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650B1 -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650B1
KR102655650B1 KR1020210082308A KR20210082308A KR102655650B1 KR 102655650 B1 KR102655650 B1 KR 102655650B1 KR 1020210082308 A KR1020210082308 A KR 1020210082308A KR 20210082308 A KR20210082308 A KR 20210082308A KR 102655650 B1 KR102655650 B1 KR 10265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isture
vent
removal devic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99A (ko
Inventor
박을두
전윤기
권대훈
유현우
김인숙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8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6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는, 이중 창호를 구성하는 두 개의 창짝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 및 두 개의 창짝이 결합되는 창틀에 형성된 빗물 구멍과 연통되는 본체 및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력을 이용하여 중공층 사이의 수분이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고 본체로 유입된 수분이 빗물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DOUBLE WINDOW}
본 발명은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창호의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써, 대부분의 주거용 건물 및 사무실용 건물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창호는 벽체에 구비되는 창틀과 창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창짝을 포함한다.
최근,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호의 단열성능의 법규 강화와 기대 성능 증가함에 따라 이중 창호(Double Window)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중 창호는 하나의 창틀에 내측 창호 및 외측 창호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내측 창호와 외측 창호 사이에는 중공층이 존재하게 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창호는 실내/외 온도 차이에 의해 이중 창호의 중공층 사이에 습기가 발생되게 된다. 발생된 습기는 실내/외 온도 차이에 의하여 순환되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외측 창호의 유리 전면에 성에(forst)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외측 창호에 발생된 성에는 실외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면 외측 창호의 표면에 그대로 얼어붙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이러한 현상은 실내/외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습기를 가동하거나, 외측 창호를 열어두거나, 실외의 온도가 상승되어 성에가 저절로 제거될 때까지 방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습기를 가동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건조한 실내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외측 창호를 열어두는 방법의 경우에는 이중 창호가 갖는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 온도의 상승으로 성에가 저절로 제거되도록 방지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외측 창호에 그대로 얼어 붙는 성에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고, 성에가 얼어붙어서 창호가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중 창호의 단열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중 창호의 형태 변경이 없이도 이중 창호의 중공층에 존재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9837호(명칭: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등록일: 2018.07.12.)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 온도 차이로 인해 이중 창호의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형태 변경이 없이 필요 시에만 창호에 장착하여 창호의 수분 제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중 창호를 구성하는 두 개의 창짝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 및 두 개의 창짝이 결합되는 창틀에 형성된 빗물 구멍과 연통되는 본체 및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력을 이용하여 중공층 사이의 수분이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고 본체로 유입된 수분이 빗물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에는, 중공층과 연통되는 제1 벤트부 및 빗물 구멍과 연통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구동부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이 제1 벤트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빗물 구멍과 연통되는 제2 벤트부가 마련되고, 제2 벤트부는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제1 벤트부에 마련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 및 팬과 연결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구동 모터는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일 단부는 제1 벤트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구동 모터 및 팬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는,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교환되는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에는, 배터리부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납 케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되며,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부로부터 구동부의 전력 공급되는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본체에는, 제1 벤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중공층과 연통되는 제1 서브 벤트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구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되, 한 쌍의 구동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제1 벤트부에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제1 서브 벤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구동부는 별개로 구동되거나 동시에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구동부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한 쌍의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중공층 사이의 수분이 제1 벤트부 및 제1 서브 벤트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벤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제2 벤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서브 벤트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제1 벤트부를 통해서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중공층의 수분은 제2 벤트부 및 제2 서브 벤트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구멍이 형성되는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두 개의 창짝 및 두 개의 창짝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과 연통되고 창틀의 빗물 구멍과 연통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중공층의 수분을 흡입하여 빗물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분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는, 이중 창호의 중공층과 창틀의 빗물 구멍을 연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마련된 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중 창호의 중공층에 존재하는 수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창호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창호에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중 창호의 중공층에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성에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수분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수분 제거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가 설치될 때에 수분 제거 장치로의 수분의 유입 및 유입된 수분의 배출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수분 제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를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10)는 창틀(16), 2개의 창짝(12,14) 및 수분 제거 장치(100)를 포함한다.
창틀(1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구멍(18)이 마련된다.
빗물 구멍(18)은 창틀(16)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참고로, 빗물 구멍(18)의 개수나 크기 및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두 개의 창짝(12,14)은 창틀(16)에 결합되어 창틀(16)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다. 두 개의 창짝(12,14)은 창틀(16)에 제1 창짝(12) 및 제2 창짝(14)이 결합된다.
제1 창짝(12)은 창틀(16)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마련된 실내 창짝을 의미하고, 제2 창짝(14)은 창틀(16)을 기준으로 실외 측에 마련된 실외 창짝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창짝(12)과 제2 창짝(14) 사이는 창틀(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간격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제1 창짝(12)과 제2 창짝(1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중공층(13)이라 한다.
실내/외 온도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면, 제1 창짝(12)에 성에(frost)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중공층(13)에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실내/외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겨울철이 많이 발생되는데, 실내/외 온도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면 제1 창짝(12)의 유리(W)에 낀 성에가 얼어 붙게 된다.
주로, 실외보다 온도가 높은 실내 측에 마련된 창짝(14)보다는 실외 측에 마련된 창짝(12)에 성에가 발생하고 중공층(13)에 수분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10)에는 수분 제거 장치(100)가 장착된다.
수분 제거 장치(100)는 중공층(13)에 발생된 수분을 흡입하여 창틀(16)의 빗물 구멍(1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분 제거 장치(10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대류 현상을 발생시켜서 중공층(13)의 수분을 흡입함으로써 창틀(16)의 빗물 구멍(18)으로 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장치(100)는 컴팩트(compact)한 크기로 마련되며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수분 제거 장치(100)는 이중 창호(10)에 탈착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중 창호(10)에 수분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중 창호(1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분 제거 장치(100)의 형태가 범용의 이중 창호(10)의 창틀(16)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이중 창호(10)의 형태에 상관없이 수분 제거 장치(100)를 이중 창호(10)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수분 제거 장치(100)는 본체(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수분 제거 장치(100)의 몸체가 되는 부분이다.
본체(110)의 내부는 중공(中空)으로 마련된다.
본체(110)는 그 일측이 이중 창호(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창짝(12,14)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13)과 연통되고, 타측은 창틀(16)에 형성된 빗물 구멍(18)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는 하나의 창짝(12 또는 14)과 창틀(16)에 걸쳐서 설치되어 일측은 중공층(13)과 연통되고 타측은 빗물 구멍(18)과 연통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와 같이 층(floor)을 갖는 다단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공층(13)와 빗물 구멍(18)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중공층(13)와 연통되는 제1 벤트부(112) 및 빗물 구멍(18)와 연결되는 연결부(114)가 마련된다.
제1 벤트부(112)는 구멍(hole)의 형태로서, 후술할 구동부(120)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참고로, 필요에 따라, 제1 벤트부(112)의 상부에는 필터(filter, 미도시)가 마련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도 있다.
연결부(114)는 빗물 구멍(18)과 본체(110)를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브라켓(bracket)을 의미한다.
연결부(114)는 빗물 구멍(18)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빗물 구멍(18)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114)에 의해 중공층(13)에서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창틀(16)로 새어나가지 않고 빗물 구멍(18) 만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110)에는 빗물 구멍(18)과 연통되는 제2 벤트부(115)가 마련된다.
제2 벤트부(115)는 연결부(114)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114)와 연통되고, 결국 빗물 구멍(18)과도 연통되게 된다.
한편, 구동부(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2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중공층(13)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수분이 빗물 구멍(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제1 벤트부(112)에 마련됨으로써 중공층(13)에 존재하는 수분이 제1 벤트부(112)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팬(126) 및 구동 모터(124)를 포함한다.
팬(126)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팬(126)은 시코로팬과 같은 흡입팬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모터(124)는 팬(126)과 연결되어 팬(126)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구동 모터(124)는 본체(110)에 마련된 배터리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참고로, 배터리부(130)는 본체(110)에 마련된 상태에서 구동부(120), 즉 구동 모터(124)와 연결된다. 배터리부(130)는 본체(110)의 형태에 따라 교환되는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부(130)는 수납 케이스(132) 및 배터리(134)를 포함한다.
수납 케이스(132)는 배터리(134)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배터리(134)가 수납된 수납 케이스(132)는 본체(110)에 매립 설치된다.
한편, 배터리(134)가 수납된 수납 케이스(132)와 인접한 부분에는 온/오프 스위치(140)가 마련된다.
온/오프 스위치(140)는 구동 모터(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부(130)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온/오프 스위치(140)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부(130)와 구동 모터(1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배터리부(130)와 구동 모터(124)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120)는 팬(126) 및 구동 모터(124)가 장착되는 구동부 케이스(122)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 케이스(122)는 팬(126) 및 구동 모터(124)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된다.
이때, 구동부 케이스(122)는 구동부(120)의 팬(126)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의 이동 통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구동부 케이스(122)의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구동부 케이스(122)의 일 단부는 제1 벤트부(1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타단부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120)에 의해 제1 벤트부(112)로 유입된 수분은 구동부 케이스(122)와 구동 모터(124) 및 팬(126)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중공층(13)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110)의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거나, 본체(110)로 유입된 수분이 빗물 구멍(18)을 통해 빠르게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중공층(13) 사이의 수분이 본체(110) 및 빗물 구멍(18)을 통해서 빠르게 나가게 되면 큰 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중 창호(10) 자체의 단열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24)를 이용하여 팬(126)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중공층(13)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110) 및 빗물 구멍(18)을 통해 빠져나갈 때의 속도는 기류가 크게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느린 속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장치(100)에서, 구동부(120)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체(110)에는 제1 서브 벤트부(113)가 추가로 마련된다.
제1 서브 벤트부(113)는 본체(110)에 마련된 제1 벤트부(112)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중공층(13)와과 연통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 서브 벤트부(113)의 크기 및 형태는 상술한 제1 벤트부(112)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구동부(12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구동부(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동부(120)는 제1 벤트부(1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한 쌍의 구동부(120) 중에서 다른 하나의 구동부(120)는 제1 서브 벤트부(113)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구동부(120)는 동시에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한 쌍의 구동부(120)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한 쌍의 구동부(120)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중공층(13) 사이의 수분이 제1 벤트부(112) 및 제1 서브 벤트부(113)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벤트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제2 서브 벤트부(116)가 추가로 마련된다.
제2 서브 벤트부(116)는 제2 벤트부(115)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14)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114)와 연통된다. 결국, 제2 서브 벤트부(116)는 연결부(114)와 연통된 빗물 구멍(18)과 연통되게 된다.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면, 제1 벤트부(112)를 통해서 본체(110)의 내부로 중공층(13)의 수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수분은 제2 벤트부(115) 및 제2 서브 벤트부(116)를 통해서 빗물 구멍(18)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참고로, 한 쌍의 구동부(120)가 마련되는 경우, 제1 벤트부(112) 및 제1 서브 벤트부(113)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중공층(13)의 수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수분은 제2 벤트부(115) 및 제2 서브 벤트부(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벤트부(115)와 인접한 위치에 제2 서브 벤트부(116)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온/오프 스위치(140)와 배터리부(130)가 본체(110)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오프 스위치(140)와 배터리부(130)가 본체(110)의 내부가 아니라 본체(110)의 외부, 즉 창틀(16)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100)는, 이중 창호(10)의 중공층(13)과 창틀(16)의 빗물 구멍(18)을 연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마련된 팬(126)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중 창호(10)의 중공층(13)에 존재하는 수분을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이중 창호(10) 자체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창호에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10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이중 창호 12, 14: 창짝
13: 중공층 16: 창틀
18: 빗물 구멍
100(100-1): 수분 제거 장치
110: 본체 112: 제1 벤트부
113: 제1 서브 벤트부 114: 연결부
115: 제2 벤트부 116: 제2 서브 벤트부
120: 구동부 122: 구동부 케이스
124: 구동 모터 126: 팬
130: 배터리부 132: 수납 케이스
134: 배터리 140: 온/오프 스위치

Claims (14)

  1. 이중 창호를 구성하는 두 개의 창짝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과 연통되고 창틀의 빗물 구멍과 연결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중공층의 수분을 흡입하고, 흡입된 수분을 빗물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분 제거 장치에 있어서,
    수분 제거 장치는,
    상기 중공층과 연통되는 제1 벤트부 및 상기 빗물 구멍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벤트부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는 제1 벤트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된 구동부 케이스,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본체로 유입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 및 팬을 회전시키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팬의 회전력으로 제1 벤트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본체로 유입된 수분을 연결부를 통과하여 빗물 구멍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부와 연결되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마련되고, 이중 창호의 중공층 및 빗물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부는,
    교환되는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방식으로 마련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본체에 매립 설치되며, 배터리부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납 케이스가 마련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되며,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부로부터 구동부의 전력 공급되는 제어되도록 마련된,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제1 벤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중공층과 연통되는 제1 서브 벤트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구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되,
    한 쌍의 구동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제1 벤트부에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제1 서브 벤트부에 마련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부는 별개로 구동되거나 동시에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부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한 쌍의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중공층 사이의 수분이 제1 벤트부 및 제1 서브 벤트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벤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제2 벤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서브 벤트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제1 벤트부를 통해서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중공층의 수분은 제2 벤트부 및 제2 서브 벤트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빗물 구멍이 형성되는 창틀;
    상기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두 개의 창짝; 및
    두 개의 창짝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과 연통되고 창틀의 빗물 구멍과 연통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중공층의 수분을 흡입하여 빗물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분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수분 제거 장치는,
    상기 중공층과 연통되는 제1 벤트부 및 상기 빗물 구멍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벤트부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는 제1 벤트부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된 구동부 케이스,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본체로 유입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 및 팬을 회전시키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중공층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을 팬의 회전력으로 제1 벤트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본체로 유입된 수분을 연결부를 통과하여 빗물 구멍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부와 연결되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제거 장치는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마련되고, 이중 창호의 중공층 및 빗물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중 창호.
KR1020210082308A 2021-06-24 2021-06-24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KR10265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08A KR102655650B1 (ko) 2021-06-24 2021-06-24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08A KR102655650B1 (ko) 2021-06-24 2021-06-24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9A KR20230000199A (ko) 2023-01-02
KR102655650B1 true KR102655650B1 (ko) 2024-04-09

Family

ID=8492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08A KR102655650B1 (ko) 2021-06-24 2021-06-24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0319S1 (en) * 2023-08-08 2024-04-02 Quan Zhou Side tab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05Y1 (ko) * 2005-03-30 2005-06-1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환기장치
KR200433373Y1 (ko) * 2006-09-29 2006-12-11 차흥식 히터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
KR200468870Y1 (ko) * 2013-07-19 2013-09-06 김주영 결로 현상 방지 구조를 갖는 창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37B1 (ko) 2016-11-07 2018-07-18 주식회사 선우시스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05Y1 (ko) * 2005-03-30 2005-06-1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 환기장치
KR200433373Y1 (ko) * 2006-09-29 2006-12-11 차흥식 히터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
KR200468870Y1 (ko) * 2013-07-19 2013-09-06 김주영 결로 현상 방지 구조를 갖는 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9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194B1 (ja) 吸排気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
KR100915364B1 (ko)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0851436B1 (ko) 환기와 정화와 배연 및 습도제어기능을 갖는 다기능창호시스템
KR100912453B1 (ko)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102655650B1 (ko)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KR101201894B1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KR20080015230A (ko)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KR100697839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ES2420935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aire
KR102454848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자동 도어 시스템 및 기타 보조 장치를 구비한 미래 창호 시스템
KR200404269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JP3633798B2 (ja) 窓枠サッシ用換気扇
KR10134682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77208B1 (ko) 환기 시스템
KR100654401B1 (ko)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창호
KR200404270Y1 (ko)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창호
KR20050111146A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CN103485668B (zh) 一种能通风的玻璃隔热窗
CN215595408U (zh) 一种断桥铝门窗排水装置
JP2004003837A (ja) 空気調和装置
KR200148714Y1 (ko) 공기조화기의 환풍장치
KR0132649Y1 (ko) 실내통풍장치
CN108678610A (zh) 一种多功能铝合金窗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