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213A -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213A
KR20190127213A KR1020180051519A KR20180051519A KR20190127213A KR 20190127213 A KR20190127213 A KR 20190127213A KR 1020180051519 A KR1020180051519 A KR 1020180051519A KR 20180051519 A KR20180051519 A KR 20180051519A KR 20190127213 A KR20190127213 A KR 2019012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roove
piston
swash plate
oil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아
김재엽
김홍원
이원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7213A/ko
Publication of KR2019012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어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및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제1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사판 측으로 오일을 분사하는 제2 오일 그루브;가 형성됨으로써, 사판과 피스톤 사이 연결 부위에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판식 압축기{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판에 의해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으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한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 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그리고,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여기서, 사판식 압축기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으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냉매를 압축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6607호에는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6607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는, 보어를 갖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40)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4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30), 상기 사판(30)에 결합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50) 및 상기 사판(30)과 상기 피스톤(50) 사이에 개재되는 슈(600)를 포함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6607호의 경우, 상기 피스톤(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50)과 상기 보어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50)과 상기 보어 사이 마찰에 의한 고착을 방지하는 피스톤 오일 그루브(부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슈(600)에는 상기 슈(600)와 상기 사판(30)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상기 슈(600)와 상기 사판(30) 사이 마찰에 의한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슈 오일 그루브(630)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사판과 피스톤 사이 연결 부위에 오일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여 마찰 손실이 증가되고 고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슈 오일 그루브(630)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사판(30)과 슈(600) 사이에 오일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여 사판(30)과 슈(600) 사이 마찰 손실 증가 및 고착이 발생되고, 슈(600)와 피스톤(50) 사이에 오일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여 슈(600)와 피스톤(50) 사이 마찰 손실 증가 및 고착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660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판과 피스톤 사이 연결 부위에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보어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및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제1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사판 측으로 오일을 분사하는 제2 오일 그루브;가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어에 삽입되는 피스톤 제1 부위;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로부터 상기 보어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판에 연결되는 피스톤 제2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일 그루브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로부터 상기 사판 측으로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2 부위는, 상기 회전축 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사판의 외주부가 삽입되는 포켓; 및 상기 포켓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서 상기 포켓을 감싸는 포켓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외주면은,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과 중첩되는 제1 외주면;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 외벽과 중첩되는 제2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는 상기 제1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일 그루브는 그 제2 오일 그루브의 입구가 상기 제1 오일 그루브에 연통되고 그 제2 오일 그루브의 출구가 상기 사판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일 그루브는 그 제2 오일 그루브의 출구가 그 제2 오일 그루브의 입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원주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크기를 제2 오일 그루브의 폭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폭은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크기를 제2 오일 그루브의 깊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일 그루브의 입구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보다 좁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일 그루브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오일 그루브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는, 보어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및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제1 오일 그루브 및 상기 사판 측으로 오일을 분사하는 제2 오일 그루브;가 형성됨으로써, 사판과 피스톤 사이 연결 부위에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판과 피스톤 사이 연결 부위의 마찰 손실이 감소되고, 고착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판식 압축기에서 피스톤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서 피스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판식 압축기에서 피스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400) 및 일측은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원(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미도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압축기구(4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미도시)의 동력을 상기 압축기구(400)에 전달하는 회전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압축기구(400)가 수용되는 실린더 블록(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싱(1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중심 측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삽입되는 축수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외주부 측에는 후술할 피스톤 제1 부위(432)가 삽입되는 보어(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수공(112)은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축방향을 따라 그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어(114)는 상기 축수공(112)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축방향을 따라 그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어(114)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보어(114)는 상기 축수공(112)을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 블록(110)에는 상기 보어(114)의 내부로 압축될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흡입구 및 상기 보어(114)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냉매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싱(120)은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 케이싱(130)의 반대측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복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상기 프론트 케이싱(120)은 서로 체결되어 그 실린더 블록(110)과 프론트 케이싱(120) 사이에 크랭크실(V)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실(V)에는 후술할 사판(41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싱(130)은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케이싱(120)의 반대측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복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싱(130)에는 상기 냉매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수용되는 토출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간(S3)은 압축된 냉매를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냉매 토출관(미도시)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구(400)는 상기 회전축(300)에 경사지게 체결되어 그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410), 상기 보어(114)와 함께 압축실(S2)을 형성하고 상기 사판(410)에 연동되어 그 사판(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어(114)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430) 및 상기 사판(410)과 상기 피스톤(430) 사이 습동을 위해 그 사판(410)과 피스톤(430) 사이에 개재되는 슈(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판(41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V)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경사지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판(410)은 경사조절기구(440)에 의해 상기 회전축(300)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43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 피스톤(430)은 상기 슈(420)를 통해 상기 사판(410)에 연동되어 각 보어(114)에서 왕복 운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430)은, 상기 보어(114)에 삽입되는 피스톤 제1 부위(432)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로부터 상기 보어(114)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V)에서 상기 슈(420)를 통해 상기 사판(410)에 연결되는 피스톤 제2 부위(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는 축 방향이 상기 피스톤(430)의 왕복 운동 방향과 평행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2 부위(434)는 축 방향이 상기 피스톤(430)의 왕복 운동 방향과 평행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 측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 제2 부위(434)는, 상기 회전축(300) 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사판(410)의 외주부 및 상기 슈(420)가 삽입되는 포켓(434a) 및 상기 포켓(434a)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300)의 반대측에서 상기 포켓(434a)을 감싸는 포켓 외벽(434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30)은, 상기 피스톤(430)의 외주면에 상기 보어(114)와 상기 피스톤(430) 사이 유막을 형성하는 제1 오일 그루브(432a) 및 상기 사판(410) 측으로 오일을 분사하는 제2 오일 그루브(432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를 윤활하면서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를 윤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와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각각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외주면에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로부터 상기 사판(410) 측으로 상기 피스톤(430)의 제1 부위의 축 방향(피스톤(430)의 왕복 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외주면 중 특정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외주면은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434a)과 중첩되는 제1 외주면(F1)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 외벽(434b)과 중첩되는 제2 외주면(F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이 상기 포켓 외벽(434b) 측이 아닌 상기 포켓(434a)에 삽입되는 상기 사판(410)과 상기 슈(420) 측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2 외주면(F2)이 아닌 상기 제1 외주면(F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되어 있는 오일 중 일부가 상기 사판(410) 측으로 토출되도록,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도 1 상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우측 단부)가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연통되고,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도 1 상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좌측 단부)가 상기 사판(410)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이 분무 형태로 분사되도록,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가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 측 유동 단면적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 유동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크기(제2 오일 그루브(432b)가 피스톤 제1 부위(432) 외주면으로부터 음각진 정도)를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깊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깊이는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원주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크기를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폭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폭은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되어 있는 오일의 대부분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를 통해 상기 사판(410) 측으로 분사될 경우,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 윤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를 통해 상기 사판(410) 측으로 분사되는 오일의 양이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되어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에 공급되는 오일의 양보다 적거나 동등 수준이 되도록,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의 유동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슈(420)는, 상기 사판(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슈 및 상기 사판(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슈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 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0)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 블록(110)(더욱 정확히는, 축수공(1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론트 케이싱(120)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회전축(300)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사판(41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30)은 상기 사판(41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보어(114)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유입구를 통해 상기 압축실(S2)로 냉매가 흡입되고 압축되어 상기 토출공간(S3)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간(S3)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냉매 토출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30)이 하사점으로 이동될 때, 상기 크랭크실(V)의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유입되어 그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30)이 상사점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되어 있던 오일 중 일부는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에 공급되어 그 피스톤(430)과 보어(114) 사이를 윤활하고,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저유되어 있던 오일 중 일부는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를 통해 상기 사판(410) 측으로 분사되어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더욱 정확히는, 사판(410)과 슈(420) 사이 및 슈(420)와 피스톤(430)의 포켓(434a) 사이)를 윤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 및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에 오일을 공급하면서,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에도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 마찰 손실을 저감하고 고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슈(420) 사이 및 상기 슈(420)와 상기 사판(410) 사이 마찰 손실을 저감하고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와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슈(420) 사이 및 상기 슈(420)와 상기 사판(410) 사이를 동시에 윤활할 수 있어, 여러 습동부를 효과적, 효율적 및 경제적으로 윤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가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그 하나의 제2 오일 그루브(432b)로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를 가장 효과적으로 윤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외주면(F1)의 중심 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나의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외주면(F1) 중 상기 회전축(300)과 그 회전축(30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외주면(F1)에 형성되되 그 제1 외주면(F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 및 오일의 분사 범위가 증가되어 그 피스톤(430)과 사판(410) 사이 연결 부위의 윤활에는 유리하나, 상기 피스톤(430)과 상기 보어(114) 사이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이 감소되어 그 피스톤(430)과 보어(114) 사이 윤활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다.
100: 케이싱 114: 보어
300: 회전축 410: 사판
430: 피스톤 432: 피스톤 제1 부위
432a: 제1 오일 그루브 432b: 제2 오일 그루브
434: 피스톤 제2 부위 434b: 포켓 외벽
434a: 포켓 F1: 제1 외주면
F2: 제2 외주면

Claims (9)

  1. 보어(114)를 갖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410); 및
    상기 사판(41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4)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43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4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어(114)와 상기 피스톤(430)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는 제1 오일 그루브(432a) 및 상기 사판(410) 측으로 오일을 분사하는 제2 오일 그루브(432b);가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어(114)에 삽입되는 피스톤 제1 부위(432);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로부터 상기 보어(114)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판(410)에 연결되는 피스톤 제2 부위(4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로부터 상기 사판(410) 측으로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제2 부위(434)는,
    상기 회전축(300) 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사판(410)의 외주부가 삽입되는 포켓(434a); 및
    상기 포켓(434a)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300)의 반대측에서 상기 포켓(434a)을 감싸는 포켓 외벽(434b);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외주면은,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434a)과 중첩되는 제1 외주면(F1); 및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축 방향 상 상기 포켓 외벽(434b)과 중첩되는 제2 외주면(F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제1 외주면(F1)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가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에 연통되고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가 상기 사판(410)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가 그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보다 좁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원주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크기를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폭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폭은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반경 방향 상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크기를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깊이라 하면,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깊이는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의 입구는 상기 제1 오일 그루브(432a)보다 좁거나 같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오일 그루브(432b)는 상기 피스톤 제1 부위(4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KR1020180051519A 2018-05-04 2018-05-04 사판식 압축기 KR20190127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19A KR20190127213A (ko) 2018-05-04 2018-05-04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19A KR20190127213A (ko) 2018-05-04 2018-05-04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13A true KR20190127213A (ko) 2019-11-13

Family

ID=6853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519A KR20190127213A (ko) 2018-05-04 2018-05-04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72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607A (ko) 2013-01-28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용 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607A (ko) 2013-01-28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용 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635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lubricating oil is effectively supplied to a shoe mechanism interposed between a piston and a swash plate
KR20190127213A (ko) 사판식 압축기
EP1092872A2 (en) Piston for swash plate compressor
KR10027496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6523455B1 (en) Compressor having an oil collection groove
JP201010120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6050783A (en) Reciprocating compressor in which a blowby gas can be returned into a suction chamber with a lubricating oil within a crank chamber kept at a sufficient level
US11994119B2 (en) Compressor
JPH08284816A (ja) 斜板式圧縮機
JP4242990B2 (ja) 斜板式圧縮機
KR101058652B1 (ko) 압축기
JP4562661B2 (ja) 斜板式圧縮機
KR10137802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142767B1 (ko) 압축기용 피스톤
KR101721513B1 (ko) 사판식 압축기
JP2007198281A (ja) 斜板式圧縮機
KR101452499B1 (ko) 압축기
KR101090636B1 (ko) 압축기
KR20120027793A (ko) 압축기
KR10200634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741688B1 (ko) 자전방지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왕복동 사판식 압축기
KR20150060199A (ko) 왕복식 압축기
KR101402760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피스톤
JP2001050156A (ja) 斜板式圧縮機
KR20160043403A (ko) 사판식 압축기의 오일 분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