 필름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스 배리어 필름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Electro Luminescence, EL) 적층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나타나는 적합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시인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부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 및 "평행"이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직교" 및 "평행"이란, 엄밀한 직교 혹은 평행에 대하여 ±10° 미만의 범위 내인 것 등을 의미하고, 엄밀한 직교 혹은 평행에 대한 오차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직교" 및 "평행" 이외로 나타나는 각도, 예를 들면 15°나 45° 등의 구체적인 각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도는 구체적으로 나타난 엄밀한 각도에 대하여, ±5° 미만인 것 등을 의미하고, 나타난 엄밀한 각도에 대한 오차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은,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부", "모두" 또는 "전면" 등이라고 할 때, 100%인 경우 외에,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99% 이상, 95% 이상, 또는 90% 이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성을 가진다"란, 실질적으로 가시광 영역에 흡수를 갖지 않는 것을 의도하며, 380~780nm의 파장역의 평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EL 적층체>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는, 수지 기재, 및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상에 적층되는 유기 EL 소자를 갖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지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이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각각 적어도 무기층을 가지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한쪽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유기 EL 적층체이다.
즉,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된 무기층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투명 수지 기재와, 상기 투명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된 무기층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이 형성된 측을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일례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a)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점착층(22), 편광자층(20), 점착층(22), 위상차층(18), 점착층(22), 유기 EL 소자(16)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은, 투명 수지 기재(30)의 한쪽의 주면 상에, 유기층(42)과 무기층(40)을 갖는 가스 배리어층(32)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 도 1에 있어서의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은, 수지 기재(36)의 한쪽의 주면 상에, 유기층(42)과 무기층(40)의 조합을 2세트 갖는 가스 배리어층(38)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은, 각각의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시켜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 상에는, 유기 EL 소자(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에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측으로부터,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이 배치되어 있다.
즉, 유기 EL 적층체(10a)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을 갖고,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에,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 상에 적층된 유기 EL 소자(16)를 가져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기 EL 적층체(10a)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16)가 발광하면, 유기 EL 소자(16)로부터 출사된 광은, 편광자층(20), 위상차층(18) 및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을 투과하여,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측의 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수지 기재로서는, 투명성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30)가 이용된다.
또,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의 조합은, 반사 방지층으로서 기능한다.
각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서술한다.
이와 같이,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을,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으로 협지하여 밀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요성을 갖게 하면서, 유기 EL 소자(16),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굽힘 등에 의한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 필름을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을 밀봉함으로써, 가요성을 갖게 하면서, 이들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을,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시켜 배치함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30) 및 수지 기재(36)로부터 방출되는 아웃 가스(수분을 포함함), 및 투명 수지 기재(30) 및 수지 기재(36)를 투과하는 가스(수분을 포함함)를 가스 배리어층으로 차폐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가스 배리어층(32)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이 각각 무기층(40)과 유기층(42)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으며, 양쪽 모두의 가스 배리어층은 적어도 무기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의 가스 배리어층이 무기층과 유기층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가스 배리어성 및 가요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양쪽 모두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이 각각 무기층과 유기층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요성을 갖게 할 때에는, 유기 EL 소자(16)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설계로 하기 위하여, 유기 EL 소자(16)에 가까운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보다, 유기 EL 소자(16)로부터 먼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쪽이 보다 가요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가스 배리어층(32)이 무기층과 유기층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은, 무기층만이어도 된다.
또,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5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40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0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가 500μm 이하인 것은, 가요성의 관점과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b)와 같이,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측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4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b)는, 하드 코트층(46)을 갖는 것 이외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의 설명은 다른 부위를 주로 행한다. 이 점은 다른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적층체(10b)는, 하드 코트층(46),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점착층(22), 편광자층(20), 점착층(22), 위상차층(18), 점착층(22), 유기 EL 소자(16)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하드 코트층(46)은,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투명 수지 기재(30)의, 가스 배리어층(32)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어 있다. 즉, 하드 코트층(46)은, 유기 EL 적층체(10b)의, 광이 출사되는 측의 최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드 코트층(46)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찰상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또,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c)와 같이,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터치 패널층(48)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c)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점착층(22), 터치 패널층(48), 점착층(22), 유기 EL 소자(16)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혹은, 도 4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d)와 같이,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위상차층(18), 편광자층(20) 및 터치 패널층(48)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d)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점착층(22), 편광자층(20), 점착층(22), 위상차층(18), 점착층, 터치 패널층(48), 점착층(22), 유기 EL 소자(16)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층(48)을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터치 패널층(48)이 수분으로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터치 패널층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측에 편광자층(20) 및 위상차층(18)을 적층하고,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 측에 터치 패널층(48)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으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측에 터치 패널층(48)을 적층하고,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 측에 편광자층(20) 및 위상차층(18)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유기 EL 적층체(10e)와 같이,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각층의 적층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 형성되는 단면 밀봉층(50)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면 밀봉층(50)은,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며,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으로부터의 수분 등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부위이다. 따라서, 단면 밀봉층(50)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편광자층(20) 및 터치 패널층(48)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단면 밀봉층(50)의 재료 등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면 밀봉층(50)은,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 전면을 덮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고, 단면 밀봉층(50)은, 적어도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가스 배리어층(32)의 무기층(40)으로부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의 무기층(40)까지의 사이의 영역의 단부에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무기층 사이의 영역을 덮음으로써, 2매의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적층한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편광자층(20) 및 터치 패널층(48)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의 각 구성요소의 재료 및 구성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 배리어 필름〕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은,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가스 배리어층을 가져,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것이다. 또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은,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및 배치 위치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양자를 일괄하여 "가스 배리어 필름"이라고 한다.
가스 배리어 필름은, 수증기 투과도가 1×10-1[g/(m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3[g/(m2·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5[g/(m2·day)]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증기 투과도는, 온도 40℃, 상대습도 90%RH의 조건하에서 모콘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또, 수증기 투과도가, 모콘법의 측정 한계를 초과한 경우에는, 칼슘 부식법(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83561호에 기재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수지 기재)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에 있어서, 투명 수지 기재(30) 및 수지 기재(36)는, 각종 적층형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서 기재(지지체)로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시트상물이, 각종 이용 가능하다.
또한, 투명 수지 기재(30)와 수지 기재(36)는, 투명성이 필수인지 여부가 다를 뿐,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투명 수지 기재(30)와 수지 기재(36)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일괄하여 "(투명) 수지 기재"라고 나타낸다.
수지 기재(36)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염화 바이닐(PVC), 폴리바이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이미드(PI), 투명 폴리이미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타이렌(PS), ABS,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및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의, 각종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투명 수지 기재(30)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수지 재료 중, PET, PEN, 폴리이미드 등의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찰상성 및 가요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고,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황색도 5 이하의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 기재(30)의 황색도는, JIS K 7373에 준거하여 측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UV 분광계(Varian사 제조, Cary100)를 이용하여 ASTM E313 규격으로 황색도를 측정할 수 있다.
황색도 5 이하의 폴리이미드는, 예를 들면 2,2-비스(3,4-다이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이무수물(FDA), 4-(2,5-다이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다이카복실산산 무수물(TDA), 9,9-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2,3,6,7-잔텐테트라카복실다이안하이드라이드(6FCDA) 및 4,4'-(4,4'-아이소프로필리덴다이페녹시)비스(무수 프탈산)(HBD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및 파이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바이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PDA) 및 옥시다이프탈산 이무수물(ODP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다이안하이드라이드에서 유래하는 단위 구조와,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페인(6HMDA), 2,2'-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4,4'-다이아미노바이페닐(2,2-TFDB), 3,3'-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4,4'-다이아미노바이페닐(3,3'-TFDB), 4,4'-비스(3-아미노페녹시)다이페닐설폰(DBSDA), 비스(3-아미노페닐)설폰(3DDS), 비스(4-아미노페닐)설폰(4DDS),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133),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APB-134), 2,2'-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3-BDAF),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4-BDAF), 2,2'-비스(3-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3,3'-6F),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4,4'-6F) 및 옥시다이아닐린(OD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다이아민에서 유래하는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상기 방향족 다이안하이드라이드 유래의 단위 구조와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p-Terephthaloylchloride, TPC),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아이소프탈로일다이클로라이드(Iso-phthaloyl dichloride) 및 4,4'-벤조일클로라이드(4,4'-benzoyl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방향족 다이카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단위 구조와 상기 방향족 다이아민 유래의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의 표면에, 보호층, 접착층, 광반사층, 반사 방지층, 차광층, 평탄화층, 완충층, 응력 완화층, 이형층 등의, 필요한 기능을 발현하는 층(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투명) 수지 기재로서 이용해도 된다.
(투명) 수지 기재의 두께는, 유기 EL 적층체의 용도나 형성 재료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투명) 수지 기재의 두께는 각각, 5~125μm가 바람직하고, 5~10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5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기재의 두께 각각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가스 배리어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함과 함께, 충분한 가요성을 갖게 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
가스 배리어층은, 적어도 무기층을 갖는 층이며, 바람직하게는, 무기층과 무기층의 하지가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층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가스 배리어층(32)은, 1세트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고, 가스 배리어층(32)은, 2세트 이상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은, 2세트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고, 가스 배리어층(38)은, 1세트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이어도 되고, 혹은 3세트 이상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스 배리어층은, (투명) 수지 기재에 접하는 위치에 유기층(42)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 기재에 접하는 위치에 무기층(40a)을 갖고, 이 무기층(40a) 상에 1세트 이상의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유기층))
유기층(42)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기본적으로, 유기층(42)이 되는 모노머나 올리고머 등을 중합(가교)한 것이다.
유기층(42)은, 주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무기층(40)을 적정하게 형성하기 위한, 하지층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유기층(42)을 가짐으로써, (투명) 수지 기재의 표면의 요철, 및 표면에 부착하는 이물 등을 포매(包埋)하여, 무기층(40)의 성막면을 평활하게 한다. 이로써, (투명) 수지 기재의 표면의 요철이나, 이물의 부착에 의한 요철과 같은, 무기층(40)이 되는 무기 화합물이 착막하기 어려운 영역을 없애, (투명) 수지 기재의 표면 전면에, 간극 없이, 적정한 무기층(40)을 성막하는 것이 가능해져,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무기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층(42)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투명)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Tg)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내열성을 갖고, 무기층(40)을 적정하게 성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기층(42)은, 무기층(40)의 균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JIS K 7121(2012)에 준거하여 측정하면 된다.
유기층(42)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유기 화합물이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 (메트)아크릴 수지, 메타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 투명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불소화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폴리유레테인,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카보네이트, 지환식 폴리올레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터설폰, 폴리설폰, 플루오렌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지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플루오렌환 변성 폴리에스터, 아크릴 화합물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실록세인이나, 그 외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막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복수를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나 강도가 우수한 등의 점에서, 라디칼 경화성 화합물 및/또는 에터기를 관능기에 갖는 양이온 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굴절률이 낮고, 투명성이 높으며 광학 특성이 우수한 등의 점에서,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모노머나 올리고머의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나 메타크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성분이란, 함유하는 성분 중, 가장 함유 질량비가 큰 성분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DPGDA),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TMPTA),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DPHA) 등의, 2 관능 이상, 특히 3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모노머나 올리고머 등의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나 메타크릴 수지는, 적합하게 예시된다. 또, 이들 아크릴 수지나 메타크릴 수지를, 복수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층(42)의 형성 재료는, 아다만테인 골격을 갖는 1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5% 이상, 50% 미만 포함하는 수지 재료, 혹은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5% 이상, 50% 미만 포함하는 수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층(42)의 형성 재료로서, 아다만테인 골격을 갖는 1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혹은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2 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유지한 채로, 경화 수축 시의 수축률을 낮게 할 수 있어, 유기층(42) 상에 형성된 무기층(40)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층(42)의 형성은, 형성하는 유기층(42)에 따라,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성막)하면 된다. 일례로서, 도포법 및 플래시 증착 등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도포법의 경우에는, 유기용제, 유기층(42)이 되는 유기 화합물(모노머, 다이머, 트라이머, 올리고머, 폴리머 등), 가교제 등을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도포 조성물을 (투명) 수지 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도막을 건조, 경화시켜 유기층(42)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층(42)을 도포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과 같이, 복수의 유기층(42)을 갖는 경우는, 각 유기층(42)의 두께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또, 각 유기층(42)의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무기층(40)과의 밀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유기층(42)은,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층))
무기층(40)은,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은, 무기층(40)에 의하여 발현한다.
무기층(40)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고,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각종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탄탈럼, 산화 지르코늄, 산화 타이타늄, 산화 인듐 주석(ITO)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 탄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탄화물; 산화 규소, 산화 질화 규소, 산탄화 규소, 산화 질화 탄화 규소 등의 규소 산화물; 질화 규소, 질화 탄화 규소 등의 규소 질화물; 탄화 규소 등의 규소 탄화물; 이들의 수소화물;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및 이들의 수소 함유물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막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금속 산화물 및 질화물, 구체적으로는 질화 규소, 산화 규소, 산질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은, 투명성이 높고, 또한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질화 규소, 및 질화 규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에 더하여, 투명성도 높으며, 또 유연성도 높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무기층(40)의 형성은, 무기층(40)의 형성 재료 등에 따라, CCP-CVD(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 ICP-CVD(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 스퍼터링, 진공 증착 등의, 공지의 기상 성막법으로 행하면 된다.
무기층(40)의 막두께는, 재료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할 수 있는 두께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무기층(40)의 두께는, 10~200nm가 바람직하고, 12~10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75nm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층(40)의 두께를 10nm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무기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무기층(40)은, 일반적으로 부서지기 쉬워, 너무 두꺼우면, 균열이나 금, 박리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무기층(40)의 두께를 200nm 이하로 함으로써,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과 같이, 복수의 무기층(40)을 갖는 경우에는, 각 무기층(40)의 두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 각 무기층(40)의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유기 EL 소자〕
유기 EL 소자(16)는, 예를 들면 유기 전계 발광층과, 유기 전계 발광층을 협지하는 전극대인 투명 전극 및 반사 전극을 갖는 공지의 유기 EL 소자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16)는,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을 소자 기판으로 하여,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가스 배리어층(38)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16)는 그 표면이 패시베이션막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 상에 형성된 유기 EL 소자(16)를 패시베이션막으로 밀봉하고, 이 패시베이션막 상에 점착층(22)을 개재시켜 다른 층(위상차층(18) 등)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패시베이션막을 가짐으로써, 수분이나 산소 등이 유기 EL 소자(16)에 이르러, 유기 EL 소자(16)가 열화되는 것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시베이션막으로서는, 공지의 유기 EL 장치에 이용되는,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각종 막(층)이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무기층(40)과 동일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질화 규소, 산화 규소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막이 예시된다.
패시베이션막은, 막의 형성 재료에 따른 공지의 방법으로 성막하면 된다.
〔위상차층〕
위상차층은, 편광 성분에 위상차(광로차)를 주어, 입사한 광의 편광의 상태를 변경하는 층이다. 위상차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λ/4판, λ/2판 등이 이용 가능하다.
λ/4판(λ/4 기능을 갖는 판)이란, 어느 특정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파장 λ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값이 Re(λ)=λ/4(또는 그 홀수 배)를 나타내는 판이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떤 파장(예를 들면, 550nm)에 있어서 달성되고 있으면 된다.
또한, λ/4판은, λ/4 기능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되고, 지지체에 λ/4 기능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을 형성한 구성이어도 되지만, λ/4판이 지지체를 갖는 경우에는, 지지체와 광학 이방성층의 조합이, λ/4판인 것을 의도한다.
λ/4판은, 공지의 λ/4판이 이용 가능하다.
〔편광자층〕
편광자층은, 일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특정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자층으로서는, 아이오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흡수형 편광판이나 와이어 그리드 등의 반사형 편광판 등의 일반적인 직선 편광판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편광축이란, 투과축과 동일한 의미이다.
흡수형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오딘계 편광판, 이색성 염료를 이용한 염료계 편광판, 및 폴리엔계 편광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아이오딘계 편광판, 및 염료계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바이닐알코올에 아이오딘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켜,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터치 패널층〕
터치 패널층(48)은, 유기 EL 소자(16)의 발광에 의하여, 유기 EL 적층체의 표면에 표시되는 화상이 시인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고, 유저의 손가락이나 첨필에 의하여 조작되는 1 또는 복수의 좌표를 검출하는 기능층이다. 디바이스가 유저의 손가락이나 첨필에 의하여 조작되면, 터치 패널층(48)은, 조작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도시생략)에 출력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조작 위치(좌표)의 검출, 및 장치의 제어를 행한다.
터치 패널층(48)으로서는, 저항막형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등의 종래 공지의 터치 패널이 적절히 이용 가능하다.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은, 단순히 1매의 기판에 투광성 도전막을 형성하면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정전 용량형 입력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 패턴을 연재시켜,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타입인 것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 패널층은,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에 있어서, 각층은 점착층을 개재시켜 첩합시키면 된다.
점착층은, 대상이 되는 층(시트상물)을 첩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각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용 가능하다. 점착층은, 첩합시킬 때에는 유동성을 갖고, 그 후, 고체가 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첩합할 때에 젤상(고무상)의 부드러운 고체이고, 그 후도 젤상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며, 접착제와 점착제의 양쪽 모두의 특징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따라서, 점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Optical Clear Adhesive)), 광학 투명 양면 테이프,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 시트상물의 첩합에 이용되는 공지의 것을 이용하면 된다.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46)은, 유기 EL 적층체의 발광면 측의 최표면에 마련되며,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드 코트층(46)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의 하드 코트층이 적절히 이용 가능하다.
하드 코트층(46)은, 연필 경도가 5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가 5H 이상인 하드 코트층(46)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찰상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유기 EL 적층체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유기 EL 소자가 발광한 광이 산란하여, 시인성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기 EL 적층체의 발광면 측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46)을 형성하여, 내찰상성을 높게 함으로써,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하드 코트층(46)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유기 EL 적층체가 터치 패널층을 갖는 경우에, 터치 패널의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로서는, 투명성 및 무착색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점 이외에는,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도료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료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하여 중합·경화하여,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1분자 중에 2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유레테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라이콜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텐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텐일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셀로솔브(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프탈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라이메틸실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N-바이닐피롤리돈, 스타이렌 등의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페닐)프로페인, 및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프로필렌옥시페닐)프로페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2관능 반응성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3관능 반응성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4관능 반응성 모노머; 및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6관능 반응성 모노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혹은 상기 1종 이상을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1분자 중에 2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어덕트체,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어덕트체, 아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어덕트체,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 아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뷰렛체 등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상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블록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유레테인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가교 시에는, 필요에 따라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다이뷰틸주석다이에틸헥소에이트 등의 촉매를 첨가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4-메틸벤조페논, 4,4'-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다이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뷰틸퍼옥시카보닐)벤조페논, 2,4,6-트라이메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터, 벤조인에틸에터, 벤조인아이소프로필에터, 벤질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아밀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싸이오잔톤, 2,4-다이에틸싸이오잔톤, 2,4-다이아이소프로필싸이오잔톤 등의 싸이오잔톤계 화합물; 아세토페논다이메틸케탈 등의 알킬페논계 화합물;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바이이미다졸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타이타노센계 화합물; 옥심에스터계 화합물; 옥심페닐 아세트산 에스터계 화합물; 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및, 아미노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A)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 (B) 알콕시실릴기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0.2~4질량부; (C) 유기 타이타늄 0.05~3질량부; 및 (D) 평균 입자경 1~300nm의 미립자 5~100질량부; 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 (B) 알콕시실릴기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0.2~4질량부; (C) 유기 타이타늄 0.05~3질량부; (D) 평균 입자경 1~300nm의 미립자 5~100질량부; 및 (E) 발수제 0.1~7질량부; 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람직한 하드 코트층으로 함으로써, 투명성, 색조, 내찰상성, 표면 경도, 내굽힘성, 및 표면 외관이 우수하며, 손수건 등으로 반복해서 닦였다고 해도 손가락 미끄러짐성 등의 표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A)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 A는, 1분자 중에 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며, 1분자 중에 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하여 중합 및 경화를 하여,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페닐)프로페인, 및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프로필렌옥시페닐)프로페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2관능 반응성 모노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3관능 반응성 모노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4관능 반응성 모노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6관능 반응성 모노머; 및 이들의 1종 이상을 구성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올리고머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성분 A로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B) 알콕시실릴기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성분 B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가짐으로써 성분 A와, 알콕시실릴기를 가짐으로써 성분 D와, 화학 결합 내지 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어, 하드 코트의 내찰상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 성분 B는 성분 E와도,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가짐으로써, 혹은 알콕시실릴기를 가짐으로써, 화학 결합 내지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성분 E가 블리드 아웃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의 의미이다. 또한 성분 B는, 알콕시실릴기를 갖는다고 하는 점에서 성분 A와는 구별되며, 알콕시실릴기와 1분자 중에 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은, 성분 B이다.
성분 B는, 예를 들면 일반식 "(-SiO2RR'-)n·(-SiO2RR"-)m"으로 나타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자연수(정의 정수)이며, m은 0 또는 자연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2~10의 자연수, m은 0 또는 1~10의 자연수이다. R은 메톡시기(CH3O-), 에톡시기(C2H5O-) 등의 알콕시기이다. R'은 아크릴로일기(CH2=CHCO-), 메타크릴로일기(CH2=C(CH3)CO-)이다. R"은 메틸기(CH3), 에틸기(CH2CH3) 등의 알킬기이다.
성분 B는, 예를 들면 일반식 "(-SiO2(OCH3)(OCHC=CH2)-)n", "(-SiO2(OCH3)(OC(CH3)C=CH2)-)n", "(-SiO2(OCH3)(OCHC=CH2)-)n·(-SiO2(OCH3)(CH3)-)m", "(-SiO2(OCH3)(OC(CH3)C=CH2)-)n·(-SiO2(OCH3)(CH3)-)m", "(-SiO2(OC2H5)(OCHC=CH2)-)n", "(-SiO2(OC2H5)(OC(CH3)C=CH2)-)n", "(-SiO2(OC2H5)(OCHC=CH2)-)n·(-SiO2(OCH3)(CH3)-)m", 및 "(-SiO2(OC2H5)(OC(CH3)C=CH2)-)n·(-SiO2(OCH3)(CH3)-)m"로 나타나는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자연수(양의 정수)이며, m은 0 또는 자연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2~10의 자연수, m은 0 또는 1~10의 자연수이다.
성분 B로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B의 배합량은, 성분 A 100질량부에 대하여, 내찰상성의 관점으로부터, 0.2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발수성을 발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또한 성분 B와 성분 C의 배합비를 바람직한 범위로 했을 때에 성분 C가 과잉량이 되지 않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4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이다.
또 성분 D와 화학 결합 내지 강하게 상호작용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성분 B와 성분 D의 배합비는, 성분 D 100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B 0.5~1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질량부이다.
(C) 유기 타이타늄:
성분 C는, 성분 B의 기능을 보조하는 성분이며, 하드 코트의 내찰상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관점에 있어서, 성분 B와 성분 C는 특이적인 양호한 상성을 나타낸다. 또 성분 C 자신도, 성분 D 등과 화학 결합 내지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하드 코트의 내찰상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유기 타이타늄은, 예를 들면 테트라-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 테트라-n-뷰톡시타이타늄, 테트라키스(2-에틸헥실옥시)타이타늄, 타이타늄-아이소프로폭시옥틸렌글리콜레이트, 다이-아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토나토)타이타늄, 프로페인다이옥시타이타늄비스, 트라이-n-뷰톡시타이타늄모노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다이스테아레이트, 타이타늄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2-n-뷰톡시카보닐벤조일옥시)트라이뷰톡시타이타늄, 다이-n-뷰톡시-비스(트라이에탄올아미나토)타이타늄; 및 이들의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로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알콕시타이타늄의 테트라-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 테트라-n-뷰톡시타이타늄, 테트라키스(2-에틸헥실옥시)타이타늄, 및 타이타늄-아이소프로폭시옥틸렌글리콜레이트가 내찰상성과 색조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성분 C의 배합량은, 성분 A 100질량부에 대하여, 내찰상성의 관점으로부터, 0.05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색조의 관점으로부터, 3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5질량부 이하이다.
또, 성분 B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관점으로부터, 성분 B와 성분 C의 배합비는, 성분 B 100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C 5~15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B 100질량부에 대하여, 20~80질량부이다.
(D) 평균 입자경 1~300nm의 미립자:
성분 D는, 하드 코트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성분 D로서는,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무기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카(이산화규소); 산화 알루미늄,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산화 아연, 산화 게르마늄,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 안티모니, 산화 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 불화 마그네슘, 불화 나트륨 등의 금속 불화물 미립자; 금속 황화물 미립자; 금속 질화물 미립자; 금속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아미노계 화합물과 폼알데히드와의 경화 수지 등의 수지 비즈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미립자의 도료 중에서의 분산성을 높이거나, 얻어지는 하드 코트의 표면 경도를 높이거나 할 목적으로, 당해 미립자의 표면을 바이닐실레인, 아미노실레인 등의 실레인계 커플링제; 타이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나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등의 표면 처리제 등에 의하여 처리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 보다 표면 경도가 높은 하드 코트를 얻기 위하여 실리카나 산화 알루미늄의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실리카의 미립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카 미립자의 시판품으로서는, 닛산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의 스노텍스(상품명), 후소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의 쿼트론(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D의 평균 입자경은, 하드 코트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하드 코트의 표면 경도 개량 효과를 확실하게 얻는 관점으로부터, 300n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200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nm 이하이다. 한편 입자경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 입수 가능한 미립자는 미세하더라도 기껏해야 1nm 정도이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닛키소 주식회사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석계 "MT3200II(상품명)"를 사용하여 측정한 입자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입자가 작은 쪽으로부터의 누적이 50질량%가 되는 입자경이다.
성분 D의 배합량은, 성분 A 100질량부에 대하여, 표면 경도의 관점으로부터, 5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내찰상성과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1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이다.
(E) 발수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손가락 미끄러짐성, 오물의 부착 방지성, 및 오물의 닦기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E) 발수제 0.1~7질량부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아크릴·에틸렌 공중합체 왁스 등의 왁스계 발수제; 실리콘 오일, 실리콘 수지,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알킬알콕시실레인 등의 실리콘계 발수제;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 플루오로폴리알킬계 발수제 등의 함불소계 발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E로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성분 E로서는, 발수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가 바람직하다. 성분 A나 성분 B와 성분 E가 화학 결합 내지는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성분 E가 블리드 아웃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성분 E로서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와 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수제(이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라고 약칭함))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E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성분 A나 성분 B와 성분 E와의 화학 결합 내지는 상호작용을 적절히 조절하여, 투명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양호한 발수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아크릴로일기 함유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와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와의 혼화물이다.
성분 E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성분 A 100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E가 블리드 아웃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7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질량부 이하이다. 배합량의 하한은, 임의 성분이기 때문에 특별히 없지만, 성분 E의 사용 효과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이다.
성분 A~D, 바람직하게는 성분 A~E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1분자 중에 2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쪽에 대한 설명도 상술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소망에 따라,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칙소성 부여제, 오염 방지제, 인쇄성 개량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내광성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착색제, 및 필러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시켜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도공하기 쉬운 농도로 희석하기 위하여, 소망에 따라 용제를 포함시켜도 된다. 용제는 조성물의 성분과 반응하거나 이들 성분의 자기 반응(열화 반응을 포함함)을 촉매(촉진)하거나 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메톡시-2-프로판올,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뷰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다이아세톤알코올, 및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들의 성분을 혼합, 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 형성용 도료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웨브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및 다이 코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드 코트층의 내구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통상 1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면 된다. 또, 절삭 가공 적성이나 웨브 핸들링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면 된다.
〔단면 밀봉층〕
단면 밀봉층(50)은,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형성되어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고, 단면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단면 밀봉층(50)의 재료로서는, 단면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나가세 산교 주식회사제의 NXR5516, 주식회사 쓰리본드제의 TB3124 등의 밀봉용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무기층 코팅에 의하여 형성되는 폴리실라제인 등의 무기층이나, 진공 증착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기의 배리어층 등도 바람직하다. 혹은, 도금 등으로 형성되는 금속막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단면 밀봉층(50)은, 수증기 투과도가 1×10-1[g/(m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3[g/(m2·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5[g/(m2·day)]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산소 투과도가 낮은, 즉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단면 밀봉층(50)을 형성함으로써, 수분이나 산소의 침입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하여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 편광자층(20) 및 터치 패널층(48)의 열화를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단면 밀봉층(50)의,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의 두께는, 0.1μm~10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μm~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μm~10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면 밀봉층(50)의 두께를 0.1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단면 밀봉층(50)의 두께를 100μm 이하로 함으로써,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단면 밀봉층(50)은, 1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고, 2층 이상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면 밀봉층(50)은,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적층되기 때문에, 단면 밀봉층(50)을 2층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적층 방향은,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이며, 가스 배리어 필름, 유기 EL 소자 및 편광자층 등의 적층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이다.
단면 밀봉층(50)을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접하는 제1층은, 유기 EL 적층체와의 밀착성이 높은 재료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형성 방법으로 형성하고, 2층째 이후에,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단면 밀봉층이 유기 EL 적층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내구성이 얻어진다.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밀봉층(50)의 일례로서,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1층이,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및 플라즈마 CVD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금속층이며, 제1층 위에 형성되는 제2층이, 금속 도금층인 구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적층체의 단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제1층을 도금 처리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하고, 이 제1층을 전극으로 하여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층을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적어도 1층을 금속 도금층으로 함으로써, 이 층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 금속 도금층의 두께는, 제1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층의 두께는, 유기 EL 적층체와의 밀착성, 생산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0.001μm~0.5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μm~0.3μ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금속 도금층의 두께는, 가스 배리어성을 확보하는, 생산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0.01μm~10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μm~10μ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금속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술한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및 플라즈마 CVD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알루미늄, 타이타늄, 크로뮴, 구리,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혹은 이들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층의 재료로서, 이들 금속 혹은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및 플라즈마 CVD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1층과 유기 EL의 측면과의 밀착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밀착성이 좋고, 저온 성막이 가능한 스퍼터링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 도금층의 재료로서는, 금속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알루미늄, 타이타늄, 크로뮴, 니켈, 주석, 구리, 은, 및 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혹은 이들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도금층의 형성 재료로서, 이들 금속 혹은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도금 처리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어,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단면 밀봉층이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적어도 1층이 도금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혹은, 플라즈마 CVD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때, 적어도 최표층이, 도금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면 밀봉층(50)을 구성하는 각층의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제1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한 니켈층으로 하고, 최표층을 도금 처리에 의하여 형성한 니켈층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유기 EL 적층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이나 변경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작>
투명 수지 기재(30)로서, 일본 특허공표공보 2015-508345호(제작 방법: 단락 <0057>~<0058>, 황색도 데이터: 표 1)를 참조하여 두께 25μm의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막하여 사용했다. 황색도는 4.5였다.
〔가스 배리어층의 형성〕
투명 수지 기재(30)의 일면에, 이하의 순서로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갖는 가스 배리어층(32)을 형성했다.
(유기층의 형성)
먼저, 이하의 순서로 유기층(42)을 형성했다.
TMPTA(다이셀 셀텍사제), 실레인 커플링제(KBM-5103, 신에쓰 가가쿠사제) 및 중합성 산성 화합물(KARAMER PM-21, 닛폰 가야쿠사제)를, 질량비로 14.1:3.5:1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조성물 18.6g과, 자외선 중합 개시제(람베르티사제, ESACURE KTO46) 1.4g과, 2-뷰탄온 180g을 혼합하여, 유기층(42)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를 조제했다.
조제한 도료를, 투명 수지 기재(30)의 표면에 도포했다. 도료의 도포는,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막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행했다.
도료를 도포한 후,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도료를 건조했다.
이어서, 질소 치환법에 의하여 산소 농도를 0.1%로 한 챔버 내에서 고압 수은 램프의 자외선을 조사(적산 조사량 약 1J/cm2)함으로써, 도료의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이로써, 투명 수지 기재(30)의 표면에 두께 1μm의 유기층(42)을 형성했다.
(무기층의 형성)
이 유기층(42) 위에, 무기층(40)으로서, 두께 35nm의 질화 규소막을 형성했다.
무기층(40)(질화 규소막)의 형성은, 일반적인 CCP(용량 결합 플라즈마 방식)-CVD 장치를 이용하여 행했다. 원료 가스는, 실레인 가스(유량 160sccm), 암모니아 가스(유량 370sccm), 수소 가스(유량 590sccm), 및 질소 가스(유량 240sccm)를 이용했다. 성막 압력은 40Pa로 했다. 전원은 주파수 13.56MHz의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며, 플라즈마 여기 전력을 2.5kW로 했다.
이로써, 투명 수지 기재(30) 위에 유기층(42)을 갖고, 그 위에 무기층(40)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을 제작했다.
또한, 단위 sccm로 나타내는 유량은, 1013hPa, 0℃에 있어서의 유량(cc/min)으로 환산한 값이다.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제작>
수지 기재(36)로서, 두께 25μm의 폴리이미드 필름(도레이·듀퐁사제, 캅톤)을 이용하여, 유기층(42)과 무기층(40)의 조합을 2세트 갖는 가스 배리어층(38)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을 제작했다.
즉, 수지 기재(36)의 일면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층(42) 및 무기층(40)을 형성하고, 추가로 무기층(40) 위에 2층째의 유기층(42)을 앞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며, 2층째의 유기층(42) 위에 앞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째의 무기층(40)을 형성했다.
<유기 EL 소자의 형성>
다음으로,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가스 배리어층 상에, 이하의 절차로 유기 EL 소자를 형성했다.
이하와 같이 하여, 유기 EL 소자(16)를 형성했다.
먼저,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표면에, 60nm의 막두께가 되도록 Al을 진공 증착에 의하여 성막하여, 양극을 형성했다. 형성된 양극 표면에, 진공 증착 장치에 의하여, MoO3층을 정공 주입층으로 하여 2nm의 막두께로 형성하고, 추가로, MoO3층의 표면에 순서대로 정공 수송층(α-NPD: Bis[N-(1-naphthyl)-N-phenyl]benzidine)을 29nm, CBP(4,4'-Bis(carbazol-9-yl)biphenyl)를 호스트 재료로서 5%의 Ir(ppy)3(Tris(2-phenylpyridinato)iridium)을 도프한 발광층을 20nm, 정공 블록층으로서 BAlq(Bis-(2-methyl-8-quinolinolato)-4-(phenyl-phenolate)-aluminium(III))층을 10nm, 전자 수송층으로서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층을 20nm의 막두께로 각각 증착하여 유기 전계 발광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얻어진 유기 발광층의 표면에 LiF를 0.5nm, Al을 1.5nm, Ag를 10nm의 막두께로, 이 순서로 증착하여 음극을 성막하고, 소자 기판의 표면에 유기 EL 소자(16)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유기 EL 소자(16) 상에, 패시베이션막으로서 Al2O3을 300nm 제막했다.
<유기 EL 적층체의 제작>
글로브 박스 내에서, 유기 EL 소자(16)를 형성한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 상에, 점착 시트(8146-1(두께 25μm), 3M사제)를 개재시켜, 위상차층(18)으로서 λ/4판을 첩합했다. 다음으로, λ/4판 위에 점착 시트(8146-1(두께 25μm), 3M사제)를 개재시켜, 편광자층(20)으로서 편광자를 첩합했다. 그리고, 편광자층(20) 위에 점착 시트(8146-1(두께 25μm), 3M사제)를 개재시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을 첩합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은, 가스 배리어층(32) 측을 편광자층(20)을 향하게 하여 첩합했다. 또한, λ/4판 및 편광자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했다.
(λ/4판)
두께 50μm의 시판 중인 장척상 노보넨계 수지 필름(제오노아, 닛폰제온사제)을 1.52배로 연신함으로써 두께 35μm의 λ/4판을 얻었다.
(편광자)
시판 중인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VF-PS, 구라레사제)을, 아이오딘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주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약 6배로 1축연신하여 두께 30μm의 장척상의 편광자를 얻었다.
이상에 의하여,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편광자층(20), 위상차층(18), 유기 EL 소자(16)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이 이 순서로 적층된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또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195μm이다.
[실시예 2]
유기 EL 소자(16)와 위상차층(18)의 사이에, 점착 시트(8146-1(두께 25μm), 3M사제)를 개재시켜, 터치 패널층(48)을 적층하고, 추가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의 투명 수지 기재(30) 상에 하드 코트층(46)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또한,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260μm이다.
터치 패널층(48)으로서는, 시판 중인 스마트폰(Galaxy S7 Edge)을 분해하고, 꺼내어 이용했다.
또, 하드 코트층(46)은, 이하의 순서로 형성했다.
가스 배리어층(32)을 형성하기 전에, 투명 수지 기재(30)의 한쪽의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후, 하드 코트 형성용 도료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질량부)의 도료를, 다이 방식의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경화 후 두께가 25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했다.
하드 코트 형성용 도료의 조성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6관능: 65질량부
·에톡시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아크릴레이트, 3관능: 35질량부
·신에쓰 실리콘 KR-513(상품명): 1.4질량부
·닛폰소다 주식회사 타이타늄-아이소프로폭시옥틸렌글리콜레이트 "TOG(상품명)": 0.7질량부
·평균 입자경 20nm의 실리카 미립자: 35질량부
·신에쓰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 아크릴로일기 함유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 "KY-1203(상품명)": 1.6질량부
·솔베이(Solvay)사 메타크릴로일기 함유 플루오로폴리에터계 발수제 "FOMBLIN MT70(상품명)": 0.2질량부
·Shuang-Bang Industrial. Corp 페닐케톤계 광중합 개시제(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SB-PI714(상품명)": 5.3질량부
·1-메톡시-2-프로판올: 95질량부
[실시예 3]
또한, 단면 밀봉층(50)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단면 밀봉층(50)은, 이하의 순서로 형성했다.
(제1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유기 EL 적층체의 측면 이외를 마스킹하여 단면 밀봉층의 제1층을 형성했다. 타겟으로서 타이타늄, 방전 가스로서 아르곤을 이용했다. 성막 압력은 0.5Pa, 성막 출력은 400W, 도달 막두께는 10nm였다.
(제2층의 형성)
계속해서, 타겟을 타이타늄에서 구리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1층의 형성과 동일하게 하여, 제1층 상에 막두께 75nm의 제2층을 형성했다.
(제3층의 형성)
또한, 이하와 같이 하여, 제2층 상에 제3층을 형성했다.
먼저, 제1층 및 제2층을 형성한 적층물을 순수로 수세하고, 시판 중인 계면활성제를 채운 욕조에 20초 침지하여 탈지했다. 이어서, 수세한 후에, 5% 황산 수용액 중에 5초간 침지하여 산활성 처리를 행하고, 다시 수세했다.
수세한 적층물을 거는 지그에 고정하고, 테스터로 도통 확인한 후, 5% 질산 수용액 중에 10초간 침지하여 산활성 처리를 행하고, 황산 구리욕으로 전류 밀도 3.0A/dm2에서 5분의 조건으로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제2층 상에 금속 도금층인 제3층을 형성했다. 그 후, 수세, 녹방지 처리를 거치고, 에어로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단면에 3층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밀봉층(50)이 형성된 유기 EL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4]
투명 수지 기재(30)로서 PEN 필름(데이진 듀퐁 필름사제 테오넥스, 100μm)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350μm이다.
[실시예 5]
투명 수지 기재(30)로서 PET 필름(도요보 주식회사제, 코스모샤인 A4300, 38μm)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210μm이다.
[실시예 6]
각층을 첩합하는 점착 시트로서 8146-4(두께 100μm, 3M사제)를 이용하고, 투명 수지 기재(30)로서 PET 필름(도요보 주식회사제, 코스모샤인 A4300, 100μm)을 이용하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수지 기재(36)로서 두께 50μm의 폴리이미드 필름(도레이·듀퐁사제, 캅톤)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520μm이다.
[실시예 7]
위상차층(18) 및 편광자층(20) 대신에, 터치 패널층(48)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는, 400μm이다.
[비교예 1]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대신에, 유리 기판(코닝사제, 두께 700μm)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 대신에, 투명 수지 기재(30)와 동일한 기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층을 무기층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1~7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비교예 1~3의 구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투명 수지 기재의 항목에 있어서,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을 "투명 PI 기재"라고 나타내고, 수지 기재의 항목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PI"라고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평가]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기 EL 적층체에 대하여,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 가요성 및 미끄러짐성의 평가를 행했다.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
제작한 유기 EL 적층체를, 온도 60℃, 습도 90%RH의 환경하에, 100시간, 방치했다. 방치 후, 각 유기 EL 적층체를, Keithlel사제의 SMU2400형 소스 메저 유닛을 이용하여 7V의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시켰다. 현미경에 의하여, 가스 배리어 필름측으로부터 관측하고, 다크 스폿의 점유율을 구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A: 다크 스폿의 점유율이 2% 미만이다
A: 다크 스폿의 점유율이 2% 이상 5% 미만이다
B: 다크 스폿의 점유율이 5% 이상 20% 미만이다
C: 다크 스폿의 점유율이 20% 이상이다
<가요성>
JIS K 5600-5-1에 준거한 맨드릴법을 이용하여 유기 EL 적층체의 가요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맨드릴 반경이 8mm 미만에서 100회 구부려도 박리, 접힘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았다
B: 맨드릴 반경이 8mm 이상 14mm 미만의 범위에서 100회 구부려도 박리, 접힘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았다
C: 맨드릴 반경이 14mm 이상에서도 100회 구부리면 박리, 접힘 및 파손 중 하나가 발생했다
<미끄러짐성>
유기 EL 적층체의 투명 수지 기재측(하드 코트층 측)을 손가락으로 만져, 유리 표면에서의 손가락 미끄러짐성과의 차이의 유무로 미끄러짐성을 평가했다.
A: 5명 중 3명 이상이 차이가 없다고 평가했다
B: 5명 중 3명 미만이 차이가 없다고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7은,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 및 가요성이 모두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대비로부터,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가요성이 약간 저하되지만, 미끄러짐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대비로부터, 단면 밀봉층을 마련함으로써,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5와 실시예 6의 대비로부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12)과 제2 가스 배리어 필름(14)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 및 가요성이 향상하여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는 명확하다.
10a~10e 유기 EL 적층체
12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14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16 유기 EL 소자
18 위상차층
20 편광자층
22 점착층
30 투명 수지 기재
32, 38 가스 배리어층
36 수지 기재
40, 40a 무기층
42 유기층
46 하드 코트층
48 터치 패널층
50 단면 밀봉층

Claims (7)

  1. 수지 기재, 및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적층되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제2 가스 배리어 필름과,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과, 터치 패널층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 상에 적층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은, 서로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 측을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수지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이고,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이 각각 무기층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이, 상기 무기층과 상기 무기층의 형성면이 되는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이, 상기 무기층과 상기 유기층과의 조합을 1세트 이상 갖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무기층은, 질화 규소를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과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사이의 거리가 500μm 이하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투명 수지 기재가, 황색도 5 이하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투명 수지 기재의, 상기 가스 배리어층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의 단면의, 적어도 상기 제1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무기층과 상기 제2 가스 배리어 필름의 상기 무기층의 사이를 덮는 단면 밀봉층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KR1020197031194A 2017-05-30 2018-04-10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KR20190128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6553 2017-05-30
JP2017106553A JP2020129430A (ja) 2017-05-30 2017-05-30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積層体
PCT/JP2018/014980 WO2018221018A1 (ja) 2017-05-30 2018-04-10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31A true KR20190128231A (ko) 2019-11-15

Family

ID=6445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194A KR20190128231A (ko) 2017-05-30 2018-04-10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129430A (ko)
KR (1) KR20190128231A (ko)
CN (1) CN110637504A (ko)
WO (1) WO2018221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1096B (zh) * 2021-04-07 2022-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3471389A (zh) * 2021-06-30 2021-10-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357A (ja) 2012-09-26 2013-01-3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4197537A (ja) 2013-03-08 2014-10-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el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2702B2 (ja) * 2002-09-13 2008-1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体
KR100656192B1 (ko) * 2004-11-24 2006-12-12 이병철 전면발광형 유기이엘 디스플레이 소자
EP2352361B1 (en) * 2008-09-01 2014-09-24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rganic electroluminescence illumin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nel, display and illumination
JP2011204384A (ja) * 2010-03-24 2011-10-13 Canon Inc 表示装置
WO2014097997A1 (ja) * 2012-12-19 2014-06-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
JP2016112831A (ja) * 2014-12-17 2016-06-23 凸版印刷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バリアフィルム、デバイス、封止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9766763B2 (en) * 2014-12-26 2017-09-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unctional panel, light-emitting panel, display panel, and sensor panel
JP2017014380A (ja) * 2015-06-30 2017-01-19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透明導電性積層体、タッチパネル、太陽電池、及び、表示装置
JP6457371B2 (ja) * 2015-10-09 2019-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有機電子装置、有機電界発光装置用基板、有機電界発光装置
JP6261682B2 (ja) * 2016-08-09 2018-01-17 住友化学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1357A (ja) 2012-09-26 2013-01-3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4197537A (ja) 2013-03-08 2014-10-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el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37504A (zh) 2019-12-31
WO2018221018A1 (ja) 2018-12-06
JP2020129430A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US10712476B2 (en) Gas barrier film and wavelength conversion film
KR101470466B1 (ko) 적층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5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36617B1 (ko) 하드코팅 필름
US10087340B2 (en) Hard coating film
KR101415839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671431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EP2583821A1 (en)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electronic device
KR102028470B1 (ko)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JP5090197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バリア性フィルム基板、デバイスおよび光学部材
KR20150068907A (ko) 적층체
WO2017175674A1 (ja) 保護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791232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JP2015179604A (ja) 有機電界発光装置
KR20190128231A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적층체
JP7185101B2 (ja) 防汚層付き光学フィルム
WO2004005976A1 (ja) 低屈折率層を有する減反射フィルム
WO2015076567A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20130018475A (ko) 적층체
JP7538299B1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7567131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のカバーウィンドウ用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カバーウィンドウ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4070686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