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119A -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 Google Patents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119A
KR20190123119A KR1020180046881A KR20180046881A KR20190123119A KR 20190123119 A KR20190123119 A KR 20190123119A KR 1020180046881 A KR1020180046881 A KR 1020180046881A KR 20180046881 A KR20180046881 A KR 20180046881A KR 20190123119 A KR20190123119 A KR 2019012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hollow fiber
polyethylene
polyeth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스터
Priority to KR102018004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119A/ko
Publication of KR2019012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8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forming hollow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40~50중량%와 폴리에틸렌 수지(PE) 50~60중량%를 포함하도록 블랜딩 한 후, 용융·압출하여 촙(chop)형태로 가공되어진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macromolecule}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는 천연섬유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서 거듭되는 기술개발로 일부 특성에 있어서는 천연섬유에 못지 않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신축성은 합성섬유가 쉽게 발현할 수 없는 특성으로서 양모와 같은 천연섬유의 고유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잠재권축사란 열 수축 성분이 다른 2종의 폴리머를 1개의 방사 구금을 통해 토출하여 단면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로 접합된 Bi-Component 구조의 원사를 의미하며, FY(Flat Yarn)상태에서는 이러한 권축(신축) 현상을 잠재적으로 갖고 있다가 끓은 물에 넣으면 가공 공정에서 Bi-Component 구조를 갖는 폴리머의 열 수축 차이에 의해 권축현상이 발현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합성섬유에 천연 양모와 같은 신축성을 부여하는 종래 기술로는 신장특성의 차이가 큰 2종의 합성섬유(원사)를 합사-가연-열고정하여 이수축 복합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과, 직편물 제조시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와 기타 합성섬유를 혼용하는 방법과, 2종의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이수축 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신장특성의 차이가 큰 2종의 원사를 합사-가연-열고정하여 잠재적인 수축율 차이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즉, 가연영역에서의 변형율과 해연후 잔류 변형율의 차이를 최대한 이용하는 것으로, 심사와 초사 중 초사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변형되어 심사와 혼섬교락된다.
상기 이수축 복합 가연사는 후처리 공정에서 열처리시 심사와 초사 간의 신장특성의 차이로 양호한 신축성을 발현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권축의 발현상태가 불균일하고, 심사와 초사의 결합력이 공기교락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교적 약해 후 공정 중에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한 성분 원사가 이탈, 제거되거나 권축특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3785호에는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에서는 이수축 복합사로서 단면이 원형 또는 중공 원형사에 한정할 뿐 단면에 다른 특징은 언급되지 않았으며, 이에 이형단면을 갖는 중공복합사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 수축시 권축발현을 통해 신축 및 회복율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고분자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40~50중량%와 폴리에틸렌 수지(PE) 50~60중량%를 포함하도록 블랜딩 한 후, 용융·압출하여 촙(chop)형태로 가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20:80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된 복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를 블랜딩시 무수말레산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수말레산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블랜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 )~(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고분자 수지는 터치감이 부드럽고, 탄성력이 우수한 섬유를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화시 가루발생율(어떤 제조공정을 기초로하여 경화시 가루발생율이 적다는 것인지 구체적인 예시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이 적으며, 유해물질 발생(어떤 제조공정을 기초로하여 어떤 근거로 유해물질 발생이 없다는 것인지 구체적인 예시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이 없고, 무수말레산을 혼합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방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성질의 고분자 수지를 블랜딩하고, 용융/압출하여 쌀알크기만한 촙형태로 가공하여 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와 폴리에틸렌(PE) 수지를 블랜딩한 후, 그 블랜딩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촘형태로 가공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40~50중량%와 폴리에틸렌 수지(PE) 50~60중량%를 포함하도록 블랜딩 하는 것이 좋다.
상기 PET와 PE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고 있어 (여기에 PET와 PE를 혼합할 경우 기대할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장점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용융방사하여 섬유로 가공시 그 ( )에 의해 섬유의 일측은 PET, 중심부는 PET=PE, 타측은 PE로 구성되는 이형단면형태의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이때, PET와 PE이 서로 다른 물성으로 잠재권축성을 띠게 된다.
이때, 상기 PET의 블랜딩 량이 4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PE의 블랜딩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고, 6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지는 수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적정 중량비로 구성된 P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20:80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된 복합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일, 상기 중량비의 임계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 )하거나 혹은 ( )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 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 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괄호안에 고유점도의 범위를 기재하여 주시고, 그 고유점도 범위내의 각각의 수지로 구성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ET와 PE를 블랜딩할 때, 무수말레산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산을 혼ㅎ바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방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에 상기 "낮은 온도"라는 것이 어느 정도의 온도범위를 가지는 것인지 기재바랍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수말레산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블랜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 )~(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첨가량이 (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고, (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 )한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블랜딩하여 가공됨으로써, 섬유로 방사시 이형단면을 가지며,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복합섬유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1]
<원료준비>
PET: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기재바랍니다.
PE: 고유점도 ( )~( )의 PE와 고유점도 ( )~( )의 PE를 ( ):( )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수지를 준비
상기 준비된 PET 40~50중량%와, PE 50~60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도록 블랜딩 한 다음, 온도 ( )~( )℃의 조건으로 용융시키고, 그 용융물을 압출시켜 ( )~( )㎜의 평균 크기를 가지도록 촙형태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PET와 PE블랜딩 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수말레산 (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블랜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실험예1>
상기 실시예 1에서 가공된 고분자 수지 촙을 (여기에 섬유로 방사하는 방사공정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 방법으로 섬유를 가공하였고, 그 가공된 섬유의 물성을 측정하여 보았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가공되 고분자 수지 촙을 (여기에 섬유로 방사하는 방사공정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 방법으로 섬유를 가공하였고, 그 가공된 섬유의 물성을 측정하여 보았다.
(여기에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가공된 섬유의 물성시험 항목과 그 항목들을 시험하는 방법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비교예]
여기에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와 비교할 수 있는 비교실시예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40~50중량%와 폴리에틸렌 수지(PE) 50~60중량%를 포함하도록 블랜딩 한 후, 용융·압출하여 촙(chop)형태로 가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20:80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된 복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 )~( ) 범위내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를 블랜딩시 무수말레산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산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블랜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 )~(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KR1020180046881A 2018-04-23 2018-04-23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KR20190123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81A KR20190123119A (ko) 2018-04-23 2018-04-23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81A KR20190123119A (ko) 2018-04-23 2018-04-23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19A true KR20190123119A (ko) 2019-10-31

Family

ID=6842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81A KR20190123119A (ko) 2018-04-23 2018-04-23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1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3093B2 (en) Melt processible fluoropolymer composites
JP2018172471A (ja)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
EP2826808B1 (en) Polyester fibres and filaments prepared by use of pmma pigment masterbatch,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use
JP6796107B2 (ja) セルロース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143017B1 (ko) 기계적 물성 및 컬링성이 우수한 시스-코어형 가발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3119A (ko) 잠재권축성 이형단면 중공사 제조용 고분자수지
KR102132560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모노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EP1242657B1 (en) Melt processible fluoropolymer composite fibers
KR20210016546A (ko) 인공 모발용 섬유 및 두발 장식 제품
KR10127609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5210856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繊維の製造方法
CN103849122B (zh) 具有改进的熔体粘度的热塑性组合物
EP3904571A1 (en) Polymeric synthetic fibres doped with lignin,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for making textile products
KR100780134B1 (ko) 폴리염화비닐섬유,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4402381B2 (ja) ポリ乳酸系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094487A (zh) 一种用于环保餐具的易清洁耐高温聚乳酸复合材料
JP2022540380A (ja) タイヤコード用原糸およびタイヤコード
Ragoubi et al. Design of doum palm fibers biocomposites by Reactor/elongational flow MiXer: Evaluation of morphological, mechanical, and microstructural performances
KR101772587B1 (ko) 이형 표면구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JP3705770B2 (ja) ポリ塩化ビニル系繊維
CN116575133B (zh) 一种基于熔体反应挤出的阻燃涤纶纤维的制备方法
JP3813893B2 (ja) ポリ塩化ビニル系繊維に添加する塩素化ポリ塩化ビニル樹脂の配合量を求める方法
KR20190123121A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블랜드 잠재권축성 이형단면사의 제조방법 및 그 이형단면사
CN114318627B (zh) 一种抑菌增强塑料网的生产工艺
CN114108123B (zh) 一种吸湿排汗型涤纶短纤维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