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170A - 무대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170A
KR20190126170A KR1020197030790A KR20197030790A KR20190126170A KR 20190126170 A KR20190126170 A KR 20190126170A KR 1020197030790 A KR1020197030790 A KR 1020197030790A KR 20197030790 A KR20197030790 A KR 20197030790A KR 20190126170 A KR20190126170 A KR 2019012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reel
elevating
ligh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시 이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12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6Control devices non-automatic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2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convex supports or substrates, e.g. on the outer surface of sph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4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the sides of polyhedrons, e.g. cubes or pyram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조명소자 등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조명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한 삼차원 연출을 제공한다. 삼차원 연출시스템은,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승강장치의 각각에 릴선에 의하여 연결된 피승강물과, 승강장치를 매다는 서스펜션 바톤과, 승강장치 및 피승강물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삼차원 연출방법, 삼차원 연출시스템 및 승강장치
본 발명은, 극장, 콘서트홀 또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등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소자 등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조명에 의한 삼차원 연출을 제공하는 삼차원 연출방법 및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이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의 조명소자 등을 승강시키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극장, 콘서트홀 또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등에 있어서, 가창, 연극, 댄스 등의 실연자가 작품을 연기하는 것을 지원하는 무대연출이 행하여지고 있다. 무대연출의 하나로서, 조명장치가 사용되고, 무대의 상방으로부터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무대의 바닥면으로부터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무대 전체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조명장치, 및 특정 실연가에게만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무대의 상방으로부터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이하, '무대상방 조명장치')는, 천장 부분에 장착된 서스펜션 바톤에 매달리고, 복수의 조명장치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서스펜션 바톤은, 기구접속용 전원 콘센트가 조립된 콘센트 박스를 가지며,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바톤을 케이블에 매달아 승강 가능하게 한 승강 바톤에, 복수의 조명장치를 매달고, 복수의 조명장치를 승강시키는 연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더욱이, 서스펜션 바톤에 매단 복수의 조명장치를 각각 승강시키고, 무대 상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조명조도 설계에 따른 조명이 되도록 제어하는 조명자세 제어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48005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135270호
상술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무대 상의 소정의 장소 또는 무대 상의 실연자를 조명하는, 즉 소정의 색상, 조도의 빛을 소정의 범위에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고는 있지만, 어디까지나 무대 상의 특정 장소, 대도구, 소도구 또는 실연자를, 빛에 의하여 눈에 띄게 하는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연극 등에 있어서, 무대의 소도구로서 조명장치(예를 들어, 붉은 초롱, 네온간판 등) 그 자체를 연출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명장치에서는,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 그 자체를, 소도구의 하나로 선택하여, 연출의 하나로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방법 및 삼차원 연출시스템은, 복수의 조명소자 등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조명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따른 삼차원 연출을 제공하는 삼차원 연출방법 및 삼차원 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는,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의 조명소자 등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은,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승강장치의 각각에 릴선에 의하여 연결된 피승강물과, 승강장치를 매다는 서스펜션 바톤과, 승강장치 및 피승강물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어장치는, 복수의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복수의 피승강물을 독립적으로 승상시킴으로써, 삼차원 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피승강물로서의 조명소자를 함께 제어함으로써, 조명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따른 삼차원 연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다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실장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릴 내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피승강물인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탑재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미러 및 LED 탑재 미러와 승강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LED 바와 승강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크리스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벌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트라이앵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승강장치와 피승강물의 기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볼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제어장치의 장치제어부에 저장된 연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볼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표시패널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트라이앵글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삼차원 연출시스템]
(유선제어방식)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삼차원 연출시스템은,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1a~101c)와, 승강장치(101a~101c)의 각각에 릴선(106a~106c)에 의하여 연결된 피승강물(102a~102c)과, 승강장치(101a~101c)를 매다는 서스펜션 바톤(103)과, 승강장치(101a~101c) 및 피승강물(102a~102c)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서스펜션 바톤(103)에는 기구접속용 전원 콘센트가 조립되어, 급전장치(105)로부터 승강장치(101a~101c) 및 피승강물(102a~102c)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한편, 승강장치(101a~101c)는, 서스펜션 바톤(103)을 통하지 않고, 무대 상의 천장에 직접 설치되거나, 무대 상의 다른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피승강물(102)은, 주로 다양한 조명소자인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러이거나, 커팅글라스의 장식품 등, 조명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피승강물에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승강장치(101)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111)와, 승강제어부(11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112)와, 모터부(112)에 연결되고, 릴선(106)을 감거나 푸는 릴부(113)와, 릴부(113)에 연결되고, 릴부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리는 릴선(106)의 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리셋 스위치(114)와, 릴부(113)의 출력에 접속되고, 릴선의 길이를 감시하는 카운터부(115)와, 급전장치(105)로부터 전력을 승강장치(101) 내부와 피승강물(102)에 할당하는 전원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피승강물(102)로서 조명소자(120)를 예로 설명한다. 조명소자(120)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121)와, 조명제어부(12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LED칩을 포함하는 LED부(122)와, 조명제어부(121) 및 LED부(1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릴선(106)은, 승강제어부(111)와 조명제어부(121)를 접속하는 제어선과, 승강장치(101)의 전원부(116)와 조명소자(120)의 전원부(123)를 접속하는 전원선을 내삽하고 있다.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 및 조명소자(120)의 각각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141)와, 장치제어부(14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142)와, 승강장치(101) 및 조명소자(120)의 각각과 통신 가능한 송수신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제어부(141)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4)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메모리(144)는, 승강장치마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데이터(145)와, 피승강물마다의 데이터로서, 조명소자마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조명소자 데이터(146)를 저장하고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실장형태를 나타낸다. 극장, 콘서트홀 또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등의 천장 부분에 서스펜션 바톤(103)이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 바톤(103)은, 도 1에 나타낸 막대 형상의 것이나, 도 3에 나타낸 우물정자 형상인 것 등, 승강장치와 조명소자가 복수 설치되는 강철제 기재이다. 승강장치(101)는, 연직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육면체이다. 수평면 상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서스펜션 바톤(103)에 현가(懸架)할 때, 보다 많은 승강장치(101)를 실장할 수 있다. 피승강물(102)은, 조명소자로서 후술하는 LED 볼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장치(104)의 장치제어부(14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실장하는 장치제어부를 가지고, 메모리(144)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 연출 데이터에 의하여 무대연출을 실행한다. 제어장치(104)는, 극장 등의 제어실 또는 관객석에 설치되고, 조명담당의 연출자에 의하여 조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삼차원 연출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소자(피승강물)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삼차원 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무선제어방식)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어장치로부터 무선접속에 의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삼차원 연출시스템은,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01a~201c)와, 승강장치(201a~201c)의 각각에 릴선(206a~206c)에 의하여 연결된 피승강물(202a~202c)과, 승강장치(201a~201c)를 매다는 서스펜션 바톤(103)과, 승강장치(201a~201c) 및 피승강물(202a~202c)의 각각에 무선에 의하여 접속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204)를 구비하고 있다. 서스펜션 바톤(103)에는 기구접속용 전원 콘센트가 조립되고, 급전장치(105)로부터 승강장치(201a~201c)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승강장치(201)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211)와, 승강제어부(21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212)와, 모터부(212)에 연결되며, 릴선(206)을 감거나 푸는 릴부(213)와, 릴부(213)에 연결되고, 릴부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리는 릴선(206)의 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리셋 스위치(214)와, 릴부(213)의 출력에 접속되며, 릴선의 길이를 감시하는 카운터부(215)와, 승강제어부(21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안테나부(217)와, 피승강물을 충전하는 충전부(216)와, 충전부(216)에 접속되며, 대향하는 피승강물의 커넥터부와 착탈 가능한 커넥터부(21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피승강물(202)로서 조명소자(220)를 예로 설명한다. 조명소자(220)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221)와, 조명제어부(22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안테나부(224)와, 하나 또는 복수의 LED칩을 포함하는 LED부(222)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며, 조명제어부(221) 및 LED부(2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23)와, 전원부(223)에 접속되고, 대향하는 승강장치의 커넥터부(218)와 착탈 가능한 커넥터부(225)를 구비하고 있다.
릴선(206)은, 피승강물(202)을 현가할 수 있는 나일론선 등의 선재이다. 유선제어방식과 비교하면, 배터리를 탑재하는 만큼, 조명소자(220)의 중량은 무거워지지만, 릴선(206)에 전원선, 제어선을 내장할 필요가 없어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릴선을 감는 릴을 소형화할 수 있어, 승강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4)는, 승강장치(201) 및 조명소자(220)의 각각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241)와, 장치제어부(241)의 입출력에 접속되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부(242)와, 승강장치(201) 및 조명소자(220)의 각각과 통신 가능한 송수신부(243)와, 송수신부(243)의 입출력에 접속되며, 승강장치(201) 및 조명소자(220)의 각각과 통신하는 안테나부(24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제어부(241)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44)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메모리(244)는, 승강장치마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데이터(245)와, 조명소자마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조명소자 데이터(246)를 저장하고 있다.
승강장치(201), 조명소자(220), 제어장치(204)는, 각각의 안테나에 의하여, 제어장치(204)와 승강장치(201) 및 조명소자(220) 사이에, 1 대 1의 무선접속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4)를 조작함으로써, 승강장치(201)에 대하여, 조명소자(220)를 하강시키는 지시신호를 단독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204)를 조작함으로써, 승강장치(201)를 통하지 않고, 조명소자(220)에 대하여, LED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지시신호를 단독으로 송신할 수 있다.
[2. 승강장치]
(제1 실시형태)
도 6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승강장치(300)는, 케이스체(301)에, 전동모터(302)에 접속된 릴(303)을 구비하고, 상부 케이스체 커버(301a)로 덮고 있다. 케이스체(301)는, 연직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 케이스체(301b)의 내부에, 승강제어부, 리셋 스위치, 카운터부, 및 전원부를 내장하고 있다. 케이스체(301)의 상면에는, 서스펜션 바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04)와, 낙하방지용 설치후크(305)를 구비한다. 피승강물로서 조명소자(120)에 접속된 릴선(306)은, 하부 케이브체(301b)의 하면 개구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리셋 스위치와 하부 케이스체(301b)의 내부를 통과하여, 가이드링(307)을 통하여, 릴(303)의 표면(권취면)에 감긴다.
릴(303)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방향이 케이스체(301)의 길이방향(연직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릴(303)은, 전동모터(302)와 연결되고, 전동모터(302)의 회전에 의하여 원통형의 중심축 둘레를 회전한다. 가이드나사(308)와 가이드봉(309)은, 그 길이방향이 릴(30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나사(308)는, 릴(303)의 회전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7에, 제1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링의 구성을 나타낸다. 가이드링(307)은, 그 축구멍(307a)에 가이드나사(308)가 삽입통과되고, 가이드나사(308)의 회전에 추종하지 않도록, ㄷ자 부재(307b)에 가이드봉(309)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307)은, 가이드나사(308)의 회전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가이드링(307)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풀리(307c)가 내삽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체(301b)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릴선(306)은, 풀리(307c)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릴(303)의 권취면에 감긴다.
릴(303)이 1회전할 때마다, 릴선(306)의 직경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가이드링(307)이 이동하도록, 가이드나사(308)에 나사가 절삭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서, 릴(303)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릴선(306)이 감겨, 릴(303)이 1회전할 때마다 릴(303)의 권취면에 한 겹으로 감기거나, 또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릴선(306)이 순서대로 풀린다.
릴선(306)은, 선단에 커넥터(310)를 가지고, 커넥터(310)를 통하여 조명소자(120)를 설치한다. 릴선(306)의 선단에 설치된 조명소자(120)는, 승강장치(300)의 하방으로 매달리며, 릴선(306)이 릴(303)에 감기고, 그리고 풀리는 것에 의하여 승강한다. 릴선(306)은, 승강제어부와 조명소자(120)의 조명제어부를 접속하는 제어선, 및 승강장치(300)의 전원부와 조명소자(120)의 전원부를 접속하는 전원선을 내삽한 케이블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꼬임선과 실드선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1쌍 2선을 제어선으로서 사용하고, 나머지 1선과 실드선을 전원선으로서 사용한다. 3선을 RGB로 할당하고, 실드선을 공용의 리턴선으로 하여서, 전원공급과 제어를 겸비한 3선 제어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복수의 릴선으로 하나의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1개의 릴선은 제어선과 전원선으로서 사용하고, 다른 릴선은 2쌍의 전원선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피승강물에 대한 공급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선과 전원선과 공용의 리턴선의 3선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2쌍의 꼬임쌍선을 포함하는 4선의 케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고, 릴선(306)의 배선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주(313a, 313b)와, 가이드나사(308)로부터 릴(303)을 사이에 끼우고 반대측에 배치된 권취가이드(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그 길이방향이 릴(30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취가이드의 구조, 기능은, 이하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다.
승강장치(300)의 승강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메모리 등을 가지고, 제어장치(104)로부터의 지시신호에 근거하여, 승강장치(300) 내부의 제어를 행하며, 상태 데이터를 제어장치(104)에 송신한다. 또한, 조명소자(피승강물)에 대한 지시신호에 대하여는, 제어선을 통하여 조명소자의 조명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때, 상술한 배선의 구성에 적합한 지시신호로 변환하거나, 피승강물의 구성에 따라서 신호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도 8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승강장치(330)는, 케이스체(331)에, 전동모터(332)에 접속된 릴(333)을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체 커버(331a)로 덮고 있다. 케이스체(331)는, 연직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 케이스체(331b)의 내부에, 승강제어부, 카운터부, 및 전원부를 내장하고 있다. 케이스체(331)의 상면에는, 서스펜션 바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34)와, 낙하방지용 설치후크(335)를 구비한다. 피승강물로서 조명소자(120)에 접속된 릴선(336)은, 하부 케이스체의 하면의 개구로부터, 리셋 스위치(348)를 통과하여, 풀리(341, 342)와 가이드링(337)을 통하여, 릴(333)에 감긴다.
릴(333)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방향이 케이스체(331)의 길이방향(연직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릴(333)은, 전동모터(332)와 연결되고, 전동모터(332)의 회전에 의하여 원통형의 중심축의 둘레를 회전한다. 가이드나사(338)는, 그 길이방향이 릴(33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나사(338)는, 릴(33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지주(343a, 343b)와 권취가이드(344)가, 그 길이방향이 릴(33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취가이드(344)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회전체이며, 원통형의 중심축의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한다. 권취가이드(344)의 원주면은, 스폰지, 수지, 또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고, 릴(333)에 감긴 릴선(336)과 접촉한다. 릴(333)의 회전에 의하여, 릴(333)에 감긴 릴선(336)과 접촉한 권취가이드(344)는, 릴선(336)을 릴(333)의 권취면에 누르면서, 릴(333)과 역회전한다.
도 9에, 제2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링의 구성을 나타낸다. 가이드링(337)은, 가이드블록(345)의 축구멍에 가이드나사(338)가 삽입통과되고, 가이드나사(338)의 회전에 추종하지 않도록, 가이드블록(345)의 측면이 케이스체(331)의 내면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337)은, 가이드나사(338)의 회전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가이드링(337)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풀리(346)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342)를 통과하여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릴선(336)은, 풀리(346)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며, 릴(333)의 권취면에 감긴다.
릴(333)이 1회전할 때마다, 릴선(336)의 직경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가이드링(337)이 이동하도록, 가이드나사(338)에 나사가 절삭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서, 릴(333)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릴선(336)이 감겨, 릴(303)이 1회전할 때마다 릴(333)에 한 겹으로 감기거나, 또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릴선(336)이 순서대로 풀린다. 가이드링(337)은, 릴선 고정부(347)를 가지고, 릴(333)에 감기는 릴선(336)이 정렬하도록, 릴선(336)을 연직방향 하방(도 9에서는 아랫방향)으로 누르는 역할을 다한다.
제2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에 따르면, 릴선(336)을 릴(333)에 한 겹으로 감을 때, 권취가이드(344)와 릴선 고정부(347)에 의하여, 치밀하게, 보다 정밀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을 소형화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케이스체(331)의 수평면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바톤에 현가할 때, 승강장치의 간격을 긴밀하게 할 수 있어, 보다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다.
릴선(336)은, 선단에 커넥터(340)를 가지고, 커넥터(340)를 통하여 조명소자(120)를 설치한다. 릴선(336)의 선단에 설치된 조명소자(120)는, 승강장치(330)의 하방에 매달리며, 릴선(336)이 릴(333)에 감기고, 그리고 풀리는 것에 의하여 승강한다. 릴선(336)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선과 전원선을 내삽한 2쌍 4선의 케이블이다.
(제3 실시형태)
도 10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승강장치(360)는, 케이스체(361)에, 전동모터 및 카운터부를 내장한 릴(363)을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체 커버(361a)로 덮고 있다. 케이스체(361)는, 연직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 케이스체(361b)의 내부에, 승강제어부 및 전원부를 내장하고 있다. 케이스체(361)의 상면에는, 서스펜션 바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64)와, 낙하방지용의 설치후크(365)를 구비한다. 피승강물로서 조명소자(120)에 접속된 릴선(366)은, 하부 케이스체의 하면의 개구로부터, 리셋 스위치(378)을 통과하여, 풀리(371, 372)와 가이드링(367)을 통하여, 릴(363)의 권취면에 감긴다.
릴(363)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방향이 케이스체(361)의 길이방향(연직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릴(363)은, 내장하는 전동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원통형의 중심축 둘레를 회전한다. 가이드나사(368)는, 그 길이방향이 릴(36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나사(368)는, 릴(36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지주(373a, 373b)와 권취가이드(374)가, 그 길이방향이 릴(36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취가이드(374)의 구조, 기능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가이드링(367)은, 도 9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가이드링과 동일하다.
도 11에, 제3 실시형태의 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릴(363)은, 케이스체(361)에 설치된 상부지지판(375)과 하부지지판(376) 사이에 설치되고, 릴선 권취면(363a), 상부감합판(363b), 및 하부감합판(363c)에 의하여 구성된다. 릴(363)의 내부는, 연직방향으로 실장하였을 때, 상부로부터 카운터부, 모터부, 및 릴선 접속부가 내장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의 릴 내부의 접속을 설명한다. 도 12는, 접속 관계가 알기 쉽도록, 일부의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간소화한 표현에 의하여 나타나고 있다. 상부지지판(375)과 릴(363)의 상부감합판(363b) 사이에는, 지지기대(375a)에 고정된 베어링(377)이 삽입되어 있다. 상부감합판(363b)과 베어링(377)은, 릴(363)의 중심축의 둘레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부를 관통하여 지주(381a, 381b)에 의하여, 카운터부 지지판(382)이 상부지지판(375)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지주(383a, 383b)에 의하여 모터부 상부지지판(384)이 카운터부 지지판(382)에 고정되고, 지주(385a(도시를 생략), 385b)에 의하여 모터부 하부지지판(386)이 모터부 상부지지판(384)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모터(362)는, 모터부 상부지지판(384)과 모터부 하부지지판(386) 사이에 고정되고, 한쪽 회전축(362a)이 커플링(387)을 통하여 릴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다른 쪽 회전축(362b)이 카운터부의 코드휠(390)에 접속되어 있다. 커플링(387)은, 릴선 접속부 지지판(388)과 지주(389a, 389b)를 통하여 하부감합판(363c)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동모터(362)는, 상부지지판(375)에 의하여 케이스체(361)에 고정되고, 하부감합판(363c)에 고정된 릴(363)을 회전시키게 된다.
카운터부에는, 코드휠(390)을 협지하도록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쌍이 된 검출회로(391)가 카운터부 지지판(382)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회로(391)는, 전동모터(362)의 회전에 따른 릴(363)의 회전각을 카운트하므로, 릴의 회전수와 회전각으로부터, 릴에 의하여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릴선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동모터(362)로의 전원선과 제어선, 및 검출회로(391)로부터의 신호선은, 상술한 상부감합판(363b)과 베어링(377)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부지지판(375)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체(361a)의 승강제어부, 전원부에 접속되어 있다.
릴선 접속부에는, 릴(363)의 릴선 권취면(363a)에 감기는 릴선(366)의 말단이,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기판(392)에 접속되고, 베어링(393a)의 내측에 내삽되어 있는 슬라이딩 이동 전극에 접속된다. 베어링(393a)은, 지지기대(376a)에 고정된 베어링(393b)과 대향하고, 각각 내삽된 슬라이딩 이동 전극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릴선(366)에 내삽되어 있는, 조명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조명소자(120)를 제어하는 제어선을 상부 케이스체(361b)의 내부의 승강제어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장치에 의하면, 전동모터 및 카운터부를 릴(363)에 내장하였으므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케이스체(361)의 연직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승강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승강장치의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서스펜션 바톤에 현가하는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승강장치에 공통하여 실장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셋 스위치는, 승강장치의 하부 케이스체의 하면의 개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리셋 스위치는, 릴선 및 커넥터가 삽통할 뿐인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릴선을 릴에 감고, 피승강물을 끌어 올려가면, 피승강물이 리셋 스위치의 관통구멍에 닿아, 그 이상은 끌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리셋 스위치는, 피승강물이 관통구멍에 맞닿은 상태를 검출한다.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따른 연출시에는, 최초로, 승강장치에 피승강물을 현가한 상태에서, 제어장치에서 승강장치를 제어하고, 일단 피승강물을 리셋 스위치가 검출할 때까지 끌어 올린다. 제어장치는, 리셋 스위치가 검출한 위치를 기준점(예를 들어, 릴선의 길이(L)=0m)으로 하고, 그 후의 승강장치에 따른 피승강물의 상하 이동의 기준으로 한다.
[3. 피승강물]
(LED 볼)
도 13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볼의 외관을 나타낸다. LED 볼(400)은,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실장기판(401)을 연결하여, 축구공과 같은 구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각각의 기판표면에는, LED칩(402)이 실장되고, 더욱이 기판의 이면, LED칩(402)의 이면측에는, 조명제어부 및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IC칩이 실장되어 있다. 조명제어부에 접속되는 제어선 및 전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은, 커넥터(403)를 통하여, 릴선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볼)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미러)
도 14에, 피승강물인 미러를 나타낸다. 반사부재인 미러(410)는, 아크릴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양면거울(414)이다. 양면거울(414)의 외주의 3점에는, 커넥터(413a~413c)에 접속된 현가선(15a~415c)이 설치되어 있다. 미러(410)에는 조명소자는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넥터(413)에 접속되는 릴선은, 미러(4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현가선으로서만 이용된다. 이러한 미러를, 조명장치의 일부로서 이용한 연출방법에 대하여 후술한다.
한편, 현가선(415)의 커넥터(413)에, 리셋판(416)이 설치되어 있다. 리셋판(416)은, 상술한 리셋 스위치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는 임의의 형상의 플레이트이다.
(LED 탑재 미러)
도 15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탑재 미러를 나타낸다. LED 탑재 미러(420)는, 아크릴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양면거울(424)과, 그 외주에 설치된 도너츠 형상의 실장기판(421)을 구비한다. 실장기판(421)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칩(422)이 실장되고, 더욱이 기판의 이면, LED칩(422)의 이면측에는, 조명제어부 및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IC칩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실장기판(421)의 이면에는, IC칩과 나란히, LED칩을 더 실장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탑재 미러)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6에, 미러 및 LED 탑재 미러와 승강장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미러(410) 및 LED 탑재 미러(420)는, 3대의 승강장치(101a~101c)를 트러스(truss) 구조의 빔(beam)에 설치한 복합승강장치(107)를 사용하고, 하나의 미러(410) 또는 LED 탑재 미러(420)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미러(140) 및 LED 탑재 미러(420)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시키거나, 도 16과 같이, 미러의 법선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바꾸면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LED 바)
도 17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바를 나타낸다. 도 17의 (a)는, LED 바(430)의 외관도이고, 도 17의 (c)는, LED 바(430)의 단면도이다. LED 바(430)는, 투명한 아크릴제의 파이프(435)의 내부에 실장기판(431)을 구비하고, 파이프(435)의 양단부에 커넥터(433a, 433b)가 설치되어 있다. LED 바(430)의 길이는, 30cm에서 2m 정도이다. 실장기판(431)의 표면에는, LED칩(432)이 실장되고, 더욱이 기판의 이면, LED칩(432)의 이면측에는, 조명제어부 및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IC칩(434)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실장기판(431)의 이면에는, IC칩(434)과 나란히, LED칩을 더 실장할 수도 있다.
도 17의 (d)는, LED 바(430)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LED 바(430)의 양단을 승강장치에 현가하였을 때, 장척의 바에 있어서는, 연직방향으로 휘어짐이 발생한다. 그래서, H형강과 같은 단면 형상의 파이프(436)를 사용하고,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부재에 대하여, 연직방향의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있다.
LED 바(430)는, 2개의 릴선에 의하여 승강시키므로, 1개의 릴선은 제어선과 전원선으로서 사용하고, 다른 릴선은 2쌍의 전원선으로서 사용함으로써, LED칩으로의 전력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도 17의 (b)는, LED 바(440)의 외관도이고, 커넥터(443)를 1곳에만 설치한 경우의 구성이다. LED 바(440)는, 1대의 승강장치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LED 바(430)와 비교하여 LED칩의 수는 절반이 된다. 즉, 바의 길이가 동일하면, LED 바(430)가 고밀도로 LED칩을 탑재할 수 있다.
한편, LED칩의 고밀도 실장에 따른 열대책을 위하여, 파이프(435, 436)의 여러 곳에 구멍을 뚫어 둘 수 있다. 방열구멍은, 바의 휘어짐이 증대되지 않도록, 바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파이프(435, 436)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정도의 수만 뚫어 둔다.
도 18에, LED 바와 승강장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LED 바(430)는, 2대 1세트의 승강장치(101a~101b)를 사용하여 상하 이동시킨다. LED 바(430)는, 무대의 안쪽방향으로 평행하게 현가된다. 따라서, LED 바(430)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시키거나, 경사각도를 바꾸면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실장기판(431)의 표면 및 이면에 실장된 LED칩(432)으로부터의 빛을, 무대 앞면에서 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바(430, 440))의 조명제어부(121)(IC칩(43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
도 19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표시패널을 나타낸다. 표시패널(45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강재로 구성되는 프레임틀(454)에 의하여 사변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틀(454)은, 1m×2m 정도의 크기이다. 프레임틀(454)의 윗변에서 아랫변을 향하여, 복수의 LED 바(455)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LED 바(455)는, 도 17에 나타낸 LED 바의 본체와 동일하다.
프레임틀(454)의 네 귀퉁이에는 커넥터(도면에서는 이면에 설치)가 설치되고, 4대 1세트의 승강장치를 사용하여 상하 이동시킨다. 따라서, 표시패널(450)의 경사각도를 바꾸면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표시패널(450))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 전광게시판과 같이, 표시패널(450)에 임의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LED 크리스탈)
도 20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크리스탈을 나타낸다. LED 크리스탈(460)은, 크리스탈 또는 아크릴제의 복수의 커팅글라스(464a~464e)와, 도 13에 나타낸 복수의 LED 볼(465a~465d)을 일련의 케이블에 설치한 라인파츠이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볼(465a~465d))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LED 어스)
도 21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어스를 나타낸다. LED 어스(470)는, 복수의 반원호 상의 실장기판(471)을 프레임틀(474)에 설치하고, 그 외관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기판표면에는, LED칩(472)이 실장되고, 더욱이 기판의 이면, LED칩(472)의 이면측에는, 조명제어부 및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IC칩이 실장되어 있다. LED칩(472)은, 기판에 실장하였을 때, 측면에서 발광하는 가로배치 LED이다.
한편, 실장기판(421)의 이면에는, IC칩과 나란히, LED칩을 더 실장할 수도 있다. 조명제어부에 접속되는 제어선 및 전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은, 커넥터(473)를 통하여, 릴선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어스)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22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어스를 나타낸다. LED 어스(48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도너츠 형상의 실장기판(481)을 프레임틀(484)에 설치하고, 그 외관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1의 LED 어스에서는, LED칩이 경도선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는데, 도 22의 LED 어스에서는, LED칩(482)이 위도선을 따라서 배열되게 된다. LED칩(482)도 가로배치 LED이다.
도 13에 나타낸 LED 볼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점광원으로 보이는 것에 대하여, LED 어스는, 매우 조도가 큰 빛나는 구체로 보인다.
(LED 벌룬)
도 23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벌룬을 나타낸다. LED 벌룬(485)은, 벌룬 케이스(487)의 내부에, 커넥터(488)에 접속된 LED 볼(486)(도 13에 나타낸 LED 볼)을 설치한 조명소자이다. 벌룬 케이스(487)는, 투명, 반투명, 채색한 투광부재로 이루어지고, 경량화를 위하여, 예를 들어 실리콘 재료가 이용된다. 벌룬 케이스(487)의 형상은, 도면에서는 구형인데, 상자형, 계란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LED 볼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점광원으로 보이는 것에 대하여, LED 벌룬은, 전구와 닮은 비교적 큰 빛나는 구체로 보인다. 단, 벌룬 케이스(487)에 의하여, LED 어스나 LED 볼과 비교하면, 조도는 낮아져 버리므로, 사용하는 연출방법이 한정된다.
(LED 트라이앵글)
도 24에, 피승강물인 조명소자의 LED 트라이앵글을 나타낸다. LED 트라이앵글(490)은, 외형이 정삼각형의 실장기판(491)의 표면에, 복수의 LED칩(492)이 실장되어 있다. 실장기판(491)의 크기는, 한변이 60cm 정도이다. 복수의 LED칩(492)은, 실장기판(491)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간극에는 복수의 개구부(494)가 설치되어 있다. LED 트라이앵글과 같은 평판을, 승강장치에 의하여 고속으로 수평으로 상하 이동시키면, 공기저항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LED 트라이앵글을 경사지게 한 상태로 상하 이동시키면, 양력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래서, 실장기판(491)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개구부(494)를 설치하고, 공기저항을 경감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기판의 이면, LED칩(492)의 이면측에는, 조명제어부 및 전원부로서 기능하는 IC칩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실장기판(421)의 이면에는, IC칩과 나란히, LED칩을 더 실장할 수도 있다. 조명제어부에 접속되는 제어선 및 전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은, 커넥터(493a~493c)를 통하여, 릴선에 접속되어 있다.
LED 트라이앵글과 승강장치의 접속은, 도 16에 나타낸 미러(410)를, LED 트라이앵글(490)로 바꾸면 된다. LED 트라이앵글(490)은, 3대 1세트의 승강장치(101a~101c)를 사용하여, 하나의 LED 트라이앵글(490)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LED 트라이앵글(490)을 실장기판의 법선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바꾸면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LED 트라이앵글(490)은, 3개의 릴선에 의하여 승강시키므로, 1개의 릴선은 제어선과 전원선으로서 사용하고, 다른 2개의 릴선은, 각각 2쌍의 전원선으로서 사용함으로써, LED칩으로의 전력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삼차원 연출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LED 트라이앵글)의 조명제어부(121)(IC칩)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4. 삼차원 연출방법]
(승강장치, 피승강물의 기본제어)
도 25는, 승강장치와 피승강물의 기본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서, 제어장치(104)로부터 승강장치(101)와 조명장치(120)를 제어하는 기본적인 흐름을, 유선제어방식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미리 정해진 연출방법의 순서에 따라서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실행명령,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외부입력에 근거하는 입출력부(142)로부터의 실행명령을 입력하면(단계 S501), 장치제어부(141)는, 제어대상이 되는 장치를 식별하여(단계 S502) 지시신호를 생성한다. 지시신호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연출 데이터, 승강장치 데이터(145) 및 조명장치 데이터(146)를 참조하여 생성되고, 피승강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신호, 피승강물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신호(여기에서는, 조명소자의 발광상태를 결정하는 조광신호)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특정의 조명소자(120)의 위치를, 승강장치로부터 릴선(106)의 길이(L)=3m만큼 하강시킨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행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대상이 되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에 지시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03).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는, 모터부(112)를 제어하여 카운터부(115)에서 산출된 릴선의 길이를 모니터링하면서, 조명소자(120)를 하강시켜 간다. 카운터부(115)에서 산출된 릴선의 길이가 3m에 도달하면, 승강제어부(111)는, 릴부(113)의 회전을 멈추고, 장치제어부(141)에, 조명소자(120)를 소정의 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504).
장치제어부(141)는, 상태 데이터(조명소자(120)의 위치)를 메모리(144)의 승강장치 데이터(145)에 저장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승강장치 데이터(145)를 갱신한다(단계 S505).
예를 들어, 특정의 조명소자(120)를 소정 밝기의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실행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대상이 되는 승강장치(101)의 승강제어부(111)를 통하여, 조명소자(120)의 조명제어부(121)에 지시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06). 조명소자(120)의 조명제어부(121)는, LED부(122)를 제어하여 소정의 LED를 점등시킨다. 조명제어부(121)는, 장치제어부(141)에 점등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507).
장치제어부(141)는, 승강장치(101)를 통하여 수신한 상태 데이터를 메모리(144)의 조명장치 데이터(146)에 저장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조명장치 데이터(146)를 갱신한다(단계 S508).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실행명령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단계 S509), 실행명령을 순차 실행하여 간다.
제어장치(104)는, 승강장치(101)와 조명소자(120)를 순차 제어하고, 미리 결정된 연출방법의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각각의 조명소자의 위치, 발광상태를 설정해 간다. 이렇게 하여서, 복수의 조명소자 등의 피승강물을 동기 제어하고, 무대 상에 조명에 의한 삼차원 연출을 실행한다. 이하, 구체적인 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브젝트 생성)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볼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삼차원 연출시스템의 서스펜션 바톤(103)은, 우물정자 형상을 가지고, 조명소자(120)로서 도 13에 나타낸 LED 볼을 현가하는 복수의 승강장치(101)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무대의 크기에 맞추어, 5×20=100대 정도에서 20×40=800대 정도의 승강장치 및 LED 볼을 현가한다.
제어장치(104)의 장치제어부(141)에는, 제어 프로그램과 도 27에 나타내는 연출 데이터가, 메모리(144)에 저장되어 있다. 특정의 조명소자(LED 볼)(LED1)는, 시각 1에 있어서, 릴선(106)의 길이(L)=3m, 전체 점등 상태이며, 시각 2에 있어서, 릴선(106)의 길이(L)=2m, 조도를 떨어뜨린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LED 볼의 승강상태 및 점등상태가 시계열로 규정되어 있다. 장치제어부(14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연출 데이터로부터 승강장치 데이터(145)와 조명소자 데이터(146)를 형성하고, 연출 데이터의 시각에 따라서, 지시신호를 생성하며, 승강장치(101) 및 조명소자(120)로 송신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조명소자(12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삼차원의 공간에 점재하는 LED 볼의 광점에 의하여, 객석에서 무대를 보면, 임의의 형상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샹들리에와 같이)가 형성된다. 정지된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LED 볼을 시계열로 상하 이동시키고, 움직이는 오브젝트(예를 들어, 물결치는 빛의 융단과 같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LED 볼 대신에, 도 12, 도 22에 나타낸 LED 어스, 도 23에 나타낸 LED 벌룬을 현가하여 연출하여도 좋다. 객석에서 무대를 보면, LED 볼은 하나의 광점으로 보이는데, LED 어스나 LED 벌룬은, 비교적 큰 빛나는 구체로 보이므로, 오브젝트 형성과는 다른 연출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LED 어스의 각각의 LED칩을 제어하면, 다른 색상의 2개의 반구를 결합한 빛나는 구체를 표현하거나, 미러볼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다.
(미러 연출)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29에,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복합승강장치(107a~107e)에는, 각각 도 14에 나타낸 미러(410a~410e)가 현가되어 있다(하나의 미러를 3개의 릴선으로 현가하는데, 도면에서는 1개로 생략하여 나타냄, 이하, 도 33까지 동일). 복합승강장치의 바로 밑, 즉 미러 바로 밑의 무대 위 또는 무대에 매립되는 형태로 투광장치(108a~108e)가 설치되어 있다.
투광장치는, LED, 백열구 등의 광원의 빛을 렌즈에 의하여 평행광으로 집광한 스포트라이트, 또는 레이저 투광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미러와 투광장치의 동기제어는, 제어장치(104)로부터 조명장치의 제어콘솔에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행한다. 또는, 제어장치(104)와 조명장치의 제어콘솔을 겸하는 공통제어콘솔로부터 동기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도시를 생략, 이하, 도 33까지 동일)로부터, 복합승강장치(107a)의 각각의 승강장치를 제어하고, 미러(410a)를 임의의 높이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한다. 투광장치(108a)로부터 미러(410a)에 광빔을 조사하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각도에 따라서 광빔이 반사된다. 객석에서 무대를 보면, 무대 상의 중공의 1점(미러)으로부터 스포트라이트가 조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실제 빛은 무대의 아래에서 조사되고 있지만, 무대를 보고 있는 관객에게는, 미러로부터 빛이 조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도 29에서는, 정지된 상태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제어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각 미러의 상하위치와 각도를 시계열적으로 바꿈으로써,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각도를 향하여 광빔이 조사된다.
도 30에,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는, 미러(410a)에 대하여, 바로 밑에 설치된 투광장치(108a)로부터 광빔을 조사하였다. 즉, 투광장치(108a)와 미러(410a)가 1 대 1로 대응한다. 실시예 2에서는, 미러(410a)에 대하여, 이웃하는 투광장치(108b)로부터 광빔을 조사하는 등, 미러와 투광장치의 대응을 임의로 설정한다. 미러는, 3대의 승강장치에 의하여 현가되어 있으며, 설정 가능한 미러의 각도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바로 밑의 투광장치로부터의 광빔만으로는, 광빔의 반사각도에도 제한이 있다. 그래서, 바로 및의 투광장치 이외의 투광장치로부터, 각도를 주어 미러에 조사함으로써, 광빔의 반사각도를 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미러(410)의 움직에 맞추어, 투광장치(108)의 조사방향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양자의 동기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제어장치(104)와 조명장치의 제어콘솔을 겸한 공통제어콘솔로부터의 제어가 바람직하다.
도 31에,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실시예 3에서는, 복합승강장치(107)의 3대의 승강장치 사이, 즉 빔의 중심에도 투광장치를 설치해 둔다. 제어장치로부터, 복합승강장치(107a)의 각각의 승강장치를 제어하고, 미러(410a)를 임의의 높이로 수평으로 설정한다. 투광장치(108a)로부터 미러(410a)에 광빔을 조사하고, 복합승강장치(107a)의 투광장치로부터도 광빔을 조사한다.
투광장치(108a)의 광빔의 색상과, 복합승강장치(107a)의 투광장치로부터의 광빔의 색상을 바꾸어 두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무대 상의 중공의 1점(미러)을 경계로 상하로 색상이 다른 빛의 기둥이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더불어, 미러의 각도를 바꾸면, 상이한 색상의 광빔이 180도 반전된 방향으로 각각 반전되고,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무대 상의 중공의 1점(미러)으로부터 2색의 스포트라이트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조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도 32에,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4를 나타낸다. 실시예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광장치(108a~108e)를, 미러 바로 밑의 무대 위 또는 무대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4에서는, 미러 바로 밑이 아니고, 무대 앞면의 윙(Wing) 아래에 투광장치(108a~108e)를 설치하고, 각각 미러에 광빔을 조사한다. 더욱이, 투광장치를, 객석 내에 설치하거나, 객석 옆의 벽면, 무대 상의 서스펜션 바톤(103)과는 떨어진 천장부분 등에 설치하고, 미러에 광빔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도, 미러(410)와 투광장치(108)의 동기제어가 필요하며, 제어장치(104)와 조명장치의 제어콘솔을 겸한 공통제어콘솔로부터의 제어가 바람직하다.
도 33에, 미러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5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로부터, 복합승강장치(107a)의 각각의 승강장치를 제어하고, 미러(410a)를 임의의 높이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한다. 더욱이, 복합승강장치(107f)의 각각의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미러(140f)를 임의의 높이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한다. 투광장치(108a)로부터 미러(410a)에 광빔을 조사하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러(410a)에서 반사된 후, 다시 미러(410f)에서 반사된다.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무대 상의 중공의 1점(미러(410a))으로부터 조사된 스포트라이트가, 다른 1점(미러(410f))에서 각도를 바꾸어 조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하여서, 굴절된 다양한 형태의 광빔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미러(410)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는데, 이것 대신에, 도 15에 나타낸 LED 탑재 미러(4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LED 탑재 미러(420)의 고리형상의 실장기판(421)에 실장된 LED칩(422)에 따른 빛의 고리와, 투광장치로부터의 광빔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이용하여, 연출의 베리에이션을 넓힐 수 있다.
(바 연출)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34에,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바톤(103)에 고정된 2대 1세트의 승강장치(101a~101b)를 사용하여, 도 17의 (a)에 나타낸 LED 바(430)를 현가한다. LED 바(430)는, 무대의 안쪽방향으로 평행하게 현가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04)로부터, 승강장치(101a~101b)의 각각을 제어하고, LED 바(430)를 임의의 높이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한다.
LED 바(430)의 실장기판(431)의 표면 및 이면에 실장된 LED칩(432)의 점등을 제어하고, 복수의 LED 바(430)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각도를 바꿈으로써,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복수의 빛의 막대가 공중을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 LED 바(430)의 각각의 LED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LED 볼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형상의 오브젝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바(430)를 평행하게 현가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낸 표시패널에 근사한 구성으로 하여서, 표시패널로서의 연출도 가능하게 된다.
도 35에,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는, 복수의 LED 바(430)를, 무대의 안쪽방향으로 평행하게, 무대의 앞면을 향하여 배치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우물정자 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 바톤(103)에, 무대의 앞면 방향뿐만 아니라, 무대의 양쪽 윙과, 무대의 배면을 합하여 4방향으로, 도 34에 나타낸 복수의 LED 바(430)의 세트를 4세트 설치한다.
복수의 LED 바(430)가 4방향으로 ㅁ자형으로 배치된다. 각 LED 바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임의의 형상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샹들리에와 같이)가 형성된다. 또한, ㅁ자형 중앙에, 무대 상의 실연자를 배치함으로써, 상연자를 둘러싸는 빛의 커튼을 연출할 수도 있다.
도 36에, 바를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도 17의 (b)에 나타낸 LED 바(440)를 복수 현가한다. 제어장치(104)로부터, 승강장치(101)의 각각을 제어하고, 블라인드 상의 빛의 커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바(440)를 평행하게 설정해 두면, 표시패널로서의 연출도 가능해진다.
실시예 2에서는, 도 17의 (b)에 나타낸 LED 바(440)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에 대신하여, 도 20에 나타낸 LED 크리스탈(46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LED 볼(465)에 의하여, LED 바(440)와 마찬가지의 연출이 가능한 동시에, 복수의 커팅글라스(464)에 의한 반사를 이용하여, 연출의 베리에이션을 넓힐 수 있다.
(표시패널 연출)
도 37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패널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37에, 표시패널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서스펜션 바톤(103)에 고정된 4대의 승강장치(101a~101d)를 사용하여, 도 19에 나타낸 표시패널(450)을 현가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04)로부터, 표시패널(450)의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디스플레이, 전광게시판과 같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450)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무대에서 보아 특정 객석 방향으로 표시패널(450)의 법선을 향하게 함으로써, 이 방향의 객석으로부터는, 표시패널(450)의 화상을 정면에서 볼 수 있다. 더욱이, 승강장치(101a~101d)의 각각을 제어하여, 표시패널(450)의 위치, 각도를 바꿈으로써, 표시패널(450)에 표시한 이차원의 오브젝트를, 표시패널(450) 평면에서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삼차원 공간에서 움직일 수도 있다.
표시패널(450)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LED 바(455)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LED 바는, 투명한 아크릴제의 파이프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표시패널로서도,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표시패널(450)의 각 LED를 전체 점등 상태로, 광량이 충분하다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표시패널의 배후에 있는 것,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표시패널(450)의 각 LED를 소등하면, 배후의 아티스트가 보이게 되므로, 빛에 의한 커튼을 연출할 수 있다.
도 38에, 표시패널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4장의 표시패널(450a~450d)을 이용함으로써, 표시패널로서의 표시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각각의 표시패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깊이감이 있는 영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무대배경으로서, 복수의 표시패널을 이용하면, 무대 씬마다 영상을 즉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의 대도구의 대체로 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LED 트라이앵글을 이용한 삼차원 연출방법을 설명한다. 복합승강장치(107)에는, 각각 도 24에 나타낸 LED 트라이앵글(490)이 현가되어 있다. 서스펜션 바톤(103)에 고정된 복수의 복합승강장치(107)를 사용하여, LED 트라이앵글(490)이 평면 트러스를 구성하도록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04)로부터, 각각의 LED 트라이앵글(490)의 각각의 LED칩의 발광, 소광, 조도, 색상의 제어를 행한다.
도 13에 나타낸 LED 볼(400)이, 빛의 점을 표시하고, 도 19에 나타낸 표시패널(450)은, 1m×2m 정도의 이차원 평면 상에 다수의 광점을 표시한다. 이에 대하여, LED 트라이앵글(490)은, 한 변이 60cm인 정삼각형상의 실장기판(49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점의 수는 수십 정도이다. 따라서, LED 볼을 이용한 연출과 같이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표시패널을 이용한 연출과 같이 액정디스플레이처럼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3에 나타낸 LED 볼(400)이나 도 19에 나타낸 표시패널과 비교하면, 일정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는 LED칩의 수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밝은 연출, 보다 치밀한 오브젝트 생성이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무대 상에서의 실연중(예를 들어, 막간 등)에, 피승강물을 교환하는 것은, 실제로는 어렵다. 따라서, LED 트라이앵글(490)을 이용함으로써, LED 볼(400)과 표시패널(450)을 겸비한 연출을 행할 수 있어, 피승강물의 교환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5. 기타 응용]
본 실시형태에서는, 극장, 콘서트홀 또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등에 있어서, 조명소자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한 삼차원 연출을 예로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승강장치는, 복수의 조명소자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스피커 등의 음향기재, 소도구, 대도구 등을 현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미러의 예를 설명한 것과 같이, 조명소자와 다양한 피승강물을 조합하여, 빛에 의한 삼차원 연출을 조합한 다양한 연출을 실행할 수 있다.
103: 서스펜션 바톤
106, 306, 336, 366: 릴선
107: 복합승강장치
108: 투광장치
120: 조명소자
217, 224, 247: 안테나
300, 330, 360: 승강장치
301, 331, 361: 케이스체
302, 332, 362: 전동모터
303, 333, 363: 릴
304, 334, 364: 설치부
305, 335, 365: 설치후크
307, 337, 367: 가이드링
308, 338, 368: 가이드나사
309: 가이드봉
310, 340, 370, 403, 413, 423, 433, 443, 463, 473, 483, 488, 493: 커넥터
341, 342, 346, 371, 372: 풀리
313, 343, 373, 381, 383, 385, 389: 지주
344, 374: 권취가이드
345: 가이드블록
347: 릴선 고정부
348, 378: 리셋 스위치
375: 상부지지판
376: 하부지지판
377, 393: 베어링
382: 카운터부 지지판
384: 모터부 상부지지판
386: 모터부 하부지지판
387: 커플링
388: 릴선 접속부 지지판
390: 코드휠
391: 검출회로
392: 접속기판
400. 465, 486: LED 볼
401, 421, 431, 471, 481, 491: 실장기판
402, 422, 432, 472, 482, 492: LED칩
410: 미러
414, 424: 양면거울
415: 현가선
416: 리셋판
420: LED 탑재 미러
430, 440, 455: LED 바
434: IC칩
435, 436: 파이프
450: 표시패널
454, 474, 484: 프레임틀
460: LED 크리스탈
464: 커팅글라스
470, 480: LED 어스
485: LED 벌룬
487: 벌룬 케이스
490: LED 트라이앵글
494: 개구부

Claims (1)

  1.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로서, 복수의 승강장치에 의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피승강물을 동기제어함으로써 삼차원 연출을 실행하기 위한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승강물을 승강시키는 릴선을 감거나 또는 푸는 릴과,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릴의 회전각을 카운트하여, 상기 릴에 의하여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릴선의 길이를 산출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피승강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신호와 상기 피승강물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지시신호를,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승강물을 소정의 위치로 승강시키며, 상기 기능제어신호를 상기 피승강물에 전송하는 승강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KR1020197030790A 2017-12-20 2018-12-20 무대연출 시스템 KR20190126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4404A JP6867032B2 (ja) 2017-12-20 2017-12-20 三次元演出方法、三次元演出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JPJP-P-2017-244404 2017-12-20
PCT/JP2018/047015 WO2019124501A1 (ja) 2017-12-20 2018-12-20 三次元演出方法、三次元演出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170A true KR20190126170A (ko) 2019-11-08

Family

ID=6699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790A KR20190126170A (ko) 2017-12-20 2018-12-20 무대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32283A1 (ko)
EP (1) EP3597279A1 (ko)
JP (1) JP6867032B2 (ko)
KR (1) KR20190126170A (ko)
CN (1) CN110017453A (ko)
TW (1) TW201932756A (ko)
WO (1) WO2019124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6144B2 (en) * 2017-01-03 2021-02-23 Nabile Lalaoua Multimedia stadium soccer goalpost and goal net display
JP7113240B2 (ja) * 2019-03-27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装置
JP6619903B1 (ja) * 2019-05-28 2019-12-11 株式会社Is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方法
WO2021022182A1 (en) * 2019-07-31 2021-02-04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Modularly configurable staging system and method
DE102021002027A1 (de) 2021-04-17 2022-10-20 Jürgen Roleder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und eine 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er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TWI808412B (zh) * 2021-04-27 2023-07-11 喬光科技股份有限公司 可動式音響系統
CN113521772A (zh) * 2021-07-15 2021-10-22 上海汇焰智能科技有限公司 吊点控制系统、控制方法及舞台设施
CN114034005B (zh) * 2021-08-20 2024-01-02 河南禾光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舞台用照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005A (ja) 1994-11-22 1996-06-07 R D S Kk 面状バトン装置
JPH11135270A (ja) 1997-08-29 1999-05-2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アリーナ照明姿勢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395A (ja) * 1985-10-31 1987-05-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JPH09120703A (ja) * 1995-10-25 1997-05-06 Sanko:Kk シャンデリア
JP5173231B2 (ja) * 2007-04-03 2013-04-03 株式会社Isa 三次元演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01661958U (zh) * 2010-02-24 2010-12-01 同济大学 一种可调控的伸缩式幻彩led灯
US20120018610A1 (en) * 2010-05-14 2012-01-26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ightlock winch
DK2466252T3 (da) * 2010-12-20 2013-07-29 Christopher Bauder Spil til tilvejebringelse af en forud bestemt længde af udrullet kabel
JP5705943B1 (ja) * 2013-10-18 2015-04-22 株式会社Isa 舞台演出装置及び舞台演出方法
CN105841034A (zh) * 2015-01-16 2016-08-10 Isa股份有限公司 舞台演出装置及舞台演出方法
JP6142374B1 (ja) * 2016-04-21 2017-06-07 株式会社Isa 照明昇降装置
KR101832790B1 (ko) * 2016-05-26 2018-02-27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스마트 조명 장치
CN206398662U (zh) * 2016-11-23 2017-08-11 广州市震泓光电科技有限公司 自动绕线电控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005A (ja) 1994-11-22 1996-06-07 R D S Kk 面状バトン装置
JPH11135270A (ja) 1997-08-29 1999-05-2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アリーナ照明姿勢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0946A (ja) 2019-07-11
JP6867032B2 (ja) 2021-04-28
EP3597279A1 (en) 2020-01-22
CN110017453A (zh) 2019-07-16
WO2019124501A1 (ja) 2019-06-27
US20200132283A1 (en) 2020-04-30
TW201932756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170A (ko) 무대연출 시스템
JP6671342B2 (ja) 周囲照明用の幅木照明装置
US66762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near effect
TWI557360B (zh) Stage performance device and stage performance method
US10883708B2 (en) LED bulb has multiple features
US20170299146A1 (en) A luminair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ask lighting and decorative lighting
JP6066376B1 (ja) 舞台演出システム及び舞台演出方法
JP6293052B2 (ja) 自動設定型省エネルギー照明システム
CN109328282B (zh) 照明装置
US201903908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N108291711A (zh) 照明装置
TWM585464U (zh) 空中燈光設備
EP1391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near effect
JP2010244840A (ja) 発光器具及び発光装置
KR101111251B1 (ko) 입체 형태 표시장치
CN104240571A (zh) 动态式发光顶棚演绎装置及动态式发光演绎室
CZ27227U1 (cs) Zavěšená pohyblivá sousta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