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09B1 -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Google Patents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509B1 KR101812509B1 KR1020160044534A KR20160044534A KR101812509B1 KR 101812509 B1 KR101812509 B1 KR 101812509B1 KR 1020160044534 A KR1020160044534 A KR 1020160044534A KR 20160044534 A KR20160044534 A KR 20160044534A KR 101812509 B1 KR101812509 B1 KR 101812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fuel
- fuel
- ignition
- alcohol
- a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6—Manufacture of firelighters of a special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8—Shaped fuels bundled or contained in a bag or other contai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6—Firelighters or wicks, as additive to a solid fu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연료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부의 개방부에 의해 위로 열려 있는 캔(10); 알콜에 침지되어 일정 시간 동안 숙성되며 상기 캔(10)의 상기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형 연료(20); 상기 캔(10)에 투입되어 상기 고형 연료(20)의 연소를 위한 불을 붙이는 착화 연료(30);를 포함하고, 상기 고형 연료(20)는 알콜에 침지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 숙성되어 상기 고형 연료(20)에 알콜이 베어 있으며, 상기 고형 연료(20)는 왕겨(20A), 톱밥, 우드칩, 옥수수콘(20B), 천연원목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겨나 옥수수 등의 고형 연료를 알콜에 숙성시켜서 사용하므로 고형 연료의 완전 연소로 인한 연소 효율 향상과 착화 효율 향상 등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에 관한 것이다.
각종 조리나 가열을 위해 사용되며 주로, 휴대용으로 이용되는 고체연료를 사용함에 있어, 가열을 위한 별도의 받침대(삼발이 등)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가열을 위한 용기를 간편, 용이하게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체 연료캔이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체연료라 함은 가연성의 원료를 응고시켜 고체화한 상태에서, 고체가 기체로 기화되면서 연소를 위한 가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휴대용 가열수단(예를 들어, 캠핑을 할 때에 음식 조리를 위한 휴대용 가열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 연료캔은 캔의 내부에 일정량의 고체상태의 연료가 내장되고, 캔의 상면에는 점화 및 연소를 위한 연소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캔의 상면에 형성된 연소공을 개방하여 내장된 고체상태의 연료가 기화되어 가스로 배출되도록 한 후, 점화수단을 이용하여 기화되며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용기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고체 연료캔은 고체 연료 전체의 완전 연소가 어려워 착화된 불이 꺼지더라도 일부분은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므로 연료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왕겨나 톱밥이나 옥수수와 같이 식물 재료를 고체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왕겨나 옥수수 등의 연료가 제대로 연소되지 못하고 까맣게 뭉쳐버려서 필요한 만큼의 연소 효율이 나오지 않고 미연소된 고형 연료를 그냥 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고체연료 연소 시에 연기와 재가 많이 발생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호흡기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서 건강에 해로우며, 대기오염이 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톱밥 등의 재료를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고체 연료가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톱밥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고체 연료는 운반이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종래의 고체 연료에 비하여 착화가 용이한 측면은 있으나, 상기의 톱밥 등의 재료로 고체 연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미세한 절단 및 압착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는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왕겨나 옥수수 등의 고형 연료를 알콜에 숙성시켜서 사용하므로 고형 연료의 완전 연소로 인한 연소 효율 향상과 착화 효율 향상 및 화염의 세기를 기존에 비해 더 높여줄 수 있는 새로운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를 덮어주는 뚜껑; 상기 뚜껑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으로 상기 용기를 덮을 때에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상기 용기의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용기의 바깥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뚜껑과 상기 용기 사이의 밀봉부를 벗어난 영역에서 유입단이 시작되는 배출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이 제공된다.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용기의 안쪽면에서 상기 용기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확장 바디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 바디부에 상기 유입단이 구비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용기 사이의 밀봉부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유입단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실링부재가 상기 용기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며, 상기 뚜껑과 상기 실링부재의 일부가 상기 확장 바디부 위에 얹혀져 지지된다.
본 발명의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에 의하면, 이때, 본 발명은 고형 연료를 그냥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알콜에 숙성시켜 사용하므로, 연료가 한꺼번에 확 타버려서 연료 모두가 완전 연소되지 않고 남아 있는 연료가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부 연료만 타고 나머지 타지 않은 연료가 생기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미연소된 고형 연료를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방지되고 대기 오염 방지 등에도 도움이 되며 생산성 등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형 연료가 담기는 캔에 메시망이 더 투입되어, 연소시에 고형 연료가 화염쪽으로 쏠려서 불꽃을 덮어버리거나 불이 꺼지거나 불이 약해지는 것을 메시망이 방지하게 되므로, 고형 연료의 연소가 보다 원활하게 하고 연소 효율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의 주요부인 캔과 고형 연료 및 착화 연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화 연료를 캔의 내부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착화 연료의 시험성적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주요부인 구리 나선 와이어를 사용할 때에 구리 나선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화염 상태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화 연료를 캔의 내부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착화 연료의 시험성적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주요부인 구리 나선 와이어를 사용할 때에 구리 나선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화염 상태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형 연료 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형 연료 캔은 내부에 연료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부의 개방부에 의해 위로 열려 있는 캔(10)과, 알콜에 침지되어 일정 시간 동안 숙성된 것으로서 캔(10)의 내부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형 연료(20)와, 상기 캔(10)의 내부 공간부에 투입되어 고형 연료(20)의 연소를 위한 불을 붙이는 착화 연료(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10)의 내부에 투입되어 고형 연료(20)의 사이에 일부가 묻히는 메시망(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캔(10)은 내열성 용기이다. 캔(10)은 내열성을 가지도록 금속제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캔(10)은 원통형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캔(10) 내부의 공간부는 상부의 개방부에 의해 위로 열려 있다. 캔(10)의 상단부에는 내주연 단턱부가 구비되어, 내주연 단턱부의 안쪽 영역이 개방부가 된다. 상기 개방부는 캔(10)의 내부 공간부에 고형 연료(20)를 충전하고 착화 연료(30)를 집어넣을 수 있는 투입구라 할 수 있다. 캔(10)의 상부 개방부는 고형 연료(20) 점화시에 화염이 올라오는 화구라 할 수도 있다.
상기 고형 연료(20)는 알콜에 침지된 상태(담가진 상태)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숙성되는데, 알콜에 고형 연료(20)를 담가서 숙성시키면 고형 연료(20)에 알콜이 배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형 연료(20)는 왕겨(20A), 톱밥, 우드칩, 옥수수콘(20B), 천연원목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것 이외에 식물성 고형 연료(20)를 모두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왕겨(20A), 톱밥은 계절에 관계없이 상온 18℃에서 1일 숙성시키고, 상기 우드칩은 동절기에는 상온에서는 3일 숙성, 18℃ 미만에서는 4일 숙성시키고 다른 계절에는 상온 18℃에서 3일 숙성시키고, 상기 옥수수콘(20B)은 동절기에 상온 18℃에서 4일 숙성시키고 다른 계절에는 상온 18℃에서 3일 숙성시키며, 상기 천연원목은 동절기에 상온에서 5일, 18℃ 미만에서 7일 이상 9일 이내로 숙성시키고 다른 계절에는 상온 18℃에서 3일 숙성시킨다.
상기 고형 연료(20)의 숙성 온도는 15℃~20℃ 범위로 될 수도 있다. 숙성 온도가 15℃보다 낮은 경우 숙성 온도가 너무 낮아서 숙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0℃를 초과하면 알콜이 너무 높은 온도로 인하여 과증발되어 고형 연료(20)에 알콜이 제대로 침습되어 있지 못할 수 있어서, 상기 숙성 온도 범위를 지키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상기 왕겨(20A), 톱밥의 숙성 기간이 1일보다 적으면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1일을 초과하면 왕겨(20A), 톱밥에 쓸데없이 알콜이 많이 스며들어 있게 되어 알콜의 낭비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우드칩, 옥수수콘(20B), 천연원목도 상기한 숙성 기간을 지키지 않을 경우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알콜이 쓸데 없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상기 숙성 기간을 지키는 것도 의미가 있다.
또한, 상기 알콜 106g에 왕겨(20A) 29g, 톱밥 23g, 우드칩 11g, 옥수수콘(20B) 10g을 투입하여 숙성시킨다. 왕겨(20A)는 25g~30g 정도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왕겨(20A)가 25g 이하이면 왕겨(20A) 대비 알콜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며, 왕겨(20A)가 30g을 초과하면 왕겨(20A)가 알콜에 의해 충분하게 숙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왕겨(20A)의 중량 범위를 상기와 같이 정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또한, 톱밥은 20g~25g 범위, 우드칩은 10g~13g 범위, 옥수수콘(20B)은 8g~12g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톱밥과 우드칩과 옥수수콘(20B)이 하한치보다 적으면 알콜의 사용량이 너무 많다고 할 수 있고, 톱밥과 우드칩과 옥수수콘(20B)이 상한치보다 많으면 알콜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톱밥과 우드칩과 옥수수콘(20B)의 하한치와 상한치 범위를 지키는 것도 의미가 있다.
한편, 상기 착화 연료(30)는 블록 형상의 천연원목을 알콜에 숙성시켜서 구성되며, 상기 천연원목 23g을 알콜 106g에 담가서 숙성시킨다. 천연원목, 다시 말해, 착화 연료(30)는 알콜 106g 대비 20g~25g 범위로 정할 수 있다. 역시, 천연 원목(예를 들어, 소나무) 재질인 착화 연료(30)가 하한치보다 적으면 알콜의 사용량이 너무 많다고 할 수 있고, 착화 연료(30)가 상한치보다 많으면 알콜 숙성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역시 착화 연료(30)의 혼합 범위를 상기 범위로 지키는 것도 의미가 있다.
상기 착화 연료(30)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산소 유통로가 확보되고, 상기 산소 유통로는 착화 연료(30)의 한쪽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관통된다. 또한, 상기 착화 연료(30)에 산소 유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산소 유통로가 착화 연료(30)의 앞면에서 볼 때에 일차홀 형상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산소 유통로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착화 연료(30)가 M자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착화 연료(30)를 버닝M이라고도 한다.
또한, 착화 연료(30)는 전후면과 상하면 및 양쪽 측면부가 있는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 사이의 폭은 상하면 사이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즉, 착화 연료(30)가 전후면 두께가 상하면 높이보다 더 작은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캔(10)의 내부 공간부에 고형 연료(20)를 투입하고, 고형 연료(20) 위에 착화 연료(30)를 올려놓은 다음, 착화 연료(30)에 불을 붙이면, 착화 연료(30)가 마치 양초에서 심지 역할을 하는 것과 같아서 고형 연료(20)에 불이 붙게 되며, 고형 연료(20)에 불이 붙어서 생긴 화염은 캔(10)의 상부 개방부로 올라오게 되어, 캔(10)의 위쪽에 받침대 등으로 지지되어 배치된 조리용기를 가열하며, 조리용기의 가열에 따라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야외 캠핑장 등에서 본 발명의 고형 연료 캔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캔(10)의 내부 아래 부분에 톱밥을 채우고 톱밥 위에는 옥수수콘(20B)을 채우고, 옥수수콘(20B) 위에 착화 연료(30)를 올려놓과 착화 연료(30)에 불을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고형 연료(20)를 그냥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알콜에 숙성시켜 사용하므로, 연료가 한꺼번에 확 타버려서 연료 모두가 완전 연소되지 않고 남아 있는 연료가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부 연료만 타고 나머지 타지 않은 연료가 생기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캔(10) 내부에 채워진 고형 연료(20)가 너무 빨리 확 타버리면 캔(10) 위쪽의 일부 고형 연료(20)만 타고 캔(10) 아래 부분의 고형 연료(20)는 제대로 연소되지 못하고 까맣게 변하여 뭉쳐버릴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형 연료(20)를 알콜에 숙성시켜서 사용하므로 상기와 같이 고형 연료(20)가 불완전 연소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숙성된 고형 연료(20)를 쓰게 되므로, 고형 연료(20) 전체의 완전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착화된 불이 꺼지지 않고 고형 연료(20)의 일부분이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남는 경우가 없게 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연료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왕겨(20A)나 톱밥이나 옥수수콘(20B)과 같이 식물 재료를 고형 연료(20)가 제대로 연소되지 못하고 까맣게 뭉쳐버리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서 필요한 만큼의 연료 연소 효율이 나올 수 있으며 미연소된 고형 연료(20)를 그냥 버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환경에도 보다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형 연료(20) 연소 시에 연기와 재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호흡기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서 건강에 해로움을 주는 경우는 없으며, 대기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존과 달리 톱밥 등의 재료를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필요가 없어서, 운반이나 보관 및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종래의 고체 연료에 비하여 착화가 용이하며, 톱밥 등의 재료로 고체 연료를 제작하기 위해서 목재의 미세한 절단 및 압착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콜에 상기 고형 연료(20)가 충분히 숙성되어, 고형 연료(20) 연소시에 기존에 비하여 화기가 훨씬 강해지므로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등의 효과가 있으며 사용시에 알콜의 톡 쏘는 냄새가 순화되므로 사용시에도 편리하고 건강에도 좋다. 알콜의 톡 쏘는 냄새를 순화시켜서 거부감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화 연료(30)(버닝M)도 알콜에 숙성시켜 놓은 다음에 쓰는 것이라서 착화시 불이 잘 붙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착화 연료(30)에서도 알콜의 톡 쏘는 냄새를 순화시켜서 사용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시험 성적서에서는 이러한 착화 연료(30)의 효율에 대해서 표시되어 있으며, 시험 성적서의 결과를 놓고 보면 본 발명은 착화 연료(30)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화염 효율과 착화 효율을 더욱 높여주는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착화 연료(30)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내부에 산소 유통로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착화 연료(30) 자체에서 고형 연료(20) 쪽으로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착화 연료(30)에서 고형 연료(20)로 점화할 때의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상기 산소 유통로로 인하여 착화 연료(30)에서 고형 연료(20)를 점화시키는 초기 점화(스타트 점화)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화 연료(30)는 전후면과 상하면 및 양쪽 측면부가 있는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 사이의 폭은 상하면 사이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화 연료(30)의 전면 또는 후면이 고형 연료(20)와 접촉되도록 눕혀서 쓸 때에는 상대적으로 캔(10)의 상부 개방부를 차지하는 면적이 더 많게 되어서, 산소 공급량을 그만큼 줄이게 되므로, 화기의 강도를 적절히 낮추어서 쓸 수 있고, 상기 착화 연료(30)의 측면이나 상면 또는 저면이 고형 연료(20)와 접촉되도록 세워서 쓸 때에는 상대적으로 캔(10)의 상부 개방부를 차지하는 면적이 더 줄어 들게 되어서, 산소 공급량을 그만큼 더 늘릴 수 있으므로, 화기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더 높여서 쓸 수 있다. 즉, 착화 연료(30)를 어떻게 놓고 사용하느냐에 따라 화염의 강도(화기의 세기)를 쉽게 조절하여 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착화 연료(30)는 기존과 달리 천연원목을 알콜에 숙성시켜서 만든 것이라서 기존에 비하여 연소 효율 향상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도면의 시험 성적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캔(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캔(10)의 상부 개방부 위로 일부가 올라와 있는 구리 나선 와이어(40)를 더 포함한다. 구리 나선 와이어(40)는 자체의 재질이 구리로서 나선형으로 감져져 있는 구조이다. 구리 나선 와이어(40)의 하부 일부가 캔(10)의 내부 공간부로 투입되어 입자 형상의 고형 연료(20) 알갱이들 사이에 파묻혀 있고 구리 나선 와이어(40)의 나머지 일부는 캔(10)의 상부 개방부 위로 올라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고형 연료(20)와 알콜이 연소될 때에 생기는 화염(불꽃)이 균일하게 캔(10) 위로 올라오게 되어 화염에 의한 열효율을 보다 높이게 된다. 화염이 파랗게 균일한 불꽃이 되어 캔(10)의 개방부 위로 올라오게 된다. 구리 나선 와이어(40)가 없는 경우에는 화염이 붉은색(또는 노란색)으로 되고 흩어지게 되는 반면, 구리 나선 와이어(40)가 있는 경우에는 파랗게 균일한 불꽃이 된다. 화염이 파랗게 균일한 불꽃이 되는 경우 붉은색 불꽃보다 온도가 더 높으므로, 화염의 강도(화기의 세기) 효율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즉, 파란 불꽃이므로 열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된다. 구리 나선 와이어(40)(구리 나사)가 화염에 의해 달구어져서 화염이 올라오는 영역(즉, 캔(10)의 상부 개방부 위쪽 영역)에 달구어진 구리 나선 와이어(40)에 의해 열 배리어(Heat barrier)가 형성되어, 바람이 불더라도 파란 불꽃의 화염이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파란불이 균일하게 위로 올라오면서 화기도 보다 강해지고 고형 연료(20)도 보다 균질하게 잘 연소될 수 있다. 특히, 구리 나선 와이어(40)가 구리 재질이라서, 화염에 의해 보다 빨리 달구어지면서 열 배리어를 보다 신속하게 형성하므로, 바람 등에 의해 화염이 영향을 받아 흩어지는 것과 같이 화염 효율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을 보다 빨리 해소하게 된다. 도 7의 (a)는 구리 나선 와이어(40)를 쓸 때에 파란 불이 올라오고 파란 불이 흩어지지 않고 모여서 올라오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7의 (b)는 구리 나선 와이어(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빨간불이 올라오는 상태를 보여준다. 구리 나선 와이어(40)를 더 쓸 경우 도 7의 (a)에서와 같이 더 좋은 화염을 쓸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형 연료(20)로 옥수수콘(20B)을 쓸 경우에는 옥수수콘(20B)이 타는 구수한 냄새가 올라오는데, 고기를 구울 때에 옥수수의 구수한 냄새가 고기에 베이게 되어서 고기 맛이 더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때, 고형 연료(20)로 숯을 사용하는 경우(물론, 숯도 알콜에 숙성됨)에는 숯이 탈 때에 숯 향이 고기에 베이게 되어서 숯불 고기를 먹는 것처럼 고기 맛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캔(10)의 내부에 메시망(50)이 더 투입된다. 메시망(50)은 적어도 상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메시망(5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메시망(50)의 일부가 옥수수콘과 같은 상기 고형 연료(20) 사이에 묻히고, 메시망(50)의 나머지는 캔(10)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부를 통해 위로 나와서 캔(10)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때, 착화 연료(30)는 메시망(50) 안쪽에서 고형 연료(20) 위에 얹혀지게 된다.
상기 메시망(50)은 화염 쪽으로 고형 연료(20)가 쏠려서 화염을 덮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고형 연료(20)의 연소시에 화염이 고형 연료(20)가 덮어버리는 현상으로 인해 화염(불)이 꺼지는 경우나 불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연소 효율을 높이고 연소가 보다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메시망(50)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캔 20. 고형 연료
20A. 왕겨 720B. 옥수수콘
30. 착화 연료 40. 구리 나선 와이어
20A. 왕겨 720B. 옥수수콘
30. 착화 연료 40. 구리 나선 와이어
Claims (8)
- 내부에 연료가 채워지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부의 개방부에 의해 위로 열려 있는 캔(10);
알콜에 침지되어 일정 시간 동안 숙성되며 상기 캔(10)의 상기 공간부에 충전되는 고형 연료(20);
상기 캔(10)에 투입되어 상기 고형 연료(20)의 연소를 위한 불을 붙이는 착화 연료(30);
상기 캔(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캔(10)의 상부 개방부 위로 일부가 올라와 있는 나선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료(20)는 알콜에 침지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 숙성되어 상기 고형 연료(20)에 알콜이 베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료(20)는 왕겨(20A), 톱밥, 우드칩, 옥수수콘(20B), 천연원목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연료(30)는 블록 형상의 천연원목을 알콜에 숙성시켜서 구성되며, 상기 천연원목 23g을 알콜 106g에 담가서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연료(30)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산소 유통로가 확보되고, 상기 산소 유통로는 상기 착화 연료(30)의 한쪽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착화 연료(30)에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고형 연료(20)의 사이에 일부가 묻히는 메시망(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22950 | 2016-02-26 | ||
KR1020160022950 | 2016-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070A KR20170101070A (ko) | 2017-09-05 |
KR101812509B1 true KR101812509B1 (ko) | 2018-01-30 |
Family
ID=5992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534A KR101812509B1 (ko) | 2016-02-26 | 2016-04-12 |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50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3413A (ko) * | 2018-04-24 | 2019-11-01 | 박경훈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KR20190123702A (ko) * | 2019-09-24 | 2019-11-01 | (주)에스엠테크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044B1 (ko) | 2017-11-07 | 2019-06-04 | (주)에스엠테크 | 연소효율이 향상된 혼합연료 난로 |
KR102260769B1 (ko) * | 2019-05-02 | 2021-06-07 | 강원 |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착화 및 연소 효율이 우수한 고형 연료 |
-
2016
- 2016-04-12 KR KR1020160044534A patent/KR101812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3413A (ko) * | 2018-04-24 | 2019-11-01 | 박경훈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KR102065699B1 (ko) | 2018-04-24 | 2020-01-13 | (주)에스엠테크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KR20190123702A (ko) * | 2019-09-24 | 2019-11-01 | (주)에스엠테크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KR102135570B1 (ko) | 2019-09-24 | 2020-07-21 | (주)에스엠테크 | 대류 조절판이 구비된 일회용 연료 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070A (ko) | 2017-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24879A1 (en) | Pellet burning fire pit | |
KR101812509B1 (ko) | 착화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고형 연료 캔 | |
US10711995B2 (en) | Dual-fuel gas-pellet burner assembly | |
CN105263378B (zh) | 烧烤熏制器设备 | |
US7931705B2 (en) | Method of lighting a fire from a charcoal-containing fuel package | |
CN108366698A (zh) | 烹饪装置 | |
US20110262874A1 (en) | Charcoal starting system | |
US8250995B2 (en) | Log cartridge burning system | |
US20090007826A1 (en) | Environmentally Safe Charcoal-Based Heat Source | |
KR101153703B1 (ko)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 |
US3877886A (en) | Solid fuel package | |
GB2442702A (en) | Carbon fuel combustion package | |
US20060027227A1 (en) | Volcano furnace | |
JP2008107005A (ja) | 燃焼器具 | |
KR101801140B1 (ko) | 튀지 않는 성형참숯백탄의 제조방법 | |
CN207949678U (zh) | 一种野炊烧烤装置 | |
US20080092873A1 (en) | Carbon fuel combustion supporting packaging | |
KR20120003415U (ko) | 펠릿 연소용 로스터 | |
US6899740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enhancing consumable products | |
CN203068569U (zh) | 一种节能烤箱气化炉 | |
JP2009019846A (ja) | 燃焼器具 | |
CN107348864A (zh) | 一种野炊烧烤装置 | |
US9187705B2 (en) | Easy lighting charcoal briquettes with wood shavings | |
CN205359269U (zh) | 无烟燃气烤炉 | |
JP2005083581A (ja) | 木炭の着火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