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03A -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03A
KR20190125703A KR1020180049840A KR20180049840A KR20190125703A KR 20190125703 A KR20190125703 A KR 20190125703A KR 1020180049840 A KR1020180049840 A KR 1020180049840A KR 20180049840 A KR20180049840 A KR 20180049840A KR 20190125703 A KR20190125703 A KR 2019012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chisandra chinensis
chinensis
composition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122B1 (ko
Inventor
유재훈
김민수
임종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to KR102018004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22B1/ko
Priority to EP19796896.9A priority patent/EP3787658A4/en
Priority to PCT/KR2019/004598 priority patent/WO2019212170A1/en
Priority to JP2020560326A priority patent/JP7407735B2/ja
Priority to CN201980024280.0A priority patent/CN111971057A/zh
Publication of KR2019012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침 및 가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및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염증 및 진해거담 작용을 갖는다.

Description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Composition for anti-tussive activity or discharge of phlegm activity comprising extract of Atractylodes Rhizome White and Schizandra Fruit}
본 발명은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염증 및 진해거담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기침은 인후, 후두, 기관지, 흉막, 고막, 부비동, 횡격막, 위, 식도 등에 분포하는 감각수용체가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인식하고 미주신경을 통해 뇌간으로 자극을 전달함으로써 유발된다. 기침은 이물질이 하기도로 흡인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작용으로 기도의 과도한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용이다. 기침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기침으로 인한 피로감, 두통, 목쉼, 요실금, 근골격계 동통 등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하므로 기침의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을 만성 기침이라고 하고, 감기로 인해 유발되는 급성 기침과 달리 다양한 원인의 질병에 의해 발생한다. 기침은 폐의 중요한 방어기능이지만, 보통 보다 많아지는 기침이 있을 때에는 폐, 기관지 질환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정확한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먼지나 자극물질 등이 유입되면 우리 몸의 기관지에서는 타액과 함께 근육운동을 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객담 형성의 원인이 된다. 객담은 보통 의식하지 못하지만 지속적으로 생산되어 후두를 통과하여 위장관으로 삼키면서 처리된다. 객담의 생산 증가, 점도의 변화 또는 객담 처리능력의 저하 등으로 객담이 기도 내에 저류되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유발된다.
최근에는 미세먼지에 급성 또는 만성적으로 노출되어 기침과 호흡 곤란이 발생하고, 폐기능이 약화되거나 만성 기관지염이 증가하는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진해거담제는 크게 진해제와 거담제로 분류되는데 진해제는 원인에 관계없이 기침을 가라앉히는 약을 말한다. 작용기전에 따라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과 말초에 작용하는 약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추에 작용하는 약제들은 마약류, 마약유도체 및 비마약류로 나눌 수 있다. 마약류의 약제로 대표적인 것은 코데인(codein), 히드로코돈(hydrocodone), 모르핀(morphin) 등으로 제한적인 기침 억제 효과가 증명되었지만 결과가 일정하지 않고, 적정 용량에서 졸음, 변비, 소화장애, 남용이나 의존의 위험이 있다. 말초에 작용하는 진해제 중 국내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제는 레보드로프로피진(Levodropropizine)으로 기도의 감각 신경펩타이드 정도를 조절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외에도 테오브로민(Theobromine)이 이에 해당한다.
객담의 주성분은 점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관지 점액은 정상적으로 기관지 점막에 분포해 있는 점액선과 점막하선을 구성하는 점액성세포와 장액선세포로부터 분비된다. 점액은 95%가 수분, 나머지 5%정도는 당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당단백질의 구조가 선형중합제 이중구조로 되어 있는 겔 형태이기 때문에 끈적이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객담을 제거하는 거담제는 객담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물과 객담단백질의 S-S 결합을 끊어 점성을 감소시키는 점액분해제로 구분된다. 이러한 거담제로는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과 카르보시스테인(carbocysteine)과 같은 시스테인 유도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테인 유도체들은 장기간 사용시 기관지 연축 등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부작용 및 독성이 적으면서 거담효과가 우수한 거담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또한 천연물 소재의 진해거담제로 아이비엽 추출물 및 아이비엽과 황련 추출물의 복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황련의 경우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신경독성과 신장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등 안전성과 독성에 대한 부작용이 존재한다. 특히 황련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베르베린(berberine)의 경우 항암활성 및 항염증 효능 등을 가지는 것으로 잘 알려진 알칼로이드 약리활성 물질이지만, 급성독성을 유발하는 물질로서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성이 보장되고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생약을 이용한 천연물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의 줄기뿌리를 창출이라 하고, 줄기뿌리 끝부분에 달린 비대한 뿌리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을 백출이라고 부른다. 백출 및 창출의 성질은 온(溫)하고, 맛은 감고(甘苦)하며, 비장과 위장에 주로 작용하여 보비익위(補脾益胃), 조습화중(燥濕和中)하는 작용이 있어 식욕부진, 권태무력, 비위허약 및 설사 등의 소화기 기능저하를 치료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약리활성 성분으로는 atractylone, eudesmol, palmitic acid, hines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장관운동촉진, 간보호 및 이담작용, 항산화, 혈당강하, 위궤양예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오미자과(Schizand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목본인 덩굴식물이며 붉은 색의 과실을 생약제 및 식품원료로 이용하는 주요 약용식물이다. 오미자나무과에는 2속 3종이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데, 오미자의 효능으로는 혈압강하작용 및 알콜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암 예방 활성, 노화 억제 활성, 면역 조절 작용 및 항균활성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 오미자의 과실에 함유된 성분은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등 주로 리그난 화합물이 있으며 그 외에 정유, 색소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schizandrin은 혈당저하작용, 항궤양작용, 만성간염치료효과, 중추신경흥분작용 및 간 보호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해거담제의 부작용 및 문제점을 극복하고, 우수한 진해거담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천연물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에 소화효능 개선에 주로 사용되는 백출 또는 창출 추출물이 진해 및 거담에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새로운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더욱 놀랍게도 백출 또는 창출을 오미자와 함께 사용하면 진해 및 거담 효능이 훨씬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물이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고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침과 가래, 및 염증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 각각의 생약추출물을 독립적으로 함유할 때보다 월등히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효능을 갖는 염증, 기침 또는 객담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또는 가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만성기관지염, 카타르기관지염 및 염증성기관지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라는 용어는 백출과 오미자를 각각 추출하여 얻어진 백출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혼합물과, 백출과 오미자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라는 용어는 창출과 오미자를 각각 추출하여 얻어진 창출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혼합물과, 창출과 오미자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침지(냉침 또는 온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놀랍게도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및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 백출, 창출 또는 오미자의 단일 추출물보다 항염증 및 진해거담 활성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여 완성한 것이다.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및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진해거담 작용의 상승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생약 중량 기준으로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가 0.1:1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될 때, 더 바람직하게는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가 0.2:1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될 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4:1 내지 8:1의 중량비로 포함될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7:1의 중량비로 포함될 때,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가 5:1의 비율로 포함될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조추출물의 용매 추출 분획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은 용액(유동엑스), 농축물(연조엑스) 또는 건조 분말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로 이루어진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백출 (또는 창출), 바람직하게는 백출 (또는 창출) 근경부위, 및 오미자,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열매부위를 물, 탄소수 1 내지 4개로 이루어진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1차 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sec-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백출 (또는 창출) 및 오미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온도는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이며, 추출시간은 2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4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에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및 뇌혈관 내 주사 등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식품, 음료 및 식품 첨가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및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우수한 항염증 효과 및 진해거담 활성을 가지며, 이는 백출, 창출 및 오미자의 단일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급만성기관지염, 카타르기관지염 및 염증성기관지염을 포함한 항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 및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부작용이 알려지지 않은 안전성이 뛰어난 유효성분으로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음료, 의약품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의 진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니피그를 이용한 기침억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의 거담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마우스를 이용한 페놀레드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엘도스테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12의 거담활성 시험 결과는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출 및 오미자(5: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6 배수의 50%(v/v) 에탄올을 가하여 24시간 재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 한 후 백출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7 g을 얻었다.
[실시예 2] 오미자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오미자 60 g을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2 g을 얻었다.
[실시예 3] 백출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60 g을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12 g을 얻었다.
[실시예 4] 백출 및 오미자 (0.2: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10 g과 오미자 5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3 g을 얻었다.
[실시예 5] 백출 및 오미자 (0.4: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20 g과 오미자 50 g을 혼합하여 42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3 g을 얻었다.
[실시예 6] 백출 및 오미자 (1: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30 g과 오미자 3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18 g을 얻었다.
[실시예 7] 백출 및 오미자 (2.5: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20 g을 혼합하여 420 ml의 5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3 g을 얻었다.
[실시예 8] 백출 및 오미자(5:1) 수용액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수용액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3 g을 얻었다.
[실시예 9] 백출 및 오미자(5:1) 1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1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0 g을 얻었다.
[실시예 10] 백출 및 오미자(5:1) 3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3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21 g을 얻었다.
[실시예 11] 백출 및 오미자(5:1) 100% 에탄올 추출물 제조
백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100%(v/v) 에탄올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추출물 6 g을 얻었다.
[실시예 12] 창출 및 오미자(5:1)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창출 50 g과 오미자 10 g을 혼합하여 360 ml의 50%(v/v) 에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여 모으고, 잔사에 대해서는 6배수의 50%(v/v) 에탄올을 가하여 24시간 재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이전에 모아놓은 여액과 혼합하여 감압농축 한 후 백출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6 g을 얻었다.
<실험예 1.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 지표 중 하나인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 유래의 Raw 264.7 대식세포주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10% 우태아혈청(FBS), 페니실린(100 U/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μg/ml)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용액을 Raw 264.7 세포와 혼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웰 당 3 x 105 세포를 넣어 24시간 5% 이산화탄소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안정화된 후에 유발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와 함께 양성대조물질(L-NMMA, NG-monomethyl-L-arginine) 또는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5% 이산화탄소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100 μl의 배양액을 취하여 동일 부피의 그리에스(Griess) 시약과 혼합한 후 540 nm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동일 배지에 녹인 여러 농도의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아질산염(nitrite) 양을 정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 질소산화물 (μM)
대조군 무처리군(vehicle) 1.5
유발군 LPS (lipopolysaccharide) 100 g/ml 42.9
양성대조군 LPS (lipopolysaccharide) 100 g/ml
와 함께 L-NMMA 50 nM
30.1
실시예 1 백출 및 오미자(5:1) 50% 에탄올 1.1
실시예 2 오미자 50% 에탄올 12.9
실시예 3 백출 50% 에탄올 12.0
실시예 4 백출 및 오미자(0.2:1) 50% 에탄올 10.0
실시예 5 백출 및 오미자(0.4:1) 50% 에탄올 5.2
실시예 6 백출 및 오미자(1:1) 50% 에탄올 3.5
실시예 7 백출 및 오미자(2.5:1) 50% 에탄올 1.5
실시예 8 백출 및 오미자(5:1) 수용액 10.1
실시예 9 백출 및 오미자(5:1) 10% 에탄올 7.4
실시예 10 백출 및 오미자(5:1) 30% 에탄올 7.7
실시예 11 백출 및 오미자(5:1) 100% 에탄올 1.2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1의 추출물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질소산화물 생성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실시예 1 및 4 내지 11)의 활성이 단일 추출물(실시예 2 및 3)의 활성에 비해 현저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백출 및 오미자의 수용액 추출물 보다 백출 및 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더 우수하고, 백출 및 오미자의 50% 에탄올 추출물일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백출 및 오미자의 중량비에서 백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진해 활성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진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Tanaka 등의 방법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itrical Care Medicine, 1998, 158, 42-48)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용량별 진해활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350 내지 400 g의 웅성 Hartely계 기니피그(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12 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군 별로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추출물, 백출 30% 에탄올 건조추출물(11→1) 및 오미자 10% 에탄올 건조추출물(6.3→1)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 기침유발물질 (5% 시트르산)을 기니피그에 10분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시켰다. 기침유발물질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15분 동안 발생되는 기침 횟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백출 30% 에탄올 건조추출물(11→1)과 오미자 10% 에탄올 건조추출물(6.3→1)는 시판 중인 유동엑스를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mg/kg) 원생약 (g/kg) 기침
저해율 (%)
백출 오미자 총량
대조군 - 0±26
백출추출물 2.20 - 2.20 78±7
오미자추출물 - 1.27 1.27 53±11
실시예 1 100 0.29 0.06 0.35 55±12
200 0.58 0.12 0.70 60±16
300 0.88 0.18 1.05 76±10
400 1.17 0.23 1.40 79±12
600 1.46 0.29 2.10 96±3
800 2.33 0.47 2.80 96±4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은 300 mg/kg의 용량에서 백출의 단일 추출물과 유사한 기침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백출 추출물과 비교하여 백출의 원생약 대비 절반 이하의 적은 양으로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100 mg/kg의 용량에서 오미자의 단일 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과 비교하여 오미자의 원생약 대비 약 20배 이상 적은 양으로도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백출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백출과 오미자를 복합하였을 경우, 현저히 적은 양의 원생약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의 거담 활성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거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ngler 등의 방법(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984, 11, 151-157)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한 용량별 거담활성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30 내지 33 g의 웅성 ICR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12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군별로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추출물과 백출 30% 에탄올 건조추출물(11→1), 오미자 10% 에탄올 건조추출물(6.3→1)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5% 페놀레드(phenol red)를 복강 주사하였다. 30분 후, 경추 탈골하여 복부 대동맥을 방혈시킨 후 기관(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 ml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냉장 보관하였다. 24시간 후 냉장 보관된 기관을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에 1 N 가성소다 (NaOH)를 첨가(상등액 1 ml당 NaOH 0.1 ml) 한 후에 54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레드의 농도로서 거담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mg/kg) 원생약 (g/kg) 객담
배출능 (%)
백출 오미자 총량
대조군 - 0±34
백출추출물 2.20 - 2.20 51±17
오미자추출물 - 1.27 1.27 98±30
실시예1 100 0.29 0.06 0.35 55±25
200 0.58 0.12 0.70 86±18
300 0.88 0.18 1.05 117±22
400 1.17 0.23 1.40 171±32
600 1.46 0.29 2.10 176±26
800 2.33 0.47 2.80 175±3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은 100 mg/kg의 용량에서 백출 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백출 추출물과 비교하여 백출의 원생약 대비 약 7배 이상 적은 양으로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300 mg/kg의 용량에서 오미자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과 비교하여 오미자의 원생약 대비 약 7배 이상 적은 양으로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백출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백출과 오미자를 복합하였을 경우, 현저히 적은 양의 원생약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상기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놀랍게도 오미자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오미자와 백출을 함께 사용할 경우, 기침저해율 및 객담배출능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며, 특히 300 mg/kg 이상의 용량에서 우수한 기침저해율 및 객담배출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창출 및 오미자 추출물의 거담 활성 평가 시험>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표적인 진해거담제인 엘도스테인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12에 대한 거담 활성을 비교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객담배출능 (%)
대조군 0.0 ± 18.6
엘도스테인 75.5 ± 83.4
실시예 1 88.7 ± 72.7
실시예 12 80.6 ± 69.3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출 및 오미자 혼합추출물은 백출 및 오미자 혼합추출물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또는 가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백출 및 오미자, 또는 창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만성기관지염, 카타르기관지염 및 염증성기관지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에서 백출 및 오미자가 0.1:1 내지 10: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백출 및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에서 백출 및 오미자가 1:1 내지 7: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을 수용액,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을 에탄올 수용액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10 내지 9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30 내지 70%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식품, 음료 또는 식품 첨가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049840A 2018-04-30 2018-04-30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0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40A KR102202122B1 (ko) 2018-04-30 2018-04-30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EP19796896.9A EP3787658A4 (en) 2018-04-30 2019-04-16 ANTI-COUGH AND COUGH-PROMOTING COMPOSITION WITH AN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AND SCHISANDRAE FRUCTUS
PCT/KR2019/004598 WO2019212170A1 (en) 2018-04-30 2019-04-16 A composition with antitussive and expectoration activities comprising an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and schisandrae fructus
JP2020560326A JP7407735B2 (ja) 2018-04-30 2019-04-16 白朮及び五味子の抽出物を含む、鎮咳去痰活性を有する組成物
CN201980024280.0A CN111971057A (zh) 2018-04-30 2019-04-16 包含白术与五味子提取物的具有镇咳祛痰活性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40A KR102202122B1 (ko) 2018-04-30 2018-04-30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03A true KR20190125703A (ko) 2019-11-07
KR102202122B1 KR102202122B1 (ko) 2021-01-13

Family

ID=6838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40A KR102202122B1 (ko) 2018-04-30 2018-04-30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87658A4 (ko)
JP (1) JP7407735B2 (ko)
KR (1) KR102202122B1 (ko)
CN (1) CN111971057A (ko)
WO (1) WO201921217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6C (zh) * 2002-08-29 2004-09-01 李微 多功能广告塔
KR20050101942A (ko) * 2004-04-20 2005-10-25 (주)바이오솔루션 알레르기성 비염과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06114054A1 (fr) * 2005-04-27 2006-11-02 Shuhua Zhu Utilisation d’amorphophallus rivieri durieu et d’un extrait de celui-ci dans la fabrication d’un medicament pour le traitement de la bronchite aigue, chronique
CN107596093A (zh) * 2017-09-30 2018-01-19 四川金堂海纳生物医药技术研究所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和肺气肿的汤剂药物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0C (zh) * 1997-03-19 2000-03-22 李刚 治疗慢性支气管炎和哮喘的中药
JP2007161643A (ja) * 2005-12-14 2007-06-28 Taisho Pharmaceut Co Ltd Pmsの予防又は改善剤
CN102698233A (zh) * 2012-06-14 2012-10-03 何本阳 治疗寒饮夹热型小儿毛细支气管炎的中药合剂及制备方法
CN104721767A (zh) * 2013-12-20 2015-06-24 施泽晶 一种治疗小儿咳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85394B1 (ko) * 2014-02-17 2015-01-26 박윤걸 배, 구지뽕잎, 헛개나무, 생강나무, 오미자, 토복령, 지각 및 수세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CN103977019B (zh) * 2014-05-16 2016-08-24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五味子总多糖在制备用于治疗咳嗽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CN104069227A (zh) * 2014-07-23 2014-10-01 河南中医学院 一种治疗咳、痰、喘的中药
US10953059B2 (en) * 2015-06-03 2021-03-23 Chang Gung Medical Foundation Keelung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CN105213751A (zh) * 2015-11-16 2016-01-06 周建卿 一种治疗咳嗽的中药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6C (zh) * 2002-08-29 2004-09-01 李微 多功能广告塔
KR20050101942A (ko) * 2004-04-20 2005-10-25 (주)바이오솔루션 알레르기성 비염과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06114054A1 (fr) * 2005-04-27 2006-11-02 Shuhua Zhu Utilisation d’amorphophallus rivieri durieu et d’un extrait de celui-ci dans la fabrication d’un medicament pour le traitement de la bronchite aigue, chronique
CN107596093A (zh) * 2017-09-30 2018-01-19 四川金堂海纳生物医药技术研究所 一种治疗慢性支气管炎和肺气肿的汤剂药物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810A (ja) 2021-08-12
KR102202122B1 (ko) 2021-01-13
EP3787658A1 (en) 2021-03-10
JP7407735B2 (ja) 2024-01-04
CN111971057A (zh) 2020-11-20
WO2019212170A1 (en) 2019-11-07
EP3787658A4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595B1 (ko) 기관지염 치료를 위하여 제약조성물 및 이를 만드는 제조방법
KR100970739B1 (ko)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4125B1 (ko) 황기, 방풍, 강활, 황금 및 백출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463B1 (ko) 천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522883A (ja) 黄蓮抽出物を有効性分として含有する呼吸器疾患の予防用及び治療用組成物
KR20120043426A (ko) 기침, 가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식품
KR101286465B1 (ko) 천궁 및 현호색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813310B (zh) 一种防治脑部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02122B1 (ko)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70062781A (ko) 인지기능 개선 효능이 우수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83769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13640A (ko) 마약중독 치료제
CN116421684B (zh) 一种治疗口干症的中药雾化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2119352A1 (ko)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CN111888384B (zh) 一种治疗慢阻肺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20090106844A (ko) 니코틴 제거용 조성물
KR10180984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유도성 폐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32720B1 (ko) 인동등, 황금 및 맥문동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
CN112205494A (zh) 一种生地清热茶及其制备方法
Olaleye Effects of Diets Containing Seeds of Soybean (Glycine max) on Healing of Acetic Acid Induced Gastric Ulcers in Rats
JP2024522886A (ja) 咳喘息を治療する薬物の製造における漢方薬組成物の使用
KR20230092710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11614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