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812A - 롤 스크린 댐퍼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812A
KR20190125812A KR1020180050098A KR20180050098A KR20190125812A KR 20190125812 A KR20190125812 A KR 20190125812A KR 1020180050098 A KR1020180050098 A KR 1020180050098A KR 20180050098 A KR20180050098 A KR 20180050098A KR 20190125812 A KR20190125812 A KR 2019012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ver housing
airtight
pai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030B1 (ko
Inventor
백남도
Original Assignee
백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도 filed Critical 백남도
Priority to KR102018005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5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being operated by particula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정밀한 정량제어가 가능하고, 댐퍼의 설치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롤 스크린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덕트의 연결구간 사이로 개재되며, 상기 덕트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덕트;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를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롤링하는 롤링수단이 구비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연결덕트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와 밀착을 이루면서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롤 스크린 댐퍼{Roll screen damper}
본 발명은 롤 스크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정밀한 정량제어가 가능하고, 댐퍼의 설치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롤 스크린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플랜트 및 산업설비분야에는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유체의 통로 역할을 하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덕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에는 덕트의 라인상에 설치되어 내부를 순환하는 유체의 방향, 유체의 속도 및 유체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댐퍼가 설치된다.
댐퍼는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지고 있으며, 특히 유체(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분야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댐퍼 기술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16156호에, 일정형상의 프레임(3)의 내부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프레임의 일측에는 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된 통상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양단부에는 탄지장치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끼움핀의 출입동작에 의해 블레이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댐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댐퍼장치는 복수개 블레이드가 축을 중심으로 궤적을 따라 개도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개도량이 적을 경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로 형성되는 개도 위치는 블레이드 회전방향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할 수 밖에 없어, 유체(공기)가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의 단부와 부딪침으로써 와류가 발생하여 일부만이 통과하기 때문에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유체(공기)의 정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87328호에는,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하는 블레이드를 갖춘 덕트의 댐퍼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실부재를 설치하되, 블레이드의 외주를 접하도록 상하,좌우측에 설치하며, 상기 실부재의 외주와 프레임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고, 이 공간에 에어블로워에 의하여 송풍을 시키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갖춘 덕트의 댐퍼 구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위의 구조는 블레이드가 승하강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유량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량의 유량도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였으나, 댐퍼의 상측방향으로 블레이드의 승하강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야 함에 따라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더욱이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곳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316156호 국내등록실용 제20-02873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은 개도량에도 유체의 수평이동을 통한 정밀한 정량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강하는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설치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댐퍼를 설치할 수 있는 롤 스크린 댐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는, 덕트의 연결구간 사이로 개재되며, 상기 덕트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덕트;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를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롤링하는 롤링수단이 구비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연결덕트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와 밀착을 이루면서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 플레이트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는 판상의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른 플레이트와 회동결합이 가능하도록 회동핀이 결합되는 회동고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 플레이트 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재질의 기밀층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측단부가 연결된 롤링축; 상기 롤링축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링축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롤링축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장치;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롤링시 블레이드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유닛;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장력제공유닛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 소정 길이로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 상기 고정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드럼에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회전드럼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연동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권선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하우징에 마주하게 연통된 한 쌍의 각형연통구의 각 수직편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수직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직기밀부;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한 쌍의 각형연통구의 각 수평편 상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기밀부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연결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수평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평기밀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수평기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표면과 기밀이 유지되게 탄성에 의해 휨 상태로 접촉을 이루며,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방향을 따라 휨 방향이 반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플랩,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 상측에는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기밀수단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에 의하면,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해 롤링되는 방식에 의해 스크린과 같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수평방향 이동으로 인한 정확한 정량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종래와 같이 블레이드의 승강에 따른 블레이드의 별도 수용공간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밀수단이 승강하는 블레이드와의 계속적인 긴밀한 접촉을 이룸과 동시에 블레이드와 커버하우징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수없이 유체의 정량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블레이드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블레이드에 연결된 인장력제공유닛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기밀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블레이드가 롤링되는 상태와 기밀수단 프리플랩의 휨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블레이드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블레이드에 연결된 인장력제공유닛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 댐퍼의 구성중 기밀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블레이드가 롤링되는 상태와 기밀수단 프리플랩의 휨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100)는, 덕트(10)의 연결구간 사이로 개재되며, 상기 덕트(10)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덕트(110);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110)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110)를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블레이드(120); 상기 블레이드(1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20)를 롤링하는 롤링수단(140)이 구비된 커버하우징(130); 및 상기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하는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120)와 밀착을 이루면서 상기 커버하우징(130)과 상기 블레이드(120)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밀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100)는 유체가 유동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덕트(10)의 연결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유체(공기)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100)는 크게 연결덕트(110)와, 블레이드(120)와, 커버하우징(130) 및 기밀수단(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덕트(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10)의 연결구간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의 덕트(10)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유체의 흐름이 이러질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덕트(110)는 덕트(1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은 연결되는 덕트(1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은 물론일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10)와 연결덕트(110)가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블레이드(120)는 한 쌍의 연결덕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롤링수단(140)에의해 승강하면서 연결덕트(110)를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블레이드(120)의 폭은 후술하는 커버하우징(130)의 각형연통구(133)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1과 같이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 내경을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블레이드(120)는 후술하는 롤링수단(140)에 의한 롤링(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 플레이트(121)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21)는 도 4와 같이 표면이 편평한 판상의 형태로 소정의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길이방향의 도면상 상단과 하단에는 다른 플레이트(121)와 회동결합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회동고리(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플레이트(121)는 회동고리(122)를 관통하는 회동핀(12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3과 같은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120)로 형성된다.
더하여, 회동핀(124)을 통한 플레이트(121)들의 결합은 롤링수단(140)을 통한 블레이드(120)의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도 8b 참조).
한편, 플레이트(121)의 표면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면상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 플레이트(121) 간의 접촉을 통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밀층(123)이 도포되어 있으며, 이 기밀층(123)은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 중 하나가 선택된다.
즉, 각 플레이트(121)의 기밀층(123)이 플레이트(1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서로 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121)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기밀층(123)의 도포 두께는 플레이트(121) 간의 틈새가 폐쇄될 수 있을 정도임은 물론일 것이다.
커버하우징(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 쌍의 연결덕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로 블레이드(120)를 수용한 상태로 각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커버하우징(130)의 양측에는 각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111)의 형상과 대응하는 각형연통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하우징(130)은 연결덕트(110) 양측과 연결되어 유체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로 수용된 블레이드(120)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더하여, 커버하우징(130)에는 수용된 블레이드(12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드(120)를 롤링하는 롤링수단(140)이 구비되어 있다.
롤링수단(14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커버하우징(1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블레이드(120)의 상측단부가 연결된 롤링축(141)과, 롤링축(141)과 연결된 상태로 커버하우징(130)의 외측에 배치되며 블레이드(120)가 롤링축(141)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롤링축(141)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장치(142)와, 커버하우징(1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블레이드(120)의 하측과 와이어(155)로 연결되어 블레이드(120) 롤링시 블레이드(120)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유닛(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하우징(130)의 도면상 상측에는 롤링축(141)이 설치되며 블레이드(120)의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된 롤링함체(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인장력제공유닛(150)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인장함체(132)가 형성되어 있다.
롤링축(141)은 롤링함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장치(142)는 커버하우징(130)의 외측 즉 롤링함체(131)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동력장치(142)는 롤링축(141)과 연결되는 웜기어(미 도시)와 웜기어에 동력을 부여하는 전동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동력장치(142)는 롤링축(141)을 회전시키고, 롤링축(141)은 회전을 통해 연결된 블레이드(120)를 감거나 또는 감겨진 블레이드(120)를 풀게 된다.
더하여, 동력장치(142)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블레이드(120)의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류량의 제어가 가능하다.
인장력제공유닛(150)은 롤링축(141)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120)가 롤링(감겨질 때)될 때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상승하는 블레이드(120)에 단겨지는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제공유닛(150)은, 커버하우징(130)의 하부 즉 인장함체(132)에 고정된 고정축(151)과, 소정 길이로 고정축(1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152)과, 고정축(151)이 관통된 상태로 회전드럼(152)의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축(151)과 회전드럼(152)에 고정된 스프링(153), 및 회전드럼(152)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드럼(152)과 연동 회전하며 블레이드(120)의 와이어(155)가 권선되는 권선릴(154),로 구성된다.
즉, 인장력제공유닛(150)은 회전드럼(152)이 도 5 및 도 6과 같이 고정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블레이드(120)가 상승할 때 권선릴(154)에 감겨진 와이어(155)의 풀림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드럼(152) 내부의 스프링(153)은 회전드럼(152)의 회전에 의해 고정축(151)을 중심으로 탄성을 받으면서 감겨지기 때문에, 결국 회전드럼(15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복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와이어(155)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155)의 인장력은, 블레이드(120)가 감겨진 상태에서 블레이드(120)에 상시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블레이드(120)의 하강이 이루어질 때 스프링(153)의 풀림을 통한 회전드럼(152)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120)의 하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이, 인장력제공유닛(150)은 블레이드(120)가 하강시 후술하는 기밀수단(160)과 접촉된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블레이드(120)의 안정적인 하강을 위해서는 더욱 필요한 장치이다.
그리고, 스프링(153)은 회전드럼(152)의 회전에 따라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션스프링(153) 인것이 바람직하지만, 와이어(155)에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프링(153)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기밀수단(160)은 도 2, 도 3, 도 7 및 도 8과 같이,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하는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승강하는 블레이드(120)와 밀착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하우징(130)과 블레이드(120)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밀수단(160)은,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으로 커버하우징(130)에 마주하게 연통된 한 쌍의 각형연통구(133)의 각 수직편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승강하는 블레이드(120)의 수직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와,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으로 한 쌍의 각형연통구(133)의 각 수평편 상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연결하며 승강하는 블레이드(120)의 수평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평기밀부(162),로 구성된다.
즉, 기밀수단(160)은 전체적으로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커버하우징(130)의 각형연통구(133)의 형상과 대응하는 사각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7과 같이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와 한 쌍의 수평기밀부(162)가 하우징커버의 내측면에서 각 각형연통구(133)의 내측 둘레면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도 2 참조).
그리고, 기밀수단(160) 즉 수직기밀부(161)와 수평기밀부(162)는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밀수단(160)이 도 3과 같이 커버하우징(130)의 내부에 블레이드(120)와 접촉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블레이드(120)의 완전한 하강에 의해 연결덕트(110) 사이가 폐쇄될 때 커버하우징(130)과 연결덕트(110) 사이의 기밀이 완전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확하게는, 기밀수단(160)의 탄성력에 의한 밀착이 도 3과 같이 블레이드(120)를 이루는 플레이트(121)의 판면과 돌출된 회동고리(122)까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밀수단(160)과 블레이드(120)의 접촉이 일어나는 순간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렇게 되면, 블레이드(120)의 롤링에 의한 상승이 설정된 스트로크 만큼 이루어졌을 때, 개방되지 않은 부위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정량토출이 손실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기밀수단(160)의 수직기밀부(161)와 수평기밀부(162)는 일체형 또는 개별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밀수단(160)이 기밀의 향상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기밀수단(160)의 수평방향으로 상,하에 형성된 각 수평기밀부(16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 3과 같이 블레이드(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블레이드(120) 표면과 기밀이 유지되게 탄성에 의해 휨 상태로 접촉을 이루며, 블레이드(120)의 승강방향을 따라 휨 방향이 반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플랩(16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플랩(165)은 도 3 및 도 7과 같이 수평기밀부(162)로부터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네크부(166)와, 네크부(166) 선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20) 표면과 접촉을 이루는 구체(167)(球體)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리플랩(165)은 상,하의 수평기밀부(162)재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블레이드(120)의 표면의 상,하측(각형연통구(133)의 수평방향 상단과 하단)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유동하는 유체가 각형연통구(133)의 상,하단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프리플랩(165)의 휨이 발생되도록 하는 이유는, 프리플랩(165)이 블레이드(120)의 승강 방향에 따라 네크부(166)의 휨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구체(167)가 블레이드(120) 표면과 계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체(167)가 블레이드(12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플레이트(121)의 표면과 회동고리(122) 외주면과의 계속적인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프리플랩(165)의 휨이 반전되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8a는 블레이드(120)가 완전하게 하강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이다.
이때, 프리플랩(165)은 블레이드(120)의 하강과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하측방향을 향해 휨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동력장치(142)에 의한 롤링축(141)의 회전이 도 8a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루어지면, 블레이드(120)는 도 8b와 같이 롤링축(141)에 감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프리플랩(165)은, 상승하는 블레이드(120)에 의해 도 8b와 같이 휨 방향이 반전되고, 반전된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만일, 블레이드(120)의 하강(풀림)이 이루어지면 프리플랩(165)의 휨 방향은 도 8a와 같이 도면상 하측을 향할 것이다.
따라서, 상,하의 수평기밀부(162)에 각각 형성된 프리플랩(165)은, 도 3과 같이 블레이드(120)의 하강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면상 상,하측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좌,우측은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재에 의해 기밀이 유지됨은 물론이다.
한편, 커버하우징(130)의 내부 상측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승강하는 블레이드(120)가 기밀수단(160)인 수직기밀부(161)와 수평기밀부(162) 사이로 가이드되도록 블레이드(120)를 가이드하는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1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롤러(170)는 도 3과 같이 수평기밀부(162)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이는 감겨진 블레이드(120)가 풀어지는 과정에서 수평기밀부(162)의 직 상부에서 한 쌍의 수평기밀부(162)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120)의 안정적인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가이드롤러(170)가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롤와 블레이드(120) 간의 쓸림에 따른 마모가 방지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는, 블레이드가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해 롤링되는 방식에 의해 스크린과 같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수평방향 이동으로 인한 정확한 정량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종래와 같이 블레이드의 승강에 따른 블레이드의 별도 수용공간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밀수단이 승강하는 블레이드와의 계속적인 긴밀한 접촉을 이룸과 동시에 블레이드와 커버하우징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수없이 유체의 정량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롤 스크린 댐퍼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댐퍼 110 : 연결덕트
111 : 개구부 120 : 블레이드
121 : 플레이트 122 : 회동고리
123 : 기밀층 124 : 회동핀
130 : 커버하우징 131 : 롤링함체
132 : 인장함체 140 : 롤링수단
141 : 롤링축 142 : 동력장치
150 : 인장력제공유닛 151 : 고정축
152 : 회전드럼 153 : 스프링
154 : 권선릴 155 : 와이어
160 : 기밀수단 161 : 수직기밀부
162 : 수평기밀부 165 : 프리플랩
166 : 네크부 167 : 구체
170 : 가이드롤러

Claims (8)

  1.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10)의 연결구간에 설치되어 유체를 제어하는 롤 스크린 댐퍼(100)에 있어서,
    상기 덕트(10)의 연결구간 사이로 개재되며, 상기 덕트(10)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덕트(110);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110)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110)를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블레이드(120);
    상기 블레이드(1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120)를 롤링하는 롤링수단(140)이 구비된 커버하우징(130); 및
    상기 연결덕트(110)의 개구부(111)와 연통하는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120)와 밀착을 이루면서 상기 커버하우징(130)과 상기 블레이드(120) 사이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밀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 플레이트(121)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121)는 판상의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른 플레이트(121)와 회동결합이 가능하도록 회동핀(124)이 결합되는 회동고리(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1)의 표면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 플레이트(121) 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재질의 기밀층(123)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140)은,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측단부가 연결된 롤링축(141);
    상기 롤링축(14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20)가 상기 롤링축(141)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롤링축(141)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장치(142); 및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하측과 와이어(155)로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120) 롤링시 블레이드(120)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제공유닛(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제공유닛(150)은,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51);
    소정 길이로 상기 고정축(1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152);
    상기 고정축(151)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회전드럼(152)의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고정축(151)과 상기 회전드럼(152)에 고정된 스프링(153); 및
    상기 회전드럼(15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드럼(152)과 연동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기 와이어(155)가 권선되는 권선릴(1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160)은,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하우징(130)에 마주하게 연통된 한 쌍의 각형연통구(133)의 각 수직편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120)의 수직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 및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내측으로 상기 한 쌍의 각형연통구(133)의 각 수평편 상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기밀부(161)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연결하며,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120)의 수평방향 표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는 한 쌍의 수평기밀부(1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평기밀부(16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120) 표면과 기밀이 유지되게 탄성에 의해 휨 상태로 접촉을 이루며, 상기 블레이드(120)의 승강방향을 따라 휨 방향이 반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플랩(1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내부 상측에는 승강하는 상기 블레이드(120)가 상기 기밀수단(160)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1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댐퍼.
KR1020180050098A 2018-04-30 2018-04-30 롤 스크린 댐퍼 KR10211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98A KR102110030B1 (ko) 2018-04-30 2018-04-30 롤 스크린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98A KR102110030B1 (ko) 2018-04-30 2018-04-30 롤 스크린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12A true KR20190125812A (ko) 2019-11-07
KR102110030B1 KR102110030B1 (ko) 2020-05-12

Family

ID=6857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98A KR102110030B1 (ko) 2018-04-30 2018-04-30 롤 스크린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28Y1 (ko) 2002-05-13 2002-08-29 (주)광신테크 블레이드를 갖춘 덕트의 댐퍼 구조
KR200316156Y1 (ko) 2003-03-17 2003-06-11 심광보 댐퍼장치
KR100684615B1 (ko) * 2005-08-22 2007-02-22 수공테크 주식회사 외기 차단 스크린을 갖는 공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28Y1 (ko) 2002-05-13 2002-08-29 (주)광신테크 블레이드를 갖춘 덕트의 댐퍼 구조
KR200316156Y1 (ko) 2003-03-17 2003-06-11 심광보 댐퍼장치
KR100684615B1 (ko) * 2005-08-22 2007-02-22 수공테크 주식회사 외기 차단 스크린을 갖는 공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030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0177A1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made of thick material
KR20100134397A (ko)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USRE35926E (en) Venetian- or pleated blinds, particularly for multiple pane insulating glass window
KR20190125812A (ko) 롤 스크린 댐퍼
KR20190125818A (ko) 롤 스크린 댐퍼의 기밀구조
EP0519972B1 (en) Window blind or curtain, particularly for two-pane insulating glass window
CN117128327A (zh) 一种低噪式刀阀
KR101086282B1 (ko) 바이오 시설에 사용되는 바이오용 버블 타이트 댐퍼
US2700803A (en) Closure shutter for window openings
KR200372389Y1 (ko) 환기창용 회전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101025866B1 (ko) 2축 경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회전방법
KR200403058Y1 (ko) 전동식 커텐장치
US6234036B1 (en) Roller mechanism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ITTV990104A1 (it) Perfezionato dispositivo di movimento di tende alla veneziana poste entro vetrate ad intercapedine o vetrocamere
KR100931463B1 (ko) 나비 댐퍼
KR200324598Y1 (ko) 유리온실 단열스크린 회전축 지지장치
CN209510177U (zh) 一种密封型中空玻璃百叶窗
JP6554901B2 (ja) 通路開閉装置
CN217874223U (zh) 一种自适应百叶阀
KR20030059056A (ko) 선박용 덕트의 댐퍼
JP4079855B2 (ja) ブラインド入り複層ガラス
KR20190079830A (ko) 방연 댐퍼
KR102513114B1 (ko) 높낮이 위치 제어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 제어장치
KR102461784B1 (ko) 롤 스크린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