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372A -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372A
KR20190125372A KR1020197028389A KR20197028389A KR20190125372A KR 20190125372 A KR20190125372 A KR 20190125372A KR 1020197028389 A KR1020197028389 A KR 1020197028389A KR 20197028389 A KR20197028389 A KR 20197028389A KR 20190125372 A KR20190125372 A KR 2019012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eraction
circuit
indicator
er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320B1 (ko
Inventor
야스오 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9012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43K29/09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with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06F3/03546Pens or stylus using a rotatable ball at the tip as position detecting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심체에 의해 시각적으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했을 때에는,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도 동시에 소거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지시기를 제공한다. 펜 형상의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한다. 제1 지시부에는,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각적으로 형성 가능한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센서면 상에서의 지시 위치가, 센서로 검출되도록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지시부에는,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센서면 상에서의 지시 위치가, 센서로 검출되도록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다. 제2 지시부에는, 소거 부재를 하우징에 대해서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는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은 볼펜이나 샤프펜슬 등의, 필기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필기구 기능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검출 센서에 대해서 위치 지시를 할 수 있는 위치 지시기 및 당해 위치 지시기와 함께 사용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에 볼펜이나 연필 등의 필기구로 자필 입력을 행하는 대신에, 전자 펜등의 위치 지시기를 이용하여, 위치 지시기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위치 검출부를 가지는 태블릿 단말 등의 입력 장치에 자필 입력함으로써, 위치 지시기를 사용하여 입력한 자필 정보를 전자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것이, 페이퍼리스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일반적으로 되어 가고 있다.
그렇지만, 용지에 필기구로 자필 입력을 할 기회가 없어진 것은 아니며, 여러 상황에서 용지에의 자필 입력이 요구되고, 게다가, 그 필기된 용지를 보존하고 싶어 하는 요망이 여전히 많이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그 때문에, 센서를 구비한 위치 검출부의 입력면 상에 재치한 용지에, 볼펜이나 연필 등의, 필기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필기구의 기능을 갖춘 위치 지시기 등을 사용하여, 자필 입력을 했을 때에, 그 자필 입력된 필기 정보를, 위치 검출부로 검출하여, 전자 데이터로서도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입력 장치가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6-107124호 공보)에는, 워드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원고를 작성하고, 그 원고를 용지에 인쇄했을 때에 태블릿의 기억부에 그 인쇄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태블릿의 좌표 데이터를 입력하는 좌표 입력부에 재치된 인쇄 원고에, 필기구로 가필했을 때에는, 태블릿의 좌표 입력부로 그 전자적인 필기 궤적(좌표 데이터)을 검출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좌표 데이터와 인쇄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가필된 인쇄 원고와 마찬가지의 전자화된 문서를 얻을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 데이터로서도 기억되어 있는, 용지에 필기된 자필 입력된 필기 정보를 소거했을 경우에는,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도 소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용지에 자필 입력된 필기 정보는, 샤프펜슬의 경우에는, 지우개를 이용하여 시인 가능하게 소거하고, 또한, 필적을 소거 가능한 볼펜의 경우에는, 전용의 러버로 소거하고 싶은 지점을 문지름으로써 시인 가능하게 소거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자 데이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일본 특개 2007-24967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 지시기의 이레이저에 의해, 용지의 필기 정보를 소거한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전자적으로 소거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는, 통 모양의 하우징의 한쪽 측(펜 끝측)에, 예를 들면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펜 끝과 제1 위치 지시 코일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펜 끝측과는 반대측의 후단측에, 펜 끝과 같은 수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이레이저와 제2 위치 지시 코일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위치 지시 코일로부터 위치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태블릿에 송출하는 신호와, 제2 위치 지시 코일로부터 태블릿에 송출하는 신호의 패턴을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특허문헌 2의 위치 지시기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여, 제1 위치 지시 코일로부터의 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그 지시 위치를 기입 입력 위치로서 검출하고, 제2 위치 지시 코일로부터의 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그 지시 위치를 소거 지시 입력 위치로서 검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위치 지시기의 이레이저에 의해서, 지우개나 전용 러버로 문질러 필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소거한 용지의 같은 위치를 위치 지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소거한 필기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일본 특허 제5250306호 공보)에는, 자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전용 용지(아노토(Anoto) 용지)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필기용 디지털 펜과 소거용 디지털 펜을 이용함으로써, 전용 용지에 자필 입력된 필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소거했을 때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는 디지털 펜 데이터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6-107124호 공보 일본 특개 2007-249670호 공보 일본 특허 제525030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용지에 자필 입력을 할 때에는, 필기를 시각적으로 행할 수 있는 필기구 기능이 있는 위치 지시기를 이용함으로써, 용지에 자필 입력에 의한 필기를 했을 때에는, 그 필기 궤적에 따른 전자 데이터를 동시에 보존할 수 있지만, 그 자필 정보를 시각적으로 소거할 때에는, 지우개나 전용 러버를 이용하여 용지의 자필 입력의 궤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것과 함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레이저를 이용하여, 전자 데이터를 개별로 소거할 필요가 있어, 귀찮았다. 게다가, 용지의 자필 궤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한 후에, 그 소거된 자필 궤적을 따라서, 이레이저에 의해 트레이스하도록 하는 소거 조작이 필요하고, 전자 데이터에 대해 소거 누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3의 디지털 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지의 자필 궤적의 시각적인 소거 조작을 소거용 디지털 펜에 의해 행하는 것만으로, 용지의 자필 궤적과,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의 소거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그렇지만, 당해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탑재하는 특수한 구조의 디지털 펜과, 이 디지털 펜에 전용의 아노토 용지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어, 범용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디지털 펜과 전용의 용지를 이용하지 않아도, 시트 모양의 용지에 형성한 시인 가능한 자필 궤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했을 때에는,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도 또한 동시에, 그리고 양호하게 소거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지시하는 위치가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되는, 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지시부에는,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는,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시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에 의하면,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시인 가능한 필적을 소거하는 소거 부재에 의해,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하여, 심체에 의해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소거하는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그 소거 조작에 대응하여 제2 지시부는 센서면 상을 이동한다.
따라서, 센서는 제2 지시부의 센서면 상의 이동 위치를 데이터의 소거 지시 위치로서 검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소거 부재가 상기 제2 지시부에서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구조여도,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지시부가 상기 소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센서의 상기 센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되어도,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지시부에,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소거 부재가 마련된 경우에서도, 소거 부재는,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로 구성된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소거 부재가 마련된 경우에서도, 유지부에 의해서 제2 지시부와 위치 검출 센서 사이의 인터랙션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위치 지시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와, 도 2의 예의 태블릿 단말의 전자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다른 구성예에 대응한,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지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와,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여러 실시 형태를,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와 함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자필 정보 입력 장치는 위치 지시기(1)와,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예로서의 태블릿 단말(2)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예에서는, 태블릿 단말(2)은, Bluetooth(등록상표) 혹은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 또는 서버 등에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다. 모바일 단말 또는 서버는, 태블릿 단말(2)에서 입력된 자필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자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태블릿 단말(2)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2)은 모바일 단말이 아니라, 고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PC 등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 태블릿 단말(2)과, 위치 지시기(1)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이하에 있어서는, 위치 지시기는 전자 펜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실시 형태는, 전자 펜(1)과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의 센서가,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위치 검출부가 전자 펜(1)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성예의 태블릿 단말(2)은, 전자 펜(1)에 의한 지시 입력면을 용지 등의 시트 모양 부재의 재치면(2S)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의 태블릿 단말(2)은, 재치면(2S)의 상단부에, 시트 모양 부재로서의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를 협지(挾持)하여 태블릿 단말(2)의 지시 입력면인 재치면(2S) 상에 고정하는 클립 부재(21)를 구비하고 있고, 판 모양의 외관 형상을 구비한, 이른바 클립 보드, 혹은 바인더 등으로 불리며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문구와 마찬가지의 외관을 가진다. 이 예에 있어서는, 재치면(2S)의 이면측인 태블릿 단말(2)의 내부에는, 전자 유도 방식(전자 결합)의 인터랙션을 이용한 위치 검출부(200)가 배설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크기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가 구비하는 센서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크기에 대응한 것으로 되고, 이 예에서는, A4사이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는, 그 상단에, 각각의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하, 페이퍼 ID라고 함)가 인쇄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페이퍼 ID로서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페이퍼 ID는 바코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2)에는, 전원 버튼(23)이 마련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2)은, 도시를 생략했지만, 충전식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고, 전원 버튼(23)이 온으로 됨으로써,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압이 공급되어 태블릿 단말(2)이 기동한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2)의 클립 부재(21)는, 판상체의 구성부품과 스프링 부재(도시는 생략)로 구성되어 있고, 판상체의 구성부품에는, 종료 버튼(24)과, 비프 스피커(25)가 마련되어 있다. 비프 스피커(25)는 다양한 상태를 비프음에 의해 이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립 부재(21)의 판 모양 부재의, 재치면(2S)에 재치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와 대향하는 면측에는, 페이퍼 ID의 판독부의 예로서의 바코드 리더(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2)의 클립 부재(21)의 판상체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클립 부재(21)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용지 장착 센서(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지 장착 센서(26)는 광학적으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장착 유무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 예에서는, 재치면(2S)측에 광원 또는 수광부 중 한쪽을 배설하고, 클립 부재(21)측에 광원 또는 수광부 중 다른 쪽을 배설한다.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장착된 것은, 광원과 수광부의 사이가 용지에 의해 차단되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검출한다.
태블릿 단말(2)의 클립 부재(21)는, 이 예에서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상단의,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도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하여,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를 눌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코드 리더(22)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의 기정 위치에 재치되어 클립 부재(21)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에,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의 위치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의 하우징(11)의 축심 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에, 제1 지시부의 예로서의 전자 펜 기능부(12)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하우징(11)의 축심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측에, 제2 지시부의 예로서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를 구비한다.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 및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와의 사이에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센서 상에 있어서의 전자 펜 기능부(12)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은,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를 전환하는 스위치(14)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이 스위치(14)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1에 있어서, 슬라이드 조작자(14a)가 마크 P측으로 전환될 때에는,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가 동작하고, 슬라이드 조작자(14a)가 마크 E측으로 전환될 때에는,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는,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전자 결합에 의해 위치 검출용 신호를 송출하는 것과 함께, 태블릿 단말(2)의 재치면에 고정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볼펜 혹은 연필(샤프펜슬이어도 됨) 등을 사용한 시인 가능한 필기와 마찬가지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필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에 마련되는 심체(121)를 볼펜의 리필심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볼펜으로의 필기와 같이, 시인 가능하게 필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심체(121)에 충전되는 잉크로서, 온도 변화에 의해 무색으로 되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되어 있는 필기 정보가 소거 가능한 프릭션(friction) 잉크가 이용된다.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는 전자 펜 기능부(12)의 심체(121)에 의해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부재로서의 소거 부재(131)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소거 지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소거 부재(131)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를 마찰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심체(121)의 볼펜 기능에 의해 형성된 필기 정보를 무색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부재로 된다.
따라서, 전자 펜(1)의 사용자는, 전자 펜(1)의 볼펜 기능에 의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시인 가능하게 필기하는 것과 함께, 그 전자 데이터를 기억하려고 할 때에는, 스위치(14)의 슬라이드 조작자(14a)를 마크 P측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태블릿 단말(2) 상에 클립 부재(21)에 의해서 고정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대해서,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의 볼펜 기능을 이용하여, 시인 가능하게 문자나 기호를 필기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한다. 이때, 동시에,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 위치 검출부(200)를 향해서 위치 검출용 신호가 송신된다. 위치 검출부(200)는 이 위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하여, 자필 정보 입력 용지(3) 상에 형성된 필적에 대응하는 지시 위치를 검출한다.
태블릿 단말(2)은 이 위치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한 전자 펜(1)의 지시 위치의 좌표 데이터를, 필적의 전자 데이터로서, 바코드 리더(22)로 읽어낸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페이퍼 ID를 부가하여 모바일 단말 또는 서버에 송신한다. 태블릿 단말(2)은, 이 예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무선 송신하는 것으로, 그것을 위한 컨트롤러 및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2)은, 모바일 단말에 전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시 기억부)를 가진다.
따라서, 이 예의 자필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필기된 정보를, 별도, 이미지 리더 등에 의해 전자 데이터로서 취입하는 것과 같은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필기된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전자 데이터로서의 좌표 데이터(필기 데이터)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2)이 모바일 단말의 기능도 가지는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된 필기 데이터는, 내장하는 기억부에 기억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 펜(1)의 사용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된 시인 가능한 필적이나 묘화 이미지 부분을 소거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4)의 슬라이드 조작자(14a)를 마크 E측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전자 펜(1)의 사용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된 필적이나 묘화 이미지 부분을,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부재(131)에 의해 문지름으로써, 시각적으로 소거한다. 이때, 동시에,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 소거 지시 신호가,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송출된다.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 사이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 수신한 소거 지시 신호에 의한 소거 지시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2)은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한 소거 지시 위치의 좌표 데이터에, 전자 펜 기능부(12)에 의한 지시 위치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지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소거용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소거 플래그 등의 부가 정보가 부가된 소거 정보를 관련짓는다. 소거 지시 위치의 좌표 데이터와 소거 정보는, 바코드 리더(22)로 읽어낸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페이퍼 ID와 함께 모바일 단말 또는 서버에 송신한다.
또한, 전자 펜 기능부(12)에 의한 지시 위치에 따른 필적의 좌표 정보(필적 정보)에도, 필적용의 식별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소거 정보와 구별하도록 해도 되고, 소거 정보와, 필적 정보 양쪽에,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태블릿 단말(2)과 네트워크 접속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에서는, 소거 정보가 부가된, 페이퍼 ID와 대응지어진 필기 정보를 태블릿 단말(2)로부터 수취하면, 소거 정보가 부가된 필기 정보로 지시되는 소거 지시 위치에 대응한, 페이퍼 ID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필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소거 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실시간 관련 처리(리얼타임 콜래보레이션 처리)를 행한다.
또한, 태블릿 단말(2)이,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필기 정보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소거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마련된 소거 부재(131)에 의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로부터 필적이나 묘화 이미지가 시인 가능하게 소거될 때에는, 그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페이퍼 ID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필기 정보도 또한 소거 조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소거 처리된다.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의 구성예]
도 2는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펜(1)의 하우징(11) 내의 펜 끝부측에는, 코일(122)이 권회된 자성체 코어, 이 예에서는 페라이트 코어(123)가 수납된다.
페라이트 코어(123)는, 예를 들면 원기둥 모양의 페라이트 재료로, 이 예에서는 시트 모양 부재에 시인 가능하게 필기할 수 있는 필기구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심체(121)를 삽입 통과(揷通)시키기 위한 축심 방향으로 소정의 지름의 관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심체(121)는 페라이트 코어(123)의 축심 방향의 길이 보다도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3)의 당해 관통공(123a)에 삽입되는 심체(121)는, 당해 관통공의 지름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페라이트 코어(123)의 관통공(123a) 내를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심체(121)의 펜 끝이 되는 선단부(121a)는, 하우징(11)의 단부의 개구(11a)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선단부(121a)에 의해서 시트 모양 부재에 시인 가능하게 필기된다.
페라이트 코어(123)에 권회된 코일(122)의 와인딩 시작단 및 와인딩 종료단으로부터의 리드 선(도시는 생략)은, 하우징(11)의 중공부 내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15)까지 연장되어, 프린트 기판(15)에 마련되어 있는 캐패시턴스 소자로서의 캐패시터(16)에 접속된다. 인덕턴스 소자인 코일(122)과 프린트 기판(15) 상의 캐패시터(16)에 의해서 공진 회로를 구성하고,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와의 사이에 있어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으로, 서로 신호를 송수(送受)하는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는 인덕턴스 소자로서의 코일(122)과 캐패시턴스 소자로서의 캐패시터(16)로 이루어진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와의 사이에서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공진 회로에 의해,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위치 검출용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3)는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중공부 내에 있어서, 코일(122)이 권회되어 있는 페라이트 코어(123)의, 펜 끝측과는 반대측에는, 필압 검출부(1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필압 검출부(124)는 몰드부(1240)에 의해 유지된다.
이 예에서는, 몰드부(1240)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체 유지부(1241), 도전 고무(1242), 링 스페이서(1243), 유전체(1244), 단자 부재(124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부가, 몰드부(1240)에 유지됨으로써, 필압을 검출하는 필압 검출부(124)를 구성한다.
심체 유지부(1241)는 예를 들면 경질 고무 등에 의해 컵 모양으로 형성되고, 심체(121)의 펜 끝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부분이 삽입 탈락(揷脫)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이를 유지한다. 심체 유지부(1241)는 심체(121)에 가해지는 필압에 따라서, 링 스페이서(1243)를 통해서 도전 고무(1242)를 유전체(1244)측에 압압(押壓)하는 압압부로서 기능한다.
유전체(1244)의 도전 고무(1242)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단자 부재(1245)가 마련되어 있다. 도전 고무(제1 전극)(1242)와 단자 부재(제2 전극)(1245)가 유전체(1244)를 개재하여 대향함으로써 가변 용량 캐패시터가 구성되고 있고, 심체(121)에 인가되는 필압은 이 가변 용량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서 검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필압 검출부(124)를 구성하는 가변 용량 캐패시터는, 코일(122)에 대해서, 캐패시터(16)와 함께, 병렬로 접속되어, 공진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가변 용량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공진 회로의 주파수가 위치 검출 장치로 검출되는 것으로,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의 심체(121)에 인가된 필압을 검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심체 유지부(1241), 도전 고무(1242), 링 스페이서(1243), 유전체(1244), 단자 부재(1245)에 의해 구성되는 필압 검출부(124)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일본 특개평 5-2752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구성인 필압 검출 수단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또한, 필압 검출부(124)는, 일본 특개 2011-1868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주지의 구성인 필압 검출 수단과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13-1613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필압에 따라 정전 용량을 가변으로 하는 반도체소자를 이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압 검출부(124)로 검출된 필압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필적의 굵기에 대응지어지도록 이용된다.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구성예]
도 3은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펜(1)의 하우징(11) 내의 펜 끝부측과는 반대측의 후단부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131)가, 소거 부재(131)의 유지부의 예로서의 지우개 케이스(132)에 수납되어 마련되어 있다.
소거 부재(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용지에 프릭션 잉크로 형성된 필적을 문지름으로써 필적을 무색으로 되게 하여,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할 수 있는 러버로 구성된다.
소거 부재(131)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지우개 케이스(132)는, 외관이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이며,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인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우개 케이스(132)는, 그 원기둥의 중심선 방향의 한 쪽측에, 소거 부재(131)의 일부를 감합(嵌合) 수납하는 오목부(132a)를 구비한다. 소거 부재(131)는 지우개 케이스(132)의 오목부(132a) 내에 감합되어 용이하게는 떨어지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지우개 케이스(132)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자성체 분말을 소거 부재(131)에 혼입시킴으로써, 소거 부재(131) 자체도 자성체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검출부(200)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한층 더 양호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의 지우개 케이스(132)에 있어서는, 원기둥의 중심선 방향의 다른 쪽측에도 오목부(1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132b) 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O링(133)이 배설되는 것과 함께, 그 O링(133)에 단면이 충합(衝合)하도록, 자성체 코어, 이 예에서는 원기둥 모양의 페라이트 코어(135)의 일단측이 삽입된다. 이 경우, 오목부(132b)의 내경은, 페라이트 코어(135)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 지우개 케이스(132)의 오목부(132b) 내에 있어서, 페라이트 코어(135)가, 그 중심선 방향(축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페라이트 코어(135)에는, 코일(134)이 권회되어 있다. 이 페라이트 코어(135)에 권회된 코일(134)의 와인딩 시작단 및 와인딩 종료단으로부터의 리드 선(도시는 생략)은, 하우징(11)의 중공부 내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15)까지 연장되어, 프린트 기판(15)에 마련되어 있는 캐패시터(17)에 접속된다. 인덕턴스 소자로서의 코일(134)과 프린트 기판(15) 상의 캐패시턴스 소자로서의 캐패시터(17)에 의해서 구성된 공진 회로도 또한,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와의 사이에서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위한, 상술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공진 회로에 의해,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위치 검출용 신호(소거 지시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서로 신호를 송수할 수 있다(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참조).
이 예에서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는, 이 코일(134)과 캐패시터(17)로 이루어진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와의 사이에서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공진 회로에 의해,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소거 지시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35)는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된다. 이 예에서는, 소거 지시 신호는 코일(134)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로 생성되고, 페라이트 코어(135),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우개 케이스(132) 및 자성체가 함유된 소거 부재(131)에 의해서 형성된 자로(磁路)를 통해서, 위치 검출부(200)에 대해서 송출된다.
그리고, 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있어서는, 소거 부재(131)를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눌러 문지르는 조작을 했을 때에는, 소거 부재(131)의 선단에 걸리는 압력(소거 압력이라고 함)에 의해, 지우개 케이스(132)가, O링(133)의 탄성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135)측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한다. 이 때문에, 코일(134), 페라이트 코어(135) 및 자성체로 구성된 지우개 케이스(132)를 포함한 구조체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고, 코일(134)과 캐패시터(17)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있어서는, 소거 부재(131)에 인가되는 소거 압력을 이 인덕턴스 값의 변화로서 검출한다. 즉, 지우개 케이스(132)와, O링(133)과, 코일(134)이 권회되어 있는 페라이트 코어(135)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따라 인덕턴스 값이 변화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는 소거 압력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134)과 캐패시터(17)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소거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함으로써, 위치 검출부(200)에 있어서,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부재(131)에 인가되고 있는 소거 압력을 검출한다. 검출된 소거 압력은, 모바일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소거 지시된 에어리어의 크기와 대응지어질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소거 부재(131)에 자성체 분말을 혼입시켜, 소거 부재(131)도 자성체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했지만,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에 있어서는, 소거 부재(131)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지우개 케이스(132)가,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 코어(135)와 마찬가지로, 코일(134)에 의한 자로를 형성하는 자로재로서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소거 부재(131)는 반드시 자성체로서 기능시키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전자 펜(1) 및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의 전자 회로 구성예]
도 4는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의 등가 회로와, 이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을 행하고, 또한,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소거 위치 검출 및 소거 압력 검출을 행하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의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4의 예의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는, 센서(212)와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와 컨트롤러(202)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212)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1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122)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2개의 루프 코일 그룹(2121, 2122)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차례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2123)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2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는, 선택 회로(2123)에 접속되어 있고, 선택 회로(2123)에 있어서의 루프 코일의 선택을 제어한다. 또한,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는 소정의 주파수의 교류 신호를 선택 회로(2123)로 선택한 루프 코일을 통해서 송출하는 송신 회로와, 그 송출한 교류 신호가 전자 펜(1)의 후술 하는 공진 회로(12R 또는 13R)를 통해서, 귀환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송신 동작과 수신 동작을 시분할로 행한다. 그리고,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의 수신 회로는, 선택 회로(2123)로 선택한 루프 코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센서(212) 상의 지시 위치 좌표를 검출한다.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에서는, 또한,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심체(121)에 인가되는 필압이나, 소거 부재(131)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는 검출한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센서(212) 상의 지시 위치의 좌표 데이터 및 필압이나 압력의 검출 출력은 컨트롤러(202)에 공급되어 신호 처리된다.
컨트롤러(202)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로부터 수취한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필압 정보를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02)는, 유저 I/F(203)를 통해서, 바코드 리더(22)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로부터 읽어내진 바코드를, 페이퍼 ID로서 취득하고, 그 취득한 페이퍼 ID의 정보를, 일시 기억하고 있는 정보와 대응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02)는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검출한 압력(필압)의 정보와, 그 페이퍼 ID로서의 정보를, 무선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무선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용지 장착 센서(26)의 센서 출력으로부터,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놓여져 클립 부재(21)에 의해 고정된 것을 검지했을 때에는, 바코드 리더(22)를 기동하도록 제어하거나, 비프 스피커(25)로부터의 비프음의 방음을 제어하거나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한다.
전자 펜(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100)로 구성되는 신호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이 IC(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212)의 루프 코일 그룹(2121, 212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여자 신호로 하여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X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1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 그룹(2122)을 둘러싸도록 하여, 여자 코일을 별도 마련하고, 이 여자 코일로부터, 전자 펜(1)에 여자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에 있어서는, 코일(122)에 병렬로 캐패시터(16) 및 필압 검출부(124)를 구성하는 가변 용량 캐패시터(124C)가 접속되어, 공진 회로(12R)가 구성된다. 가변 용량 캐패시터(124C)의 정전 용량이 필압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필압 검출부(124)로 검출된 필압 정보는, 공진 회로(12R)의 공진 주파수(위상)의 변화로서 위치 검출부(200)에 전송된다. 위치 검출부(2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위상)의 변화로부터 필압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공진 회로(12R)에 병렬로, 스위치(12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125)는 IC(1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고, 이 스위치(125)가 오프일 때에는, 공진 회로(12R)에 의한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이루어진다. 스위치(125)가 온일 때에는, 코일(122)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캐패시터(16) 및 가변 용량 캐패시터(124C)가 단락되어, 공진 회로(12R)에 의한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오프가 된다.
또한,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있어서는, 코일(134)에 병렬로 캐패시터(17)가 접속되어, 공진 회로(13R)가 구성된다. 이 경우, 페라이트 코어(135)에 권회된 코일(134)은, 소거 압력 검출부를 구성하는 가변 인덕턴스 소자로서 구성된다.
소거 압력 검출부로 검출된 압력 정보는, 공진 회로(13R)의 공진 주파수(위상)의 변화로서 위치 검출부(200)에 전송된다. 위치 검출부(2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위상)의 변화로부터 압력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공진 회로(13R)에 병렬로, 스위치(13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136)는 IC(1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136)가 오프일 때에는, 공진 회로(13R)에 의한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위치(136)가 온일 때에는, 코일(134)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캐패시터(17)가 단락되어, 공진 회로(13R)에 의한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오프가 된다.
그리고, IC(100)는 공진 회로(12R) 또는 공진 회로(13R)에서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212)로부터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수신한 교류 신호를, 다이오드(101) 및 캐패시터(102)로 이루어진 정류 회로(전원 공급 회로)(103)로 정류하여 얻어지는 전원 전압 Vcc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C(100)는, 공진 회로(12R), 또한, 공진 회로(13R)와는, 각각 캐패시터(104), 또한, 캐패시터(105)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공진 회로(12R, 13R)의 동작 상황을 모니터하고 있다. IC(100)는 공진 회로(12R, 13R)의 동작 상황을 모니터함으로써, 센서(212)와의 전자 결합 상황, 혹은, 이 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2개의 루프 코일 그룹(2121, 2122)을 사용하여 위치 검출부(200)의 센서(212)로부터 송신된 제어 데이터 등의 신호를 검출하고, 원하는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IC(100)에는, 스위치(14)가 접속되어 있다. IC(100)는 스위치(14)의 슬라이드 조작자(14a)가 마크 P측으로 전환되면, 공진 회로(12R)를 동작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조작자(14a)가 마크 E측으로 전환되면, 공진 회로(13R)를 동작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즉, IC(100)는, 공진 회로(12R)를 동작 가능하게 할 때에는, 공진 회로(13R)의 스위치(136)를 상시 온으로 하여, 이 공진 회로(13R)로부터의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의 센서(212)로의 귀환을 정지하는 것과 함께, 공진 회로(12R)의 스위치(125)를, 온·오프 제어하여, 위치 검출용 신호로서 제1 단속(斷續) 패턴으로 위치 검출부(200)에 송출한다.
또한, IC(100)는, 공진 회로(13R)를 동작 가능하게 할 때에는, 공진 회로(12R)의 스위치(125)를 상시 온으로 하여, 이 공진 회로(12R)로부터의 센서(212)로부터의 신호의 센서(212)로의 귀환을 정지하는 것과 함께, 공진 회로(13R)의 스위치(136)를, 온·오프 제어하여, 소거 지시 신호로서, 공진 회로(12R)의 스위치(125)에 의한 온·오프 제어에 기초하는 제1 단속 패턴과는 다른 제2 단속 패턴으로 위치 검출부(200)에 송신한다. 제1 단속 패턴과 제2 단속 패턴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버스트 모양 신호의 연속 신호 기간의 길이를 바꾸거나, 버스트 모양 신호의 간헐 주기를 바꾸는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버스트 모양 신호의 주파수를 바꿈(공진 회로(12R)와 공진 회로(13R)의 공진 주파수를 바꿈)으로써, 위치 검출부(200)로, 수신한 신호가,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인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신호 레벨과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서로 다르게 하여 설정함으로써, 위치 검출부(200)로 수신한 신호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전자 펜 기능부(12)에 의한 조작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한 조작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태블릿 단말(2)의 처리 동작예]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2)의 처리 동작예를, 도 5~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일부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가 행하는 처리가 포함되지만, 모두 컨트롤러(202)가 행하는 처리로서 설명한다.
태블릿 단말(2)에 있어서, 전원 버튼(23)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202)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재치되어 클립 부재(21)에 의해 고정되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지 장착 센서(26)의 센서 출력으로부터 판별한다(스텝 S201). 이 스텝 S201에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재치되어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2).
이 스텝 S202에서,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려, 이 스텝 S2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02에서,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프 스피커(25)로부터 비프음을 방음하여 경보 알림한다(스텝 S203). 그리고, 컨트롤러(202)는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려, 이 스텝 S2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01에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재치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바코드 리더(22)에 의해,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진 바코드 정보를 읽어낸다(스텝 S204).
그리고, 컨트롤러(202)는 바코드의 판독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S205), 판독이 불가능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비프 스피커(25)로부터 비프음을 발생시켜 경보 알림하고(스텝 S206), 그 후, 처리를 스텝 S205로 되돌린다. 이 비프음의 경보 알림에 따라서, 이용자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를 재치면(2S)에 다시 올바르게 장착하는 등,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처치를 한다.
그리고, 스텝 S205에서,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바코드 리더(22)로 읽어내진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바코드의 정보를 기억하는 것과 함께, 모바일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207).
다음으로, 컨트롤러(202)는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기다려(스텝 S208), 전자 펜(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수신한 신호가 필기를 위한 위치 검출용 신호인지, 혹은 소거를 위한 소거 지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209). 이 스텝 S209에서의 판별은, 이 예에서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로, 수신 신호의 단속 패턴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이 스텝 S209에서는, 예를 들면, 공진 회로(12R)의 공진 주파수와 공진 회로(13R)의 공진 주파수는 서로 식별 가능한 공진 주파수를 구비하고 있고, 수신 신호의 공진 주파수로부터, 수신 신호가 필기를 위한 위치 검출용 신호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검출한 전자 펜 기능부(12)에 의해 지시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와, 필압 정보를, 스텝 S207에서 취득한 페이퍼 ID와 대응지어 모바일 단말에 송신한다(도 6의 스텝 S211).
스텝 S209에서, 수신 신호의 공진 주파수로부터, 수신 신호가 소거 지시 신호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검출한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의해 지시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소거 위치의 정보)와, 소거 압력 정보를, 스텝 S207에서 취득한 페이퍼 ID와 대응지어 모바일 단말에 송신한다(도 6의 스텝 S212).
스텝 S211 및 스텝 S212의 다음에, 컨트롤러(202)는, 종료 버튼(24)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13). 이 스텝 S213에서, 종료 버튼(24)이 조작되고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교체되었는지 여부를, 용지 장착 센서(26)의 센서 출력에 기초하여 판별한다(스텝 S214). 즉, 재치면(2S)에 재치되어 있던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교체를 위해서, 클립 부재(21)로부터 떼어내져 제거되면, 용지 장착 센서(26)는 수광부에서 발광부의 광을 수광 가능하게 되므로 일단 온으로 되고, 그 후,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재치되어, 클립 부재(21)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장착 센서(26)는 수광부에서 발광부의 광을 수광할 수 없게 되므로 오프로 되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교체가 검출된다.
스텝 S214에서, 용지가 교체되고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처리를 도 5의 스텝 S208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08 이후의, 같은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대한 전자 펜(1)에 의한 자필 정보 입력 및 자필 정보 소거 입력에 대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14에서,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교체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처리를 도 5의 스텝 S204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04 이후의, 자필 정보 입력 용지(3)가 재치면(2S)에 재치되었을 때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213에서, 종료 버튼(24)이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재치면(2S)에 재치되어 있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대한 자필 정보 입력 및 자필 정보 소거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하여, 그 종료 통지를 모바일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215).
모바일 단말은, 이 종료 통지를 수취하면, 종료 승인 통지를 태블릿 단말(2)에 대해서 송신한다. 그래서, 컨트롤러(202)는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종료 승인 통지를 기다린다(스텝 S216).
그리고, 스텝 S216에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종료 승인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비프 스피커(25)로부터 종료 승인을 지시하는 비프음을 방음한다(스텝 S217). 여기서, 종료 승인의 비프음은, 다른 경보 알림을 위한 비프음과는 다른 것으로 되고, 예를 들면 경보 알림의 비프음이 「비-」와 같은 장음인 경우에는, 「삐, 삐」와 같은 단음의 연속으로 되어, 서로가 식별 가능한 비프음으로 알림된다.
이 스텝 S217의 다음에는, 컨트롤러(202)는, 전원 버튼(23)이 조작되어 전원 오프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S218), 전원 오프로 되지는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처리를 스텝 S214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1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18에서, 전원 오프로 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202)는, 모든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 후에 전원을 오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에 의하면, 소거 부재(131)에 의해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되어 있는 필적에 대해 문지르는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필 정보 입력 용지(3) 상의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것과 함께, 시각적으로 소거된 필적에 대응하여 기록된 필적 데이터에 대해 소거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는 소거 부재(131)를 수납하는 지우개 케이스(132)가 위치 검출부(200)와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 위치 검출부(200)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 소거 지시 신호가 위치 검출부(200)에 송신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 지시기의 이레이저는 수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소거를 위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은,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위치 지시 코일과 위치 검출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2 위치 지시 코일과 위치 검출부의 입력면의 사이의 거리는, 이레이저가 개재함으로써 커지고, 이것에 의해서 소거를 위한 전자 결합에 의한 양호한 인터랙션이 저해된다. 또한, 위치 지시기가 위치 검출부의 입력면 상에서 지시하는 소거 위치와, 제2 위치 지시 코일과 위치 검출부의 사이에서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으로 검출되어 지시되는 소거 위치의 위치 오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거 부재(131)를 수납하는 유지부의 예로서의 지우개 케이스(132)는, 코일(134)에 의한 자로를 형성하는 자로재로서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 위치 검출부(200)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필 정보에 대해서 지시되는 시각적인 소거 위치와,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되는 소거 위치 사이의 위치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거 부재(131)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소거 부재(131)도 또한 자성체가 함유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 위치 검출부(200)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한층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필 정보에 대해서 지시되는 시각적인 소거 위치와,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되는 소거 위치 사이의 위치 오차를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의 다른 구성예]
도 7은 이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 도 7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만을 추출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자 펜(1)의 통 모양의 하우징(11)의 축심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측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 7의 (B)는 이 예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를, 외부로 돌출되는 소거 부재(131A)의 단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의 (A)는 도 7의 (B)에 있어서의 A-A선단면도(전자 지우개 기능부(13A)의 종단면도)이다.
이 예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의 소거 부재(131A)는, 소거 부재(131)와 마찬가지로, 전자 펜 기능부(12)의 심체(121)의 볼펜 기능의 프릭션 잉크를 소거하기 위한 러버로 구성된다. 이 예의 소거 부재(131A)도 자성체 분말이 혼입되어, 자성을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예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의 지우개 케이스(132A)는, 소거 부재(131A)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132Aa)를 구비하는 원기둥 모양의 구성의, 예를 들면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의 구성예에서는, 지우개 케이스(132A) 내에,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34A)이 권회되어 있는 자성체 코어, 예를 들면 페라이트 코어(135A)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압력 검출부(137)가 마련되어 있다.
페라이트 코어(135A)는,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우개 케이스(132A)의 오목부(132Aa)의 저부측의 부분에, 오목부(132Aa)의 중심 위치를 걸치도록 매립되는 판상체부(135Aa)와, 이 판상체부(135Aa)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지우개 케이스(132A)의 오목부(132Aa)의 개구측의 단면에까지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35Ab, 135Ac)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그리고, 코일(134A)은 페라이트 코어(135A)의 판상체부(135Aa)의 거의 중앙에 권회되어 있다.
압력 검출부(137)는, 이 예에서는, 일본 특개 2013-1613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필압에 따라 정전 용량을 가변으로 하는 반도체소자(137S)를 이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압력 검출부(137)는 전자 펜 기능부(12A)의 필압 검출부(124)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가변 용량 캐패시터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지우개 케이스(132A)의 오목부(132Aa)의 저부에는, 소거 부재(131A)가 충합하여, 당해 소거 부재(131A)에 인가되는 압력을, 압력 검출부(137)에 전달하기 위한 압압 부재(137P)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 검출부(137)의 반도체소자(137S)는, 압압 부재(137P)를 통한 소거 부재(131A)에 인가된 압력에 따른 압력을 받아서, 정전 용량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용량 캐패시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 7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코일(134A)과 함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캐패시터도, 지우개 케이스(132A) 내에, 코일(134A)과 병렬로 접속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의 양단의 단자와, 압력 검출부(137)의 반도체소자(137S)로 구성하는 가변 용량 캐패시터의 2개의 전극의 단자가, 전자 펜(1) 내의 프린트 기판의 부품과 접속하기 위해, 지우개 케이스(132A)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이 외의 구성예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A)와 함께 사용되는 태블릿 단말은, 그 위치 검출부의 구성이, 도 4에 도시되는 태블릿 단말(2)의 위치 검출부(200)와 다를 뿐이며, 그 외의 구성은 태블릿 단말(2)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거 부재(131A)가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와 접촉하고 있는 위치는, 이 페라이트 코어(135A)의 2개의 절곡부(135Ab 및 135Ac)의 선단의 각각의 위치와는 다르다. 위치 검출부에서는, 페라이트 코어(135A)의 그들 2개의 절곡부(135Ab 및 135Ac)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를 받기 때문에, 그 검출 신호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거 부재(131A)와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접촉부의 위치 Xp를 사이에 둔 두 위치 X1 및 X2로 얻어지고, 각 위치 X1 및 X2의 검출 신호는, 전자 펜(1A)의 기울기(전자 지우개 기능부(13A)의 기울기)에 따른 강도 레벨 L1 및 L2의 신호가 된다. 또한, 도 8의 (B)는 센서(212)의 X축 방향에 대한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있지만, Y축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위치 검출부에서는, 이 도 8의 (B)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소거 부재(131A)와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의 접촉부의 위치 Xp는,
Xp = (L1*X1+L2*X2)/(L1+L2) … (식 1)
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에 대해서, 검출 신호가 얻어지는 위치를 Y1, Y2로 하고, 접촉부의 위치 Yp로 하면,
Yp = (L1*Y1+L2*Y2)/(L1+L2) … (식 2)
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를, 매뉴얼 조작의 스위치(14)로 전환하도록 했다. 그렇지만, 전자 펜 기능부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를, 스위치(14)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IC(100)에 의해,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124)로 검출되는 필압과,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압력 검출부로 검출되는 소거 압력을 감시하고, 그들 필압 및 소거 압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펜 기능부(12)를 동작시킬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를 동작시킬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124)로 검출되는 필압에 대해서는, 심체(121)에 인가되는 압력의 검출 범위가, 예를 들면 30g~200g라고 하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압력 검출부로 검출되는 소거 압력에 관해서는, 소거 부재(131)에 인가되는 압력이 20g를 초과한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되는 압력이 200g를 초과한 값으로 되도록 하는 검출값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124)로 검출되는 필압과,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압력 검출부로 검출되는 소거 압력을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할 때에, 필압과 소거 압력 사이에서 압력 검출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IC(100)는 전자 펜 기능부(12)가 조작되었는지,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IC(100)는 전자 펜 기능부(12)를 동작시킬지, 전자 펜 기능부(12)를 동작시킬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부(200)는, 검출된 압력의 값에 대응하여, 전자 펜 기능부(12)와의 인터랙션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의 인터랙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인가되는 압력이 아주 작은, 상술한 예에서는 20g 이하인 경우에는, 전자 펜 기능부(12) 및 전자 펜 기능부(12)는 모두 동작하지 않게 설정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압력값에 따른 판별 방법이지만, 공진 회로의 주파수에 따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공진 회로(12R)와 공진 회로(13R)의 공진 주파수를 위치 검출부(200)가 판별할 수 있도록 다르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부(200)는 전자 펜(1)과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시에,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전자 펜 기능부(12)와의 인터랙션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의 인터랙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부(200)가 전자 펜 기능부(12) 및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의 각각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는 지시 위치에서의 검출 영역의 차이에 대응하여, 전자 펜 기능부(12)와의 인터랙션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의 인터랙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코어(123)의 외경에 대해서,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있어서의 소거 부재(131)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지우개 케이스(132)의 외경을 크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시에, 지시 위치에 있어서의 검출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자 펜 기능부(12)와의 인터랙션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와의 인터랙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전자 펜(1)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를 전환하도록 했지만, 항상, 양 기능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 중 한쪽과 위치 검출부(200) 사이에서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쪽은, 위치 검출부(200)로부터 먼 위치로 되어 있어,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이 약하거나, 혹은 거의 전자 결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과 함께,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인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즉,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전자 펜(1)의 전자 펜 기능부(12) 및 전자 지우개 기능부(13) 양방으로부터 신호가 송출되고 있어도, 수신한 신호의 레벨이 큰 쪽의 신호가,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 중 어느 것으로부터의 신호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전자 펜 기능부(12) 및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 대한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펜에는, 상술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공통된 1개의 IC(100)가 아니라, 전자 펜 기능부(12)용의 IC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용의 IC를, 각각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인지를, 위치 검출부(200)로 판별하기 위해서는, 양자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가 다르게 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다른 방법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검출용 신호와 소거 지시 신호는, 주파수가 같은 신호의 신호 송출 패턴을 다르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부로 판별 가능하게 했지만, 위치 검출용 신호와 소거 지시 신호를 판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위치 검출용 신호와 소거 지시 신호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자 펜(1)의 IC(100)에 대해서, 전자 펜(1)의 식별 정보(펜 ID라고 함)를 기억하는 ID 메모리를 마련하여,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에는, 펜 ID를 포함시키고,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에는, 펜 ID를 포함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수신한 신호 중에, 펜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수신한 신호는,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반대로,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에 펜 ID를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에, 펜 ID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물론 된다. 또한,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에, 서로 다른 고유한 식별 신호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로 검출된 필압값과,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압력 검출부로 검출된 소거 압력값을, 디지털 신호로서, ASK 신호 혹은 OOK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압값의 디지털 신호의 비트수와, 소거 압력값의 디지털 신호의 비트수를 달리하여 전자 펜(1)으로부터 송출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전자 펜(1)으로부터 수신한 ASK 신호 혹은 OOK 신호를 복조해서 얻은 결과의 디지털 신호의 비트수의 차이로부터, 전자 펜 기능부(12)로부터의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로부터의 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펜(1)은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124)는 마련하지만,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에서는, 소거 압력 검출부는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위치 검출부(200)에서는, 소거 압력 정보를 가지지 않는 버스트 모양 신호밖에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당해 버스트 모양 신호는 소거 지시 신호라고 판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위치 검출부(200)에, 전자 펜 기능부(12)의 심체(121)측에 의한 필기 제스처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소거 부재(131)측에 의한 소거 제스처를 등록해 놓고, 위치 검출부(200)로 검출한 제스처가 어느 제스처인지에 의해, 위치 검출부(200)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이, 전자 펜 기능부(12)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인지를 판별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상은, 전자 결합 방식의 전자 펜의 경우의 예이지만, 본 발명은, 정전 결합 방식의 전자 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는, 도전성의 심체를 구비하고, 전자 펜 기능부용의 신호 발신 회로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 및 필압값의 정보 등이, 그 도전성의 심체를 통해서,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200B)에 송출된다. 이 구성은,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이 전자 펜 기능부용의 심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볼펜 기능을 가지는 것은,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이 제2 실시 형태의 정전 결합 방식의 전자 펜(1B)의 하우징(11B)에 수납된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되어 있는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131B)는, 도전체로서의 도전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지우개 케이스(132B)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소거 부재(131B)는 도전성 부재의 분말체가 함유됨으로써 도전성을 구비한 지우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용의, 신호 발진 회로(19F)와 도전체인 지우개 케이스(132B)로 구성되는 신호 발신 회로(19E)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 및 소거 압력값의 정보 등이, 도전성을 가지는 지우개 케이스(132B)를 통해서, 또는 각각이 도전성을 가지는 지우개 케이스(132B)와 소거 부재(131B)를 통해서,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200B)에 송출된다.
지우개 케이스(132B)의 오목부(132Ba)의 저부에는, 소거 압력을 검출하는 소거 압력 검출부(137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소거 압력 검출부(137B)는, 이 예에서는, 일본 특개 2013-1613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필압에 따라 정전 용량을 가변으로 하는 반도체소자를 이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소거 압력 검출부(137B)의 반도체소자는, 압압 부재(137BP)를 통한 지우개 부재(131B)에 인가된 압력에 따른 압력을 받아서, 정전 용량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용량 캐패시터를 구성한다. 또한, 이 압력 검출부(137B)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펜 기능부(12)의 필압 검출부(124)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가변 용량 캐패시터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거 압력 검출부(137B)와 소거 부재(131B)의 사이에는, 압압 부재(137BP)가 마련되어 있고, 소거 부재(131B)에 인가된 압력이 압압 부재(137BP)를 통해서 소거 압력 검출부(137B)에 전달된다. 이 예에서는, 소거 압력 검출부(137B)와 소거 부재(131B)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37SP)가 마련되어 있어, 소거 부재(131B)에 인가되어 있던 압력이 없어졌을 때에는, 소거 부재(131B)를 소거 압력 검출부(137B)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있다.
소거 압력 검출부(137B)는 프린트 기판(15B)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의 IC(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인 IC(100B)(도 11 참조.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IC(100B)는 소거 압력 검출부(137B)로 검출된 소거 압력값의 정보를, 소정의 주파수로 발진하는 신호 발진 회로(19F)를 구비한, 전자 지우개 기능부용의 신호 발신 회로(19E)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IC(100B)는 전자 펜 기능부에 마련되어 있는 필압 검출부로 검출된 필압값의 정보를, 전자 펜 기능부용의 신호 발신 회로(19S)(도 11 참조)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제어도 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펜(1B)의 프린트 기판(15B)에는, 위치 검출용 신호등을 송출하는 전자 펜 기능부용의 신호 발신 회로(19S)(도 11 참조. 도 9에서는 도시는 생략)와, 소거 지시 신호 등을 송출하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를 구성하는 신호 발신 회로(19E)(도 9 및 도 11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신호 발신 회로(19E)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의 출력단은, 이 예에서는, 신호 발신 회로(19E)가 구비하는 신호 발진 회로(19F)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발진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구성된, 캐패시터(18) 및, 자성체 코어, 예를 들면 페라이트 코어(139)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138)을 통해서, 도전성을 가지는 지우개 케이스(132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소거 지시 신호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패시터(18) 및 코일(138)을 통해서, 지우개 케이스(132B)에 공급되고, 지우개 케이스(132B)를 통해서, 또는 지우개 케이스(132B) 및 소거 부재(131B)를 통해서,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200B)(도 11 참조)에 송신된다.
[전자 펜(1B) 및 태블릿 단말(2B)의 위치 검출부(200B)의 전자 회로 구성예]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펜(1B)의 회로와, 이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와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위치 검출 및 필압 검출, 또한, 전자 펜(1B)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와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 소거 위치 검출 및 압력 검출을 행하는 태블릿 단말(2B)의 위치 검출부(200B)의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부(200B)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220)와,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와, 신호 처리 회로로서의 컨트롤러(202B)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220)는, 이 예에서는, 단면도는 생략하지만, 하층측부터 순서대로, 제1 도체 그룹(221), 절연층(도시는 생략), 제2 도체 그룹(222)을 적층해서 형성된 것이다. 제1 도체 그룹(221)은, 예를 들면, 가로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도체(221Y1, 221Y2, …, 221Ym)(m은 1 이상의 정수)를 서로 소정 간격 떨어트려 병렬로, Y축 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또한, 제2 도체 그룹(222)은 제1 도체(221Y1, 221Y2, …, 221Ym)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 이 예에서는 직교하는 세로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도체(222X1, 222X2, …, 222Xn)(n은 1 이상의 정수)를 서로 소정 간격 떨어트려 병렬로, X축 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제1 도체 그룹(221)과 제2 도체 그룹(222)의 각각은, 선택 회로(223)를 통해서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에 접속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200B)의 센서(220)에서는, 이상과 같이 제1 도체 그룹(221)과 제2 도체 그룹(222)을 교차시켜 형성한 센서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 펜(1B)이 지시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는, 인터랙션 회로로서, 신호 발신 회로(19S)와, 도전성의 심체(121B)와, 필압 검출부(도시는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도전성의 심체(121B)가 제1 회로 요소가 된다. 또한, 전자 펜(1B)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는, 인터랙션 회로로서, 신호 발신 회로(19E)와, 도전성의 지우개 케이스(132B)를 구비한다. 또한, 인터랙션 회로로서, 소거 부재(131B)와, 소거 압력 검출부(137B)(도 9 참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전성의 지우개 케이스(132B)가 제2 회로 요소가 된다. 또한, 소거 부재(131B)가 도전성을 구비하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거 부재(131B)도 또한 제2 회로 요소가 된다.
그리고, IC(100B)의 제어 하에, 전자 펜 기능부(12B)는, 위치 검출용 신호와 필압 검출부로 검출된 필압값을 나타내는 필압 정보를,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를 구비한 신호 발신 회로(19S)로부터 심체(121B)를 통해서 센서(220)에 대해서 송출한다. 또한,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는, IC(100B)의 제어 하에, 소거 지시 신호와, 소거 압력 검출부(137B)로 검출된 소거 압력값의 정보를, 이 예에서는, 지우개 케이스(132B) 및 소거 부재(131B)를 통해서 센서(220)에 대해서 송출한다. 이 예에서는, 필압 정보나 소거 압력 정보는, ASK 신호 혹은 OOK 신호로서 송신된다.
선택 회로(223)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로부터의 선택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도체 그룹(221) 및 제2 도체 그룹(222) 중에서 1개의 도체(221Y 또는 222X)를 선택한다.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는 선택 회로(223)로 선택된 도체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고, 그 신호 레벨을 감시함으로써, 전자 펜 기능부(12B) 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 지시된 센서(220) 상의 위치(도체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는, 그것들에 포함되는 버스트 모양 신호의 연속 신호 기간의 길이가 바뀌어 있거나, 버스트 모양 신호의 간헐 주기가 바뀌어 있는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단속(斷續) 패턴이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에서는, 선택 회로(223)를 통해서 수신한 신호의 단속 패턴의 차이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또한,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에서, 송신 신호의 주파수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에서는, 그 주파수의 차이를 판별함으로써, 수신한 신호가,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또한,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신호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신호 중 한쪽에 전자 펜(1B)의 식별 정보(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는, 펜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수신한 신호가,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위치 검출용 신호인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소거 지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는, 선택 회로(223)를 통해서 수신한 신호가 ASK 신호 혹은 OOK 신호인 경우에는, ASK 신호 혹은 OOK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여, 필압 정보나 압력 정보를 검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좌표 데이터 생성부(201B)는, 전자 펜 기능부(12B)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필압 정보,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소거 압력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정보를, 예를 들면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소거 압력 정보에는, 소거 플래그 등의 식별용의 정보를 부가하여, 양자를 구별 가능하게 하여, 컨트롤러(202B)에 공급한다. 컨트롤러(202B)는,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저 I/F(203B)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전자 펜 기능부(12B)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필압 정보,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소거 압력 정보를, 예를 들면 전술한 소거 플래그 등의 식별을 위한 정보에 의해, 양자의 식별이 가능한 상태로 출력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펜(1B)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B)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의 전환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자 펜 기능부(12)가 구비하는 필압 검출 특성과 전자 지우개 기능부(13)가 구비하는 필압 검출 특성의 차이에 기초하는, 전자 펜 기능부(12)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의 판별과 다를바 없이 적용할 수 있고, IC(100B)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는 생략한다. 또한, IC(100B)에 의해, 전자 펜 기능부(12B)가 구비하는 필압 검출부(124)로 필압이 검출되었는지,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가 구비하는 소거 압력 검출부(137B)로 압력이 검출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전환 제어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변형예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자 펜 기능부(12B)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를 전환하는 일 없이, 상시, 양자를 동작시켜 놓아도 된다. 위치 검출부(200B)에 있어서, 전자 펜(1B)의 전자 펜 기능부(12B)로부터의 신호,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펜 기능부(12B)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B) 중 어느 것이 조작되고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면 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펜(1B)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자필 정보 입력 용지(3)에 형성되어 있는 필적이 소거 부재(131B)에 의해 시각적으로 소거되었을 때에는, 당해 필적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에 대해서 소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기초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자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기초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전자 결합과 정전 결합의 차이에 의존하지 않는 한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변형예를 그대로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거 부재(131B)와 지우개 케이스(132B)를 도전체로 구성하도록 했지만, 위치 검출부(200B)와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을 위해서는, 지우개 케이스(13B) 전체를 도전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신호 발신 회로(19E)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거 부재(131B)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체를, 지우개 케이스(132B) 내, 혹은, 지우개 케이스(132B)를 따라서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소거 부재(131B)는, 도전체로 하지 않고, 지우개 케이스(132B)만을 도전체로 하거나, 신호 발신 회로(19E)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위치 검출부(200B)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체를, 지우개 케이스(132B) 내, 혹은, 지우개 케이스(132B)를 따라서 마련하도록 하거나 하여,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에 의해서, 위치 검출부(200B)에 소거 지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소거 부재(131B)의 전체를 도전체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소거 부재(131B) 내에, 위치 검출부(200B)와 정전 결합에 의한 인터랙션이 가능한 도전체를 매립하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의 전자 펜 기능부 및 전자 지우개 기능부는, 태블릿 단말의 위치 검출부가 구비하는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관해서, 각각 같은 전자 결합, 혹은 정전 결합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태블릿 단말로서는, 전자 결합용의 센서와, 정전 결합용의 센서 양방을 가지는 것도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이 점을 이용하여, 전자 펜의 전자 펜 기능부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가, 태블릿 단말의 위치 검출부가 구비하는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관해서, 서로 다른 방식이 적용되었을 경우의 예이다.
도 12는 이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펜(1D) 및 태블릿 단말의 위치 검출부(200D)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의 위치 검출부(200D)는,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300)와, 전자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400)를 함께 구비한다.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300)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의 정전 결합용의 센서(301)와, 좌표 데이터 생성부(302)를 구비한다. 전자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40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의 전자 결합용의 센서(401)와, 좌표 데이터 생성부(402)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의 센서(301)와, 전자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의 센서(40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중첩시켜 배설되어, 재치면(위치 검출 에어리어)은,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01)와, 전자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400)의 센서(401)에서 공통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정전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3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302)로 검출한 정보와, 전자 결합 방식의 위치 검출부(4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402)로 검출한 정보는, 공통의 페이퍼 ID가 부가되어, 컨트롤러(500)에 공급된다.
한편, 이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펜(1D)에 있어서는, 전자 펜 기능부(12D)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구성의 전자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되고,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구성의 정전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소거 부재(131B)와 마찬가지인 소거 부재(131D)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500)에서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402)로부터의 신호는, 전자 펜(1D)의 전자 펜 기능부(12D)로부터의 신호로서 필기 처리하고, 좌표 데이터 생성부(302)로부터의 신호는, 전자 펜(1D)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로부터의 신호로서, 예를 들면 소거 플래그 등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소거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전자 펜 기능부(12D)로부터의 신호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로부터의 신호를, 예를 들면 소거 플래그에 의해 식별 가능한 상태에서, 공통의 페이퍼 ID와 대응지어,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도록 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펜(1D)에 있어서도, 전자 펜 기능부(12D)와,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의 동작을 전환 제어하도록 해도 되고, 상시, 양자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 기능부(12D)는 전자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하고,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는 정전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했지만, 반대로, 전자 펜 기능부(12D)는 정전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하고,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는 전자 결합 방식용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컨트롤러(500)에서는, 좌표 데이터 생성부(402)로부터의 신호는, 전자 펜(1D)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13D)로부터의 신호로서, 예를 들면 소거 플래그 등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소거 처리하고, 좌표 데이터 생성부(302)로부터의 신호는, 전자 펜(1D)의 전자 펜 기능부(12D)로부터의 신호로서 필기 처리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우개 케이스는, 위치 지시기(1)의 하우징(11)과는 별체로서, 하우징(11)의 전자 펜 기능부측과는 반대측의 후단부에 감합시키도록 했다. 그렇지만, 지우개 케이스를, 하우징(11)의 후단부에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소거 부재를 삽입 유지하는 오목부는, 하우징(11)의 후단부의 오목부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 당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의 후단부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자성 분말을 혼입시키는 등 하여 자성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도체 분말을 혼입시키는 등 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유지 부재로서의 지우개 케이스는, 위치 지시기(1)의 하우징(11)에 수납시키는 것도, 위치 지시기(1)의 축심 방향으로 하우징(11)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수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지우개 케이스(132)를 자성체로 구성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수지제의 지우개 케이스의 오목부의 저부측의 부분에, 당해 오목부의 중심 위치를 걸치도록 매립되는 판상체부와, 이 판상체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지우개 케이스의 오목부의 개구측의 단면에까지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페라이트 코어를 마련하고, 그 페라이트 코어에 코일을 권회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코일이 권회되는 자성체 코어는, 지우개 케이스에 수납하는 것이 아니라, 소거 부재 내에 매립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코일과 함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캐패시턴스 소자로서의 캐패시터도, 코일과 공진 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속한 상태에서, 소거 부재 내에 매립해도 된다.
또한, 소거 부재의 유지부로서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지우개 케이스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지우개 케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자 펜의 하우징의, 전자 펜 기능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의 오목부를, 소거 부재의 유지부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에 전자 지우개 기능부를 탑재하도록 했지만, 전자 지우개 기능부는, 전자 펜과는, 개별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로서, 소거 가능한 프릭션 잉크를 이용한 볼펜 기능을 구비한 전자 펜의 경우이며, 소거 부재는, 볼펜 기능의 프릭션 잉크를 소거하기 위한 러버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의 필기구 기능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거 가능한 볼펜(이하, 이레이저블 펜이라고 칭함)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거하기 어려운 통상의 볼펜 외에, 샤프펜슬이나 만년필 등도 존재하고, 당해 필기구 기능을 가지는 전자 펜도 고려되고 있다.
한편, 지우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볼펜 기능의 프릭션 잉크를 소거하기 위한 러버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샤프펜슬이나 연필용의 통상의 지우개(보통 지우개라고 칭함) 외에, 만년필이나 통상의 볼펜의 필적도 소거 가능한 모래 지우개도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필적에 대해서는, 소거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거하고 싶지 않은 경우도 있어, 필적의 소거에 대해 선택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예를 들면 테두리선은 소거하지 않고, 테두리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있어서의 문자 등의 필적만을 소거하는 경우이다. 또한, 통상의 볼펜과 같이 펜 끝이 경질인 것으로는, 필기에 의해 용지가 압압되어 필적이 용지에 오목부에 의한 변형(흔적)으로서 남는 경우도 있어, 그와 같은 용지에 남은 필적의 흔적에 대응하여, 가능하면, 전자 데이터로서는 소거하지 않고 남겨, 전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 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소거에 대한 선택성이나 소거 후의 흔적에 대응하여, 필적의 전자 데이터를 남기거나, 표시를 제어하거나 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 사용자가 관리하는 것은 매우 귀찮다. 그래서, 이하의 예에 있어서는, 그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예의 전자 펜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자 펜 기능부(12)는, 카트리지의 구성으로 되어,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일본 특개 2016-184444호 공보 참조). 또는, 이른바 노크식 다색 볼펜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카트리지가 전자 펜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노크 조작에 의해, 그 복수 개의 카트리지 중 어느 것이,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한쪽측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로부터 펜 끝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일본 특개 2016-184444호 공보 참조).
그리고, 각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전자 유도 방식의 전자 펜 기능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이 예에서는, 샤프펜슬, 상술과 마찬가지의 소거 가능한 프릭션 잉크의 볼펜(이레이저블 볼펜), 만년필, 프릭션 잉크가 아닌 통상의 볼펜의 4종 중, 어느 것의 필기구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예의 전자 펜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의 소거 부재로서, 이 예에서는, 샤프펜슬이나 이레이저블 펜용의 러버로 이루어진 보통 지우개와, 모래 지우개의 2종이, 유지부로서의 지우개 케이스에 교환 가능하게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전자 펜의 전자 펜 기능부로부터 태블릿 단말에 송신되는 신호에는, 위치 검출용 신호 및 필압 정보에 더하여, 카트리지가 상기한 4종의 필기구 기능 중 어느 것을 구비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카트리지 ID)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전자 펜의 전자 지우개 기능부로부터 태블릿 단말에 송신되는 신호에는, 소거용 신호 및 소거 압력 정보에 더하여, 소거 부재가 상기한 2종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소거 부재 ID)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 예를 들면 상술한 모바일 단말이나 PC, 혹은 태블릿 단말과 모바일 단말 혹은 PC를 통해서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장치에는, 전자 펜 기능부의 카트리지가 구비하고 있는 4종의 필기구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가, 각각의 식별 정보(카트리지 ID)와 대응지어진 속성 정보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도 13은 이 4종의 필기구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의 일례로서, 이 예에서는, 필기구 기능의 속성 정보는, 필적 플래그와 기록 능력의 정보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필적 플래그 PF는,
PF=0; 소거 부재에 의해 필적을 소거했을 때에, 필기 데이터 전체를 소거
PF=1; 소거 부재에 의해 필적을 소거했을 때에, 필기 데이터는 소거하지 않고 남겨 두지만, 필기 데이터에 의한 표시를 금지
와 같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필기 데이터에 의한 표시를 금지할지, 허가할지는,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표시 플래그를 이용한다.
기록 능력 RC는, 후술하는 소거 부재에 의한 소거 능력에 대응하는 레벨 정보이며, 이 예에서는, RC=1과, RC=2의 2 레벨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필기구 기능의 샤프펜슬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카트리지 ID)로서 「ID1」이 할당되고, 필기 플래그로서 「0」이, 기록 능력으로서 「1」이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필기구 기능의 이레이저블 펜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카트리지 ID)로서 「ID2」가 할당되고, 필기 플래그로서 「1」이, 기록 능력으로서 「1」이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필기구 기능의 만년필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카트리지 ID)로서 「ID3」가 할당되고, 필기 플래그로서 「0」이, 기록 능력으로서 「2」가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필기구 기능의 통상의 볼펜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카트리지 ID)로서 「ID4」가 할당되고, 필기 플래그로서 「1」이, 기록 능력으로서 「2」가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는, 전자 지우개 기능부의 2종의 소거 부재에 대한 속성 정보가, 각각의 식별 정보(소거 부재 ID)와 대응지어진 속성 정보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도 14는 이 2종의 소거 부재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의 일례이며, 이 예에서는, 소거 부재의 속성 정보는, 소거 능력의 정보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소거 능력 ER은, 기록 능력에 대응하는 레벨 정보이며, 이 예에서는, ER=1과, ER=2의 2 레벨이 정해져 있다. 이 예의 경우, 기록 능력 RC와, 소거 능력 ER을 비교하여, 소거 능력 ER이 기록 능력 이상(ER≥RC)이면, 소거 부재에 의해 필적의 소거 가능(시각적인 소거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소거 능력 ER이 기록 능력 RC보다도 작은 레벨이면(ER<RC), 필적의 소거는 가능하지 않다(시각적인 소거가 불가능)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보통 지우개의 소거 부재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소거 부재 ID)로서 「IDa」가 할당되고, 소거 능력으로서 「1」이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모래 지우개의 소거 부재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소거 부재 ID)로서 「IDb」가 할당되고, 소거 능력으로서 「2」가 할당되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억 데이터 포맷으로, 필기 데이터가 관리된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의 기억 데이터 포맷은, 페이퍼 ID와, 필적 플래그와, 기록 능력과, 표시 플래그와, 좌표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표 데이터에는, 필압 정보를 포함하는 것과 함께, 필기된 시점의 시각 정보가 부가된다.
태블릿 단말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는, 태블릿 단말로부터 전자 펜 기능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지시 위치의 정보, 필압 정보 및 카트리지 ID 및 페이퍼 ID를 받았을 때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한 페이퍼 ID를 선두에 기억하는 것과 함께, 수신한 카트리지 ID에 의해 도 13에 나타낸 필기구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필적 플래그 PF 및 기록 능력 RC를 기억한다. 그리고, 표시 플래그는 「1」을 기억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필압 정보나 시각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좌표 데이터를 기억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태블릿 단말로부터 전자 지우개 기능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지시 위치의 정보, 소거 압력 정보 및 소거 부재 ID 및 페이퍼 ID를 받았을 때에는, 페이퍼 ID 및 좌표 데이터로부터, 소거 대상이 되는 필기 데이터를 검지하는 것과 함께, 소거 부재 ID에 의해 도 14에 나타낸 소거 부재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거 능력을 인식하고, 인식한 소거 능력과, 검출한 필기 데이터의 기억 데이터 포맷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능력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검지한 필기 데이터 전부를 소거할지, 그 기억 데이터 포맷의 표시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할지, 소거를 하지 않을지를 제어하도록 한다.
도 16에, 태블릿 단말과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 동작 중 일례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즉, 정보 처리 장치는 태블릿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스텝 S301). 이 스텝 S301에서, 태블릿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것은, 전자 펜 기능부와 태블릿 단말의 인터랙션에 의한 필기 정보인지, 혹은, 전자 지우개 기능부와 태블릿 단말의 인터랙션에 의한 소거 정보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302).
이 스텝 S302에서, 수신한 것은 필기 정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필기 정보에 포함되는 카트리지 ID에 의해 필기구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필적 플래그와 기록 능력을 특정하고, 도 14에 나타낸 기억 데이터 포맷으로, 필기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때, 표시 플래그는 「1」을 기억한다. 이 스텝 S302의 다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처리를 스텝 S301으로 되돌려, 이 스텝 S3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수신한 것은 소거 정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소거 정보에 포함되는 페이퍼 ID와 좌표 데이터로부터,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를 파악한다(스텝 S304).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소거 정보에 포함되는 소거 부재 ID에 의해 소거 부재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고, 그 소거 능력을 검지하여, 그 검지한 소거 능력과,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에 포함되는 기록 능력을 비교하여, 소거 능력 ER이 기록 능력 RC 이상의 레벨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5).
스텝 S305에서, 소거 능력 ER이 기록 능력 RC 이상의 레벨은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는 소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스텝 S306), 처리를 스텝 S301으로 되돌려서, 이 스텝 S3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305에서, 소거 능력 ER이 기록 능력 RC 이상의 레벨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의 필적 플래그가 「0」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7).
스텝 S307에서, 필적 플래그가 「0」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의 전체를 소거한다(스텝 S308). 그리고, 이 스텝 S308의 다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처리를 스텝 S301로 되돌려, 이 스텝 S3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307에서, 필적 플래그가 「0」이 아니라, 「1」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소거 대상의 필기 정보는 소거하지 않고, 그 기억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의 표시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변경한다(스텝 S309). 그리고, 이 스텝 S308의 다음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처리를 스텝 S301로 되돌려, 이 스텝 S3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 처리 장치는 필기 정보를, 소거에 관해서, 용지에 있어서의 소거 부재에 의한 소거 동작과 대응하도록 관리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기록 능력의 레벨이 큰 통상의 볼펜으로 테두리선을 기술하고, 그 테두리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기록 능력의 레벨이 작은 샤프펜슬이나 이레이저블 펜으로 문자 등을 기재하고, 소거 능력이 1인 소거 부재로 소거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테두리선을 지우지 않고, 테두리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문자 등이 지워지게 되지만, 그것에 대응하여, 필기 정보도, 테두리선을 남겨 두고 문자 등만의 필기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다. 즉, 필적의 소거에 대해 선택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 의하면, 통상의 볼펜으로 용지에 필기했을 때에는, 통상의 볼펜에 대한 필적 플래그를 「1」로 한 것에 의해, 당해 볼펜의 필적을 소거 가능한 모래 지우개로 이루어진 소거 부재를 이용하여 소거했을 때에도, 용지에 남겨진 흔적에 따른 필기 데이터를 남겨 둘 수 있어서(표시는 하지 않음) 편리하다. 또한, 이 예에서는, 이레이저블 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필적 플래그를 「1」로 했으므로, 필기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남겨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도 13~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 있어서도, 전자 펜에 전자 지우개 기능부를 탑재하도록 했지만, 전자 지우개 기능부는, 전자 펜과는, 개별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3~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의 전자 펜은, 전자 유도 방식이었지만, 정전 용량 방식의 전자 펜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1A, 1B, 1D…전자 펜, 2, 2A, 2B…태블릿 단말, 12, 12A, 12B, 12D…전자 펜 기능부, 13, 13A, 13B, 13D…전자 지우개 기능부, 131, 131A, 131B…소거 부재, 132, 132A, 132B…지우개 케이스, 200, 200B, 200D…위치 검출부

Claims (19)

  1.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지시하는 위치가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되는, 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지시부에는,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는,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2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2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상기 인터랙션은,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2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2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션 회로가 구비하는,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1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1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션 회로가 구비하는,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1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1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회로는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동일 종류의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의 상기 센서면에 대향하는 면적은,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대해서 상기 유지부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상기 소거 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상기 소거 부재는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0.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된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펜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한 위치 지시기를 상기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조작함으로써, 상기 위치 지시기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위치 지시기와 상기 센서 사이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위치 지시기는,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지시부에는,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는,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면에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한 필적을 시각적으로 기록하는 시트 모양 부재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위치 지시기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인지,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인지를 검지하고,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의 검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시트 모양 부재로의 시각적인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의 검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지시부의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된 필기 정보와는 식별 가능하게 기록하는 제2 필기 정보 기록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상기 시트 모양 부재로의 시각적인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는, 식별 정보에 의해서 서로가 식별 가능하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필기 정보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에 부가되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동일 종류의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의 상기 센서면에 대향하는 면적은,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대해서 상기 유지부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14.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지시하는 위치가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되는, 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제1 단부에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시부에는,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상기 인터랙션은,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회로 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소거 능력에 대한 기록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제2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상기 소거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형성된 필적의 데이터에 대한 소거에 대한 선택성을 실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소거 능력에 대한 기록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형성된 필적의 데이터의 소거를 허가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를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KR1020197028389A 2017-03-03 2017-09-25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KR102293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0084 2017-03-03
JPJP-P-2017-040084 2017-03-03
PCT/JP2017/034403 WO2018158993A1 (ja) 2017-03-03 2017-09-25 位置指示器及び筆記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372A true KR20190125372A (ko) 2019-11-06
KR102293320B1 KR102293320B1 (ko) 2021-08-25

Family

ID=6337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389A KR102293320B1 (ko) 2017-03-03 2017-09-25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3115B2 (ko)
EP (1) EP3579088B1 (ko)
JP (1) JP6901548B2 (ko)
KR (1) KR102293320B1 (ko)
CN (1) CN110291494B (ko)
TW (1) TWI737827B (ko)
WO (1) WO2018158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9236B2 (ja) * 2018-11-09 2024-03-13 株式会社ワコム 電子消去具及び筆記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0107384A1 (zh) * 2018-11-30 2020-06-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笔迹清除工具、书写设备和书写系统
JP7482706B2 (ja) * 2020-07-08 2024-05-14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EP3995940A1 (de) * 2020-11-10 2022-05-11 RAFI GmbH & Co. KG Manuell betätigbare befehlseingabe-vorrichtung sowie sensor-anordnung für dessen betrieb
CN114840075A (zh) * 2022-04-06 2022-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手写笔及终端设备
WO2024070383A1 (ja) * 2022-09-26 2024-04-04 ゼブラ株式会社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0306B2 (ko) 1972-02-04 1977-12-23
JP2006107124A (ja) 2004-10-05 2006-04-20 Ricoh Co Ltd タブレット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JP2007249670A (ja) 2006-03-16 2007-09-27 Wacom Co Ltd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WO2016006272A1 (ja) * 2014-07-11 2016-01-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の入力制御方法
WO2016129614A1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2017037670A (ja) * 2009-05-28 2017-02-16 ケント ディスプ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筆記タブレット情報記録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553B2 (ja) 1992-03-24 2000-07-31 株式会社ワコム 可変容量コンデンサ及びこれを利用した位置指示器
US5528002A (en) * 1993-07-15 1996-06-18 Pentel Kabushiki Kaisha Noiseproof digitizing apparatus with low power cordless pen
JP3414517B2 (ja) * 1994-08-26 2003-06-09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座標入力装置
JP2767098B2 (ja) * 1995-06-06 1998-06-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ユニット及びスタイラスペン
JP2007094932A (ja) * 2005-09-30 2007-04-12 Pentel Corp 筆跡入力システム
TW200945120A (en) * 2008-04-17 2009-11-01 Lirlink Internat Inc Digital pen structure and data input method
JP5250306B2 (ja) 2008-05-22 2013-07-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ペンデータ処理装置
JP5430339B2 (ja) * 2009-10-19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JP2011145819A (ja) * 2010-01-13 2011-07-28 Panasonic Corp 入力装置及びモード切替方法
JP5534419B2 (ja) 2010-03-09 2014-07-0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可変容量コンデンサ及び入力装置
JP5275283B2 (ja) 2010-03-30 2013-08-28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87327B (zh) * 2010-07-02 2013-03-20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大面积书写方法、装置及系统
JP5892595B2 (ja) 2012-02-06 2016-03-2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JP2015022442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6249486B2 (ja) * 2013-08-19 2017-12-20 株式会社ワコム 描画装置
EP3187978B1 (en) * 2014-08-29 2021-03-17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and cartridge for position indicator
JP5869193B1 (ja) * 2014-08-29 2016-02-2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位置指示器用カートリッジ
WO2016084424A1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JP2016212737A (ja) * 2015-05-12 2016-12-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接触体判別プログラムおよび接触体判別方法
EP3252570B1 (en) 2015-01-29 2019-12-04 Wacom Co., Ltd. Electronic pen
JP2016189098A (ja) * 2015-03-30 2016-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40965B1 (ko) * 2016-03-28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838520B2 (en) * 2016-09-02 2020-11-17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Handwriting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0306B2 (ko) 1972-02-04 1977-12-23
JP2006107124A (ja) 2004-10-05 2006-04-20 Ricoh Co Ltd タブレット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JP2007249670A (ja) 2006-03-16 2007-09-27 Wacom Co Ltd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2017037670A (ja) * 2009-05-28 2017-02-16 ケント ディスプ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筆記タブレット情報記録デバイス
WO2016006272A1 (ja) * 2014-07-11 2016-01-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の入力制御方法
WO2016129614A1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9088A4 (en) 2020-07-22
EP3579088A1 (en) 2019-12-11
CN110291494B (zh) 2024-02-20
JP6901548B2 (ja) 2021-07-14
US10963115B2 (en) 2021-03-30
KR102293320B1 (ko) 2021-08-25
WO2018158993A1 (ja) 2018-09-07
JPWO2018158993A1 (ja) 2019-12-26
TWI737827B (zh) 2021-09-01
EP3579088B1 (en) 2022-04-27
US20190384425A1 (en) 2019-12-19
CN110291494A (zh) 2019-09-27
TW201833735A (zh) 201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320B1 (ko)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KR102460220B1 (ko)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US4670751A (en) Eraser for electronic blackboard
CN107111379B (zh) 位置指示器
US10216295B2 (en) Electronic pen
US11977693B2 (en) Position indicator and input system
US20220137731A1 (en) Electronic pen an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US20170185172A1 (en) Electronic pen
US20240111413A1 (en) Handwriting input device
CN103632577B (zh) 点读笔
CN208888785U (zh) 具有电磁感应功能的书写笔及电子书写设备
US20210247851A1 (en) Electronic erasing device and 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8027020A (ja) 筆記用具及び照合システム
CN112639692A (zh) 书写控制方法、手写笔及手写输入装置
CN217690128U (zh) 智能手写点读装置
US12008177B2 (en) Electronic p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central rod for electronic pen
CN112930515B (zh) 电子擦除工具及书写信息处理系统
US20230273688A1 (en) Electronic p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central rod for electronic pen
SE520537C2 (sv) Skrivaranordning ansluten till en digital penna genom ett gränssnitt
JP2007079890A (ja) データ入力装置及び当該データ入力装置の関連情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