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976A - 흡음재 - Google Patents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976A
KR20190125976A KR1020197024620A KR20197024620A KR20190125976A KR 20190125976 A KR20190125976 A KR 20190125976A KR 1020197024620 A KR1020197024620 A KR 1020197024620A KR 20197024620 A KR20197024620 A KR 20197024620A KR 20190125976 A KR20190125976 A KR 2019012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rous layer
porous
sound absorption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호소다
가이 오카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32B2255/06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metal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8Rockwoo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07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4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4Inorganic
    • B32B2266/04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흡음재이며, 해당 제1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2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1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이다.

Description

흡음재
본 발명은,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흡음재로서, 종래, 글래스 울과 같은 섬유계 재료나 우레탄폼과 같은 발포 재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들은, 저주파의 흡음성이 나빠, 저주파에서 충분한 흡음을 얻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정된 두께의 재료로 저주파의 흡음을 행하기 위해서는, 공명(공진)에 의해 저주파의 흡음 효과를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명(공진)에 의해 저주파의 흡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판이나 막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슬릿이나 천공판을 사용하여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특히 슬릿이나 천공판을 사용하여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는 방법(특히, 천공판과 배후층의 조합)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공판은, 중량이 무겁다는 문제와, 형상 자유도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발포 플라스틱과 같은 다공 시트와 관통 구멍을 갖는 치밀 시트가 교대로 적층된 흡음재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흡음재에 있어서는, 비교적 두꺼운 치밀 시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주파의 흡음성과 경량성을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 특허 공고 평4-37994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흡음재이며,
해당 제1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2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1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이 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이 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다공층의 두께가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다공층의 두께가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본 발명의 흡음재에 있어서, 전체의 두께가 300mm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다공층의 두께를 D1이라 했을 때, 해당 제1 다공층이, 해당 제1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1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해당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상기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다공층의 두께를 D2라 했을 때, 해당 제2 다공층이, 해당 제2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2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해당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상기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천공층의 상기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다공층의 상기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음재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음재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음재의 몇몇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다공층이 구멍부를 갖는 경우의 몇몇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다공층이 구멍부를 갖는 경우의 몇몇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흡음재(1) 내지 (4)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8은, 흡음재(5) 내지 (8)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9는, 흡음재(C1)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10은, 흡음재(C2) 내지 (C5)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공층」이란, 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관통 구멍)을 갖는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층」이란, 복수의 공극(다공)을 갖는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으면, 임의의 적절한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다른 층은,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천공층, 제1 다공층, 제2 천공층, 제2 다공층은, 각각, 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여도 된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제1 천공층이 최외층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음재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흡음재(100)는, 제1 천공층(10A)과 제1 다공층(10B)과 제2 천공층(20A)과 제2 다공층(20B)을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제1 천공층(10A)과 제2 다공층(20B)이 최외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제1 천공층(10A) 및 제2 천공층(20A)이 갖는 관통 구멍, 제1 다공층(10B) 및 제2 다공층(20B)이 갖는 다공은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음재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흡음재(100)는, 제1 천공층(10A)과 제1 다공층(10B)과 제2 천공층(20A)과 제2 다공층(20B)을 갖는다. 도 2에 있어서, 제1 천공층(10A)과 제2 다공층(20B)이 최외층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1 천공층(10A)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a)을 갖는다. 도 2에 있어서, 제2 천공층(20A)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2a)을 갖는다. 제1 다공층(10B) 및 제2 다공층(20B)이 갖는 다공은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도 2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1a)과 관통 구멍(2a)은 평면으로 보아 모두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일부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모두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흡음재(100)는, 제1 천공층(10A)과 제1 다공층(10B)과 제2 천공층(20A)과 제2 다공층(20B)을 갖는다. 도 3에 있어서, 제1 천공층(10A)과 제2 다공층(20B)이 최외층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흡음재(100)는, 제1 천공층(10A)의 제1 다공층(10B)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20B)의 제2 천공층(20A)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3)을 복수 갖는다. 제1 다공층(10B) 및 제2 다공층(20B)이 갖는 다공은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전체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300mm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10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50mm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의 전체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박형의 흡음재가 되고, 박형 흡음재가 요구되는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00k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2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kg/㎥ 내지 150k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kg/㎥ 내지 100k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kg/㎥ 내지 50kg/㎥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의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보다 경량으로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도 4의 (a)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공층(10A)이 측면까지는 덮여 있지 않은 실시 형태여도 되고, 도 4의 (b)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공층(10A)이 측면의 도중까지 덮는 실시 형태여도 되고, 도 4의 (c)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공층(10A)이 측면 전체를 덮는 실시 형태여도 되고, 도 4의 (d)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공층(10A)이 측면 전체 및 배면의 일부를 덮는 실시 형태여도 되고, 도 4의 (e)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공층(10A)이 측면 전체 및 배면 전체를 덮는 실시 형태여도 된다. 또한, 도 4의 (b), 도 4의 (c), 도 4의 (d), 도 4의 (e)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분이나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분이 제1 천공층(10A)과는 다른 층인 실시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흡음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층에 의해 막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면은, 프레스 등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되어서 막혀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용도에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흡음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타이어용 흡음재, 특히 공동 공명음 대책으로서 채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용 흡음재로서 채용하는 경우에는, 200Hz 내지 300Hz의 영역에 있어서 우수한 흡음성을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용 흡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타이어에 있어서의 것보다 우수한 흡음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 도 4의 (c), 도 4의 (d), 도 4의 (e)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의 (c), 도 4의 (d), 도 4의 (e)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용 흡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1 천공층측과 제2 다공층측의 어느 것이 타이어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타이어에 있어서의 보다 우수한 흡음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다공층측이 타이어측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는, 타이어에 요구되는 사용 환경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온 환경에서의 사용이 적은 타이어에 대해서는, 아크릴계 양면 테이프 등을 들 수 있고, 저온 환경에서의 사용이 많은 타이어에 대해서는, 고무계 양면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아크릴계 양면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와 (메트)아크릴산과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아크릴계 양면 테이프(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양면 테이프 등)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아크릴계 양면 테이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6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하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아크릴계 양면 테이프가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있어서, 그것을 배접재(PET#25)에 접합한 시험편을, 온도 23℃, 습도 50% RH에서, 고무판(부틸 고무)에 2kg 롤러로 1왕복 압착시켜, 온도 100℃에서 30분간 양생한 후에, 해당 고무판으로부터 해당 시험편을, 온도 100℃에서, 박리 각도 180도,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점착력이, 바람직하게는 0.1N/20mm 내지 100N/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N/20mm 내지 50N/2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N/20mm 내지 30N/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N/20mm 내지 10N/2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N/20mm 내지 5N/20mm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고무계 양면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SIS 등)와 가교제(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고무계 점착제층을 갖는 고무계 양면 테이프(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층/부직포/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테이프 등)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고무계 양면 테이프의 상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6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하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의 고무계 양면 테이프가 갖는 고무계 점착제층에 있어서, 그것을 배접재(PET#25)에 접합한 시험편을, 온도 23℃, 습도 50% RH에서, 고무판(부틸 고무)에 2kg 롤러로 1왕복 압착시켜, 온도 100℃에서 30분간 양생한 후에, 해당 고무판으로부터 해당 시험편을, 온도 100℃에서, 박리 각도 180도,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점착력이, 바람직하게는 0.1N/20mm 내지 100N/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N/20mm 내지 50N/2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N/20mm 내지 30N/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N/20mm 내지 10N/2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N/20mm 내지 5N/20mm이다.
<제1 천공층>
제1 천공층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천공층의 표면 개구부의 형상으로서는, 정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슬릿형 등,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이나,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정원형, 타원형, 사각형이 바람직하고, 정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천공층의 표면 개구부의 형상은, 1종뿐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3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이다.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1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이다. 표면 개구율은, 표면 전체의 면적(표면 개구부도 포함함)을 Stotal(㎟), 해당 표면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를 Sopen(㎟)이라 했을 때에, (Sopen/Stotal)×100(%)이다.
제1 천공층의 두께는 1mm 미만이다. 제1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임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더불어,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천공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01mm 내지 0.9999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mm 내지 0.5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2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1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05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mm 내지 0.03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4mm 내지 0.015mm이다.
제1 천공층의 면 밀도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 내지 1000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g/㎡ 내지 500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g/㎡ 내지 200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g/㎡ 내지 50g/㎡이다.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금속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SUS), 철,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인 경우, 수지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접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 등의 층상 형상의 것을 그대로 채용해도 되고,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재료를 도장하여 형성된 수지층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멜톰 가공과 같이 다공층을 용융하여 형성된 수지층을 채용해도 된다.
제1 천공층의 표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나 표면 가공을 행해도 된다.
<제2 천공층>
제2 천공층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천공층의 표면 개구부의 형상으로서는, 정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슬릿형 등,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이나,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정원형, 타원형, 사각형이 바람직하고, 정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천공층의 표면 개구부의 형상은, 1종뿐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3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이다.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2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이다. 표면 개구율은, 표면 전체의 면적(표면 개구부도 포함함)을 Stotal(㎟), 해당 표면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면적 합계를 Sopen(㎟)이라 했을 때에, (Sopen/Stotal)×100(%)이다.
제2 천공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mm 내지 0.9999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mm 내지 0.5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2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1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mm 내지 0.05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mm 내지 0.03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4mm 내지 0.015mm이다. 제2 천공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천공층의 면 밀도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 내지 1000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g/㎡ 내지 500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g/㎡ 내지 200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g/㎡ 내지 50g/㎡이다.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금속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SUS), 철,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인 경우, 수지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접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 등의 층상 형상의 것을 그대로 채용해도 되고,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재료를 도장하여 형성된 수지층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멜톰 가공과 같이 다공층을 용융하여 형성된 수지층을 채용해도 된다.
제2 천공층의 표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나 표면 가공을 행해도 된다.
<제1 다공층>
제1 다공층은, 복수의 공극(다공)을 갖는다. 제1 다공층이 갖는 다공은, 구조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각각의 공극의 적어도 일부가 3차원적으로 연속되는 구조(예를 들어, 연속 기포 구조)여도 된다.
제1 다공층이 갖는 다공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보다도 작다.
제1 다공층이 갖는 다공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이다.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1 다공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2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10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5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30mm이다. 제1 다공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다공층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00k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3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2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1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kg/㎥ 내지 70k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kg/㎥ 내지 50k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kg/㎥ 내지 30kg/㎥이다. 제1 다공층의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보다 경량으로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다공층은, 해당 제1 다공층의 두께를 D1이라 했을 때, 해당 제1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1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멍부로서는, 예를 들어 도 5의 (a)의 개략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다공층(10B)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도중까지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1b)나, 도 5의 (b)의 개략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다공층(10B)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최후(다른 한쪽의 표면)까지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1b) 등을 들 수 있다.
제1 다공층이 가질 수 있는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3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이다.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1 다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제1 다공층이 가질 수 있는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이다. 표면 개구율은, 표면 전체의 면적(표면 개구부도 포함함)을 Stotal(㎟), 해당 표면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면적 합계를 Sopen(㎟)이라 했을 때에, (Sopen/Stotal)×100(%)이다.
제1 다공층이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경우, 해당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는, 평면으로 보아,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제1 다공층측의 연장 방향으로, 제1 다공층이 갖는 복수의 구멍부의 어느 것이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흡음재에 있어서, 제1 천공층의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1 다공층의 제1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실시 형태를 들 수 있다.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고분자 다공질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스티렌 발포체,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다공질체의 다공질 구조로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발포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기포가 독립된 독립 기포 구조여도 되고, 기포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는 연속 기포 구조여도 된다.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섬유상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글래스 울, 암면, 펠트재 등을 들 수 있다.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고분자 모놀리스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61457호 공보에 기재와 같은 실리콘제 모놀리스체 등을 들 수 있다.
<제2 다공층>
제2 다공층은, 복수의 공극(다공)을 갖는다. 제2 다공층이 갖는 다공은, 구조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각각의 공극의 적어도 일부가 3차원적으로 연속되는 구조(예를 들어, 연속 기포 구조)여도 된다.
제2 다공층이 갖는 다공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보다도 작다.
제2 다공층이 갖는 다공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이다. 표면 개구부의 평균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2 다공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2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10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5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30mm이다. 제2 다공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박형 경량이고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다공층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00k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3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2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kg/㎥ 내지 100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kg/㎥ 내지 70k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kg/㎥ 내지 50k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kg/㎥ 내지 30kg/㎥이다. 제2 다공층의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보다 경량으로 저주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다공층은, 해당 제2 다공층의 두께를 D2라 했을 때, 해당 제2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2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멍부로서는, 예를 들어 도 6의 (a)의 개략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다공층(20B)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도중까지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2b)나, 도 6의 (b)의 개략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다공층(20B)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최후(다른 한쪽의 표면)까지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2b) 등을 들 수 있다.
제2 다공층이 가질 수 있는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3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이다. 표면 개구부의 원상당 구멍 직경이란, 표면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제2 다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제2 다공층이 가질 수 있는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은,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이다. 표면 개구율은, 표면 전체의 면적(표면 개구부도 포함함)을 Stotal(㎟), 해당 표면이 갖는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면적 합계를 Sopen(㎟)이라 했을 때에, (Sopen/Stotal)×100(%)이다.
제2 다공층이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경우, 해당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는, 평면으로 보아,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제2 다공층측의 연장 방향으로, 제2 다공층이 갖는 복수의 구멍부의 어느 것이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흡음재에 있어서, 제2 천공층의 제2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의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실시 형태를 들 수 있다.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고분자 다공질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스티렌 발포체,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다공질체의 다공질 구조로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발포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기포가 독립된 독립 기포 구조여도 되고, 기포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는 연속 기포 구조여도 된다.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섬유상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글래스울, 암면, 펠트재 등을 들 수 있다.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될 수 있는 고분자 모놀리스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61457호 공보에 기재와 같은 실리콘제 모놀리스체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흡음률의 측정>
흡음률은, 음향관을 사용한 수직 입사 흡음률로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Bruel & Kjaer제 4206의 굵은 관을 사용하여, Φ100mm의 샘플을 제작하고, JIS A 1405-2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단, 샘플은, 굴곡 진동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배면 전체면을 음향관의 벽면에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1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No.512)로 첩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단면의 영향이 생기지 않도록, 간극은 실리콘 그리스(신에쯔 가가꾸 고교 G501)를 충전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4.8㎛, 도레이제, 제품명: 루미러)에 φ5mm의 관통 구멍을 표면 개구율 0.25%로 마련하고, 제1 천공층으로 하였다.
제1 천공층에 대하여, 우레탄폼(두께=1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접합하였다. 접합에는,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GA5905)를 사용하였다.
또한, 얻어진 적층물의 우레탄폼측에, 우레탄폼(두께=1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추가로 접합하였다. 접합에는,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1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No.512)에 φ5mm의 관통 구멍을 표면 개구율 0.25%로 마련한 것(제2 천공층)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1)를 얻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제1 천공층 및 제2 천공층에 마련하는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2)를 얻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제1 천공층 및 제2 천공층에 마련하는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7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3)를 얻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제1 천공층 및 제2 천공층에 마련하는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4)를 얻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4.8㎛, 도레이제, 제품명: 루미러)에 대하여 우레탄폼(두께=1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접합하였다. 접합에는,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GA5905)를 사용하였다.
또한, 얻어진 적층물의 우레탄폼측에, 우레탄폼(두께=1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추가로 접합하였다. 접합에는,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1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No.512)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φ5mm의 관통 구멍을 표면 개구율 0.25%로 마련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천공층의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의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5)를 얻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의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의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제 1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6)를 얻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7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의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의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7)를 얻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제1 천공층의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제2 다공층의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제1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제1 다공층)〕/〔제2 천공층〕/〔우레탄폼(제2 다공층)〕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8)를 얻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우레탄폼(두께=2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흡음재(C1)로 하였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4.8㎛, 도레이제, 제품명: 루미러)에 φ5mm의 관통 구멍을 표면 개구율 0.25%로 마련하고, 천공층으로 하였다.
천공층에 대하여, 우레탄폼(두께=20mm,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코포레이션제, 제품명: 캄플렉스 F2)을 접합하였다. 접합에는, 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두께=50㎛,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GA5905)를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C2)를 얻었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3〕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C3)를 얻었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4〕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0.7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C4)를 얻었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5〕
관통 구멍에 의한 표면 개구율을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천공층〕/〔아크릴계 양면 접착 테이프〕/〔우레탄폼〕의 구성을 갖는 흡음재(C5)를 얻었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예를 들어 타이어용 흡음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0: 흡음재
10A: 제1 천공층
10B: 제1 다공층
20A: 제2 천공층
20B: 제2 다공층
1a: 관통 구멍
2a: 관통 구멍
3: 관통 구멍
1b: 구멍부
2b: 구멍부

Claims (18)

  1. 제1 천공층과 제1 다공층과 제2 천공층과 제2 다공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흡음재이며,
    해당 제1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2 천공층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제1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인,
    흡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인, 흡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이 20% 이하인, 흡음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층이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인, 흡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층의 표면 전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인 표면 개구율이 20% 이하인, 흡음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층의 두께가 1mm 미만인, 흡음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공층의 두께가 1mm 이상인, 흡음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공층의 두께가 1mm 이상인, 흡음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의 두께가 300mm 미만인, 흡음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공층의 두께를 D1이라 했을 때, 해당 제1 다공층이, 해당 제1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1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해당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인, 흡음재.
  11. 제10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상기 제1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상기 제1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공층의 두께를 D2라 했을 때, 해당 제2 다공층이, 해당 제2 다공층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D2 이하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해당 복수의 구멍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의 최대 구멍 직경이 1mm 이상인, 흡음재.
  13. 제12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상기 제2 다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와 상기 제2 천공층의 복수의 표면 개구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층의 상기 제1 다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다공층의 상기 제2 천공층의 반대측의 표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흡음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흡음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 금속, 고무, 무기물, 직포,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흡음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흡음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공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고분자 다공질체, 금속 다공질체, 무기물 다공질체, 직포 다공질체, 부직포 다공질체, 섬유상 재료, 고분자 모놀리스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흡음재.
KR1020197024620A 2017-02-27 2017-11-08 흡음재 KR20190125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4962 2017-02-27
JP2017034962A JP2018141838A (ja) 2017-02-27 2017-02-27 吸音材
PCT/JP2017/040232 WO2018154864A1 (ja) 2017-02-27 2017-11-08 吸音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976A true KR20190125976A (ko) 2019-11-07

Family

ID=6325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20A KR20190125976A (ko) 2017-02-27 2017-11-08 흡음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34686A1 (ko)
EP (1) EP3588487A4 (ko)
JP (1) JP2018141838A (ko)
KR (1) KR20190125976A (ko)
CN (1) CN110337689A (ko)
WO (1) WO2018154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2027B2 (ja) * 2018-10-16 2022-06-07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40668B2 (ja) * 2018-12-17 2022-09-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7140669B2 (ja) * 2018-12-17 2022-09-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7198104B2 (ja) * 2019-02-06 2022-12-28 株式会社マキタ クリーナ
WO2020213139A1 (ja) * 2019-04-18 2020-10-22 日立化成株式会社 吸音材
CN110111763A (zh) * 2019-05-10 2019-08-09 华南理工大学 一种多层的穿孔声学超材料吸声结构
CN110395076A (zh) * 2019-09-03 2019-11-01 青岛森麒麟轮胎股份有限公司 可修补的静音轮胎
CN110843292B (zh) * 2019-10-30 2022-05-20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用于吸声的双层三元乙丙橡胶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
IL272508B (en) * 2020-02-06 2021-09-30 Plasan Sasa Ltd Protection systems with a perforated layer
CN111532003A (zh) * 2020-05-28 2020-08-14 安徽慕曼德家具有限公司 一种环保隔音的家具复合板及其生产方法
US11873191B2 (en) * 2020-08-31 2024-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ropulsion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arranged to reduce noise in the cab
JPWO2022219807A1 (ko) * 2021-04-16 2022-10-20
EP4117302A1 (en) * 2021-07-09 2023-01-11 Rohde & Schwarz GmbH & Co. KG Microphone arrangement for a radio device
CN114013115A (zh) * 2021-11-30 2022-02-08 大冢材料科技(上海)有限公司 噪音吸收体及包含其的充气轮胎
US11508343B2 (en) * 2022-03-01 2022-11-22 Wernick Ltd. Isolation mount for a percussion instru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994A (ja) 1990-06-01 1992-02-07 Fujitsu Ltd 入出金機内の紙幣表裏反転制御処理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8683A (en) * 1978-04-11 1978-12-05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uto ceil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S60135997A (ja) 1983-12-26 1985-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吸音材
JPH0418599A (ja) * 1990-05-14 1992-01-22 Mitsuo Ueno 音波透過の開口率に対応する高低両周波域吸遮音機能積層構成シートボード
JP3741413B2 (ja) * 1999-12-22 2006-02-01 ニチアス株式会社 吸音構造体
US6543576B1 (en) * 2000-07-18 2003-04-08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ultiple layer fiber filled sound absor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082671A (ja) * 2000-09-06 2002-03-22 Nichias Corp 吸音構造体
JP2003334875A (ja) * 2002-05-20 2003-11-2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CN100587803C (zh) * 2003-08-08 2010-02-03 积水化成品工业株式会社 汽车内装材料用泡沫薄片和汽车内装材料
JP2005266445A (ja) * 2004-03-19 2005-09-29 Daiwabo Co Ltd 吸音材
JP2007256750A (ja) * 2006-03-24 2007-10-04 Yamaha Corp 吸音材及び吸音材の製造方法並びに吸音パネル
JP2010184655A (ja) * 2009-02-13 2010-08-26 Kurabo Ind Ltd 積層吸音材
JP2013250501A (ja) * 2012-06-04 2013-12-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吸音ボード
JP2014061457A (ja) 2012-09-19 2014-04-10 Kyoto Univ シリコーン製モノリス体及びそれを用いた分離、精製、濃縮方法
JP2015102593A (ja) * 2013-11-21 2015-06-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吸音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994A (ja) 1990-06-01 1992-02-07 Fujitsu Ltd 入出金機内の紙幣表裏反転制御処理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4686A1 (en) 2020-07-23
JP2018141838A (ja) 2018-09-13
CN110337689A (zh) 2019-10-15
WO2018154864A1 (ja) 2018-08-30
EP3588487A1 (en) 2020-01-01
EP3588487A4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5976A (ko) 흡음재
KR20190125975A (ko) 흡음재
KR101840581B1 (ko) 다층 흡음 시트
JP5872895B2 (ja) 音響複合体
US20110100749A1 (en) Multilayer sound absorbing structure comprising mesh layer
US9224379B2 (en) Acoustic decorative material
KR101816107B1 (ko) 음향 장치
CN110562156A (zh) 车辆隔音材料和线束组件
KR20170127907A (ko) 건물 내외벽 마감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0026258A (ja) 吸音体
WO2020213676A1 (ja) 吸音材
WO2020213685A1 (ja) 吸音材
KR20210073642A (ko) 타공판재 및 이를 이용한 흡차음 복합판재
WO2020213684A1 (ja) 吸音材
JP2021002011A (ja) 吸音構造体
JP2022162918A (ja) 積層パネル
CZ20002589A3 (cs) Vrstvený materiál
JP2007022002A (ja) 貼り付け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