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152A -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152A
KR20190127152A KR1020180051366A KR20180051366A KR20190127152A KR 20190127152 A KR20190127152 A KR 20190127152A KR 1020180051366 A KR1020180051366 A KR 1020180051366A KR 20180051366 A KR20180051366 A KR 20180051366A KR 20190127152 A KR20190127152 A KR 2019012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signal
infrared
det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302B1 (ko
Inventor
강태균
Original Assignee
강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균 filed Critical 강태균
Priority to KR102018005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선로에 사용되는 교차회로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운영되는 소방 설비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감지 교차회로 감지기에 있어서, 동일 구역 내에 광전 감지방식의 2개의 연기 감지기를 붙여서 설치하며, 상기 연기 감지기는 연기가 발생하면 상기 연기에 의하여 밀폐된 구역 내에서 적외선이 차단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화재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두 개의 연기 감지기 중 하나 이상이 장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나의 연기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알림장치(예를 들면, 싸이렌 또는 벨)가 동시에 작동하여 화재의 발생사실을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밀폐된 구역의 감시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두 개의 연기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에는,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 또는 자동 기동장치인 스프링쿨러가 동작하여 소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는, 상기 제1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A회로선과 공통회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B 회로선과 공통 회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연기감지기는 RFID 방식으로, 트랜시버(Transceiver)는 MCU(Main Control Unit)을 이용하여 Wake-On-Sensor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적외선 IR에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며, 상기 적외선 IR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연기에 의해 차단되어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면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동시에 스프링쿨러 또는 프리액션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또는 물을 분사하여 소화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CROSS CIRCUIT SUPERVISORY MACHINE USED IN FIREFIGHTING TRACK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차회로방식은 감지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설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두 개의 회로가 교차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일명X 배선방식이라고 한다. (소방기술 기준에 관한 규칙 제18조[스프링쿨러의 설비 및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에서 정하는 교차회로 방식)시설하고, 시설된 지중관에 전력 송배전용 케이블을 설치하여 수용가에 전력을 송전 또는 배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건물 화재 발생 시 경보를 울려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화재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재 감지장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서는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으며, 가스 오븐 렌지, 가스스토브 등과 같이 열기구를 취급하는 주방이나 노래방, PC방, 대형 건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장치는 그 배선방식의 건물의 일정 구역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 감지장치를 하나의 회로로 연결하므로 화재 발생시 건물의 관리실에서는 해당 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건만 경보될 뿐, 다수의 화재 감지장치 중 어느 것이 작동하였는지 알 수 없어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화재 현장에 출동하여 육안으로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한 대응과 더불어 무분별한 소방장치인 가스 또는 물의 분사장치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2개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상기 2개의 화재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에만 소방장치라고 할 수 있는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밸브를 개방 작동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교차 회로 시스템 하에서는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였는 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고, 대체로 많은 장비들이 열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즉, 열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가장 손쉬운 작동 방식이 열전대(thermocouple)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대의 온도가 몇 도 이상이 되었을 때, 소방설비 또는 준비작동식 유수 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밸브를 개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대에서 측정된 온도가 몇 도 이상이 되면 화재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열전대와 연결된 회로의 상황 등에 따라 정확한 응답값을 출력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0001)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192756호(교차회로용2단출력 화재 감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현재의 두 개의 화재감지장치와 연계하여 소방설비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하에서는 주기적인 신호의 발생을 통해 화재의 발생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주기적인 신호의 발생에 따라 화재에 대한 판단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화재감지장치와 연계된 소방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소방설비 시스템의 일종인 교차 회로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감시를 수행하는 화재감지기의 작동 중에 이상 신호 발생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즉각적인 대응 방안인 소방수단의 동원을 즉각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회로 감지기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감지 교차회로 감지기에 있어서, 동일 구역 내에 광전 감지방식의 2개의 연기 감지기를 붙여서 설치하며, 상기 연기 감지기는 연기가 발생하면 상기 연기에 의하여 밀폐된 구역 내에서 적외선이 차단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화재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두 개의 연기 감지기 중 하나 이상이 장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나의 연기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알림장치(예를 들면, 싸이렌 또는 벨)가 동시에 작동하여 화재의 발생사실을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밀폐된 구역의 감시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두 개의 연기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에는,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 또는 자동 기동장치인 스프링쿨러가 동작하여 소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는, 상기 제1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A회로선과 공통회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B 회로선과 공통 회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연기감지기는 RFID 방식으로, 트랜시버(Transceiver)는 MCU(Main Control Unit)을 이용하여 Wake-On-Sensor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적외선 IR에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며, 상기 적외선 IR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연기에 의해 차단되어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면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동시에 스프링쿨러 또는 프리액션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또는 물을 분사하여 소화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라 함은,
상기 제1, 2 감지기에서 동일주기에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가 차단되어 포토 다이오드에서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부로 송신하는 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신호를 감지하고 소화신호를 산출하는 교차 회로감지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a) RFID 기반으로 작동되는 동일 구역 내의 두 개의 제1, 2감지기를 구동시키는 단계(s10);와, (b) 제1, 2 감지기의 송신부 중 적외선 발생부의 적외선 IR에 주기적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20)와, ;(c) 상기 적외선 신호를 포토다이오드에서 수신하는 단계(s30);와, (d) 상기 제1, 2 감지기에서 적외선 신호를 동일 주기에 수신하지 못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A회로 전선과 공통선을 통해서 화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B회로 전선과 공통선을 통해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40); 및 (e) 동일 구역에 위치한 제1, 2감지기에서 동일 주기에 화재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 밸브가 작동하여 소화장치에서 물 또는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 감지기는 RFID 방식으로 작동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적외선 발생부 내에 적외선 IR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IR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가 존재하여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수신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감지기 중 하나의 감지기에서 동일 주기에 적외선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수신하지 못한 때에는, 상기 제1, 2 감지기 중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감지기의 수신기에 배치된 LED 또는 BUZZER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 2 감지기를 관리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에 대한 설치 기준에 적합하게 하나로 병합하여 제작할 수 있어서(이를 일체형 감지기라고 한다.) 설치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자주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던 오동작은 방지하면서 신속한 화재에 대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광전식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외선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지 않을 때 화재 발생이라는 신호를 단자대와 연결되어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송신하고, 그에 맞춘 즉각적인 기동장치, 즉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밸브를 개방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로 말미암아 시공이 간편하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1개의 배관에 3개의 배관이 필요한 특징을 갖게 되고, 하자의 빈도가 50%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자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교차회로 방식으로 운영되는 설비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회로 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PCB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소방 선로에 사용되는 교차회로 감지기의 구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교차 회로 방식은 감ㅈ지기와 동작하는 설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두 개의 회로가 교차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일명 X배선방식이라고 한다.
이에 관련된 법규로는 소방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제18조인 스프링쿨러 설비의 음향 장치 및 가동장치에 규정되어 있다.
도 1은 교차회로 방식으로 운영되는 설비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는 것은 송 배전 방식의 자동 화재 탐지설비와, 기능은 같으나, 1개 회로의 감지기가 동작되었을 때에는 그와 연동되는 소화 설비가 작동하지 아니하고, 2개 회로 즉 감지기가 회로별로 각각 1개씩 1개 이상의 감지기가 동작되어야 만, 수신반에서 소화설비 또는 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기동출력을 발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두개의 감지기가 같은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두 개의 감지기(50, 60)가 배치되고, 상기 감지기(50, 60)은 단자대(9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감지기(50, 60)를 설치하고 나면, 종단저항(70)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황에서 도통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자대(90)에서 전원(예를 들면 24V)이 공급되면,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종단 저항 때문에 최종 측정되는 전압은 20-22V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종단 저항 처리를 하여서 도통시험을 수행하는 이유는 만약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만약 중간에 단선되어 그 뒷부분의 감지기(50, 60)에서 전압이 측정되지 않을 때, 1차 측부터 중간에 배치되어 있는 감지기(50, 60)까지 전압이 출력되기 때문에 도통에 이상이 있는 지 없는지 판단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교차회로 방식에 대해서는 준비작동식 스프링 쿨러 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등 잦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화재 감지가 필요한 영역에 2이상의 화재 감지기(50, 60)를 설치하고, 인접한 상태의 2이상의 감지기(50, 60)가 동작했을 때 작동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스프링 쿨러(미도시)에 대한 행정규칙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규정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을 참고하더라도, 제9조(음향장치 및 기동장치)에서 스프링쿨러의 음향 장치 및 기동장치는 습시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헤드가 개방되면, 유수검지장치가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에 따라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할 것과, 준비작동식 우수 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에는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 경우 화재 감지기 회로를 교차회로방식(하나의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도는 일제 개방밸브(프리액션 밸브)의 담당 구역 내에 2이상의 화재감지기 회로를 설치하고, 인접한 2이상의 화재 감지기가 동시에 감지되는 때에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고 작동되는 방식을 말한다)으로 하는 때에는 하나의 화재감지기 회로가 화재를 감지하는 때에도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도 1에서도, A회로(적색으로 표시)와 B회로(흑색으로 표시)를 두 가지 설치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서도 2개의 감지기(50, 6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제3, 4감지기(50, 60)의 교차 회로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기에서는 인접해 있는 감지기의 동작시까지 시간이 걸려서 화재 진화에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로를 별개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인건비가 많이 드는 단점을 갖는다.
즉 두 개의 배관에 2개의 제3, 4 전선(40, 80)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동일 구역 내에 감지기가 둘이다 보니, 감지기 가격이 고가가 되는 점과 동일 구역 내에 감지기가 둘이다 보니, 하자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하나의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소화 장비가 작동하지 않아야 할 상황인데도 정확하지 못한 상황 판단에 따라, 소화 장비의 작동 시 현재의 소화선로에 사용되는 교차회로 감지기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식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복구 비용이 엄청들어가게 된다는 단점을 또한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회로 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회로에서 인출된 A회로 전선(10)과 상기 A회로 전선(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공통선(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회로에서 인출된 B회로 전선(30)과 상기 B회로 전선(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공통선(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회로 전선(10)과 공통선(20)이 통과하는 전선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기(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제2 감지기(120)는 상기 B회로 전선(30)과 공통선(20)이 통과하는 전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감지기(110)와 제2 감지기(120)는 붙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별개의 회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다른 신호를 단자대(9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단자대(90)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를 발생시킬 것인가 또는 기동장치 또는 준비작동식 유수검지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준비될 수 있다.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에는, 열을 감지하는 방식과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열을 감지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갖고,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으로는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와 광전식 연기감지기가 있다.
이중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에 대한 제1,2 감지기(110, 120)로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검지부에 연기가 들어가는 데 따라 광전소자의 입사광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산란광 방식이 쓰여지며, 구조 원리는 주위의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연기가 만들어 갈 수 있게 한 암상자의 한쪽에 광원램프의 광원을 한 방향으로 모아 비추어 주고 이 광속의 산란광을 받는 방향에 광전소자가 부착되어서 밀폐된 상자 안의 공기가 깨끗할 때에는 그 산란이 없으므로, 광전소자는 빛을 전혀 받지 않고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화재로 인한 연기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화재시 연기가 밀페된 상자 안에 진입하면, 연기입자에 의해 광원램프에서 빛이 산란 현상을 일으켜 광전소자는 그 산란광의 일부를 받아 전기저항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저항의 감소에 따른 전류의 흐름의 증가를 스위칭 회로로 검출하여 수신기로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광전식 연기 감지기이다.
이러한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경우에도 전기신호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단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유선통신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은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 ZigBee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센서를 항상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수명이 짧고,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에너지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반의 광전식 연기 감지센서는, WOR(Wake-On-Radio) 무선통신기법을 적용하여 저전력의 화재 감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RFID태그와 리더기(판독기), 그리고 RFID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S/W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시버(Transceiver)는 MCU(Main Controller Unit)을 이용하여 WOR(Wake-On-Radio) 무선통신기법을 확장하여 WOS(Wake-On-Sensor) 방식의 화재 감지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ansceiver는 MCU(Main Controller Unit)을 이용하여 Wake-On-Sensor 방식으로 적외선 발생부에 포함된 적외선 IR에서 발생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s20). 이와 같이 적외선 IR에서 발생한 신호는 포토다이오드에서 수신할 수 있다(s30). 이때 연기가 발생하면, 적외선 신호가 연기에 의해 차단되고 신호가 차단되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에서는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연기를 감지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RF 모듈은 Wake-On-Radio 방식으로 동작하며 연기가 감지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서로 다른 데이터로 취급하여 수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2 감지기(110, 120) 중 어느 하나의 감지기에서만 연기를 감지하였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를 통해서 빛을 출력하거나, Buzzer(부저)를 이용해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두 개의 감지기(110, 120) 중 하나의 감지기에서 화재 신호를 발생시킨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개의 감지기(110, 120)이 동시에 작동하였을 때에는 화재 발생 조건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소화장치인 준비 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밸브(프리액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PCB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2 감지기의 송신부 모듈은 적외선 발생부(210), 상기 적외선 발생부(210)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220), 및 상기 포토다이오드(220)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칩안테나(230), 상기 RFID기반의 송수신부 모듈을 제어하는 MCU(250)와 신호 송수신과 관련이 있는 RF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 모듈에는 능동형 태그(tag)가 작동할 수 있고, 능동형 태그의 작동으로 송신신호를 보내면, 수신부 모듈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들여서, 화재 신호에 대한 감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 2 감지기(110, 120)을 포함하는 A회로, B 회로를 가동시켜서 교차회로감지기가 작동하는 상태일 수 있다(s10).
즉 연기가 발생하면, 적외선발생부(210)에서 발생하던 적외선이 연기에 의해 차단되어 포토다이오드(220)에서 아무런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송수신부 모듈에서 작동하면 송신부에서는 Transceiver가 MCU(250)를 이용하여 Wake-On-Sensor방식으로 적외선 발생부(210)에서 적외선 IR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s20). RF 모듈(240)은 상기 포토다이오드(220)에서 발생한 신호를 칩안테나(230)를 통해서 송수신할 수 있고, 수신부 모듈에서는 통신 모듈(예를 들면, RS-232)를 통해서 부저(310)를 울리거나, LED(320)를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화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40).
물론 이때 제1, 2 감지기(110, 120)에서 동일한 주기에 동일 지역 내에서 적외선 미감지 신호를 발생시켰을 때에는 수신부 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준비작동식 유수검지기 또는 일제 개방밸브의 개방을 통해 소방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S5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A회로 전선 20: 공통선
30: B회로 전선 40: 제3전선
50: 제3 감지기 60: 제4 감지기
70: 종단 저항 80: 제4 전선
90: 단자대 110: 제1 감지기
120: 제2 감지기 210: 적외선 발생부
220: 포토다이오드 230: 칩안테나
240: RF모듈 250: MCU
310: Buzzer 320: LED
330: 통신 모듈

Claims (4)

  1.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에 있어서,
    동일 구역 내에 광전 감지방식의 2개의 감지기를 붙여서 설치하며,
    상기 감지기는 연기가 발생하면 상기 연기에 의하여 동일 구역 내에서 적외선이 차단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화재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두 개의 감지기 중 하나 이상이 장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나의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알림장치(예를 들면, 부저 또는 LED)가 동시에 작동하여 화재의 발생사실을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동일 구역의 감시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두 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에는,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 또는 자동 기동장치인 스프링쿨러가 동작하여 소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는,
    상기 제1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A회로 전선과 공통회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B회로 전선과 공통회로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감지기는 RFID 방식으로,
    트랜시버(Transceiver)는 MCU(Main Control Unit)을 이용하여 Wake-On-Sensor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적외선 IR에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며, 상기 적외선 IR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연기에 의해 차단되어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면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동시에 스프링쿨러 또는 프리액션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또는 물을 분사하여 소화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감지 교차회로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때라 함은,
    상기 제1, 2 감지기에서 동일주기에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가 차단되어 포토 다이오드에서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부로 송신하는 때를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감지 교차회로 감지기.
  3.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a) RFID 기반으로 작동되는 동일 구역 내의 두 개의 제1, 2감지기를 구동시키는 단계(s10);
    (b) 제1, 2 감지기의 송신부 중 적외선 발생부의 적외선 IR에 주기적 신호를 주어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20);
    (c) 상기 적외선 신호를 포토다이오드에서 수신하는 단계(s30);
    (d) 상기 제1, 2 감지기에서 적외선 신호를 동일 주기에 수신하지 못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A회로 전선과 공통선을 통해서 화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B회로 전선과 공통선을 통해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40); 및
    (e) 동일 구역에 위치한 제1, 2감지기에서 동일 주기에 화재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 밸브가 작동하여 소화장치에서 물 또는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 감지기는 RFID 방식으로 작동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적외선 발생부 내에 적외선 IR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IR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가 존재하여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수신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의 운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감지기 중 하나의 감지기에서 동일 주기에 적외선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수신하지 못한 때에는,
    상기 제1, 2 감지기 중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감지기의 수신기에 배치된 LED 또는 BUZZER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 2 감지기를 관리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장치인 스프링쿨러를 작동시키는 화재발생 교차회로 감지기의 운전방법.

KR1020180051366A 2018-05-03 2018-05-03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KR102062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66A KR102062302B1 (ko) 2018-05-03 2018-05-03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66A KR102062302B1 (ko) 2018-05-03 2018-05-03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52A true KR20190127152A (ko) 2019-11-13
KR102062302B1 KR102062302B1 (ko) 2020-02-11

Family

ID=6853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366A KR102062302B1 (ko) 2018-05-03 2018-05-03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3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155A (ja) *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複合型火災感知器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192755Y1 (ko) *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하우엔지어링건축사무소 교차회로용 열,연기 복합 화재감지
KR200192756Y1 (ko)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하우엔지어링건축사무소 교차회로용 2단 출력 화재 감지기
KR20140005629U (ko) * 2013-04-23 2014-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497539B1 (ko) * 2013-12-30 2015-03-02 김상륜 이중 구조의 암실을 갖는 연기 감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155A (ja) *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複合型火災感知器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192755Y1 (ko) *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하우엔지어링건축사무소 교차회로용 열,연기 복합 화재감지
KR200192756Y1 (ko)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하우엔지어링건축사무소 교차회로용 2단 출력 화재 감지기
KR20140005629U (ko) * 2013-04-23 2014-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497539B1 (ko) * 2013-12-30 2015-03-02 김상륜 이중 구조의 암실을 갖는 연기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302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101817940B1 (ko) 듀얼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US20210350684A1 (en) Fire alarm equipment
KR101701455B1 (ko)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0862538B1 (ko)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JP2023089258A (ja) 火災検知器及び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JP7061215B2 (ja) トンネル防災設備の試験システム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102062302B1 (ko)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JP2792676B2 (ja) 光ワイヤレス式火災報知設備
KR20040087995A (ko) 네트워크 fire 방재감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950237B1 (ko) 소방용 표시등
CN212302701U (zh) 一种火灾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