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358A -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 Google Patents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358A
KR20190126358A KR1020197029013A KR20197029013A KR20190126358A KR 20190126358 A KR20190126358 A KR 20190126358A KR 1020197029013 A KR1020197029013 A KR 1020197029013A KR 20197029013 A KR20197029013 A KR 20197029013A KR 20190126358 A KR20190126358 A KR 2019012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ip
latch
hand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450B1 (ko
Inventor
커트 엠. 테일러
클리포드 제이. 스나이더
Original Assignee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05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Abstract

구강 위생 작용제를 수용하기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이 설명된다. 핸들은 싱크대 구강 세척기에 연결될 수 있거나 핸드 헬드 구강 세척기의 일부일 수 있다. 핸들은 구강 위생 작용제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포함하고, 챔버 몸체는 핸들의 유체 경로 내에 위치된다. 핸들로 흐르는 유체는 챔버로 흘러 유체가 작용제와 혼합된 다음 챔버에서 핸들에 연결된 팁으로 흐른다.

Description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본 출원은 2017년 3월 16일에 출원된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2/472,438호 및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2/516,227호에 35 U.S.C. §119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강 및 개인 위생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 세척기는 가압된 유체 스트림을 사용자의 구강 내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유체는 치아와 잇몸에 영향을 주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부 경우에, 사용자 경험 및 세척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충제를 유체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구강 세척기는 보충제를 유체 스트림에 쉽게 통합시키는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참고문헌 및 그의 설명 또는 논의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이 배경 섹션에 포함된 정보는, 단지 기술적 참조 목적을 위해 포함되며 본 발명의 범위가 구속되는 주제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구강 위생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및 팁이 여기에 개시된다. 작용제는 흐름 경로에 위치한 챔버에 수용되어 핸들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작용제에 영향을 미치며 작용제의 일부를 유체 출구 쪽으로 하류로 운반한다. 챔버와 유체 출구 사이에 위치된 스크린은 더 큰 부분 또는 일부의 작용제가 출구로의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챔버의 상류에 있는 배출 밸브는 작용제와 접촉한 유체가 유체 공급원을 향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챔버는 핸들에 위치되고 이동가능한 뚜껑은 챔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챔버는 핸들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팁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강 세척기가 개시된다. 구강 세척기가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 사이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챔버 하우징을 포함하고, 챔버 하우징은 내부에 구강 작용제를 수용하기 위한 작용제 챔버를 한정한다. 구강 세척기는 또한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뚜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용제 챔버를 덮고 개방 위치에서, 상기 뚜껑이 작용제 챔버를 열린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강 세척기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구강 세척기 디바이스는 저장소와 유체 소통하는 펌프, 펌프와 유체 소통하는 핸들, 및 핸들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팁을 포함한다. 핸들은 또한 작용제 챔버를 정의하는 작용제 하우징, 상기 작용제 하우징은 작용제 챔버와 유체 소통하는 챔버 입구 및 챔버 출구를 가짐, 및 저장소와 챔버 입구 사이에 위치한 챔버 밸브,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챔버를 여는 개방 위치와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한 커버를 포함한다. 핸들에 결합될 때, 팁은 챔버 출구와 유체 소통하여 챔버를 빠져나가는 유체가 팁으로 흐르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구강 세척기 디바이스 및 구강 작용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작용제 챔버는 작용제 직경보다 큰 챔버 직경, 예를 들어 20-30%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테이블 직경은 챔버 직경의 길이의 80 내지 95%이다.
이 요약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세부사항, 유틸리티 및 이점의 보다 광범위한 표현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다음의 서면 설명에 제공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a는 일체형 구강 작용제 구획을 갖는 구강 세척기의 정면 등각 투상도(isometric view)이다.
도 1b는 도 1a의 구강 세척기의 핸들의 우측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b의 핸들의 우측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핸들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도 2b의 4-4 라인을 따른 도 1b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정지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도 2a의 5-5라인을 따른 도 1b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정지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정지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도 5b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b의 핸들의 제1 쉘의 후방 등각 투상도이다.
도 6b는 도 1b의 핸들의 제2 쉘의 우측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7a는 구강 세척기 핸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팁의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팁의 분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b의 핸들의 커버 어셈블리의 우측 정면도이다.
도 8b는 안에 팁이 삽입된 도 8a의 커버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a의 커버 어셈블리의 뚜껑의 바닥 등각 투상도이다.
도 10은 도 8a의 커버 어셈블리의 선택 구성 요소의 정면 우측 등각 투상도이다.
도 11은 도 8a의 커버 어셈블리의 선택의 후방 우측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5a의 핸들의 뚜껑 및 챔버 몸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써, 핸들에 연결된 팁 및 챔버 내에 위치한 구강 작용제가 있다.
도 13a는 도 1b의 핸들의 챔버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챔버 몸체의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13c는 챔버 몸체의 바닥 등각 투상도이다.
도 14a는 도 1b의 핸들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우측 등각 투상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후방 등각 투상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선택 구성 요소의 우측 후방 등각 투상도이다.
도 16a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상부 밸브 몸체의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상부 밸브 몸체의 바닥 등각 투상도이다.
도 16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밸브 몸체의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17a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하부 밸브 몸체의 정면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하부 밸브 몸체의 정면 바닥 등각 투상도이다.
도 18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셔틀 유지장치의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19는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셔틀 밸브의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20은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포펫 어셈블리의 정면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21은 도 14a의 정지 밸브 어셈블리의 유지 링의 정면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22는 도 1b의 핸들의 밸브 베이스의 정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23a는 도 5b의 핸들의 일체형 밸브 베이스의 정면 상부 등각 투상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일체형 밸브 베이스의 정면 바닥 등각 투상도이다.
도 24a는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잇는 도 1b의 핸들의 정면 우측 등각 투상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핸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5a는 일체형 구강 위생 작용제 챔버를 구비한 팁의 등각 투상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팁의 분해도이다.
도 25c는 도 25a의 팁의 단면도이다.
도 26a는 구강 세척기 핸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구강 세척기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26c는 도 26a의 구강 세척기의 하우징 구성 요소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6a의 27-27 라인을 따라 취한 도 26a의 구강 세척기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a의 세척기 핸들의 래치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9a는 도 28의 커버 어셈블리를 위한 래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래치의 바닥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6a의 구강 세척기를 위한 탭의 측면 등각 투상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31-31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0의 탭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7의 단면의 분해도이다.
도 33은 도 26a의 구강 세척기를 위한 밀봉 유지장치의 등각 투상도이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정제, 알약, 분말, 겔, 슬러리 등과 같은 작용제를 수용하고 작용제를 사용자의 구강 내로 분배할 수 있는 구강 세척기 핸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용제는 구강 위생 작용제 또는 유체로 도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첨가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는 저장소 또는 베이스에 연결된 호스로부터 핸들 하우징 내 또는 팁 내 및 팁 출구 밖으로 챔버 내로 유체로 흐른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핸들은 저장소에 직접 연결되어 핸드 헬드 구강 세척기를 형성한다. 어느 실시예에서, 작용제가 챔버 내로 삽입될 때, 챔버 내로 유동하는 유체는 작용제, 작용제의 입자,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작용제와 혼합하여 작용제의 적어도 일부를 유체와 함께 팁을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구강 내로 수송하도록 작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용제는 유체 내에서 연마되어 사용자의 잇몸 및 치아를 향해 유체 내에서 이동하는 입자를 느슨하게 하는 정제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입자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잇몸의 표면에서 연마제 또는 세정제로서 작용한다.
작용제 챔버는 사용되는 작용제 및/또는 팁의 유형에 따라 저장소와 팁 출구 사이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용제 챔버는 팁 삽입 위치에 인접한 핸들의 상단을 향해서 핸들 내에 위치된다.
작용제 챔버는 사용자가 챔버 내에 작용제를 배치하고 사용 중에 챔버 내에 작용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챔버를 선택적으로 액세스하는데 사용되는 덮개 또는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유체 및/또는 작용제가 챔버의 개구부 주위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은 뚜껑을 폐쇄 위치에서 챔버에 고정시키고 개구부의 둘레를 챔버에 밀봉하는 것을 돕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사용자가 구강 내로 구강 작용제를 배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밀폐된 챔버는 핸들을 위한 뚜껑뿐만 아니라 핸들 내의 작용제 하우징 및 뚜껑에 연결된 팁 어셈블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뚜껑을 열어서 작용제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용제 챔버는 팁 자체에 통합되고 핸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작용제 챔버는 팁의 하단(핸들에 삽입될 수 있음)과 사용자의 구강 내로 출구를 제공하는 탭의 상단 사이에 위치된다.
스크린 또는 필터는 작용제 챔버의 출구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소정의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입자가 챔버로부터 팁으로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팁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구강 작용제가 정제인 실시예에서, 정제로부터 분리된 큰 입자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체크 밸브는 챔버의 입구와 호스 사이에 위치되어, 작용제 입자가 핸들, 펌프 등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구성 요소에 손상을 줄 수있다.
구강 세척기는 또한 팁으로의 유체 흐름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밸브를 포함할 수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밸브는 작용제 챔버의 출구 밸브와 핸들의 호스 입구 사이의 핸들 내에 위치될 수있다. 정지 밸브는 팁을 통한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는 구강 세척기의 전원을 끄지 않고도 입 안에서 핸들을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구강 세척기 핸들의 많은 구성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성을 증가시키며, 부식을 감소시키고, 심미적 매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구강 세척기의 구성 요소
도면을 참조하여, 구강 위생 작용제를 위한 챔버를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1a는 작용제 챔버를 갖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의 등각 투상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핸들의 등각 투상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는 저장소의 상류 및 팁 출구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구강 세척기(10)는 핸들(100), 저장소(12), 베이스(14) 및 호스(1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서로 상호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4)는 저장소(12)로부터 팁(104)으로 유체를 펌핑하는 저장소(12)에 유체 연결된 펌프(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18a, 18b)는 베이스에 결합되고 펌프(16)에 의해 생성된 유량 또는 유체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고/되거나 펌프(16)에 의해 생성된 특정 모드, 예를 들어 세척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베이스(14) 및 펌프(16)는 2014년 3월 13일에 출원된 "통합된 뚜껑 및 베이스를 갖는 구강 세척기"라는 제목의 미국 공개 제 2015/0004559호에 예시된 베이스 및 펌프와 유사 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은 펌프 및 다른 구성 요소를 둘러 쌀 수 있고 저장조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핸들은 장치의 주된 하우징을 형성한다. 핸드 헬드 버전의 저장조 및 펌프는 2006년 12월 12일에 부여된 "핸드 헬드 구강 세척기"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 7,147,468 호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핸들
핸들(100)은 펌프(16) 및 저장조(12)에 유체 연결되며, 유체를 사용자의 입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1b 내지 3을 참조하면, 핸들(100)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02), 팁(104), 커버 어셈블리(122), 작용제 어셈블리(123),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 스위블 어셈블리(143) 및 유체 커넥터(109)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아래에 차례로 설명되어 있다.
호스(108) 및 유체 피팅(107)과 같은 유체 커넥터(109)는 핸들(100)을 저장소(12)에 유체 연결한다.
그러나, 세척기가 핸드 헬드 유닛 인 경우에, 유체 피팅(107) 및/또는 호스(108)는 저장조(12)가 핸들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팁(104)은 핸들(10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핸들(100)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그와 통합될 수 있다. 팁(104)은 사용자의 입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치아, 잇몸, 혀 등에 대해 유체뿐만 아니라 작용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팁(104)은 유체의 제트를 방출하기 위해 말단에 노즐 형상의 출구(105)를 포함할 수 있다. 팁 출구(105)는 구강 세척기 유닛(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작용제의 유형뿐만 아니라 원하는 유체 스트림에 따라 형상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예를 들어, 작용제가 액체 또는 겔인 경우와 비교하여 작용제가 고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출구(105)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팁은 도 7a 내지 7c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2a 내지 6b를 참조하면, 핸들 하우징(102)이 이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핸들 하우징(102)은 일체형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도 2a 내지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패스너, 접착제 등을 통해) 제1 쉘(114) 및 제2 쉘(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쉘(114, 116) 각각은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변형에 저항하는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부가적으로, 핸들 하우징(102)은 사용자의 손에 맞을 수 있는 미학적으로 유쾌한 모양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파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함께 연결될 때, 제 1 및 제 2 쉘(114, 116)은 커버 어셈블리(122),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 스위블 어셈블리(143) 및 호스(108)의 일부와 같은 핸들(100)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핸들 공동(172)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쉘(114, 116) 각각은 핸들 공동(172) 내에서 핸들(100)의 구성 요소를 정렬, 수용, 유지 및/또는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징부는 레지(ledge)(150a, 150b), 수직 지지 벽(148a, 148b) 및 페그(peg)(169)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150a, 150b)는 일반적으로 핸들 공동(172) 내로 연장되도록 제 1 또는 제 2 쉘(114, 116)의 내벽(174a, 174b)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각 쉘(114, 116)의 한 쌍의 레지(150a, 150b)는 핸들(100)이 조립될 때 구조적 특징을 정의하기 위해 서로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핸들(100)이 조립될 때 제 1 쉘(114)의 레지 150a)는 제 2 쉘(116)의 메이팅 레지(mating ledge)(150b)와 정렬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계속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페그(169)는 쉘(114, 116)(예를 들어, 도시 된 실시 예에서, 제 2 쉘(116)) 중 하나의 내벽(17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페그(169)는 제 1 쉘(114)의 원주 에지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넘어 연장될 수 있고 대향 쉘(114, 116)의 개구(170)를 형성하는 대응하는 보스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그(169) 및 개구(170)는 각각의 페그(169)가 대응하는 홀(170) 내에 꼭 맞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이 끼워맞춤에 의한 마찰은 쉘(114),(116)의 분리에 저항할 뿐만 아니라 제조 동안 쉘(114),(116)의 정렬을 보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쉘(114, 116)은 접착제, 에폭시, 패스너, 초음파 용접, 2 개의 품목을 접합하기위한 임의의 다른 공지된 방법, 또는 공지된 방법의 조합을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쉘(114)은 핸들의 버튼 및 래치를 위한 다양한 개구 및/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114)은 래치 버튼(110)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개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구멍(152)은 타원형이지만, 래치 버튼(1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상 일 수 있다. 핸들(100)이 조립될 때, 래치 버튼(110)은 버튼 구멍(152) 내에 수용된다. 도 2a 내지 6a를 참조하면, 제1 쉘(114)은 또한 정지 액추에이터(112) 및 오목한 정지 액추에이터 프레임(390)을 수용하기위한 정지 액추에이터 개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액추에이터 개구(204) 및 액추에이터 프레임(390)은 일반적으로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형상에 대응하고 일부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이고 핸들의 종축을 따라 신장될 수 있으며, 상부(392) 및 하부(394)를 갖는다. 도 6a, 24a, 및 24b를 참조하면, 래치 캐치(212)를 수용하기 위한 캐치 개구(154)는 제 1 쉘(114)에 정의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캐치 개구(154)는 버튼 구멍(152) 바로 위에 위치되거나 심지어 버튼 구멍 내에 형성될 수 있고(도 26c 참조) 둘다 핸들 쉘(114)의 상단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래치, 버튼 및 캐치 개구의 위치는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고 래치 및 정지 어셈블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1 및 제2 쉘(114, 116)의 상부 표면(207)은 뚜껑(118), 트림(trim) 링(474), 또는 스프링(492)과 같은 작용제 어셈블리(123) 및 / 또는 커버 어셈블리(122)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하고 메이트(mate)하는 하나 이상의 레지 또는 단계(205a, 205b, 205c, 205d, 205e)를 포함 할 수 있다. 단계(205a, 205b, 205c, 205d, 205e)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원하는 대로 형상화되고 치수화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쉘(116)은 일반적으로 제 1 쉘(114)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커버 어셈블리가 이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포스트 또는 너클(206)과 같은 하나 이상의 힌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너클(206)은 제 2 쉘(116)의 상부 표면(207)으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측면으로 이격되어 있다. 너클(206)은 이를 통해 상부 표면(207)의 평면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 핀 개구(208)를 형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너클(206)은 뚜껑(118)을 제 2 쉘(116)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힌지 어셈블리(485)와 인터페이스한다. 너클(206)은 쉘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어 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6b를 다시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쉘(114, 116)은 각각 호스 컷-아웃(144a, 144b)에서 종결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반원형이거나 호스(108)의 외부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쉘(114, 116)이 하우징(102)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때, 컷-아웃(144a, 144b)는 함께 호스(108)가 통과하는 호스 구멍(146)을 형성한다.
뚜껑 및 커버 어셈블리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캡, 뚜껑 또는 커버 어셈블리(122)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커버 어셈블리(122)는 작용제 어셈블리(123)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또한 팁(104)을 핸들(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2)는 뚜껑(118) 또는 커버, 액세스 또는 래치 버튼(110), 래치 캐치(212), 래치(180), 래치 스프링(450) 및 힌지 어셈블리(48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8a 및 9를 참조하여, 뚜껑(118)은 작용제 어셈블리(123)를 덮고, 폐쇄될 때 어셈블리를 밀봉하고 개방될 때 접근을 제공한다. 뚜껑(118)은 크라운(470)과 선택적인 트림 링(474) 사이에 위치된 몸체(472)를 포함할 수 있다. 크라운(470)은 뚜껑(118)의 상부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뚜껑(118)을 보다 열고 닫을 때 뚜껑을 보다 쉽게 파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 상부 표면(471) 상에 선택적인 리브, 범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그립 부분(494)을 가질 수 있다. 그립 부분(494)은 뚜껑(118)의 상부 전면 표면에 오목 부 또는 함몰 부로서 형성되어, 뚜껑을 누르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립 부분(494)은 사용자가 뚜껑(118)을 그립핑하는 것을 추가로 돕기 위해 고무 또는 다른 마찰력이 증가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팁-수용 개구(210)는 크라운(470)의 상부 표면을 통해 정의되며 크라운(470) 및 몸체(472)를 통해 형성된 팁 공동(211)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팁-수용 개구(210)는 팁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뚜껑 본체(472)의 내부 표면은 외부 림(rim)(495) 및 내부 림(496)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림(495, 496)은 상면(471)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트림 링(474)을 향해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림(495) 및 내부 림(496)은 하나 이상의 브리지(493) 또는 강화 리브에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림은 챔버 및/또는 밀봉 부재와 같은 작용제 어셈블리(123)의 다양한 부분을 따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림은 뚜껑(118)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용제 어셈블리(123)의 다양한 부분과 정합 및 밀봉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뚜껑 본체(472)의 내부 표면은 또한 상부 표면(471) 근처에 그리고 내부 림(496) 내부에 환형 레지(498)를 형성할 수 있다. 팁 정렬 노치(497)는 레지(498)에 형성될 수 있고 그립 부분(494) 아래에 대략 위치될 수 있다.
걸쇠(clasp) 하우징(480)은 트림 링(474)을지나 브리지(49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쇠 하우징(480)은 래치 캐치(212)의 일부를 수용하여 캐치(212)를 뚜껑에 고정시키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캐치(2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걸쇠 하우징(480)은 노치(497) 및 그립 부분(494)과 동일한 뚜껑(118)의 측면에 위치된다. 걸쇠 슬롯(484)은 걸쇠 하우징(480)에 형성될 수 있고 래치 캐치(212)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힌지 본체(486)는 뚜껑(119)의 후방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립 부분(49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 몸체(486)는 너클(206)과 인터페이스하여 뚜껑(118)을 제 2 쉘(116)에 연결한다. 힌지 본체(486)는 핀(490)을 수용하기 위해 채널(488) 또는 이를 통해 형성된 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프링 리세스(491)는 힌지 본체(486) 및 브리지(493)에 형성될 수 있고 힌지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8a 참조)
트림 링(474)은 핸들(100)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고 상이한 사용자(예컨대, 상이한 색상)에 대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트림 링(474)은 외부 림(495)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구멍(479)을 통해 외부 림(495)으로부터 트림 링(474)의 바닥면(476)으로 연장되는 페그(478)에 의해 몸체(472)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림 링(474)은 생략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485)는 핸들 하우징(102)을 뚜껑(118)에 결합시키고 뚜껑(118)이 하우징(102)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힌지 어셈블리(485)는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바이어 싱 요소(492) 및 핀(490) 또는 다른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10, 11를 참조하면, 래치 버튼(110)은 커버 챔버(122)를 작동시켜 작용제 챔버(124) 및/또는 핸들의 커버(118)를 열거 나 닫는다. 래치 버튼(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고 크기가 정해지고, 볼록하게 만곡된 외부 표면(158)을 갖는 대체로 타원형 인 몸체(156)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암(160) 또는 돌출부를 갖는 대향하는 내부면(166)을 포함할 수 있다. 암(160)은 무딘 각이 진 표면 일 수 있고 각각의 암(160)은 래치 버튼(110)의 몸체(156)의 외부 표면(158)의 곡률에 근사하는 각진 또는 만곡 된 말단(162)으로 끝날 수 있다. 플레이트 슬롯(164)은 몸체(156)의 내부면(166) 및 암(160)에 형성되며, 버튼(110)의 폭을 따라 연장된다.
도 8a, 8b, 10, 및 12를 참조하면, 래치 캐치(212)는 뚜껑(118)을 하우징(102)에 고정시키기 위해 핸들 하우징과 같은 핸들(110)과 맞물린 다. 래치 캐치(212)는 수직으로 연장도리 수 있는 캐치 본체(216), 본체(216)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고정 선반(214), 및 본체의 대향 단부 또는 본체(216)의 하단부에 위치된 후크 또는 캐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18)는 곡선(180)으로 끝나고 단부(219)에서 종결될 수 있다. 후크(218)의 상단면(219) 또는 결합 특징 부는 하우징 또는 래치 상의 존중 요소로부터 결합 및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후크(218)의 하부면은 고정 요소 또는 래치로부터 보다 쉽게 맞물리고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0 참조).
캐치 본체(216)에는 웰(well)(220) 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앵커 선반(214)과 후크(218) 사이의 거리의 대부분을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웰(220)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이고 캐치 본체(216)의 실질적인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웰(220)은 캐치에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래치 캐치(212)는 전형적으로 높은 응력 및 반복적인 사용을 견디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금속, 합금 등과 같은 강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캐치(212)는 금속 주입, 기계 가공, 스탬핑 또는 다른 적절한 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10 및 11을 참조하면, 래치(180)는 하우징(102)에 연결되고 래치 캐치(212)와 결합하여 뚜껑(118)을 하우징(10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180)는 목(196)에 의해 연결된 숄더(190)로부터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암(186)을 갖는 U 자형을 갖는 대체로 평면형 요소 일 수 있다. 래치(180)의 내벽(188)은 각각의 암(186)의 내벽을 형성하고 오목하게 만곡된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암들(186) 사이의 폭은 핸들(100)이 조립될 때 챔버(124)를 수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래치(180)는 목(196) 및 어깨(192)로부터 연장되는 커플 링 헤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 링 헤드(175) 또는 고정 갈래(prong)는 버튼(110)과 래치(180)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래치 버튼(110)과 맞물려서, 버튼(110)의 이동은 래치(180)를 상응하게 이동시킨다. 커플 링 헤드(175)는 버튼(110)에 고정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 클립(176)은 헤드의 각 측면 단부(178)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 클립(176)은 암(186)의 평면 아래로 아래로 각을 이룰 수 있고 버튼(110)이 커플 링 헤드(175) 상에 삽입된 다음 그에 고정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걸쇠 구멍(199)은 예를 들어 각각의 숄더(190)의 내벽(194), 넥(196)의 내벽(198) 및 커플 링 헤드(175)의 내벽(177)에 의해 래치(180)의 상부면을 통해 형성된다. 걸쇠 표면(200)은 래치(18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각을 이루고 걸쇠 표면(200)의 단부(202)가 암(186)의 평면 아래에 위치되도록 넥(196)의 내벽(198)으로부터 아래로 하향 연장된다. 걸쇠 탭 또는 표면(200)은 래치 캐치(212)의 후크(218)의 단부(219)와 맞물리도록 형상 및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쇠 표면(200)은 뚜껑의 걸쇠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 특징 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걸쇠 표면(200)의 각도는 후크(218)가 쉽게 맞물리고 분리되도록 하면서 후크(218)를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래치(180)는 또한 연결 헤드(175)와 각각의 쇼울더(190) 사이의 목(196)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단계(179)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쇼울더(190)의 상단 벽(192)은 각각의 단계(179)로부터 각각의 암(186)으로 만곡될 수 있다. 단계들(179)은 버튼(110)이 실제로 래치(180)에 대해 이동하고 래치될 때 래치(18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아니라 버튼(110)이 실제로 래치(180)를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버튼(110)에 대한 정지 또는 캐치로서 작용한다. 단부 벽(192)의 형상은 래치 버튼(110)의 암(160)의 말단(162)의 형상을 보완할 수 있다.
각각의 래치 암(186)은 서로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암(186)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맞 물릴 수 있는 맞물림 표면(184)을 형성하도록 전이하는 액추에이터 표면(182)에서 종결될 수 있다. 래치 암(185)은 암이 챔버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챔버의 형상에 대응하는 만곡되고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82)는 래치 암(186)에 수직인 맞물림 표면(184)을 정의하기 위해 천이될 때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풋(182)의 맞물림 표면(18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 스프링(450)에 힘을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래치(180)는 증가된 강도 및 내구성을 위한 금속 또는 합금 재료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라스(lath)는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스탬핑 또는 기계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8a, 8b, 10, 및 11을 참조하면, 래치 배출 또는 래치 스프링(450)은 래치(180)가 래치 캐치(212)와 결합하는 결합 위치로 래치(180)를 유지하고 복귀시킨다. 래치 스프링(450)은 힘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힘이 제거될 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일반적으로 유연한 구성 요소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 스프링(450)은 대체로 만곡 된 몸체를 가질 수 있고 척추(452) 또는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파인(452)은 래치 스프링(450)의 전체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스프링(450)을 하우징(102)에 고정시킨다. 래치 스프링(450)의 2 개의 단자 단부(462)는 스프링(450)의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맞물림 너브(464)를 포함한다.
작용제 어셈블리
핸들(100)은 유체로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강 작용제를 수용하고 저장하는 작용제 어셈블리(123)를 포함한다. 작용제 어셈블리(123)는 하나 이상의 챔버 또는 공동뿐만 아니라 작용제의 분배를 조절하는 선택적 필터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12 내지 13c를 참조하면, 작용제 어셈블리(123)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작용제 어셈블리(123)는 사용자의 구강으로 전달 될 하나 이상의 구강 작용제를 수용하고 함유하며, 이하에서 차례로 논의되는 작용제 챔버(124), 하나 이상의 필터(530) 및 챔버 밸브(500)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c를 참조하면, 챔버(124)는 구강 위생 작용제를 수용하여 유체 스트림으로 도입하기 위한 작용제 구획 또는 공동을 형성한다. 챔버(124)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림(228), 챔버 본체(230) 및 연결베이스(238)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핸들 쉘(114, 116) 및/또는 정지 어셈블리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추가로, 챔버(124)는 핸들(100)에 의한 전달을 위해 원하는 구강 작용제를 기초로 성형되고 일부 경우에 둥근 정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림(228)은 챔버(124)의 상부 표면(224)을 정의하고 림(228)의 상부 표면(224)과 선반(246) 사이에 위치된 경사부(221)를 갖는 경사진 내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경 사진 부분(221)은 팁 어셈블리의 작용제 어셈블리(123) 내로의 삽입을 보조할 수 있다. 림(228)과 몸체(230)의 상부(232) 사이의 계면 근처에서 챔버 몸체(230)의 내부에 선반(246)이 형성될 수 있다.
챔버 몸체(230)는 리세스된 넥(236)에 의해 하부 몸체(234)에 연결된 상부 몸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234)는 정지 어셈블리의 일부와 인터페이스하는 경 사진 바닥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용제 챔버(226) 또는 공동은 챔버 몸체(230) 내에 형성되고 챔버 몸체(230)의 바닥 벽(248)에 정의된 챔버 개구(250)를 통해 저장소에 유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용제 챔버(226)는 직경 Dc를 가지며, 이는 장치와 함께 사용될 구강 작용제 직경과 거의 1 : 1 비로 대략 일치한다. 예를 들어, 구강 작용제는 직경 Dt, 즉 Dc 길이의 80 내지 98 %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제 직경(Dt)은 챔버 직경(Dc)의 93.6 % 일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태블릿이 챔버 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태블릿을 챔버(226) 내로 가압 끼워 맞춤 할 필요는 없지만 태블릿이 챔버(226) 내에서 스스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여 가장자리가 되도록한다 정제(590)의 유체 흐름은 챔버로 유입되는 유체 스트림에 의해 제거되도록 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 직경은 또한 챔버(226) 내의 유체 압력이 뚜껑에 대한 래치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챔버(Dc)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뚜껑(118) 및 래치(180)의 유체 압력이 증가할 것이고, 이는 래치가 실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증가된 강도를 요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Dc)의 직경은 0.400 내지 0.600 인치, 0.400 내지 0.500 인치, 특정 실시 예에서는 0.470 인치의 범위로 선택된다. 이 실시예에서, 정제(590)는 0.300 내지 0.599 인치 사이, 및 특정 실시 예에서 가장 긴 치수에 걸쳐 0.440 인치의 대응 직경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챔버(226)는 또한 다수의 정제가 챔버 내에 배치(예를 들어, 적층)되고/되거나 더 큰 정제가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챔버의 높이는 정제 또는 제제 높이뿐만 아니라 원하는 핸들 길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동 개구(250) 또는 챔버 입구(250)는 챔버(226)의 바닥 벽을 통해 정의되며, 림(228), 몸체(230) 및 베이스(238) 중 임의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어서, 작용제 챔버(226)가 구강 위생 제를 수용하는 동안 작용제 챔버(226)로부터 유동 개구(25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챔버 입구(250)는 유입 유체 스트림이 정제의 중앙 영역 또는 챔버 내에 사용된 다른 작용제에 부딪치도록 챔버의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챔버(124)의 연결베이스(238)는 챔버 몸체(23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챔버(123) 로의 입구를 형성한다. 연결 베이스(238)는 챔버 몸체(230)에서 유동 구멍(250)에 유체 연결되는 유체 경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베이스(238)는 챔버 밸브(5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베이스(238)는 하나 이상의 밀봉 부재(예를 들어, 밀봉 부재(120a))를 수용하기 위해 그 외부 표면 주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 홈(244)을 포함 할 수 있다. 밀봉 홈(244)은 연결 베이스(238)에서 제 1 부분(240) 및 제 2 부분(244)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공동(238)에는 밸브 공동(227)이 형성되고 저장조에 유체 연결된다. 도 13c를 참조하면, 밸브 공동(227)은 챔버 밸브(5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공동(227)은 본체(230)의 하부(234)와 베이스(238)의 상부(240) 사이의 계면 근처에서 본체(230)의 바닥(248) 아래에 위치된 상부 립(252)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공동(227)은 또한 베이스(238)의 하부(242)에 인접하여 위치된 하부 립(254)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 밸브(500) 또는 체크 밸브는 저장조(12)를 향한 역류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챔버 밸브(500)는 챔버(230)의 작용제와 혼합된 유체가 저장소 또는 호스(108) 내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 밸브(500)는 일방향 유체 밸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500)는 특정 크기의 입자가 챔버(124)로부터 유체 경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또는 스크린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챔버 밸브(500)는 덕빌 밸브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리드 밸브 등일 수있다. 도 4b 및 1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챔버 밸브(500)는 덕빌 밸브이며, 몸체(502)의 아래에 그리고 플레이트(506)에 인접하여 위치된 림(504)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510)은 몸체(502), 림(504) 및 플레이트(506) 각각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동(510)에는 하나 이상의 플랩(508)이 수용될 수 있다. 2 개의 플랩(508)이 존재할 때, 각각은 길이는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따라 서로 접촉하여 폐쇄되지만 단방향 작동 가능한 밸브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508)은 챔버로부터 하향 유 체력을 가하면 함께 밀봉될 수 있지만, 저장소로부터 상향 유 체력을 가하면 분리되고 개방될 수 있다.
정지 어셈블리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사용자가 핸들(100)로부터 손을 제거하지 않고 구강 세척기(10)의 전원을 끄지 않고 팁(104)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사용자가 핸들(100)로부터 손을 제거하지 않고 구강 세척기(10)의 전원을 끄지 않고 팁(104)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4a, 14b, 16a 및 16b를 참조하면, 상부 밸브 피팅 또는 상부 밸브 몸체(126)는 챔버(124)와 하부 밸브 몸체(128)를 유체 연결한다. 상부 밸브 몸체(126)는 헤드(256) 및 넥(260)에 의해 연결된 베이스(258)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256), 베이스(258) 및 넥(260) 각각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 통로(262)를 형성한다. 헤드(256)의 외부 직경은 일반적으로 베이스(258)의 외부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목(260)의 외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헤드(256)의 직경은 챔버(124)의 베이스(238)를 수용하고 고정하기에 충분히 넓다.
헤드(256)는 헤드(256)의 상부 표면(255)으로부터 유체 통로(262)를 향해 내향으로 경사진 내부 경사진 에지(57)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256)는 밸브 유동 구멍(276)이 형성되는 바닥 벽 또는 바닥(2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정렬 리브(270)는 헤드(25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정렬 리브(270)는 멈춤 액츄에이터(112)가 따라 이동하기위한 트랙으로서 맞물리고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도 14a, 16a, 및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2 개의 정렬 리브(270)는 헤드(256) 상에 서로 대략 90 내지 180도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정렬 리브(27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베이스를 갖는 얕은 직사각형 프리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지지 리브(288)는 목(260)으로부터 헤드(256)로부터 베이스(258)까지 목(260)의 전체 높이를 따라 목(26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6c에 도시 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2 개의 지지 윙(264)은 넥(260)의 길이의 바깥쪽으로 길게 연장된다. 지지 날개(264)는 밸브 몸체(126)를 핸들(100) 내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58)에 인접한 유체 통로(262)의 부분은 기부(258)와 목(260) 사이의 계면 근처에서 헤드(256)의 바닥(272) 아래에 위치된 립(280)을 포함할 수 있다. U- 컵과 같은 밀봉 부재(120b)는 립(28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a, 14b, 17a 및 17b를 참조하면, 하부 밸브 몸체(128)는 상부 밸브 몸체(126)와 밸브 베이스(138)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하부 밸브 본체(128)는 복수의 지지 리브(400), 선반(404), 상단부(402), 립(406), 환형 벽(420) 및 스커트(4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리브(400)는 선반(404)과 상단부(402) 사이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개방 공간을 형성한다. 립(406)은 상단부(40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상단부(402)를 통해 형성된 밸브 몸체 개구(410)를 둘러 쌀 수 있다. 환형 벽(420)은 선반(404)의 하단에 연결되며 선반(404)보다 큰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408)는 환형 벽(42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일부 실시 예에서 환형 벽(42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각이 진 상부 부분(422)을 포함하여 스커트(408)의 직경이 환형 벽(42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스커트(408)는 외부 스커트 벽(414) 및 내부 스커트 벽(416)을 포함할 수 있고 스커트 공동(412)을 형성한다.
도 14a, 14b, 및 18을 참조하면, 셔틀 리테이너(130)는 핸들(100)이 정지 모드에 있을 때 포펫 어셈블리(136)를 지나 유동하는 유체를 수용한다. 셔틀 리테이너(130)는 레지(308)에서 만나는 몸체(307) 및 립(309)을 포함할 수 있다. 셔틀 리테이너(130)는 외부 벽(294) 및 개방된 제 1 단부(290)로부터 개방된 제 2 단부(292)까지 연장되는 공동(298)을 형성하는 계단형 내부 벽(296)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제 1 단부(290)는 개구(306)의 둘레(304) 주위에 노치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탭(302)을 갖는 상부 표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탭(302)은 셔틀 밸브(134)의 둘레보다 약간 큰 둘레를 갖는 파열된 원형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립의 상부 부분(310)은 탭(302) 및 개구(306)를 향하여 안쪽으로 각을 이룰 수 있다.
도 14a, 14b 및 19를 참조하면, 셔틀 밸브(134)는 일시 정지 모드가 선택될 때 핸들(100)을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한다. 셔틀 밸브(134)는 밸브 몸체(332) 및 베이스(33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32)는 밸브의 상부면(344)을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334)는 하부면(34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 예에서, 베이스(334)는 밸브 몸체(332)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플레어된다. 밸브 본체(332)는 본체(332)의 길이를 따라 중간쯤에 위치될 수 있는 커넥터 홈(336)을 포함한다. 커넥터 그루브(336)는 셔틀 밸브(134)가 정지 액추에이터(112)와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클램핑 특징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셔틀 밸브(134)는 밸브 몸체(332) 및 베이스(334)를 통해 형성된 흐름 루멘(342)을 포함한다. 셔틀 밸브(134)의 개방된 제 1 단부(338)는 유동 루멘(342) 및 베이스 공동(348)에 의해 개방된 제 2 단부(340)에 유체 연결된다.
도 14a, 14b, 및 20을 참조하면, 포펫 어셈블리(136)는 호스(108)로부터 챔버(124)로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포펫 어셈블리(136)는 포펫 목(318)에 의해 포펫 지지 플레이트(316)에 연결된 오목한 중앙 부분(313)을 포함하는 캡(312)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플랫폼(314)은 포펫 지지판(316) 위로 목(318)을 둘러 쌀 수 있다. 플랫폼(314)의 직경은 캡(312)의 직경과 대략 동일 할 수 있고 포핏 지지판(316)의 가장 넓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캡(312) 및 환형 플랫폼(314)은 일반적으로 셔틀 밸브(134)에 수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 다. 포펫 지지판(316)은 제 1 표면(320), 제 2 표면(322), 및 플랫폼(314)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324)를 포함한다. 2 개의 인접한 스포크(324)는 그들 사이에 유로(326)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밀봉 부재(120d)는 캡(312)과 플랫폼(314) 사이에서 포펫 넥(318) 주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4a, 14b, 및 21을 참조하면, 유지 링(132)은 정지 밸브(134)를 셔틀 밸브(13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유지 링(132)은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의 구성 요소와 맞물 리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유지 링(132)은 디스크 형상 일 수 있고 키홀 컷 아웃(354)을 포함할 수 있다. 키홀 컷 아웃(354)은 제 1 슬롯(356a), 암 개구(356b), 중심 구멍(356c) 및 힌지 구멍(356d)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개구(356c)는 셔틀 밸브(134)의 커넥터 그루브(336) 주위에 맞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암 개구(356b) 및 힌지 구멍(356d) 각각은 하부 밸브 몸체(128)의 지지 리브(400) 주위에 맞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링(132)은 스냅 링일 수 있고 셔틀 밸브(134)의 외경 주위에서 스냅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일 수 있다.
도 2a, 2b, 3, 5a, 5b, 14a 및 15를 참조하면, 정지 액츄에이터(112)는 사용자가 핸들을 멈춤 또는 관개 모드에 놓도록 이동된다. 정지 액추에이터(112)는 액추에이터 레버(362)를 정의하는 전면(365) 또는 사용자가 정지 액추에이터(112)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립 할 수 있는 버튼을 가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 레버(362)는 타원형 일 수 있고, 사용자가 레버(362)를 보다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그립 부분(36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면(365)은 핸들 하우징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365)은 상부(361)에서 하부(363)로 천이함에 따라 깊이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전면(365)의 깊이가 변함에 따라 전면(365)의 상부(361)와 하부(363) 사이에 돌출부(386)가 형성될 수 있다.
정지 액츄에이터(112)는 또한 전면(365)의 후방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액츄에이터(112)의 종 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37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360)는 2 개의 측벽(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길이 방향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리브(360)는 지지 리브(360)의 나머지 부분보다 긴 폭을 갖는 정지부(36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367)는 핸들 하우징에 대한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상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지 액추에이터(112)는 또한 측벽(370) 및 액추에이터(112)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2 쌍의 클램핑 특징부(382a, 382b)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특징부(382a, 382b)는 유지 링(132) 주위에 클램핑되도록 구성되어,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이동은 그에 따라 유지 링(132)을 이동할 것이다. 클램핑 특징부(382a, 382b)는 유지 링(132)과 맞물리기 위한 상부 선반(372) 및 하부 선반(374)을 포함할 수 있고 후면(368)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클램핑 특징부(382a, 382b)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상부 갈래(376a, 378a) 및 제 2 상부 갈래(376b, 37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갈래(376a, 378a) 각각은 제 2 갈래(376b, 378b)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 표면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선반 벽(380)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상부 갈래(376a, 376b)는 상부 및 하부 선반(372, 374) 사이의 유지 갭(384)에 의해 하부 갈래(378a, 378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위블 어셈블리
도 3 내지 5b 및 22를 참조하면, 회전 어셈블리(143)가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회전 어셈블리(143)는 다른 것에 대한 핸들(100) 또는 호스(108)의 회전 운동의 병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블 어셈블리(143)는 밸브 베이스(138) 및 베이스 칼라(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베이스(138)는 고정식 하부 밸브 본체(12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밸브 베이스(138)는 일련의 적층된 동심원 디스크(438, 439, 440), 원통형 본체(426), 및 길쭉한 미늘 팁(4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디스크(438)는 중간 디스크(439)가 상부 디스크(438)와 하부 디스크(440) 사이의 직경을 갖는 스택의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디스크(438, 439, 440)의 두께는 각각의 디스크 사이에서 증가할 수 있으며, 상부 디스크(438)는 가장 작은 두께를 가지며, 중간 디스크(439)는 2 개의 디스크(438, 440)와 최대 두께를 갖는 바닥 디스크(440)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밸브 베이스(138)는 미늘 팁(428)으로부터 상부 디스크(438)의 상부 표면(432)까지 유동 공동(430)을 형성한다. 미늘 팁(428)은 밸브 베이스(138)와 호스(108) 사이의 연결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지 구성 요소(43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칼라(140)는 밸브 베이스(138)의 미늘 팁(42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미늘 개구(44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칼라(140)는 림(444) 및 몸체(44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칼라(140)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구강 세척기의 어셈블리
핸들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핸들(100)은 임의의 방식으로 그리고 임의의 순서로 조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를 조립하기 위해, 셔틀 밸브(134)는 상부 및 하부 밸브 본체(126, 128)에 수용되고, 셔틀 리테이너(130) 및 포펫 어셈블리(136)는 하부 밸브 본체(128)에 수용되고, 정지 액츄에이터(112)는 유지 링(132)에 의해 셔틀 밸브(13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츄에이터(112)의 선택적 이동이 또한 상부 및 하부 밸브 몸체(126, 128) 내에서 셔틀 밸브(134)를 이동시킨다.
하부 밸브 몸체(128)의 립(406)은 상부 밸브 몸체(126)의 베이스(258)에 수용될 수 있고 유체 통로(262)의 립(280) 아래에 위치된 밀봉 부재(120b) 아래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셔틀 리테이너(130)는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에 수용될 수 있다. 셔틀 리테이너(130)의 외부 벽(294)은 외부 밸브(128)의 계단형 프로파일이 내부 스커트 벽(416)의 계단형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하부 밸브 몸체(128)의 내부 스커트 벽(41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셔틀 리테이너(130)의 제 2 단부(292)는 포펫 지지 플레이트(316)의 제 1 표면(32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셔틀 리테이너(130)의 상부 표면(300)은 하부 밸브 몸체(128)의 선반(404) 아래에 위치된 밀봉 부재(120c)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표면(300)에서의 탭(302) 및 노치의 구성은 물이 밀봉 부재(120c)에 도달하고 밀봉 부재(120c)를 선반(404)에 대해 가압하게 하여, 물이 없는 경우보다 더 빠르거나 강한 밀봉을 생성할 수 있다.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 및 본체(332)의 하부는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에 수용될 수 있다. 셔틀 밸브(134)의 제 1 단부(338)는 상부 밸브 몸체(126)의 유체 통로(262)에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밸브 몸체(126)의 지지 리브(400)는 셔틀 밸브(134)의 몸체(332)의 일부에 측면 할 수 있다. 핸들(100)이 정지 상태일 때, 상부 밸브 몸체(126)의 헤드(256)의 바닥(272)의 바닥 표면(282)과 셔틀 밸브(134)의 몸체(332)의 상부 표면(344) 사이의 공간에 셔틀 구획(284)이 형성될 수 있다. 유지 링(132)은 슬롯(356a)을 넓히고 셔틀 밸브(134)의 커넥터 홈(336) 내에 유지 링(132)의 중심 개구(356c)를 안착시키기 위해 힌지 구멍(356d)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포펫 어셈블리(136)의 포펫 넥(318) 주위에 위치된 캡(312) 및 밀봉 부재(120d)는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 공동(34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포펫 지지판(316)의 제 1 표면(320)은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의 바닥면(346) 아래에 인접하고 셔틀 리테이너(130)의 제 2 단부(292) 아래에 인접할 수 있다.
정지 액추에이터(112)는 대략 상부 밸브 몸체(126)의 헤드(256)로부터 밸브 하부 하우징의 스커트(40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상부(361)의 후방에서, 각각의 측벽(370)은 상부 밸브 본체(126)의 헤드(256)의 정렬 리브(27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361)에서, 적어도 정지 모드가 선택될 때, 중앙 벽(360)의 단부(358)는 상부 밸브 몸체(126)의 헤드(256) 및 베이스(258)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중심 벽(360)의 중간 부분(359)은 상부 밸브 몸체(126)의 베이스(258) 및 하부 밸브 몸체(128)의 상부 플레이트(402)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중간 부분(359)은 또한 셔틀 밸브(134)의 몸체(332)를 향할 수 있다. 중앙 벽(360)의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하부(363) 근처의 단부(358)는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유지 링(132)은 상부 갈래(376a, 376b)와 하부 갈래(378a, 378b) 사이에 형성된 갭(384)에 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갈래(376b, 378b)는 유지 링(132)의 키홀(354)의 슬롯(356a)의 일부 또는 전부를 횡단할 수 있다. 다른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갈래(376a, 378a)는 힌지 구멍(356d)의 일부 또는 전부를 횡단할 수 있다.
하우징(102)이 조립될 때,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액추에이터 레버(362)는 제 1 쉘(114)의 휴지 액추에이터 개구(20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전면(365)은 정지 액추에이터 프레임(390)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제 1 쉘(114)의 내벽(174a)에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개구(204)의 상부 및 하부(392, 394)는 개구(204)가 액추에이터 레버(362)보다 길고 정지 액추에이터(112)의 나머지보다 짧도록 액추에이터 레버(362)의 길이를 넘어 연장된다. 이 구성에서, 정지 액추에이터(112)는 개구(204) 내에 유지되고 액추에이터 레버(362) 및 휴지 액추에이터(112)가 개구(204) 및 프레임(390)의 어느 한 측에서 이동할 때 개구(204) 내에서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정지 액츄에이터(112)를 핸들(100) 상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핸들(100)에 유체 연결된 구강 세척기를 사용하면서 설정을 보다 쉽게 변경하거나 유체 흐름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102)이 조립될 때,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의 다양한 부분은 레지(150a, 150b) 또는 수직 지지 벽(148a, 148b)에 의해 지지되거나 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지(150b)는 헤드(256) 아래에 그리고 상부 밸브 몸체(126)의 목(26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레지(150b)는 목(260)에 인접하여 그리고 상부 밸브 몸체(126)의 베이스(258)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밸브 몸체(128)의 상부 플레이트(402)는 레지(150b) 상에 놓일 수 있다. 하부 밸브 본체(128)의 유지 벽(288)은 제 2 쉘(116)의 레지(150b)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레지(150b)의 슬롯(151)에 위치될 수 있다.
스위블 어셈블리(143)를 조립하기 위해, 밸브베이스(138)의 미늘 팁(428)은 베이스 칼라(140)의 미늘 개구(442)에 수용된다. 쉘(114, 116)의 레지(150a, 150b)는 하부 디스크(440) 아래에 그리고 밸브 베이스(138)의 본체(426)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칼라(140)의 림(444)은 레지(150a, 150b)에 놓일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 및 챔버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해, 챔버(124)는 래치(180)의 암(186)의 내벽(188) 사이 및 래치(180)의 목(196)과 래치 스프링(450)의 단자 단부(462) 사이에 위치된다. 챔버(124)는 래치 버튼(110)을 향하거나 래치 버튼(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래치(180)의 측면 이동이 허용되도록 암(186)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작용제 어셈블리(123)는 챔버 밸브(500)를 챔버(124)의 베이스(238)의 밸브 공동(227)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하우징(102)이 조립될 때, 챔버(124)의 림(228)은 림(228)이 상부 표면(207)의 평면 위로 연장되도록 제 1 및 제 2 쉘(114, 116)의 상부 표면(207)상의 단계(205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챔버(124)의 본체(230)의 목(236)은 제 1 및 제 2 쉘(114, 116)의 레지(150a, 150b)를 수용할 수 있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를 스위블 어셈블리(143)에 연결하기 위해, 밸브 베이스(138)의 상부 디스크(438)의 상부 표면(432)은 포펫 어셈블리(136)의 포펫 지지판(316)의 제 2 표면(322) 아래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중간 디스크(439)는 하부 밸브 본체(128)의 내부 스커트 벽(416)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하부 디스크(440)의 외부 직경은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408)의 외부 직경과 대략 동일 할 수 있다. 밸브 베이스(138)의 미늘 팁(428)은 베이스 칼라(140)의 미늘 개구(442)에 수용될 수 있다.
호스(108)의 단부는 미늘 팁(428) 위에 끼워질 수 있다. 호스(108)는 구멍(146)에서 조립된 하우징(102)의 공동(172)을 빠져나갈 수 있다.
작용제 어셈블리(123)와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를 연결하기 위해, 챔버(124)의 베이스(238) 및 베이스(238)의 목(244)에 인접한 밀봉 부재(120a)는 상부 밸브 본체(126)에 수용되고 유체 통로가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밸브 몸체(126)의 헤드(256)의 상부 표면(255)은 챔버(124)의 몸(230)의 하부(234) 아래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챔버 밸브(500)는 챔버 밸브(500)의 공동(510)이 챔버(124)의 바닥(248)에서 유동 구멍(250) 아래에 그리고 상부 밸브 몸체(126)의 유체 통로(262)의 바닥(272)에서 유동 구멍(276) 위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2)는 래치 버튼(110)을 래치(180)를 통해 래치 스프링(450)에 연결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래치(180)의 커플링 헤드(175) 및 탭 클립(176)은 래치 버튼(110)의 플레이트 슬롯(164)에 삽입된다. 탭 클립(176)은 커플링 헤드(175)의 평면으로부터 약간 멀어질 수 있다. 탭 클립(176)이 래치 버튼(110)의 플레이트 슬롯(164)에 삽입됨에 따라, 클립(176)은 헤드(175)의 평면과 정렬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클립(176)은 원래의 위치를 향해 구부러져 슬롯(164)의 내부에 대해 바이어스되어 래치 버튼(110)을 래치 플레이트(118)에 고정시킬 수 있다. 래치(180)의 각 풋(182)의 맞물림 표면(184)은 래치 스프링(450)의 각 단자 단부(462)의 대응하는 맞물림 너브(464)와 맞닿을 수 있다. 래치 스프링(450)의 스파인(452)은 제 2 쉘(116)의 내부에 대해 바이어스 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122)의 추가 어셈블리는 뚜껑(118)을 트림 링(474), 래치 캐치(212) 및 하우징(102)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림 링(474)은 트림 링(474)의 대응하는 구멍(479)을 통해 뚜껑(118)의 핀(478)을 끼워 맞춤으로써, 뚜껑(118)의 외부 림(495)에 대하여 뚜껑(118)에 고정된다. 래치 캐치(212)의 캐치 본체(216) 및 고정 선반(214)은 뚜껑(118)의 일부가 래치 캐치(212)의 웰(220) 내로 연장되도록 뚜껑(118)의 슬롯(484)에 오버 몰딩, 인서트 몰딩 또는 다른 방식으로 매립될 수 있다.
뚜껑(118)을 하우징(102)에 연결하기 전에,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 스위블 어셈블리(143) 및 작용제 어셈블리(123)가 조립되고 제 1 및 제 2 쉘(112, 114)은 서로 정지되어 밸브, 스위블 및 챔버 어셈블리(142, 143, 123)를 둘러싼다.
뚜껑(118)은 힌지 어셈블리(485)를 통해 하우징(10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쉘(116)의 너클(206)은 뚜껑(118)의 힌지 본체(486)의 어느 한쪽에 위치된다. 핀(490)은 너클(206)의 핀 구멍(208)을 통해 그리고 힌지 본체(486)의 채널(488)을 통해 삽입된다. 뚜껑 스프링(492)은 힌지 본체(486) 및 브리지(493)의 리세스(491)에 안착될 수 있고 핀(490)의 대략 종 방향 중심에서 핀(490)을 둘러 쌀 수 있다.
일단 조립되면, 도 1a 내지 도 24b의 핸들의 뚜껑(118)은 사용자가 치과 용제를 삽입 및/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먼저 래치 버튼(110)의 본체(156)의 외부 표면(158)을 눌러서 뚜껑(118)을 열 수 있다. 래치 버튼(110)이 압축될 때, 버튼(110)은 래치 버튼(156)의 각각의 암(160)의 말단 또는 결합 단부(162)를 통해 래치(180)에 힘을 가한다. 특히, 암(160)은 래치(180)의 숄더(190)의 상부 벽(192)에 대해 가압되어, 넥(196) 및 래치(180)의 부착된 걸쇠 탭(200)이 핸들의 중심을 향해 측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래치 버튼(110)이 압축됨에 따라, 강성 래치(190)는 이동하여 래치 스프링(450)의 맞물림 너브(464)에 대한 힘을 가한다. 이는 래치 스프링이 하우징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래치 암(462)이 구부러지게 한다. 암(462)의 가요성은 래치 캐치(212)에 대해 래치(180)가 변위 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래치(180)가 이동함에 따라, 래치(180)의 탭(200)의 결합면(202)은 래치 캐치(212)의 후크(218)의 단부(219)로부터 분리되고, 즉, 탭(200)의 결합면(202)은 래치 캐치(212)를 안착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이동한다. 래치(180)가 래치 캐치(212)를 차단 해제하면, 단계(205e)에 대한 뚜껑 스프링(492)의 힘으로 인해 뚜껑(118) 및 캐치(212)가 피봇되고 핸들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것이 발생함에 따라, 캐치(212) 및 후크(218)는 래치(180)의 캐치 개구(199) 및 제 1 쉘(114)의 캐치 개구(154)를 통과하여 뚜껑(118)이 핀(490) 상에서 피봇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뚜껑을 여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손가락으로 버튼(110)을 압축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뚜껑(118)을 열 수 있다.
버튼(110)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수평력이 제거되면, 래치 스프링(450)은 원래의 형상 및/또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특히, 래치 스프링(452) 암은 스프링 백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래치(180)에 복귀력을 가하여 래치(180)가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제 1 위치로 되돌아간다.
뚜껑(118)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뚜껑(118)의 상부에 하향 력을 가하여 뚜껑 스프링(492)의 힘을 극복하고, 뚜껑(118)은 핀(490)을 중심으로 핸들을 향해 선회한다. 이것이 발생함에 따라, 래치 캐치(212)는 하우징 및 래치(180)의 캐치 개구(154, 199)를 각각 통과한다. 탭(200)의 경사면은 걸쇠가 걸쇠 위치에 위치하여 걸쇠의 바닥 표면과 맞물릴 때까지 걸쇠가 걸쇠(180)의 걸쇠 구멍을 통해 쉽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또한, 후크가 캐치 개구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후크(218) 부분은 래치(180)의 탭(200)과 맞물려 래치(180)가 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후크(218)가 개구(199)를 통해 연장되게 한다. 후크(218)가 캐치 개구(199)를 통과하자 마자, 탭(200)은 더 이상 스프링(452)을 향하여 강요되지 않으며, 래치(180)는 스프링(452)에 의해 원래 위치를 향해 다시 강제로 걸리고, 래치(180)의 바닥면에 대해 후크(218)의 단부면과 맞물린다.
팁의 구성 요소 및 조립
일부 실시예에서, 팁은 핸들(100)에 작동 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 또는 팁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같은 작용제 어셈블리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필터를 보다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도 7a 및 7b는 핸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팁 어셈블리(104)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7a, 7b 및 12를 참조하면, 팁 어셈블리(104)는 아래에서 각각 논의되는 팁 칼라(106), 팁 몸체(512), 팁 시일 캡(515) 및 필터(530)를 포함한다. 팁의 구성은 기능적으로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즐겁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팁의 다양한 부분이 핸들에 결합하기 전후에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특징은 기능뿐만 아니라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팁 링(106) 또는 칼라는 팁 칼라(534) 바로 위 및 인접한 위치에서 팁 본체(512)의 일부를 둘러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팁 링 또는 칼라(106)는 상이한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팁을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팁 칼라(106)는 그것의 전면에 착색, 인쇄, 엠보싱, 새겨진, 오목 또는 다른 형태와 같은 정렬 아이콘(53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 아이콘(539)은 사용자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에서 팁을 보다 쉽게 정렬할 수 있도록 팁의 전방 중심 부분을 나타내는 인쇄된 도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118)은 팁을 삽입할 때 사용자가 참조할 수 있는 대응하는 정렬 아이콘(471)을 포함할 수 있다.
팁 몸체(512)는 핸들을 위한 제트 팁을 형성하고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터미널 단부를 형성하는 팁 출구(105)로 종결된다
유체의 통과를 위한 채널(514)은 팁 몸체(512)의 길이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팁 본체(512)의 대향 단부는 필터 하우징(534)을 형성하고 팁 시일 캡(515)과 맞물리고 필터(530)를 수용한다. 필터 하우징(534)은 팁 몸체(512)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팁 몸체(512)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 쪽 및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필터 하우징(534)은 팁을 위한 확장된 원통형 단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534)은 필터 어셈블리(53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동(536)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팁 시일 캡(515)과 필터(53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하우징(534)은 시일 캡(515)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환형 그루브로서 외부 표면 상에 정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그루브(54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534)은 계단형 둘레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팁(104)이 핸들(100)에 삽입될 때 팁(104)이 뚜껑(118)의 크라운(470)에 인접한 팁 공동(211)의 부분에 대해 밀봉 및/또는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팁 또는 필터 하우징(534)의 하단은 또한 정렬(538)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탭(538)은 필터 하우징(534)의 전방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정렬 탭(538)의 크기 및 형상은 뚜껑(118)의 뚜껑 본체(472)의 레지(498)에 형성된 팁 정렬 노치(497)에 상보적일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534)은 그 하단부에 필터링 챔버(536)를 형성한다. 필터링 챔버(536)는 팁 본체(512)의 하단부(531) 위에 형성된 내부 선반(557)을 갖는 계단식 챔버로 정의될 수 있다. 챔버(536)의 상단부는 흐름을 팁 유체 통로(514)로 안내하는 테이퍼 진 벽(543)을 포함한다. 챔버(536)의 측벽은 추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필터 하우징(534)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 리브(537)를 포함하고, 또한 챔버(536)의 유체 통로의 직경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필터(530)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링 챔버(536)의 바닥 부분은 또한 필터링 챔버(536) 내로 연장되는 환형 림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 스크린 지지부(532)를 포함한다. 필터링 챔버(536)의 개구를 형성하는 저부 벽(531)은 챔버 개구 주위에 이격된 하나 이상의 너브(5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팁 시일 캡(515)은 팁(104)이 핸들 내에 위치될 때 팁의 하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필터 하우징(534)의 외부 표면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팁 시일 캡(515)은 스커트(516), 외벽(522) 및 환형 립(5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커트(516)는 팁 시일 캡(515)의 상단부와 이격되어 있으며 시일 캡(515)의 중심 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경사진 표면(517)을 형성한다. 스커트(516)는 림(518)이 외주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비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과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성 밀봉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림(518)은 팁 시일 캡(515)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된 O- 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516)의 전면의 일부는 정렬 탭(540)을 형성하도록 전이될 수 있다. 탭(540)은 사용자가 팁 공동(211)에서 팁(104)을 시각적으로 정렬하는 것을 돕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탭(540)은 챔버(124)의 림(228)에 대해 밀봉 캡(515)에 보강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뚜껑(118)이 닫힐 때 베이스(515)는 먼저 림(228)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540)은 함께 고정될 때 필터 하우(534)의 정렬 탭(538)과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540)은 반원형 형상이지만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7c를 계속 참조하면, 스커트(516)의 하부로부터 시일 캡(515)은 외벽(522)을 형성하기 위해 천이되어 수직 벽(526)으로 천이되는 각진 부분(524)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캡(515)은 팁(104)이 그 안에 삽입될 때 팁 시일(515)이 핸들 내의 다양한 표면에 대해 밀봉되도록 수직 벽(526)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부 비드(528)로 종결되고 O- 링 또는 다른 압축성 특징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시일 캡(515)은 뚜껑(118) 및 챔버(124)와 맞물리기 위해 계단형 둘레를 가질 수 있다. 둘레는 뚜껑(118) 및 챔버(124)의 일부에 상보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둘레는 힙(516)의 각진 부분(517)을 따라 베이스(515)의 가장 넓은 부분일 수 있는 환형 림(518)으로 증가할 수 있다. 기부(515)의 둘레는 엉덩이의 바닥면(5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환형 림(518)으로부터 외벽(522)으로 내향으로 단계 할 수 있다. 환형 립(528)의 직경은 외벽(522)의 수직 부분(526)의 직경보다 크지 만 수직 벽(522)의 경사 부분(524)의 최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팁(104)을 조립하기 위해, 팁 칼라(106)는 팁 몸체(512) 위에 위치하고 필터 하우징(534)의 상부 표면(549)에 놓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 너브(551)는 칼라(106)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고 팁 본체(512)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팁 칼라(506)의 대응하는 오목부(553) 내에 안착된다. 정렬 아이콘(539)은 팁 몸체(512)의 출구(105)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도 7b 및 7c를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530, 532)는 필터 하우징(534)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필터 스크린(530)은 필터 챔버(536) 내에 수용되고 필터 하우징(534)으로 레지(557)의 바닥면에 대해 가압된다. 레지(557)는 유체가 필터 챔버(536)로부터 팁 본체(512) 내의 유체 경로(514)로 유동할 때 필터 스크린(530)이 이탈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필터(530)와 동시에 또는 후에 삽입될 수 있는 스크린 지지부(532)는 필터(530) 아래 및 필터 하우징(534)의 내벽에 대해 위치된다. 너브(545)는 사용 중에 필터 어셈블리의 하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팁 시일 캡(515)은 필터 하우징(534)의 외부 표면 주위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탭(540)은 필터 하우징(534)의 탭(538)과 정렬될 수 있고 팁 시일 캡(515)은 필터 하우징에 압입된다. 밀봉 캡(515)의 상단부는 필터 하우징(534)의 밀봉 홈(537)에 끼워져 캡(515)을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팁 상에 위치될 때, 시일 캡(515)은 팁 어셈블리의 단자 단부를 형성하는 하부 비드(528)와 함께 하단부(531)를 지나 연장된다.
팁 삽입 및 제거
사용자는 도 1a 내지 도 24b의 핸들(100)에 팁(104)을 삽입하고 팁(104)을 제거할 수 있다. 많은 실시 예에서, 팁(104)은 핸들(104)의 뚜껑(118)에 고정되고 뚜껑(118)을 이용하여 핸들(100)로부터 멀어 지도록 그리고 핸들(100)을 향해 피봇된다. 팁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팁 출구(105)로부터 시작하여 뚜껑(118) 및 팁(104)을 열 수 있고, 팁 칼라(106)가 뚜껑(118)의 크라운(470) 위에 그리고 인접하여 위치될 때까지 사용자는 뚜껑(118)의 팁 공동(211) 및 팁 수용 구멍(210)을 통과할 수 있다. 팁(104)의 필터링 하우징(534)은 뚜껑(118)의 크라운(470)에 인접한 팁 공동(211)의 내부에 안착된다. 필터 하우징(534) 상의 정렬 탭(538)은 뚜껑(118)의 몸체(472)의 레(498)의 팁 정렬 노치(497) 내에 위치되어, 팁(104)을 뚜껑(118) 내에 고정시킬뿐만 아니라 팁(104)이 뚜껑(118)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밀봉 캡(515)은 뚜껑(118)의 내부 표면 레지(498)에 대해 가압되며, 스커트(516)의 각진 표면(517)은 뚜껑(118)의 내부 벽의 경사에 상응하고 이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는다. 외부 비드(518)는 팁(104)과 뚜껑(118) 사이의 밀봉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레지(496)에 의해 결합되고 압축된다. 시일 캡(515)의 탭(540)은 또한 노치(497) 내에 있지만 필터 하우징(534)의 탭(538) 아래에 위치된다.
밀봉 캡(515)과 필터 하우징(534)의 고정된 결합은 챔버(536)를 통해 유체가 팁 출구(105)를 통해 흐르는 수압 하에서도 팁(104)이 뚜껑(118)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뚜껑(118)이 핸들에 대해 회전할 때, 팁(104)은 팁(104)을 제거하지 않고도 구강 위생 정제를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팁과 함께 이동할 것이다.
뚜껑(118)이 닫히고 뚜껑(118)의 래치 캐치(212)가 전술된 바와 같이 래치(180)의 걸쇠 탭(200)에 의해 포획될 때, 팁(104)은 뚜껑(118)과 함께 하우징(102)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추가로, 뚜껑(118)이 폐쇄될 때, 팁(104)의 밀봉 캡(515)은 챔버(124)의 제제 챔버(226)의 개구로 가져오고 부분적으로 안착된다. 팁 시일 캡(515)의 환형 립(528)은 림(228)에 안착되어 유체 기밀 압축 시일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 립(528)과 림(228)은 불규칙적으로 맞으며, 이는 유체 밀봉을 제공하면서 팁(104)과 챔버(124) 사이의 계면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팁(104)의 베이스(515)의 스커트(516)의 바닥면(520)은 챔버(124)의 림(228)의 상부면(224) 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스커트(516)의 하부 표면(520)과 림(228)의 상부 표면(224) 사이의 계면은 환형 립(528)과 림(228) 사이의 계면에 이차적인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시일 캡(515)의 외부 벽(522)의 경사 부분(524)은 림(228)의 내부 벽(222)의 경사 부분(221)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밀봉 캡(515) 및 비드(528)의 압축성은 챔버와 밀봉된 맞물림을 정의하면서, 뚜껑(118)이 개방될 때 밀봉 캡이 이에 대해 이동하면서 팁(104)을 이동시킨다. 외벽(522)의 수직 부분(526)은 림(228)의 내벽(222)의 수직 부분(223)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핸들(100)로부터 팁(104)을 제거하기 위해, 래치 버튼(110)이 눌려져 상술된 바와 같이 리드 래치를 해제한다. 뚜껑(118)이 핸들로부터 피벗될 때, 팁 밀봉 캡(515)의 환형 립(528)은 뚜껑(118)의 힌지 몸체(486)의 리세스(491)에서 스프링(492)의 힘에 의해 챔버(124)의 림(228)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팁 본체(512) 또는 팁 칼라(106)를 파지함으로써, 뚜껑(118)의 팁 공동(210)을 통해 팁(104)을 인출할 수 있다.
핸들 사용
사용자는 치아, 잇몸 및 혀의 구강 관개 및/또는 세척을 위해도 1b 내지 도 24b의 핸들(100) 및 유체 연결되는 구강 세척기(10)를 사용할 수 있다(도 1a 참조). 예를 들어, 일단 팁(104)이 핸들(100)에 연결되고 뚜껑(118)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도 24a 및 24b 참조), 챔버 몸체(230)의 작용제 챔버(226)가 노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챔버(226)에 사용하기 위해 치과용 약제를 배치할 수 있다. 적합한 치과용 약제의 일 실시예는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453,949 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590)일 수 있는 구강 작용제가 챔버(226) 내에 수용되면, 정제(590)는 챔버(226)의 직경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는 정제(590)의 가장 긴 치수가 챔버 직경의 길이에 가까워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는 챔버 밸브(500)를 통해 챔버(226) 내로 유입되는 워터 제트가 측면보다는 원형 또는 가장 긴 치수면에 충돌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정제 챔버 직경은 0.5 내지 1.0 인치, 일부 실시예에서 0.470 인치이고 정제 직경은 0.4 내지 .90 인치 범위 일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0.440 인치 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대략 1 : 1 챔버 직경 대 정제 직경의 비는 정제가 그의 가장 큰 면에 충돌하여 심지어 절제를 보장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또한 챔버(226) 내의 유체 압력이 뚜껑(118)에 대한 래치 메커니즘을 과도하게 압박 할 만큼 단면이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보장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정제(590)는 축 방향 치수로 압축되고, 워터 제트가 밸브(508)를 통해 챔버(226)를 통해 챔버(226)로 진입하는 것과 같이 수직으로 정제(590)에 축 방향으로 충돌할 때 더 예측 가능하게 분해되는 입자 또는 분말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4a 및 도 24b를 계속 참조하면, 상류 스크린(530)은 뚜껑(118)에 연결되고 그와 피봇될 수 있어서 챔버(226)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가 작용제 챔버(226)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크린(530)은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크린(530) 주위에서 작용제를 조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작용제를 챔버(226) 내에 배치하기 전에 스크린(530)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4a 및 2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린 뚜껑(118)은 힌지 어셈블리(485)를 통해 하우징(102)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구강 위생 작용제를 삽입할 때 사용자가 뚜껑(118)을 잘못 고정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을 자유롭게 약제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치과 작용제가 삽입되면,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치과용 작용제를 생략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쉘(114, 116)의 상부 표면(207)을 향해 뚜껑(118)을 아래쪽으로 뒤집기 위해 핀(490)을 중심으로 뚜껑(118)을 회전시킴으로써 뚜껑(118)을 닫는다. 뚜껑(118)의 크라운(470)의 상부 표면(471) 상의 그립 부분(494)을 누르면 스프링(492)의 바이어스를 극복하여 래치 캐치(212)의 후크(218)를 제 1 쉘의 캐치 개구(154)를 통해 그리고 래치(180)의 걸쇠 개구(199)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캐치가 삽입될 때, 캐치 팁은 래치 스프링(450)에 대해 압축되도록 강제하여 래치(180)와 맞물리고, 래치 스프링(450)은 캐치가 걸쇠 구멍(199) 내로 수용될 수 있도록 래치(180)가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래치(180)의 걸쇠 탭(200)의 단부(202)는 래치 캐치(212)의 후크(218)의 단부(219)를 포착하여 뚜껑(118)을 하우징(102)에 고정시킨다.
뚜껑(11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1b 참조), 트림 링(474)의 하부 표면(476)은 제 1 및 제 2 쉘(114, 116)의 단계(205c)와 같은 상부 표면(207)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척기를 켤 수 있다. 특히, 핸들(100)은 구강 세척기(10)의 저장소(12)와 같은 유체 공급원에 유체 연결되고, 구강 세척기(10)에 전력이 공급되고, 핸들(100)은 사용 준비가 된다. 작동되면, 펌프(16)는 호스(108)를 통해 저장소(12)로부터 유체를 밸브베이스(138)의 유동 공동(430) 내로 그리고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 내로 끌어당긴다. 저장소(12)와 펌프(16)가 핸들(예를 들어, 휴대용 구강 세척기)에 연결될 때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호스(108) 대신에 내부 유체 통로가 사용될 수 있다.
세척 모드(도 5b 참조) 동안,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정지 작동기(112)를 뚜껑(118)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온 위치 또는 열린 위치에 배치된다. 유지 링(132)을 통해 정지 작동기(11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셔틀 밸브(134)는 상부 밸브 본체(126)의 셔틀 구획(284) 내로 이동된다. 셔틀 밸브(134)의 몸체(332)의 상부 표면(344)은 상부 밸브 몸체(126)의 헤드(256)의 바닥(272)의 하부 표면(282)에 접근하거나 이에 접촉한다.
셔틀 밸브(134)의베이스(334)의 바닥면(346)과 포펫 어셈블리(136)의 포펫 지지판(316)의 제 1 표면(320) 사이에 흐름 갭(350)이 동시에 생성된다. 셔틀 밸브(134)의이 위치에서, 포펫 어셈블리(136)의 캡(312), 포펫 넥(318) 및 밀봉 부재(120d)는 셔틀 밸브(134)의베이스 공동(348) 내부에 안착되지 않은 아래에 위치된다. 유체는 호스(108)로부터 밸브 베이스(138) 내의 유동 공동(430)을 통해, 포펫 지지판(316)의 스포크(324) 사이의 유동 통로(326)를 통해,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 내로,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 공동(348) 내로, 셔틀 밸브(134)의 유동 루멘(342)으로 흐를 수 있다. 유체는 상부 밸브 본체(126)의 유동 구멍(276)을 통과하고 챔버(124)의 베이스(238)의 밸브 공동(227)의 챔버 밸브(500)를 통과한다.
유체는 이어서 챔버(124)의 작용제 챔버(226)로 들어가고, 존재한다면 챔버(226) 내의 구강 위생 작용제와 상호 작용한다. 작용제가 정제인 실시예에서, 유체는 정제를 절제하고 입자는 유체 스트림으로 침착되고, 이어서 입자는 팁(104)의 채널(514)을 통해, 팁 출구(105) 밖으로, 그리고 사용자의 입으로 입자를 운반한다. 구체적으로, 유체 스트림 내에서 유동하는 입자는 챔버(226)로부터 필터 하우징(534)으로 이동하여 필터 챔버(536)로 진입한다. 유체가 팁 유체 통로(514) 내로 진입하기 전에, 유체는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다. 필터 스크린(530)은 팁 배출구(105)로 전달된 스트림을 여과하여 스크리(530) 내의 개구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 소정 크기 이상의 입자가 팁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큰 입자는 차단되고 미리 결정된 크기로 침식되거나 제거될 때까지 필터 챔버(536) 및/또는 챔버(226)에 남아있다. 이 필터링은 사용 중에 팁이 입자로 막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더 큰 입자를 느끼지 못하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하우징(534) 내의 필터 브래킷(557)은 챔버(536)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상당한 유체 압력 하에서도 필터(530)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유체가 필터 챔버(536)의 상단에서 출구를 통해와 같이 필터 하우징(534)을 빠져나감에 따라, 테이퍼진 벽(543)은 유체 통로를 감소시키고 유체를 팁 유동 통로(514) 내로 강제한다. 팁 유동 통로(514)로부터, 유체 및 입자는 팁 출구(105)를 빠져나와 사용자의 구강 내로 퇴적되고 종종 사용자의 치아의 외부 표면을 향하여 얼룩을 제거한다.
작동 중에, 사용자는 팁(104)으로의 유체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일시 정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핸들(100)이 연결된 구강 세척기의 전원을 끄지 않고 정지 모드를 개시하기 위해,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다음과 같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도 5a 참조). 사용자는 그립 부분(366)을 잡고 이를 뚜껑(118)으로부터 멀리(즉, 아래 또는 오프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하우징(102)의 종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102)에 대해 정지 액추에이터(112)를 수동으로 아래로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정지 작동기(112)의 병진 운동은 결합된 유지 링(132)을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이는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셔틀 밸브(134)를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세척 모드 동안 생성된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와 포펫 지지판(316) 사이의 유동 갭(350)은 폐쇄된다.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는 캡(312), 포펫 넥(318) 및 밀봉 부재(120d)가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 공동(348) 내부에 수용되도록 포펫 지지 플레이트(316)의 제 1 표면(320)과 접촉한다. 밀봉 부재(120d)는 베이스 공동(348)과 밀봉을 제공하고 유체가 베이스 공동(348)로 유입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한다. 유체는 호스(108)로부터 밸브 베이스(138)를 통해 포펫 지지판(316)의 유동 통로(326)를 통해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 내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유체는 셔틀 밸브(134)의 유동 루멘(342)으로 통과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유체 흐름은 셔틀 밸브(134)를 통해 팁(104)으로 정지 또는 정지된다. 챔버 밸브(500)는 구강 위생 작용제와 맞물린 유체가 저장소(12)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지 모드는 정지 액츄에이터(112)의 전기적이 아닌 기계적 동작에 의해 구현된다.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정지 모드는 핸들(100)에서의 전기 회로의 필요성을 회피하여, 전기 회로가 유체 도관에 물리적으로 근접하지 않기 때문에 핸들(100) 및 핸들이 유체 연결되는 구강 세척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정지 모드 대신에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은 또한 핸들(100) 및 구강 세척기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핸들(100)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 대안적으로, 핸들(100)은 구강 세척기에 전기적으로 배선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안전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쉽게 액세스할 수 있고 선택 가능한 일시 정지 모드가 제공된다.
대안적인 실시예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유지 클립(630)을 포함하고 셔틀 리테이너(130)를 포함하지 않는다. 셔틀 리테이너(130)와 비교하여, 유지 클립(630)은 클립(630)이 수용되는 하부 밸브 몸체(128)의 직경을 포함하여 크기의 감소를 허용할 수 있다. 유지 클립(630)은 핸들(100)이 정지 모드에 있을 때 포펫 어셈블리(136)를 지나 흐르는 대부분의 유체에 대한 장벽을 제공한다. 핸들(100)이 세척 모드에 있을 때, 유지 클립(630)은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와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밸브 본체(128)의 선반(404) 아래에 위치된 밀봉 부재(120c)와 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지 클립(630)은 또한 셔틀 밸브(134)가 핸들(100)의 뚜껑(118)을 향해 너무 멀리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유지 클립(630)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핸들(100) 또는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는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 전술 한 것과 유사한 설계, 구성, 기능, 조립 및 작동을 갖는다.
도 5b 및 도 5c를 계속 참조하면, 유지 클립(630)은 외부 벽(794) 및 계단형 내부 벽(796)을 가질 수 있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가 조립될 때, 유지 클립(630)은 클립(630)의 외부 벽(794)이 내부 스커트 벽(416)에 인접하도록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에 수용될 수 있다. 유지 클립(630)은 하부 밸브 몸체(128)의 선반(404) 아래에 위치된 밀봉 부재(120c)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유지 클립(630)의 내부 직경은 물이 밀봉 부재(120c)에 도달하고 선반(404)에 대해 밀봉 부재(120c)를 가압하도록 셔틀 밸브(134)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클 수 있어서, 물이 없는 경우보다 더 빠르거나 강한 밀봉을 만든다.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가 유지 클립(630)을 포함할 때, 셔틀 리테이너(130)를 포함하는 실시 예와 비교하면,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 및 몸체(332)의 하부는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 대신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에 수용될 수 있다. 유체가 세척 모드 또는 정지 모드 동안 핸들(100) 내로 유동할 때, 유체는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 대신 하부 밸브 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 내로 유동한다.
세척 모드 동안, 정지 밸브 어셈블리(142)가 온 또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고 셔틀 밸브(134)가 뚜껑(118)을 향해 위치될 때,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는 유지 클립(630)의 내벽(796)과의 접촉에 의해 너무 멀리 전진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밸브 어셈블리는 밀봉 부재(120c), 예를 들어 U- 컵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립(6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클립(631)은 금속과 같은 고강도 및/또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갈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클립(631)은 금속성 와셔이다. 금속의 증가된 강성 및 강도는 밸브(134)가 이에 대해 이동할 때 밀봉 부재(120c)가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밀봉 부재(120c)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3a 및 23b를 참조하면, 포펫 어셈블리는 밸브베이스에 통합되어 통합 밸브 베이스(638)를 형성하는데, 이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핸들(100) 제조 비용 및/또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 통합 밸브 베이스(638)를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핸들(100)은 다음의 예외를 제외하고 전술한 것과 유사한 설계, 구성, 기능, 조립 및 작동을 갖는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는 호스(108)로부터 챔버(124) 로의 유체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는 적층된 동심 디스크(938, 940)에 의해 긴 미늘 팁(928)에 연결된 포펫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포펫 어셈블리(636)는 포핏 목(818)에 의해 포펫 지지 플레이트(816)에 연결된 오목한 중앙 부분(813)을 포함하는 캡(612)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플랫폼(814)은 포펫 지지 플레이트(816) 위로 목(818)을 둘러 쌀 수 있다. 캡(812) 및 환형 플랫폼(814)은 일반적으로 셔틀 밸브(134)에 수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 다. 포펫 지지판(816)은 상부 표면(820) 및 플랫폼(8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특징부(824)를 포함한다. 2 개의 인접하지만 공간적으로 분리된 지지 특징부(824) 사이에 유로(826)가 정의될 수 있다. 밀봉 부재(120d)는 캡(812)과 플랫폼(814) 사이에서 포펫 넥(818) 주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디스크(938)는 하부 디스크(940)의 제 1 표면(937)이 노출되고 하부 밸브 본체(128)의 스커트(408)와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하부 디스크(9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닥 디스크(940)와 미늘 팁(928) 사이에 위치된 연장 레지(966)는 핸들(100) 내의 원하는 위치에 통합 밸브 베이스(638)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연장 레지(966)는 복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암(967)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제 1 및/또는 제 2 쉘(114, 116)의 레지(150a, 150b)와 인터페이스하도록 형성된 립(968)을 가질 수 있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는 미늘 팁(928)으로부터 상부 디스크(938)의 상부 표면(932)까지 유동 공동(930)을 형성한다. 미늘 팁(928)은 통합 밸브 베이스(638)와 호스(108) 사이의 연결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지 구성 요소(936)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00)이 조립될 때, 포펫 어셈블리(636)의 포펫 목(818) 주위에 위치된 캡(812) 및 밀봉 부재(120d)는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 공동(34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포펫 지지판(816)의 제 1 표면(820)은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334)의 바닥면(346) 아래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존재하는 경우 셔틀 리테이너(130)의 제 2 단부(292) 아래에 인접할 수 있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의 포펫 지지 플레이트(816) 및 상부 디스크(938)는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에 수용된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의 하부 디스크(940)의 외경은 하부 밸브 본체(128)의 스커트(40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할 수 있어, 하부 디스크(940)의 상부 표면(937)이 스커트(408) 아래에 위치 될 때, 외부 스커트 벽(414)은 하부 디스크(940)의 외부 표면(941)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통합 밸브 베이스(638)의 미늘 팁(928)은 베이스 칼라(140)의 미늘 구멍(442)에 수용될 수 있다.
스위블 어셈블리(143)를 조립하기 위해, 통합 밸브 베이스(638)의 미늘 팁(428)은베이스 칼라(140)의 미늘 개구(442)에 수용된다. 쉘(114, 116)의 레지(150a, 150b)은 암(967)의 립(968)이 레지(150a, 150b) 상에 놓이도록 하부 디스크(84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세척 모드 동안, 유체는 호스(108)로부터 통합 밸브 베이스(638) 내의 유동 공동(930)을 통해, 포펫 지지판(816)의 지지 특징 부(824) 사이의 유동 통로(826)를 통해, 셔틀 리테이너(130)의 공동(298)(또는 유지 클립(630)을 갖는 실시예에서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 공동(412)) 내로, 셔틀 밸브(134)의 베이스 공동(348)으로, 그리고 셔틀 밸브(134)의 유동 루멘(342)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강 작용제 챔버는 핸들이 아니라 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24c는 통합 챔버(568)를 포함하는 팁(550)의 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임의의 구강 세척기와 함께 구강 위생 작용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팁(550)은 예를 들어 스레딩(threading), 스냅 핏(snap fit)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부(552) 및 하부(5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분(552)은 팁 출구(554)와 스커트(560) 사이에 위치된 몸체(556)를 포함할 수 있다. 팁 채널(558a)은 상부(552)를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유체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하부 부분(564)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562)은 스커트(560)에 형성될 수 있고 하부 부분(642)을 고정하기 위해 스레드와 같은 맞물림 특징부(574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564)는 스템(570)에 연결된 챔버 몸체(56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팁 입구(572)에서 종결된다. 챔버 몸(566)을 스템(570) 위에 위치시키는 것은 스템(570)이 다수의 상이한 디자인 또는 스타일의 구강 세척기 핸들의 상단과 쉽게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상부 부분(552)에서와 같이, 팁 채널(558b)은 팁 입구(572)로부터 챔버 몸체(566)로 스템(570)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챔버 몸체(566)는 챔버(568)를 정의할 수 있다. 챔버(568)는 구강 위생 제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568)의 직경은 채널(558a, 558b)의 직경보다 클 수있다. 구강 위생 제가 벽(58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가 작용제 주위로 유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브(569)가 챔버(568)의 내벽(582) 상에 형성될 수있다.
챔버 몸체(566)의 외벽(584)에는 나사산과 같은 맞물림 특징 부(574b)가 형성될 수있다. 맞물림 특징부(574b)는 특징부(574a, 574b)가 상부 부분(552)을 하부 부분(642)에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부분(552)의 결합 특징부(574a)에 상보적일 수 있다.
스크린(576), 스크린 지지부(578) 및 밀봉 부재(580) 중 하나 이상은 상부 부분(552)이 하부 부분(642)에 연결될 때 챔버(568) 위의 상부 부분(552)에 안착될 수 있다. 스크린(576)은 챔버(568) 내의 작용제로부터의 큰 입자가 팁 채널(558a) 또는 팁 출구(554)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 부재(580)는 예를 들어 O- 링 또는 U- 컵일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부분(552, 564) 사이에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568)는 상부 및 하부(552, 564) 모두에 정의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32는 구강 세척기 핸들(601)의 다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핸들(601)은 핸들(100)과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고 핸들(601)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는 핸들(100)에 통합되거나 동일 할 수있다. 핸들(601)은 하우징(605), 멈춤 어셈블리(603), 래치 어셈블리(607) 및 뚜껑(60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도 1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의 유사한 특징과 유사할 수 있다.
하우징(605)과 관련하여, 하우징(605)은 상이한 전방 또는 제 1 쉘(6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전방 쉘(611)은 래치 어셈블리(607)의 일부를 수용하고 수용하는 래치 지지 공동(616) 및 캐치(212)가 핸들 하우징에 대해 움직일 때 안내하는 래치 가이드(6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쉘(611)은 쉘(611)의 상단을 향해 형성되고 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리브(618)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리브(617)는 상부 리브(618)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연결 영역에 의해 상부 리브(618)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리브(617, 618)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래치 리브(617) 및 상부 리브(618)는 전방 쉘(611)의 폭의 실질적인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리브(619a, 619b)는 래치 리브(617)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쉘 폭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닥 리브(619a, 619b)는 버튼 구멍(152)의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2 개의 리브(619a, 619b)로 분할될 수 있다. 래치 리브(617)는 버튼 구멍(152)의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반면, 바닥 리브(619a, 619b)는 버튼 구멍(152)의 폭으로 부분적으로 만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튼 구멍(152)은 전면 쉘(611)의 외측에 완전히 개구 될 수 있지만, 내부 표면으로부터 형성된 리브에 의해 부분적으로 방해 될 수 있다. 조립될 때, 래치 공동(616)은 래치(180, 625)를 수용하여, 래치 본체가 바닥 리브(619a, 619b) 상에 위치하고 래치 리브(617)는 래치(180, 625)의 상부 표면 위로 연장된다.
도 26c를 계속 참조하면, 래치 가이드(615)는 래치 리브(617) 및 선택적으로 상부 리브(618)에 의해 형성된다. 래치 가이드(615)는 뚜껑(609)의 개방 및 폐쇄 동안 래치 어셈블리의 캐치(212)를 지향시키도록 작용한다.
래치 가이드(615)는 래치 이동을 위한 트랙 또는 가이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므로,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닫을 때 캐치(212)가 더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핸들(601)은 또한 도 13a 내지 13b에 도시 된 것과 비교하여 상이한 작용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의 실시예에서, 작용제 하우징(617)은 태블릿(590)을 수용하도록 챔버(226)와 유사하게 구성된 작용제 챔버(673)를 형성한다. 작용제 챔버(673)는 바닥 벽을 통해 형성된 챔버 입구(675)를 통해 유체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작용제 하우징(671)은 외면에 형성된 이격 홈(677)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 홈(677)은 래치의 위치와 정렬되는 고리 형 홈일 수 있고,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래치 어셈블리를 위한 추가적인 측면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이격 홈(677)은 챔버(673)가 핸들(601)의 전체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래치 어셈블리의 적절한 이동을 허용하면서 태블릿(590)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핸들(601)의 래치 어셈블리(621) 및 뚜껑(619)은 도 1a 내지 도 24b의 래치 어셈블리 및 뚜껑과 비교하여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차례로 논의된다.
도 28 내지 도 29b를 참조하면, 래치 어셈블리(621)는 버튼(110), 래치(625) 및 바이어싱 요소 또는 스프링(45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110) 및 스프링(452)은 도 8a 및 도 8b의 것과 동일 할 수 있다. 그러나, 래치(625)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625)는 래치(625)의 제 1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헤드(635) 및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암(627a, 627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헤드(635)는 버튼(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버튼 구멍(164) 내에 래치(625)를 유지하도록 돕는 고정 핀(637)과 같은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헤드(635)에 대한 버튼(11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 헤드(635)의 각 측벽에 버튼 정지부(639)가 형성되어, 사용자 힘이 래치(625)로 완전히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캐치 개구(633)는 캐치 개구(633)를 형성하는 래치 벽의 제 1 단부에서 캐치 슬라이드(641) 표면이 래치의 상부면으로부터 래치(625)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 지거나 경사 지도록 래치(625)의 고정 헤드(635)의 상부면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캐치 슬라이드(641)의 기울기는 래치 캐치가 래치(625)를 통해 연장될 때 래치 캐치를 보조하고 래치 캐치가 너무 빨리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도 29b를 참조하면, 캐시 시트(643)는 래치(625)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캐치 시트(643)는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치 슬라이드(641)는 아래로 경사져서 캐치 시트(641)를 일체로 형성한다. 래치(625)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래치(625)는 금속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래치 암(627a, 627b)은 서로의 거울상일 수 있고 결합 단부(629a, 629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래치(180)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래치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스프링이 구부러지고 변형되도록 스프링(452)과 맞물리는 결합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뚜껑(609)은 뚜껑(118)과 실질적으로 유사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래치(625)와 맞물리는 캐치(649)는 상이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스탬핑된 금속 공정과 비교하여 금속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캐치(649)는 뚜껑(609)과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치(649)는 뚜껑(609)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캐치 하우징(655)을 통해 뚜껑(609)에 고정되고 캐치가 수용된다. 캐치 하우징(655)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캐치(649)는 캐치(649)의 하단부(651)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캐치 시트(653)를 형성하는 대체로 "후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치 시트(653)는 실질적으로 평면 일 수 있고 캐치(649)의 연장 길이에 수직 인 표면 상에 정의될 수 있다.
호스 스위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핸들(100)을 상이한 각도 및 위치로 이동하여 입의 다른 영역에 접근할 때, 호스(108)는 원하는 핸들(100) 방향을 유지하면서 엉킴, 구부러짐 또는 꼬임이 없도록 핸들(1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핸들(100)을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100)의 구성 요소가 하우징(102)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호스(108)는 핸들(100)과의 연결에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베이스(138)는 하부 밸브 몸체(128)의 스커트(408)에 초음파 용접될 수 있고, 밸브 베이스(138)의 미늘 팁(428)에 부착된 호스(108)의 회전은 밸브 베이스(138), 포펫 어셈블리(136)가 존재하는 경우, 셔틀 밸브(134), 유지 링(132) 및 하부 밸브 몸체(128)를 하우징(102)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해 회전 시키도록 밸브 베이스(138)를 회전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칼라(140), 밸브베이스(138), 셔틀 밸브(134), 유지 링(132) 및 하부 밸브 몸체(128)의 일부 또는 전부의 재료는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드래그가 최소화되도록 선택된다.
결론
모든 방향 참조(예 : 위쪽, 아래쪽,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 위, 아래, 세로, 가로,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청구 범위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특히 본 발명의 위치, 방향 또는 사용에 대한 제한을 만들지 않는다. 결합기 참조(예를 들어, 부착, 결합, 연결, 결합 등)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요소의 연결과 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 사이의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기 참조는 반드시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고 고정된 관계에 있다고 추론하지는 않는다.
상기 명세서, 예 및 데이터는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청구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어느 정도의 특이성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청구된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개시된 실시 예를 다수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된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특정 실시예의 예시로서만 해석되고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의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요소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세하게 또는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8)

  1.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 사이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은 그 안에 구강 위생제를 수용하기 위한 작용제 챔버를 정의함;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폐쇄 위치에서, 상기 뚜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용제 챔버를 덮고 개방 위치에서, 상기 뚜껑이 작용제 챔버를 열림;
    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챔버 출구 및 하우징의 유체 출구 사이에 위치된 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 큰 입자가 유체 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강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뚜껑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팁을 추가로 포함하고, 스크린은 팁에 결합되고, 팁과 스크린은 뚜껑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강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팁과 스크린은 뚜껑과 함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구강 세척기.
  5.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은 저장소에 유체식으로 결합되는,
    구강 세척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결합된 래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래치 어셈블리는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뚜껑을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강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래치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치;
    하우징에 결합되고 래치의 일부와 맞물리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은 래치를 제1 위치를 향해 편향시킴;
    래치에 결합된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힘은 래치가 스프링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게 함;
    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뚜껑은 캐치를 더 포함하고,
    뚜껑의 개방 위치에서, 캐치가 래치로부터 분리되고,
    뚜껑의 폐쇄 위치에서, 캐치가 래치와 결합되는,
    구강 세척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결합된 팁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팁 어셈블리는
    제트 출구를 갖는 제트 팁; 및
    필터 어셈블리,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유체가 챔버로부터 제트 팁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체를 여과하기 위해 하우징의 유체 출구와 제트 출구 사이에 위치됨;
    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10. 저장소와 유체 소통하는 펌프; 및
    펌프와 유체 소통하는 핸들;
    핸들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팁;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작용제 챔버를 정의하는 작용제 하우징, 상기 작용제 하우징은 작용제 챔버와 유체 소통하는 챔버 입구 및 챔버 출구를 가짐; 및
    저장소와 챔버 입구 사이에 위치한 챔버 밸브;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챔버를 여는 개방 위치와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한 커버;
    를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팁은 커버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에 따라 커버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상이에서 전이될 때 팁이 커버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그와 함께 이동 가능한,
    구강 세척기 어세블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팁은,
    팁 출구 및 팁 입구 사이에 위치한 작용제 스크린; 및
    팁과 커버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해 팁에 결합된 팁 밀봉 캡;
    을 더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은 정렬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핸들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래치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래치는 커버 상의 캐치와 맞물려 커버를 닫힌 위치에 고정시키는,
    구강 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래치는 핸들의 폭을 가로질러 캐치와 맞물리고 풀리는,
    구강 세척기.
  17. 구강 에어전트 정제; 및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 세척기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에어전트 챔버가 챔버 직경을 갖고;
    정제는 정제 직경을 포함하고, 정제 직경은 챔버 직경의 80 내지 95%인,
    구강 위생 시스템.

KR1020197029013A 2017-03-16 2018-03-16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KR102625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2438P 2017-03-16 2017-03-16
US62/472,438 2017-03-16
US201762516227P 2017-06-07 2017-06-07
US62/516,227 2017-06-07
PCT/US2018/022893 WO2018170417A1 (en) 2017-03-16 2018-03-16 Oral irrigator handle for use with oral ag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358A true KR20190126358A (ko) 2019-11-11
KR102625450B1 KR102625450B1 (ko) 2024-01-16

Family

ID=6187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013A KR102625450B1 (ko) 2017-03-16 2018-03-16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179231B2 (ko)
EP (1) EP3595578B1 (ko)
JP (1) JP7258767B2 (ko)
KR (1) KR102625450B1 (ko)
CN (2) CN114631908A (ko)
AU (1) AU2018236429B2 (ko)
CA (1) CA3054456A1 (ko)
WO (1) WO2018170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31471S (en) * 1991-01-24 1992-12-01 Fresnel Technologies, Inc. Long range fresnel lens array for infrared motion detector
USD822196S1 (en) * 2016-01-14 2018-07-03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USD809650S1 (en) * 2016-02-22 2018-02-0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USD825741S1 (en) 2016-12-15 2018-08-14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AU2018236429B2 (en) 2017-03-16 2023-02-02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for use with oral agent
USD868243S1 (en) 2018-03-16 2019-11-2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tip
USD888230S1 (en) * 2018-04-25 2020-06-23 Flycat Electrical Co., Ltd. Desktop oral irrigator
USD877324S1 (en) * 2018-05-17 2020-03-03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JP2022529014A (ja) * 2019-04-18 2022-06-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自動一時停止制御リセット機構
USD913485S1 (en) 2019-09-11 2021-03-1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CN211156401U (zh) * 2019-09-19 2020-08-04 壹潇科技(绍兴)有限公司 一种运行稳定的洗牙器
USD948031S1 (en) 2020-04-10 2022-04-05 Water Pik, Inc. Water flosser
USD957623S1 (en) * 2020-06-11 2022-07-12 Shenzhen Anymore Technology Limited Tooth cleaning implement
USD962648S1 (en) 2020-07-29 2022-09-0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USD980969S1 (en) * 2020-11-16 2023-03-14 Shenzhen Jianke Industrial Co., Ltd Water flosser
WO2023035204A1 (en) * 2021-09-10 2023-03-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irrigator tip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025A (en) * 1995-03-02 1996-09-10 Gelman Sciences Disposable point of use air and water filter for dental syringes
WO2008046580A1 (de) * 2006-10-16 2008-04-24 Gimelli Produktions Ag Munddusche mit einer einrichtung zum zumischen von zusatzstoffen zum wasser
US20080245795A1 (en) * 2007-04-05 2008-10-09 Berge Gary L Auto open closure
US20150182319A1 (en) * 2013-11-27 2015-07-02 Water Pik, Inc. Oral hygiene system
US20150282909A1 (en) * 2014-04-02 2015-10-08 David Michael Roberts Water flosser tip having a container for treatment tablets
US20160022931A1 (en) * 2013-03-08 2016-01-28 Laboratorios Cinfa, S.A.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90032A (en) 1916-08-16 1919-04-29 The Canadian Consolidated Rubber Company, Limited Vehicle tire
CA174897A (en) 1916-08-28 1917-02-06 William B. Kelsey Speed mechanism
CA183395A (en) 1917-07-13 1918-04-02 The Pioneer Manufacturing Company Concrete sewer pipe machine
US2813529A (en) * 1954-03-22 1957-11-19 Ikse Janis-Indrikis Tooth cleansing devices
US3578884A (en) 1969-05-08 1971-05-18 Gen Electric Oral hygiene apparatus
AU513194B2 (en) * 1976-12-28 1980-11-20 Les Produits Associes Lpa Sa Oral dispenser
DE3322716A1 (de) 1983-06-24 1985-01-03 Kuno Moser GmbH, Fabrik für Feinmechanik und Elektrotechnik, 7731 Unterkirnach Munddusche
USD304231S (en) 1987-09-25 1989-10-24 Teledyne Industries, Inc. Subgingival delivery tip for attachment to dental irrigation instruments
US5046486A (en) * 1989-01-13 1991-09-10 Stryker Corporation Compact pulsing pump for irrigation handpiece
US5100319A (en) 1989-12-04 1992-03-31 Teledyne Industries, Inc. Subgingival delivery tip
US5501596A (en) * 1994-07-27 1996-03-26 Young Dental Manufacturing Company, Inc. Autoclavable dental scaler handpiece
DE19714276C2 (de) 1997-04-07 2001-04-19 Ferton Holding Sa Zahnärztliches Handstück
DE29714212U1 (de) 1997-08-11 1997-11-06 Weigel Rainer Reise-Munddusche
DK176196B1 (da) 1997-10-07 2007-01-08 Ejvind Jersie Pedersen Mundhygejnepræparat til behandling af halitosis samt anvendelse af et chelat omfattende en metaliondel og en aminosyredel som en komponent i præparatet
DE19910559A1 (de) 1999-03-10 2000-09-14 Espe Dental Ag Subgingivales Pulverstrahlen
USD438954S1 (en) 1999-04-12 2001-03-13 Ernst Orsing Sucking nozzle for medical and dental use
US6183254B1 (en) * 1999-08-04 2001-02-06 East Coast Medical And Dental Devices, Inc. Dental strainer unit for an aspirator
AU143359S (en) 2000-03-17 2001-03-28 Astrazeneca Ab Connector for a catheter
DE10014416B4 (de) 2000-03-24 2009-02-19 3M Espe Ag Verwendung feinkörniger Pulver bzw. Pulvergemische zur Herstellung eines Mittels für supragingivales Pulverstrahlen
DE10026718B4 (de) 2000-05-30 2004-07-01 Ferton Holding S.A. Dentales Abrasivstrahlgerät
DE10114324B4 (de) 2001-03-23 2005-03-10 Ferton Holding Sa Düsenstück für ein dantales Abrasivstrahlgerät
DE10114325B4 (de) 2001-03-23 2005-03-10 Ferton Holding Sa Pulverbehälter für ein dentales Abrasivstrahlgerät
USD468422S1 (en) 2001-06-13 2003-0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waterjet apparatus
US7147468B2 (en) 2002-12-31 2006-12-12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US20040202980A1 (en) 2003-04-14 2004-10-14 Policicchio Piero A. Dental prophylaxis and air appliance
JP2007506490A (ja) 2003-09-24 2007-03-22 ジメリ プロダクシヨン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口腔注入器及び口腔注入器用の手持部材
USD533270S1 (en) 2004-07-15 2006-12-05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Introducer cannula and cannula straightener
US20060222600A1 (en) 2005-04-01 2006-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regimens and devices
EP1754464A1 (en) 2005-08-17 2007-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zyme comprising dental composition
US20070203439A1 (en) * 2006-02-24 2007-08-30 Water Pik, Inc. Water jet unit and handle
US20070202459A1 (en) 2006-02-27 2007-08-30 Water Pik, Inc. Tip for oral irrigator
USD563674S1 (en) 2007-01-18 2008-03-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othbrush
USD625105S1 (en) 2007-07-25 2010-10-12 Braum Gmbh Portion of a toothbrush handle
USD802120S1 (en) 2007-02-27 2017-11-07 Water Pik, Inc. Tip for oral irrigator
EP1972295B9 (de) 2007-03-19 2021-07-14 Ferton Holding S.A. Pulverbehälter für ein Pulverstrahlgerät
US9566397B2 (en) * 2007-05-15 2017-02-14 Joseph Dee Faram Small-volume nebuliz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002427B2 (ja) * 2007-11-20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口腔洗浄器
CN101902983B (zh) * 2007-12-18 2013-02-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压缩气体牙间隙清洁器的保护组件
EP2100642A1 (en) 2008-03-13 2009-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 containing a water-miscible liquid and water-soluble particle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8230777B2 (en) * 2008-07-21 2012-07-31 Nutra-Life, Inc.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USD651805S1 (en) 2009-01-28 2012-01-10 Hayco Manufacturing Limited Electric toothbrush
DK2228175T3 (da) 2009-03-12 2013-09-08 Ferton Holding Sa Anvendelse af pulver eller pulverblanding til fremstilling af et middel til pulverstrålerengøring af tandoverflader
MX350876B (es) 2009-03-20 2017-09-19 Water Pik Inc Aparato irrigador oral con suministro de energía radiante para efecto bactericida.
US9693843B2 (en) * 2009-05-22 2017-07-04 Howard Cohen Strainer/filter unit for an aspirating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014401A2 (en) 2009-07-30 2011-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articles and methods
US20120282570A1 (en) 2009-12-08 2012-11-08 Daniel Mueller Toothcleaning Device
CA2792356C (en) 2010-03-31 2014-11-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etal oxide particles and amino acids
DE102010051226A1 (de) 2010-11-12 2012-05-31 Dental Care Innovation Gmbh Ausspültablete mit abrasiven Bestandteilen
US20120183926A1 (en) 2011-01-17 2012-07-19 Pinchas Shalev Denta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D648941S1 (en) 2011-04-19 2011-11-22 Conair Corporation Toothbrush with fluid jet assembly
DE102011077995B4 (de) 2011-06-22 2016-09-01 Ferton Holding S.A. Mischvorrichtung für ein dentales Pulverstrahlgerät sowie ein dentales Handinstrument für ein Pulverstrahlgerät mit einer entsprechenden Mischvorrichtung
CN103764102B (zh) 2011-09-08 2018-05-29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牙齿再矿化洁牙剂
JP5891749B2 (ja) 2011-11-30 2016-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US10524889B1 (en) 2012-06-14 2020-01-07 Ildefonso Anthony Bordas Saliva evacuator system and saliva evacuator tip assembly including a transverse on/off push valve
WO2013191903A1 (en) 2012-06-18 2013-1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wder composition for air polishing the surface of hard dental tissue
KR20150028994A (ko) 2012-06-21 2015-03-17 핀카스 샬레프 가압 유체를 제공하는 기기 및 방법
EP2698162A1 (en) 2012-08-15 2014-02-19 Credentis AG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treating a tooth lesion
WO2014059362A2 (en) 2012-10-11 2014-04-17 Water Pik, Inc. Interdental cleaner using water supply
CA151928S (en) 2013-01-09 2014-03-20 Philips Electronics Ltd Electronic toothbrush
CA151924S (en) 2013-01-09 2014-05-01 Philips Electronics Ltd Handle for electronic toothbrush
USD773822S1 (en) 2013-03-08 2016-12-13 Braum Gmbh Handle for electric toothbrush
US9642677B2 (en) * 2013-03-14 2017-05-09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with massage mode
US20140272769A1 (en) 2013-03-15 2014-09-18 Water Pik, Inc. Fluid activated switch for oral irrigator
DE102013109758B4 (de) 2013-09-06 2017-07-13 Ferton Holding S.A. Pulvergemisch, Verwendung des Pulvergemischs, Pulverstrahlgerät und Verfahren zur Remineralisierung von Zähnen
CA2937654A1 (en) 2014-01-22 2015-07-30 Smartjet Technologies Ltd Dental treatment capsule, formulation and device
US9259301B2 (en) 2014-04-14 2016-02-16 Eli Zhadanov Double acting pulsating tip jet
USD752868S1 (en) 2014-04-24 2016-04-05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CA2946053C (en) 2014-05-14 2019-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NO339503B1 (no) 2014-06-18 2016-12-19 Meda Otc Ab Sammensetning for forebygging eller behandling av dental erosjon
JP6513360B2 (ja) 2014-09-30 2019-05-15 小林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DE102014115412A1 (de) 2014-10-22 2016-05-12 orochemie GmbH + Co. KG Pulver für die dentale Pulverstrahlreinigung
DE102015201871B4 (de) 2015-02-03 2018-04-05 Ferton Holding S.A. Verwendung eines Pulvers als Mittel zur Pulverstrahlbearbeitung in einem Pulverstrahlgerät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Zähnen
USD799217S1 (en) 2015-04-29 2017-10-10 Koninklijke Philips N.V. Handle for electric toothbrush
USD800896S1 (en) 2015-09-04 2017-10-24 David Roberts Water flosser tip having a container for treatment tablets
EP3146933B1 (en) 2015-09-22 2019-11-20 Ferton Holding S.A. Powder chamber for an air-polishing device and air-polishing device
US10835356B2 (en) 2016-01-25 2020-11-17 Water Pik, Inc. Swivel assembly for oral irrigator handle
USD782657S1 (en) 2016-03-02 2017-03-28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JP1576135S (ko) 2016-05-25 2017-05-15
USD815733S1 (en) 2016-08-29 2018-04-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Nozzle for oral waterjet
EP3293565A1 (fr) 2016-09-07 2018-03-14 Essilor International Verre de lunettes muni d'un marquage permanent
GB2555620B (en) * 2016-11-04 2019-03-13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CA3120435C (en) 2016-12-15 2024-04-09 Water Pik, Inc.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USD825741S1 (en) 2016-12-15 2018-08-14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KR102575843B1 (ko) 2017-02-02 2023-09-08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치아 세정을 위한 연마제를 포함하는 정제
AU2018236429B2 (en) 2017-03-16 2023-02-02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for use with oral agent
USD866750S1 (en) 2017-06-21 2019-11-12 Guangdong Roman Technology Co., Ltd. Combined toothbrush and water pick unit
USD851239S1 (en) 2017-10-25 2019-06-11 Waterpulse (Shanghai) Industrial Co., Ltd. Dental flosser
USD868243S1 (en) 2018-03-16 2019-11-2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tip
USD877324S1 (en) 2018-05-17 2020-03-03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ES2867859T3 (es) 2018-05-24 2021-10-21 Braun Gmbh Irrigador buc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025A (en) * 1995-03-02 1996-09-10 Gelman Sciences Disposable point of use air and water filter for dental syringes
WO2008046580A1 (de) * 2006-10-16 2008-04-24 Gimelli Produktions Ag Munddusche mit einer einrichtung zum zumischen von zusatzstoffen zum wasser
US20080245795A1 (en) * 2007-04-05 2008-10-09 Berge Gary L Auto open closure
US20160022931A1 (en) * 2013-03-08 2016-01-28 Laboratorios Cinfa, S.A. Inhaler
US20150182319A1 (en) * 2013-11-27 2015-07-02 Water Pik, Inc. Oral hygiene system
US20150282909A1 (en) * 2014-04-02 2015-10-08 David Michael Roberts Water flosser tip having a container for treatment tabl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30641A (zh) 2020-01-24
CN114631908A (zh) 2022-06-17
WO2018170417A9 (en) 2019-12-19
JP7258767B2 (ja) 2023-04-17
US20220039927A1 (en) 2022-02-10
AU2018236429B2 (en) 2023-02-02
CN110730641B (zh) 2022-03-25
US11179231B2 (en) 2021-11-23
CA3054456A1 (en) 2018-09-20
JP2020509868A (ja) 2020-04-02
EP3595578B1 (en) 2023-12-20
EP3595578A1 (en) 2020-01-22
KR102625450B1 (ko) 2024-01-16
US20180263742A1 (en) 2018-09-20
AU2018236429A1 (en) 2019-09-12
WO2018170417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358A (ko) 구강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강 세척기 핸들
US10779922B2 (en)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KR102576326B1 (ko) 자기 부착부를 갖는 구강 세척기
KR101824347B1 (ko) 슬라이드 정지 스위치를 구비한 구강 세척기
US8210846B2 (en) Brushhead assembly-handle interface arrangement for a droplet jet system for cleaning teeth
US9061096B2 (en) Powered irrigator for sinus cavity rinse
JP3429364B2 (ja) 医療用スプレーシリンジ
KR200222263Y1 (ko) 에어로졸 분사장치
CN215839634U (zh) 可旋转喷头的洁牙器
KR101290891B1 (ko) 구강 세정기 및 구강 세정 시스템
CN209004287U (zh) 一种洗牙器用喷嘴以及洗牙器
KR100739880B1 (ko) 스위치식 물분사기
KR102665839B1 (ko) 다용도 물분사기
JP3000209U (ja) 散水用ノズル
JP3965669B2 (ja) 内視鏡の送気送水バルブ構造
TWM461410U (zh) 可手動控制水量之沖牙機
JPH081049A (ja) ノズルガン
KR20240034329A (ko) 다용도 물분사기
JPH0542822Y2 (ko)
JP2003024840A (ja) 弾性バルブ噴頭
JP2004329977A (ja) 長尺ノズル付噴射ボタ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