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88B1 - 전자 흑판용 소거기 - Google Patents

전자 흑판용 소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88B1
KR880000488B1 KR1019830006210A KR830006210A KR880000488B1 KR 880000488 B1 KR880000488 B1 KR 880000488B1 KR 1019830006210 A KR1019830006210 A KR 1019830006210A KR 830006210 A KR830006210 A KR 830006210A KR 880000488 B1 KR880000488 B1 KR 88000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er
electronic blackboard
erasing
main body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291A (ko
Inventor
순지 에노끼도
히데유끼 고다니
하지메 오오다
Original Assignee
후지쑤 가부시끼 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쑤 가부시끼 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흑판용 소거기
제1도는 자석식 전자 흑판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 필수부분의 개략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흑판용 소거기의 단면도로서 대소거부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 필수부분을 예시한 도면.
제2b도는 대소거부부 장착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거기의 필수 부분을 예시한 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소거기의 필수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소거기의 상세부의 단면도.
제5도는 전자 흑판의 제어시스템의 개략도.
본 발명은 전자 흑판, 특히 전자 흑판용 소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거부가 가변적인 소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자 흑판은 전자식 표시장치에 수동식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판위에 손으로 쓴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것은 전화선 같은 것에 의해 멀리 떨어진 회의실을 연결함으로써 회의를 진행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의 시스템은 AT&T 사의 "제미니(Gemini) 100" 또는 후지쓰사의 "OA 보오드(OA board)" 등과 같은 상품명을 가지고 실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전자 흑판의 원리는 분필, 연필, 펠트펜 또는 기타 특수판 입력장치 같은 수동식 입력장치가 입력판(이러한 입력판을 간혹 디지타이저(digitizer)라 할때도 있음)의 표면과 접촉할때 좌표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접촉된 지점의 좌표는 검출되어 기억되거나 표시장치로 전달되어 접촉지점의 표시(숫자)가 좌표 위에 나타나게 된다. 전자 흑판 시스템은 접촉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대개 두가지고 구분된다. 첫번째 것은 감압판을 사용하여 입력판 위의 수동식 장치의 접점을 검출하는 감압형이고, 그 다음의 것은 전자기형으로서 이것은 다시 좌표 검출이 전자 흑판에 대한 검출기의 결합이 전기식이냐 자기식이냐에 따라 전기시과 자기식으로 구분된다.
다시 전자기식 검출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능동형판과 수동형 펜방식의 것인데, 즉 입력판(능동형판)에 의해 위치 신호가 발생되며 이 신호가 펜 또는 소거기(수동형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다. 그 다음의 것은 수동형판과 능동형 펜 방식의 것인데, 즉 펜 또는 소거기(능동형펜)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입력판(수동현판)에 의해 그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판의 표면에 쓰여진 문자나 도형을 소거하고 이 숫자의 소거된 부분에 상응하는 기억을 귀선소거(branking)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의 상응하는 부분을 소거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소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리하게 소거부를 변화시켜 표시된 문자나 도형의 대소부분을 소거한느 신규의 소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은 자기식 전자 흑판, 특히 능동형판과 수동형펜 방식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기타 형식에 대해서는 거의 모두 동일하며, 입력판의 표면에 있는 소거기 또는 입력장치의 좌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을 제외하고는 여하한 전자 흑판에도 적용가능하다. 자기식 전자 흑판의 필수부는 제1도에 나와 있다. 흑판(입력판에 쓰여진 문자나 도형 태뷰레이터(tabulator) (1)에는 X 방향과 Y 방향으로 나란히 해상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코일을 설치한다. 이들 코일은 대개 인쇄 회로법에 의해 구성되는데 이들의 설치방향에 따라 각각 X 코일 (2)와 Y 코일 (3)이라 부른다.
이들 X 코일과 Y 코일은 전류에 따라 하나씩 들뜨게 되어 X 방향과 Y 방향의 순으로 일정간격씩 자회된다. 문자나 도형 (6)이 펠트펜 (5)에 의해 흑판 (1)에 쓰여지면 펠트펜 (5)에 장치된 검출용 코일 (4)은 흑판 표면의 자계를 감지한다. 코일 (4)에 의해 감지된 자계의 타이밍 또는 상으로부터 흑판 (1)의 펠트펜 (5)의 좌표위치가 검출된다. 흑판 (1)에 쓰여진 동일한 도형(6')도 표시장치 (7)에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의 소거기는 입력펜과 유사하다.
입력판의 도형이 펠트펜이 있는 소거기에서 손으로 지워지게 되면 소거기에 설치된 검출코일은 입력판의 자계를 감지하게 된다.
소거기의 좌표위치는 입력펜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검출되며 입력판 표면의 소거기에 의해 접점의 궤적에 상응하는 기억(소거기에 의해 소거된 문자나 도형의 일부)도 귀선소거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문자나 도형의 상응하는 부분이 소거된다.
종래의 전자 흑판에 있어서 흑판을 이용하는 사람이 느끼는 것은 문자나 도형을 소거하기가 다소 불편하다는 것이었다. 소거기의 소거점이 적당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큰 부분을 소거하고자 할때는 소거기를 부지런히 바쁘게 이용해야만 했다.
이에 반하여 미세하거나 예리한 도형이나 문자를 소거코자 할 경우 불필요한 부분을 부적당하게 큰 소거기로 소거하였다. 그리고 소거기의 가장자리를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숫자나 도형을 소거코자 할때는 일반적인 흑판 지우개처럼 위치 방향으로 오차가 나타났고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적당히 지울수가 없다. 이런 문제에 대한 간단한 방식은 크고 작은 두개의 소거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구성 부품수를 많게 하고 경비부담을 크게 하였다. 손으로 소거기를 교환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극복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소거면적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흑판용의 새로운 소거기를 제공함으로써 크거나 작은 도형이나 문자부분을 소거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사용하기에 편리한 전자 흑판용 소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위에 나온 목적은 미세한 부분 소거기의 상부에 대소거부를 소거하는 장착식 대소거부 소거기를 구성하고 대소거부 소거기의 사용 여부를 탐지하는 수단을 구성하면 달성된다. 이런 감지작용에 의해 표시장치에서 소거될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거기는 주장치, 여기에 부착된 소거장치, 주장치에 설치된 위치 감지기 및 대소거부 소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대소거부 소거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와 대소거부 소거장치에 설치된 영구 자석의 자계에 의해 스위치되는 리이드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두 종류의 소거기를 사용하여 전자 흑판에 쓰여진 문자나 도형을 소거할 필요가 있다. 소소거부(미세부) 소거용의 것과 대소거부 소거용의 것이 필요하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소소거부 소거기에 장착되는 대소거부 소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거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즉, 입력판의 표면과 접하는 소거기 중앙의 좌표 위치를 감지하여 소거기 반경에 상응하는 중앙부 주위의 기억을 귀선 소거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이 부분에 상응하는 도형이나 문자가 소거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대소거부 소거기가 사용 중에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기억 중에서 귀선소거해야할 반경을 결정해야 한다. 어떤 크기의 소거기가 사용 중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데 몇가지 시행을 해야 했다. 한가지 방법은 대소거부 소거기용 지지부를 구성하여 사용상태에 있지 않을때 대소거부 소거기를 이 속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대소거부 소거기 사용은 지지부가 감지한다. 즉, 소거기가 지지부 중에 유지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 중에 있음을 감지하여 소거신호를 제어기로 보내었다.
그러나 강사가 소거기를 다시 지지부로 반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강사가 강연에 몰두하고 있을 때는 자주 소거기를 지지부로 반환하기를 잊어버려 잘못 조작하는 문제가 생기곤 했다.
따라서 소거기 자체에 의해 장착시 대소거부 소거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거기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제2(a)도는 대소거부용 소거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때의 조건이고, 제2(b)도는 대소거부 소거기가 부착되어 있을때의 경우이다. 이 도면은 본 발명의 필수부만을 예시한 것이다. 이 소거기는 소거기 본체 (10), 소소거부 장치 (10') 및 대소거부장치 (10'')로 되어 있는데 이들을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도 되며, 중량을 줄이고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 같은 경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재료는 다음에 나오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대하여 모두 같다.
소거기 본체 (10) (손잡이식 막대)에 검출용 코일 (11)과 접점 (13, 14)이 구성되는데, 이들은 제4도에서 설명이될 적당한 수단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다. 소소거부장치 (10')는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10')는 소거기헤드 (19)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막대 (19')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서 소거기 본체 (10) 속으로 삽입되어 축을 따라 미끌어질 수 있도록 유지된 소소거부용 소거기 (12)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적당한 수단에 의해 소거기본체 (10) 밖으로 미끌어져 나오지 못하도록 유지되어 있으나, 이들 메카니즘은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이후 부터는 설명과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대소거부 소거장치 (10')는 소거기 본체 (!0)에 장착식으로 고정된다. 대소거부용 소거기 (15)를 도면에서와 같이 대소거부 소거장치 (10'') 표면에다 장착한다. 소소거부용 소거기(12)와 대소거부용 소거기 (15)는 고무나 펠트 같은 것으로 만들어 전자 흑판 표면에 표시된 문자를 소거하는데 사용한다. 소거기의 크기와 재료는 전자 흑판에 표시될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전자 흑판의 크기 및 또는 소거될 문자나 도형의 정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소거기의 형상을 임의대로 할 수 있지만 다음의 이유로 해서 원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접점 (13, 14)은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10')에 부착된 막대 (19')가 판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이 막대 (19')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폐쇄되어 제어장치 또는 표시장치로 소거신호를 송출한다.
또 다른 접점 (16,17)을 제2(b)도에서 처럼 각각 소거기 본체 (10)와 대부거부용 소거장치 (10'')에 구성하여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15)를 소거기 본체 (10)에 부착할 경우 서로 접촉하게 되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들 신호에 의한 전자흑판의 제어에 관해서는 제5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접점 배선에 관해서는 간소화하기 위해 도면에서 생략했다. 소거기를 시스템 또는 표시 장치의 제어기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55)만 예시되어 있다.
접점 (16) 또는 (17) 중 하나 또는 두 가지를 견고한 형태로 만들어 대소거부용 소거장치가 부착된느 소거기 본체 주위의 방향과는 관계없이 서로간에 접촉이 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접점 하나를 사용할 경우에는 두개의 소거장치에 가이드(guide)를 구성하여 삽입방향을 결정하도록 해야한다.
소거기 본체 (10)에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10')를 부착할때 제2(b)도에서 처럼 대소거부용 소거기 (15) 표면 밖으로 약간 소소거부용 소거기 (12)를 돌출 시킨다.
그러나 전자 흑판 표면에다 대소거부용 소거기를 압착할때는 소거기 본체 (10)속으로 소소거부용 소거기를 밀어 넣어주어 소거기 표면이 평평하도록 한다. 돌출 정도는 대소거부용 소거기의 크기와 접점(13,14) 사이의 공간의 여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부분에 관해서는 제4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있는 소거기에 있어서 접점 (16,17)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성과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3도에 있다.
제3도에는 이런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소거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는 본 발명의 필수부가 나와 있는데 소거기 본체 (20), 소소거부용 소장치 (20') 및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20'')로 구성되어 있다. 소거기 본체에는 좌표 위치를 감지하는 코일 (21) 접점 (23,24)은 적당한 구조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으며, 적당한 부분에 삽입되는 스프링식으로 해도된다. 여기에 관해서는 제4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20')는 소거기 헤드 (29)표면에 부착되어 막대 (29')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체 (20)속에 삽입되어 제2도에서 처럼 마찬가지로 유지되는 소소거부용 소거기 (22)로 구성되어 있다.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20'')는 본체 표면에 부착된 대소거부용 소거기(25)와 영구고리 자석(26)으로 구성된다.
대소겨부용 소거장치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접합되는 소거기 본체 (20)과 떨어진다. 도면에서는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2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고리 (28)의 마찰에 의해 유지된다.
접점 (23)은 소거기가 판표면에 압착되어 판위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소거할 경우 막대 (29)에 의해 접점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때 접점 (23,24)은 폐쇄되어 소거기가 작동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소거신호를 보내게 된다.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20'')를 소거기 본체 (20)에 부착하면 본체 (20)에 설치된 리이드 스위치 (27)는 영구자석(26)의 자계에 의해 폐쇄되고 대소거부 소거장치가 작동중에 있음에 나타나는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로 송출한다.
제3도에 리이드 스위치 (27)의 배선도 간략히 할 목적으로 생략했다. 시스템 제어기가 소거신호를 수신하면 본체 (20)의 좌표 위치 주위의 소형 소거기의 부분에 상응하는 기억을 귀선소거하고 표시 장치의 소소거부용 소거기의 부분에 상응하는 도형과 문자도 소거된다. 시스템 제어기가 다시 대소거부용 소거기가 작동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다시 본체 (20)의 좌표위치 주위의 대소거부 소거기 부분에 상응하는 기억을 귀선소거하고 표시 장치에서는 대소거부 소소거기에 상응하는 대소거부가 소거된다.
이것은 전자 흑판 표면에서 소거되는 부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런 소거과정에 관해서는 제5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소거부용 소거기 (22)의 표면은 제2도와 제3도에서 처럼 대소거부용 소거기 (25) 표면에서 약간 돌출하도록 한다.
이 돌출정도에 관해서는 제4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소거기에 있어서 소거기의 형상을 어떤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원형의 소거면적을 이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원형의 소거기로 함으로 해서 시스템 제어기만이 좌표탐지용 코일에 의해 탐지된 지점 주위에서 소거기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한 반경 범위 내의 어떤 부분을 소거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직사각형 또는 기타 어떤 형상의 소거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거기의 형상이 미리 결정 되었다 하더라고 전자 흑판 표면에서 접촉된 소거기의 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성해야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을 가진 또 다른 예의 소거기이다.
이 도면은 소거기에 관해 상세히 나와 있으나 필수적인 원칙은 이전에 나온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앞의 예와 다른 점과 구체적인 것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소거기는 소거기 본체 (30),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30') 및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30'')로 되어 있고 이들 장치의 기능과 성능은 제2도 및 제3도의 것과 모두 같다. 소소거부용 소거장치를 감지하는 접점을 자기 감지식 리이드 릴레이 (34)와 소형 영구자석 (33)으로 대치하였다. 도면에서 위치 감지용 코일 (31), 리이드 릴레이(37, 34)에 관한 배선 방식을 각각 (51), (52) 및 (53)으로 나타내었다. 이들은 소거기 본체 (30) 내에 적당히 구성된 구멍 또는 공간 속으로 들어가서 소형의 단자판 (54)에 접속된 다음 다심 케이블(multi-conductorcable) (55)에 접속된다.
단자판 (54)은 소거기 본체 (30)에 적당히 고정되어 미세한 선이 파괴되거나 단선되지 않도록 한다.
리이드 릴레이 (34)와 스프링 (41)을 수용하는 케이스 (42)속에서 영구자석 (33)을 스프링 (41)에 의해 자기 감지식 리이드 릴레이 (34)로 부터 멀리 덜어진 끝쪽으로 밀어 붙이도록 한다. 소소거부용 소거기 (32)가 판표면에 접촉되어 판위에 표시도니 문자나 도형을 소거하게 될 경우 도면에서 처럼 케이스 (42)내의 리이드 릴레이 (34)에 대하여 가까운 쪽으로 영구자석 (33)을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리이드 릴레이 (34)는 폐쇄 되어 소거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출한다.
제4도에서 처럼 제2도 또는 제3도의 막대 (19' 또는 29')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30')의 막대를 다수의 막대 또는 피스톤과 슬리이브를 만들어 각각이 서로간에 결합되게 하여 축을 따라 미끌어지게 한다. 피스톤 (43)은 슬리이브 (44)속으로 삽입되어 스프링 (48)에 의해 소거기헤드 (39) 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 피스톤 (43)이 슬리이브 (44)에서 밖으로 미끌어 나오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은 본 발명과는 명백한 관계가 없기 때문에 간략히 하기 위해 예시하지 않았다. 슬리이브 (44)는 막대 (45,46)에 계속하여 접속되어 핀(47)을 통해 소거기 (32)의 압력이 자석 (33)에 전달 된다. 이들 부분을 적절히 지지하는 수단으로 간략히 할 목적으로 생략했다.
막대 (46) 머리 부분과 스토퍼 (49) 머리 부분과의 사이의 틈 (61)을 호울더 (42)내에서 수축하는 스프링 (41)에 대해 여백 보다 훨씬 좁게히여 소소거부용 소거기 (3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자석 (33)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피스톤 (43) 끝부분과 스프링 (48)이 삽입된 슬리이브 (44) 바닥 부분 사이의 공간 (62)을 틈 (61)보다 넓게함으로써 틈 (61)보다 훨씬 큰 소거기 헤드의 강력한 압착 스토로우크를 틈 (62)이 흡수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소거기 본체(30)의 상부와 소거기 헤드 (39)의 뒷부분 사이의 틈 (63)을 전체 틈 (61, 62)보다 훨씬 좁게하여 소거기가 어떤 것에 거칠게 접촉할 때 나타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거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 (41)의 탄성보다 훨씬 강한 탄성을 가진 스프링 (48)을 선택 사용한다. 소거기가 흑판과 접촉하게되면 스프링 (41)은 수축력을 받게 되고 자석 (33)은 우선 작동되어 리이드 릴레이 (34)를 작동 (폐쇄)시킨다. 또 더 많은 압력은 위에 나온 과정에 따라 흡수된다. 소거기의 기능과 과정 제2도 또는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피스톤 감지용 코일 (11, 21 또는 31)의 설정 피스톤에 관해서는 더 설명할 필요가 있다. 앞서나온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코일을 각각 소거기 본체 (10, 20 또는 30) 속에 설치했다.
이들을 소소거부용 소거장치 (19, 29 또는 39)의 머리 부분속의 각기 다른 곳에 설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인들의 결험에 의하면 판 표면으로 부터의 적정거리(더욱 정확히는 X 코일과 Y 코일부터의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즉, 이 거리는 위치 탐지 정확성이 커지고 소거기에의 의존성 같은 소거기를 부적당하게 사용하므로 인한 오류가 극소화되는 거리인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온 경우에 있어서는 좌표탐지용 코일에 대해 최선의 위치가 예시된 것이다. 이 조건에 대한 더욱 정확한 것은 일본 공개특허 제56-147280호(1981. 11. 16)에 나와 있다.
다음에는 전자흑판이 제어시스템에 의해 어떻게 제어된는 가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것은 보편적인 방식으로 제5도에서 간략히 설명하겠는데 이 도면에서는 전자 흑판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아그램이 나와 있다.
앞서나온 도면에서의 코일 (11, 21 또는 31)에 의해 선택된 좌표 위치 신호는 완충 증폭기(buffer amplifier)에 의해 증폭되고 대역필터(band-pase filter : BPF)에 의해 여과된 다음 샘플 호울드 회로(sample-hold eircuit : /SH)로 공급된다. 샘플 호울드 회로(S/H)는 애널로그 디지를 변환기(A/D converter)로 신호를 송출하여 시각 펄스 발생기(clock pulse generator : PG)의 주기와 동기화 한다.
A/D 변화기는 입력신호를 12비트 신호로 변환시켜 12비트 입력 완충 레지스터 IBR에 설정한다.
한편으로는 접점 (13과 14, 23과 24) 또는 리이드 스위치 (34)에서 오는 소거기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1차 수신기 (R1)로 보낸다. 접점 (16과 17) 또는 리이드 릴레이 (27과 37)에서 오는 대소거부용 소거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2차 수신기 (R2)에서 수신한다. 이들 수신기의 출력은 장치상태 레지스터 DSR에서 설정된다.
처리장치(PRO)는 읽기 전용 기억기(ROM) (이것의 용량은 약 32K 바이트 정도)에 축적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대개 약 10msec 정도)으로 장치 상태 레지스터(DSR)의 기억을 독출한다. 표시문자 (fiag)가 설정되어 "소거기가 작동중"임을 나타내면 처리장치(PRO)는 입력 완충저항기(IBR)의 신호를 독출하고 대소거부용 소거장치의 작동상태여부를 나타낸는 장치상태 레지스터(DSR)의 신호를 독출하여 이들을 약 8K 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가진 무순도달 기억기(RAM) 속에 축적시킨다. 이들 데이터를 PRO, DSR, RAM 및 ROM 사이에 전달하기 위해서 1차 데이더 버스(BUS1)를 사용한다.
이와 동시에 1차 순차 접속장치 제어기(SIC1)에 의해 신호를 순차 데이터로 변환시켜 드라이버 (Driver : D)와 주처리장치(H-PRO)의 수신기(R4)를 거쳐 2차 순차 접속장치 제어기(SIC2)로 보낸다. 2차 순차 접속장치 제어기(SIC2)는 입력순차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시켜 이것은 2차 데이터 버스(BUS2)로 송출한다. 주처리 장치(H-PRO)는 2차 데이터 버스 (BUS2)의 데어터를 읽어 표시장치(DISP)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에서 소거되어야 할 부분을 인식한다. 이때 주처리 장치 (H-PRO)는 2차 데어터 버스(BUS2)로 리프레쉬 메모리(REF)에서 소거될 부분에 상응하는 어드레스(adress)와 "0" 신호를 보낸다.
리프레쉬 메모리는 표시장치(DISP)에 표시되는 문자나 도형의 기억을 축척한다. 위에 나온 어드레스는 코일에 의해 검출되는 좌표에 상응하는 중심과 사용되는 소거기의 크기에 따른 반경을 가진 원형부분에 상당하는 어드레스로 구성한다.
이들 데이터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제어기(GDC)를 거쳐리프레쉬 메모리(REF)로 보내진다. 리프레쉬 메모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데이터는 "1"로 나타난다.
이 데어터를 "0"으로 바꿔주면 표시된 데이터는 소거된다.
시각 펄스 발생기(PG)는 제1도에 나온 전자 흑판의 X 코일 (2)과 Y코일 (3)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X 코일과 Y코일을 스위치시키는 신호(X/Y)를 발생한다.
더욱이 쓰기펜 (5)에 있는 코일 (4)로 부터 오는 신호도 처리장치(PRO)로 보내진다. 따라서 쓰기와 지우기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목적으로 쓰기펜 (5)에 스위치를 구성하여 쓰기펜의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이 신호는 3차 수신기(R3)를 거쳐 장치상태 레지스터 (DSR)로 보내져서 상이한 비트 위치의 SOR에서 등록된다. 따라서 처리장치는 신호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위에 나온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자기식 능동형 판과 수동형펜 방식 전자 흑판에 관해 설명이 되었지만 여기서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는 이런 형식에 극한된 것은 아니고 쉽사리 다소간의 변형이된 어떤 형식의 전자 흑판에도 적용된다는 것이다. 예로서 X 코일, Y 코일 및 검출용 코일을 적당한 전기 순간용 콘덴서 플레이트 같은 결합기로 교체함으로써 정전형판을 실현할 수 있다. 수동형판과 능동형펜 또는 소거기를 대체하는 것도 용이하다. 더욱이 실시예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하다. 예로소 위치 감지기와 자기 감지식 리이드 릴레이 대신에 호올 효과 (hall effect)를 가진 원소 같은 몇 가지 기타 자계 감지기로 대체할 수 있다.
리이드 릴레이 대신에 광감지기와 발광 다이오웨드 같은 감지기로 대신 해도 된다. 소거기의 기계적인 구조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인 것이 아니다. 예로서 막대를 어떤 모양으로 해도 되고 적절한 위치에 있는 소소거부 소거장치와 대소거부 소거장치를 유지하는 수단을 여러 가지로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대소거부 소거장치에 설치된 자석을 고리 모양으로 할 필요까지는 없다.
건전지와 트랜스미터가 속에 구성된 소거기 같은 것으로 만들어 무선 방식의 트랜스미션 방식에 의해 케이블과 소거기를 접속시킬 필요도 없게 된다.

Claims (16)

  1. 입력판에 표시되어 표시장치에 전자식으로 축적되거나 표시되는 정보를 소거하는 전자 흑판용 소거기에 있어서 손으로 유지되어 정보 소거용 소거신호를 보내는 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어 정보 중 비교적 작은 부분을 소거하는 1차 소거장치와,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1차 소거장치에 비해 정보 중의 비교적 많은 부분을 소거하는 2차 소거장치와, 본체 중에 설치되며 감지기의 좌표 위치의 신호를 감지하거나 송출하는 위치 감지수단과, 본체 속에 설치되어 소거기가 전자 흑판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탐지하여 소거기의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1차 감지기와, 본체 또는 2차 소거장치 중에 설치되어 2차 소거장치가 본체에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탐지하여 2차 소거장치의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보내는 2차 감지기로 구성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위치 탐지수단으로 자기식 감자기를 사용해서된 전자흑판용 소거기.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머리부분에 권취한 코일을 자기식 감지기로 사용해서 전자 흑판용 소거기.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소거기가 전자 흑판 표면에 접하게 되면 막대에 의해 전달된 압력에 의해 서로 간에 접하게 되는 접점을 1차 감지기로 사용해서 된 흑판용 소거기.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자 흑판 표면에 소거기가 접하게 되면 소거기 머리부분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1차 영구자석에 의해 작동되는 1차 자기식 감지기를 1차 감지기로 사용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6.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자기 감지식 리이드 릴레이를 1차 자기식 감지기로 사용 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7.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2차 소거장치를 소거기 본체에 부착시킬 경우 서로 접촉을 하게 되고 소거기 본체와 2차 소거장치에 각각 구성되며 접점을 2차 감지기로 사용해서 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가 소거기 본체 또는 2차 소거장치 주위에 삽입된 고리모양을 하고 있는 전자 흑판용 소거기.
  9.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소거기 본체에 부착될 경우 2차 소거장치내에 설치된 2차 영구자석에 의해 작동되며 소거기 본체내에 설치된 2차 자기식 감지기를 2차 감지기로 사용해서 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2차 자기 감지식 리이드 릴레이를 2차 자기식 감지기로 사용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1.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2차 소거장치 주위에 삽입된 고리 모양의 2차 영구자석을 사용해서 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2차 소거장치를 소거기 본체에 부착시킬 경우에 있어서 1차 소거장치의 소거기 표면이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2차 소거장치의 소거기 표면으로 부터 돌출 하도록 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위치 탐지수단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진 원형의 소거부를 구성한 1차 및 2차 소거장치로 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소거기 본체를 원통형으로 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5. 청구범위 제2항,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자기식 감지기, 1차 자기식 감지기 또는 2차 감지기를 호올 효과 장치로 사용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1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광감지기를 1차 또는 2차 감지기로 사용해서된 전자 흑판용 소거기.
KR1019830006210A 1983-01-08 1983-12-27 전자 흑판용 소거기 KR880000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000482U JPS59107297U (ja) 1983-01-08 1983-01-08 電子黒板用消去器
JP???482 1983-01-08
JP58-482 1983-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291A KR840007291A (ko) 1984-12-06
KR880000488B1 true KR880000488B1 (ko) 1988-04-08

Family

ID=1147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210A KR880000488B1 (ko) 1983-01-08 1983-12-27 전자 흑판용 소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70751A (ko)
EP (1) EP0114093B1 (ko)
JP (1) JPS59107297U (ko)
KR (1) KR880000488B1 (ko)
CA (1) CA1225477A (ko)
DE (1) DE346186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707A (en) * 1985-07-18 1988-10-25 Selker Edwin J Analog input device for a computer
EP0229637A3 (en) * 1986-01-09 1988-10-05 Wacom Co., Ltd.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DE3853241T2 (de) * 1987-09-14 1995-11-02 Wacom Co Ltd Elektronische Tafeleinrichtung mit einem Markierer und einem Löscher dafür.
JPH0619615A (ja) * 1992-06-29 1994-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
US5248856A (en) * 1992-10-07 1993-09-28 Microfield Graphics, Inc. Code-based, electromagnetic-field-responsive graphic data-acquisition system
US5434370A (en) * 1993-11-05 1995-07-18 Microfield Graphics, Inc. Marking system with pen-up/pen-down tracking
US5585605A (en) * 1993-11-05 1996-12-17 Microfield Graphics, Inc. Optical-scanning system employing laser and laser safety control
US5583323A (en) * 1993-11-05 1996-12-10 Microfield Graphics, Inc. Calibration of graphic data-acquisition tracking system
US5654529A (en) * 1995-05-03 1997-08-05 Hewlett-Packard Company Stylus-input computing system with erasure
US6730862B1 (en) 1995-12-27 2004-05-04 Lsi Logic Corporation Erase feature in pen-based computing
US6445384B1 (en) 1996-10-01 2002-09-03 Greensteel, Inc. Electronic whiteboard system eraser
US6067080A (en) * 1997-02-21 2000-05-23 Electronics For Imaging Retrofittable apparatus for converting a substantially planar surface into an electronic data capture device
US5866856A (en) * 1997-02-28 1999-02-02 Electronics For Imaging, Inc. Marking device for electronic presentation board
US6326565B1 (en) 1997-02-28 2001-12-04 Electronics For Imaging, Inc. Marking device for electronic presentation board
US6292177B1 (en) 1997-03-05 2001-09-18 Tidenet, Inc. Marking device for electronic presentation board
IL120417A (en) * 1997-03-10 2000-09-28 Electronics For Imaging Inc Presentation board digitizer systems
US6442213B1 (en) * 1997-04-22 2002-08-27 Silicon Laboratories Inc. Digital isolation system with hybrid circuit in ADC calibration loop
US6104387A (en) * 1997-05-14 2000-08-15 Virtual Ink Corporation Transcription system
US6151014A (en) * 1998-02-26 2000-11-21 Pagasus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processing algorithms for ultrasound time-of-flight digitizer systems
US6100877A (en) * 1998-05-14 2000-08-08 Virtual Ink, Corp. Method for calibrating a transcription system
US6232962B1 (en) 1998-05-14 2001-05-15 Virtual Ink Corporation Detector assembly for use in a transcription system
US6111565A (en) * 1998-05-14 2000-08-29 Virtual Ink Corp. Stylus for use with transcription system
US6124847A (en) * 1998-05-14 2000-09-26 Virtual Ink, Corp. Collapsible detector assembly
US6147681A (en) * 1998-05-14 2000-11-14 Virtual Ink, Corp. Detector for use in a transcription system
US6211863B1 (en) 1998-05-14 2001-04-03 Virtual Ink. Corp. Method and software for enabling use of transcription system as a mouse
US6177927B1 (en) 1998-05-14 2001-01-23 Virtual Ink Corp. Transcription system kit
US6191778B1 (en) 1998-05-14 2001-02-20 Virtual Ink Corp. Transcription system kit for forming composite images
US7593899B1 (en) * 1999-05-25 2009-09-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payments
US20070233513A1 (en) * 1999-05-25 2007-10-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providing merchant resource or merchant hyperlink to a user
US7762453B2 (en) * 1999-05-25 2010-07-2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via a printed substrate with every interaction
US20070143715A1 (en) * 1999-05-25 2007-06-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via printed substrate and gesture recognition
US8113950B2 (en) 1999-05-25 2012-02-1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ompetition entry with limited return messaging
US7832626B2 (en) * 1999-05-25 2010-11-1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nonymous competition entry
US7857201B2 (en) * 1999-05-25 2010-12-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US7971784B2 (en) * 1999-05-25 2011-07-0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ensing device with mode changes via nib switch
US7793824B2 (en) 1999-05-25 2010-09-1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ystem for enabling access to information
US7721948B1 (en) 1999-05-25 2010-05-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payments
US7760969B2 (en) 1999-05-25 2010-07-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via context searching from a printed substrate
US20020054026A1 (en) * 2000-04-17 2002-05-09 Bradley Stevenson Synchronized transmission of recorded writing data with audio
JP3965119B2 (ja) * 2000-11-22 2007-08-29 サーク・コーポレーション 永久磁石を使用するスタイラス入力装置
US20030095115A1 (en) * 2001-11-22 2003-05-22 Taylor Brian Stylus input device utilizing a permanent magnet
US6875933B2 (en) 2002-05-10 2005-04-05 Luidi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riting surface
US20040070616A1 (en) * 2002-06-02 2004-04-15 Hildebrandt Peter W. Electronic whiteboard
US8243028B2 (en) * 2008-06-13 2012-08-14 Polyvision Corporation Eraser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8890842B2 (en) * 2008-06-13 2014-11-18 Steelcase Inc. Eraser for use with optical interactive surface
TWM379821U (en) * 2009-10-02 2010-05-01 Waltop Int Corp Eraser system
US8686975B2 (en) 2010-07-29 2014-04-01 Dell Products, Lp Interactive projector device
US20120054588A1 (en) * 2010-08-24 2012-03-01 Anbumani Subramanian Outputting media content
FR2996653B1 (fr) * 2012-10-05 2015-01-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nneau magnetique apte a etre fixe de facon amovible sur un crayon ou un effaceur
US9218090B2 (en) 2013-04-03 2015-12-2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ojector via a passive control strip
KR102120772B1 (ko) 2013-06-28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
TWI518557B (zh) * 2013-07-17 2016-01-2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投射電容式觸控筆及其控制方法
US9678584B2 (en) 2015-04-06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including electrode having thickness to facilitate tracking
US10698504B2 (en) 2015-06-15 2020-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input pressure on a stylus pen
WO2017017812A1 (ja) * 2015-07-29 2017-02-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US9836136B2 (en) 2015-09-18 2017-12-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ltage boost circuit for a stylus pen
CN105760019B (zh) * 2016-02-22 2019-04-09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交互式电子白板的触摸操作方法及其系统
TWI643103B (zh) * 2017-08-18 2018-12-01 Waltop International Corporation 具擦拭模組的電容筆
RU2732848C1 (ru) * 2019-08-30 2020-09-23 Евгений Борисо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од водой
CN114043814B (zh) * 2021-12-07 2024-03-08 南京亭宣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教育用多功能教育设备及教育用多功能教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3515A (en) * 1966-04-29 1968-11-26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Electron beam position sensor
US3498692A (en) * 1967-11-09 1970-03-03 Philco Ford Corp Light pen
US3758717A (en) * 1970-05-28 1973-09-11 Ibm Se information free hand drawing display system utilizing light pen to write and era
GB1471231A (en) * 1973-10-22 1977-04-21 Siemens Ag Visual display display system
FR2458969A1 (fr) * 1979-06-12 1981-01-02 Thomson Csf Dispositif d'ecriture sur ecran de television et systeme d'ecriture a distanc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4263592A (en) * 1979-11-06 1981-04-21 Pentel Kabushiki Kaisha Input pen assembly
US4289927A (en) * 1979-11-13 1981-09-15 Kurta Corporation Graphic communication apparatus
US4367465A (en) * 1980-04-04 1983-01-04 Hewlett-Packard Company Graphics light pen and method for raster scan CRT
US4317956A (en) * 1980-11-10 1982-03-0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mote chalkboard automatic cursor
JPS5951017B2 (ja) * 1981-02-10 1984-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ヘラ型ライトペン
JPS5845069A (ja) * 1981-09-10 1983-03-16 Fujitsu Ltd 印字方式
JPS59266A (ja) * 1982-06-26 1984-01-05 Fujitsu Ltd 電子黒板装置の色情報入力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3557Y2 (ko) 1988-11-14
KR840007291A (ko) 1984-12-06
JPS59107297U (ja) 1984-07-19
EP0114093B1 (en) 1986-12-30
EP0114093A2 (en) 1984-07-25
US4670751A (en) 1987-06-02
EP0114093A3 (en) 1984-08-15
CA1225477A (en) 1987-08-11
DE3461869D1 (en) 198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488B1 (ko) 전자 흑판용 소거기
US10324544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EP0507269B1 (en) Writing device for storing handwriting
US5576502A (en) Pointing unit and improved stylus pen
US20090115744A1 (en) Electronic freeboard writing system
EP0741353B1 (en) Stylus-input computing system with erasure
KR102020064B1 (ko) 압력 감지 팁을 포함하는 무선 위치 결정 펜
US20080098315A1 (en) Executing an operation associated with a region proximate a graphic element on a surface
US10963115B2 (en) Position indicator and 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7477691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
US4564078A (en) Apparatus for storing felt pens for an electronic board
JP2010026586A (ja) 指示具及び位置検出装置
JPH08286830A (ja) 手書き入力装置
KR101477968B1 (ko) 3차원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멀티스케일 디지타이저
JP3174897U (ja) 教材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シート
CN210573686U (zh) 一种覆点阵码白板的擦除装置
CN110647249A (zh) 一种覆点阵码白板的擦除装置
JPH1195903A (ja) 座標読取装置の座標指示器、座標読取装置及び座標読取システム
JP7436296B2 (ja) 入力システム
CN215298200U (zh) 一种电容式触控系统
JP2012208576A (ja) 描画装置
JPH0232471Y2 (ko)
TW202223602A (zh) 電子筆、手寫輸入裝置及電子筆用芯體
JPS61252197A (ja) 電子黒板における入力色判定方法
JPS59134853U (ja) 手書き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