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56Y1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56Y1
KR200316156Y1 KR20-2003-0007835U KR20030007835U KR200316156Y1 KR 200316156 Y1 KR200316156 Y1 KR 200316156Y1 KR 20030007835 U KR20030007835 U KR 20030007835U KR 200316156 Y1 KR200316156 Y1 KR 200316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amper device
fitting pin
fit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광보
Original Assignee
심광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광보 filed Critical 심광보
Priority to KR20-2003-0007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필요한 양을 통과시키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내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된 통상의 댐퍼장치(A)에 있어서,
블레이드(2)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부(26)를 형성시키고, 양단부에는 탄지장치(10)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4)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끼움핀(4)의 출입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블레이드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열전달률을 최소화시켜 동파와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장치 { a damper unit }
본 고안은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의 차단 또는 필요한 양을 통과시키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출입을 조절하는 댐퍼날개(이하 '블레이드'라 함)의 탈부착이 간편하고, 블레이드 자체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기류 등을 조절하여 인간이 활동하기에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더 나아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을 여과집진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한다.
이런 공기조화기에는 공기토출구 및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실내공기가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후에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이런 토출구, 흡입구 또는 덕트에는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배출 및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또는 토출구 및 흡입구를 폐쇄한다.
이러한 댐퍼장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의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그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를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각 블레이드의 일단에 연결된 링크연결구와, 이 링크연결구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바와, 이 링크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레버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구동레버를 작동시키면 링크바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링크연결구가 회전됨으로써 블레이드가 회동되도록 하여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댐퍼장치는 프레임과 블레이드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부분적인 파손시 댐퍼장치를 모두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시나 혹한시에 댐퍼장치를 통해 고열이나 냉기가 전달되어 공조기 내부의 열매체 순환코일이 동파되거나 화재가 전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레이드의 열전달률을 최소화시켜 동파와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탈,부착이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결합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끼움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블레이드 3 : 프레임
4 : 끼움핀 5 : 스프링
7 : 체결볼트 8 : 부시
10 : 탄지장치 22 : 공기배출밸브
24 : 삽입홈 26 : 중공부
42 : 단차부 44 : 스냅링
46 : 나사공 48 : 걸림부
60 : 구동장치 62 : 링크연결구
64 : 링크바 66 : 구동레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부에 블레이드가 힌지결합된 채 다수로 연설된 통상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양단부에는 탄지장치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끼움핀의 출입동작에 의해 블레이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결합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끼움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양측 수직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부시(8)가 구비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프레임(3)과; 상기 부시(8)에 양단부의 끼움핀(4)이 끼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와; 상기 끼움핀(4)의 일단에 연결된 링크연결구(62)와, 상기 링크연결구(62)의 일단에 연결되는 링크바(64)와, 이 링크바(64)를 구동시키는 구동레버(66)로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0)로; 이루어진 통상의 댐퍼장치(A)의 기본 구성을 따른다.
상술한 기본구성외에 본 고안은 상기 블레이드(2)의 내측에 중공부(26)를 형성시키고, 블레이드(2)의 양단부에는 탄지장치(10)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4)을 구비시켜서, 프레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2)는 상하면이 대칭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중공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6)와 연통되는 공기배출밸브(22)가 상면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공부(26)는 상기 공기배출밸브(22)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모두 제거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도나 대류현상이 차단되므로 외부측의 온도 즉, 고온 또는 저온을 내부측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화재나 동파에 의한 내부측이 보호받을 수 있다.
상기 탄지장치(10)는 상기 블레이드(2)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4)에 스프링(5)과 끼움핀(4)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홈(24)을 다각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끼움핀(4)의 후단에는 상기 삽입홈(24)에 적합한 다각형상의 걸림부(48)를 형성시켜서, 블레이드(2)와 끼움핀(4)을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끼움핀(4)을 회동시키면 이에 동반되어 블레이드(2)도 회동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삽입홈(24)과 걸림부(48)를 직육면체로 형성시켰으나 그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끼움핀(4)은 전단 내주연에 체결볼트(7)가 결합되는 나사공(46)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단차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42)에 끼워지는 스냅링(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끼움핀(4)을 상기 삽입홈(24)에 삽입하되 걸림부(48)가 스프링에 탄지되게 한 후 끼움핀(4)을 프레임(3)의 부시(8)에 끼움결합시켜서 블레이드(2)의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부시(8)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단차부(42)에 스냅링(44)과 링크연결구(62)를 순차로 끼움결합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7)를 나사공(46)에 체결시킴으로써 블레이드(2)와 구동장치(6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상의 프레임(3) 양측의 수직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부시(8)를 체결시킨 후 블레이드(2)의 끼움핀(4)을 상기 부시(8)에 끼움결합시켜서 블레이드(2)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끼움핀(4)은 외부의 압박에 의해 삽입홈(24)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압박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끼움핀(4)이 원복되므로 상기 부시(8)에 끼움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이렇게 블레이드(2)의 결합이 완료되면 각 블레이드(2)의 끼움핀(4)의 단차부(42)에 스냅링(44)과 링크연결구(62)를 끼우고, 그 외측으로부터 체결볼트(7)를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다수의 링크연결구(62)에는 일정 길이의 링크바(64)를 결합시켜 일체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링크바(64)의 일단에는 구동레버(66)를 설치하여 통상의 구동장치(60)를 설치함으로써 댐퍼장치(A)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댐퍼장치(A)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66)를 조작하면 이에 연동되어 링크바(64)와 링크연결구(62)가 동시에 회동됨에 따라 블레이드(2)가 회동되면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중에 블레이드(2)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블레이드(2)의 체결볼트(7)를 풀고, 링크연결구(62)를 분리한 다음, 끼움핀(4)을 내측으로 눌러 부시(8)에서 빼내면 블레이드(2)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2)의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배출밸브(22)를 통해 중공부의 공기를 제거시켜서 블레이드(2)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공기배출작업은 통상적인 진공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진공상태의 특징인 열전달과 대류현상이 차단될 수 있는 바, 화재시의 고온의 전달과 겨울철에 냉기의 전달도 차단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 내부의 순환코일 및 그 부속장치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는 블레이드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양단부에는 탄지장치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이 구비된 것으로써, 상기 끼움핀의 출입동작에 의해 블레이드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진공상태에 의해 블레이드의 열전달률을 최소화시켜 동파와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4)

  1. 일정형상의 프레임(3)의 내부에 다수의 블레이드(2)가 설치되고, 프레임(3)의 일측에는 블레이드(2)를 개폐시키는 구동장치(60)가 설치된 통상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중공부(26)를 형성시키고, 양단부에는 탄지장치(10)에 의해 탄설된 끼움핀(4)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끼움핀(4)의 출입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는 상하면이 대칭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중공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6)와 연통되는 공기배출밸브(22)가 외면 일측에 형성된 것이며, 상기 공기배출밸브를 통해 중공부 내의 공기를 제거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장치(10)는 상기 블레이드(2)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4)에 스프링(5)과, 끼움핀(4)이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외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끼움핀(4)이 삽입홈(24)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압박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끼움핀(4)이 원복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핀(4)은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24)에 끼워지는 걸림부(48)를 가지며, 타단에는 내주연에 나사공(46)을 갖는 일정길이의 단차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42)에 끼워지는 스냅링(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단차부(42)에 구동장치(60)가 결합된 후 상기 나사공(46)에 체결볼트(7)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20-2003-0007835U 2003-03-17 2003-03-17 댐퍼장치 KR200316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35U KR200316156Y1 (ko) 2003-03-17 2003-03-17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35U KR200316156Y1 (ko) 2003-03-17 2003-03-17 댐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56Y1 true KR200316156Y1 (ko) 2003-06-11

Family

ID=4933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35U KR200316156Y1 (ko) 2003-03-17 2003-03-17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5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00B1 (ko) 2004-11-02 2006-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KR101292014B1 (ko) 2011-05-11 2013-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기루버 및 환기루버용 슬랫의 제조방법
KR20190125812A (ko) 2018-04-30 2019-11-07 백남도 롤 스크린 댐퍼
KR20190125818A (ko) 2018-04-30 2019-11-07 백남도 롤 스크린 댐퍼의 기밀구조
KR102461784B1 (ko) 2022-04-28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롤 스크린 댐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00B1 (ko) 2004-11-02 2006-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KR101292014B1 (ko) 2011-05-11 2013-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기루버 및 환기루버용 슬랫의 제조방법
KR20190125812A (ko) 2018-04-30 2019-11-07 백남도 롤 스크린 댐퍼
KR20190125818A (ko) 2018-04-30 2019-11-07 백남도 롤 스크린 댐퍼의 기밀구조
KR102461784B1 (ko) 2022-04-28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롤 스크린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9195C (en) Defrostable ventilation system
JP4384225B2 (ja) 障子用換気装置
KR101012055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0316156Y1 (ko) 댐퍼장치
KR101103196B1 (ko) 환기 시스템
KR100964979B1 (ko) 하이브리드 환기 장치
CN211233295U (zh) 一种应用于中央空调的通风管道
KR102655650B1 (ko)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US4499917A (en) Ventilator for coldroom with pressure responsive valves
CN210045053U (zh) 一种便于过滤干燥组件拆卸和安装的燃气调压箱
KR100231047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CN108917013A (zh) 一种加湿器及分体式空调器
KR200389987Y1 (ko) 축사 환기용 천장형 입기창
KR20070044301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CN219810144U (zh) 自动泄压结构、冷柜
KR200181827Y1 (ko) 에어컨 인서트 그릴의 착탈구조
KR100786258B1 (ko) 에어컨 토출구용 블레이드의 링크 연결장치
US20170254579A1 (en) Cold room combination vent and light
KR100333323B1 (ko) 벽걸이형 에어컨의 실내기
JP3656397B2 (ja) 空調換気扇
CN219554384U (zh) 一种具有辅助散热组件的低压控制柜
CN108317609B (zh) 空气处理装置
KR200162659Y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개폐장치
KR102060754B1 (ko) 건물의 환기 덕트용 댐퍼
KR200164649Y1 (ko) 공조기 케이싱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