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702A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Google Patents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3702A KR20190123702A KR1020190117337A KR20190117337A KR20190123702A KR 20190123702 A KR20190123702 A KR 20190123702A KR 1020190117337 A KR1020190117337 A KR 1020190117337A KR 20190117337 A KR20190117337 A KR 20190117337A KR 20190123702 A KR20190123702 A KR 201901237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combustion
- container
- convection
- control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7/00—Fuels produced by solidifying fluid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가 담겨 있는 용기(110) 내부에 대류 조절판(130)을 삽입하여 연료의 연소 시간과 연료가 연소 되는 총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기(110)의 내부에 V자나 역 V자 또는 단순 경사판 형태의 대류 조절판(130)을 삽입하여 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며 개방된 연료 표면이 점차 감소를 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대류열의 양을 조절하고, 삽입한 대류 조절판(130)의 경사판(132)을 따라 용기(110)의 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산소가 연료 표면으로 유입되어 조기 소화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가 충진된 캔 용기 내부에 대류열의 방향과 양의 조절이 가능한 대류 조절판을 설치하여 장시간 동안 동절기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거나 실내 온도를 높여줄 수 있는 난방용 난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에 관한 것이다.
매년 동절기 건설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생 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 저가의 갈탄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갈탄을 대체하는 다양한 양생 연료(숯불난로, 열풍기, 알코올 젤리 연료 등)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갈탄과 숯불난로는 유해가스, 일산화탄소 및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원이 되고 있어 매년 산업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알코올로 이루어진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이 우수한 알코올 기반 연료의 경우, 제한된 용기의 규격(제관 업체의 용기 규격 획일화)과 연소시간의 한계가 존재하여 수요처가 요구하고 있는 다양한 연소 시간 및 열량을 충족시키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고, 그로 인해 연소 시간이 짧지만 가격이 저렴한 갈탄이나 10시간 이상 사용이 가능한 숯불난로를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저녁 시간에 양생을 시작하여 다음 날 아침까지 보온을 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10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양생 연료의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알코올 기반의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는 연소 시 내부 알코올이나 휘발성 물질의 증기가 용기의 뚜껑 부위에서 투입되는 산소와 연속적인 반응을 하여 연소가 진행되며, 용기의 뚜껑에 맞게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의 양이 일정한 상태에서 유지되며 연소를 하게 된다.
이러한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는 연소 시에 용기의 뚜껑 부위를 통해 투입되는 산소와 연료의 증기 간의 꾸준한 균형을 이루며 연속된 연소 반응이 진행되게 된다. 이 때 연소 반응의 진행과 함께 연료의 표면은 용기의 하단으로 내려가게 되고, 강한 대류열의 흐름이 용기 전면을 차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산소의 투입을 방해하여 연료의 증기와 산소 간의 균형이 깨지는 부분에서 고체 연료 혹은 젤연료의 연소가 중지되게 된다.
산소의 투입은 용기의 뚜껑 부위의 개방된 단면적에 의하여 일정한 양이 투입되게 되며, 투입되는 산소 양을 임의로 조절하여 연소 시간을 장기화 시키는 것은 내부의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증기보다 적은 양의 산소가 투입되므로 불완전 연소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용화되어 있는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는 17L나 18L에 국한되어 있고, 20L는 용기를 제작할 수 있으나 연소 중지 현상으로 연료 용기로 상용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상기의 내용은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실험을 완료하여 20L 사각형 용기의 뚜껑 부분 면적을 다양하게 하여 시간 당 연료의 연소 중량과 열량 그리고 최종 연소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용화되어 있는 17L 제품의 용기 구멍 지름 186mm를 기준으로 구멍의 지름이 감소하는 경우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급격하게 감소시켜 오히려 사용에 필요한 열량을 방출하지 못하고 연소가 중단되게 된다. 반대로 최종적으로 바닥면까지 연소를 시키기 위해서는 산소의 투입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입구의 크기를 200mm까지 넓게 하면 시간 당 연소 중량이 증가를 하게 되므로 연소 시간을 장기화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용기 크기 (가로X세로X깊이)(mm) |
최초 연료 중량 (kg) | 용기 입구 지름 (mm) | 연소 중량 (kg) |
연소 깊이 (mm) |
연소 시간 (hr) |
시간 당 열량 (kcal) |
20L 사각형 캔 230 X 230 X 375 |
16.5 | 90 | 5 | 128 (연소중지) | 16 | 1,381 |
120 | 7.7 | 186 (연소중지) | 12 | 2,874 | ||
145 | 9.9 | 235 (연소중지) | 9.5 | 4,677 | ||
164 | 11.3 | 265 (연소중지) | 8.5 | 5,902 | ||
186 | 14.2 | 326 (연소중지) | 9.5 | 6,150 | ||
191 | 15.3 | 349 (연소중지) | 10 | 6,853 | ||
195 | 15.6 | 356 (연소중지) | 9.5 | 7,374 | ||
200 | 16.5 | 375 (연소완료) | 9 | 8,162 |
*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은 입구의 지름은 186mm, 그에 따른 깊이가 320mm인 17L 제품과 340mm인 18L 제품임.
특허문헌 1에는 고형 알콜 연료의 연소수명을 연장시키는 연소방법 및 연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고형 알콜 연료를 단열세라믹스제 통부분의 안에서 연소시킴으로써 단열처리가 안된 기존의 용기에 비해 연소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본원발명과 같은 시멘트 양생용 대형 캔 용기에 적용하기에는 비용 및 제작상의 문제로 인하여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고체형 연료가 수용된 용기의 직경과 높이 및 대각선 길이와 입구의 크기를 소정의 비율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이상적인 연소시간을 갖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시멘트 양생용 대형 캔 용기에 적용이 불가능하고 캔 용기의 규격을 이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캔 본체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캔 본체는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지지부재는 고체연료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어 유지되면서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케이크가 고체연료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효율적인 고체연료의 연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이라기 보다는 고체연료의 정상적인 연소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특허문헌 4에는 고체연료가 담겨진 케이스 상면에 구멍이 형성된 칸막이를 구비하고, 칸막이가 연료 소모량 즉, 케이스에 담겨진 연료량에 따라 연로 상면에 덮여져 밀착된 상태로 위치변화되어 연료 연소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바람을 차단하는 바람막이 기능과 화력 조절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양생을 하거나 내부 마무리 공사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연소 시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목적은 상용화되어 있는 용기에 담겨 있는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를 용기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운송이 간편한 연료의 연소 시간을 10시간이 초과되도록 하여 연료의 교체나 추가 공급 없이도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양생을 하거나 난방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일회용 연료 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알코올 또는 파라핀 왁스 등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고체 연료나 젤 연료가 충진되고 상부 입구에는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일회용 연료 캔으로, 상기 연료 캔 내부에는 연소되는 연료 표면을 일정 부분 가로막는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류 조절판은 용기의 하단으로 갈수록 연료의 표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류 조절판은 연료의 충진 전 혹은 마무리되는 단계에 삽입을 하거나 연료의 용기를 개봉한 뒤 삽입을 하여 연소 시 대류열의 흐름과 양, 그리고 산소의 투입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류 조절판은 연소의 경과가 진행되면서 대류 조절판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연료의 연소를 돕기 위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연소 시 대류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류 조절판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료의 표면이 삼분할되어 연료 중 대류 조절판 상단의 연소되는 연료의 표면적이 용기 하단으로 갈수록 감소를 하는 구조로 연소 중 외부의 산소가 용기 내부의 대류 조절판을 따라 내부로 공급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류 조절판은 역사다리꼴 구조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내부의 연료를 2분할하는 경사판 구조나 V자 또는 역 V자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르면, 대류 조절판을 삽입한 경우에는 연소 시 발생하는 대류열의 방향과 양 및 투입되는 산소의 방향과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17L 혹은 18L 사각형 제품의 한계를 넘어 20L에서도 연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양생 혹은 난방용 연료의 용기의 변경 없이 대류 조절판의 삽입에 의해 10시간을 초과하여 연소 시간이 연장됨으로 인해 동절기 건설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양생이나 마감 공사 작업 시 당일 저녁에서 다음 날 아침까지 작업자의 추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연료의 추가 공급 없이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연료의 연소를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연료 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연료 캔 내부의 연료가 연소중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연소 말기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대류 조절판이 없는 상태의 연료 캔에서 대류 열과 산소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연료 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연료 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연료 캔 내부의 연료가 연소중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연소 말기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대류 조절판이 없는 상태의 연료 캔에서 대류 열과 산소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연료 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연료 캔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연료 캔에서 연소 중기의 상태와 연소 말기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캔(1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사각 단면 형태를 이루는 육면체 형태의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형성된 입구(112)를 덮는 뚜껑(120)과, 상기 용기(110)의 내부에 구비된 대류 조절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에는 알코올 기반으로 한 고체 연료나 젤 연료가 충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110), 뚜껑(120) 및 고체 연료나 젤 연료는 기존의 일회용 연료 캔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대류 조절판(130)의 형태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대류 조절판(130)은 불연성 소재 즉, 예를 들면 용기(110)와 동일한 소재인 금속 판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110)의 내부에 충진된 연료 속에 빠져 있는 상태에서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연료의 높이가 변화됨에 따라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산소와 연료의 연소에 의해 연료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대류열이 상호 교란되지 않고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종래의 연료 캔에서 연료의 연소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F)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면 연료 캔(11) 내부 공간에서 연료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대류열(R; 회전형으로 형성된 실선 화살표)이 연료 캔 내부 중간부위에서 정체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O; 하방으로 향하는 실선 화살표)가 연료의 표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차단막 역할을 하게 되어 연료가 모두 타지 않고 조기에 소화(消火)되게 되는 현상이 있었지만, 본 실시 예에 의한 연료 캔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F)가 연소되면서 연료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더라도 대류 조절판(130)에 의해 용기(110) 내부 공간에서 형성되는 대류열(R)이 층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용기(110) 외부로부터 산소(O)가 연료의 표면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조기에 소화가 되지 않고 용기(110) 바닥 부분의 연료까지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도면 중 부호 Q는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대류 조절판(130)은 대체로 V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용기(110) 내부의 연료 표면을 중간 영역과 외곽 영역으로 3분할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갈수록 중간 영역의 표면적은 줄어들고 외곽 영역의 표면적은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 초기에는 용기 내부에서 대류열이 발생하지 않고 연소열(방사열)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외부로부터는 산소(O)가 용기(110) 내부로 유입되어 연료(F)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연소시간의 경과에 의해 연료의 표면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즉, 연료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 빈 공간에서 대류열(R)이 돌면서 층을 형성하게 되지만, 대류 조절판(130)에 의해 중간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대류열(R)의 분포가 용기(110)의 내부 공간 전체를 점유하지 못하게 되므로 빈 틈을 통해서 외부의 산소(O)가 유입되어 연료(F)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연료(F)의 표면적은 V자 형태로 형성된 대류 조절판(130)에 의해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됨으로써 대류열(R)의 발생량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바닥 부분에 위치한 연료(F)가 모두 연소될 때까지 외부의 산소(O)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연소 도중에 꺼지게 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부호 132는 대류 조절판(130)의 경사판이고, 부호 134는 바닥판이며, 부호 132a는 경사판(132)의 오목한 부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대류 조절판(130)은 경사판(132)의 좌우 폭과 상하 길이는 도면에 도시된 정도의 규격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11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대류열의 발생을 줄이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는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용기의 폭과 높이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료(F)의 연소가 진행되면서 대류 조절판(130)에 의해 연료(F)의 표면적이 점차 감소를 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대류열(R)의 양을 적정하게 줄여주게 되며, 이 대류 조절판(130)의 경사판(132)을 따라 용기(110) 상면의 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산소(O)가 효과적으로 연료 표면으로 투입되어 조기 소화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대류 조절판(130)은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연소 시 대류 조절판(130) 하부의 연소를 돕기 위해 경사판(132)의 하면 부분이 세로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형을 이루어 오목한 부분(132a)을 통해서도 산소(O)의 유입 및 방사열(Q)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대류 조절판(130)이 연료(F)의 바닥 부분까지 완전 연소를 돕는 것은 물론, 연료(F)의 연소시간을 늘려줄 수 있게 되는바, 이는 하부로로 갈수록 연료(F)의 표면적을 줄여주는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연소량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것에 의해 연소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대류 조절판(130)은 연소의 경과가 진행되면서 대류 조절판(130)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연료(F)의 연소를 돕기 위해 V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연소 시 대류열(R)이 용기(110) 내부에 체류되지 않고 용기(110) 상면의 입구(11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한편, 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불완전 연소를 통한 파우더 덩어리가 연소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소가 되지 않은 깨끗한 용기에 연료를 소량을 충진하고 연소 진행한 경우, 파우더 덩어리가 많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닥면에 연료가 남은 상태로 연소가 중지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발생되는 대류열과 투입되는 산소의 균형의 한계가 주된 연소 중지의 원인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대류 조절판(130)을 통하여 연소가 꾸준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용기(110) 내부에 대류 조절판(130)을 삽입한 경우에는 연소 시 발생하는 대류열의 방향과 면적, 그리고 투입되는 산소의 방향을 조절하게 되므로 기존의 17L 혹은 18L 사각형 제품의 한계를 넘어 20L 용기에서도 연소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대류 조절판(130)이 구비된 연료 캔(1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대류 조절판(130)이 구비된 연료 캔(100)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용기(110) 내부에 투입되는 대류 조절판(13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직선형 경사판(132) 형태로 제작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경사판(132)이 상단부위에서 만나는 역 V자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용기(110) 내부의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대류 조절판(130)에 의해 연소되는 연료의 표면적이 점차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대류열의 발생량을 줄임과 동시에 연소열의 양을 점차적으로 줄여서 연소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2는 기존의 2가지 타입 연료 캔과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3에 의한 연료 캔의 연소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3 모두 연소시간을 연장하고, 시간당 평균 열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종래의 연료 캔 1,2에서는 연료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연소 중단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완전 연소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 종래 연료 캔 1 | 종래 연료 캔 2 | 실시 예 1 | 실시 예 3 |
용기 크기(mm) (가로X세로X깊이) |
230 X 230 X 375mm | |||
용기 입구 지름 (mm) | 186 | |||
구조물 | 없음 | 폭 18mm, 길이 428mm의 폭 20mm의 철판 2개 | 하단면 폭 40mm, 높이 250mm 철판 1개 삽입 | 높이 235mm, 하단 폭 180mm 철판 폭 180mm 삼각판 삽입 |
내부 사진 | ||||
젤연료 충진 중량 (kg) : a | 16 | 16 | 16 | 16 |
연소 후 중량 (kg) : b | 2.9 | 1.6 | 0 | 0 |
연소량 (kg) : a - b | 13.1 | 14.4 | 16 | 16 |
연소 시간 (hr) | 9hr | 10hr | 11hr 40min | 12hr 10min |
시간 당 평균 열량 (kcal) | 6,530 | 6,480 | 6,000 | 5,760 |
결과 | 연소 중단 (17L적합: 상용화) |
연소 중단 (18L적합: 상용화) |
완전 연소 (20L적합: 미상용화) |
완전 연소 (20L적합: 미상용화) |
연소 후 바닥면 사진 |
100 : 연료 캔
110 : 용기
112 : 입구
120 : 뚜껑
130 : 대류 조절판
132 : 경사판
132a : 오목한 부분
134 : 바닥판
F : 연료
R : 대류열
O : 산소
Q : 방사열
110 : 용기
112 : 입구
120 : 뚜껑
130 : 대류 조절판
132 : 경사판
132a : 오목한 부분
134 : 바닥판
F : 연료
R : 대류열
O : 산소
Q : 방사열
Claims (3)
- 용기 내부에 고체 연료나 젤 연료가 충진되고 상부 입구에는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일회용 연료 캔으로,
상기 연료 캔은 용기 내부에 충진된 연료 속에 빠져있는 상태에서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연료의 높이가 변화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와 연료의 연소에 의해 연료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대류열이 상호 교란되지 않고 출입할 수 있도록 연료 표면을 일정 부분 가로막는 대류 조절판이 구비되되 상기 대류 조절판은 직선형 경사판 형태로 이루어져 연료의 표면을 2분할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대류열이 방출되는 개방된 연료의 표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류 조절판은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포장 중에 삽입할 수 있고, 포장된 후 개봉하여 사용 시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류 조절판은 고체 연료 혹은 젤 연료의 연소 시 대류 조절판 하부의 연소를 돕기 위해 세로 길이 방향으로 곡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7337A KR102135570B1 (ko) | 2019-09-24 | 2019-09-24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7337A KR102135570B1 (ko) | 2019-09-24 | 2019-09-24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082A Division KR102065699B1 (ko) | 2018-04-24 | 2018-04-24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702A true KR20190123702A (ko) | 2019-11-01 |
KR102135570B1 KR102135570B1 (ko) | 2020-07-21 |
Family
ID=6853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7337A KR102135570B1 (ko) | 2019-09-24 | 2019-09-24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570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34041A1 (de) * | 1995-09-14 | 1997-03-20 | Wodtke Gmbh | Ofen für feste Brennstoffe |
JP2003194303A (ja) | 2001-12-27 | 2003-07-09 | Mitsubishi Materials Corp | 固形アルコール燃料の燃焼寿命を長引かせる燃焼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200438677Y1 (ko) | 2006-12-23 | 2008-02-29 | 삼화실업주식회사 | 고체연료를 이용한 휴대용 버너 |
WO2012088658A1 (zh) * | 2010-12-28 | 2012-07-05 | Zhu Hongfeng | 一种壁炉 |
JP2013053770A (ja) | 2011-09-01 | 2013-03-21 | Niitaka:Kk | チェーフィング用固形燃料セット、チェーフィング用固形燃料容器、及び、チェーフィングの保温方法 |
KR101672592B1 (ko) * | 2014-10-22 | 2016-11-03 | 신동호 | 페일 캔 타입의 콘크리트 양생용 또는 난방용 난로 |
KR20170043192A (ko) * | 2015-10-13 | 2017-04-21 | 손영준 | 일회용 난로 패키지 |
KR20170140061A (ko) | 2017-01-18 | 2017-12-20 | (주)매크로 졸 | 고체연료캔 |
KR101812509B1 (ko) * | 2016-02-26 | 2018-01-30 | 김용애 |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
2019
- 2019-09-24 KR KR1020190117337A patent/KR102135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34041A1 (de) * | 1995-09-14 | 1997-03-20 | Wodtke Gmbh | Ofen für feste Brennstoffe |
JP2003194303A (ja) | 2001-12-27 | 2003-07-09 | Mitsubishi Materials Corp | 固形アルコール燃料の燃焼寿命を長引かせる燃焼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200438677Y1 (ko) | 2006-12-23 | 2008-02-29 | 삼화실업주식회사 | 고체연료를 이용한 휴대용 버너 |
WO2012088658A1 (zh) * | 2010-12-28 | 2012-07-05 | Zhu Hongfeng | 一种壁炉 |
JP2013053770A (ja) | 2011-09-01 | 2013-03-21 | Niitaka:Kk | チェーフィング用固形燃料セット、チェーフィング用固形燃料容器、及び、チェーフィングの保温方法 |
KR101672592B1 (ko) * | 2014-10-22 | 2016-11-03 | 신동호 | 페일 캔 타입의 콘크리트 양생용 또는 난방용 난로 |
KR20170043192A (ko) * | 2015-10-13 | 2017-04-21 | 손영준 | 일회용 난로 패키지 |
KR101812509B1 (ko) * | 2016-02-26 | 2018-01-30 | 김용애 |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KR20170140061A (ko) | 2017-01-18 | 2017-12-20 | (주)매크로 졸 | 고체연료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5570B1 (ko) | 2020-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021345A1 (en) | Gravity fed pellet burner | |
FI118823B (fi) | Polttomenetelmä ja polttolaite | |
KR102065699B1 (ko)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
KR20190123702A (ko)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
EP0072616B1 (en) |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radiant type | |
US2295781A (en) | Downdraft furnace | |
US1957921A (en) | Furnace | |
US4253407A (en) | Burner for combusting particulate fuels | |
US4416250A (en) | Combustion apparatus and refractory elements for use in combustion apparatus | |
US4607610A (en) | Downdraft stove with tubular grating | |
KR101243366B1 (ko) | 에어 주입 방식의 우드 펠릿 보일러용 계단식 이동 회분 연소 장치 | |
JP2011080614A (ja) | 温風機 | |
KR20010032255A (ko) | 연소로 | |
US4532913A (en) | Combustion mean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 |
JP3678089B2 (ja) | 焼却炉 | |
US2374808A (en) | Gravity-fed coal furnace | |
PT2775201E (pt) | Método operacional para um aquecedor | |
US687656A (en) | Smoke-consuming furnace. | |
JPH0584742A (ja) | ワツクス状物質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 |
KR101051655B1 (ko) |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 |
JP3891686B2 (ja) | 灰溶融方法とその灰溶融炉 | |
FI75922B (fi) | Braennare foer foerbraenning av speciellt biomassa. | |
US462515A (en) | Emilio de stress | |
EP0235995A1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reboxes | |
KR880001504B1 (ko) |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