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459A -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459A
KR20190123459A KR1020180047196A KR20180047196A KR20190123459A KR 20190123459 A KR20190123459 A KR 20190123459A KR 1020180047196 A KR1020180047196 A KR 1020180047196A KR 20180047196 A KR20180047196 A KR 20180047196A KR 20190123459 A KR20190123459 A KR 20190123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flight
photographing
shooting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127B1 (ko
Inventor
허창용
Original Assignee
허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창용 filed Critical 허창용
Priority to KR102018004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1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와 GPS를 장착한 촬영용 드론; 상기 촬영용 드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하는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 클라이언트 헤드의 상하좌우 동작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한 감지정보를 상기 촬영용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촬영용 드론에 의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고글;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드론비행 주조정부; 및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촬영용 드론으로 송신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을 직접 제어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고도와 비행속도가 특정범위를 이탈하거나, 비행가능지역을 특정시간이상 이탈하면,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로부터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비행조정권한을 전환시키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oggle Video Information by Drone}
본 발명은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부자연스럽거나 불편한 입원환자 또는 요양원 입원환자에게도 원격지의 드론비행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고글을 통해 1인칭 시점으로 제공하고, 드론비행을 안정적으로 체험하도록 드론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원격지의 비행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여서, 스크린 영상으로 헤드마운트 고글을 통해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한 제1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번호제2017-0114458호(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VR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고, 제2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번호제2017-0062876호(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동작을 트래킹하여 드론의 촬영영역을 변경하고, 보조입력장치를 통해서 비행지점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한편, 제1선행기술에서의 드론비행을 조종하는 원격지조종장치와, 제2선행기술에서의 드론의 비행구도를 제어하는 보조 입력 장치를 통해서 드론비행조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드론이 실제 비행하는 영역과, 원격지조종장치 또는 보조 입력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 사이가 원거리인 경우에, 드론이 비행가능지역을 이탈하거나 예상치 않게 비정상적으로 비행하면 이를 통제하여 정상 비행을 유도하는 기술이 미비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이 부자연스럽거나 불편한 클라이언트에게도 원격지의 드론비행을 안정적으로 체험하도록 드론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번호제2017-0114458호(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 한국공개번호제2017-0062876호(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이 부자연스럽거나 불편한 입원환자 또는 요양원 입원환자에게도 원격지의 드론비행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고글을 통해 1인칭 시점으로 제공하고, 드론비행을 안정적으로 체험하도록 드론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와 GPS를 장착한 촬영용 드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가능지역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촬영용 드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하는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 클라이언트 헤드의 상하좌우 동작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한 감지정보를 상기 촬영용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촬영용 드론에 의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출력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고글;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드론비행 주조정부; 및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촬영용 드론으로 송신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을 직접 제어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는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상기 촬영용 드론과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는 근거리 통신하고,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 및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상기 촬영용 드론과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는 상호간 원거리 통신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고도와 비행속도가 특정범위를 이탈하거나, 비행가능지역을 특정시간이상 이탈하면,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로부터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비행조정권한을 전환시키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비행가능지역의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지리정보서버와, 상기 지리정보서버와 통신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의 비행가능지역내의 특정 플래그의 순차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지도 선택에 의한 비행경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용 드론의 상기 플래그 비행시, 상기 지리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플래그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제공하거나, 상기 음향출력모듈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리정보서버는 특정 플래그에 해당하는 이벤트 지역의 이벤트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이 특정 이벤트 지역에 해당하는 플래그 비행시, 상기 촬영 영상을 대체하여 상기 지리정보서버로부터 이벤트 관련 영상을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은 클라이언트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트랙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트랙킹 센서의 감지정보를 상기 촬영용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원격지별로, 촬영용 드론, 드론비행 관리서버 및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원격지별 상기 촬영용 드론,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 및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를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용 드론은 수상 항해가 가능하거나 수중 잠영이 가능한 촬영용 드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거리 이동이 불편한 클라이언트, 예컨대 거동이 어려운 병원환자 또는 요양원환자가 헤드마운트 고글을 착용하고, 드론비행 주조정부를 조정하여서,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로 드론촬영 제어신호와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용 드론의 촬영각도와 비행을 제어하도록 하여서, 원격지의 드론비행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고글을 통해 1인칭 시점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원격지에 배치되는 헤드마운트 고글과 드론비행 주조정부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드론비행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를 통해 드론의 정상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서 드론비행을 안정적으로 체험하도록 드론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 입력 장치를 통한 드론비행구도 제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한 영상정보 제공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촬영용 드론(110)과,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하는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와, 촬영용 드론(110)의 촬영각도를 제어하는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와,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원격지별로, 촬영용 드론(110), 드론비행 관리서버(120) 및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각각 구비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로부터 선택된 원격지별 촬영용 드론(110), 드론비행 관리서버(120) 및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연동시킬 수 있다.
우선, 촬영용 드론(110)은 줌아웃이 가능하고 광각 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111)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112)를 장착한다.
또한, 촬영용 드론(110)은 스테레오 카메라(111)의 촬영각도를 조정하는 모터와 회전기어로 구성되는 회전구동모듈(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용 드론(110)은, 촬영 공간에 따라, 프로펠러에 의해 공중 비행이 가능한 비행드론이거나, 수상 항해가 가능하거나 수중 잠영이 가능한 잠수형드론일 수도 있다.
다음,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DB)에는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가능지역정보가 저장되고,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는 촬영용 드론(110)의 GPS(112)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로부터 원격 수신되는 드론비행 제어신호와 헤드마운트 고글(130)로부터 원격 수신되는 드론촬영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한다.
다음, 헤드마운트 고글(130)은, 착용하는 클라이언트의 헤드의 상하좌우 동작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1)와, 자이로센서(131)에 의한 감지정보를 촬영용 드론(110)의 스테레오 카메라(111)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모듈(132)과,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촬영용 드론(110)에 의한 영상정보를 원격 수신하여 1인칭 시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33)과,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출력모듈(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마운트 고글(130)은 클라이언트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트랙킹 센서(135)를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132)은 트랙킹 센서(135)의 감지정보를 촬영용 드론(110)의 스테레오 카메라(111)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는 헤드마운트 고글(130)의 구동과 연동하여 촬영용 드론(110)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 원격 송신한다.
다음,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는 촬영용 드론(110)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촬영용 드론(110)으로 송신하여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을 직접 제어한다.
여기서,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는 인접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하며,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와 촬영용 드론(110)과 보조조정부(150)는 인접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한다.
또한,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로 구성되는 그룹과,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와 촬영용 드론(110)과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구성되는 그룹은 그룹 상호간 원거리 통신한다.
즉, 장거리 이동이 불편한 클라이언트, 예컨대 거동이 어려운 병원환자 또는 요양원환자가 헤드마운트 고글(130)을 착용하고,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를 조정하여서,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 드론촬영 제어신호와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용 드론(110)의 촬영각도와 비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고도와 비행속도가 특정범위를 이탈하거나, 비행가능지역을 특정시간이상 이탈하면,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는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로부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드론의 비행조정권한을 강제 전환시키는데, 즉,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원격지에 배치되는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드론비행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통해 드론의 정상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한편,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와 연동하고 비행가능지역의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지리정보서버(160)와, 지리정보서버(160)와 통신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를 더 포함하여,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로부터,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에 따른 비행가능지역내의 특정 플래그의 순차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지도 선택에 의한 비행경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드론비행 주종정부(140)를 통한 비행조정이 어려운 클라이언트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를 통해 지리정보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비행가능지역의 지도에 특정 플래그를 선택하도록 하여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비행조정하게 하거나 특정 플래그를 경유하는 비행경로를 통한 자동 비행을 유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촬영용 드론(110)의 설정된 플래그를 경유하는 비행시, 지리정보서버(160)로부터 플래그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헤드마운트 고글(130)의 디스플레이모듈(133)을 통해 텍스트로 제공하거나, 음향출력모듈(134)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여서, 단순 비행영상 제공이 아닌 지리적 또는 역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정보서버(160)는 특정 플래그에 해당하는 이벤트 지역의 이벤트 영상을 사전에 저장하고, 촬영용 드론(110)이 특정 이벤트 지역에 해당하는 플래그 비행시, 촬영 영상을 대체하여 지리정보서버(160)로부터 이벤트 관련 영상을 헤드마운트 고글(1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서, 클라이언트의 드론 비행의 직간접 체험과 가이드정보와 추가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벤트 관련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의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한 영상정보 제공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한 영상정보 제공 흐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원격지별 촬영용 드론(110), 헤드마운트 고글(130) 및 드론비행 주조정부(140)와, 드론비행 관리서버(120) 및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연동시킨다(S110).
다음, 드론비행 관리서버(120)가 촬영용 드론(110)의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로부터 원격 수신되는 드론비행 제어신호와 헤드마운트 고글(130)로부터 원격 수신되는 드론촬영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한다(S120). 여기서, 클라이언트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트랙킹 센서의 감지정보를 촬영용 드론(110)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한다.
다음, 헤드마운트 고글(130)이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촬영용 드론(110)에 의한 영상정보를 원격 수신하여 1인칭 시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S130).
다음, 촬영용 드론(110)의 비정상 비행시, 즉, 촬영용 드론(110)의 비행고도와 비행속도가 특정범위를 이탈하거나, 비행가능지역을 특정시간이상 이탈하면,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는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로부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드론의 비행조정권한을 강제 전환시킨다(S140). 즉,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원격지에 배치되는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드론비행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통해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촬영용 드론(110)으로 송신하여 드론의 정상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한편, 드론비행 관리서버(120)와 연동하고 비행가능지역의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지리정보서버(160)를 통해서 비행가능지역내의 특정 플래그의 순차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지도 선택에 의한 비행경로 설정정보를 수신한다(S150).
즉, 드론비행 주종정부(140)를 통한 비행조정이 어려운 클라이언트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를 통해 지리정보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비행가능지역의 지도에 특정 플래그를 선택하도록 하여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로 비행조정하게 하거나 특정 플래그를 경유하는 비행경로를 통한 자동 비행을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촬영용 드론(110)의 설정된 플래그를 경유하는 비행시, 지리정보서버(160)로부터 플래그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헤드마운트 고글(130)의 디스플레이모듈(133)을 통해 텍스트로 제공하거나, 음향출력모듈(134)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여서, 단순 비행영상 제공이 아닌 지리적 또는 역사적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16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서, 장거리 이동이 불편한 클라이언트, 예컨대 거동이 어려운 병원환자 또는 요양원환자가 헤드마운트 고글(130)을 착용하고,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를 조정하여서,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 드론촬영 제어신호와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용 드론(110)의 촬영각도와 비행을 제어하도록 하여서, 원격지의 드론비행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고글을 통해 1인칭 시점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고,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원격지에 배치되는 헤드마운트 고글(130)과 드론비행 주조정부(140)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드론비행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드론비행 관리서버(120)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150)를 통해 드론의 정상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서 드론비행을 안정적으로 체험하도록 드론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촬영용 드론 120 : 드론비행 관리서버
130 : 헤드마운트 고글 140 : 드론비행 주조정부
150 : 드론비행 보조조정부 160 : 지리정보서버
170 : 클라이언트 단말기

Claims (7)

  1. 스테레오 카메라와 GPS를 장착한 촬영용 드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가능지역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촬영용 드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과 영상촬영을 제어하는 원격지의 드론비행 관리서버;
    클라이언트 헤드의 상하좌우 동작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한 감지정보를 상기 촬영용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촬영용 드론에 의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출력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고글;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의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드론비행 주조정부; 및
    상기 촬영용 드론의 드론비행 제어신호를 상기 촬영용 드론으로 송신하여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을 직접 제어하는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는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상기 촬영용 드론과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는 근거리 통신하고,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 및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상기 촬영용 드론과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는 상호간 원거리 통신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의 비행고도와 비행속도가 특정범위를 이탈하거나, 비행가능지역을 특정시간이상 이탈하면,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비행 주조정부로부터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로 비행조정권한을 전환시키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비행가능지역의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가 구축된 지리정보서버와, 상기 지리정보서버와 통신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도기반 통합지리정보의 비행가능지역내의 특정 플래그의 순차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지도 선택에 의한 비행경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용 드론의 상기 플래그 비행시, 상기 지리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플래그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제공하거나, 상기 음향출력모듈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서버는 특정 플래그에 해당하는 이벤트 지역의 이벤트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촬영용 드론이 특정 이벤트 지역에 해당하는 플래그 비행시, 상기 촬영 영상을 대체하여 상기 지리정보서버로부터 이벤트 관련 영상을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은 클라이언트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트랙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트랙킹 센서의 감지정보를 상기 촬영용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드론촬영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원격지별로, 촬영용 드론, 드론비행 관리서버 및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원격지별 상기 촬영용 드론, 상기 드론비행 관리서버 및 상기 드론비행 보조조정부를 상기 헤드마운트 고글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용 드론은 수상 항해가 가능하거나 수중 잠영이 가능한 촬영용 드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80047196A 2018-04-24 2018-04-24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6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96A KR102062127B1 (ko) 2018-04-24 2018-04-24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96A KR102062127B1 (ko) 2018-04-24 2018-04-24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459A true KR20190123459A (ko) 2019-11-01
KR102062127B1 KR102062127B1 (ko) 2020-01-03

Family

ID=6853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96A KR102062127B1 (ko) 2018-04-24 2018-04-24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02B1 (ko) * 2020-01-10 2020-07-08 엄태형 인명 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KR102147192B1 (ko) * 2020-04-07 2020-08-25 (주)이산기술단 드론을 활용한 전신주간 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CN112161973A (zh) * 2020-08-31 2021-01-0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无人机的水体污染快速检测方法
WO2021252045A1 (en) * 2020-06-08 2021-1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location with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ph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398A (ja) * 1999-07-30 2001-02-13 Kawasaki Heavy Ind Ltd ヘリコプタの操縦支援装置
JP2008105591A (ja) * 2006-10-26 2008-05-08 Hiroboo Kk 自律制御無人飛行体の飛行管理方法
JP2011502068A (ja) * 2007-10-30 2011-01-20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無人ビークル制御ステーション
KR101662032B1 (ko) * 2015-04-28 2016-10-10 주식회사 유브이코어 조종사의 시선 방향과 동기화 된 uav 항공 영상 촬영 시스템
KR20170062876A (ko)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
KR20170114458A (ko) 2016-04-05 2017-10-16 조건희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398A (ja) * 1999-07-30 2001-02-13 Kawasaki Heavy Ind Ltd ヘリコプタの操縦支援装置
JP2008105591A (ja) * 2006-10-26 2008-05-08 Hiroboo Kk 自律制御無人飛行体の飛行管理方法
JP2011502068A (ja) * 2007-10-30 2011-01-20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無人ビークル制御ステーション
KR101662032B1 (ko) * 2015-04-28 2016-10-10 주식회사 유브이코어 조종사의 시선 방향과 동기화 된 uav 항공 영상 촬영 시스템
KR20170062876A (ko)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
KR20170114458A (ko) 2016-04-05 2017-10-16 조건희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02B1 (ko) * 2020-01-10 2020-07-08 엄태형 인명 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KR102147192B1 (ko) * 2020-04-07 2020-08-25 (주)이산기술단 드론을 활용한 전신주간 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WO2021252045A1 (en) * 2020-06-08 2021-1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location with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phy
US11656365B2 (en) 2020-06-08 2023-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location with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phy
CN112161973A (zh) * 2020-08-31 2021-01-0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无人机的水体污染快速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127B1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127B1 (ko) 촬영용 드론에 의한 헤드마운트 고글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US9158305B2 (en) Remote control system
CN104781873B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移动装置、图像显示系统
CN105763790A (zh) 用于以沉浸模式来驾驶无人机的视频系统
KR20170114458A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
JP6540572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7205111B (zh) 摄像装置、移动装置、摄像系统、摄像方法和记录介质
US202100340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struction method for prompting inform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220368958A1 (en) Live video distribution method using unmanned moving device, video distribution device used in live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archive device for storing video data file generated by video distribution device
KR102391210B1 (ko) 드론 및 드론의 제어 방법
JP6831949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7428461B2 (ja) 無人航空機システムおよび飛行制御方法
JP6391880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7024997B2 (ja) 飛行体操縦システム及び飛行体操縦システムを用いて飛行体を操縦する方法
US10559132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CN109766010A (zh) 一种基于头部姿态控制的无人潜水器控制方法
JP6699944B2 (ja) 表示システム
CN205356558U (zh) 遥控观看系统及其摄像端和观看端
JP6890759B2 (ja) 飛行経路案内システム、飛行経路案内装置及び飛行経路案内方法
JP6821864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8032958A (ja) 操作端末、及び移動体
KR20200124899A (ko) 시설물 점검 장치 및 방법
WO202105968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4325476A1 (en) Video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072928A (ko) 헤드트래커 기능을 구비하는 고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의한 카메라 짐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