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029A - 김치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김치 저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3029A KR20190123029A KR1020180046690A KR20180046690A KR20190123029A KR 20190123029 A KR20190123029 A KR 20190123029A KR 1020180046690 A KR1020180046690 A KR 1020180046690A KR 20180046690 A KR20180046690 A KR 20180046690A KR 20190123029 A KR20190123029 A KR 20190123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mchi
- storage container
- main body
- opening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4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를 저장하는 저장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마주보는 한 쌍의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개구부에 각각 배치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체에 저장된 김치를 뒤집어 꺼내기 용이한 김치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김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면에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각각의 개구부에 독립적으로 결합하여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김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면에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각각의 개구부에 독립적으로 결합하여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치를 저장하는 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김치저장용기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덮개가 마련되어, 김치저장용기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도 덮개를 열어 김치저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김치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발효식품의 일종으로서, 배추, 무 또는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식품으로써, 밀폐 용기에 담은 후 냉장고 또는 전용 김치 냉장고에 보관한다.
이때 사용되는 밀폐 용기는 단순 복합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단순한 김치 보관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단순 보관 기능 이외에도 숯, 황토, 옥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기의 재료가 일부 첨가된 밀폐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보관에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김치는 각종 젖산균과 다양한 유산균이 살아 있는 식품으로서 장시간 보관하기에는 온도와 습도 등 주변환경에 민감한 반응 작용을 하게 되어 식품으로서 종래의 밀폐 용기를 통해서 맛있는 김치를 장기간 꾸준히 유지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1632호(2012.07.03., 공개)에서는, '김치저장용기'를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불투명한 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표시부가 구비된 것으로, 이는 불투명한 복합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용기에 저장된 식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외부에서 밀폐 용기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는 수단밖에 없기 때문에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거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수단이 전혀 개시된 바 없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0693호(2002.03.21., 등록)에서는, '김치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를 제안하고 있는데, 용기본체와 용기뚜껑의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용기뚜껑을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내부를 편리하게 관찰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은 본체와 뚜껑의 결합 편의성 향상 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부가적인 수단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숯, 황토, 옥 등의 부가재료를 본체 또는 뚜껑에 배치하거나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김치저장용기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의 높이가 상당이 높고, 그 본체에 저장되는 김치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는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에 보관시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김치를 보관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김치저장용기에 상하로 적층 보관된 김치는 보관 중 김치국물이 적층된 김치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적층된 김치의 상부는 공기중에 노출되는 경향이 많아서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하부 김치는 김치국물과 함께 숙성되면서 맛이 좋아지나 상부에 저장된 김치는 수분이 빠져나가게 되어 오히려 짠맛 및 쓴맛만 강하게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는 항상 김치저장용기에 저장된 맛좋은 하부의 김치보다는 맛이 좋지 않은 상부의 김치를 맛보게 되며, 맛좋은 하부의 김치를 취식하기 위해서는 상부의 김치를 놔두고 하부의 김치만을 꺼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부의 김치는 더욱 건조하게 되어 맛이 좋지 않게 되어 버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김치저장용기에 저장된 전체 김치가 골고루 숙성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김치저장용기에 저장된 어느 위치의 김치든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보관에도 맛과 향이 좋은 김치를 선별해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김치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도록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 상하부로 개구부(12)가 형성된 저장 용기 본체(10);와, 상기 개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복수개의 측벽(11)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한 쌍의 면에 개구부(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20)는, 각각의 개구부(12)에 독립적으로 결합하여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 용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4개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복수개의 측벽이 상호 맞닿는 모서리 부위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軟質) 소재로 형성된 탄성변형부가 더 구비되어, 김치를 저장하지 않은 김치저장용기를 보관시에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김치저장용기는, 용기에 적층 저장된 김치중에서 하부의 김치를 선택하여 취식하기 용이하도록 김치저장용기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도 덮개를 열어 숙성이 잘된 하부측의 김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김치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이라는 방향성이 없어지게 되어서 김치저장용기를 뒤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김치저장용기에 저장된 김치가 골고루 숙성되도록 하여, 김치국물이 건조하게 되어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김치를 저장하지 않을 시에는 본체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김치저장용기의 보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저장 용기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에서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저장 용기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1)는, 김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S)과 연통된 개구부(12)가 형성된 저장 용기 본체(10)와, 상기 개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김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S)이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종래의 용기와 차별화된 구조로 바닥면이 없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측벽(11)만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본체(10)는 마주보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됨으로 인해서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본체(10)는 개구부(12)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된 것으로, 각각의 개구부(12)에 덮개(20)가 독립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뒤집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어느 일측의 덮개(20)를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된 김치를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수분이 함유된 방향의 김치를 꺼낼 수 있고, 본체(10)를 뒤집어 보관함으로써 수분이 빠져나간 측의 김치에 수분이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벽(11)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개구부(12)와의 결합을 위한 통상적인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맞닿은 본체(10)의 측벽(11)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 및 패킹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수단과 패킹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21)는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사용시 또는 적층 보관시 덮개(20)의 노출된 면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0)는 각각 본체(10)의 개구부(12)에 독립적으로 결합하여 본체(10)가 놓이는 방향에 따라 덮개와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본체(1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보관되는 상황에서는 본체(10)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2)에 결합된 덮개(20)는 본체(10)의 바닥판의 용도로 사용되어 내부에 저장된 김치 및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2)에 결합된 덮개(20)는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외부의 공기가 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쌍의 덮개 중 원하는 위치의 덮개를 개방하여 본체(10)에 저장된 김치를 꺼낼 수 있는 것으로, 수분이 함유된 김치를 꺼내기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제품 포장 또는 미사용시 본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측벽(11)이 상호 맞닿는 부위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軟質) 소재로 형성된 탄성변형부(13)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변형부(13)는 한 쌍의 측벽(11)이 상호 맞닿는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측벽(11)이 독립적으로 직립을 유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각 측벽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연질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며 측벽(11)과 맞닿는 부위는 열융착 또는 접합 등을 통해 측벽(11)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변형부(13)가 구비된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는 경우 각각의 측벽이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상호간의 간격은 좁혀지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각 측벽의 일면이 상호 맞닿도록 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접혀져 부피가 줄어든 본체(10)를 펼치는 과정은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을 파지한 후 길이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도록 당기면, 각 측벽은 반대방향에서 중앙측을 향해 근접하면서 상호간의 간격은 넓혀지고 최종적으로 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체(10)는 미사용시 측벽(11)을 상호 맞닿도록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본체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 측벽(11)을 펼쳐 측벽 끼리의 간격을 벌려 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S)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김치에서 숙성이 잘된 방향측의 김치를 선택하여 취식하기 용이하며, 수분이 빠져나감으로써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저장 용기
10 : 본체
11 : 측벽 12 : 개구부
13 : 탄성변형부
20 : 덮개
10 : 본체
11 : 측벽 12 : 개구부
13 : 탄성변형부
20 : 덮개
Claims (2)
- 김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S)을 형성하도록 외주면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S)과 상하로 연통된 각각의 개구부(12)가 형성된 저장 용기 본체(10);와,
상기 개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20)는,
각각의 개구부(12)에 독립적으로 결합하여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복수개의 측벽(11)이 상호 맞닿는 부위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軟質) 소재로 형성된 탄성변형부(13)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90A KR20190123029A (ko) | 2018-04-23 | 2018-04-23 | 김치 저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90A KR20190123029A (ko) | 2018-04-23 | 2018-04-23 | 김치 저장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029A true KR20190123029A (ko) | 2019-10-31 |
Family
ID=6842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690A KR20190123029A (ko) | 2018-04-23 | 2018-04-23 | 김치 저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2302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1632A (ko) | 2010-12-23 | 2012-07-03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용기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690A patent/KR201901230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1632A (ko) | 2010-12-23 | 2012-07-03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38840B2 (en) | Multi-compartmented sandwich storage device | |
US20170275075A1 (en) | Vacuum Sealed Container for Perishable and Non Perishable Goods | |
AU751458B2 (en) | Vented container for produce | |
US20070012696A1 (en) | Containers including containers for removing moisture and/or oxygen and adjustable containers | |
KR200465164Y1 (ko) |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 |
US10527343B2 (en) | Storage container suitable to be used in a refrigerator | |
CN105730887B (zh) | 一种便携式苹果农残检测取样保鲜箱 | |
KR20190123029A (ko) | 김치 저장 용기 | |
CN207985712U (zh) | 杨梅泡沫包装盒 | |
KR102566266B1 (ko) | 단열재를 구비한 접이식 보냉가방 | |
KR200489957Y1 (ko) | 기능성 케이크 용기 | |
CN217100857U (zh) | 一种多功能保鲜盒 | |
JP2977552B1 (ja) | 冷蔵庫に収納可能な漬物容器 | |
KR200472835Y1 (ko) | 밀폐용기용 누름판 | |
JP6828997B2 (ja) | 糠漬け用品の製造方法 | |
KR200430429Y1 (ko) | 뚜껑이 2개인 용기(윗뚜껑,밑뚜껑) | |
CN207748306U (zh) | 一种茶叶储存盒 | |
CN208286276U (zh) | 一种甜玉米鲜棒的保鲜装置 | |
KR200485807Y1 (ko) | 만두 포장용기 | |
CN213650611U (zh) | 一种麦片密封保鲜罐 | |
KR200414429Y1 (ko) | 음식물 용기 | |
CN207998155U (zh) | 一种食品保鲜盒 | |
CN110015511B (zh) | 一种富营养物质无菌保鲜容器 | |
KR200469080Y1 (ko) | 밀폐용기 | |
KR101917670B1 (ko) | 즉석 조리용 아귀찜 포장 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