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973A -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973A
KR20190126973A KR1020180050960A KR20180050960A KR20190126973A KR 20190126973 A KR20190126973 A KR 20190126973A KR 1020180050960 A KR1020180050960 A KR 1020180050960A KR 20180050960 A KR20180050960 A KR 20180050960A KR 20190126973 A KR20190126973 A KR 2019012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tray
seeding
clos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082B1 (ko
Inventor
엄용균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종구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시키면서 정렬된 마늘종구를 공급받아 자세변화 없이 그래도 파종할 수 있게 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되는 트레이를 가지는 다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트레이 어셈블리들의 트레이를 마늘종구 수용위치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순환시키면서 순환 시 수용된 마늘종구들이 정렬되도록 트레이 어셈블리에 좌우 요동을 제공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정렬기;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트레이로부터 정렬된 마늘종구를 공급받아 파종하는 다수의 파종호퍼를 가지는 다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와, 파종호퍼 어셈블리들의 파종호퍼들을 마늘종구 공급위치 및 마늘종구 파종위치로 순환시키면서 마늘종구가 파종되도록 마늘종구 파종위치에서 파종호퍼들의 하부를 개방시키는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파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UPRIGHT ARRANGEMENT PLANTER DEVICE OF GARLIC SEED}
본 발명은 마늘종구의 정렬과 파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다른 작물과 달리 파종할 때 종구의 자세에 따라 수확 시 그 품질과 생산성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 의하면 마늘의 파종은 마늘종구의 발근부가 지면에 하향으로 향하도록 직립 파종해야만 수확 시 좋은 품질의 마늘을 생산할 수 있고, 마늘종구가 옆으로 누인 상태로 파종될 경우 마늘 성장결과는 마늘의 크기가 작거나 기형적 모양으로 생장하며, 마늘종구가 거꾸로 파종될 경우 수확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대부분 발아 되지 못하여 토지가 빈 공간으로 남게 되고, 빈 공간 주변의 마늘은 오히려 생장이 잘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마늘종구 발근부가 하향되도록 파종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04192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3034 호"에는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자동으로 정렬시키고, 포장할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10389 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0962 호"에는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04192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3034 호"에서 정렬 및 포장된 마늘종구를 파종하는, 즉 마늘종구의 발근부가 하향 직립되도록 파종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에 개시된 장치들은 개별 장치들이기 때문에 마늘 파종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마늘을 파종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04192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3034 호"에 개시된 장치를 이용해 마늘종구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 및 포장 작업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10389 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0962 호"에 개시된 장치로 옮겨와 파종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파종 작업의 연속성이 없고, 그로 인해 파종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전술한 등록특허들 및 공개특허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마늘종구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시키면서 정렬된 마늘종구를 공급받아 자세변화 없이 그래도 파종할 수 있게 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는,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되는 트레이를 가지는 다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트레이 어셈블리들의 트레이를 마늘종구 수용위치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순환시키면서 순환 시 수용된 마늘종구들이 정렬되도록 트레이 어셈블리에 좌우 요동을 제공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정렬기;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트레이로부터 정렬된 마늘종구를 공급받아 파종하는 다수의 파종호퍼를 가지는 다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와, 파종호퍼 어셈블리들의 파종호퍼들을 마늘종구 공급위치 및 마늘종구 파종위치로 순환시키면서 마늘종구가 파종되도록 마늘종구 파종위치에서 파종호퍼들의 하부를 개방시키는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파종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는,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마늘종구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좌우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수용공간은, 수평한 격판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며, 격판에는 격판의 상부 측으로 수용된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삽입되어 정렬되는, 하나의 마늘종구만이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정렬관이 장착되되, 정렬관들은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고, 정렬관들의 하단은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트레이의 상부에는 요동 브라켓과, 요동 브라켓의 상부에서 요동 브라켓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캠 슬라이더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정렬관들의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부; 정렬관들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개폐부를 안내하는 레버부; 및 정렬관들의 하단이 폐쇄하도록 개폐부를 안내하는 도어 개폐 스프링;을 포함하며, 개폐부는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트레이의 하부에 끼워지되, 개폐부에는 정렬관들의 하단 개방 시 정렬관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공들이 형성되고, 레버부는 개폐부의 단부에서 트레이의 상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레버부는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의 도어 개폐캠에 접촉되어 공급공들이 정렬관의 하단과 연결되게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며, 도어 개폐 스프링은 레버부의 내측과 레버부의 내측이 마주하는 트레이의 단변 외측 사이에 개재되되, 도어 개폐 스프링은 레버부와 도어 개폐캠 접촉 시 신축되고 레버부가 도어 개폐캠에서 이탈되면 복원되어 공급공들이 정렬관의 하단과 어긋나게 개폐부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어셈블리는, 좌우로 연장된 2개의 장변 프레임과, 장변 프레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단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장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트레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장공이 각각의 장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동 장공들에는 트레이의 장변 외측면에 돌출된 수평한 판 형상의 요동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각각의 단변 프레임들의 외측면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축선이 이격되도록 어느 하나의 단변 프레임의 외측면 일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고정 바아 및 또 다른 단변 프레임의 외측면 타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고정 바아가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장변 프레임들은 내부가 중공된 사각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장변 프레임들의 중공된 내부에는 일단이 요동 장공 내부로 삽입된 요동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장변 프레임의 단부 측에 고정되는 요동 스프링이 내장되되, 요동 스프링은 캠 슬라이더가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의 요동캠부재에 접촉되면 신장 또는 압축되고 캠 슬라이더가 요동캠부재에서 이탈되면 복원되면서 트레이를 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제공되는 전단 측 스프로킷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단 측 스프로킷 및 서로 이웃한 전단 측 스프로킷과 후단 측 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 체인을 가지는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 트레이 어셈블리를 마늘종구 수용위치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안내 시 트레이가 좌우로 요동되도록 요동 스프링을 압축 또는 신장 시키는 요동캠부재;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정렬관들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슬라이딩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 개폐캠;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단 측 스프로킷은 수평하게 연장된 장방형상의 전단 측 고정대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단 측 스프로킷은 수평하게 연장된 장방형상의 후단 측 고정대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고정축에 회정 가능하게 지지되되, 제 1 및 제 2 고정축, 그리고 제 3 및 제 4 고정축은 인접한 프레임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고정축의 중심축선과 제 3 및 제 4 고정축의 중심축선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및 제 2 고정 바아의 중심축선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로 이격되며, 어느 하나의 트레이 지지 체인과 또 다른 트레이 지지 체인에는 지지프레임들의 제 1 및 제 2 고정 바아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선회편이 각각의 트레이 지지 체인을 따라 이격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단 측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제 1 피동스프로킷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고, 각각의 후단 측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체인을 매개로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연결되는 제 1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며, 각각의 제 1 구동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직립파종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 2 피동스프로킷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동캠부재는, 마늘종구 수용위치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 시 각각의 트레이 어셈블리의 캠 슬라이더가 접촉하는 다수의 제 1 요동캠 및 다수의 제 2 요동캠을 포함하며, 제 1 요동캠들 및 제 2 요동캠들은 접촉되는 캠 슬라이더를 안내하여 트레이가 요동 스프링을 신장 또는 압축시킬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캠 슬라이더는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이 형성하는 빗변을 따라 안내되되, 제 1 요동캠의 빗변의 길이는 제 2 요동캠의 빗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트레이 어셈블리의 순환방향을 따라 후단 측 스프로킷에서 전단 측 스프로킷 측으로, 전단 측 스프로킷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 측으로 배치되되, 후단 측 스프로킷에서 전단 측 스프로킷 측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단 측 스프로킷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 측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전단 측 스프로킷 및 후단 측 스프로킷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단 측 고정대 및 후단 측 고정대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폐캠은 접촉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레버부를 안내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부가 정렬관들의 하단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어 개폐캠은 평면에서 봤을 때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레버부는 도어 개폐캠이 형성하는 빗변을 따라 안내되며, 도어 개폐캠은 마늘종구 공급위치와 마주하도록 서브프레임에 의해 후단 측 스프로킷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단 측 고정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는 파종을 위해 낱개로 분리되어 공급되는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자동으로 정렬시키는 직립정렬기와, 직립정렬기에서 정렬된 마늘종구들을 공급받아 자세변화 없이 그대로 파종하는 직립파종기을 포함하기 때문에 연속성을 가지는 마늘종구에 대한 정렬 작업 및 파종 작업으로 인해 파종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립정렬기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어셈블리와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요동캠부재를 지나는 트레이 어셈블리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제 1 요동캠을 지나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제 2 요동캠을 지나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 어셈블리의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캠과 슬라이딩 도어의 작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직립파종기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종호퍼 어셈블리와,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파종호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 8a는 홀더의 하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홀더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직립파종기의 평면도로서, 파종호퍼 어셈블리와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직립파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마늘 파종을 위한 어느 하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의 순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파종호퍼 어셈블리의 순환과정에서 파종호퍼의 운동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는 직립정렬기(200) 및 직립파종기(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직립파종기(100)는 본 출원인의 발명자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0962 호"에 개시된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이다.
즉, 본 발명은 파종을 위해 낱개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마늘종구(S)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자동으로 정렬시키는 직립정렬기(200)와, 직립정렬기(200)에서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공급받아 자세변화 없이 그대로 파종하는 직립파종기(100)를 연동시켜 마늘종구(S) 파종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직립정렬기(200) 및 직립파종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b는 직립정렬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직립정렬기(200)는 마늘종구(S)들이 정렬되고,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하는 다수의 트레이 어셈블리(210)와,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이 연속적으로 마늘종구(S)들을 수용하고 수용된 마늘종구(S)들을 정렬 시키면서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을 안내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를 포함한다.
먼저, 트레이 어셈블리(210)는 트레이(212)와, 트레이(212)를 좌우 요동(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30)을 포함한다.
트레이(212)는 파종을 위해 낱개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마늘종구(S)들이 내부로 수용되고, 또한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트레이(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된 사각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좌우로 길게 연장된 장변들과 장변들을 단부를 연결하는 단변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이(21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수평한 격판(214)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며, 격판(214)에는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된 마늘종구(S)들이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직립 정렬되는 다수의 정렬관(216)이 격판(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정렬관(216)은 하나의 마늘종구(S)만이 삽입되어 직립 정렬될 수 있는 내경(內徑)을 가지되, 정렬관(216)의 상단은 정렬관(216)의 내경이 격판(214)의 상부면로 노출되게 격판(214)의 상부면과 부드럽게 연결되며 정렬관(216)의 하단은 트레이(212)의 개방된 하부 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정렬관(216)들의 이격 간격은 어느 하나의 정렬관(216)의 중심과 이웃한 또 다른 정렬관(216)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러한 정렬관(216)들의 이격 간격은 후술하는 직립파종기(100)의 파종호퍼(112)들의 이격 간격, 즉 어느 하나의 파종호퍼(112)의 중심과 이웃한 또 다른 파종호퍼(112)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는, 정렬관(216)들에 직립 정렬된 마늘종구(S)들이 원활하게 대응하는 파종호퍼(112)에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정렬관(216)들의 하단은 트레이(212)의 수용공간 내부로 마늘종구(S) 공급 및 공급된 마늘종구(S)들의 정렬 시 동시에 폐쇄되고,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 시 동시 개방된다.
이를 위해서, 트레이(212)의 개방된 하부에는 슬라이딩 도어(218)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도어(218)는 트레이(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한 판 형상의 개폐부(220)와, 개폐부(220)의 일단에서 개폐부(220)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레버부(224)를 포함한다.
개폐부(220)는 트레이(21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되며, 정렬관(216)들의 하단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12)의 개방된 하부 일단 측에서 타단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트레이(212)의 하부 측에는 개폐부(220)의 양측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부(220)에는 정렬관(216)들에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 시 정렬관(216)들의 하단과 마주하는 다수의 공급공(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공(222)들은 정렬관(216)들의 이격 간격과 동일한 이격 간격으로 형성되며, 공급공(222)들은 레버부(224)의 작동에 의한 개폐부(22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정렬된 마늘종구(S)들 공급 시 정렬관(216)들의 하단과 연결되어 마늘종구(S)들을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되게 하며, 트레이(212)의 수용공간 내부로 마늘종구(S) 공급 및 공급된 마늘종구(S)들의 정렬 시 공급공(222)들은 정렬관(216)들의 하단과 어긋나면서 정렬관(216)들에 삽입된 마늘종구(S)가 트레이(212)의 하부를 통해 배출되지 않게 한다.
한편, 레버부(224)는 트레이(212)의 어느 하나의 단변 외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되, 후술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의 도어 개폐캠(290)에 접촉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트레이(212)의 단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레버부(224)의 높이가 트레이(212)의 단변의 높이와 같을 경우 레버부(224)가 도어 개폐캠(290)과 접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트레이(212)와 도어 개폐캠(290)이 간섭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레버부(224)의 높이를 트레이(2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한다.
그리고 레버부(224)의 내측면과, 레버부(224)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트레이(212)의 단변 외측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도어(218)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도어 개폐 스프링(226)는 개재된다.
도어 개폐 스프링(226)은 통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extension spring)으로 도어 개폐 스프링(226)의 일단은 레버부(224)의 내측면 상에 고정되며, 도어 개폐 스프링(226)의 타단은 트레이(212)의 단변 외측면 상에 고정된다.
즉,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 어셈블리(210)가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안내되면 슬라이딩 도어(218)의 레버부(224)는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에 접촉하여 안내되고, 레버부(224)가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따라 안내되면 도어 개폐 스프링(226)은 신장되고 슬라이딩 도어(218)의 개폐부(220)도 레버부(224)를 따라 안내되는데, 이때 레버부(224)가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이탈하기 직전에 개폐부(220)에 형성된 공급공(222)과 정렬관(216)들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마늘종구(S)들은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레버부(224)가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통과하면 도어 개폐 스프링(226)은 복원되는데, 이에 의해 레버부(224)는 마주하는 트레이(212)의 단변 측으로 인접하게 안내되고 개폐부(220)는 레버부(224)를 따라 안내되면서 공급공(222)들과 정렬관(216)들의 하단을 어긋나게 하여 정렬관(216)들의 하단을 폐쇄시킨다.
지지프레임(230)은 내부가 중공된 통상의 사각의 관체 형상을 가지면서 좌우로 길게 연장된 2개의 장변 프레임(232)과, 장변 프레임(232)의 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단변 프레임(238)들을 포함하되, 장변 프레임(232)들과 단변 프레임(238)들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트레이(212)가 좌우로 요동(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트레이(212)를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장변 프레임(232)들의 내측면 상에는 장변 프레임(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동 장공(234)이 형성되며, 트레이(212)의 양측면 상에는 요동 장공(2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요동 장공(234)을 따라 안내되는 수평한 판 형상의 요동 슬라이더(23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장변 프레임(232)들의 중공된 내부에는 트레이(212)가 탄력적으로 요동되도록 지지하는 요동 스프링(238)이 각각 내장되는데, 요동 스프링(238)의 일단은 요동 슬라이더(236)에 고정되며, 요동 스프링(238)의 타단은 요동 스프링(238)의 일단이 고정된 요동 슬라이더(236)와 마주하는 장변 프레임(232) 단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요동 스프링(238)은 통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이며, 장변 프레임(232)의 길이는 장변 프레임(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레이(212)가 요동할 수 있도록 트레이(2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변 프레임(238)들의 외측면 상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 바아(240a, 240b)가 고정 장착되되, 제 1 고정바아(240a)는 어느 하나의 단변 프레임(238)의 외측면 일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제 2 고장바아(240b)는 또 다른 단변 프레임(238)의 외측면 타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즉, 제 1 및 제 2 고정바아(240a, 240b)는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중심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바아(240a)의 중심축선과 제 2 고정바아(240b)의 중심축선 사이는 소정의 간격(W) 만큼 이격되게 고정 장착된다.
한편, 트레이(212)의 상부에는 트레이(212)의 어느 하나의 장변과 또 다른 장변을 연결하는 요동 브라켓(242)이 고정 장착되며, 요동 브라켓(242)의 상부에는 캠 슬라이더(244)가 수직하게 돌출된다.
이렇게 형성된 캠 슬라이더(244)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 어셈블리(210)가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의 요동캠부재(280)들과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는데, 이렇게 캠 슬라이더(244)가 요동캠부재(280)들과 접촉 및 이탈되는 과정에서 요동 스프링(232)은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의해 요동 스프링(232)과 연결된 트레이(212)는 요동 장공(234)을 따라 좌우로 요동(움직임)된다. 그리고 트레이(212)가 반복적으로 요동함에 따라 트레이(212)에 수용된 마늘종구(S)는 발근부가 하향되도록 각각의 정렬관(216)의 내경 측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마늘종구(S)는 무게중심이 발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트레이(212)의 반복적인 요동운동에 의해 마늘종구(S)의 발근부 측이 먼저 정렬관(216) 내부로 삽입되며, 이에 의해 정렬관(216)에는 발근부가 하향되도록 마늘종구(S)가 삽입 정렬된다.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는 직립파종기(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속적으로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을 마늘종구(S) 수용위치 및 공급위치로 안내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252)과, 트레이 어셈블리(210)를 마늘종구(S) 수용위치에서 공급위치로 이동 시 트레이(212)를 좌우로 요동시키는 요동갬부재(280)를 포함한다.
또한,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는 마늘종구(S) 공급위치에서 정렬관(216)들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슬라이딩 도어(218)를 작동시키는 도어 개폐캠(290)을 더 포함한다.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252)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및 서로 이웃한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과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 체인(266a, 266b)을 포함한다.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은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전단 측 고정대(256)에 의해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전단 측 고정대(256)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축(258a, 258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은 전단 측 고정대(25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후단 측 고정대(262)에 의해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후단 측 고정대(262)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된 제 3 및 제 4 고정축(264a, 26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고정축(258a, 258b, 264a, 26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측 고정대(256) 및 후단 측 고정대(262)의 단변에서 단변 외측으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며, 제 1 및 제 3 고정축(258a, 264a)은 각각 단변의 외측면 일단 측에 형성되어 인접한 프레임(F)의 측면부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 장착되고, 제 2 및 제 4 고정축(258b, 264b)은 각각 단변의 외측면 타단 측에 형성되어 인접한 프레임(F)의 측면부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 장착된다.
즉, 제 1 및 제 2 고정축(258a, 258b) 그리고 제 3 및 제 4 고정축(264a, 264b)은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및 제 2 고정축(258a, 258b) 그리고 제 3 및 제 4 고정축(264a, 264b)의 중심축선은 지지프레임(230)의 제 1 및 제 2 고정바아(240a, 240b)의 중심축선의 이격거리(W)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전단 측 스프로킷(254a)과 어느 하나의 후단 측 스프로킷(260a)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 지지 체인(266a) 및 또 다른 전단 측 스프로킷(254b)과 또 다른 후단 측 스프로킷(260b)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또 다른 트레이 지지 체인(266b)에는 트레이 어셈블리(210)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230)의 제 1 및 제 2 고정바아(240a, 240b)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편(268a, 268b)들이 트레이 지지 체인(266a, 26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 장착된다.
즉, 어느 하나의 트레이 지지 체인(266a)에는 지지프레임(230)들의 제 1 고정바아(240a)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편(268a)들이 고정 장착되며, 또 다른 트레이 지지 체인(266b)에는 지지프레임(230)들의 제 2 고정바아(240b)들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편(268b)들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의 외측면 상에는 각각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 1 피동스프로킷(270a)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고,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의 외측면 상에는 각각 제 1 구동스프로킷(270b)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는데, 제 1 구동스프로킷(270b) 및 제 1 피동스프로킷(270a)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통상의 체인(chain; 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구동스프로킷(270b)의 외측면 상에는 직립파종기(1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 2 피동스프로킷(27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 1 구동스프로킷(270b) 및 각각의 제 2 피동스프로킷(272a)은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과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고정축(258a, 258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각각 제 1 피동스프로킷(270a)들은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과 마찬가지로 제 3 및 제 4 고정축(264a, 26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요동캠부재(280)는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252)에 의해 안내되는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의 캠 슬라이더(244)가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제 1 요동캠(282)들 및 제 2 요동캠(284)들을 포함한다.
제 1 요동캠(282)들 및 제 2 요동캠(284)들은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요동캠(282)들 및 제 2요동캠(284)들의 빗변(접촉면)으로는 각각의 트레이 어셈블리(210)의 캠 슬라이더(244)가 접촉되어 진입한 후 이탈된다.
즉, 캠 슬라이더(244)가 제 1 요동캠(282) 또는 제 2 요동캠(284)의 빗변을 따라 안내되면 트레이(212)는 캠 슬라이더(244)에 의해 지지프레임(23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안내되고, 지지프레임(23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안내되는 트레이(212)에 의해 요동 스프링(238)은 압축 또는 신장되고, 캠 슬라이더(244)가 제 1 요동캠(282) 또는 제 2 요동캠(284)의 빗변(접촉면)에서 이탈되면 요동 스프링(238)의 복원력에 의해 트레이(212)는 신속하게 복귀됨과 동시에 요동 스프링(238)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로 요동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트레이(212) 내부에 수용된 마늘종구(S)에는 반복적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반복 진동에 의해 트레이(212)에 수용된 마늘종구(S)들은 발근부가 하향되도록 정렬관(216)들에 삽입된다.
특히, 제 1 요동캠(282)의 빗변(접촉면)은 제 2 요동캠(284)의 빗변(접촉면) 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트레이(212)의 요동을 크게(급가속) 함으로써 정렬관(216)에 거꾸로 삽입된 마늘종구(S)를 정렬관(216)의 외부로 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요동캠(282)의 빗변(접촉면)은 요동 스프링(238)을 압축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요동캠(284)의 빗변(접촉면)은 요동 스프링(238)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요동캠(282) 및 제 2 요동캠(284)의 빗변의 연장방향을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트레이 어셈블리(210)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나의 제 1 요동캠(282)과 3개의 제 2 요동캠(284)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으나, 제 1 요동캠(282)과 제 2 요동캠(284)의 배열을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제 1 요동캠(282)과 제 2 요동캠(284)들은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요동캠부재(2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측에서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 측으로, 또는/및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에서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측에서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 측으로 연장 시 제 1 요동캠(282)들 및 제 2 요동캠(284)들은 서브프레임(SF)들에 의해 프레임(F)에 고정되며,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에서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측으로 연장 시 제 1 요동캠(282)들 및 제 2 요동캠(284)들은 서브프레임(SF)들에 의해 전단 측 고정대(256) 및 후단 측 고정대(26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어 개폐캠(290)은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252)에 의해 안내되는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의 슬라이딩 도어(218)의 레버부(224)에 접촉할 수 있게 후단 측 고정대(262)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도어 개폐캠(290)은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며,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에는 각각의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의 슬라이딩 도어(218)의 레버부(224)가 접촉되어 진입한 후 이탈된다.
즉, 레버부(224)가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따라 안내되면 도어 개폐 스프링(226)은 신장되고 슬라이딩 도어(218)의 개폐부(220)도 레버부(224)를 따라 안내되는데, 이때 레버부(224)가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이탈하기 직전에 개폐부(220)에 형성된 공급공(222)과 정렬관(216)들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마늘종구(S)들은 직립파종기(100) 측으로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레버부(224)가 도어 개폐캠(290)의 빗변(접촉면)을 통과하면 도어 개폐 스프링(226)은 복원되는데, 이에 의해 레버부(224)는 마주하는 트레이(212)의 단변 측으로 인접하게 안내되고 개폐부(220)는 레버부(224)를 따라 안내되면서 공급공(222)들과 정렬관(216)들의 하단을 어긋나게 하여 정렬관(216)들의 하단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도어 개폐캠(290)은 서브프레임(SF)에 의해 후단 측 고정대(262)의 하부 측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수평하게 배치된 직립정렬기(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직립정렬기(200)는 직립파종기(100)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직립파종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직립파종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발명자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0962 호"에 개시된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직립파종기(100)는 직립정렬기(200)와 연동하기 위한 구성 및 직립정렬기(200)와 연동하는 직립파종기(100)를 견인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직립파종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직립파종기(100)는 직립정렬기(200)로 부타 발근부가 하향된 마늘종구(S; 도 10 참조)를 공급 받아 밭 등에 파종하는 다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와,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이 연속적으로 마늘종구(S)를 공급받으면서 공급된 마늘종구(S)를 파종할 수 있게 하는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는 파종호퍼(112)들과, 파종호퍼(112)들을 지지하는 지지틀(126)을 포함한다. 즉, 파종호퍼(112)들은 다수 개가 일렬로 지지틀(126)에 고정 장착되어 하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를 구성한다. 도 3 및 도 4에는 6개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개수를 6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파종호퍼(112)는 지지틀(126)에 고정되는 홀더(114)와, 선택적으로 홀더(114)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파종삽(116)을 포함한다.
홀더(114)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 및 하부가 열린 사각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중공된 내부 공간으로 파종할 마늘종구(S)를 공급 받는다.
이러한 홀더(114), 즉 파종호퍼(112)들의 홀더(11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의 틀 형상을 가지는 지지틀(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틀(126)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 장착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직립정렬기(200)의 정렬관(216)에 대응하도록 7개의 파종호퍼(112)가 지지틀(126)에 장착된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정렬관(216) 및 파종호퍼(112)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파종삽(116)은 마늘종구(S) 파종 시 지중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부 측으로 뾰족한 대략 사각뿔 형상을 가지되, 후술하는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의 작동에 의해 홀더(114)의 하부 개방 시 마늘종구(S)의 파종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홀더(114)의 하부 폐쇄 시 모아질 수 있게 홀더(114)에 결합된다(도 8a 및 도 8b 참조).
이를 위해서, 파종삽(116)은 지지틀(126)에 간섭되지 않게 홀더(114)의 하부 측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핑거부재(118a, 118b)를 포함한다.
제 1 핑거부재(118a)는 홀더(114)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제 1 삽날(120a)과 제 1 삽날(120a)의 양단에서 제 2 핑거부재(118b)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삽날등(122a)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핑거부재(118b)는 홀더(114)의 하부 타측에서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제 2 삽날(120b)과 제 2 삽날(120b)의 양단에서 제 1 핑거부재(118a)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삽날등(122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삽납등(122a, 122b)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좁아지게 연장된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삽날(120a, 120b)은 통상의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을 매개로 각각 홀더(114)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은 평상 시 탄성적으로 제 1 및 제 2 삽날(120a, 120b)을 가압해 제 1 삽날등(122a)과 제 2 삽날등(122b)을 접촉시켜 홀더(114)의 하부를 폐쇄시키는데, 이때 제 1 삽날등(122a)과 제 2 삽날등(122b)이 접촉된 제 1 및 제 2 핑거부재(118a, 118b)의 내측은 홀더(114)의 하부와 연결되어 마늘종구(S)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의 연장단 측은 홀더(114) 내부로 수용되는 마늘종구(S)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 홀더(114)의 내부 측으로 삽입된다(도 8a 참조).
즉, 홀더(114)의 내부 측으로 삽입된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가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의 작동에 의해 가압되면 제 1 및 제 2 삽납(120a, 120b)은 각각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홀더(114)의 하부를 개방시키고(도 8b 참조),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를 가압하던 힘이 회수되면 제 1 및 제 2 삽날(120a, 120b)은 각각의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에 의해 복귀되면서 홀더(114)의 하부를 폐쇄시킨다(도 8a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은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에 지지되어 구동된다.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는 동력을 전달받아 연속적으로 파종호퍼(112)들을 마늘종구(S) 공급위치 및 마늘종구(S) 파종위치로 안내하는 파종호퍼 안내수단과, 파종호퍼 안내수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파종위치에서만 파종호퍼(112)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파종삽(116)을 작동시키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파종호퍼(112)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파종삽(116)을 작동시키는 파종호퍼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파종호퍼 안내수단은 파종호퍼(112)들의 하부, 즉 파종삽(116)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과,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34)를 포함한다.
지지대(134)는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며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 장방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축(136a, 136b)이 형성된다.
제 1 지지축(13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4) 일단의 배면 측에서 지지대(134)의 일단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 2 지지축(136b)은 지지대(134)의 타단 전면 측에서 지지대(134)의 타단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즉, 제 1 및 제 2 지지축(136a, 136b)은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중심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축(136a)의 중심축선과 제 2 지지축(136b)의 중심축선 사이는 소정의 간격(X; 도 9 참조) 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및 제 2 지지축(136a, 136b)은 직립정렬기(200)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직립정렬기(200)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프레임(F)의 측면부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F)은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의 작동과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130)의 작동 그리고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의 작동과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나, 프레임(F)의 양측면부의 전면을 연결하는 프레임(F)의 전면부는 원동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게 형성되며, 프레임(F)의 양측면부의 배면을 연결하는 프레임(F)의 배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파종기(100)가 원활하게 견인될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장착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은 내측면이 마주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축(136a, 136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의 외측면 상에는 각각 제 3 피동스프로킷(140)이 장착된다.
제 3 피동스프로킷(14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체인(chain)을 매개로 전술한 원동기, 예를 들면 통상의 경운기, 또는 통상의 트랙터, 또는 통상의 관리기 등과 같은 농기계 등의 동력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에 전달한다. 여기서 체인을 이용한 제 3 피동스프로킷(140)과 원동기의 동력전달수단과의 연결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 3 피동스프로킷(140)의 외측면 상에는 제 2 구동스프로킷(272b)이 일체로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구동스프로킷(272b)의 외측면 상에는 제 4 구동스프로킷(172b)이 일체로 장착되는데, 각각의 제 2 구동스프로킷(272b)은 통상의 체인을 매개로 직립정렬기(200)의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에 형성된 제 2 피동스프로킷(272a)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제 4 구동스프로킷(172b)은 체인을 매개로 각각의 보조바퀴(17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4 피동스프로킷(172a)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각각의 보조바퀴(170)는 좌우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보조바퀴(170)는 프레임(F)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은 파종호퍼(112)들이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 사이에 배치되도록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에는 각각 다수의 제 1 및 제 2 선회공(142a, 142b)들이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의 외주연을 따라 등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에는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선회공(142a, 142b)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선회축(144a, 144b)이 형성된다.
제 1 선회축(14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호퍼(112)들을 고정하는 지지틀(126)의 일단 배면 측에서 지지틀(126)의 일단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제 2 선회축(144b)은 지지틀(126)의 타단 전면 측에서 지지틀(126)의 타단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서로 대응하는 제 1 선회공(142a)의 중심과 제 2 선회공(142b)의 중심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전술한 간격(X) 만큼 이격되며, 마찬가지로 제 1 선회축(144a)의 중심축선과 제 2 선회축(144b)의 중심축선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전술한 간격(X) 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의 중심부가 전술한 간격(X) 만큼 이격 배치되고,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들의 제 1 및 제 2 선회축(144a, 144b)이 전술한 간격(X) 만큼 이격되어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의 회전에 관계없이 파종호퍼(112)들의 하부, 즉 파종삽(116)은 항상 지면과 수직을 이루게 되는데, 이에 의해 마늘종구(S) 파종 시 파종삽(116)이 지중에서 끌림이나 후퇴하지 않게 된다.
한편, 파종호퍼 개폐수단은 각각의 파종호퍼(112)의 홀더(114) 내부에 배치되는 푸시 플런저(148)와, 각각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에 장착되어 마늘종구(S) 파종위치에서 파종삽(116)이 개방되도록 푸시 플런저(148)들을 가압하고 나머지 위치에서 파종삽(116)이 폐쇄되도록 푸시 플런저(148)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개폐레버(150), 및 파종삽(116)이 개폐되도록 개폐레버(150)의 작동을 유도하는 유도캠(158)을 포함한다.
푸시 플런저(148)는 각각의 파종호퍼(112)의 홀더(114)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되, 홀더(114) 내부로 공급되는 마늘종구(S)에 간섭되지 않게 홀더(114)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 및 하부는 열린 사각의 관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푸시 플런저(148)는 마늘종구(S) 파종위치에서 개폐레버(150)에 의해 가압되며, 개폐레버(150)에 의해 가압된 푸시 플런저(148)들은 하강하면서 홀더(114) 내부로 삽입된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측을 가압해 파종호퍼(112)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파종삽(116)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마늘종구(S) 파종위치를 지나면서 서서히 개폐레버(150)의 가압이 해제되면, 푸시 플런저(148)들은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114)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 측 의해 홀더(114)에서 빠지지 않게 일부분이 홀더(114)의 상부 외측으로 상승한다. 이렇게 푸시 플런저(148)가 상승하면 파종삽(116)에 의해 파종호퍼(112)의 하부는 폐쇄 된다.
여기서, 푸시 플런저(148)의 하부는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을 가압하고,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삽날등(122a, 122b)의 상부와 접촉되게 홀더(114) 내부에 배치된다.
개폐레버(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한 장방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되,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배면 측에서부터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할 수 있도록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상부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개폐레버(150)의 전면 측 상부는 통상의 제 2 스프링 경첩(152)들을 매개로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를 구성하는 지지틀(126)의 배면 측 상부에 결합된다. 이렇게 제 2 스프링 경첩(152)들에 의해 결합된 개폐레버(150)들은 유도캠(158)을 따라 유도되면서 푸시 플랜저(148)들을 가압할 수 있도록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상부 측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유도캠(158)을 따라 유도되면서 제 2 스프링 경첩(152)들의 복원력에 의해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배면 측으로 복귀, 즉 파종호퍼(112)의 파종삽(116)과 수직을 이루도록 복귀된다.
이때, 개폐레버(150)들의 배면에서는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편(154)이 개폐레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폐레버(150)의 상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개폐레버(150)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개폐레버(150)의 배면 양측에는 개폐레버(150)가 원활하게 유도캠(158)을 따라 유도될 수 있도록 유도롤러(156)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유도캠(158)은 외측면이 개폐레버(150)의 유도롤러(156)와 접촉되도록 지지대(134)의 하부 양단 측에 고정 장착되되, 유도캠(158)들은 각각 전방유도부(160) 및 후방유도부(162)를 형성한다.
전방유도부(160)는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개폐레버(150)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전방유도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4)의 하부에서부터 지지대(134)의 하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률면(외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유도부(162)는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한 개폐레버(150)가 서서히 복귀되게 유도한다. 이를 위해 후방유도부(162)는 전방유도부(160)의 연장단 측에서부터 지지대(134)의 배면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률면(외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개폐레버(150)는 유도롤러(156)가 유도캠(158)의 최하단, 즉 전방유도부(160)의 연장단을 지나도록 유도될 때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한다.
그리고 전방유도부(160)의 곡률면(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R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유도부(162)의 곡률면(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R2)보다 짧은 곡률반경(R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유도부(160)은 마늘종구(S) 파종 시 파종호퍼(112)의 하부를 빠르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급경사진 곡률면(외측면)을 가지며, 후방유도부(162)는 마늘종구(S) 파종 시 마늘종구(S)가 완전히 파종호퍼(112)에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완만한 곡률면(외측면)을 가진다.
즉,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을 따라 회전하는 개폐레버(150)의 유도롤러(156)가 유도캠(158)의 전방유도부(160)의 곡률면에 진입하여 전방유도부(160)의 곡률면을 따라 유도되면 개폐레버(150)는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상부 측으로 회동되고, 계속해서 유도롤러(156)가 전방유도부(160)의 연장단에 진입하면 개폐레버(150)는 완전히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상부 측으로 회동되어 푸시 플런저(148)를 가압해 파종호퍼(112)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파종삽(116)을 개방시킨다(도 10 참조).
그리고 유도롤러(156)가 후방유도부(162)의 곡률면으로 진입하여 후방유도부(162)의 곡률면을 따라 유도되면, 개폐레버(150)는 제 2 스프링 경첩(152)들에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배면 측으로 회동되고, 유도롤러(156)가 완전히 후방유도부(162)의 곡률면을 빠져나오면 개폐레버(150)는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배면 측으로 복귀, 즉 개폐레버(150)는 파종호퍼(112)들의 파종삽(116)과 수직을 이루도록 복귀됨과 동시에 파종호퍼(112)의 하부는 제 1 스프링 경첩(124a, 124b)들에 의해 복귀되는 파종삽(116)에 의해 폐쇄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이용한 마늘종구(S)의 파종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이용하여 마늘종구(S)를 파종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를 원동기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연결시킨 후, 체인(chain)을 이용해 제 3 스프로킷(140)을 원동기의 구동전달수단에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원동기를 주행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파종기(100)는 원동기를 따라 견인되고,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 후단 측 스프로킷(260a, 260b) 및 전단 측 스프로킷(254a, 254b)은 제 3 피동스프로킷(140)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에 의해 직립정렬기(200)의 다수의 트레이 어셈블리(210)들은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250)에 의해 안내되며 각각의 트레이(212)의 내부로 마늘종구(S)들은 요동캠부재(280)를 지나는 트레이(212)에 의해 의 발근부가 하향되도록 정렬관(216)에 정렬시킨다. 그리고 정렬관(216)에 정렬된 트레이(212)가 도어 개폐캠(290)을 지나면서 정렬관(216)의 하단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유도캠(158)의 후방유도부(162)를 빠져나온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파종호퍼(112)들 내부로는 발근부가 하향되게 마늘종구(S)를 공급(도 10 참조)된다.
여기서 트레이(212) 내부로의 마늘종구(S)의 공급은 수동 또는 마늘종구 낱알 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마늘종구 낱알 공급장치는 호퍼 내부에 충진된 마늘종구들을 버킷을 이용해 자동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파종호퍼(112) 내부로 마늘종구(S)가 공급되면, 마늘종구(S)가 공급된 파종호퍼 어셈블리(110)는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에 의해 유도캠(158)의 전방유도부(160) 측으로 안내된 후 유도캠(158)의 전방유도부(160)를 따라 안내되는데, 이때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파종호퍼(112)는 지면 측으로 유도되고 개폐레버(150)는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의 상부 측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파종호퍼 어셈블리(110)에 장착된 개폐레버(150)의 유도롤러(156)가 전방유도부(160)의 연장단 측으로 유도되면 파종호퍼(112)들의 파종삽(116)은 지중으로 완전히 침투하게 되고, 동시에 개폐레버(150)는 푸시 플런저(112)를 가압한다. 이때 지중으로 침투된 파종삽(116)은 개폐레버(150)에 의해 가압된 푸시 플런저(112)에 의해 개방되어 마늘종구(S)를 지중에 파종하게 된다(도 10 참조).
한편,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원판(138a, 138b)에 의해 개폐레버(150)의 유도롤러(156)가 유도캠(158)의 후방유도부(162) 측으로 진입하면 개폐레버(150)는 서서히 복귀되는데, 이렇게 복귀되는 개폐레버(150)에 의해 파종삽(116)은 서서히 파종호퍼(112)의 하부를 폐쇄해 나간다. 그리고 개폐레버(150)가 완전히 후방유도부(162)를 빠져나오면 개폐레버(150)는 파종호퍼(112)들의 하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복귀되고, 파종호퍼(112)의 하부는 파종삽(116)에 의해 폐쇄되는데, 이렇게 파종호퍼(112)의 하부는 파종삽(116)에 의해 폐쇄되면 파종호퍼(112) 내부로는 파종할 마늘종구(S)가 다시 공급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는 파종을 위해 낱개로 분리되어 공급되는 마늘종구(S)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자동으로 정렬시키는 직립정렬기(200)와, 직립정렬기(200)에서 정렬된 마늘종구(S)들을 공급받아 자세변화 없이 그대로 파종하는 직립파종기(100)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늘종구(S)에 대한 정렬 작업 및 파종 작업의 연속성으로 인해 파종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직립파종기 110 : 파종호퍼 어셈블리
112 : 파종호퍼 116 ; 파종삽
130 :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 134 : 지지대
138a : 제 1 회전원판 138b : 제 2 회전원판
148 : 푸시 플런저 150 : 개폐레버
158 : 유도캠 160 : 전방유도부
162 : 후방유도부 200 : 직립정렬기
210 : 트레이 어셈블리 212 : 트레이
216 : 정렬관 218 : 슬라이딩 도어
220 : 개폐부 222 : 공급공
224 : 레버부 226 : 도어 개폐 스프링
230 : 지지프레임 234 : 요동장공
236 : 요동 슬라이더 238 : 요동 스프링
244 : 캠 슬라리더 250 :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
252 :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 254a, 254b : 전단 측 스프로킷
256 : 전단 측 고정대 260a, 260b : 후단 측 스프로킷
262 : 후단 측 고정대 266a, 266b : 트레이 지지 체인
280 : 요동캠부재 282 : 제 1 요동캠
284 : 제 2 요동캠 290 : 도어 개폐캠

Claims (13)

  1.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정렬되는 트레이를 가지는 다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들의 상기 트레이를 마늘종구 수용위치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순환시키면서 순환 시 수용된 마늘종구들이 정렬되도록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에 좌우 요동을 제공하는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정렬기;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로부터 정렬된 마늘종구를 공급받아 파종하는 다수의 파종호퍼를 가지는 다수의 파종호퍼 어셈블리와, 상기 파종호퍼 어셈블리들의 상기 파종호퍼들을 마늘종구 공급위치 및 마늘종구 파종위치로 순환시키면서 마늘종구가 파종되도록 마늘종구 파종위치에서 상기 파종호퍼들의 하부를 개방시키는 파종호퍼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직립파종기;를 포함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마늘종구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좌우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은,
    수평한 격판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며,
    상기 격판에는 상기 격판의 상부 측으로 수용된 마늘종구들의 발근부가 하향하도록 삽입되어 정렬되는, 하나의 마늘종구만이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정렬관이 장착되되,
    상기 정렬관들은 상기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은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는 요동 브라켓과, 상기 요동 브라켓의 상부에서 상기 요동 브라켓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캠 슬라이더가 고정 장착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레버부; 및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이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도어 개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끼워지되,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 개방 시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개폐부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상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레버부는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상기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의 도어 개폐캠에 접촉되어 상기 공급공들이 상기 정렬관의 하단과 연결되게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며,
    상기 도어 개폐 스프링은 상기 레버부의 내측과 상기 레버부의 내측이 마주하는 상기 트레이의 단변 외측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도어 개폐 스프링은 상기 레버부와 상기 도어 개폐캠 접촉 시 신축되고 상기 레버부가 상기 도어 개폐캠에서 이탈되면 복원되어 상기 공급공들이 상기 정렬관의 하단과 어긋나게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좌우로 연장된 2개의 장변 프레임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단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장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트레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장공이 각각의 상기 장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요동 장공들에는 상기 트레이의 장변 외측면에 돌출된 수평한 판 형상의 요동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각각의 상기 단변 프레임들의 외측면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축선이 이격되도록 어느 하나의 상기 단변 프레임의 외측면 일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고정 바아 및 또 다른 상기 단변 프레임의 외측면 타단 측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고정 바아가 장착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변 프레임들은 내부가 중공된 사각의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장변 프레임들의 중공된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요동 장공 내부로 삽입된 상기 요동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장변 프레임의 단부 측에 고정되는 요동 스프링이 내장되되,
    상기 요동 스프링은 상기 캠 슬라이더가 상기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의 요동캠부재에 접촉되면 신장 또는 압축되고 상기 캠 슬라이더가 상기 요동캠부재에서 이탈되면 복원되면서 상기 트레이를 좌우로 요동시키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구동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제공되는 전단 측 스프로킷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단 측 스프로킷 및 서로 이웃한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과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 체인을 가지는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수단;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를 마늘종구 수용위치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안내 시 상기 트레이가 좌우로 요동되도록 상기 요동 스프링을 압축 또는 신장 시키는 요동캠부재; 및
    마늘종구 공급위치에서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 개폐캠;을 포함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은 수평하게 연장된 장방형상의 전단 측 고정대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은 수평하게 연장된 장방형상의 후단 측 고정대의 각각의 단변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고정축에 회정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축, 그리고 상기 제 3 및 제 4 고정축은 인접한 프레임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축의 중심축선과 상기 제 3 및 제 4 고정축의 중심축선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바아의 중심축선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로 이격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트레이 지지 체인과 또 다른 상기 트레이 지지 체인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바아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선회편이 각각의 상기 트레이 지지 체인을 따라 이격되게 고정 장착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제 1 피동스프로킷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체인을 매개로 상기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연결되는 제 1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고정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구동 스프로킷의 외측면에는 상기 직립파종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 2 피동스프로킷이 일체로 형성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요동캠부재는,
    마늘종구 수용위치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 안내 시 각각의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캠 슬라이더가 접촉하는 다수의 제 1 요동캠 및 다수의 제 2 요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요동캠들 및 상기 제 2 요동캠들은 접촉되는 상기 캠 슬라이더를 안내하여 상기 트레이가 상기 요동 스프링을 신장 또는 압축시킬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가지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캠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이 형성하는 빗변을 따라 안내되되,
    상기 제 1 요동캠의 빗변의 길이는 상기 제 2 요동캠의 빗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순환방향을 따라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에서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 측으로,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 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에서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 측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에서 마늘종구 공급위치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동캠들은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상기 전단 측 스프로킷 및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단 측 고정대 및 후단 측 고정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캠은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레버부를 안내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부가 상기 정렬관들의 하단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하는 형상을 가지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도어 개폐캠은 평면에서 봤을 때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도어 개폐캠이 형성하는 빗변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도어 개폐캠은 마늘종구 공급위치와 마주하도록 서브프레임에 의해 상기 후단 측 스프로킷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단 측 고정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KR1020180050960A 2018-05-03 2018-05-03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KR10225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60A KR102256082B1 (ko) 2018-05-03 2018-05-03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60A KR102256082B1 (ko) 2018-05-03 2018-05-03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73A true KR20190126973A (ko) 2019-11-13
KR102256082B1 KR102256082B1 (ko) 2021-05-24

Family

ID=6853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960A KR102256082B1 (ko) 2018-05-03 2018-05-03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733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20220117734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85A (ko) * 2001-01-12 2001-05-07 하재권 직립형 마늘 파종기
KR101404192B1 (ko) * 2013-05-27 2014-06-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종자 발근부 하향 직립장치
KR20170015836A (ko) * 2015-07-29 2017-02-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종구 직립 하향 정렬 장치
KR20180010962A (ko) * 2016-07-22 2018-01-3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85A (ko) * 2001-01-12 2001-05-07 하재권 직립형 마늘 파종기
KR101404192B1 (ko) * 2013-05-27 2014-06-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종자 발근부 하향 직립장치
KR20170015836A (ko) * 2015-07-29 2017-02-0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종구 직립 하향 정렬 장치
KR20180010962A (ko) * 2016-07-22 2018-01-3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733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20220117734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082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1631A (en) Seedling transplanter with easily detachable gripper
KR101404192B1 (ko) 마늘종자 발근부 하향 직립장치
KR101919004B1 (ko)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KR20190126973A (ko)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정렬 파종장치
KR101763034B1 (ko) 마늘 종구 직립 하향 정렬 장치
CN104604401A (zh) 一种钵苗栽植装置
CN204616339U (zh) 一种钵苗栽植装置
CN112205157B (zh) 食葵割秆插盘机及全自动食葵割秆插盘方法
CN115643869B (zh) 一种基于可降解穴盘的全自动移栽机
JP4542879B2 (ja) 移植機
CN207124897U (zh) 穴播育苗播种机
KR102585198B1 (ko)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102585199B1 (ko)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101810389B1 (ko) 마늘 종구 파종호퍼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JP2000209909A (ja) 苗移植機
JP4636237B2 (ja) 苗挿し機
JPS6340089Y2 (ko)
JP4047829B2 (ja) 移植機
JP4047828B2 (ja) 移植機
CN207665466U (zh) 移栽机的送苗机构
JPH09121627A (ja) 苗植機
JP4359668B2 (ja) 野菜移植機及び移植方法
JP2680225B2 (ja) 移植機のシャッタ装置
CN116724727A (zh) 一种正芽与播种机构及其播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